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3 심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3 심신은 일본이 개발 중인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이며, 2022년 영국, 이탈리아와 함께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GCAP)을 통해 공동 개발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전투기는 2000년대 이후 중국의 항공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2016년 미쓰비시 ATD-X 실증기 시험 비행을 통해 기술을 입증했다. F-3는 2035년까지 F-2 전투기를 대체할 예정이며, i3 전투기, X-2 실증기 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F-3 심신은 일본의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될 예정이며, 주변국인 중국, 북한,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투기 - 다목적 전투기
다목적 전투기는 공대공 전투, 지상 공격, 정찰 등 여러 임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F-16, F/A-18, 유로파이터 타이푼, 라팔, F-35 등이 대표적이고 대한민국은 F-15K, KF-21 보라매 등을 운용하거나 개발하고 있다. - 전투기 - IAI 네셔
IAI 네셔는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에서 다소 미라주 III 전투기를 기반으로 제작하여 이스라엘 공군에서 운용되었고 아르헨티나에 수출되어 포클랜드 전쟁에 참전한 전투기이다. - 항공기 - 비행기
비행기는 엔진 추진력과 날개 양력을 이용해 하늘을 나는 운송 수단으로, 라이트 형제의 동력 비행 성공 이후 제트 엔진 등의 발전으로 기술이 발전했으며, 여객, 화물, 군사, 레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전기 비행기 개발도 진행 중이다. - 항공기 - 여객기
여객기는 승객 수송을 주 목적으로 하는 항공기로, 군용기 개조를 통해 본격적인 수송이 시작된 후 제트 여객기 시대를 거쳐 현재는 안전성과 경제성을 중시하며 보잉과 에어버스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F-3 심신 | |
---|---|
개요 | |
유형 | 스텔스기, 제공 전투기 |
제작 국가 | 일본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상태 |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에 통합 |
최초 비행 (예정) | 2028년 |
도입 (예정) | 2035년 |
주요 운용국 (예정) | 일본 항공 자위대 |
생산 | 2024년 (첫 시제기 생산 예정) 2031년 (본격 생산 예정) |
개발 기반 | i3 전투기 미쓰비시 X-2 신신 |
관련 문서 | 없음 |
명칭 | |
명칭 | 차기 전투기 |
개발 이력 | |
개발 | 일본 방위성 기술연구본부 |
제작 | 미쓰비시 중공업 |
기반 기체 | 미쓰비시 X-2 신신 |
일반 제원 (계획치) | |
전폭 | 15.9m |
전장 | 21.0m |
전고 | 5.2m |
엔진 | 아이히 XF9-1 |
추력 | 15t×2 |
성능 (계획치) | |
최고 속도 | 마하 2.25 |
항속 거리 | 3,000km |
무장 (계획치) | |
미사일 | AAM-4 AAM-5 JNAAM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미쓰비시 X-2 신신 i3 전투기 F-2 F-35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 |
2. 개발
일본은 2000년대 이후 중국의 항공 안보 위협이 커짐에 따라 '심신(心神)'이라는 비공식 명칭으로 불린 F-3 심신 프로젝트를 2008년 4월에 공식 출범했다. 2016년에는 실증기 미쓰비시 ATD-X를 시험 비행하여 기술력을 입증했다.
기술연구본부와 그 후속 조직인 방위장비청은 차기 전투기 개발을 위해 다양한 요소 기술을 연구・개발했다. 특히 스텔스 실험용 항공기인 X-2는 2016년 4월 22일에 첫 비행을 했으며, 2017년 10월 31일까지 총 32회의 비행 시험을 실시하여 스텔스성 및 기동성을 검증했다.[103][104][105]
2010년 8월, 방위성은 "미래의 전투기에 관한 연구 개발 비전"을 발표하고, 미래 전투기 컨셉 모델로 "i3 FIGHTER"를 제안했다.[99] i3 FIGHTER는 클라우드 슈팅, 차세대 고출력 레이더, 적을 능가하는 스텔스, 차세대 고출력 슬림 엔진, 전자전에 강한 플라이 바이 라이트 등의 기술을 포함한다.
엔진 기술과 관련하여, "고출력・슬림 엔진" 컨셉 하에 XF9가 개발되었다. XF9는 쌍발로 안전성과 이중성을 유지하면서 고출력, 고기동을 달성하고, 슬림한 엔진으로 기체 용적 증가를 통해 병장, 아비오닉스, 연료 등을 더 많이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XF9는 F-22와 동등한 수준의 엔진 추력을 달성했으며, 앞으로 더 추력을 높일 예정이다.[111]
아비오닉스 기술과 관련해서는, "자기 수복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 "고운동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 "선진 기술 실증기(X-2) 연구" 등을 통해 포스트 스톨 기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전투기 등의 미션 시스템・통합에 관한 연구(2019-2025)"를 통해 대형기 테스트 베드를 사용한 시작・검증이 진행 중이다.[113]
연구 | 카테고리 | 연구 기간 | 개요 |
---|---|---|---|
X-2 선진 기술 실증기 | 스텔스 | 2009-2017 | 고운동 스텔스 실증 |
미래 전투기 기체 구상 연구 | 기체 구상 | 2011-2014 | 초보적인 개념 설계를 디지털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 |
미래 전투기의 기술적 성립성에 관한 연구 | 2015-2017 | F-2 후속기 개발의 가부를 판단하기 위해 가상 차량 시작 | |
기체 구조 경량화 기술 연구 | 기체 | 2014-2018 | 패스너리스 구조・히트 쉴드・해석 기법 등의 연구 |
컨포멀 레이더 시스템 연구 | 센서 | 1998-2003 | 기체 형상에 맞춘 레이더 |
다기능 RF 센서 연구 | 2002-2010 | 레이더, ECM, ESM, 통신의 기능을 갖춘 센서 시스템 | |
선진 통합 센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2010-2016 | 레이더와 IRST를 통합한 센서 시스템 | |
선진 RF 자기 방어 시뮬레이션 연구 | 아비오닉스 | 2013-2018 | 전자전 시뮬레이션 |
미래 아비오닉스 시스템 연구 시작 | 2002-2011 | 정보 통합 처리, 맨-머신 인터페이스 시작 | |
미래 HMD 시스템에 관한 연구 | -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연구. 2015년도 예산 미승인 | |
전동 액추에이션 기술 연구 | 2015-2019 | 유압을 전동 모터로 대체하여, 중량과 정비성을 개선 | |
전투기용 통합 화기관제 기술 연구 | 2012-2017 | 은닉 고속 데이터 링크를 통한 육해공과의 연계 전투 | |
적외선 영상의 고해상도 기술에 관한 연구 | 2012-2019 | 적외선 센서의 고성능화 | |
미래 미사일 경계 기술에 관한 연구 | 2012-2021 | 적외선을 사용하는 미사일 경계 시스템 연구 | |
미래 전투기용 소형 열 이송 시스템 연구 | 2016-2020 | 효율적인 베이퍼 사이클 시스템 연구 | |
전투기 등의 미션 시스템・통합에 관한 연구 | 2019-2025 | 전투기용 아비오닉스의 통합 | |
차세대 엔진 주요 구성 요소 연구 | 동력 | 2010-2015 | 엔진 코어부 연구 |
전투기용 엔진 요소 연구 | 2013-2017 | 엔진 코어부에 더하여 팬과 저압 터빈 연구 | |
전투기용 엔진 시스템 연구 | 2015-2019 | 실증 엔진 XF9 시작 | |
추력 편향 노즐에 관한 연구 | 2016-2020 | 전주 20도의 추력 편향 노즐 시작 | |
웨폰 내장화 공력 기술 연구 | 무장 | 2010-2015 | 병장 사출 시 공력 특성 연구 |
웨폰 릴리스・스텔스화 연구 | 2013-2017 | 웨폰 베이・런처 연구 |
2018년 12월 18일 각의 결정에 따라 국제 협력을 포함한 일본 주도의 전투기 개발이 결정되었으며,[119][120][121] 2020년 10월,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 주체로 선정되어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96]
2022년 12월 9일, 일본, 영국, 이탈리아는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GCAP)을 출범시켜 공동 전투기를 개발, 배치하기로 발표했다.
