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세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세균은 세균, 진핵생물과 함께 지구상의 생물을 구성하는 3개의 도메인 중 하나로, 1977년 칼 우즈와 조지 E. 폭스에 의해 세균과 별도로 분류되었다. 고세균은 세포벽, 세포막 구성, 유전자 구조 등에서 세균 및 진핵생물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경우가 많다. 메탄 생성, 황 산화, 질소 고정 등 다양한 대사 활동을 하며, 생태계의 물질 순환에 기여한다. 생명공학, 하수 처리, 광물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새로운 항생 물질 개발의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에 관한 - 살아있는 화석
살아있는 화석은 화석 기록에서 오랜 기간 동안 형태적 변화가 거의 없이 나타나는 생물을 의미하며, 진화와 종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생물에 관한 - 적응
적응은 생물이 환경에 더 잘 생존하고 번식하도록 돕는 진화 과정으로, 형태, 행동, 생리적 특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전적 변화, 공진화, 의태 등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 고균 - 메탈로스파에라속
메탈로스파에라속은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고세균의 한 속으로, 16S rRNA와 53개 마커 단백질을 이용한 계통 분류가 이루어지며, 유해 금속 처리 활용 가능성이 연구된다. - 고균 - 스튀기올로부스속
스튀기올로부스속은 혐기성, 극호열성, 극산성 환경에 서식하는 고세균 속으로, 바이러스 감염 연구, 특히 루디바이러스와 CRISPR 항바이러스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연구를 통해 생명체의 방어 기작 연구에 기여하며, 과학 서적과 세균 분류 체계 연구에서도 다루어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고세균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류 정보 | |
영역 | 고세균 |
학명 | Archaea Woese, Kandler & Wheelis, 2024 |
하위 분류군 | 나노브델라티 메탄박테리아티 프로테오고세균 프로메테오고세균 테르모프로테아티 진핵생물 |
이전 명칭 | |
이전 명칭 | "고세균" Woese & Fox 1977 "고세균" Murray 1988 "멘도쿠테스" Gibbons & Murray 1978 "멘도시쿠테스" Murray 1984 "메타박테리아" Hori and Osawa 1979 "네오무라" Cavalier-Smith 2002 "고세균생물" Luketa 2012 "아르카리아" Forterre 2015 |
역사 및 특징 | |
최초 발견 시기 | 고시생대 (34억 2천만년 전 ~ 현재) |
특징 |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단세포 생물 |
참고 | 과거에는 '고세균' 또는 '메타박테리아'로 불렸음 세균과 진핵생물과는 다른 독자적인 생물 영역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인간 표면에서도 발견되며, 복잡한 미생물 생태계의 일부임 |
2. 역사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원핵생물은 단일 생물군으로 간주되었고, 생화학, 형태, 대사를 기반으로 분류되었다. 미생물학자들은 미생물을 세포벽 구조, 모양, 소비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하려 했다.[10] 1965년 에밀 주커캔들과 라이너스 폴링은[11] 원핵생물의 유전자 서열을 비교하여 계통 발생을 연구할 것을 제안했다. 이 계통 발생 접근 방식은 오늘날 주요 방법이다.[12]
1977년 칼 우즈와 조지 E. 폭스는 리보솜 RNA (rRNA) 유전자를 분석하여 고세균을 세균과 별개로 분류했다.[71] (당시에는 메탄 생성균만 알려짐). 이들은 고세균과 진정세균을 '원계'라 불렀으나, 다른 연구자들은 계 또는 하위계로 취급했다. 우즈와 폭스는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 없음, 두 가지 특이한 조효소, 16S 리보솜 RNA 유전자 시퀀싱 결과 등 고세균이 별도 "계통"이라는 증거를 제시했다. 이를 강조하기 위해 우즈, 오토 칸들러, 마크 휠리스는 세 가지 도메인 시스템으로 알려진 진핵생물, 세균, 고세균의 세 도메인으로 생물을 재분류했다.[13] 이는 우즈 혁명으로 알려져 있다.[14]
''archaea''는 고대 그리스어 ἀρχαῖαgrc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것들"을 의미한다.[15] 고세균의 첫 대표는 메탄 생성균이었고, 이들의 대사가 지구 원시 대기와 생물의 고대성을 반영한다고 추정되었지만, 새로운 서식지 연구로 더 많은 생물이 발견되었다. 할로필릭[16] 및 고온성 미생물[17] 또한 고세균에 포함되었다. 고세균은 온천, 염호 등 극한 서식지에만 존재하는 극한 환경 생물로 여겨졌지만, 20세기 말 극단적이지 않은 환경에서도 확인되었다. 오늘날 이들은 자연계 전체에 풍부하게 분포하는 크고 다양한 생물군으로 알려져 있다.[18] 이러한 인식은 중합 효소 연쇄 반응 (PCR)을 사용하여 환경 시료에서 원핵생물을 검출, 리보솜 유전자를 증폭하여 얻어졌다. 이를 통해 미생물 배양되지 않은 생물을 검출, 식별할 수 있다.[19][20]
2. 1. 발견
고세균(archaebacteria) 발견의 역사는 세균(eubacteria) 발견의 역사와 함께한다. 오늘날 알려진 틀이 완성되기 전에는 고도호염균, 메탄 생성균, 호열균 각각 별개의 틀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고세균이라는 틀이 만들어진 것은 1977년 이후이다.1674년 안토니 판 레벤후크가 미생물을 발견한 이후, 연구가 점차 진행되었다. 1868년에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메탄이 발생하는 것을 처음 확인했으며, 1880년대에는 고도 호염균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이전에도 늪 등에서 메탄이 발생하는 것, 염장 식품이나 염전이 붉게 물드는 현상이 알려져 있었지만, 미생물에 의한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았다.[454] 명나라의 본초강목에도 천일염 제조 과정에서 소금물이 붉게 물드는 현상이 기술되어 있다.[455]
20세기에 들어서 1922년에 고도 호염균의 분리가 시작되어 (이후 )로 명명되었다. 이듬해 로 옮겨졌으며, 이후에도 로 돌아가는 등 분류가 혼란스러웠다. 1974년에 드디어 할로박테리움과로 정리되었다. 한편, 메탄균의 존재는 알려져 있었지만, 산소를 극도로 싫어하는 생물이었기 때문에, 1936년에 겨우 배양에 성공했으며, 1947년에는 과 가 분리되었다.[456]
이미 1930년경에는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가 인식되었으며, 원핵생물계(1937년) 다음으로 오계설모네라계 (1969년)가 제창되었다.[457] 고도 호염균과 메탄균에는 분명히 세포핵이 없었으며, 이후 모네라계의 틀 안에 포함되게 되었다. 한편, 호열성 고세균은 조금 늦게, 1970년에 탄광의 폐석 더미에서 호열성 호산성균 이 발견되었다.[459] 이 생물은 세포벽이 없는 점에서 마이코플라스마의 일종으로 여겨졌다.[459] 1972년에는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호열성 호산성균 가 발견되었지만,[460] 이것들은 각각 조금 특이한 생물로 알려져 있었을 뿐이었다. 당시 메탄균, 고도 호염균, , 는 각각 다른 문이나 군으로 분류되었다.[461]
그러나, 1960년경부터 다른 생물과는 성질이 다르다는 보고가 나오기 시작했다. 오늘날 알려진 고세균의 특징 중 하나인 에테르형 지질은 1962년에 고도 호염균 ()에서 발견되었으며,[462] 1972년에는 호열균 도 역시 같은 지질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463][464] 펩티도글리칸 세포벽을 가지지 않는다는 보고도 1970년대에 몇 차례 나왔다.[465][445]

이들 생물을 다른 원핵생물과 구별한 최초의 인물은 일리노이 대학교의 칼 우즈이다. 1960년대, 서로 근연 관계에 있는 생물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나 염기 서열이 유사하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분자 시계나 중립 진화설[466]이 제창되었고, 생물의 계통 분석이 시작되려 하고 있었다. 원핵생물에서는 DNA-23S rRNA 분자 교잡법,[467][468] 5S rRNA 염기 서열 등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흐름 속에서, 우즈 등도 라이너스 폴링 등의 연구[470]에 영향을 받아, 1960년대 후반부터 16S rRNA를 사용하여 생물의 분류를 시작했다.[471] 그가 고안·사용한 방법은 16S rRNA를 몇 개의 작은 단편으로 자르고, 대응하는 서열과 일치하는 염기의 비율을 비교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카탈로그법이었다. 다양한 생물의 rRNA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1976년, 우즈는 동료인 울프로부터 메탄균의 콜로니를 제공받아, 그 rRNA가 다른 원핵생물과 크게 다르다는 결과를 얻었다.[473] 우즈 등은 더욱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 1977년, 이 결과를 바탕으로 원핵생물을 고세균계(. 메탄균)와 진정세균계(. 기타 세균)로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45]
이 시점에서 고세균계는 메탄균만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1978년에 메탄균에서 에테르형 지질이 발견[474][475]되었고, 고세균의 특징 중 하나로서, 에테르 지질을 가질 가능성이 나왔다. 이는 이미 에테르 지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고도 호염균 및 호열균의 일부도 고세균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같은 해, rRNA 계통 분석이 이루어졌고, 고도 호염균과 호열균의 일부도 고세균계에 속한다는 것이 지지되었다.[476] 그러나, 일반적인 세균과 형태가 거의 변하지 않는 생물을 염기 서열 데이터만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컸고, 고세균계라는 분류군이 받아들여지기까지 시간이 걸렸다. 분할에 반대하는 연구자도 있었다.[477][478]
1980년대 이후, 고세균 연구가 활발해졌고, 이 시기에 진정세균과 고세균의 차이를 보여주는 연구가 축적되었다. 그와 함께 고세균이라는 개념도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1982년, 그동안의 상식을 깨는 110℃에서 증식하는 고세균이 발견[479]되었고, 고세균 연구를 더욱 활성화시켰다. 1989년에는 공통 조상 이전에 중복된 유전자를 사용함으로써 고세균이 진정세균보다 진핵생물에 더 가깝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우즈는 이 설을 채택하여, 1990년에는 전체 생물을 진핵생물 도메인, 고세균 도메인, 세균 도메인의 3개의 그룹으로 대별하는 3도메인 설을 제창했다.[242]
1996년에는, 초고온성 메탄균 의 전체 게놈이 해독되었다.[482] 이는 고세균으로는 처음, 전체 생물 중에서도 네 번째 분석 사례이다.[484] 선행하여 해독되었던 인플루엔자균, , 출아 효모와의 비교를 통해, 대사계의 유전자는 세균과 약간 유사, 전사·복제·번역과 관련된 유전자는 진핵생물과 유사하지만, 세균과 유사한 유전자는 불과 11~17%밖에 발견되지 않았고, 절반 이상의 유전자는 어느 쪽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신규 유전자였다.[482] 이는 고세균이, 다른 생물과는 크게 다르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486] 이러한 결과를 받아, 오늘날 대부분의 미생물학자들은 고세균 도메인이라는 분류군을 받아들이고 있다.
2. 2. 정의
고세균은 지구상 모든 생물을 분류하는 세 가지 역 중 하나로, 세균, 진핵생물과 함께 생물 분류의 최상위 단계를 구성한다. 세균과 고세균은 원핵생물로 묶이기도 하는데, 이는 세포 내에 핵이 없는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자 계통 분석 결과, 고세균은 세균보다 진핵생물에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초기 지구에는 고세균과 세균만 존재했으며, 진핵생물은 고세균(특히 아스가르드 고세균)으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고세균과 세균은 세포막 및 세포벽 구성, DNA 복제 방식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고세균 역은 크게 유리 고세균, TACK군 (크렌 고세균, 타움 고세균 등), 아스가르드 고세균, DPANN군으로 나뉜다. 이들 중 타움 고세균을 제외한 대부분은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극호성 미생물이다.
