DNA 회전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NA 회전효소는 DNA의 꼬임을 조절하여 DNA 복제, 전사, 재조합 및 분열과 같은 세포 과정에 필수적인 효소이다. 1971년 제임스 C. 왕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작용 기전에 따라 제I형과 제II형으로 분류된다. I형은 DNA 한 가닥을 절단하고, II형은 두 가닥을 모두 절단하며 ATP를 사용한다. DNA 회전효소는 DNA의 위상학적 문제를 해결하며, 초나선, 매듭, 캐테네인과 같은 DNA의 3차원적 형태를 조절한다. 또한, DNA 회전효소는 항균 및 항암 치료의 표적으로 활용되며, 퀴놀론 항생제, 캄토테신 유도체, 에토포시드, 독소루비신 등이 대표적인 약물이다. 최근에는 DNA 회전효소 II 베타(topo IIβ)가 유전자 전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5.99.1 - DNA 자이레이스
DNA 자이레이스는 토포아이소머레이 II의 일종으로, ATP 가수분해를 통해 DNA의 꼬임을 풀고 초나선 구조를 만들어 세균 DNA 복제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항생제의 표적이 된다. - DNA 복제 - 반보존적 복제
반보존적 복제는 DNA 복제 시 원래 DNA 가닥을 주형으로 새로운 가닥을 합성하여, 각 복사본이 원래 가닥과 새로운 가닥을 하나씩 포함하는 메커니즘으로, 메셀슨-스탈 실험으로 증명되었으며, DNA 복구 및 유전적 다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DNA 복제 - 텔로머레이스
텔로머레이스는 진핵세포 염색체 말단의 텔로미어 DNA 반복 서열을 연장하는 역전사 효소로, 세포 분열 시 텔로미어 단축을 막아 세포 수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RNA 구성 요소(TERC)와 역전사 효소(TERT) 복합체로 구성되어 세포 노화, 암, 유전 질환 연구와 관련이 있고, 텔로미어와 텔로머레이스 기능 연구로 엘리자베스 블랙번, 캐럴 W. 그리더, 잭 W. 쇼스택이 200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분자유전학 -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과정으로, 다이서 효소에 의해 생성된 작은 간섭 RNA가 RNA 유도 침묵 복합체와 결합하여 표적 mRNA를 분해하거나 번역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방어, 발생 조절, 유전체 안정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분자유전학 - 염색체
염색체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DNA 가닥으로, 진핵생물에서는 단백질과 결합해 염색질을 형성하고 세포 분열 시 응축된 막대 모양을 나타내며, 원핵생물은 진핵생물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종에 따라 수와 구조가 다양하며, 이상이 생기면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유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NA 회전효소 |
---|
2. 역사
1971년 제임스 C. 왕은 박테리아에서 최초의 DNA 토포아이소머라제를 발견했으며, 처음에는 ω(오메가) 단백질이라고 명명했다.[3] 현재는 ''대장균(E. coli)'' 토포아이소머라제 I(topo I)이라고 불리며, IA형 효소군의 대표이다. 그 후, 제임스 챔푸와 레나토 둘베코에 의해 진핵 세포(쥐 간)에서 유사한 활성이 발견되었다.[4] 이 효소, 즉 진핵생물 토포 I은 뚜렷한 메커니즘을 가지며, IB형 효소군의 대표이다. 최초로 발견된 II형 토포이소머라제는 1976년 마틴 겔러트와 동료들에 의해 박테리아에서 발견된 DNA 자이레이스였으며,[5] 니콜라스 코자렐리와 동료들에 의해서도 특징이 밝혀졌다.[6] DNA 자이레이스는 DNA에 음성 초나선을 도입하는 반응을 촉매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II형 효소이며, 다른 모든 효소들은 DNA 이완을 촉매한다. II형 효소는 ATP 의존적이며, 하나의 가닥이 아닌 두 가닥 모두를 일시적으로 절단한다는 점에서 I형 효소와 메커니즘적으로 다르다. II형 토포이소머라제는 이후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진핵생물에서 확인되었다.[7][8][9]
DNA의 이중 나선 구조는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 가닥이 서로 얽히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잠재적으로 위상학적 문제를 야기한다.[10] DNA 위상학은 이중 나선의 꼬임을 변화시키는 두 DNA 가닥의 교차를 의미하며, 초나선, 매듭 및 캐테네인과 같은 DNA의 3차원적 형태를 발생시킨다.[10]
3. DNA 위상
DNA의 이중 나선 구조와 관련된 잠재적인 위상학적 문제는 1953년 제임스 왓슨, 프랜시스 크릭 및 로잘린드 프랭클린에 의해 DNA 구조가 처음 밝혀진 직후에 인식되었으며[11][12][13], 막스 델브뤽과 존 케언스의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되었다.[14][15]
닫힌 원형 이중 가닥 DNA는 3가지 매개변수, 즉 연결수(Lk), 꼬임(Tw), 휘어짐(Wr)으로 설명할 수 있다(그림 1).
