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리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리코스는 특정 교회 조직의 수좌 주교 또는 중요한 교구의 주교가 갖는 칭호로, 독립 자치 교회의 총대주교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칭호는 동방 정교회, 동방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등에서 사용되며, 총대주교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가톨리코스는 역사적으로 로마 제국의 변방 속주들을 통치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다양한 동방 교회에서 그 지위를 계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칭호 - 교황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지도자이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로서,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 여겨지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의 행정, 사법, 입법 등을 총괄하고, 그의 지위와 권위에 대한 해석은 가톨릭교회 내외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 기독교의 칭호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로서 역사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가지며, 공의회를 통해 로마 주교 다음가는 지위를 확보하고 세계 총대주교 칭호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대 룸 밀레트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한 후 권한이 축소되었고, 현재 튀르키예 정부의 제한과 정교회 내부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가톨리코스 |
---|
2. 명칭의 유래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교회 지방의 수가 최소한 셋을 넘어야 관할권이 부여되도록 정해졌고, 그 이후 교회는 여섯 교회법을 따랐다. 이후 가톨리코스 칭호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와 상용하게 되었다.[23] 가톨리코이의 지위는 주로 로마 제국의 변방 속주들을 통치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가톨리코이가 안티오키아와 실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관계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교회 지방의 수가 최소한 셋을 넘어야 관할권이 부여되도록 정했고, 그 이후 교회는 여섯 교회법을 따랐다. 가톨리코스 칭호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와 상용하게 되었다.[23] 가톨리코스(가톨리코이)의 지위는 주로 로마 제국의 변방 속주들을 통치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성직에서 가톨리코스 명칭의 사용은 4세기에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리코스에 의해 가장 먼저 사용되었다.[21] 얼마 후, 이 명칭은 동방 교회의 수장이 된 페르시아의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주교에 의해 채택되었다. 처음에는 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주교가 다른 주교좌직 보다 상급이며 (후일에 사용된 용어) ''파트리아르케스''(총대주교)의 권리는 파파 바 가가이 (또는 ''아가이'', 317~329년) 총대주교에 의해 제정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5세기에 이 주장은 강력해졌고 이사악 (또는 ''이샤크'' 399년~410년경)은 셀레우키아크테시폰 공의회를 열었고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주교'', ''가톨리코스'' 그리고 ''모든 동방 주교들의 수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24]
가톨리코스는 가톨릭의 유래라고도 하며,[25] 현재는 동방 정교회, 동방 교회의 '''독립 자치 교회의 총주교'''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된다.
4세기 초에 알바니아와 조지아 (이베리아)가 기독교로 개종했고, 이 두 나라의 주교들은 가톨리코스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 어느 쪽도 자치 교회는 아니었다. 6세기 말 또는 7세기 초에 조지아 가톨리코스는 독립을 주장하고 동방 정교회를 받아들였다. 1783년 조지아는 가톨리코스 직을 폐지하고 러시아 성무회의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1801년에는 정치적으로 러시아에 통합되었다. 알바니아 가톨리코스는 6세기 말의 짧은 분열을 제외하고는 아르메니아 교회에 충실했다. 7세기 이후 알바니아의 가톨리코스에 대한 언급은 없다.
3. 동방
성직에서 가톨리코스 명칭의 사용은 4세기에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아르메니아 가톨리코스에 의해 가장 먼저 사용되었다.[21] 얼마 후, 그 명칭은 동방 교회의 수장이 된 페르시아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주교에 의해 채택되었다. 5세기 셀레우키아크테시폰 공의회에서 ''셀레우키아크테시폰 주교'', ''가톨리코스'', ''모든 동방 주교들의 수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24] 가톨리코스의 칭호 체계는 동방 교회를 성립되게 했으며 동방 시리아 전례가 발전하게 했다.
카톨리코스는 가톨릭의 유래라고도 하며,[25] 현재는 동방 정교회, 동방 교회의 '''독립 자치 교회의 총주교'''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된다.
정교회에서는 그루지야 정교회의 수좌주교인 전 그루지야의 카톨리코스 총대주교가 이 칭호를 가지고 있다. 비칼케돈파 정교회인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시리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에도 "카톨리코스" 칭호를 가진 주교가 존재하며, 동방 가톨릭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에도 "카톨리코스" 칭호를 가진 주교(사교)가 존재한다.