고세균 개념의 등장20세기 대부분 동안 원핵생물은 단일 생물군으로 간주되었고, 생화학, 형태, 대사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1965년 에밀 주커캔들과 라이너스 폴링은 원핵생물의 유전자 서열을 비교하여 계통 발생을 연구할 것을 제안했다.[11]
1977년, 칼 우즈와 조지 E. 폭스는 리보솜 RNA (rRNA) 유전자를 분석하여 고세균을 세균과 별개의 계통으로 처음 분류했다.[71] 이들은 고세균과 진정세균을 '원계'라고 불렀으나, 이후 오토 칸들러, 마크 휠리스와 함께 세 개의 도메인(진핵생물, 세균, 고세균)으로 생물을 재분류하는 우즈 혁명을 일으켰다.[13]
명칭'고세균(archaea)'이라는 명칭은 고대 그리스어 'ἀρχαῖα'(고대의 것들)에서 유래했다.[15] 이는 최초로 발견된 고세균이 메탄 생성균이었고, 이들의 대사가 원시 지구 환경을 반영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445]
1990년 우즈의 3역설 발표 이후 영어권에서는 'Archaea'가 정착되었고, 한국에서는 '고세균' 또는 '아키아'라는 명칭이 주로 사용된다. 일부에서는 '시원균', '아르카에아(알케아)'[447] 등의 용어도 사용된다.
고세균 발견의 역사고세균 발견은 세균 발견과 함께 진행되었다. 1674년 안토니 판 레벤후크가 미생물을 발견한 이후, 1868년 미생물에 의한 메탄 발생이 확인되었고, 1880년대에는 고도호염균 연구가 시작되었다.
1922년 고도 호염균이 분리되었고, 1947년에는 메탄 생성균이 분리되었다.[456] 1970년에는 탄광 폐석 더미에서 호열성 호산성균인 이 발견되었고,[459] 1972년에는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가 발견되었다.[460]
1962년 고도 호염균에서 에테르형 지질이 발견되었고,[462] 1972년에는 도 같은 지질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463]
칼 우즈는 16S rRNA를 이용한 분자 시계 연구를 통해 1976년 메탄균의 rRNA가 다른 원핵생물과 크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473] 1977년 우즈는 이를 바탕으로 고세균계()를 제안했다.[445]
1980년대 이후 고세균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고세균과 진정세균의 차이가 밝혀졌고, 고세균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졌다. 1990년 우즈는 3도메인 설을 제창하여 생물 분류 체계를 혁신했다.[242]
1996년 초고온성 메탄균 의 전체 게놈이 해독되면서,[482] 고세균이 다른 생물과 뚜렷하게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3. 분류
고세균의 분류는 빠르게 변화하며, 여러 의견이 존재하는 분야이다. 현재 사용되는 분류 체계는 구조적 특징과 공통 조상을 기준으로 고세균을 분류한다.[21] 이러한 분류는 주로 리보솜 RNA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생물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분자 계통 발생학).[40]
현재까지 배양 및 연구가 잘 된 고세균은 대부분 유리고세균과 테르모프로테우스문(이전의 크레나르케오타)에 속한다. 그러나 2003년 발견된 나노고세균 에퀴탄스와 같이 특이한 종은 나노고세균이라는 별도의 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22] 또한, 코라르케오타와 같이 두 주요 문의 특징을 공유하면서 테르모프로테우스문과 가까운 호열성 고세균 그룹도 제안되었다.[23][24] 고세균 리치먼드 광산 호산성 나노생물(ARMAN)과 같이 최근 발견된 고세균들은 기존 그룹과 거리가 멀며,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진다.[25][26]
린네 | 헤켈 | 채튼 | 코플랜드 | 휘태커 | 워즈 | 캐빌리어스미스 | ||
---|---|---|---|---|---|---|---|---|
1735년 2계 분류 | 1866년 3계 분류 | 1925년 2계 분류 | 1938년 4계 분류 | 1969년 5계 분류 | 1977년 6계 분류 | 1990년 3역 분류 | 1993년 8계 분류 | 1998년 6계 분류 |
(다루지 않음) | 원생생물 (Protista) | 원핵생물 (Prokaryota) | 모네라 (Monera) | 모네라 (Monera) | 진정세균 (Eubacteria) | 세균 (Bacteria) | 진정세균 (Eubacteria) | 세균 (bacteria) |
고세균 (Archaeabacteria) | 고세균 (Archaea) | 고세균 (Archaeabacteria) | ||||||
진핵생물 (Eukaryo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진핵생물 (Eukarya) | 고동물 (Archezoa) | 원생동물 (Protozoa) | ||
원생동물 (Protozoa) | ||||||||
유색조식물 (Chromista) | 유색조식물 (Chromista) | |||||||
식물 (Vegetabilia)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2011년에는 니트로소스파에로타(타움고세균), 아이가르케오타, 테르모프로테우스문(크레나르케오타), 코라르케오타를 포함하는 TACK 상문이 진핵생물 기원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7] 2017년에는 아스가르드 상문이 진핵생물과 더 가깝고 TACK의 자매 그룹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8]
2013년에는 DPANN군 상문이 제안되었으나, 다른 계통 발생 분석에서는 DPANN이 단일 계통이 아니며, 긴 가지 끌어당김(LBA) 현상으로 인해 유리고세균에 속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29][2]
고세균은 무성 생식으로 인해 에른스트 마이어의 종 정의를 적용하기 어렵다.[36] 또한, 고세균은 계통 간 수평 유전자 전달이 활발하여 종 분류가 더욱 복잡하다.[37][38][39] 고세균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정보는 아직 부족하여 전체 종 수를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다.[40] 현재 18~23개의 문이 추정되지만, 배양 및 연구된 대표 종을 가진 문은 8개뿐이다.[41]
3. 1. 계통 개관
보라: 세균, 빨강: 고균, 갈색: 진핵생물]]다음은 2006년 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가 제안한 생명의 나무 계통 분류이다.[489]
다음은 고세균의 계통 분류이다.[490][491][492]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원핵생물은 단일 생물군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들의 생화학, 형태, 대사를 기반으로 분류되었다. 미생물학자들은 미생물을 세포벽의 구조, 모양, 소비하는 물질을 기준으로 분류하려고 시도했다.[10] 1965년, 에밀 주커캔들과 라이너스 폴링[11]은 서로 다른 원핵생물의 유전자 서열을 사용하여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파악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계통 발생 접근 방식은 오늘날 사용되는 주요 방법이다.[12]
고세균은 1977년 칼 우즈와 조지 E. 폭스에 의해 처음으로 세균과 별도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그들의 리보솜 RNA (rRNA) 유전자를 기반으로 했다.[71] (당시에는 메탄 생성균만 알려져 있었다). 그들은 이들을 고세균과 진정세균의 ''원계''라고 불렀지만, 다른 연구자들은 이들을 계 또는 하위계로 취급했다. 우즈와 폭스는 고세균이 별도의 "계통"이라는 최초의 증거를 제시했다.
1.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이 없음
2. 두 가지 특이한 조효소
3. 16S 리보솜 RNA 유전자 시퀀싱 결과
이러한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우즈, 오토 칸들러, 마크 휠리스는 나중에 생물을 세 가지 도메인 시스템으로 알려진 세 개의 자연적인 도메인으로 재분류할 것을 제안했다: 진핵생물, 세균, 고세균.[13] 이는 현재 우즈 혁명으로 알려져 있다.[14]
''archaea''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ἀρχαῖαgrc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것들"을 의미한다.[15] 고세균 도메인의 첫 번째 대표자는 메탄 생성균이었고, 그들의 대사가 지구의 원시 대기와 생물의 고대성을 반영한다고 추정되었지만, 새로운 서식지를 연구하면서 더 많은 생물이 발견되었다. 극단적인 할로필릭[16] 및 고온성 미생물[17] 또한 고세균에 포함되었다. 오랫동안 고세균은 온천과 염호와 같은 극단적인 서식지에서만 존재하는 극한 환경 생물로 여겨졌지만, 20세기 말까지 고세균은 극단적이지 않은 환경에서도 확인되었다. 오늘날, 그들은 자연계 전체에 풍부하게 분포하는 크고 다양한 생물군으로 알려져 있다.[18] 고세균의 중요성과 보편성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인식은 중합 효소 연쇄 반응 (PCR)을 사용하여 환경 시료 (예: 물 또는 토양)에서 원핵생물을 검출하여 리보솜 유전자를 증폭함으로써 얻어졌다. 이를 통해 실험실에서 미생물 배양되지 않은 생물을 검출하고 식별할 수 있다.[19][20]
고세균, 그리고 일반적으로 원핵생물의 분류는 빠르게 변화하고 논쟁이 많은 분야이다. 현재의 분류 체계는 구조적 특징과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고세균 그룹을 조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1] 이러한 분류는 생물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리보솜 RNA 유전자의 서열 사용에 크게 의존한다(분자 계통 발생학).[40] 배양 가능하고 잘 연구된 대부분의 고세균 종은 두 개의 주요 문인 "유리 고세균"과 테르모프로테우스문(이전의 크레나르케오타)에 속한다. 2003년에 발견되어 자체 문인 "나노고세균"으로 지정된 특이한 종인 ''나노고세균 에퀴탄스''와 같은 다른 그룹이 잠정적으로 만들어졌다.[22] 새로운 문 "코라르케오타"도 제안되었는데, 두 주요 문의 특징을 공유하지만 테르모프로테우스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소수의 특이한 호열성 종이 포함되어 있다.[23][24] 2006년에 발견된 고세균 리치먼드 광산 호산성 나노생물 (ARMAN, 미크로고세균, 파르브고세균 포함)과 같이 다른 감지된 고세균 종은 이러한 그룹과 거리가 멀며, 알려진 가장 작은 유기체 중 일부이다.[25][26]
2011년에는 타움고세균(현재 니트로소스파에로타), "아이가르케오타", 크레나르케오타(현재 테르모프로테우스문), "코라르케오타"를 포함하는 상문 – TACK – 이 진핵생물의 기원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되었다.[27] 2017년에는 새롭게 발견되고 이름이 붙여진 아스가르드 상문이 원래의 진핵생물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TACK의 자매 그룹이라고 제안되었다.[28]
2013년에는 "나노고세균", "나노할로고세균", 고세균 리치먼드 광산 호산성 나노생물 (ARMAN, "미크로고세균" 및 "파르브고세균" 포함) 및 기타 유사한 고세균을 그룹화하기 위해 상문 DPANN이 제안되었다. 이 고세균 상문은 최소 10개의 다른 계통을 포함하며 극도로 작은 세포와 게놈 크기 및 제한된 대사 능력을 가진 유기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DPANN은 공생 상호 작용에 의무적으로 의존하는 구성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심지어 새로운 기생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계통 발생학적 분석 결과 DPANN이 단계통군을 형성하지 않으며, 겉보기 그룹화는 긴 가지 끌어당김 (LBA)에 의해 발생하여 이러한 모든 계통이 "유리 고세균"에 속한다는 것을 시사했다.[29][2]
Tom A. Williams 외 2017,[30] Castelle & Banfield (2018)[31] 및 GTDB 릴리스 09-RS220 (2024년 4월 24일):[32][33][34]
고세균의 종 분류 또한 논란의 여지가 있다. 에른스트 마이어의 종 정의, 즉 상호 번식하는 생물체의 생식적 격리된 집단은 고세균이 무성생식만을 하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는다.[36]
고세균은 계통 간에 높은 수준의 수평 유전자 전달을 보인다. 일부 연구자들은 ''Ferroplasma'' 속에서와 같이 매우 유사한 유전체를 가지고, 관련성이 적은 유전체를 가진 세포로의 유전자 전달이 드문 개체들을 종과 유사한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37] 반면에, ''Halorubrum''에 대한 연구에서는 관련성이 적은 집단과의 유전자 전달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이 기준의 적용 가능성을 제한했다.[38] 일부 연구자들은 이러한 종 지명이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39]
고세균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현재 지식은 단편적이어서, 전체 종 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다.[40] 문(phyla)의 수는 18개에서 23개 사이로 추정되며, 이 중 직접 배양하고 연구된 대표 종을 가진 문은 8개에 불과하다. 이러한 가설상의 많은 그룹들은 단일 rRNA 염기서열로부터 알려져 있어, 다양성의 수준은 여전히 불분명하다.[41] 이러한 상황은 세균에서도 나타나며, 배양되지 않은 많은 미생물이 특성화에 유사한 문제를 보인다.[42]
4. 형태 및 구조
고세균은 세균과 마찬가지로 크기가 1-10 μm이며, 일반적으로 단일 환형 염색체를 가진다.[159] 하지만, 유리아키오타는 염색체의 사본을 여러 개 갖는 경우도 있다.[151] 2002년 기준으로 가장 큰 고세균 게놈은 ''메타노사르시나 아세티보란스''의 5,751,492 염기쌍이었고,[152] 가장 작은 것은 ''나노고세균 에퀴탄스''의 490,885 염기쌍으로, 단 537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만 포함한다.[153] 플라스미드라는 작은 DNA 조각은 세균 접합과 유사하게 세포 간 물리적 접촉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154][155]
고세균 게놈이 암호화하는 단백질 중 최대 15%는 고세균에 고유하며, 이들 대부분은 기능이 알려져 있지 않다.[157] 확인된 기능을 가진 고유 단백질 대부분은 유리아키오타에 속하며 메테인 생성에 관여한다.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이 공유하는 단백질은 전사, 번역, 뉴클레오타이드 대사 등 세포 기능의 공통 핵심을 형성한다.[158]
고세균의 전사는 진핵생물과 유사하며, 고세균 RNA 중합효소는 진핵생물의 RNA 중합효소 II와 매우 가깝다.[159] 반면, 고세균 번역은 세균과 진핵생물의 특징을 모두 보인다.[160] 고세균은 하나의 RNA 중합효소만 가지지만, 구조와 기능은 진핵생물의 RNA 중합효소 II와 유사하며, 유사한 단백질 조립체(일반 전사 인자)가 RNA 중합효소의 프로모터 결합을 지시한다.[161] 그러나 다른 고세균 전사 인자는 세균과 더 가깝다.[162] 전사 후 변형은 진핵생물보다 간단하며, 대부분의 고세균 유전자는 인트론이 없지만, 전달 RNA와 리보솜 RNA 유전자에는 많은 인트론이 존재한다.[163] 일부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에도 인트론이 있을 수 있다.[164][165]
고세균은 기본적으로 세균처럼 이분법으로 증식한다. 출아로 증식하는 테르모프로테우스목 등을 제외하면, 분열 후 동일한 클론 2개체가 생성된다. 포자나 협막 형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최적 조건에서 증식 속도는 종에 따라 약 30분에서 수일까지 다양하다.