2. 1. 기원
일본은 2000년대 이후 늘어난 중국의 항공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심신(心神)'이라는 비공식 명칭이 붙은 본 프로젝트를 2008년 4월 공식 출범하기로 예정되었다. 2016년 실제 크기의 70% 미만의 실증기인 미쓰비시 ATD-X를 시험 비행하는데 성공해서 기술을 입증했다.F-X 프로그램은 미국이 기술 보호를 위해 1997년 오베이 수정안의 일환으로 록히드 마틴 F-22 랩터의 수출을 금지하면서 시작되었다.[7] 일본은 F-22를 구매할 수 없게 되자, 노후화된 전투기 함대를 대체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전투기를 선택했다. 2009년 12월부터 2010년 8월까지 방위성은 F-2를 대체할 미래형 전투기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8] 이 연구는 동시대 5세대 전투기보다 한 세대 앞선 신형 전투기를 요구했다.[9] 이 컨셉 전투기는 '''i3 전투기''' ('''I'''nformed, '''I'''ntelligent, '''I'''nstantaneous, 정보, 지능, 즉각)로 명명되었다. i3 전투기가 갖추어야 할 기술과 기능으로는 다른 전투기의 스텔스 기술에 대응하는 첨단 레이더 시스템, 다른 플랫폼(드론, 전투기 및/또는 공중 조기 경보 통제기)으로부터 표적 정보를 수신, 정보 처리를 더 빠르게 하기 위한 광섬유 비행 제어 (가와사키 P-1과 유사), 스텔스 기술, 레이더 성능 향상을 위한 질화 갈륨 반도체, 그리고 새롭고 더 강력한 엔진 등이 있다.[9]
일본의 영공・방공식별구역은 사용 가능한 비행장에 비해 광대하며, 동시에 중국이나 러시아 등 공군력에 대해 수적인 열세가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의 항공 우세를 유지하기 위한 전투기가 요구되었다.[99]
항공자위대의 운용기는, 방위 정책상의 필요에 따라 장비 조정이 이루어지지만, 지금까지 조달 실적으로는 F-15나 F-35 등 미국 기체를 일본 국내 기업이 정책에 따라 라이선스 생산 또는 최종 조립을 하여 조달하는 사례가 많다.[100][101] 이들은 그 성질상, 기체의 능력 향상이나 시스템 갱신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 주 개발원・개발국의 협력이 전제이며, 예를 들어 핵심적인 기술이나 병장, 시스템 등 복수 국가의 연계가 원칙이 된다. 이것은 필요한 능력 향상을 시의에 맞게 실현하는 것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또한, 주권 국가로서의 지속 가능한 안전 보장 정책의 관점에서 관련 기술 및 산업의 유지, 육성이 필요하다고 여겨짐과 동시에, 중복성의 관점에서 복수의 기체를 병행적으로 운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국내 기술을 중핵으로 한 신형 전투기 개발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102]
2. 2. 미쓰비시 X-2 실증기
2016년 실제 크기의 70% 미만의 실증기인 미쓰비시 ATD-X를 시험 비행하는데 성공해서 기술을 입증했다. F-X 프로그램 개발의 많은 부분은 미쓰비시 X-2 신신의 개발과 관련이 있다. X-2는 2016년 4월 22일에 첫 비행을 했고, 2018년 3월에 시험이 종료되었다.[10]
기술연구본부와 방위장비청은 차기 전투기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 기술을 연구・개발했다. 스텔스실험용 항공기인 X-2는 2016년 4월 22일에 첫 비행을 했으며, 2017년 10월 31일까지 총 32회의 비행 시험을 실시하여 스텔스성 및 기동성을 검증했다.[103][104][105]
2. 3. 개발 및 조달 전략
일본은 2000년대 이후 중국의 항공 안보 위협이 커짐에 따라 '신신(心神)'이라는 비공식 명칭으로 불린 F-3 심신 프로젝트를 2008년 4월에 공식적으로 시작했다.[10] 2016년에는 실제 크기의 70% 미만인 실증기 미쓰비시 ATD-X를 시험 비행하여 기술력을 입증했다.F-X 프로그램 개발은 미쓰비시 X-2 신신 개발과 많은 관련이 있다. X-2는 2016년 4월 22일에 첫 비행을 했고, 2018년 3월에 시험이 종료되었다.[10] X-2 개발 및 시험과 동시에 F-X 관련 다양한 연구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연구와 시험은 일본이 F-X에 대한 국제 협력을 모색하면서 계속되었다.
평가 기간 | 평가 명칭 | 개발 기간 | 총 비용 | 목적 |
---|---|---|---|---|
2009년 10월 | 첨단 통합 센서 시스템 연구[11] | 시제품: 2010 - 2014 시험: 2014 - 2016 | 5억엔 | 서로 연동하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스텔스 항공기를 탐지 |
무기 내재화를 위한 공기역학 기술 연구[12] | 시제품: 2010 - 2013 시험: 2013 - 2014 | 13억엔 | 내부 무기 격실에서 무기 분리를 시뮬레이션하여 천음속 및 초음속 속도에서 장착된 물체에 작용하는 공기역학적 현상을 연구 | |
차세대 엔진의 주요 부품 연구[13] | 시제품: 2010 - 2014 시험: 2014 - 2015 | 1억엔 | 고온 연소기, 고온/고압 터빈 및 경량 압축기를 개발하여 차세대 엔진의 높은 추력 대 중량비를 달성 | |
2011년 7월 - 2011년 8월 | 전투기용 통합 사격 통제 기술 연구[14] | 시제품: 2012 - 2016 시험: 2015 - 2017 | 91억엔 | 수적으로 열세인 스텔스 항공기를 위해 다양한 자산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중심 전장 개발 |
2012년 7월 - 2012년 9월 | 전투기용 엔진 요소 연구[15] | 시제품: 2013 - 2017 시험: 2015 - 2017 | 1720억엔 | 날씬하고 높은 추력을 가진 고출력 엔진 설계 |
무기 투하/스텔스 연구[16] | 시제품: 2013 - 2017 시험: 2016 - 2017 | 38억엔 | RCS 및 항력 감소를 위한 내부 무기 격실 개발 | |
첨단 RF 자위 시뮬레이션 연구[17] | 시제품: 2013 - 2016 시험: 2015 - 2018 | 16억엔 | 항공기 및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전 장비 개발 | |
2013년 7월 - 2013년 8월 | 고출력 마이크로파 기술 연구[18] | 시제품: 2014 - 2017 시험: 2016 - 2018 | 18억엔 | 발사되는 미사일을 무력화하기 위한 고출력 마이크로파 기술 개발 |
적외선 영상의 고해상도 기술 연구[19] | 시제품: 2014 - 2017 시험: 2016 - 2019 | 38억엔 | 전투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적외선 영상 기술의 해상도 향상 | |
항공기 구조 중량 감소 기술 연구[20] | 시제품: 2014 - 2017 시험: 2017 - 2018 | 57억엔 | 고정밀 응력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 전투기 동체의 무게를 줄이고, 중량 감소와 관련된 강도 위험을 분석 | |
2014년 7월 - 2014년 8월 | 미래 전투기의 기술적 타당성 연구[21] | 시제품: 2015 - 2017 시험: 2016 - 2017 | 54억엔 | F-2 후속 기종 개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가상 차량 설계 개발 |
전투기용 엔진 시스템 연구[22] | 시제품: 2015 - 2018 시험: 2017 - 2019 | 142억엔 | XF9 엔진 개발 및 시험 | |
전기 구동 기술 연구[23] | 시제품: 2015 - 2017 시험: 2018 | 23억엔 | 기존 유압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전기 액추에이터 개발 | |
스텔스 전투기용 레돔 연구[24] | 시제품: 2015 - 2019 시험: 2018 - 2020 | 54억엔 | 레이더를 보호하고 공기역학, 스텔스 및 레이더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레돔 설계 | |
미래 HMD 시스템 연구[25] | 시제품: 2015 - 2018 시험: 2018 - 2019 | 35억엔 | 넓은 시야와 쌍안경, 다색 디스플레이를 갖춘 미래 HMD 시스템 개발 | |
2015년 7월 - 2015년 8월 | 추력 편향 노즐 연구[26] | 시제품: 2016 - 2019 시험: 2017 - 2020 | 23억엔 | 고기동성을 달성하고, 조종 영역을 줄이고, 스텔스를 개선하기 위한 추력 편향 노즐 개발 |
미래 전투기용 소형 열 전달 시스템 연구[27] | 시제품: 2016 - 2019 시험: 2018 - 2020 | 19억엔 | 증기 사이클을 기반으로 한 냉각 시스템 개발 | |
2019년 9월 중순, F-X에 사용될 통합 센서에 대한 비행 시험이 F-2 전투기에서 실시되었으며, 결과는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다.[28]
일본은 넓은 영공과 방공식별구역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이나 러시아에 비해 공군력이 수적으로 열세일 것으로 예상되어 미래 항공 우세를 유지하기 위한 전투기가 필요했다.[99]
항공자위대는 F-15, F-35 등 미국 기체를 라이선스 생산하거나 최종 조립하여 조달하는 경우가 많았다.[100][101] 이러한 방식은 기체 성능 향상이나 시스템 갱신 시 개발국의 협력이 필요하여 적시에 능력 향상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권 국가로서 지속 가능한 안전 보장 정책을 위해 관련 기술 및 산업을 유지하고 육성해야 하며, 중복성 확보를 위해 여러 기체를 병행 운용하는 형태를 취하면서 국내 기술을 중심으로 한 신형 전투기 개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102]
일본 차기 전투기 선정은 개발부터 퇴역까지 수조 엔 단위의 계약이 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2018년 7월에는 록히드 마틴의 F-22 기반, 보잉의 F-15 기반, BAE 시스템즈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기반 기체 등이 거론되었으며, 록히드 마틴의 안이 유력하다고 여겨지기도 했다.[118]
미래 전투기 선정은 다음 관점에서 검토되었다.
- 15~30년 후(2035~50년경) 미래의 항공 우세에 필요한 능력
- "차세대 기술"도 적용 가능한 확장성
- 개수의 자유도
- 국내 기업의 관여
- 개발・획득 비용
2018년 12월 18일 각의 결정에 따라 국제 협력을 포함한 일본 주도의 전투기 개발이 결정되었으며,[119][120][121] 해외 기존 기종 안은 기술, 가격 면에서 메리트가 낮다고 판단되어 국내 기업 주도의 신형기 개발 방침이 되었다.