3가지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이 관련된다. Lk = Tw + Wr. 이것은 원래 1959년 Călugăreanu에 의해 얻어진 수학적 항등식이며[16], Călugăreanu 또는 Călugăreanu–White–Fuller 정리라고 한다.[17][18] Lk는 나선의 한 가닥 또는 양쪽 가닥을 끊지 않고는 변경할 수 없다. Tw와 Wr은 상호 변환이 가능하며 용액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초나선은 비영 연결 차이를 갖는 DNA에 대한 일상적인 용어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특정 연결 차이(σ = ΔLk/Lk0, 여기서 Lk0은 이완된 DNA 원의 평균 연결수)라고 한다. DNA는 이완된 상태의 Lk0보다 Lk가 더 높으면 양성 초나선이라고 한다(Lk-Lko = ΔLk, ΔLk>0). 즉, Tw 및/또는 Wr이 이완된 분자에 비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DNA 분자의 Lk가 Lk0보다 낮으면 음성 초나선이라고 한다(ΔLk<0).
DNA의 위상학적 교란의 결과는 이중 가닥이 분리되는 DNA 복제에서 예시된다. 이러한 분리는 복제 분기점 앞에서 양성 초나선(DNA 과도한 꼬임 또는 과도한 비틀림)을 형성하고 뒤에서 딸 가닥을 얽히게 한다(사전 캐테네인).[10][19] (그림 2). 양성 초나선이 풀리지 않으면 복제 분기점의 진행이 방해되는 반면, 딸 가닥을 풀지 못하면 세포 분열에 필요한 게놈 분리가 방지된다.[20] RNA 중합효소에 의한 전사 또한 전사 복합체 앞에서 양성 초나선을 생성하고 뒤에서 음성 초나선을 생성한다(그림 2). 이 효과는 1987년 리 로이 리우와 제임스 C. 왕이 설명한 쌍 초나선 도메인 모델이라고 알려져 있다.[21] 이러한 위상학적 교란은 DNA 대사가 진행되고 세포가 게놈을 효율적으로 복제, 전사 및 분할하여 세포 분열과 활성을 가능하게 하려면 해결되어야 한다. DNA의 매듭은 박테리오파지에서, 그리고 DNA 재조합 반응의 산물로 발견될 수 있다.[10] 일반적으로 DNA의 매듭은 유해하며 제거해야 한다(토포이소머라제에 의해). DNA 캐테네인은 원형 분자의 복제 시 형성되며, 세포 분열 동안 딸 분자의 적절한 분리를 허용하기 위해 토포이소머라제 또는 재조합효소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 해결이 필요한 DNA 위상학의 유해한 측면 외에도 유익한 측면도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복제는 기원의 음성 초나선을 필요로 하며, 이는 국소적인 융해를 촉진하고 복제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단일 가닥 DNA를 노출시킨다. 마찬가지로, 주요 박테리아 기원 ''oriC''에서 복제를 시작하려면 음성 초나선이 필요하다.[22][23] 또한, ''대장균'' 게놈의 압축은 부분적으로 음성 초나선에 의해 달성된다.