세균의 접합과 유사하게, ''Haloferax volcanii''는 세포 간 가교 구조를 통해 게놈 DNA를 이동시킨다.[349] 설포로부스목은 UV 조사나 약제 노출에 의한 DNA 손상 시 세포 응집을 유도하고 염색체 재조합을 일으킨다.[350][351] ''Ferroplasma acidarmanus''는 세포 융합을 통해 격렬한 게놈 재조합을 보인다.[353]
세균 | 고세균 | 진핵생물[424] | ||
---|---|---|---|---|
세 포 구 조 | 크기 | 1-10 μm | (세균과 동일) | 5-100 μm |
세포 이동 | 세균형 편모, 활주[425] | 고세균형 편모[426] | 편모 (튜불린), 형태 변화 | |
세포 분열 | Z 링 | ESCRT 복합체[429], Z 링[430], 출아[431] | 액틴 미오신 수축 환 | |
핵 산 / 단 백 질 관 계 | DNA | 환상[436] | (세균과 동일) | 직선상 |
DNA 결합 단백질 | HU 단백질 | 고세균형 히스톤[437] | 히스톤 | |
게놈 크기 | 작음 | (세균과 동일) | 큼 | |
프로모터 | 프리브노 박스 | (진핵생물과 동일) | TATA 박스 | |
mRNA | 수식 없음 | (세균과 동일) | 캡 구조 부가, 스플라이소솜형 인트론 | |
리보솜 | 50S+30S 스트렙토마이신 감수성 | (세균과 동일) (진핵생물과 동일) | 60S+40S 디프테리아 독소 감수성 |
4. 1. 세포벽
세균은 펩티도글리칸 층을 세포벽으로 갖는 반면, 고세균은 슈도펩티도글리칸 층을 갖는다.[21]4. 2. 세포막
고세균과 세균을 가르는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세포막의 구성이다. 고세균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의 구조에 있어서 세균과 다음의 4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글리세롤의 방향성(L-form)
- 에테르 결합
- 이소프레노이드 사슬
- 가지가 있다는 점
일반적으로 세균과 막 구성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항생제로도 파괴되지 않는다.[71]
4. 3. 편모
고세균의 편모는 기저부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세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관이다. 직경 10-15nm, 전체 길이 10-15μm이다. 세균의 편모와 비슷하지만, 자세히 보면 약간 가늘고, 구성하는 단백질에도 상동성은 없다. 오히려 고세균 자신이나 그람 음성 세균이 가진 IV형 선모와 공통점이 많다. 한편, 세균의 편모는 III형 분비 장치와 공통점이 많아, 양자는 다른 기원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편모의 섬유 부분은 근본에 유닛이 추가되는 형태로 신장한다. 세균은 편모의 구동력으로 수소 이온 농도차를 이용하지만, 고세균은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가수분해에 의해 구동된다. 에너지 변환 효율은 세균이 거의 100%의 고효율을 달성하는 데 비해, 고세균은 6~10% 정도로 현저히 낮다.[301][302][303][304]5. 생태
고세균은 극호성 미생물뿐만 아니라, 늪, 습지, 하수, 대양, 동물의 장관, 토양 등 온화한 환경에도 서식하며, 전 세계 생태계의 주요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18] 특히, 해양 미생물 세포의 약 20%를 차지할 정도로 널리 퍼져 있다.[191]
과거 오랫동안 온천과 염호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만 존재하는 극한 환경 생물로 여겨졌지만, 20세기 말부터는 극단적이지 않은 환경에서도 확인되었다. 오늘날에는 자연계 전체에 풍부하게 분포하는 크고 다양한 생물군으로 알려져 있다.[18]
최근 여러 연구를 통해 고세균이 중온성, 온도호성 환경뿐만 아니라, 극지의 바다, 호수 등 저온 환경에서도 높은 빈도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77] 일반적인 해양에서도 세포 수당 미생물의 약 20%를 고세균이 차지하며,[278] 습원이나 하수, 해양, 토양 등에도 고세균이 존재한다.[279]
타움고세균[280]은 2000년 이후 급속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그룹이다. 2005년에 니트로소푸밀루스 마리티무스 순수 배양에 처음 성공했고,[281] 2014년에는 ''Nitrososphaera viennensis''가 기재되었다.[282] 이들은 수족관 필터, 해수, 밭의 흙과 같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분리되었으며, 생육 온도도 25~42℃로 낮고, pH, 염 농도 등 다른 생육 조건도 극단적이지 않다.[282][283][284] 타움고세균 이외에도 배양에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환경 DNA 샘플로 다수 존재하는 Marine group II와 같은 그룹이 해양의 유광층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5]
5. 1. 서식 환경
고세균은 광범위한 서식지에 존재하며, 전 세계 생태계의 주요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18] 해양 미생물 세포의 약 20%를 차지할 수 있다.[191] 처음 발견된 고세균은 극호성 미생물이었다.[136] 실제로 일부 고세균은 종종 100°C 이상과 같이 높은 온도에서 생존하며, 이는 간헐천, 열수 분출공, 유정에서 발견된다. 다른 일반적인 서식지로는 매우 추운 환경과 고도로 염분이 많거나, 산성, 또는 알칼리성 물이 있지만, 고세균은 늪과 습지, 하수, 대양, 동물의 장관, 그리고 토양에서 온화한 조건에서 자라는 중온성 미생물도 포함한다.[7][18] PGPR과 유사하게, 고세균도 식물 성장을 촉진하는 공급원으로 간주된다.[7]극호성 고세균은 네 가지 주요 생리학적 그룹의 구성원이다. 이들은 할로필 (호염성), 온도호성 미생물 (thermophiles), 알칼리호성 미생물 (alkaliphiles), 그리고 산호성 미생물 (acidophiles)이다.[195] 이 그룹들은 포괄적이거나 문(phylum) 특이적이지 않으며, 일부 고세균이 여러 그룹에 속하기 때문에 상호 배타적이지도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분류를 위한 유용한 출발점이다.[192]
Halobacterium 속을 포함한 호염성 미생물은 염호와 같은 극도로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살며, 염분 농도가 20–25%보다 높은 곳에서는 세균보다 수가 많다.[136] 온도호성 미생물은 45°C 이상의 온도에서, 온천과 같은 곳에서 가장 잘 자란다. '고온성' 고세균은 80°C 이상의 온도에서 최적으로 자란다.[193] 고세균 ''Methanopyrus kandleri'' 균주 116은 심지어 122°C에서 번식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생물체에서 기록된 가장 높은 온도이다.[194]
다른 고세균은 매우 산성 또는 알칼리성 조건에서 존재한다.[195] 예를 들어, 가장 극단적인 고세균 산호성 미생물 중 하나는 ''Picrophilus torridus''이며, 이 미생물은 pH 0에서 자라는데, 이는 1.2 몰 황산에서 번성하는 것과 같다.[196]
이러한 극한 환경에 대한 저항성은 고세균이 외계 생명체의 가능한 특성에 대한 추측의 초점이 되게 했다.[197] 일부 극호성 서식지는 화성의 서식지와 다르지 않으며,[198] 운석을 통해 생존 가능한 미생물이 행성 간에 전달될 수 있다는 제안으로 이어졌다.[199]
최근 여러 연구에서 고세균이 중온성 및 온도호성 환경뿐만 아니라 저온에서도 존재하며 때로는 높은 수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고세균은 남극해와 같은 차가운 해양 환경에서 흔하다.[200] 더욱 중요한 것은 고세균이 플랑크톤 군집 (피코플랑크톤의 일부) 중 극한 환경이 아닌 전 세계 해양에서 대량으로 발견된다는 것이다.[201] 비록 이러한 고세균이 극도로 높은 수(미생물 생물량의 최대 40%)로 존재할 수 있지만, 이러한 종 중 거의 아무도 순수 배양에서 분리되어 연구되지 않았다.[202] 결과적으로, 해양 생태계에서 고세균의 역할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초보적인 수준이며, 따라서 전 세계 생지화학 순환에 대한 그들의 완전한 영향은 대부분 탐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203] 일부 해양 Thermoproteota는 질산화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유기체가 해양 질소 순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148] 이러한 해양 Thermoproteota는 다른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204]
또한, 고세균은 해저를 덮고 있는 퇴적물에서도 대량으로 발견되며, 이러한 유기체는 해양 바닥에서 1미터 이상 깊이에 있는 살아있는 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05][206] 모든 해양 표면 퇴적물(수심 1,000~10,000m)에서 바이러스 감염의 영향이 세균보다 고세균에 더 높으며, 고세균의 바이러스 유도 용해는 총 미생물 생물량 살해의 최대 3분의 1을 차지하여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0.3~0.5 기가톤의 탄소가 방출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207]
현재, 극한 환경이나 혐기 환경뿐만 아니라, 보다 온화한 환경에도 (메탄균 이외의) 고세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극지의 바다, 호수 등 차가운 환경에서 고세균의 유전자가 고빈도로 검출되고 있다.[277] 일반적인 해양에서도 세포 수당 미생물의 약 20%를 고세균이 차지한다고 한다.[278] 습원이나 하수, 해양, 토양 등에도 고세균이 존재한다.[279] 이러한 고세균의 대부분은 메타게놈, 지질 분석과 같은 수법으로 그 생태가 밝혀지고 있다.
