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막고리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막고리뼈는 척추동물의 눈을 지지하는 뼈 또는 연골 조직으로, 포유류와 원구류를 제외한 조기강, 파충류, 조류 등에서 발견된다. 파충류 중 뱀, 악어목, 뱀아목, 미트아목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어류는 경골어류에서만 공막고리를 유지한다. 공막고리뼈는 안구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과 함께, 동물의 일주기 활동, 즉 주행성, 야행성 여부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화석 공막고리뼈 분석을 통해 중생대 원룡류의 활동 시간대를 추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추동물해부학 - 등지느러미
등지느러미는 수생 척추동물의 등 중앙선에 위치하여 몸의 좌우 기울임을 방지하고 방향 전환을 돕는 짝을 이루지 않는 지느러미이며, 일부 어종은 추진력, 먹이 유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종을 식별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 척추동물해부학 - 총배설강
총배설강은 동물의 배설물, 생식세포, 배설물을 배출하는 단일 개구부이며, 조류는 짝짓기에 사용하고, 일부 거북이는 호흡에 사용하며, 포유류는 발생 과정에서 형성되나 성체에서는 분리되어 있다. - 공룡해부학 - 뿔
뿔은 다양한 동물의 머리에 생기는 돌기로, 특히 포유류와 곤충에서 흔히 발견되며 무기, 지위 경쟁, 짝짓기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 공룡해부학 - 모이주머니
모이주머니는 곤충과 조류의 소화 기관에 있는 근육 주머니로, 곤충은 액체 음식 저장 및 영양 교환, 조류는 모이주머니유 생성과 같이 종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문학 및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공막고리뼈 | |
|---|---|
| 개요 | |
![]() | |
| 설명 | 눈을 지지하는 뼈 고리 |
| 발견 위치 | 조류 어류 파충류 일부 공룡 |
| 기타 명칭 | 공막륜(鞏膜輪), 강막환(强膜環) |
| 상세 정보 | |
| 기능 | 눈의 형태를 유지하고, 특히 수중 압력이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함. |
| 구성 | 여러 개의 작은 뼈 조각으로 구성됨. 조류에서는 보통 14개, 일부 파충류에서는 10개 이상의 조각으로 이루어짐. |
| 존재 | 현생 조류, 파충류, 어류에서 발견됨. 멸종된 어룡과 일부 공룡에서도 발견됨. |
| 크기 및 형태 | 종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다양함. 올빼미와 같이 큰 눈을 가진 동물에서 특히 발달됨. 심해 어류와 같이 빛이 부족한 환경에 사는 동물에서도 발달됨. |
| 진화적 중요성 | 고생물학 연구에서 멸종된 종의 생태 및 행동 양식을 추론하는 데 사용됨. |
| 강막륜의 기원 | 연골성 강막에서 기원함. 일부 종에서는 뼈로 대체되기도 함. |
| 고생물학적 의미 | 멸종된 동물의 시력, 생활 방식, 먹이 습관 등을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줌. 예를 들어, 공막고리의 크기는 동물이 주로 활동하는 시간대를 나타낼 수 있음. |
| 추가 정보 | 어룡의 공막고리는 매우 커서 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함. 공막고리의 형태는 동물의 시력 유형(예: 양안 시력, 단안 시력)을 나타낼 수 있음. |
2. 계통
척추동물의 진화 과정에서 많은 계통에서 뼈 조직 또는 연골 조직으로 안구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 종이 나타났지만, 포유류와 원구류에서는 그러한 구조를 가진 종은 알려져 있지 않다[10]。
현존하는 동물 중에서 공막고리뼈가 비교적 잘 관찰되는 것은 조기강, 파충류, 조류 등이다[10]。 양서류 화석 종 중에는 다수의 공막고리뼈를 가진 종이 존재했다.