2019년 12월 방위성은 차기 전투기 개발에 있어 국제 협력을 통해 기술적 신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도모하고, 블록화 개발, 오픈 아키텍처, 모델 기반 디자인 등 새로운 수법을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122]
2020년 3월 27일, 고노 다로 방위대신은 F-35보다 미사일 탑재 수를 늘릴 것이라고 언급했다.[126]
2020년 10월, 기시 노부오 방위대신은 미쓰비시 중공업을 개발 주체로 선정하여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96] 미쓰비시 전기, IHI, 가와사키 중공업, SUBARU, 도시바, 후지쯔, NEC 등 7개 회사가 참여하며,[123] 미쓰비시 중공업이 총괄, IHI가 엔진, SUBARU와 가와사키 중공업이 기체, 미쓰비시 전기가 전자전 장비, 도시바, 후지쯔, NEC가 레이더를 포함한 전자 기기를 담당한다. 200명이 넘는 체제로 개발이 이루어지며, 주로 미쓰비시 중공업 고마키미나미 공장 (아이치현 도요야마정)의 F-X 개발 센터에서 진행된다. 2021년 5월에 1동, 이듬해 5월에 2동이 준공되었으며, 향후 500명 규모로 확대될 예정이다.[124][125]
2. 4. 국제 협력
일본은 F-3를 자국 내수용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높은 가격 때문에 GDP 10위권 밖의 국가는 도입이 어렵다. 미국, 러시아, 중국은 자체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G20 개발도상국 중 인도네시아는 이미 KFX 사업에 참여 중이라 일본의 수출 시장은 매우 좁다.보유국 | F-3A |
---|---|
170대 (예정) |
2017년 3월, 일본과 영국은 미래 전투기 공동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는 협약을 체결했다.[29][30] 2018년 3월, 일본 정부는 F-X 자체 개발, 공동 개발, 기존 설계 기반 개발 여부를 결정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영국에 제안서를 보내 보잉, 록히드 마틴, BAE 시스템즈, 노스롭 그러먼이 응답했다.[31] 보잉은 F-15, BAE 시스템즈는 유로파이터 타이푼 기반 업그레이드, 록히드 마틴은 F-22/35 하이브리드, 노스롭 그러먼은 현대화된 YF-23을 제안했다.[32][33][34][36] 일본과 영국은 F-X와 템페스트 프로젝트 협력 가능성도 모색했다.[37]
2018년 10월, 방위성은 기존 설계 기반 개발 가능성을 배제하기 시작했다. 보잉의 F-15와 BAE 시스템즈의 유로파이터 타이푼은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했고,[32] 록히드 마틴의 하이브리드 스텔스 전투기는 높은 가격과 F-22 수출 금지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의구심을 받았다.[32]
2019년 2월, 방위성은 '일본 주도' 미래 전투기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국내 산업 우선 방침을 밝혔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중기 방위 계획에 따라 15년간 개발하여 F-2 퇴역 시기에 맞출 예정이다.[39][40] 방위성은 미래 공중 우세 능력, 차세대 기술 통합, 수정 및 업그레이드 능력, 일본 산업 참여, 합리적인 비용을 5가지 핵심 측면으로 우선시했다.[41]
2019년 12월, 방위성은 프로그램 시작 예산으로 111억 엔을 확보했다.[43] 2020 회계 연도 F-X 개발 총 예산은 280억 엔이다.[44][45]
2020년 3월, 일본은 록히드 마틴, 보잉, BAE 시스템즈의 설계를 거부하고 미쓰비시 중공업 주도 개발을 결정했다. 그러나 국제 협력 가능성은 열어두었다.[46][47] 2020년 4월, 항공자위대(JASDF) 소장 등 30명으로 구성된 F-X 개발 전담팀이 구성되었다.[48] 스바루도 기술 개발 센터 설립을 발표했다.[49]
, 첫 프로토타입 생산은 2024년, 비행 테스트는 2028년, 본격 생산은 2031년으로 예상된다.[2]
2021년 6월, 일본은 롤스로이스와의 엔진 개발 협력을 영국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50]
2022년 12월 9일, 일본, 영국, 이탈리아는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GCAP)'''을 출범시켜 공동 전투기를 개발, 배치하기로 발표했다. 이로써 일본 F-X 프로그램은 종료되었다.
카네기 국제평화 기금의 그레그 루빈스타인에 따르면, 미국과 일본은 스텔스 전투기 공동 개발에 서로 다른 접근 방식과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다. 미국은 작전 개념과 요구 성능을, 일본은 기술 개발과 산업 기반을 우선시했다. F-2의 유산도 논의에 영향을 미쳤다.[82]
영국과 일본의 군사 협력은 확대되어 왔으며, 공동 개발 논의는 개방적이고 유연하게 묘사되었다.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 EU 밖 파트너를 찾고, 일본은 미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원했다.
2019년 4월, 미국은 F-35 소프트웨어 일부를 일본에 공개할 의향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84][85][86]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은 일본이 BAE 시스템즈를 선택할 것을 우려하여 트럼프 행정부가 F-X 공동 개발 압력을 가했다.[87] 닛케이 아시안 리뷰는 2020년에 영국은 일본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하지만, 일본은 미국과의 동맹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88] 2020년 8월, 일본 방위상은 미국 및 영국과 정보 교환 중이라고 밝혔다.[92]
일본 차기 전투기 선정은 개발부터 퇴역까지 수조 엔 단위의 거대한 상업 거래였다. 2018년 7월, 록히드 마틴의 F-22와 F-35 결합, 보잉의 F-15 기반, BAE 시스템즈의 유로파이터 타이푼 기반 기체가 제안되었고, 록히드 마틴 안이 유력하게 거론되었다.[118]
2020년 말, 해외 협력 기업 선정이 예상되었고,[126] 미국, 영국과의 기술 제휴가 검토되었다.[127] 록히드 마틴, 보잉, BAE 시스템즈 3사로 압축되었다.[128][129]
2020년 12월, 방위성은 미쓰비시 중공업 지원 기업으로 록히드 마틴을 선정하는 방향으로 조정했다.[130][128][129] 록히드의 기술력과 F-2와 같은 블랙박스화 우려가 제기되었다.[129] 영국과는 엔진 및 레이더 개발 협력을 추진했다.[131]
2020년 12월, 방위성은 록히드 마틴으로부터 미션 시스템 통합 등 3가지 기술 지원을 받기로 했다. 미일 간 상호 운용성은 미국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하고, 엔진, 항공전자 장비 등은 미국 및 영국과 협의하기로 했다.[132]
2022년 5월, 개발 지원 기업을 록히드 마틴에서 BAE 시스템즈로 변경할 의향이 밝혀졌다.[133][134] 록히드 마틴의 소극적인 태도와 템페스트와의 개발 시기 및 장비 면에서의 유사성이 배경으로 지목되었다.[133]
2022년 7월, 영국은 일본, 이탈리아와 차기 전투기 개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135] 2022년 8월, 일영 차기 전투기 개발 계획 통합 및 공통 기체 개발 방향으로 최종 조정에 들어갔다.[136] 9월에는 이탈리아 참가가 검토되었다.[135][137]
2022년 12월 9일, 일본, 영국, 이탈리아는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GCAP)''' 하에 공동 전투기 개발 및 배치를 발표했다.[138] 일본은 미쓰비시 중공업이 주 계약자로 기체, IHI가 엔진, 미쓰비시 전기가 전자 장비를 담당한다. 영국은 BAE 시스템즈가 기체, 롤스로이스가 엔진, 레오나르도 S.p.A 영국 법인이 전자 장비를 담당한다. 이탈리아는 레오나르도 S.p.A와 아비오 에어로가 참여하고, MBDA도 미사일 개발에 참여한다. 2024년경까지 상세 개발 내용 및 비용 분담을 명확히 하고, 2030년경 생산 시작, 2035년 초도기 배치를 목표로 한다. 2023년부터 무인 항공기의 미국과의 공동 개발을 시작할 예정이다.[139]
2023년 12월 14일, 영·일·이 정부는 GCAP 관리 국제 기구 GIGO(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 정부 간 기구) 설립 조약에 서명했다.[140] 초대 수석 행정관은 일본인, 기업 공동체(JV) 초대 톱은 이탈리아인으로 결정되었다.[141][142] GIGO 본부는 영국에 설치된다.[143] 미쓰비시 중공업·BAE 시스템즈·레오나르도사가 JV를 설립하고 본사 기능을 영국에 두며, GIGO와 JV 톱은 수년마다 3개국이 교대로 맡는다.[144]
2. 5. 개발 주체
2020년 10월, 기시 노부오 방위대신은 미쓰비시 중공업을 F-3 개발 주체로 선정하고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96] 미쓰비시 전기, IHI, 가와사키 중공업, SUBARU, 도시바, 후지쯔, NEC 등 7개 회사가 개발에 참여한다.[123]미쓰비시 중공업은 전체적인 설계를 총괄하고, IHI는 엔진 개발, SUBARU와 가와사키 중공업은 기체 개발, 미쓰비시 전기는 전자전 장비 제어를 위한 미션 시스템 개발, 도시바, 후지쯔, NEC는 레이더를 포함한 전자 기기 개발을 담당한다. 200명이 넘는 개발 인력이 미쓰비시 중공업 고마키미나미 공장(아이치현 도요야마정)에 마련된 F-X 개발 센터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21년 5월과 2022년 5월에 각각 개발센터 1동과 2동이 준공되었으며, 향후 개발 인력은 500명 규모로 확대될 예정이다.[124][125]
2020년 말까지 해외 협력 기업 선정이 예상되었고[126], 미국 또는 영국과의 기술 제휴, 혹은 양국 모두와의 기술 제휴가 검토되었다.[127] 미국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보잉(Boeing), 영국 BAE 시스템스(BAE Systems) 3사가 구체적인 제휴 대상 후보로 거론되었다.[128][129]
2020년 12월, 방위성은 미쓰비시 중공업의 기술 개발을 지원할 해외 기업으로 록히드 마틴을 선정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130][128][129] 록히드 마틴은 F-22 랩터(F-22 Raptor)와 F-35 라이트닝 II(F-35 Lightning II) 등 스텔스 전투기 개발 경험이 풍부하고, F-35는 항공자위대에도 이미 도입된 기종이다. 따라서 록히드 마틴의 기술과 미쓰비시 X-2를 통해 축적된 일본의 기술이 결합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F-16 파이팅 팔콘(F-16 Fighting Falcon)을 기반으로 개발된 미쓰비시 F-2의 사례처럼, 미국과의 협력으로 인해 시스템 등 핵심 기술 정보가 블랙박스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129] 한편, 영국과는 엔진 및 레이더 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했으며, 템페스트(Tempest)를 개발 중인 BAE 시스템스나 롤스로이스 홀딩스(Rolls-Royce Holdings) 등이 협력 기업으로 거론되었다.[131]
2020년 12월, 방위성은 록히드 마틴으로부터 미션 시스템 통합, 기동성과 스텔스 성능의 조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설계 작업 등 3가지 기술 분야에서 지원을 받기로 했다. 또한, 미일 간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미국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하고, 엔진, 항공전자 장비 등 각 시스템에 대해서는 기술적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차원에서 미국 및 영국과 협의하기로 결정했다.[132]
그러나 2022년 5월, 복수의 정부 관계자는 기존 방침을 바꿔 개발 지원 기업을 록히드 마틴에서 BAE 시스템즈로 변경할 의향을 밝혔다.[133][134] 전문가들은 이러한 결정의 배경으로 미국의 차기 전투기 계획과의 연계성이 낮고, 미군이 유인 전투기 개발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는 등 록히드 마틴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점, BAE 시스템즈의 템페스트와 F-3 개발 시기가 거의 겹치고 장비 면에서도 영국과의 공동 개발 안건이 여러 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133]
2022년 7월 19일, 영국 정부는 일본 및 이탈리아와 차기 전투기 개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135] 2022년 8월 14일,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일본과 영국의 차기 전투기 개발 계획을 통합하여 공통 기체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136] 2022년 9월에는 BAE 시스템즈 템페스트 개발 계획에 영국과 협력 관계에 있고 F-35를 운용하는 이탈리아의 참여가 검토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135][137]
3. 설계
F-3 심신의 설계는 "구상 설계", "기본 설계", "상세 설계"의 세 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145]
- 구상 설계: 기체의 형상, 중량, 엔진 추력 간의 균형을 검토한다.