특히 타움고세균[280]은 2000년 이후 급속하게 연구가 진전된 그룹이다. 2005년에 처음으로 니트로소푸밀루스 마리티무스 순수 배양에 성공했고,[281] 2014년에는 ''Nitrososphaera viennensis''가 기재되었다[282] (2018년도 기재종의 수는 6종). 분리원은 수족관의 필터나 해수, 밭의 흙과 같은 "일반적인" 환경으로, 생육 온도도 25~42℃로 낮고, pH, 염 농도 등 다른 생육 파라미터도 극단적인 숫자가 아니다.[282][283][284] 타움고세균 이외의 계통은 배양에 성공하지 못했지만, 환경 DNA 샘플로서 다수 존재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해양의 유광층에 많은 Marine group II라고 불리는 그룹이 알려져 있다.[285]
5. 2. 물질 순환
메테인 세균은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를 메테인(CH4)으로 전환하는 메테인 생성을 한다. 이들은 무산소성 진흙이나 강, 바다 바닥의 침전물에 주로 서식하며, 구강이나 대장에 사는 종도 있다.[488] 메테인 생성균은 절대 혐기성균으로, CO2와 H2가 있는 최소배지에서 배양 가능하다. 대부분 중온성, 비호염성이지만, 극한환경 미생물 종은 고온, 저온, 고염 환경에서 자란다.고세균은 탄소, 질소, 황과 같은 원소를 다양한 서식지에서 재활용한다.[208] 질소 순환의 여러 단계에 관여하는데, 질산염 기반 호흡, 탈질화 작용으로 질소를 제거하거나, 질산염 동화, 질소 고정 작용으로 질소를 도입한다.[209][210] 암모니아 산화 반응에도 관여하는데, 특히 바다에서 중요하다.[149][211] 고세균은 토양에서 암모니아 산화에 중요하며, 아질산염을 생성하고, 다른 미생물은 이를 질산염으로 산화시킨다. 식물 등은 이 질산염을 소비한다.[212]
황 순환에서 황 화합물 산화로 성장하는 고세균은 황을 암석에서 방출해 다른 유기체가 사용하게 한다. 그러나 ''술폴로부스'' 같은 고세균은 황산을 생성해 산성 광산 배수 등 환경 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213] 탄소 순환에서 메테인 생성 고세균은 수소를 제거하고, 퇴적물, 습지, 하수 처리 시설 등 혐기성 환경에서 유기물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14]
5. 3. 다른 생물과의 관계
메테인 세균은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를 메테인(CH4)으로 전환하는 메테인생성을 할 수 있다. 이들은 무산소성 진흙이나 강, 바다 바닥의 침전물에 주로 서식하지만, 구강이나 대장에 사는 종도 존재한다.[488] 메테인생성세균은 생리학적으로 절대 혐기성균이기에 배양을 위해서는 절대 혐기성 기술이 필요하다. 일부 종은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로 된 최소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메테인생성세균은 중온성과 비호염성이지만, 극한환경 미생물에 속하는 종들은 매우 높거나 낮은 온도, 혹은 염 농도가 매우 높은 곳에서 최적으로 성장한다.고세균과 다른 유기체 사이의 잘 알려진 상호 작용은 상리 공생 또는 편리 공생이다. 확실하게 알려진 고세균 병원체나 기생충은 없지만,[215][216] 일부 메테인 생성 고세균이 구강 감염과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217][218] ''나노고세균 에퀴탄스(Nanoarchaeum equitans)''는 다른 고세균 종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종은 크레나이오타 이그니코쿠스 호스피탈리스(Ignicoccus hospitalis)의 세포 내에서만 생존 및 번식이 가능하며, 숙주에게는 아무런 이득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53][219]
공생의 예로는 반추 동물이나 흰개미와 같이 셀룰로스를 소화하는 동물의 소화관에서 원생생물과 메테인 생성 고세균 간의 상호 작용을 들 수 있다.[220] 혐기성 환경에서 원생동물은 식물 셀룰로스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데, 이 과정에서 수소가 부산물로 방출된다. 하지만 높은 수소 농도는 에너지 생산을 감소시킨다. 이때 메테인 생성 고세균이 수소를 메테인으로 전환함으로써 원생동물은 더 많은 에너지를 얻게 된다.[221]

혐기성 원생생물인 ''Plagiopyla frontata'', ''Trimyema'', ''Heterometopus'', ''Metopus contortus'' 등에서는 고세균이 원생동물 내부에 서식하며 수소체에서 생성된 수소를 소비한다.[222][223][224][225][226] 또한, 해양 고세균 ''Cenarchaeum symbiosum''은 해면동물 ''Axinella mexicana''의 내생 공생체이다.[227]
일부 고세균은 편리 공생 관계를 가지는데, 다른 유기체에게 도움을 주지도, 해를 끼치지도 않으면서 관계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예를 들어, 메테인 생성 고세균인 ''Methanobrevibacter smithii''는 인간 상재균에서 가장 흔한 고세균으로, 인간 장내 원핵생물의 약 10%를 차지한다.[228] 흰개미와 인간의 경우, 이러한 메테인 생성 고세균은 소화를 돕기 위해 장내 다른 미생물과 상호 작용하는 상리 공생 관계일 수 있다.[229] 이 외에도 고세균 군집은 산호 표면[230] 및 식물 뿌리를 둘러싼 토양 영역 (근권) 등 다양한 유기체와 연관되어 있다.[231][232]

고세균은 병원체라는 역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병원체와 대사적 연관성과 진화적 역사를 보여주는, 더 흔한 병원체인 ''대장균''과 유사한 유전체를 종종 가지고 있다.[233] 다만, 고세균을 더 구체적인 종으로 분류하는 것이 부족하여 임상 연구에서 일관성 없이 검출되어 왔다.[234]
6. 인간과의 관계
고세균은 극한 환경에 적응하여 생존하며, 인간에게 유용한 다양한 효소를 생산하고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된다. 특히 고세균에서 추출한 효소는 고온, 산성, 염기성 등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기능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235][236]
예를 들어, ''푸르푸리오수스 화구균''(Pyrococcus furiosus)에서 추출한 Pfu DNA 중합효소와 같은 열안정성 DNA 중합효소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통해 DNA 클로닝을 빠르고 쉽게 만들어 분자 생물학 연구에 혁명을 가져왔다.[237] 100°C 이상의 고온에서 기능하는 ''화구균''(Pyrococcus) 속의 아밀레이스, 갈락토시다제, 풀루라나제는 저유당 우유 및 유청 생산과 같은 고온 식품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237]
메탄 생성 고세균은 하수 처리 과정에서 혐기성 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미생물 군집의 일부로 중요하다.[239] 호산성 고세균은 금, 코발트, 구리 등 광석에서 금속을 추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240]
고세균은 세균의 항생 물질과는 구조가 다른 새로운 종류의 항생 물질을 가질 가능성이 있어, 새로운 선택 표지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다.[241]
6. 1. 이용
고세균은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특성 덕분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생명공학:
- 바이오메탄 및 바이오수소 생산: 분출공 주변에서 발견되는 고세균은 메탄, 수소와 같은 대체 에너지를 생산하는 능력이 있어,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389]
- 극한효소 생산: 고세균은 고온, 고압 등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단백질 구조를 유지하는 효소를 생산한다. 이러한 극한효소는 산업 신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 식품 가공:
- 고온 식품 가공: 100°C 이상의 고온에서 기능하는 ''화구균''(Pyrococcus) 속의 아밀레이스, 갈락토시다제, 풀루라나제는 저유당 우유 및 유청 생산과 같은 고온 식품 가공에 사용된다.[237]
- 발효 식품: 김치[384], 어장[385][386]에서 ''할로박테리움''이나 ''할로코커스''와 같은 고도 호염균이 발견되어 발효에 관여한다.
- 환경 정화:
- 하수 처리: 메탄 생성 고세균은 혐기성 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성하여 하수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39]
- 유류 오염 정화: hyperthermophiles는 유류 환경에서 황화수소를 생성하여 석유의 질을 저하시키지만, 이를 역이용하여 유류 오염을 정화하는 기술 개발이 가능하다.
- 광물 처리:
- 금속 추출: 호산성 고세균은 금, 코발트, 구리 등 광석에서 금속을 추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40]
- 분자 생물학:
-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푸르푸리오수스 화구균''(Pyrococcus furiosus)에서 추출한 Pfu DNA 중합효소와 같은 열안정성 DNA 중합효소는 PCR 반응에 사용되어 분자 생물학 연구에 기여한다.[237]
- 단백질 구조 연구: 극한 환경에 서식하는 고세균의 효소는 구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세균이나 진핵생물 효소의 구조 연구에 활용된다.[238]
- 기타:
- 항생 물질 개발: 고세균은 새로운 종류의 항생 물질을 생산할 가능성이 있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241]
6. 2. 질병
고세균은 병원체라는 역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병원체와 대사적 연관성과 진화적 역사를 보여주는, 더 흔한 병원체인 대장균과 유사한 유전체를 종종 가지고 있다.[233] 고세균을 더 구체적인 종으로 분류하는 것이 부족하여 임상 연구에서 일관성 없이 검출되어 왔다.[234]참조
[1]
논문
Valid publication of names of two domains and seven kingdoms of prokaryotes
2024-01-22
[2]
논문
Rooting the domain archaea by phylogenomic analysis supports the foundation of the new kingdom Proteoarchaeota
2014-12
[3]
간행물
NCBI taxonomy page on Archaea
https://www.ncbi.nlm[...]
[4]
논문
Time for a change
2006-05
[5]
논문
Walsby's square bacterium: fine structure of an orthogonal procaryote
1981-10
[6]
웹사이트
Archaea Basic Biology
https://basicbiology[...]
2018-03
[7]
논문
An Archaic Approach to a Modern Issue: Endophytic Archaea for Sustainable Agriculture
2022-09
[8]
논문
Archaea associated with human surfaces: not to be underestimated
2015-09
[9]
논문
Archaea Are Interactive Components of Complex Microbiomes
2018-01
[10]
논문
The bacterial species dilemma and the genomic-phylogenetic species concept
2006-11
[11]
논문
Molecules as documents of evolutionary history
1965-03
[12]
논문
A standardized bacterial taxonomy based on genome phylogeny substantially revises the tree of life
2018-11
[13]
논문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1990-06
[14]
서적
The new foundations of evolution: on the tree of lif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Archaea
http://www.merriam-w[...]
2008
[16]
논문
Are extreme halophiles actually "bacteria"?
1978-05
[17]
논문
Hyperthermophiles in the history of life
1996
[18]
논문
Everything in moderation: archaea as 'non-extremophiles'
1998-12
[19]
논문
Molecular techniques for determining microbial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natural environments
2000
[20]
논문
The maturing of microbial ecology
http://www.im.microb[...]
2006-09
[21]
논문
Stepping stones towards a new prokaryotic taxonomy
2006-11
[22]
논문
A new phylum of Archaea represented by a nanosized hyperthermophilic symbiont
2002-05
[23]
논문
Perspectives on archaeal diversity, thermophily and monophyly from environmental rRNA sequences
1996-08
[24]
논문
A korarchaeal genome reveals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the Archaea
2008-06
[25]
논문
Lineages of acidophilic archaea revealed by community genomic analysis
2006-12
[26]
논문
Enigmatic, ultrasmall, uncultivated Archaea
2010-05
[27]
논문
The archaeal 'TACK' superphylum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2011-12
[28]
논문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https://escholarship[...]