4. 종류
DNA 회전효소는 DNA에 결합해서 DNA 골격(backbone)을 절단하는데, 작용 기전에 따라 제I형과 제II형으로 나뉜다.[71]
- 제I형 DNA 회전효소는 DNA 이중 가닥 중 한 가닥을 절단한 후에, 절단 부위로 끊어진 가닥이 통과하고 다시 절단 부위를 결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제II형 DNA 회전효소는 I형과 거의 동일하지만, DNA 이중 가닥의 두 가닥 모두를 절단하며, ATP를 사용한다. 따라서 DNA 복제와 RNA 전사에서 나선효소(헬리케이즈)에 의해 생기는 초나선 DNA의 꼬임을 이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DNA 회전이성질화효소는 DNA의 위상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한 효소이다.[10] 이들은 DNA의 한 가닥 또는 두 가닥을 일시적으로 끊는 방식으로 작용하여, I형(단일 가닥 절단)과 II형(이중 가닥 절단)으로 분류된다.[10] I형은 IA형, IB형, IC형으로, II형은 IIA형과 IIB형으로 세분된다. IA형은 5' DNA 인산에 일시적인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가닥 통과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한다. IB형과 IC형은 3' DNA 인산에 일시적인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제어된 회전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한다. IIA형과 IIB형은 이중 가닥의 두 가닥의 5' DNA 인산에 일시적인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가닥 통과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한다.[10]

세균 토포 I과 같은 I형 토포이소머라제는 항생제 표적이 될 수 있지만,[35]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없다. 그러나 II형 효소인 DNA 자이레이스와 DNA 토포이소머라제 IV는 널리 사용되는 플루오로퀴놀론 항생제의 표적이다.[35]
토포아이소머라제는 크게 두 가지 유형(I형과 II형)으로 분류되며, I형과 II형은 반응 기전이 다른 두 개의 하위 클래스(IA, IB와 IIA, IIB)로 더 분류된다.[66][67]
유형 | 하위 유형 | 세균 | 고세균 | 진핵생물 |
---|---|---|---|---|
I형 | IA형 | topo I | - | - |
topo III | topo III | topo III | ||
(reverse gyrase) | reverse gyrase | - | ||
IB형 | - | topo I | topo I | |
II형 | IIA형 | gyrase | (gyrase) | - |
topo IV | - | topo II | ||
IIB형 | (topo VI) | topo VI | - | |
4. 1. I형 DNA 회전효소
I형 DNA 회전효소(Type I DNA topoisomerase)는 DNA 이중 가닥 중 한 가닥을 절단한 후, 절단 부위로 끊어지지 않은 가닥을 통과시키고 다시 절단 부위를 결합하는 효소이다. 이 반응을 통해 DNA의 꼬임 수(linking number)를 변화시킨다. I형 DNA 회전효소는 ATP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DNA 복제나 전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DNA 초나선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71]I형 DNA 회전효소는 작동 방식에 따라 IA형과 IB형으로 나뉜다.[66][67]


- 수정된 부분
1. 이미지 문법 오류 수정: `--|]]|]]|]]` -> `--`
2. 템플릿 제거: `, ` 제거
4. 1. 1. IA형
Type IA 토포아이소머라제는 단분자 형태이며 단일 가닥 DNA 세그먼트에 결합한다. 효소 내 티로신과 DNA 내 5'-인산 간의 티로실-인산 결합을 형성하여 일시적인 단일 가닥 절단을 유도한다.[66][67]Type IA 토포이소머라제의 예로는 원핵생물 topo I 및 III, 진핵생물 topo IIIα 및 IIIβ와 고세균 효소인 역 회전효소가 있다.
대장균의 topoisomerase I (topo I)은 IA형에 속하며, 음의 초나선만 이완시킬 수 있다. 일부 내열성 세균과 내열성 고세균은 reverse gyrase라고 불리는 특수한 IA형 토포아이소머라제를 가지고 있다. reverse gyrase는 헬리케이스 (DNA helicase)와 유사한 도메인을 가지며, ATP 의존적으로 양의 초나선을 도입하는 능력을 갖는다.[69]
4. 1. 2. IB형
Type IB 토포아이소머라제는 효소 내 티로신과 DNA 내 3'-인산 사이의 티로실-인산 결합 형성을 통해 DNA 내의 일시적인 단일 가닥 절단을 포함하는 반응을 촉매한다.[71] 바이러스 토포 I 외에 진핵 세포 핵 및 미토콘드리아 토포 I이 Type IB 토포아이소머라제의 예시이며, 생명의 세 가지 영역 모두에서 확인되었다.유형 | 하위 유형 | 세균 | 고세균 | 진핵생물 |
---|---|---|---|---|
I형 | IA형 | topo I | - | - |
topo III | topo III | topo III | ||
(reverse gyrase) | reverse gyrase | - | ||
IB형 | - | topo I | topo I | |
II형 | IIA형 | gyrase | (gyrase) | - |
topo IV | - | topo II | ||
IIB형 | (topo VI) | topo VI | - |
진핵 세포의 topoisomerase I (topo I)은 IB형에 속하며, 항암제인 이리노테칸(irinotecan)과 토포테칸(topotecan)에 의해 저해된다. 두 약물 모두 캄프토테신(camptothecin)의 유사 물질이다.