- 기본 설계: 기체의 형상과 구조를 결정하고, 주요 탑재 부품을 설계한다.
- 상세 설계: 기체 내부의 배선 및 제조 방법을 확정하고, 제조 도면을 작성한다.
F-3 심신 개발에는 X-2를 통해 검증된 스텔스 및 기동성 기술이 적용되었다.[103][104][105] 또한, 공기 흡입구, 웨폰 베이, 레돔 등 피탐지를 줄이기 위한 기술도 연구되었다.[106][107][108]
기체 구조 경량화를 위해 일체화・패스너리스 구조, 히트 쉴드 기술 등이 연구되었으며, "기체 구조 경량화 기술 연구(2014-2018)"를 통해 기존 기체 대비 경량화 및 유지 보수성 향상을 목표로 했다.[109][110]
엔진은 쌍발의 "고출력・슬림 엔진" 컨셉으로 개발된 XF9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 엔진은 안전성과 이중성을 유지하면서 고출력, 고기동을 달성하고, 슬림한 디자인으로 기체 용적을 늘려 무장, 아비오닉스, 연료 등을 더 많이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XF9는 F-22와 동등한 수준의 추력을 달성했으며, 향후 추력을 더욱 높일 예정이다. 또한, 고기동성 및 스텔스성 향상을 위해 전주 20도 추력 편향이 가능한 신형 노즐 연구도 진행 중이다.[111]
아비오닉스 기술과 관련해서는, 높은 운동성 확보를 위한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자기 수복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 "고운동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 "선진 기술 실증기(X-2)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포스트 스톨 기동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유압 계통을 전동 액추에이션 시스템으로 대체하여 경량화와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112] 또한, "전투기 등의 미션 시스템・통합에 관한 연구(2019-2025)"를 통해 대형기 테스트 베드를 사용한 검증이 진행 중이다.[113] 스텔스성을 유지하면서 목표를 탐지, 추적, 공격하기 위한 통합 화기관제 기술 연구와 기체와 일체화된 안테나를 사용한 RF 자기 방어 시스템 연구도 진행되었다.[114][115] 아비오닉스 냉각을 위한 신형 열 이송 시스템도 연구되었다.[116]
미래 전투기 실현을 위한 주요 기술 연구는 다음과 같다.[117]
연구 | 카테고리 | 연구 기간 | 개요 |
---|---|---|---|
X-2 선진 기술 실증기 | 스텔스 | 2009-2017 | 고운동 스텔스 실증 |
미래 전투기 기체 구상 연구 | 기체 구상 | 2011-2014 | 초보적인 개념 설계를 디지털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 |
미래 전투기의 기술적 성립성에 관한 연구 | 2015-2017 | F-2 후속기 개발의 가부를 판단하기 위해 가상 차량 시작 | |
기체 구조 경량화 기술 연구 | 기체 | 2014-2018 | 패스너리스 구조・히트 쉴드・해석 기법 등의 연구 |
컨포멀 레이더 시스템 연구 | 센서 | 1998-2003 | 기체 형상에 맞춘 레이더 |
다기능 RF 센서 연구 | 2002-2010 | 레이더, ECM, ESM, 통신의 기능을 갖춘 센서 시스템 | |
선진 통합 센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2010-2016 | 레이더와 IRST를 통합한 센서 시스템 | |
선진 RF 자기 방어 시뮬레이션 연구 | 아비오닉스 | 2013-2018 | 전자전 시뮬레이션 |
미래 아비오닉스 시스템 연구 시작 | 2002-2011 | 정보 통합 처리, 맨-머신 인터페이스 시작 | |
미래 HMD 시스템에 관한 연구 | -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연구. 2015년도 예산 미승인 | |
전동 액추에이션 기술 연구 | 2015-2019 | 유압을 전동 모터로 대체하여, 중량과 정비성을 개선 | |
전투기용 통합 화기관제 기술 연구 | 2012-2017 | 은닉 고속 데이터 링크를 통한 육해공과의 연계 전투 | |
적외선 영상의 고해상도 기술에 관한 연구 | 2012-2019 | 적외선 센서의 고성능화 | |
미래 미사일 경계 기술에 관한 연구 | 2012-2021 | 적외선을 사용하는 미사일 경계 시스템 연구 | |
미래 전투기용 소형 열 이송 시스템 연구 | 2016-2020 | 효율적인 베이퍼 사이클 시스템 연구 | |
전투기 등의 미션 시스템・통합에 관한 연구 | 2019-2025 | 전투기용 아비오닉스의 통합 | |
차세대 엔진 주요 구성 요소 연구 | 동력 | 2010-2015 | 엔진 코어부 연구 |
전투기용 엔진 요소 연구 | 2013-2017 | 엔진 코어부에 더하여 팬과 저압 터빈 연구 | |
전투기용 엔진 시스템 연구 | 2015-2019 | 실증 엔진 XF9 시작 | |
추력 편향 노즐에 관한 연구 | 2016-2020 | 전주 20도의 추력 편향 노즐 시작 | |
웨폰 내장화 공력 기술 연구 | 무장 | 2010-2015 | 병장 사출 시 공력 특성 연구 |
웨폰 릴리스・스텔스화 연구 | 2013-2017 | 웨폰 베이・런처 연구 |
3. 1. 개요
F-3 심신은 제공(制空) 달성을 위해 설계된 쌍발 스텔스 전투기이다. 일본 방위성의 용어에 따르면, F-3 심신이 갖추게 될 기술과 성능은 6세대 전투기로 분류될 것이다.[8]F-3 심신은 F-22보다 크다고 하며, 이 때문에 Aviation Week의 브래들리 페레트로부터 "고질라"라는 별명을 얻었다. 큰 크기는 방위성이 이 항공기가 매우 긴 항속 거리와 큰 탑재 능력을 갖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X-2 기술 시연기에서 테스트된 기술은 F-3 심신 전투기에 통합될 가능성이 높다.[51] 고노 다로 방위상은 F-3 심신이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갖추고 F-35보다 더 많은 미사일을 탑재할 것이라고 밝혔다.[52]
일본은 넓은 작전 범위와 큰 무장량을 원하고 있으며, 실제로 고노 다로 국방 장관은 F-X가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갖추고 F-35보다 더 많은 미사일을 운반할 것이라고 밝혔다.[150]
스텔스 항공기에 대한 감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F-X는 통합 센서를 사용하는데 AESA 레이더, 수동 무선 주파수 (RF)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가 포함된다. AESA 레이더 및 RF 센서는 모두 질화 갈륨을 사용하는데, F-X는 항공기, 공대공 미사일 및 지대공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RF '자체 방어'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위협에 대해 경고를 받고 전 방위적으로 전파를 방해함으로써 ESM과 ECM을 모두 수행한다. 통합 ESM 차체 안테나는 전투기의 날개와 꼬리 덮개를 따라 배치된다. 헬멧 장착형 디스플레이에는 넓은 시야, 쌍안, 다색 디스플레이, 음성 인식 및 3D 사운드가 있다.
레이더 단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F-X의 물리적 설계에는 구불구불한 공기 덕트와 내부 무기 베이가 있다.[151] 전자파 흡수제는 레이더 반사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덕트 및 엔진에 적용된다. 흡수체는 탄소계 물질이라고 한다. 수행된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흡수체에서 수행되는 RCS 감소는 레이더 위협의 탐지 범위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과 동등한 영향을 미친다. 메타 물질은 또한 전파를 반영하는데 사용된다. 메타 물질은 작은 금속 조각과 유전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물질로 구성된다. 메타 물질은 펄스 도플러 시스템 F-X에 탑재된 전파 반사 제어 기술의 일부로 레이더 방출을 피하기 위해 F-X는 수동 감지 사용을 극대화한다. 또한 센서 프로그램은 레이더 방출 중 카운터 감지 가능성을 줄이는 방식으로 방출을 작동한다. F-X는 플라즈마 스텔스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여 전파를 편향시킨다. 안테나는 전기적 제어를 통해 물리적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플라즈마 특성을 사용하여 임시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작동한다. 활성화된 동안 안테나는 또한 통신을 송수신 할 수 있다.