2017-01
[29]
뉴스
'Genomic diversity, lifestyles and evolutionary origins of DPANN archaea'
https://academic.oup[...]
Nature
2019
[30]
논문
Integrative modeling of gene and genome evolution roots the archaeal tree of life
2017-06
[31]
논문
Major New Microbial Groups Expand Diversity and Alter our Understanding of the Tree of Life
[32]
웹사이트
GTDB release 09-RS220
https://gtdb.ecogeno[...]
2024-05-10
[33]
웹사이트
ar53_r220.sp_label
https://data.gtdb.ec[...]
2024-05-10
[34]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4-05-10
[35]
논문
Asgard archaea capable of anaerobic hydrocarbon cycling
2019-04
[36]
논문
Ernst Mayr and the modern concept of species
2005-05
[37]
논문
Genetic exchange across a species boundary in the archaeal genus ferroplasma
2007-09
[38]
논문
Searching for species in haloarchaea
2007-08
[39]
논문
The net of life: reconstructing the microbial phylogenetic network
2005-07
[40]
논문
Phylogenetic diversity and ecology of environmental Archaea
2005-12
[41]
논문
Exploring prokaryotic diversity in the genomic era
2002
[42]
논문
The uncultured microbial majority
http://pdfs.semantic[...]
2003
[43]
논문
Valid publication of the names of forty-two phyla of prokaryotes
[44]
논문
Valid publication of four additional phylum names
2023-09-11
[45]
웹사이트
Phylum ''Promethearchaeota''
https://lpsn.dsmz.de[...]
2024-11-01
[46]
논문
Promethearchaeum syntrophicum gen. nov., sp. nov., an anaerobic, obligately syntrophic archaeon, the first isolate of the lineage 'Asgard' archaea, and proposal of the new archaeal phylum Promethearchaeota phyl. nov. and kingdom Promethearchaeati regn. nov.
Society for General Microbiology
2024-07-05
[47]
웹사이트
Age of the Earth
http://pubs.usgs.gov[...]
U.S. Geological Survey
1997
[48]
논문
The age of the Earth in the twentieth century: a problem (mostly) solved
2001
[49]
논문
Lead isotope study of basic-ultrabasic layered complexes: Speculations about the age of the earth and primitive mantle characteristics
1980
[50]
논문
The Beginnings of Life on Earth
http://www.americans[...]
1995-10
[51]
웹사이트
3.5 billion year old organic deposits show signs of life
https://arstechnica.[...]
2012-09-04
[52]
논문
Evidence for biogenic graphite in early Archaean Isua metasedimentary rocks
2013-12-08
[53]
뉴스
Oldest fossil found: Meet your microbial mom
http://apnews.excite[...]
2013-11-13
[54]
논문
Microbially induced sedimentary structures recording an ancient ecosystem in the ca. 3.48 billion-year-old Dresser Formation, Pilbara, Western Australia
2013-12
[55]
뉴스
Hints of life on what was thought to be desolate early Earth
http://apnews.excite[...]
"[[Mindspark Interactive Network]]"
2015-10-19
[56]
논문
Potentially biogenic carbon preserved in a 4.1 billion-year-old zircon
http://www.pnas.org/[...]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5-11
[57]
논문
Fossil evidence of Archaean life
2006-06
[58]
논문
Polar lipids of archaebacteria in sediments and petroleums
1982-07
[59]
논문
Archean molecular fossils and the early rise of eukaryotes
1999-08
[60]
논문
Reassessing the first appearance of eukaryotes and cyanobacteria
2008-10
[61]
논문
Traces of Archaebacteria in ancient sediments
1986
[62]
논문
Reductive evolution of architectural repertoires in proteomes and the birth of the tripartite world
2007-11
[63]
논문
Are archaebacteria merely derived 'prokaryotes'?
1981-01
[64]
논문
The universal ancestor
1998-06
[65]
서적
Thermophiles: the keys to molecular evolution and the origin of life.
Taylor and Francis
1998-08
[66]
논문
The origin and evolution of Archaea: a state of the art
2006-06
[67]
논문
There must be a prokaryote somewhere: microbiology's search for itself
1994-03
[68]
문서
[69]
논문
A Complex Endomembrane System in the Archaeon ''Ignicoccus hospitalis'' Tapped by ''Nanoarchaeum equitans''
2017-06-13
[70]
서적
Medical Microbiology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1996
[71]
논문
Phylogenetic structure of the prokaryotic domain: the primary kingdoms
1977-11
[72]
서적
The Surprising Archaea: Discovering Another Domain of Lif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73]
논문
Archaea—timeline of the third domain
2011-01
[74]
논문
Molecular signatures for the Crenarchaeota and the Thaumarchaeota
2011-02
[75]
논문
Phylogenomic analysis of proteins that are distinctive of Archaea and its main subgroups and the origin of methanogenesis
2007-03
[76]
논문
Phylogenomic analyses and molecular signatures for the class Halobacteria and its two major clades: a proposal for division of the class Halobacteria into an emended order Halobacteriales and two new orders, Haloferacales ord. nov. and Natrialbales ord. nov., containing the novel families Haloferacaceae fam. nov. and Natrialbaceae fam. nov
2015-03
[77]
서적
The unique biochemistry of methanogenesis
2002
[78]
논문
On the origins of cells: a hypothesis for the evolutionary transitions from abiotic geochemistry to chemoautotrophic prokaryotes, and from prokaryotes to nucleated cells
2003-01
[79]
논문
Isoprenoids enhance the stability of fatty acid membranes at the emergence of life potentially leading to an early lipid divide
2019-12
[80]
논문
Toward automatic reconstruction of a highly resolved tree of life
2006-03
[81]
논문
Comparison of archaeal and bacterial genomes: computer analysis of protein sequences predicts novel functions and suggests a chimeric origin for the archaea
1997-08
[82]
논문
Protein phylogenies and signature sequences: A reappraisal of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archaebacteria, eubacteria, and eukaryotes
1998-12
[83]
논문
Were Gram-positive rods the first bacteria?
2003-04
[84]
논문
What are archaebacteria: life's third domain or monoderm prokaryotes related to gram-positive bacteria? A new proposal for the classification of prokaryotic organisms
1998-08
[85]
논문
Which is the most conserved group of proteins? Homology-orthology, paralogy, xenology, and the fusion of independent lineages
1994-11
[86]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bacterial and archaeal glutamine synthetase genes
1994-06
[87]
논문
Recent events dominate interdomain lateral gene transfers between prokaryotes and eukaryotes and, with the exception of endosymbiotic gene transfers, few ancient transfer events persist
2015-09
[88]
논문
The natural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prokaryotes
2000
[89]
서적
Microbial Phylogeny and Evolution: Concepts and Controvers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0]
논문
The neomuran origin of archaebacteria, the negibacterial root of the universal tree and bacterial megaclassification
2002-01
[91]
논문
The origin of a derived superkingdom: how a gram-positive bacterium crossed the desert to become an archaeon
2011-02
[92]
논문
Evidence that the root of the tree of life is not within the Archaea
2006-09
[93]
서적
Origins and Evolution of Life: An astrobi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8-27
[94]
논문
Archaea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2017-11
[95]
논문
Origin of the eukaryotic nucleus determined by rate-invariant analysis of rRNA sequences
1988-01
[96]
논문
Evidence for lateral gene transfer between Archaea and bacteria from genome sequence of Thermotoga maritima
1999-05
[97]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rRNA sequences supports the archaebacterial rather than the eocyte tree
1989-05
[98]
논문
The deep archaeal roots of eukaryotes
2008-08
[99]
논문
An archaeal origin of eukaryotes supports only two primary domains of life
https://eprint.ncl.a[...]
2013-12
[100]
뉴스
Under the Sea, a Missing Link in the Evolution of Complex Cell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5-05-06
[101]
논문
Complex archaea that bridge the gap between prokaryotes and eukaryotes
2015-05
[102]
논문
Genomic reconstruction of a novel, deeply branched sediment archaeal phylum with pathways for acetogenesis and sulfur reduction
2016-07
[103]
논문
Asgard archaea: Diversity, function,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in a range of microbiomes
2019
[104]
뉴스
This Strange Microbe May Mark One of Life's Great Leaps – A organism living in ocean muck offers clues to the origins of the complex cells of all animals and plant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1-15
[105]
논문
Isolation of an archaeon at the prokaryote-eukaryote interface
2020-01
[106]
논문
Ribosomal Protein Cluster Organization in Asgard Archaea
2023-09
[107]
웹사이트
Crenarchaeota
http://tolweb.org/Cr[...]
1997
[108]
논문
A square bacterium
1980
[109]
논문
An actin homolog of the archaeon Thermoplasma acidophilum that retains the ancient characteristics of eukaryotic actin
2007-03
[110]
논문
Chaperonin filaments: the archaeal cytoskeleton?
1997-05
[111]
논문
Cytoskeleton in the archaebacterium Thermoplasma acidophilum? Viscosity increase in soluble extracts
1993
[112]
논문
Bacterial biofilm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to infectious diseases
2004-02
[113]
논문
Thermococcus coalescens sp. nov., a cell-fusing hyperthermophilic archaeon from Suiyo Seamount
2005-11
[114]
논문
Pyrodictium cannulae enter the periplasmic space but do not enter the cytoplasm, as revealed by cryo-electron tomography
2003-01
[115]
논문
In vivo observation of cell division of anaerobic hyperthermophiles by using a high-intensity dark-field microscope
1999-08
[116]
논문
Natural communities of novel archaea and bacteria growing in cold sulfurous springs with a string-of-pearls-like morphology
2001-05
[117]
논문
The ultrastructure of Ignicoccus: evidence for a novel outer membrane and for intracellular vesicle budding in an archaeon
2002-03
[118]
논문
Ferroplasma acidiphilum gen. nov., sp. nov., an acidophilic, autotrophic, ferrous-iron-oxidizing, cell-wall-lacking, mesophilic member of the Ferroplasmaceae fam. nov., comprising a distinct lineage of the Archaea
2000-05
[119]
논문
S-Layer proteins
2000-02
[120]
논문
Structural research on surface layers: a focus on stability, surface layer homology domains, and surface layer-cell wall interactions
1998-12
[121]
논문
Cell wall polymers in Archaea (Archaebacteria)
1998-04
[122]
서적
The Surprising Archaea: Discovering Another Domain of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23]
논문
The archaeal flagellum: a different kind of prokaryotic motility structure
2001-04
[124]
논문
Bacterial type III secretion systems are ancient and evolved by multiple horizontal-transfer events
2003-07
[125]
논문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constituents of Type III protein secretion systems
2000-04
[126]
논문
Archaeal flagella, bacterial flagella and type IV pili: a comparison of genes and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2006
[127]
논문
Prokaryotic motility structures
2003-02
[128]
논문
Thermal conductivity and rectification in asymmetric archaeal lipid membranes
2018-05
[129]
논문
Structure, biosynthe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rchaebacterial lipids
1986-03
[130]
논문
Ether- versus ester-linked phospholipid bilayers containing either linear or branched apolar chains
2014-09
[131]
논문
Biosynthesis of ether-type polar lipids in archaea and evolutionary considerations
2007-03
[132]
논문
Crenarchaeol: The characteristic core glycerol dibiphytanyl glycerol tetraether membrane lipid of cosmopolitan pelagic crenarchaeota
2002-10
[133]
논문
Recent advances in structural research on ether lipids from archaea including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aspects
2005-11
[134]
논문
Archaeal tetraether lipids: unique structures and applications
2002-01
[135]
논문
Tetraether-linked membrane monolayers in Ferroplasma spp: a key to survival in acid
2004-10
[136]
논문
Adaptations to energy stress dictate the ecology and evolution of the Archaea
2007-04
[137]
논문
Bioenergetics of the Archaea
1999-09
[138]
논문
Comparative biochemistry of Archaea and Bacteria
1991-12
[139]
논문
Evolution of carbohydrate metabolic pathways
1996
[140]
서적
How did bacteria come to be?