4. 1. 3. IC형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문에 Type IC 토포아이소머레이스에 대한 정보가 없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문에 따르면, 토포아이소머레이스는 크게 I형과 II형으로 분류되며, I형은 IA, IB로, II형은 IIA, IIB로 하위 분류됩니다. Type IC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4. 2. II형 DNA 회전효소
II형 토포아이소머라제는 DNA 이중 가닥 모두를 절단하며, ATP를 사용하여 DNA 복제와 RNA 전사에서 나선효소(헬리케이즈)에 의해 생기는 초나선 DNA의 꼬임을 이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71] II형 토포아이소머라제는 DNA의 위상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한 효소이다.[10]II형 토포아이소머라제의 반응에서는, 이중 나선이 동시에 절단되어 그 절단된 틈 사이로 다른 이중 나선이 통과한다. 절단된 부분이 재결합하면, 링킹 넘버가 두 개 변화한다. 이 반응은 ATP를 필요로 한다.[66][67]

right
II형은 IIA형과 IIB형으로 분류된다.
IIB형 토포아이소머라제는, 고세균이나 식물 등에서 발견된다.
4. 2. 1. IIA형
IIA형 토포아이소머레이스는 효소 내 티로신(각 서브유닛당 하나)과 반대 DNA 가닥에서 4개의 염기에 걸쳐 엇갈리게 배열된 5'-인산 사이의 티로실-인산 결합 형성을 통해 DNA에 일시적인 이중 가닥 절단을 촉매한다.[30] 가닥 통과 반응은 내부 또는 분자 간일 수 있으므로, 초나선 및 매듭 변화 또는 각각 언링킹이 가능하다.[30] 이 과정은 DNA의 연결 번호를 +/-2만큼 변경한다.[30] IIA형 토포아이소머레이스의 예로는 세균의 자이레이스와 topo IV 외에 진핵생물의 topo IIα 및 topo IIβ가 있다.[30]IIA형 토포아이소머레이스는 진화적으로 널리 보존되어 있으며, 초나선의 완화에 더하여 복제 후에 발생하는 딸 이중 나선 DNA 간의 엉킴(카테난)의 해소도 담당한다. 진핵생물에서는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I(topo II)가, 세균에서는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V(topo IV)가 이를 담당한다. 진핵생물의 topo II는 항암제인 에토포시드나 테니포시드의 표적이 된다.
대장균을 포함한 많은 세균은 DNA 자이레이스라고 불리는, 또 다른 종류의 IIA형 토포아이소머레이스를 갖는다. DNA 자이레이스는 음의 DNA 초나선을 도입하는 활성을 가지며, 퀴놀론계 항생물질의 표적이 된다.
4. 2. 2. IIB형
IIB형 효소는 효소 내 티로신과 DNA 반대 가닥의 5'-인산 사이의 티로실-인산 결합 형성을 통해 일시적인 이중 가닥 절단을 촉매하지만, IIB형 효소의 경우 이중 가닥 절단은 2개의 염기 엇갈림을 갖는다. IIB형 효소는 중요한 구조적 차이를 보이지만, 진화적으로 IIA형 효소와 관련이 있다. IIB형 효소의 예로는 topo VI과 topo VIII이 있다.[66][67]5. 작동 원리
국소이성질화효소는 DNA를 절단하고 잘려진 가닥을 재결합시켜야 한다. 이때 효소 단백질 활성 부위의 특정 티이로신 잔기는 공유 결합의 중간체로 활용된다. 즉, 효소 활성 부위의 티로신 잔기가 표적 DNA 골격의 인산다이에스터 결합을 공격하여 DNA를 절단하고, 효소와 잘려진 DNA의 한쪽 말단은 인산-티로신 결합을 통해 연결된다.[71]
DNA의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한 쪽 말단은 자유로운 3’-OH를 갖는데, 끊어진 DNA 가닥 사이로 다른 가닥이 통과하고 나면 이 3’-OH가 효소와 DNA가 연결된 인산-티로신 결합을 다시 공격하여 DNA끼리의 재결합이 이루어진다.[71]
각각 절단하는 가닥 수에 의해 제I형의 경우는 위의 반응을 한 번, 제II형은 두 번 진행하게 된다. 제II형 국소이성질화효소 활성에는 ATP가 추가적으로 필요한데, 그 이유는 복잡한 효소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효소 단백질 자체의 구조 변형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71]
6. 약물 표적으로서의 DNA 회전효소
DNA 회전효소는 항균 및 항암 화학요법에서 중요한 약물 표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는 여러 DNA 회전효소 표적 항균제 및 항암제가 등재되어 있다.