2. 1. 파충류
인룡류(뱀, 도마뱀, 투아타라 및 그 친척) 중에서 공막고리는 뱀과 Anguimorpha 내의 두 과인 Dibamidae와 Rhineuridae(둘 다 다리가 없는 도마뱀 과)를 제외한 모든 주요 계통에서 발견되었다.[2] 공막고리가 없는 이 모든 분지군은 굴을 파는 생활 방식이나 사지가 없는 특징을 공유하는데, 이는 이러한 특징과 공막고리 상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도마뱀은 일반적으로 고리에 14개의 뼈 조각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다를 수 있다.[3]파충류 중 악어목, 뱀아목, 미트아목에는 공막고리뼈가 존재하지 않는다.[11][12][13]
2. 2. 조류
포유류와 원구류에서는 뼈 조직 또는 연골 조직으로 안구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 종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조기강, 파충류, 조류 등에서는 비교적 잘 관찰된다[10]。양서류 화석 종 중에는 다수의 공막고리뼈를 가진 종이 존재했다. 파충류 중 악어목, 뱀아목, 미트아목에는 존재하지 않는다[11][12][13]。2. 3. 어류
모든 물고기는 공막 연골을 가지고 있지만, 공막 고리를 유지하는 유일한 과는 경골어류이며, 고리는 더 기저적인 다기어강, 연골어강, 레피소스테우스목, 아미아목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3]경골어류는 일반적으로 고리당 1~2개의 작은 뼈 조각을 가지며, 작은 뼈 조각이 없는 물고기에서도 연골은 여전히 남아있다.[8] 대부분의 경골어류는 작은 뼈 조각이 없지만, 이는 그룹 내에서도 다를 수 있다.[8] 일반적인 경향으로, 엘로포모르파와 골설어상목과 같은 더 기저적인 그룹은 작은 뼈 조각이 없는 경향이 있는 반면, 농어상목과 같은 더 파생된 그룹은 가변적인 수(0~2개)의 작은 뼈 조각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8]
더 활동적인 물고기는 공막 고리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이는 고리가 빠른 수영 중에 눈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8]
3. 구조
데본기의 절경어류 덩클레오스테우스와 코코스테우스는 안와에 4개의 골편을 가지고 있었다[14]。
공막고리뼈를 구성하는 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5]。 구성 뼈의 수는 종에 따라 다르며, 화석 양서류는 20개나 되는 뼈로 이루어진 공막고리를 가지고 있었다[10]。 원시적인 어류는 4개의 뼈로 구성되지만, 현생 조기어류에서는 1개 또는 2개로 감소했다[10]。
작은 조각이 여러 개 모여 있는 경우, 인접한 조각은 일부가 겹쳐져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각 조각은 중앙부가 가장 두껍고 (수리부엉이의 경우 가장 두꺼운 부분이 1.8mm이다), 겹치는 양쪽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진다. 형성된 공막고리는 키가 낮은 원뿔대의 측면과 같은 형태이다. 그러나 해오라기처럼 거의 평면을 이루는 것부터 올빼미류처럼 원통형에 가까운 것까지 형태의 변이가 크다[16]。
4. 기능
공막고리뼈가 발달한 동물은 안구가 구형이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막고리뼈의 기능은 안구의 형태 유지일 것으로 여겨진다. 내압에 의해 구형이 되려는 안구를, 공막고리뼈의 단단한 구조에 의해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다고 생각된다[11]。
또한, 어룡은 몸과의 비율로 보아도 거대한 눈과 발달한 공막고리뼈를 갖추고 있는데, 이는 그 방추형의 체표면에서 유영 시 위치에 따라 복잡하게 정압·부압이 걸리는 방식이 다르고, 다른 동물에 비해 큰 눈은 그 압력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공막고리뼈의 유용성이 크다는 관점도 존재한다[11]。어룡과 마찬가지로 수중을 유선형의 몸으로 헤엄치는 대형 동물인 고래류는 포유류이기 때문에 공막고리뼈는 없지만, 막부 조직의 비대화나 경화에 의해 역시 비구형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18]。
5. 일주기 활동과의 관계
동물은 하루 중 주로 언제 활동하는지에 따라 주행성, 야행성, 부주행성, 박명박모성 등으로 나뉜다. 슈미츠와 모타니는 2010년 연구에서 일주기 활동이 알려진 현생 육상 양막류의 안구를 분석하여 동물의 일주기 활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밝혔다[19]。
이들은 지상 조류 60과 251종 1499표본의 공막륜 외경과 내경 수치를 통해 일주기 활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19]。 야행성 동물은 f값이 작아 공막륜 외경에 비해 내경이 큰 눈을 가지며, 주행성 동물은 반대로 공막륜 외경에 비해 내경이 작은 눈을 가진다.