1998
[141]
논문
Unusual coenzymes of methanogenesis
1990
[142]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methanogenic Archaea within two-phase biogas reactor systems operated with plant biomass
2008-08
[143]
논문
Molecular mechanism of vectorial proton translocation by bacteriorhodopsin
2000-08
[144]
논문
New roads lead to Rubisco in archaebacteria
2007-08
[145]
논문
A 3-hydroxypropionate/ 4-hydroxybutyrate autotrophic carbon dioxide assimilation pathway in Archaea
2007-12
[146]
논문
Microbiology. A fifth pathway of carbon fixation
2007-12
[147]
논문
Prokaryotic photosynthesis and phototrophy illuminated
2006-11
[148]
논문
Isolation of an autotrophic ammonia-oxidizing marine archaeon
2005-09
[149]
논문
New processes and players in the nitrogen cycle: the microbial ecology of anaerobic and archaeal ammonia oxidation
2007-05
[150]
논문
Bacteriorhodopsin
2004
[151]
논문
Genome copy numbers and gene conversion in methanogenic archaea
2011-02
[152]
논문
The genome of M. acetivorans reveals extensive metabolic and physiological diversity
2002-04
[153]
논문
The genome of Nanoarchaeum equitans: insights into early archaeal evolution and derived parasitism
2003-10
[154]
논문
A multicopy plasmid of the extremely 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effects its transfer to recipients by mating
1995-08
[155]
서적
Plasmids: Current Research and Future Trends
Caister Academic Press
2008
[156]
논문
Sulfolobus tengchongensis spindle-shaped virus STSV1: virus-host interactions and genomic features
2005-07
[157]
논문
An archaeal genomic signature
2000-03
[158]
논문
Archaeal genomics
1999-10
[159]
논문
Archaeal genetics – the third way
http://eprints.notti[...]
2019-09-12
[160]
논문
Ancient ciphers: translation in Archaea
1997-06
[161]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archaeal RNA polymerases
2007-09
[162]
논문
DNA-binding proteins and evolution of transcription regulation in the archaea
1999-12
[163]
논문
Archaeal introns: splicing, intercellular mobility and evolution
1997-09
[164]
논문
Introns in protein-coding genes in Archaea
2002-01
[165]
논문
Archaeal pre-mRNA splicing: a connection to hetero-oligomeric splicing endonuclease
2006-08
[166]
논문
The mechanism of DNA transfer in the mating system of an archaebacterium
1989-09
[167]
논문
UV-inducible cellular aggregation of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is mediated by pili formation
https://www.rug.nl/r[...]
2008-11
[168]
논문
UV-inducible DNA exchange in hyperthermophilic archaea mediated by type IV pili
https://pure.rug.nl/[...]
2011-11
[169]
논문
Reactions to UV damage in the model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2009-02
[170]
서적
Biocommunication of Archaea
Springer Nature
[171]
간행물
Archaea – An Introduction
Academic Press
2019-01
[172]
논문
Viruses of archaea: Structural, functional, environmental and evolutionary genomics
2018-01
[173]
논문
Archaeal viruses and bacteriophages: comparisons and contrasts
http://www.sciencedi[...]
2014-06
[174]
논문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Bacteriophages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2019
[175]
간행물
Brenner's Encyclopedia of Genetics
Academic Press
2020-03-16
[176]
논문
Exceptionally diverse morphotypes and genomes of crenarchaeal hyperthermophilic viruses
https://curis.ku.dk/[...]
2004-04
[177]
논문
An ssDNA virus infecting archaea: a new lineage of viruses with a membrane envelope
2009-04
[178]
논문
Archaeal virus with exceptional virion architecture and the largest single-stranded DNA genome
2012-08
[179]
논문
Intervening sequences of regularly spaced prokaryotic repeats derive from foreign genetic elements
2005-02
[180]
논문
A putative RNA-interference-based immune system in prokaryotes: computational analysis of the predicted enzymatic machinery, functional analogies with eukaryotic RNAi, and hypothetical mechanisms of action
2006-03
[181]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Springer
2005
[182]
논문
Archaea and the cell cycle
1998-08
[183]
논문
Multiple origins of replication in archaea
2004-09
[184]
논문
A unique cell division machinery in the Archaea
2008-12
[185]
논문
A role for the ESCRT system in cell division in archaea
2008-12
[186]
논문
Cdv-based cell division and cell cycle organization in the thaumarchaeon Nitrosopumilus maritimus
2011-11
[187]
논문
Dividing the Archaeal Way: The Ancient Cdv Cell-Division Machinery
2018
[188]
논문
Sporulation genes in members of the low G+C Gram-type-positive phylogenetic branch ( Firmicutes)
2004-10
[189]
논문
Cytological peculiarities of some extremely halophilic soil archaeobacteria
1991
[190]
논문
Computational Exploration of Putative LuxR Solos in Archaea and Their Functional Implications in Quorum Sensing
2017
[191]
논문
Environmental diversity of bacteria and archaea
2001-08
[192]
논문
The growing tree of Archaea: new perspectives on their diversity, evolution and ecology
2017-11
[193]
서적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Pearson
2006
[194]
논문
Cell proliferation at 122 °C and isotopically heavy CH4 production by a hyperthermophilic methanogen under high-pressure cultivation
2008-08
[195]
논문
Microbial extremophiles at the limits of life
2007
[196]
논문
Another extreme genome: how to live at pH 0
2005-02
[197]
논문
Extreme life on Earth--past, present and possibly beyond
2006
[198]
논문
Post-Viking microbiology: new approaches, new data, new insights
http://www.kluweronl[...]
2008-06-24
[199]
서적
Ciba Foundation Symposium 202 – Evolution of Hydrothermal Ecosystems on Earth (And Mars?)
1996
[200]
논문
Diversity of free-living prokaryotes from a deep-sea site at the Antarctic Polar Front
2001-07
[201]
논문
Archaeal dominance in the mesopelagic zone of the Pacific Ocean
2001-01
[202]
논문
Molecular diversity and ecology of microbial plankton
2005-09
[203]
논문
Genomic perspectives in microbial oceanography
2005-09
[204]
논문
Major gradients in putatively nitrifying and non-nitrifying Archaea in the deep North Atlantic
https://hal.archives[...]
2008-12
[205]
논문
Uncultured archaea in deep marine subsurface sediments: have we caught them all?
2008-01
[206]
논문
Significant contribution of Archaea to extant biomass in marine subsurface sediments
2008-08
[207]
논문
Virus-mediated archaeal hecatomb in the deep seafloor
2016-10
[208]
논문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Archaea in global estuarine ecosystems
2018-10
[209]
논문
Nitrate reduction and the nitrogen cycle in archaea
2004-11
[210]
논문
Nitrogen fixation at 92 °C by a hydrothermal vent archaeon
2006-12
[211]
논문
Putative ammonia-oxidizing Crenarchaeota in suboxic waters of the Black Sea: A basin-wide ecological study using 16S ribosomal and functional genes and membrane lipids
2007-04
[212]
논문
Archaea predominate among ammonia-oxidizing prokaryotes in soils
2006-08
[213]
논문
Microbial communities in acid mine drainage
2003-05
[214]
논문
Playing scales in the methane cycle: from microbial ecology to the globe
2004-08
[215]
논문
Archaea and their potential role in human disease
2003-02
[216]
논문
Pathogenic archaea: do they exist?
2003-11
[217]
논문
Methanogenic Archaea and human periodontal disease
2004-04
[218]
논문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rchaea involved in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2006-04
[219]
논문
Nanoarchaeum equitans and Ignicoccus hospitalis: new insights into a unique, intimate association of two archaea
2008-03
[220]
논문
Archaeal habitats—from the extreme to the ordinary
2006-02
[221]
논문
Energetics of syntrophic cooperation in methanogenic degradation
1997-06
[222]
논문
Morphology and Phylogeny of a New Species of Anaerobic Ciliate, ''Trimyema finlayi'' n. sp., with Endosymbiotic Methanogens
[223]
학위논문
Anaerobic ciliates as a model group for studying the biodiversityand symbioses in anoxic environments
https://dspace.cuni.[...]
[224]
논문
Archaea in symbioses
[225]
논문
Archaea in protozoa and metazoa
2005-02
[226]
논문
Multiple acquisition of methanogenic archaeal symbionts by anaerobic ciliates
2000-02
[227]
논문
A psychrophilic crenarchaeon inhabits a marine sponge: Cenarchaeum symbiosum gen. nov., sp. nov
1996-06
[228]
논문
Diversity of the human intestinal microbial flora
2005-06
[229]
논문
A humanized gnotobiotic mouse model of host-archaeal-bacterial mutualism
2006-06
[230]
논문
Coral-associated Archaea
2004
[231]
논문
The Diversity of Archaea and Bacteria in Association with the Roots of Zea mays L
2001-04
[232]
논문
Crenarchaeota colonize terrestrial plant roots
2000-10
[233]
논문
Have archaeal genes contributed to bacterial virulence?
2004-05
[234]
논문
The search for archaeal pathogens
2012
[235]
논문
The hunt for living gold. The search for organisms in extreme environments yields useful enzymes for industry
2001-11
[236]
논문
Industrial relevance of thermophilic Archaea
2005-12
[237]
논문
Sources, properties and suitability of new thermostable enzymes in food processing
2006
[238]
논문
The impact of extremophiles on structural genomics (and vice versa)
2008-01
[239]
논문
Perspectives on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archaea
2002-09
[240]
논문
Acidophiles in bioreactor mineral processing
2000-04
[241]
서적
Archaea: New Models for Prokaryotic Biology
Caister Academic Press
2008
[242]
논문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1990
[243]
논문
The neomuran revolution and phagotrophic origin of eukaryotes and cilia in the light of intracellular coevolution and a revised tree of life
2014
[244]
문서
IPA-en
[245]
논문
生命の進化と古細菌
[246]
문서
石野, 跡見2017
[247]
논문
Rooting the Domain archaea by phylogenomic analysis supports the foundation of the new kingdom proteoarchaeota
[248]
논문
The archaeal ‘TACK’ superphylum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2011
[249]
논문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Archaea and eukaryotic protein modifier systems revealed by the genome of a novel archaeal group
[250]
논문
Perspectives on archaeal diversity, thermophily and monophyly from environmental rRNA sequences
1996
[251]
논문
A korarchaeal genome reveals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the Archaea
2008
[252]
논문
Methane metabolism in the archaeal phylum Bathyarchaeota revealed by genome-centric metagenomics
[253]
논문
Genetic diversity of archaea in deep-sea hydrothermal vent environments
[254]
논문
Insights into the metabolism, lifestyle and putativ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novel archaeal phylum 'Diapherotrites'
[255]
논문
Enigmatic, ultrasmall, uncultivated Archaea
[256]
논문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ecology of a novel, ultra-small archaeon
[257]
논문
De novo metagenomic assembly reveals abundant novel major lineage of Archaea in hypersaline microbial communities
[258]
논문
The genome of ''Nanoarchaeum equitans'': insights into early archaeal evolution and derived parasitism
2003
[259]
웹사이트
Why Sequence Archaeal transcriptomes?
http://www.jgi.doe.g[...]