6. 1. 항균 화합물
퀴놀론 항생제 화합물은 1960년대에 처음 개발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임상적으로 사용되었다.[36]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과 같은 플루오로퀴놀론(FQ) 유도체는 매우 성공적이었다. 이 화합물들은 분절 부위에서 표적(자이레이스 또는 토포 IV) 및 DNA와 상호 작용하여 DNA-단백질 공유 결합 분절 중간체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DNA에 삽입되어 토포이소머라제 반응의 DNA 재결합 단계를 방지한다. 이는 여러 토포이소머라제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에서도 사용되는 매우 효과적인 억제 메커니즘이다. 엄청난 성공에도 불구하고 FQ에 대한 내성은 심각한 문제이다.[36] 퀴나졸린디온 및 이미다졸피라지논[37]과 같은 다양한 다른 화합물도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며, 미래에 이러한 화합물 중 일부가 FQ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아미노쿠마린은 노보비오신, 클로로비오신, 쿠머마이신 A1과 같은 화합물로, *Streptomyces*에서 유래된 천연물이며 자이레이스와 토포 IV의 ATP가수분해 반응을 억제한다.[37] 비록 이들이 표적에 매우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투과성과 독성 문제로 인해 퀴놀론계 항생제만큼 임상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6. 2. 항암 화합물
사람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은 중국외대나무(''Camptotheca acuminata'')에서 유래된 캄토테신(Camptothecin)과 그 유도체인 토포테칸과 이리노테칸으로 억제할 수 있다.[33] 이들은 암 화학요법에 널리 사용된다.[33] 캄토테신과 그 유도체는 토포아이소머레이스 I 절단 복합체를 안정화시켜 DNA에서 단백질 매개 절개가 다시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이 화합물은 대장암, 난소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포함한 암 치료의 1차 또는 2차 치료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화학적 불안정성으로 인한 독성 및 제한적인 치료 반감기와 관련된 한계가 있다.사람 토포 II는 에토포시드(Etoposide)와 테니포시드(teniposide, VM-26)로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은 야생 만드라케의 뿌리줄기에서 얻은 에피포도필로톡신 유도체로, 공유 절단 복합체를 안정화시키고 절단된 DNA의 재결합을 방지한다.[46] 이 약물들은 일반적으로 고환 종양, 소세포 폐암, 백혈병을 포함한 암 치료를 위해 다른 화학요법 약물과 함께 사용된다.