FX는 두 개의 XF9-1 엔진으로 구동된다. 엔진의 군사력은 11톤이며 최대 추진력은 15톤이다. XF9는 1800°C에서 높은 연소 온도를 가진다. XF9의 주목할 만한 점은 그 힘에 비해 얇은 크기다. 예를 들어, XF9의 엔진 흡입구는 F-2에 사용된 제너럴 일렉트릭 F110보다 30% 작다.[152] 슬림한 디자인은 항공기의 스텔스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무기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XF9의 큰 에너지 출력은 180kW이며 FX는 두 엔진 모두에서 360KW의 에너지를 받는다.[153] 전투기의 강력한 항공 전자 장치 및 장비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큰 에너지 생성이 필요하다. 스텔스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즐 엔진의 추력 벡터 노즐은 모든 원주 방향으로 추력을 최대 20도까지 편향시킬 수 있다.
일본은 F-X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무인 전투 항공기를 도입할 계획이다. 드론 프로그램의 이름은 전투 지원 무인 항공기라고 한다. 드론 프로그램은 크라토스 XQ-58 발키리 또는 보잉 공군 팀 시스템 프로젝트와 유사하며, 이 드론은 조종 항공기에 대한 "충성스러운 윙맨" 역할을 한다. 드론에는 두 가지 버전이 있다. 하나는 센서 운반대와 표적을 위한 스카우트이며, 다른 하나는 탄약을 발사하고 들어오는 미사일을 모체 항공기에서 멀어지게 한다. 두 버전 모두 서로 동일한 디자인을 공유한다. 드론은 2030년대에 완전히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154][155]
설계 과정에서 F-X의 개념 설계가 이루어진 다음, 3차원 디지털 모형 시스템을 거친다. 설계는 F-X의 예상 기능과 성능을 기반으로 하며, 그 후 기술연구본부에서 개발한 연구 비행/전투 시뮬레이터에 설치된다. 항공 전자 장비, 스텔스 및 엔진 특성에 대한 데이터가 시뮬레이터에 입력된 다음, 항공자위대 조종사에 의해 테스트된다. 공대공 전투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형 설계의 효율성과 개선 사항이 측정된다.[53]
전작에 비해 F-X는 기존 유압 시스템 대신 전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한다. 방위성의 평가에 따르면 유압 시스템 대신 전기 액추에이터를 선택한 이유는 스텔스 전투기 내부 설계의 복잡성 때문이다. 항공기의 스텔스 형상을 설계할 때 내부 무장창과 흡입 공기 덕트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강성 및 길이와 같은 설계 고려 사항으로 인해 유압 시스템 배관을 설치하는 데 문제가 발생한다. 전기 액추에이터를 채택하면 전기 배선으로만 연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약이 제거된다. 이는 설치가 간소화되고 제약이 줄어들어 항공기 본체 설계에 더 많은 유연성을 허용한다.[23] 다른 장점으로는 무게 감소 및 항공기 기동성 향상이 있다.[54] 전기 액추에이터는 전투기의 비행 제어 시스템 및 착륙 장치/휠 제동 시스템에 사용된다.[55]
F-X는 경량 차체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기술과 제조/설계 기법을 구현한다. 한 가지 방법은 접착 성형을 통해 복합 재료를 접착하여 고정 장치 사용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통합/고정 장치 없는 구조" 기술로 불린다. 방열판 기술은 엔진 주위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합금과 탄소 섬유 강화 폴리머(CFRP)를 적용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다. F-X에 사용되는 고효율/고정밀 구조 분석 기술은 컴퓨터 지원 설계(CAD)를 사용하여 유한 요소법(FEM) 모델을 생성하여 F-X에 대한 응력 분석 표준을 연구하고 만드는 것이다. F-X의 전작인 F-2는 통합 성형과 CFRP 재료를 도입하여 전체 무게를 줄였지만, 성형 기술은 날개 바닥판에만 적용되었으며, 주 날개 상판과 다른 영역에 고정 장치를 배치해야 했다. 이에 비해 F-X는 CFRP 및 접착 성형의 적용 범위를 전체 동체로 확장한다. 방위성의 연구에 따르면 새로운 설계 방법을 채택하면 F-X의 기체 구조 질량을 11.6% 줄일 수 있으며, 중간 동체의 일부에 대해 기존 방식에 비해 작업 시간을 66%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6][57]
항공 전자 장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을 처리하기 위해 F-X에는 공기 사이클 및 액체 냉각 시스템을 지원하는 소형 전용 열 전달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열 전달 시스템은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을 모델로 한다.[58]
전투기 개발 사업은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설계 단계는 "구상 설계", "기본 설계", "상세 설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차기 전투기도 예외는 아니며, 설계 단계의 각 단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145]。
- 기체의 형상, 중량, 엔진 추력의 트레이드 오프 검토 등을 실시한다.
- 기체의 형상과 구조를 결정하고, 주요 탑재 부품을 설계한다.
- 기체 내부의 배선 및 제조 방법을 확정하고, 제조 도면을 작성한다.
후술할 내용들은 전부 예상이므로, 실제 F-3과는 크게 차이가 날 가능성도 있다.
3. 2. 특징
F-3 심신은 제공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설계된 쌍발 스텔스 전투기이다. 일본 방위성은 F-3 심신에 적용될 기술과 성능을 6세대 전투기로 분류하고 있다.[8]F-22보다 더 큰 기체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일본이 넓은 작전 범위와 많은 무장 탑재량을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노 다로 당시 방위상은 F-3 심신이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갖추고 F-35보다 더 많은 미사일을 탑재할 것이라고 밝혔다.[150][52]
스텔스 항공기 탐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합 센서를 사용하며, 여기에는 AESA 레이더, 수동 무선 주파수(RF) 센서, 적외선 카메라가 포함된다. AESA 레이더와 RF 센서는 모두 질화 갈륨을 사용하여 성능을 높였다.[28] F-3 심신은 항공기, 공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RF '자체 방어'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위협에 대해 경고하고 전방위적으로 전파를 방해하여 ESM과 ECM을 모두 수행한다. 통합 ESM 동체 안테나는 전투기의 날개와 꼬리 덮개를 따라 배치된다.[17][59][60]
헬멧 장착형 디스플레이는 넓은 시야, 쌍안, 다색 디스플레이, 음성 인식 및 3D 음향 효과를 제공한다.[25][61]
레이더 단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F-3 심신의 물리적 설계에는 구불구불한 공기 덕트와 내부 무기 베이가 있다.[151][62] 전자파 흡수재는 레이더 반사량을 줄이기 위해 덕트 및 엔진에 적용되며, 탄소계 물질로 알려져 있다. 흡수재를 사용한 RCS 감소 효과는 레이더 위협의 탐지 범위를 절반으로 줄이는 것과 같다.[63] 메타물질은 전파를 반사하는 데 사용되며, 작은 금속 조각과 유전체를 포함한 다양한 물질로 구성된다.[64] 메타물질은 F-X에 탑재된 전파 반사 제어 기술의 일부로 펄스-도플러 레이더 시스템에 적용되었다.[65]
F-3 심신은 수동 감지 기술을 극대화하여 레이더 방출 탐지를 피한다. 센서 프로그램은 레이더 방출 시 반대 탐지 가능성을 줄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28]
플라즈마 스텔스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여 전파를 굴절시킨다. 이 안테나는 전기적 제어를 통해 물리적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플라즈마 특성을 이용하여 임시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작동하며, 활성화된 동안 통신을 송수신할 수 있다.[66]
F-3 심신은 두 개의 XF9 엔진으로 구동될 예정이다. 엔진의 군사력은 11톤, 최대 추진력은 15톤이다. XF9는 1800°C의 높은 연소 온도를 가진다. XF9의 주목할 만한 점은 힘에 비해 얇은 크기이다. 예를 들어 XF9의 엔진 흡입구는 F-2에 사용된 제너럴 일렉트릭 F110보다 30% 작다.[152][62] 슬림한 디자인은 항공기의 스텔스를 유지하기 위해 무기를 내부에 탑재하는 데 필요하다. XF9는 180kW의 대용량 전기 출력을 가지며, 두 엔진을 합쳐 360kW를 제공할 수 있다.[153][69] 이 대용량 에너지 생성은 전투기의 강력한 항공 전자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필요하다. 엔진의 3차원 추력 편향 노즐은 모든 원주 방향으로 최대 20도까지 추력을 편향시킬 수 있어 높은 기동성과 스텔스 기능을 향상시킨다.[70]
일본은 F-3 심신과 함께 운용할 수 있는 무인 전투 항공기를 도입할 계획이며, 이를 전투 지원 무인기라고 부른다. 이 드론 프로그램은 크라토스 XQ-58 발키리 또는 보잉 에어파워 티밍 시스템 프로젝트와 유사하게 드론이 조종 항공기의 "충실한 동반자" 역할을 한다. 드론에는 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센서를 탑재하여 표적을 정찰하고, 다른 하나는 탄약을 발사하여 모기(母機)로부터 접근하는 미사일을 유도한다. 두 버전 모두 동일한 설계를 공유하며, 2030년대까지 완전히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154][155][75][76]
차기 전투기에 관한 기술 연구는 2010년경부터 본격화되었다. 2010년 8월, 방위성은 "미래의 전투기에 관한 연구 개발 비전"을 발표하고,[99] 미래 전투기 컨셉 모델로서 "i3 FIGHTER"를 제시했다. i3 FIGHTER의 컨셉은 다음과 같다.
- 20년 후(2030년경) 실현
- 클라우드 슈팅
- 차세대 고출력 레이더
- 적을 능가하는 스텔스
- 차세대 고출력 슬림 엔진
- 전자전에 강한 플라이 바이 라이트
- 30-40년 후(2040-50년경) 실현
- 미래 자산과의 클라우드
- 라이트 스피드 웨폰
방위성은 이러한 컨셉을 바탕으로 미래 전투기를 위한 기술 연구를 추진했다.