米国エネルギー省共同ゲノム研究所
2009
[260]
논문
Adaptations to energy stress dictate the ecology and evolution of the Archaea
[261]
논문
Microbial extremophiles at the limits of life
[262]
논문
Cell proliferation at 122°C and isotopically heavy CH4 production by a hyperthermophilic methanogen under high-pressure cultivation
[263]
논문
''Picrophilus'' gen. nov., fam. nov.: a novel aerobic, heterotrophic, thermoacidophilic genus and family comprising archaea capable of growth around pH 0
1995
[264]
논문
''Methanonatronarchaeum thermophilum'' gen. nov., sp. nov. and ''Candidatus'' Methanohalarchaeum thermophilum', extremely halo(natrono)philic methyl-reducing methanogens from hypersaline lakes comprising a new euryarchaeal class ''Methanonatronarchaeia'' classis nov.
2018
[265]
문서
全生物3位。[[2001年]]までは最も強アルカリで増殖できる生物であったが、現在は[[アルカリフィルス・トランスヴァーレンシス|{{snamei|Alkaliphilus transvaalensis}}]](pH12.5。[[フィルミクテス門]])に更新されている。飽和塩濃度でも増殖できる高度好塩菌を兼ねる。
[266]
논문
''Picrophilus'' gen. nov., fam. nov.: a novel aerobic, heterotrophic, thermoacidophilic genus and family comprising archaea capable of growth around pH 0
[267]
문서
全生物1位。同属の''P. torridus''や近縁の''Ferroplasma acidiphilum''もほぼ同じpHで生育可能
[268]
문서
全生物1位。近縁な古細菌にも同濃度で増殖できるものがいる。
[269]
문서
全生物1位。なお増殖温度も全生物6位。
[270]
논문
''Thermococcus gammatolerans'' sp. nov., a hyperthermophilic archaeon from a deep-sea hydrothermal vent that resists ionizing radiation
[271]
문서
D37(37%が生き残る限界線量)の比較では、細菌である[[ルブロバクテル・ラディオトレランス|''Rubrobacter radiotolerans'']]の方が上回っている。
[272]
문서
石野, 跡見2017
[273]
문서
石野, 跡見2017
[274]
논문
Diversity of Uncultivated Archaea: Perspectives From Microbial Ecology and Metagenomics
[275]
논문
Uncultured archaea in deep marine subsurface sediments: have we caught them all?
[276]
논문
Significant contribution of Archaea to extant biomass in marine subsurface sediments
[277]
논문
Diversity of free-living prokaryotes from a deep-sea site at the Antarctic Polar Front
[278]
논문
Environmental diversity of bacteria and archaea
[279]
논문
Everything in moderation: archaea as 'non-extremophiles'
[280]
논문
Mesophilic crenarchaeota: proposal for a third archaeal phylum, the Thaumarchaeota
2008
[281]
논문
Isolation of an autotrophic ammonia-oxidizing marine archaeon
2005
[282]
논문
Nitrososphaera viennensis gen. nov., sp. nov., an aerobic and mesophilic, ammonia-oxidizing archaeon from soil and a member of the archaeal phylum Thaumarchaeota
2014
[283]
논문
Nitrosopumilus maritimus gen. nov., sp. nov., Nitrosopumilus cobalaminigenes sp. nov., Nitrosopumilus oxyclinae sp. nov., and Nitrosopumilus ureiphilus sp. nov., four marine ammonia-oxidizing archaea of the phylum Thaumarchaeota
2017
[284]
논문
Nitrosarchaeum koreense gen. nov., sp. nov., an aerobic and mesophilic, ammonia-oxidizing archaeon member of the phylum Thaumarchaeota isolated from agricultural soil
2018
[285]
논문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presumptive archaeal and bacterial nitrifiers in Monterey Bay and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Gyre
[286]
서적
古賀1998、79頁
[287]
논문
Haloquadratum walsbyi gen. nov., sp. nov., the square haloarchaeon of Walsby, isolated from saltern crystallizers in Australia and Spain
2007
[288]
논문
Ferroplasma acidiphilum gen. nov., sp. nov., an acidophilic, autotrophic, ferrous-iron-oxidizing, cell-wall-lacking, mesophilic member of the Ferroplasmaceae fam. nov., comprising a distinct lineage of the Archaea
2000
[289]
논문
Thermococcus coalescens sp. nov., a cell-fusing hyperthermophilic archaeon from Suiyo Seamount
[290]
서적
古賀1998、35-36頁
[291]
논문
Ignicoccus gen. nov., a novel genus of hyperthermophilic, chemolithoautotrophic Archaea, represented by two new species, Ignicoccus islandicus sp. nov. and Ignicoccus pacificus sp. nov.
2000
[292]
논문
Energized outer membrane and spatial separation of metabolic processes in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Ignicoccus hospitalis
[293]
논문
A Complex Endomembrane System in the Archaeon Ignicoccus hospitalis Tapped by Nanoarchaeum equitans
[294]
논문
Pyrodictium cannulae enter the periplasmic space but do not enter the cytoplasm, as revealed by cryo-electron tomography
[295]
논문
In vivo observation of cell division of anaerobic hyperthermophiles by using a high-intensity dark-field microscope
1999
[296]
논문
S-layer and cytoplasmic membrane – exceptions from the typical archaeal cell wall with a focus on double membranes
2014
[297]
서적
古賀1998、262-264頁
[298]
서적
古賀1998、258-261頁
[299]
논문
Chemical structure of the cell wall polymer of Methanosarcina
1986
[300]
서적
古賀1998、261-262, 264-265頁
[301]
논문
Direct observation of rotation and steps of the archaellum in the swimming halophilic archaeon Halobacterium salinarum
2016
[302]
웹사이트
Evolution in (brownian) space: a model for the origin of the bacterial flagellum
http://www.talkdesig[...]
2006-09-05
[303]
논문
Archaeal flagella, bacterial flagella and type IV pili: a comparison of genes and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2006
[304]
논문
Bacterial and archaeal flagella as prokaryotic motility organelles
2004
[305]
문서
"''sn''-」とは[[立体特異的番号付け]]を用いた時につける接頭辞である。[[DL表記法]]で表記すると、細菌や真核生物の''sn''-グリセロール3-リン酸は{{small|L}}-グリセロール3-リン酸または{{small|D}}-グリセロール1-リン酸、古細菌の''sn''-グリセロール1-リン酸は{{small|L}}-グリセロール1-リン酸または{{small|D}}-グリセロール3-リン酸となる。"
[306]
논문
Bridging the membrane lipid divide: bacteria of the FCB group superphylum have the potential to synthesize archaeal ether lipids
https://www.nature.c[...]
2021-01
[307]
논문
Investigating the Origins of Membrane Phospholipid Biosynthesis Genes Using Outgroup-Free Rooting
https://doi.org/10.1[...]
2019-02-08
[308]
서적
古賀1998、214, 265-272頁
[309]
논문
Cytoskeleton in the archaebacterium Thermoplasma acidophilum? Viscosity increase in soluble extracts
1993
[310]
웹사이트
古細菌、アルケアから真核生物進化の機能的進化研究
http://aasj.jp/news/[...]
AASJ
2018-10-09
[311]
논문
Genomes of Asgard archaea encode profilins that regulate actin
2018
[312]
논문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2017
[313]
웹사이트
Methanothermus fervidus
http://www.genome.jp[...]
20
[314]
논문
The genome of Nanoarchaeum equitans: insights into early archaeal evolution and derived parasitism
2003
[315]
논문
The genome of M. acetivorans reveals extensive metabolic and physiological diversity
2002
[316]
논문
On the Approximation of the Kolmogorov Complexity for DNA Sequences
2017
[317]
논문
DNA binding by the archaeal histone HMf results in positive supercoiling
1991
[318]
논문
An ancestral nuclear protein assembly: crystal structure of the ''Methanopyrus kandleri'' histone
2001
[319]
논문
Archaeal nucleosomes
[320]
논문
Structure of histone-based chromatin in Archaea
[321]
논문
A histone-like protein (HTa) from ''Thermoplasma acidophilum''. II. Complete amino acid sequence
1981
[322]
논문
CC1, a novel crenarchaeal DNA binding protein
2007
[323]
논문
DNA replication in the archaea
2006
[324]
논문
Origins of DNA replication in the three domains of life
2005
[325]
기타
石野, 跡見2017
[326]
논문
Identification of short 'eukaryotic' Okazaki fragments synthesized from a prokaryotic replication origin
2003
[327]
논문
Identification of two origins of replication in the single chromosome of the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2004
[328]
논문
Archaea and the cell cycle
[329]
논문
アーキアのDNAトランスアクション--その共通性と多様性
[330]
논문
Virus-mediated archaeal hecatomb in the deep seafloor
2016
[331]
기타
石野, 跡見2017
[332]
기타
古賀1998
[333]
기타
石野, 跡見2017
[334]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ribosomal proteins in complete genomes: An example of reductive evolution at the domain scale
[335]
논문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of cultured human methanogens reflects the unique phylogenetic position of archaea
[336]
기타
古賀1998
[337]
논문
超好熱性アーキアのユニークな糖代謝系
2009
[338]
논문
アーキアのゲノムからみえるもの
2009
[339]
기타
石野, 跡見2017
[340]
기타
石野, 跡見2017
[341]
기타
古賀1998
[342]
기타
石野, 跡見2017
[343]
논문
A dicarboxylate/4-hydroxybutyrate autotrophic carbon assimilation cycle in the hyperthermophilic Archaeum Ignicoccus hospitalis
2008
[344]
논문
A role for the ESCRT system in cell division in archaea
[345]
논문
A unique cell division machinery in the Archaea
[346]
논문
Cell sorting protein homologs reveal an unusual diversity in archaeal cell division
[347]
논문
古細菌にも存在するエンドソーム選別輸送複合体(ESCRT)
[348]
기타
石野, 跡見2017
[349]
논문
The mechanism of DNA transfer in the mating system of an archaebacterium
[350]
논문
UV-inducible cellular aggregation of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is mediated by pili formation
[351]
간행물
Reactions to UV damage in the model archaeon Sulfolobus solfataricus
[352]
간행물
UV-inducible DNA exchange in hyperthermophilic archaea mediated by type IV pili
[353]
간행물
Genetic exchange across a species boundary in the archaeal genus ferroplasma
[354]
간행물
New processes and players in the nitrogen cycle: the microbial ecology of anaerobic and archaeal ammonia oxidation
[355]
간행물
Archaea predominate among ammonia-oxidizing prokaryotes in soils
[356]
간행물
硝化を担う微生物の多様性と機能
[357]
서적
石野, 跡見2017
[358]
간행물
Microbial communities in acid mine drainage
[359]
웹사이트
EDGAR 3.2 Fast Track 2000
http://www.mnp.nl/ed[...]
2008-06-26
[360]
간행물
A marine microbial consortium apparently mediating anaerobic oxidation of methane
2000
[361]
간행물
Aquatic metagenomes implicate Thaumarchaeota in global cobalamin production
2015
[362]
간행물
An uncultivated crenarchaeota contains functional bacteriochlorophyll a synthase
2009
[363]
간행물
Proteorhodopsin lateral gene transfer between marine planktonic Bacteria and Archaea
2006
[364]
서적
石野, 跡見2017
[365]
뉴스
プロテオロドプシン型のエネルギー生産量は予想外に大きい - 東大海洋研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2-02-17
[366]
간행물
Archaea and their potential role in human disease
[367]
간행물
Pathogenic archaea: do they exist?