독소루비신(Doxorubicin)과 이와 관련된 유도체인 다우노루비신, 에피루비신, 이다루비신은 박테리아 ''Streptomyces''[48]에서 얻은 안트라사이클린 계열의 약물로, 인간 topo II를 표적으로 한다. 안트라사이클린은 암 치료에 사용된 최초의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였으며, 유방암, 림프종, 백혈병, 암종, 육종 및 기타 종양을 포함한 광범위한 암에 대한 가장 널리 사용되고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남아 있다.[47]
7. 전사 조절에서의 역할
DNA 회전효소 II 베타(topo IIβ)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DNA 회전효소는 유전자 전사 조절 역할을 한다.[52][53][54][55] Topo IIβ에 의존적인 이중 가닥 DNA 절단과 DNA 손상 복구 기전의 구성 요소는 초기 반응 유전자의 신속한 발현뿐만 아니라 신호 반응 유전자 조절에도 중요하다. Topo IIβ는 다른 관련 효소들과 함께[54] 전사가 매우 활발하거나 긴 유전자에서 일시 정지된 RNA 중합효소의 방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56][57][58]
자극에 의해 유도된 DNA 이중 가닥 절단(DSB)은 단기간(10분에서 2시간) 동안 신호 조절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에서 topo IIβ에 의해 유도된다. 이러한 DSB는 여러 시스템에서 이러한 신호 반응 유전자의 발현을 빠르게 상향 조절할 수 있게 한다(아래 표 참조). 이러한 신호 조절 유전자에는 에스트라디올, 혈청, 인슐린, 글루코코르티코이드(예: 덱사메타손) 및 뉴런의 활성화에 대한 자극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유전자가 포함된다. 유도된 DNA 이중 가닥 절단이 복구되면 신호 반응 유전자의 전사는 낮은 수준으로 돌아간다.[52]
Topo IIβ와 PARP-1은 신호 반응 유전자의 프로모터의 전사 시작 부위 근처에 중간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신호가 발생한 후 topo IIβ는 이중 가닥 절단을 일으켰고, PARP-1은 히스톤 H1을 HMGB1/HMGA2로 대체하는 데 관여하여 전사를 촉진할 수 있었다.[55] Topo IIβ와 PARP-1은 이중 가닥 절단 부위에서 증가했고, 비상동 말단 연결 DNA 복구 경로의 구성 요소(DNA-PKcs, Ku70/Ku80 및 DNA 연결 효소 IV 포함)가 topo IIβ 및 PARP-1과 함께 조립되었다. 이 조립체는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에서 단일 뉴클레오솜에 인접한 링커 DNA에 모두 존재했다(그림 참조). 뉴클레오솜은 유전자의 전사 시작 부위 근처에 있었다.[55] 비상동 말단 연결 DNA 복구 경로의 구성 요소는 DNA 이중 가닥 절단을 닫는 데 필수적이었다.[52]
리간드 또는 활성화제 | DSB에 대해 평가된 유전자 | 신호 유도 활성화 후 DSB | 전사에 DSB가 필요했는지 여부 | DSB 위치 | DSB에 존재하는 단백질 | 신호 유도 활성화 후 DSB 지속 시간 | 참고 문헌 | |
---|---|---|---|---|---|---|---|---|
에스트라디올 | pS2 | 예 | 예 | 예 | 프로모터 | topo IIβ, PARP-1, DNA-PKcs, Ku70, Ku80 | 10분 | [59] |
인슐린 | FASN | 예 | 예 | 예 | 프로모터 | topo IIβ, PARP-1, DNA-PKcs, Ku70, Ku80, 단백질 포스파타제 1 (PP1), P/CAF | 3시간 | [60] |
열 충격 또는 혈청 | HSPA1B, JUN, FOS, EGR1, MYC | 예 | 예 | 예 | 프로모터 및 POLII 일시 정지 부위 | DNA-PKcs, Ku70, γH2AX, TRIM28 | 30초에서 5분 | [61] |
덱사메타손 또는 에스트라디올 | PS2, MMTV, PLZF, HSD11B2 | 예 | 예 | 예 | 프로모터 | topo IIβ, PARP-1, DNA-PKcs, Ku70, Ku80, BRG1 | 15분 | [62] |
KCl 또는 배양된 1차 피질 뉴런의 NMDA 활성화 | FOS, EGR1, NPAS4, NR4A1 | 예 | 예 | 예 | 프로모터 | topo IIβ, PARP-1, DNA-PKcs, Ku70, Ku80, CTCF | 최대 2시간 | [52] |
공포 조건화 (마우스 해마 및 전내측 전두엽 피질 뉴런에서 평가) | >200개의 유전자(새로운 DSB 및 상향 조절된 발현) | 예 | DSB가 전사와 상관관계가 있었음 | 프로모터 | 테스트되지 않음 | 10분 및 30분에 두 번째 피크 | [63] |
RNA 중합효소 II는 유전자 전사 시작 지점으로부터 약 30~60개의 뉴클레오티드 하류에 빈번하게 일시 정지 지점을 갖는다.[64][65] 이러한 지점에서 RNA 중합효소 II의 일시 정지 및 일시 정지의 조절된 해제가 유전자 전사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Singh 등[58]이 지적한 바와 같이 "HeLa 세포에서 발현이 높은 유전자의 약 80%가 일시 정지 상태에 있다".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즉시 재봉합되지는 않지만, topo IIβ에 의해 유도된 DNA 이중 가닥 절단이 RNA 중합효소 II 일시 정지 지점에서 발생하며, 일시 정지 상태의 효율적인 해제와 유전자 전사 진행에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56][57][58] TOP2B에 의해 유도된 DNA 이중 가닥 절단은 발생하는 유전자의 경우 유전자 발현 조절 과정의 일부로 여겨진다.