2019년도 방위성 사전 평가에서, 미래 전투기는 육・해・공・우주의 각 유닛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네트워크화된 전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기술연구본부와 방위장비청은 차기 전투기 실현을 위해 다양한 요소 기술을 연구・개발했다. 스텔스실험용 항공기인 X-2는 2016년 4월 22일 첫 비행을 하고, 2017년 10월 31일까지 총 32회의 비행 시험을 실시하여 스텔스성 및 기동성을 검증했다.[103][104][105]
스텔스 기술에 대해, 공기 흡입구, 웨폰 베이, 레돔 등 피탐지를 피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었다.[106][107][108]
기체 구조 기술에 관해서는, 일체화・패스너리스 구조, 히트 쉴드 기술이 연구되었으며, "기체 구조 경량화 기술 연구(2014-2018)"에서는 기존 기체 대비 대폭적인 경량화, 리벳 사용 감소 등에 의한 유지 보수성 향상이 연구되었다.[109][110]
엔진 기술에 관해서는, 쌍발의 "고출력・슬림 엔진"이라는 컨셉 하에, XF9가 개발되었다. 이 컨셉은 쌍발로 안전성과 이중성을 유지하면서, 고출력으로 고기동을 달성하고, 슬림한 엔진으로 기체 용적 증가를 달성하여, 병장, 아비오닉스, 연료 등을 더 많이 탑재하는 것이다. XF9의 엔진 추력은 F-22와 동등한 수준을 달성했으며, 앞으로 더 추력을 높일 예정이며, 최첨단 전자 장비 장착에 필요한 강력한 발전 능력도 갖추고 있다. 또한, 고운동성, 스텔스성 향상을 목적으로 전주 20도의 추력 편향을 가능하게 하는 신형 노즐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2020년 4월 현재).[111]
아비오닉스 기술에 관해서는, 항공 우세 확보에 필요한 높은 운동성을 실현하기 위해, 비행 제어에 "자기 수복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 "고운동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 "선진 기술 실증기(X-2)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포스트 스톨 기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비행 제어와 관련해서는, 전동 액추에이션 기술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기체 조종에 사용되는 유압 계통을 전동 액추에이션 시스템으로 대체함으로써, 경량화와 유지 보수성 향상 효과를 연구했다.[112] 또한 "전투기 등의 미션 시스템・통합에 관한 연구(2019-2025)"에 의해 대형기 테스트 베드를 사용한 시작・검증이 진행 중이다(2019년 9월 현재).[113] 전투기용 통합 화기관제 기술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스텔스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목표를 탐지, 추적, 공격하기 위한 패시브 센싱을 시작으로, 탐지 역할(센서)과 발사 역할(슈터)의 은닉 링크・자원 관리까지 포함한 통합된 전투 시스템 연구가 이루어졌다.[114] 방어 면에서는 기체와 일체화된 안테나에 의한 전구 ESIM/ECM, 광대역 ESIM 등의 자기 방어 시스템을 통합한 RF 자기 방어 시스템이 연구되었다.[115] 이러한 아비오닉스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신형 열 이송 시스템이 연구되었다.[116]
연구 | 카테고리 | 연구 기간 | 개요 |
---|---|---|---|
X-2 선진 기술 실증기 | 스텔스 | 2009-2017 | 고운동 스텔스 실증 |
미래 전투기 기체 구상 연구 | 기체 구상 | 2011-2014 | 초보적인 개념 설계를 디지털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 |
미래 전투기의 기술적 성립성에 관한 연구 | 2015-2017 | F-2 후속기 개발의 가부를 판단하기 위해 가상 차량 시작 | |
기체 구조 경량화 기술 연구 | 기체 | 2014-2018 | 패스너리스 구조・히트 쉴드・해석 기법 등의 연구 |
컨포멀 레이더 시스템 연구 | 센서 | 1998-2003 | 기체 형상에 맞춘 레이더 |
다기능 RF 센서 연구 | 2002-2010 | 레이더, ECM, ESM, 통신의 기능을 갖춘 센서 시스템 | |
선진 통합 센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2010-2016 | 레이더와 IRST를 통합한 센서 시스템 | |
선진 RF 자기 방어 시뮬레이션 연구 | 아비오닉스 | 2013-2018 | 전자전 시뮬레이션 |
미래 아비오닉스 시스템 연구 시작 | 2002-2011 | 정보 통합 처리, 맨-머신 인터페이스 시작 | |
미래 HMD 시스템에 관한 연구 | -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연구. 2015년도 예산 미승인 | |
전동 액추에이션 기술 연구 | 2015-2019 | 유압을 전동 모터로 대체하여, 중량과 정비성을 개선 | |
전투기용 통합 화기관제 기술 연구 | 2012-2017 | 은닉 고속 데이터 링크를 통한 육해공과의 연계 전투 | |
적외선 영상의 고해상도 기술에 관한 연구 | 2012-2019 | 적외선 센서의 고성능화 | |
미래 미사일 경계 기술에 관한 연구 | 2012-2021 | 적외선을 사용하는 미사일 경계 시스템 연구 | |
미래 전투기용 소형 열 이송 시스템 연구 | 2016-2020 | 효율적인 베이퍼 사이클 시스템 연구 | |
전투기 등의 미션 시스템・통합에 관한 연구 | 2019-2025 | 전투기용 아비오닉스의 통합 | |
차세대 엔진 주요 구성 요소 연구 | 동력 | 2010-2015 | 엔진 코어부 연구 |
전투기용 엔진 요소 연구 | 2013-2017 | 엔진 코어부에 더하여 팬과 저압 터빈 연구 | |
전투기용 엔진 시스템 연구 | 2015-2019 | 실증 엔진 XF9 시작 | |
추력 편향 노즐에 관한 연구 | 2016-2020 | 전주 20도의 추력 편향 노즐 시작 | |
웨폰 내장화 공력 기술 연구 | 무장 | 2010-2015 | 병장 사출 시 공력 특성 연구 |
웨폰 릴리스・스텔스화 연구 | 2013-2017 | 웨폰 베이・런처 연구 |
3. 3. 무장
F-22보다 대형화된 크기를 가질 것이다. 일본이 넓은 작전 범위와 큰 무장량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고노 다로 국방 장관은 F-X가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갖추고 F-35보다 더 많은 미사일을 운반할 것이라고 밝혔다.[150]
ASM-3은 F-2가 퇴역함에 따라 F-X에서 사용하도록 개발되었다.[73] F-X는 접근하는 미사일을 교란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무기를 장착할 것이다.[18] 마이크로파 무기는 고효율 및 소형화가 가능한 전자관 증폭기를 사용하여 스텔스 전투기의 AESA 레이더에서 활성화된다.[74]
4. 연표
- 2000년대 이후: 일본은 늘어난 중국의 항공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신신(心神)'이라는 비공식 명칭이 붙은 본 프로젝트를 2008년 4월 공식 출범하기로 예정되었다.
- 2010년: 「미래의 전투기에 관한 연구 개발 비전」 공표
- 2016년: 실제 크기의 70% 미만의 실증기인 미쓰비시 ATD-X를 시험 비행하는데 성공해서 기술을 입증했다.
- 2018년: 국내 기업이 주도하는 개발 방침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 2019년: 차년도 예산부터 개발 개시가 승인되었다.
- 2020년
- 4월: 장비 개발관(차기 전투기 담당)이 설치되었다.
- 10월: 개발 주체로서 미쓰비시 중공업과 계약[97][147]
- 12월: 협력 해외 기업의 주 선정처로 록히드 마틴이 선정되었다.[130][128][148] 「차기 전투기 엔지니어링 팀(FXET: F-X Engineering Team)」이 발족되었다.[147]
- 2022년
- 5월: 협력 해외 기업의 주 선정처가 록히드 마틴에서 BAE 시스템스로 변경되어, 록히드 마틴은 미군기와의 통신용 시스템 링크 등에 관한 일부 협력에 머무르는 형태가 되었다.
- 7월 19일: 영국 정부는 일본, 이탈리아와 차기 전투기의 개발에 협력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135]
- 12월 9일: 일본, 영국, 이탈리아 3개국은 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GCAP)이라는 이름 아래 차기 전투기를 공동 개발한다고 발표했다.[138][149]
- 2023년 12월 14일: 영국, 일본, 이탈리아 정부는 GCAP의 관리 등을 수행할 국제 기구로서, GIGO(글로벌 전투 항공 프로그램 정부 간 기구) 설립 조약에 서명했다.[140] 그 당시 영국, 일본, 이탈리아 국방장관 회담에서, 초대 수석 행정관에 일본인, 기업 공동체(JV)의 초대 톱을 이탈리아인으로 하기로 했다.[141][142] GIGO의 본부는 영국에 설치된다.[143]
- 2024년: 개발 각사의 상세한 개발 내용 및 비용 부담이 명확해질 예정이다.[139]
- 2030년: 초호기 제조를 시작할 예정이다.[139]
- 2035년: F-2의 대체기로서 배치가 시작될 예정이다.[139]
5. 한국에 대한 영향
일본 정부는 F-3를 내수용 전투기로 보고 있으며, 예상 단가가 최소 0조원에 달해 GDP 10위권 밖의 국가는 경제적으로 도입하기 어렵다. G20 개발도상국 중 구매력 GDP가 높은 편인 인도네시아는 이미 대한민국의 KFX 사업에 참여하고 있어 일본의 수출 시장은 매우 제한적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Japan, Britain and Italy to build jet fighter together
https://www.reuters.[...]
2022-12-09
[2]
웹사이트
Japan unveils timeline for indigenous fighter jet program
https://www.defensen[...]
2020-07-09
[3]
웹사이트
Next-Generation Fighter Mitsubishi F-3 Stealth Future Fighter
https://www.globalse[...]
[4]
Nasdaq
Japan picks Mitsubishi Heavy to lead development of new stealth jet fighter
https://www.nasdaq.c[...]