[368]
뉴스
「古細菌」感染で脳脊髄炎 認知症患者、ウイルス・細菌とは別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10-07
[369]
간행물
A new phylum of Archaea represented by a nanosized hyperthermophilic symbiont
2002
[370]
간행물
Archaeal habitats—from the extreme to the ordinary
[371]
간행물
Energetics of syntrophic cooperation in methanogenic degradation
[372]
간행물
An archaeal bi-species biofilm formed by Pyrococcus furiosus and Methanopyrus kandleri
[373]
간행물
Archaea in protozoa and metazoa
[374]
간행물
Multiple acquisition of methanogenic archaeal symbionts by anaerobic ciliates
2000
[375]
간행물
Diversity of the human intestinal microbial flora
[376]
간행물
Genomic and metabolic adaptations of Methanobrevibacter smithii to the human gut
2007
[377]
간행물
Age‐related prevalence of Methanomassiliicoccus luminyensis in the human gut microbiome
2012
[378]
간행물
Archaebiotics: proposed therapeutic use of archaea to prevent trimethylaminuria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14
[379]
간행물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rchaea involved in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2006
[380]
간행물
メタン生成古細菌は歯周病の病原因子?
2010
[381]
간행물
プラークを再考する : メタン生成古細菌と歯周病
2012
[382]
간행물
Methanogens in humans: potentially beneficial or harmful for health
2018
[383]
간행물
A psychrophilic crenarchaeon inhabits a marine sponge: Cenarchaeum symbiosum gen. nov., sp. nov
[384]
간행물
韓国キムチにおける乳酸菌研究の進展
[385]
간행물
食品加工と微生物 その24 食塩による微生物制御
http://www.asama-che[...]
[386]
논문
Halococcus thailandensis sp. nov., from fish sauce in Thailand.
[387]
웹사이트
独立行政法人製品評価技術基盤機構ゲノム解析部門(NGAC) - 好熱好酸性古細菌 (Sulfolobus tokodaii strain7T (= NBRC 100140T))
https://www.nite.go.[...]
[388]
논문
Acidophiles in bioreactor mineral processing
[389]
논문
Perspectives on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archaea
[390]
웹사이트
KOD DNA polymease
http://www.toyobo.co[...]
[391]
논문
The impact of extremophiles on structural genomics (and vice versa)
[392]
논문
Halocins and sulfolobicins: the emerging story of archaeal protein and peptide antibiotics
[393]
논문
Evidence from detrital zircons for the existence of continental crust and oceans on the Earth 4.4 Gyr ago
1980
[394]
논문
Lead isotope study of basic-ultrabasic layered complexes: Speculations about the age of the earth and primitive mantle characteristics
2001
[395]
논문
Evidence for early life in Earth's oldest hydrothermal vent precipitates
2017
[396]
논문
Potentially biogenic carbon preserved in a 4.1 billion-year-old zircon
2015
[397]
웹사이트
3.5 billion year old organic deposits show signs of life
https://arstechnica.[...]
2012-09-04
[398]
논문
Evidence from fluid inclusions for microbial methanogenesis in the early Archaean era
2006
[399]
논문
Determining divergence times with a protein clock: update and reevaluation
1997
[400]
논문
Horizontal gene transfer constrains the timing of methanogen evolution
2018
[401]
논문
Integrated genomic and fossil evidence illuminates life's early evolution and eukaryote origin
2018
[402]
논문
A formal test of the theory of universal common ancestry
2010
[403]
문서
斉藤2016
[404]
논문
Origin of the eukaryotic nucleus determined by rate-invariant analysis of rRNA sequences
1992
[405]
논문
The root of the universal tree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based on elongation factor phylogeny
1996
[406]
논문
The Deep Archaeal Roots of Eukaryotes
2008
[407]
논문
The universal ancestor
1998
[408]
논문
The Deep Archaeal Roots of Eukaryotes
2008
[409]
논문
An archaeal origin of eukaryotes supports only two primary domains of life
2013
[410]
논문
Genetic algorithm-based maximum-likelihood analysis for molecular phylogeny
2001
[411]
논문
A genomic timescale of prokaryote evolution: insights into the origin of methanogenesis, phototrophy, and the colonization of land
2004
[412]
논문
The root of the universal tree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based on elongation factor phylogeny
1996
[413]
논문
Eocytes: a new ribosome structure indicates a kingdom with a close relationship to eukaryotes
1984
[414]
논문
Origin of the eukaryotic nucleus determined by rate-invariant analysis of rRNA sequences
1988
[415]
논문
Eukaryotic origins
2015
[416]
논문
Retern to dichotomy: Bacteria and Archaea
1995
[417]
논문
Retern to dichotomy: Bacteria and Archaea
1995
[418]
논문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Archaea and eukaryotic protein modifier systems revealed by the genome of a novel archaeal group
2011
[419]
논문
An actin-based cytoskeleton in archaea
2011
[420]
논문
Expanded diversity of Asgard archaea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eukaryotes
http://www.nature.co[...]
2021-05-27
[421]
논문
Bacterial Genes Outnumber Archaeal Genes in Eukaryotic Genomes
https://academic.oup[...]
2020-04-01
[422]
논문
Evaluating hypotheses for the origin of eukaryotes
2007
[423]
논문
巨大ウイルスの細胞侵入・増殖機構
https://doi.org/10.2[...]
2016
[424]
문서
ここでは、真核生物の細胞小器官のうち、細菌に由来することがほぼ確実である[[ミトコンドリア]]や[[葉緑体]]、及びそこで働く機構や[[タンパク質]]、[[転移RNA|tRNA]]、[[リボソーム]]などは除く。これらは細菌の特徴を一部残している。
[425]
문서
線毛や匍匐、アクチンロケットなどによって移動することを言う。
[426]
문서
鞭毛を回転させ推進するという点では細菌と同じである。ただし細菌の鞭毛とは構造が全く異なる。[[#鞭毛]]参照
[427]
문서
粘液細菌や一部の[[藍藻]]、[[放線菌]]の中には、相当高度な群体を形成するものがある。
[428]
문서
稀に融合体(多核巨大細胞)を形成する種が存在する。群体についても細菌と同様広く見られる。
[429]
문서
[[プロテオ古細菌界|プロテオ古細菌]]([[クレン古細菌]]、[[タウム古細菌]]、[[アスガルド古細菌]]など)
[430]
문서
[[ユーリ古細菌]]など
[431]
문서
[[テルモプロテウス目]]のみ
[432]
문서
一部の好熱細菌はエーテル結合を含む脂質を持つが、その場合でも炭化水素鎖が結合しているのは1,2位であり、古細菌の脂質とは区別できる。
[433]
문서
例外は[[チラコイド]]などがある。稀にだがDNAを囲む膜を持つもの ({{snamei|Planctomyces}}) もいる。
[434]
문서
[[MreB]]など今日では多数の細胞骨格が見つかっている。ただし真核生物ほど多様な機能は持たない。[[原核生物の細胞骨格]]参照。
[435]
문서
[[クレン古細菌]]からはクレンアクチンが見つかっている。[[ユーリ古細菌]]から発見された例は少ないが、テルモプラズマからMreBの報告がある。チューブリンホモログも存在(オーディン古細菌、[[タウム古細菌]])
[436]
문서
放線菌、[[スピロヘータ]]の一部は直鎖状のDNAを持つ。
[437]
문서
クレン古細菌は[[テルモプロテウス目]]のみヒストンを持つ
[438]
문서
クレン古細菌はファミリーDを持たない。
[439]
문서
サブユニット数は[[大腸菌]]で5
[440]
문서
サブユニット数は11〜13
[441]
문서
基本的なサブユニット数は12(RNAポリメラーゼII)。古細菌と全てが共通する
[442]
논문
原核生物遺伝子のイントロン - 古細菌蛋白質遺伝子のイントロンの発見
2002
[443]
문서
tRNAのイントロンは少数見つかっているが、全て自己スプライシング型。古細菌と真核生物にある酵素触媒型は殆どない。
[444]
문서
そのほかLon、Clp、HslVUなど。[[放線菌]]目のみプロテアソームも持つ(他の放線菌綱は持たない)。
[445]
논문
Phylogenetic structure of the prokaryotic domain: the primary kingdoms
[446]
논문
Origin and evolution of organisms as deduced from 5S ribosomal RNA sequences
[447]
서적
長野2003
[448]
문서
"Mendosicutes Gibbons & Murray 1978"。[[1984年]]発行のBergey's Manualなどでこの表現が見られる。ここでは[[原核生物]]界を構成する4つの門の一つとして位置づけられていた。
[449]
논문
The neomuran origin of archaebacteria, the negibacterial root of the universal tree and bacterial megaclassification
[450]
서적
古賀1998
[451]
웹사이트
進化の歴史 - 細胞核の起源
http://kagakubar.com[...]
[452]
간행물
一个新的古菌类群—奇古菌门 (Thaumarchaeota)
2012
[453]
웹사이트
Science子刊:在深海中,病毒对古生菌进行大屠杀
https://read01.com/A[...]
壹讀/READ01
2018-10-04
[454]
서적
古賀1998
[455]
논문
"塩と好塩菌"-其の1-
2007
[456]
문서
古賀1998
[457]
문서
長野2003
[458]
논문
Thermus aquaticus gen. n. and sp. n., a nonsporulating extreme thermophile
1969
[459]
논문
A thermophilic, acidophilic mycoplasma isolated from a coal refuse pile
1970
[460]
논문
Sulfolobus: a new genus of sulfur-oxidizing bacteria living at low pH and high temperature
1972
[461]
문서
Archaeabacteria提唱後に出版された文献であるが、『五つの王国』([[リン・マーギュリス]]著)や、古いBergey's Manual中では、いわゆる古細菌類が様々な細菌グループの中に散らばって分類されている。({{snamei|Thermoplasma}}が[[マイコプラズマ]]類、高度好塩菌が[[グラム陰性菌|グラム陰性]]好気性細菌群(シュードモナス門)、{{snamei|Sulfolobus}}が化学合成細菌門など。)
[462]
논문
Lipids of ''Halobacterium cutirubrum''
1962
[463]
논문
Lipids of ''Thermoplasma acidophilum''
1972
[464]
문서
古賀1998
[465]
논문
'Sulfolobus'': a new genus of sulfur-oxidizing bacteria living at low pH and high temperature
1972
[466]
논문
Evolutionary rate at the molecular level
1968
[467]
논문
Conservation of Ribosomal and Messenger Ribonucleic Acid Cistrons in ''Bacillus'' Species
1965-03
[468]
논문
Intra- and Intergeneric Similarities of Agrobacterium Ribosomal Ribonucleic Acid Cistrons
1977
[469]
논문
Conserved portion in bacterial ribosomal RNA
1969
[470]
논문
Molecules as documents of evolutionary history
1965-03
[471]
문서
長野2003
[472]
문서
長野2003
[473]
문서
長野2003
[474]
논문
Ether-containing lipids of methanogenic bacteria
1978
[475]
논문
Phytanyl-glycerol ethers and squalenes in the archaebacterium ''Methanobacterium thermoautotrophicum''
1978
[476]
논문
Archaebacteria
1978
[477]
논문
Two empires or three?
1998
[478]
논문
The structure of microbial evolutionary theory.
2007
[479]
논문
Ultrathin mycelia-forming organisms from submarine volcanic areas having an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105 °C
1982
[480]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 of archaebacteria, eubacteria, and eukaryotes inferred from phylogenetic trees of duplicated genes
1989
[481]
논문
Evolution of the vacuolar H+-ATPase: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eukaryotes
1989
[482]
논문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methanogenic archaeon, ''Methanococcus jannaschii''
[483]
논문
Validation of publication of new names and new combinations previously effectively published outside the IJSEM.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02
[484]
문서
石野, 跡見2017
[485]
논문
"Sequence analysis of the genome of the unicellular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CC6803. II. Sequence determination of the entire genome and assignment of potential protein-coding regions"
1996
[486]
문서
斉藤2007
[487]
논문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1990-06
[488]
서적
Foundations in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489]
논문
Cell evolution and Earth history: stasis and revolution
[490]
웹인용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1-12-06
[491]
웹인용
ar53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492]
웹인용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1-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