참조
[1]
논문
DNA topoisomerases: Advances in understanding of cellular roles and multi-protein complexes via structure-function analysis
2021-04-01
[2]
논문
Diversity and Functions of Type II Topoisomerases
2021-03-15
[3]
논문
Interaction between DNA and an Escherichia coli protein omega
1971-02-01
[4]
논문
An activity from mammalian cells that untwists superhelical DNA--a possible swivel for DNA replication (polyoma-ethidium bromide-mouse-embryo cells-dye binding assay)
1972-01-01
[5]
논문
DNA gyrase: an enzyme that introduces superhelical turns into DNA
1976-11-01
[6]
논문
Mechanism of action of nalidixic acid: purification of Escherichia coli nalA gene product and its relationship to DNA gyrase and a novel nicking-closing enzyme
1977-11-01
[7]
논문
In vitro catenation and decatenation of DNA and a novel eucaryotic ATP-dependent topoisomerase
1980-06-01
[8]
논문
T4 DNA topoisomerase: a new ATP-dependent enzyme essential for initiation of T4 bacteriophage DNA replication
1979-10-01
[9]
논문
T4 DNA-delay proteins, required for specific DNA replication, form a complex that has ATP-dependent DNA topoisomerase activity
1979-08-01
[10]
서적
DNA to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1-01
[11]
논문
Genetical implications of the structure of deoxyribonucleic acid
1953-05-01
[12]
논문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1953-04-01
[13]
논문
Evidence for 2-chain helix in crystalline structure of sodium deoxyribonucleate
1953-07-01
[14]
논문
The bacterial chromosome and its manner of replication as seen by autoradiography
Elsevier
1963-03-01
[15]
논문
On the Replication of Desoxyribonucleic Acid (Dna)
1954-09-01
[16]
논문
L'intégrale de Gauss et l'analyse des nœuds tridimensionnels
1959-01-01
[17]
논문
The writhing number of a space curve
1971-04-01
[18]
논문
Self-Linking and the Gauss Integral in Higher Dimensions
1969-01-01
[19]
논문
Topological challenges to DNA replication: conformations at the fork
2001-07-01
[20]
논문
Arrest of segregation leads to accumulation of highly intertwined catenated dimers: dissection of the final stages of SV40 DNA replication
1981-09-01
[21]
논문
Supercoiling of the DNA template during transcription
1987-10-01
[22]
논문
The Stringent Response Inhibits DNA Replication Initiation in E. coli by Modulating Supercoiling of ''oriC''
2019-07-01
[23]
논문
The level of supercoiling affects the regulation of DNA replication in Escherichia coli
1992-09-01
[24]
논문
Reverse gyrase--a topoisomerase which introduces positive superhelical turns into DNA
1984-01-01
[25]
논문
Type II DNA topoisomerases: enzymes that can unknot a topologically knotted DNA molecule via a reversible double-strand break
1980-03-01
[26]
논문
Widespread distribution of archaeal reverse gyrase in thermophilic bacteria suggests a complex history of vertical inheritance and lateral gene transfers
2007-05-01
[27]
논문
A model for the mechanism of human topoisomerase I
1998-03-01
[28]
논문
Vaccinia DNA topoisomerase I: evidence supporting a free rotation mechanism for DNA supercoil relaxation
1997-04-01
[29]
논문
Structural studies of type I topoisomerases
2009-02-01
[30]
논문
The ancestral role of ATP hydrolysis in type II topoisomerases: prevention of DNA double-strand breaks
2011-08-01
[31]
논문
Topoisomerase VI is a chirally-selective, preferential DNA decatenase
2022-01-01
[32]
논문
Drugging topoisomerases: lessons and challenges
2013-01-01
[33]
논문
DNA topoisomerases and their poisoning by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drugs
2010-05-01
[34]
논문
Interfacial inhibitors: targeting macromolecular complexes
2011-12-01
[35]
논문
Targeting bacterial topoisomerase I to meet the challenge of finding new antibiotics
2015-01-01
[36]
논문
Quinolones: Mechanism, Lethality and Their Contributions to Antibiotic Resistance