3. 1. 동방 시리아 전례의 자치 독립 교단
동방 시리아 전례의 자치 독립 교단들은 동방 교회로부터 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동방 가톨리코스 계승을 필요로 했다. 이들은 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동방 가톨리코스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동방 교회에서 계승되었다고 주장한다. 서방 세계에서는 이들을 ''네스토리우스파''라고 불렀지만, 1976년 딘카 4세에 의해 이 용어는 공식적으로 부인되었다.[1]
3. 1. 1. 아시리아 동방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가장 오래된 기독교 교단 중 하나로, 16세기에 칼데아 교회에서 분리된 페르시아 교회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역사적인 동방 교회를 현시대에 계승하고 있다. 이 교단은 성 토마스 사도(토오마 실리카)와 성 아다이, 성 마리가 33년에 아다이 교리를 주장하며 성립된 메소포타미아 중부의 셀레우키아-크테시폰의 전통을 계승한다.[24]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오리엔트 정교회 및 동방 정교회와는 별개의 교단이다. 공식 문서에서 "정통의"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정확한 믿음" 또는 "정확한 교리"와 같이 "정통 신앙"으로 번역될 수 있는 단어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거룩한(Holy)", "보편된(Catholic)", "사도의(Apostolic)"라는 형용사를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과 일치하도록 공식 명칭에 추가했다. 인도에서는 칼데아 시리아교회라고 더 자주 불리며, 서방 교회에서는 네스토리우스 교회라고도 불리지만, 교회는 이 용어를 경멸적으로 여기며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아시리아 교회 신학의 설립자들은 타르수스의 디오도루스와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로, 이들은 안티오키아에서 신학을 가르쳤다. 아시리아 교회의 규범적인 그리스도론은 바바이 대제(551~628년)가 작성했으며, 네스토리우스의 신학과는 명백한 차이가 있다. 바바이 대제는 그의 주요 그리스도론 작품인 "연방의 책"에서 성삼위일체의 본질 또는 위격은 섞임 없이 순수하며 한 사람(parsopa)인 그리스도와 일치한다고 가르쳤다.
딘카 4세에 이어, 마 아와 3세가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현임 가톨리코스-총대주교이다.
3. 1. 2. 고대 동방 교회
아다이 2세는 1960년대 아시리아 동방 교회에서 분리된 동방 고대교회의 가톨리코스이다.[1][2]
3. 2. 동시리아 전례의 동방 가톨릭교회
동시리아 전례의 동방 가톨릭교회는 동방 교회의 셀레우키아크테시폰 가톨리코스의 계승을 요구한다.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는 "가톨리코스" 칭호를 사용한다. 칼데아 가톨릭 교회는 교황과 완전한 친교를 이루고 있으며, 현재는 "총대주교"라는 칭호만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10]
3. 2. 1. 칼데아 가톨릭교회
엠마누엘 3세 델리는 교황과 세계적으로 친교하는 동방 칼데아 가톨릭교회의 가톨리코스-파트리아르츠이다.
칼데아 가톨릭교회는 가톨릭교회의 동방 교회로 로마의 주교와 다른 가톨릭 교회들과 세계 친교를 지속하고 있다. 동방 교회는 역사적으로 유래되며 16세기에 아시리아 동방 교회에 이어 독립 교단을 이루었다. 칼데아 가톨릭 교회는 현재 250만 명의 칼데아 기독교인들이 있다고 추산된다. 그들은 민족적으로 아시리아인으로 이전에 이라크의 토착민인 칼데아 아시리아인으로 알려졌으며 고대 메소포타미아/아시리아에서 유래했다. 그들은 아람어를 모국어로 보존한다.
칼데아 가톨릭 교회(동 시리아 전례의)는 교황과 완전한 친교를 이루고 있다. 비록 초기에는 대교구장 겸 가톨리코스, 후에는 총대주교(동방 교회#조직과 구조 참조)의 칭호를 사용했던 역사적인 동방 교회에서 유래되었지만, 현재는 "총대주교"라는 칭호만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10]
현재, 루이 라파엘 I 사코가 칼데아 바빌론 총대주교이다.[11][12]
3. 3. 서방 시리아 가톨릭 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가톨릭 교회는 서방 시리아 전통의 오리엔트 가톨릭 교회에서 주대주교 가톨리코스를 계승했다.[26] 가톨리코스는 특정 교회 조직의 수좌주교나 중요한 교구의 주교가 보유하는 칭호이다. 총대주교와 함께 칭호를 보유하는 경우도 있고, 가톨리코스 칭호만 가지는 경우도 있다.