[5]
웹사이트
Why Japan Chose Britain and Italy for Its F-X Fighter Program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2-12-09
[6]
뉴스
日英伊、次期戦闘機の共同開発で合意 2035年に配備開始
https://jp.reuters.c[...]
2022-12-09
[7]
웹사이트
H.Amdt.295 to H.R.2266
https://www.congress[...]
[8]
웹사이트
About "R & D Vision on Future Fighters"
https://warp.da.ndl.[...]
2010-08-25
[9]
웹사이트
将来の戦闘機に関する研究開発ビジョン
https://www.mod.go.j[...]
2010-08-25
[10]
뉴스
Tokyo to conclude X-2 programme in March 2018
https://www.flightgl[...]
2017-11-29
[11]
웹사이트
先進統合センサ・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arp.da.ndl.[...]
2009
[12]
웹사이트
ウェポン内装化空力技術の研究 (本文)
https://warp.da.ndl.[...]
2014
[13]
웹사이트
次世代エンジン主要構成要素の研究 (本文)
https://warp.da.ndl.[...]
2014
[14]
웹사이트
戦闘機用統合火器管制技術の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1
[15]
웹사이트
戦闘機用エンジン要素の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2
[16]
웹사이트
ウェポンリリース・ステルス化の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2
[17]
웹사이트
先進RF自己防御シミュレーションの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2
[18]
웹사이트
高出力マイクロ波技術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3
[19]
웹사이트
赤外線画像の高解像度技術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3
[20]
웹사이트
機体構造軽量化技術の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3
[21]
웹사이트
将来戦闘機の技術的成立性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4
[22]
웹사이트
戦闘機用エンジン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4
[23]
웹사이트
電動アクチュエーション技術の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4
[24]
웹사이트
ステルス戦闘機用レドーム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4
[25]
웹사이트
将来HMD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4
[26]
웹사이트
推力偏向ノズル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5
[27]
웹사이트
将来戦闘機用小型熱移送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 (本文)
https://www.mod.go.j[...]
2015
[28]
뉴스
フューチャーファイターのセンサーが使用開 (Future Fighter Sensors Take To The Air)
https://aviationweek[...]
2019-09-22
[29]
뉴스
将来戦闘機における英国との協力の可能性に係る 英共同スタディに関 する取決めの締結について
https://www.mod.go.j[...]
2017-03-16
[30]
뉴스
Japan and UK to Collaborate on Advanced Stealth Fighter Jet
https://thediplomat.[...]
2017-03-28
[31]
웹사이트
Exclusive: Japan's new advanced fighter may be based on existing foreign design – sources
https://www.reuters.[...]
2018-03-07
[32]
뉴스
Defense Ministry to develop own fighter jet to succeed F-2, may seek int'l project
https://mainichi.jp/[...]
2018-10-04
[33]
웹사이트
Exclusive: Lockheed Martin to propose stealthy hybrid of F-22 and F-35 for Japan – sources
https://www.reuters.[...]
2018-04-20
[34]
웹사이트
Lockheed offers Japan majority of work in plan for new fighter jet
https://asia.nikkei.[...]
2018-08-22
[35]
웹사이트
Exclusive: Northrop Grumman angles for role in Japanese stealth fighter program – sources
https://www.reuters.[...]
2018-07-06
[36]
웹사이트
Now Northrop Grumman Wants to Build Japan's New Fighter Jet
https://www.popularm[...]
2019-03-01
[37]
뉴스
Will Japan and the UK Collaborate on Sixth Generation Tempest Future Fighter Aircraft?
https://thediplomat.[...]
2020-05-09
[38]
웹사이트
Lockheed Martin's F-22, F-35 hybrid for Japan will cost $177 million instead of $133 million per aircraft
https://theaviationg[...]
2019-03-02
[39]
뉴스
Japan to Pursue Locally Developed Next Generation 'Future Fighter' Project
https://thediplomat.[...]
2020-05-09
[40]
뉴스
Japan to replace F-2 fighter with locally developed future fighter aircraft
https://www.asiapaci[...]
2020-05-09
[41]
뉴스
Japan to replace F-2 fighter with locally developed future fighter aircraft
https://www.asiapaci[...]
2020-05-23
[42]
뉴스
Japan to Start Developing Successor for F-2 Fighter in FY 2020
https://www.nippon.c[...]
2020-05-09
[43]
뉴스
Japanese MoD secures JPY11.1 billion for development of key parts for next-generation fighter aircraft
https://www.janes.co[...]
2020-05-09
[44]
뉴스
Japan prepares F-X partnership framework
https://www.janes.co[...]
2020-05-09
[45]
웹사이트
Defense Programs and Budget of Japan Overview of JFY2020 Budget
https://www.mod.go.j[...]
2020-05-09
[46]
뉴스
Exclusive: Japan favors home-grown design for next-generation fighter after rejecting foreign plans: sources
https://www.reuters.[...]
2020-05-09
[47]
뉴스
Update: Japan rejects foreign plans for next-generation fighter
https://www.janes.co[...]
2020-05-09
[48]
뉴스
Japan to launch team to develop new fighter jet
https://www.japantim[...]
2020-05-09
[49]
뉴스
Japan's Subaru sets up F-X technology unit
https://thaimilitary[...]
2020-05-09
[50]
웹사이트
Japón selecciona a Rolls-Royce para asistir en el desarrollo del motor para el F-X
https://www.aviacion[...]
2021-07-05
[51]
뉴스
Japan MoD Reveals New Concept for Next-Gen F-X 'Godzilla' Fighter
https://militaryleak[...]
2020-05-20
[52]
뉴스
'JASDF'S NEXT FIGHTER TO CARRY MORE MISSILES THAN F-35,' JAPAN'S DEFENSE MINISTER SAYS
https://theaviationg[...]
2020-05-19
[53]
웹사이트
将来戦闘機機体構想の研究
https://www.mod.go.j[...]
2020-05-28
[54]
웹사이트
電動アクチュエーション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 -高電圧電源システム-
https://www.mod.go.j[...]
2013-10-29
[55]
웹사이트
外部評価報告書 「電動アクチュエーション技術の研究」
https://www.mod.go.j[...]
2020-05-30
[56]
웹사이트
将来戦闘機に向けた軽量化機体構造に関する研究
https://www.mod.go.j[...]
2020-05-29
[57]
웹사이트
外部評価報告書 「機体構造軽量化技術の研究」
https://www.mod.go.j[...]
2020-05-30
[58]
웹사이트
外部評価報告書 「将来戦闘機用小型熱移送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
https://www.mod.go.j[...]
2020-05-30
[59]
웹사이트
先進RF自己防御シミュレーションの研究
https://www.mod.go.j[...]
2020-05-29
[60]
웹사이트
先進RF自己防御シミュレーションの研究 (参考)
https://www.mod.go.j[...]
2020-05-29
[61]
웹사이트
パイロットワークロード低減アビオニクスに関する研究 -三次元音響システム-
https://www.mod.go.j[...]
2020-05-29
[62]
웹사이트
Air Systems Research Center
https://www.mod.go.j[...]
2020-05-30
[63]
웹사이트
インテークダクト及びエンジンにおけるレーダ反射断面積の低減
https://www.mod.go.j[...]
2020-05-28
[64]
웹사이트
RCSの低減に寄与するメタマテリアル
https://www.mod.go.j[...]
2020-05-28
[65]
웹사이트
アクティブ電波反射制御技術
https://www.mod.go.j[...]
2020-05-29
[66]
웹사이트
プラズマステルスアンテナ技術の研究
https://www.mod.go.j[...]
2020-05-20
[67]
웹사이트
戦闘機用エンジンシステムの研究試作(プロトタイプエンジン)の納入について
https://www.mod.go.j[...]
Acquisition, Technology & Logistics Agency
2019-08-31
[68]
웹사이트
"「5.4.3.2.1…加速!」最大推力試験当日に奇跡は起きた - 国産戦闘機用エンジン「XF9-1」開発者インタビュー【後編】"
https://blogos.com/a[...]
2019-08-31
[69]
뉴스
ついに完成した世界最高水準の国産戦闘機用エンジン「XF9-1」- 日本のミリタリーテクノロジー 開発者インタビュー【前編】
https://blogos.com/a[...]
2020-05-30
[70]
웹사이트
外部評価報告書 「推力偏向ノズルの研究」
https://www.mod.go.j[...]
2020-05-30
[71]
웹사이트
Britain and Japan join forces on next-generation fighter engine
https://www.defensen[...]
2023-08-24
[72]
웹사이트
Global Combat Air Programme takes centre stage at DSEI Japan
https://www.gov.uk/g[...]
2023-08-24
[73]
뉴스
Defense Minister Press Conference: March 19, 2019 (09: 39-10: 05)
https://www.mod.go.j[...]
2020-05-28
[74]
웹사이트
高出力マイクロ波技術について
https://www.mod.go.j[...]
2020-05-29
[75]
뉴스
Japan Wants Combat Drones That Can Fly in Formation With Its Fighters
https://www.popularm[...]
2020-05-20
[76]
뉴스
Drone Wingmen for Japanese Fighter Jocks
https://warisboring.[...]
2020-05-20
[77]
뉴스
Japan's first stealth fighter
https://www.lowyinst[...]
2020-05-16
[78]
웹사이트
CO18193 {{!}} Japan's X-2 Fighter Program: Continuing Challenges
https://www.rsis.edu[...]
2020-05-16
[79]
뉴스
The complex history of Japan's plans for a domestically made fighter jet
https://www3.nhk.or.[...]
2020-05-16
[80]
웹사이트
JAPANESE STEALTH FIGHTER
http://www.sps-aviat[...]
2020-05-16
[81]
뉴스
LDP, Defense Ministry Tussle Over Plan for New Fighter Jet (excerpt)
http://www.defense-a[...]