2020-12
[37]
서적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mplic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pringer
2018
[38]
논문
The Microbial Toxin Microcin B17: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bacterial Agents
2019-08
[39]
논문
ParE toxin encoded by the broad-host-range plasmid RK2 is an inhibitor of Escherichia coli gyrase
2002-05
[40]
논문
A strand-passage conformation of DNA gyrase is required to allow the bacterial toxin, CcdB, to access its binding site
2006
[41]
논문
Direct control of type IIA topoisomerase activity by a chromosomally encoded regulatory protein
2014-07
[42]
논문
The pentapeptide-repeat protein, MfpA, interacts with mycobacterial DNA gyrase as a DNA T-segment mimic
2021-03
[43]
논문
Pentapeptide repeat protein QnrB1 requires ATP hydrolysis to rejuvenate poisoned gyrase complexes
2021-02
[44]
논문
Mechanism of antitumor drug action: poisoning of mammalian DNA topoisomerase II on DNA by 4'-(9-acridinylamino)-methanesulfon-m-anisidide
1984-03
[45]
서적
DNA Topoisomerases: Topoisomerase-Targeting Drugs
Elsevier
1994
[46]
논문
Topoisomerase II Poisons: Converting Essential Enzymes into Molecular Scissors
2021-06
[47]
서적
Advances in Molecular Toxicology
Elsevier
2017-01
[48]
논문
Clinical applications of anticancer drugs targeted to topoisomerase II
1998-10
[49]
논문
The indenoisoquinoline noncamptothecin topoisomerase I inhibitors: update and perspectives
2009-05
[50]
논문
Protective effect of the bispiperazinedione ICRF-187 against doxorubicin-induced cardiac toxicity in women with advanced breast cancer
1988-09
[51]
논문
Dexrazoxane: a review of its use for cardioprotection during anthracycline chemotherapy
2005
[52]
논문
Emerging themes in neuronal activity-dependent gene expression
2018-03
[53]
논문
BRCA1-BARD1 regulates transcription through modulating topoisomerase IIβ
2021-10
[54]
논문
TOP2B's contributions to transcription
https://eprints.ncl.[...]
2021-12
[55]
논문
A topoisomerase II beta-mediated dsDNA break required for regulated transcription
2006-06
[56]
논문
Release of paused RNA polymerase II at specific loci favors DNA double-strand-break formation and promotes cancer translocations
https://www.openacce[...]
2019-06
[57]
논문
A nucleotide resolution map of Top2-linked DNA breaks in the yeast and human genome
2019-10
[58]
논문
Pausing sites of RNA polymerase II on actively transcribed genes are enriched in DNA double-stranded breaks
2020-03
[59]
논문
A topoisomerase IIbeta-mediated dsDNA break required for regulated transcription
2006-06
[60]
논문
A role of DNA-PK for the metabolic gene regulation in response to insulin
2009-03
[61]
논문
Transcriptional elongation requires DNA break-induced signalling
2015-12
[62]
논문
Glucocorticoid Recept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via the BRG1-Dependent Recruitment of TOP2β and Ku70/86
2015-08
[63]
논문
Profiling DNA break sites and transcriptional changes in response to contextual fear learning
2021
[64]
논문
Regulation of Promoter Proximal Pausing of RNA Polymerase II in Metazoans
2021-07
[65]
논문
Transient pausing by RNA polymerase II
2018-05
[66]
논문
Cellular roles of DNA topoisomerases: a molecular perspective
[67]
논문
All tangled up: how cells direct, manage and exploit topoisomerase function
[68]
논문
Phylogenomics of DNA topoisomerases: their origin and putative roles in the emergence of modern organisms
[69]
논문
Reverse gyrase--recent advances and current mechanistic understanding of positive DNA supercoiling
[70]
논문
PICH and TOP3A cooperate to induce positive DNA supercoiling
[71]
웹인용
"[네이버 지식백과] 국소이성질화효소 [topoisomerase] (생화학백과)"
https://terms.naver.[...]
2022-03-12
[72]
웹인용
이우주 의학사전, topoisomerase
https://terms.naver.[...]
2022-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