3. 3. 1. 말랑카라 시리아 가톨릭 교회
말랑카라 시리아 가톨릭 교회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좌 전통에 따라 2005년에 주대주교 교회로 승격되면서 주대주교 가톨리코스 칭호를 받았다.[27] 현재 말랑카라 시리아 가톨릭 교회의 주대주교 가톨리코스는 모란 모르 바셀리오스 클레에미스이다.[28]
3. 4. 오리엔트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에서는 시리아 정교회, 말랑카라 정통 시리아 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히도 교회에서 가톨리코스 칭호를 사용한다.3. 4. 1. 시리아 정교회
6세기, 야코부스 바라다이우스를 시작으로 시리아 정교회의 체계는 동방 교회 수좌 주교구에 속하지 않는 이라크의 기독교인들을 위하여 세워졌다. 중요한 감독은 티크리트에 위치해 있으며 서방 시리아 전례를 사용한다. 그 체계의 첫 번째 수장은 ''대 메트로폴리탄'' 아후데메흐(559~575)였다. 약 7세기부터 사용된 그 수장의 칭호는 마프리안(또는 마프리아노)였다. 12세기에 감독원은 모술로 이전했고 13세기에 그 칭호는 동방 가톨리코스가 되었다. 티무르의 대학살 이후에, 마프리안은 페르시아를 떠날 것을 강요받았고 그 칭호는 시리아 정교회의 총대주교(파트리아르케스)를 계승하는 이름뿐인 권한을 지니는 일반적인 목사(vicar)의 칭호로 사용되었다.[29]
7세기에는 페르시아에 살던 시리아 정교회 기독교인들이 페르시아의 시리아 정교회 기독교 공동체의 수장이었던 가톨리코스/마프리안에게 이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직위는 1860년에 폐지되었다가 1964년 인도에서 부활할 때까지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다음으로 시리아 정교회 계급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직위였다.
오늘날, 이 칭호는 야곱 시리아 기독교 교회의 인도 가톨리코스/마프리안 또는 인도 가톨리코스로 알려져 있으며, 케랄라 코치 근처 푸텐크루즈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이그나티우스 아프렘 2세 안티오키아 총대주교가 수장으로 있는 안티오키아 시리아 정교회의 핵심 분파이다. 현재 교회의 가톨리코스는 바실리오스 토마스 1세이다.
3. 4. 2. 말랑카라 정통 시리아 교회
인도 케랄라 지역의 많은 기독교인들은 동방 교회와 교류해 왔으며, 16세기 후반부터 포르투갈 통제 하에 있던 말라바르 교회를 떠나기로 결정하고 스스로 시리아 정교회의 체계 안에 들어갔다. 그들은 동방 시리아 전례를 사용했었지만 대신 서방 시리아 전례를 채택했다. 인도의 교회 체계에서 ''동방 가톨리코스''라는 칭호는 20세기부터 사용되었다. 그 이후의 정교회 수장은 동방 가톨리코스의 계승을 주장했다.
동방 가톨리코스 바셀리오스 마르토마 디디무스 1세는 말랑카라(인도) 정통 시리아 교회의 현재 가톨리코스였다.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인도 정교회)의 [http://mosc.in/wp-content/uploads/2015/05/MOSC-Constitution.pdf 헌법]에 따르면, 수장 또는 수위는 동방 가톨리코스와 말란카라 관구장이라는 칭호를 사용한다. 이 교회는 케랄라 코타얌 인근 데바로캄에 기반을 두고 있다. 2021년 현재 수장은 바실리오스 마르토마 마태오 3세이다. 그는 인도로 이전된 이후 동방의 9번째 가톨리코스이며, 성 토마스의 사도좌의 92번째 수위이다.[8]
3. 4. 3.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히도 교회
1959년,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에 자율 수장권을 부여했다. 아부나 바실리오스는 콥트의 교황 키릴 6세에 의해 1959년 6월 28일 카이로의 성 마르코스 대성당에서 에티오피아 교회의 초대 총대주교-가톨리코스로 축성되었다. 그의 칭호는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이자 가톨리코스, 성 테클레 하이마노트 관구의 이체게, 악숨 대주교"이다.[1]
비칼케돈파인 에티오피아 정교회에는 "카톨리코스" 칭호를 가진 주교가 존재한다. "카톨리코스"와 "총대주교(Patriarch)" 칭호가 조합된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 카톨리코스(Patriarch and Catholicos of Ethiopia)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수좌주교이다.[2]
4. 아르메니아의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가톨리코스 칭호를 사용한다. 19세기까지 간자사르 가톨리코스(알바니아 가톨리코스라고도 함)와 아흐타마르 가톨리코스[7]도 존재했다.
4. 1.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가톨리코스 칭호를 사용한다.[30]에치미아진 가톨리코스는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최고 성령 회의를 주재하며, 전 세계 700만 명의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신자들의 수장이다.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에치미아진 가톨리코스(전 아르메니아 가톨리코스)[6]: 현 가톨리코스는 카레킨 2세이다.
- 실리시아 대가문의 가톨리코사테(1441년~): 레바논 안텔리아스에 있으며, 현 가톨리코스는 아람 1세이다.
에치미아진 가톨리코사테의 명예 최고권은 실리시아 가톨리코사테에서 언제나 인정한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에는 에치미아진 최고 가톨리코스와 킬리키아 가톨리코스, 두 명의 가톨리코스가 있다. 에치미아진 가톨리코스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최고 영적 위원회를 주재하며, 전 세계 700만 명의 아르메니아 사도교 신자들의 수장이다. 에치미아진 가톨리코스의 명예 서열은 킬리키아 가톨리코스청에서도 항상 인정받아 왔다.