2020-05-14
[82]
웹사이트
Japan's Future Fighter Program and the U.S.-Japan Alliance: Collaboration or Collision?
https://carnegieendo[...]
2020-05-16
[83]
뉴스
Japan faces challenges in developing next-generation fighter jet
https://www.japantim[...]
2020-05-18
[84]
뉴스
US Offers Japan Secret Info for Development of F-2's Successor Jet: Report
https://www.military[...]
2020-05-09
[85]
뉴스
Washington, Tokyo go deeper on F-3 tech transfer: report
https://www.flightgl[...]
2020-05-09
[86]
뉴스
Lockheed Offers Japan Access To F-35 Code As Part Of Stealth Fighter Proposal: Report
https://www.thedrive[...]
2020-05-09
[87]
뉴스
Donald Trump puts Tokyo under pressure to choose US fighter jet over rival BAE
https://www.ft.com/c[...]
2020-05-16
[88]
뉴스
US or UK? Japan nears decision on partner for next-gen fighter
https://asia.nikkei.[...]
2020-05-18
[89]
뉴스
Japan's next-gen fighter to be built with US, not UK
https://asia.nikkei.[...]
2020-05-18
[90]
뉴스
Japan Leaves Door Open to U.K. Partnership in Its F-X Fighter Program
https://dsm.forecast[...]
2020-05-18
[91]
뉴스
Fixed-Wing UK still in the game for Japan fighter partnership
https://www.flightgl[...]
2020-05-18
[92]
웹사이트
Japan widens foreign access to F-X fighter project
https://www.janes.co[...]
[93]
웹사이트
DEFENSE OF JAPAN 2019: Section 2 Military Trends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Japan
https://www.mod.go.j[...]
2020-05-16
[94]
뉴스
This Is Japan's New Stealth Jet
https://foreignpolic[...]
2020-05-16
[95]
뉴스
Japan backs homegrown stealth jet in aerospace industry revival
https://www.japantim[...]
2020-05-16
[96]
웹사이트
空自F2後継機となる次期戦闘機の開発計画案が明らかに――防衛省の文書を入手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0-07-08
[97]
웹사이트
次期戦闘機、三菱重工と正式契約 防衛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0-30
[98]
문서
我が国の防衛と予算 令和2年度予算の概要(案)
https://warp.da.ndl.[...]
防衛省
[99]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将来の戦闘機に関する研究開発ビジョン」について
https://warp.ndl.go.[...]
国立国会図書館
2010-08-25
[100]
웹사이트
ボーイング社の日本での歩み
https://www.boeing.j[...]
ボーイング
2024-04-20
[101]
웹사이트
Japan
https://www.f35.com/[...]
Lockheed Martin
2024-04-20
[102]
간행물
第5回 SJAC講演会を開催-将来戦闘機国内開発の早期立ち上げ-
http://www.sjac.or.j[...]
[103]
웹사이트
高運動飛行制御システムに関する研究(スケールモデル飛行試験)
https://web.archive.[...]
防衛省技術研究本部
2020-03-19
[104]
뉴스
先進技術実証機X-2、お役御免のその後は? 予定の試験を終了、もう飛ばないのか
https://trafficnews.[...]
乗り物ニュース
2017-11-25
[105]
웹사이트
外部評価報告書「先進技術実証機(高運動ステルス機)」
https://www.mod.go.j[...]
防衛装備庁
2020-02-23
[106]
PDF
ステルス戦闘機用レドームに関する研究
https://www.mod.go.j[...]
[107]
웹사이트
航空装備研究所
https://www.mod.go.j[...]
防衛装備庁
2020-02-23
[108]
PDF
ウェポンリリース・ステルス化の研究
https://www.mod.go.j[...]
[109]
PDF
機体構造軽量化技術の研究
https://www.mod.go.j[...]
[110]
웹사이트
年度別の評価結果
https://www.mod.go.j[...]
防衛装備庁
2020-02-23
[111]
PDF
推力偏向ノズルに関する研究
https://www.mod.go.j[...]
[112]
PDF
電動アクチュエーション技術の研究
https://www.mod.go.j[...]
[113]
PDF
戦闘機等のミッションシステム・インテグレーションに関する研究
https://www.mod.go.j[...]
[114]
PDF
戦闘機用統合火器管制技術の研究
https://www.mod.go.j[...]
[115]
PDF
先進RF自己防御シミュレーションの研究
https://www.mod.go.j[...]
[116]
PDF
外部評価報告書「将来戦闘機用小型熱移送システムの研究」
https://www.mod.go.j[...]
防衛省
[117]
웹사이트
研究開発を対象とする政策評価
https://www.soumu.go[...]
防衛省
2020-02-23
[118]
뉴스
F2戦闘機後継「高すぎる」国際共同開発に暗雲
読売新聞
[119]
웹사이트
「平成31年度以降に係る防衛計画の大綱について」及び「中期防衛力整備計画(平成31年度#転送 平成35年度)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防衛省・自衛隊
2020-04-02
[120]
문서
中期防衛力整備計画(平成31年度#転送 平成35年度)について
https://www.mod.go.j[...]
[121]
웹사이트
次期戦闘機、防衛省がロッキードマーティン提案のF22とF35ベースのハイブリッド型を断る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0-04-02
[122]
웹사이트
令和元年度 政策評価書 事前の事業評価 次期戦闘機(本文)
https://warp.da.ndl.[...]
国立国会図書館
2022-11-03
[123]
뉴스
空自の次期戦闘機開発 三菱重工業など国内企業8社で共同設計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1-03-15
[124]
웹사이트
次期戦闘機、川重・NECも参加
https://www.nikkei.c[...]
2022-08-20
[125]
웹사이트
国内頭脳集団集う三菱「F-X開発センター」
https://www.jwing.ne[...]
航空新聞社
2022-09-29
[126]
뉴스
防衛大臣記者会見
https://www.mod.go.j[...]
防衛省
2020-12-12
[127]
뉴스
F2戦闘機後継、米英と協力へ 政府、分野ごとの連携も
https://web.archive.[...]
ノアドット
2020-12-12
[128]
뉴스
F2後継機は日米で開発…ロッキード社、三菱重工を技術支援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0-12-12
[129]
뉴스
次期戦闘機開発、ロッキードで調整 外国支援企業で防衛省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20-12-12
[130]
뉴스
ロッキード社が技術支援へ 次期戦闘機開発で―防衛省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0-12-12
[131]
뉴스
次期戦闘機、英とも部品協力 米とは相互運用研究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0-12-17
[132]
웹사이트
次期戦闘機 (F-X) のインテグレーション支援に係る情報収集の結果及び次期戦闘機の開発に係る国際協力の方向性について
https://www.mod.go.j[...]
防衛省
2022-08-20
[133]
뉴스
次期戦闘機、日米→日英共同開発に転換する理由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22-05-17
[134]
뉴스
<独自>次期戦闘機、日英共同開発へ BAEと協力、伊も参加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05-14
[135]
뉴스
日英伊が次期戦闘機開発で協力 年末までに具体策(写真=AP)
https://www.nikkei.c[...]
2022-07-19
[136]
뉴스
空自の次期戦闘機、イギリスと共通機体で開発…輸出視野に防衛装備移転3原則の改定検討
https://www.yomiuri.[...]
2022-08-16
[137]
웹사이트
航空自衛隊の次期戦闘機 イギリスと共通の機体開発で調整
https://web.archive.[...]
2022-09-05
[138]
웹사이트
次期戦闘機の共同開発について
https://www.mod.go.j[...]
日本国防衛省報道資料
2022-12-20
[139]
웹사이트
日英伊、次期戦闘機の共同開発で合意 2035年に配備開始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2-12-09
[140]
웹사이트
「グローバル戦闘航空プログラム(GCAP)政府間機関の設立に関する条約」の署名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5-01
[141]
웹사이트
GCAP 三カ国防衛大臣共同声明
https://www.mod.go.j[...]
防衛省
2024-05-20
[142]
웹사이트
開発機関トップに日本人 戦闘機計画で日英伊合意: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4-05-01
[143]
웹사이트
GIGO設立条約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05-01
[144]
웹사이트
日英伊の次期戦闘機開発、日本人トップに共同機関設置へ…35年度配備へ民間連携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3-09-26
[145]
웹사이트
資料2 「防衛産業と民生の共生に向けて」(防衛装備庁)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23-12-10
[146]
웹사이트
防衛省・自衛隊 これまでの予算の概要
https://www.mod.go.j[...]
防衛省
2023-11-28
[147]
웹사이트
令和3年版防衛白書|<VOICE>次期戦闘機開発着手
https://www.mod.go.j[...]
防衛省
2022-01-24
[148]
뉴스
次期戦闘機、支援企業にロッキード発表 国産主導40年ぶり 15年後配備目指す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20-12-18
[149]
뉴스
日英伊が次期戦闘機を共同開発へ 第三国への輸出も目指す
https://mainichi.jp/[...]
2022-12-09
[150]
웹인용
‘JASDF's next fighter to carry more missiles than F-35,’ Japan’s defense minister says
https://theaviationg[...]
2020-07-15
[151]
웹인용
Acquisition, Technology & Logistics Agency : Air Systems Research Center
https://www.mod.go.j[...]
2020-07-15
[152]
웹인용
Acquisition, Technology & Logistics Agency : Air Systems Research Center
https://www.mod.go.j[...]
2020-07-15
[153]
웹인용
ついに完成した世界最高水準の国産戦闘機用エンジン「XF9-1」- 日本のミリタリーテクノロジー 開発者インタビュー【前編】
https://blogos.com/o[...]
2020-07-15
[154]
웹인용
Japan Unveils Plan for Pilotless Combat Aircraft to Support Fighters
https://www.popularm[...]
2020-07-15
[155]
웹인용
Drone Wingmen for Japanese Fighter Jocks
https://warisboring.[...]
2020-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