4. 2.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는 교황과 완전한 일치를 이루는 아르메니아 전례 가톨릭 교회이다.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의 수장은 "가톨리코스"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공식적으로는 "실리시아 가문의 파트리아르츠-가톨리코스"로 불린다.[9]2022년 3월 14일 기준으로, 라파엘 베드로스 21세 미나시안이 아르메니아 가톨릭 교회의 가톨리코스-총대주교이며, 그의 공식적인 전체 칭호는 "''킬리키아 관구 가톨리코스-총대주교''"이다.[10]
5. 이베리아
가톨리코스 칭호는 조지아 정교회에서도 사용되며, 그 칭호를 지닌 사람은 전 조지아 가톨리코스-총대주교가 된다.
5. 1. 조지아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에서 가톨리코스 칭호를 사용하며, 교회의 수장은 전 조지아 가톨리코스-총대주교라는 칭호를 사용한다. 일리아 2세는 현재 조지아 정교회의 가톨리코스이다.6. 코카서스 알바니아
역사적으로 가톨리코스의 칭호는 코카서스 알바니아의 최고 주교가 사용하기도 했다. 이슬람의 침입으로 그 교회는 유린되었고 결국 그 지방은 에츠미아친의 가톨리코스에 속하게 되었다.[1]
참조
[1]
문서
Wigram, p. 91.
[2]
문서
The Motu Proprio Cleri Sanctitati Canon 335
[3]
웹사이트
Catholicos | Greek religious title
https://www.britanni[...]
[4]
간행물
Catholicos
[5]
서적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2-22
[6]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Armenian Church
http://66.208.37.78/[...]
[7]
학술지
Dispersion History and the Polycentric Nation։ The Role of Simeon Yerevantsi's Girk or Koči partavčar in the 18th Century Nation Revival
https://www.academia[...]
2004
[8]
웹사이트
H.H. Baselios Marthoma Mathews III, The Ninth Catholicos of the East in Malankara
https://mosc.in/holy[...]
2022-03-03
[9]
웹사이트
His Beatitude Nerses Bedros XIX Catholicos Patriarch of Cilicia of Armenian Catholics
http://www.armenianc[...]
[10]
웹사이트
List of patriarchs, other Christian leaders who gathered with Pope Francis in Bari | News Headlines
https://www.catholic[...]
[11]
웹사이트
SAKO Card. Louis Raphaël
https://press.vatica[...]
[12]
웹사이트
Major Arch Bishop Alencheril Mar Giwargis II Bava-The Patriarch of Syro Malabar Church and the Gate of All India- A Discussion on the Historical Hierarchical Status of the Church of Saint Thomas Christians
http://www.nasrani.n[...]
2011-06-08
[13]
학술지
THE CATHOLIC CHURCH IN INDIA (fourth edition)
https://www.academia[...]
2019-01-01
[14]
웹사이트
THOTTUNKAL Card. Baselios Cleemis
https://press.vatica[...]
[15]
웹사이트
Kerala Catholic Bishops' Council: Syro-Malankara Church
http://kcbcsite.com/[...]
[16]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6-11-10
[17]
서적
Eleven Cardinals Speak: Essays from a Pastoral Viewpoint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18]
서적
新約ギリシヤ語辞典
山本書店
2006-05-11
[19]
서적
現代ギリシア語辞典
リーベル出版
1992-09-01
[20]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21]
문서
Wigram, p. 91.
[22]
문서
The Motu Proprio Cleri Sanctitati Canon 335
[23]
웹사이트
text of canon 6 of the First Council of Nicaea
http://www.fourthcen[...]
[24]
서적
http://books.google.[...]
2010-10-11
[25]
뉴스
http://www.koreadail[...]
중앙일보
2010-10-11
[26]
문서
PLACIDIUS A.S. Ioseph, T.O. C. D., De Fontibus Juris ecclesiastici Syro-Malankarensium commentarius historioco-canonicus, Typis Polygnotis Vaticanis, 1937; PLACIDIUS A.S. Ioseph, T.O. C. D., Fontes Iuris Canonici Syro-Malankarensium, Typis Polygnotis Vaticanis, 1939
[27]
문서
Motu Proprio Cleri Sanctitati, can. 335
[28]
웹사이트
Syro-Malankara Catholic Church Church sui iuris: Juridical Satus and Power of Governance by Thomas Kuzhinapurath
http://www.scribd.co[...]
[29]
서적
The Rites of Eastern Christendom
http://books.google.[...]
2010-10-11
[30]
웹인용
http://66.208.37.78/[...]
2011-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