5. 1. 화석 동물의 일주기 활동 추정
동물은 하루 중 주로 언제 활동하는지에 따라 주행성, 야행성, 부주행성, 박명박모성 등으로 나뉜다. 슈미츠(Schmitz)와 모타니는 2010년 연구에서 일주기 활동이 알려진 현생 육상 양막류의 안구를 분석하여 동물의 일주기 활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밝혔다[19]。 야행성 동물은 공막륜 외경에 비해 내경이 큰 눈을 가지고, 주행성 동물은 그 반대의 눈을 가진다.화석의 경우 안구 자체는 보존되지 않지만, 공막륜은 뼈이기 때문에 보존되는 경우가 있다. 2011년 슈미츠와 모타니는 33종의 화석 원룡류의 공막륜을 통해 일주기 활동을 추측했다[20]。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 학명 | 생태 | 추측되는 일주기 활동 |
|---|---|---|
| Euparkeria capensis | 포식성 | 야행성 |
| Proterosuchus vanhoepeni | 포식성 | 주행성 |
| Ctenochasma elegans | 비행성 | 야행성 |
| Ctenochasma taqueti | 비행성 | 야행성 |
| Pterodactylus antiquus | 비행성 | 주행성 |
| Pterodaustro guinazui | 비행성 | 야행성 |
| Rhamphorhynchus muensteri | 비행성 | 야행성 |
| Scaphognathus crassirostris | 비행성 | 주행성 |
| Tapejara wellnhoferi | 비행성 | 주행성 |
| Tupuxuara sp. | 비행성 | 주행성 |
| Agilisaurus louderbacki | 초식성 | 주행성 |
| Corythosaurus casuarius | 초식성 | 주행성 |
| Prosaurolophus maximus | 초식성 | 주행성 |
| Protoceratops andrewsi | 초식성 | 주행성 |
| Psittacosaurus mongoliensis | 초식성 | 주행성 |
| Saurolophus osborni | 초식성 | 주행성 |
| Herrerasaurus ischigualestensis | 포식성 | 주행성 |
| Diplodocus longus | 초식성 | 주행성 |
| Lufengosaurus huenei | 초식성 | 주행성/야행성 |
| Nemegtosaurus mongoliensis | 초식성 | 주행성 |
| Plateosaurus longiceps | 초식성 | 주행성 |
| Riojasaurus incertus | 초식성 | 주행성 |
| Garudimimus brevipes | 초식성 | 주행성 |
| Juravenator starki | 포식성 | 야행성 |
| Megapnosaurus kayentakatae | 포식성 | 야행성 |
| Microraptor gui | 포식성 | 야행성 |
| Ornithomimus edmontonicus | 초식성 | 주행성/야행성 |
| Sinornithosaurus sp. | 포식성 | 주행성 |
| Velociraptor mongoliensis | 포식성 | 야행성 |
| Archaeopteryx lithographica | 비행성 | 주행성 |
| Confuciusornis sanctus | 비행성 | 주행성 |
| Sapeornis chaoyangensis | 비행성 | 주행성 |
| Yixianornis grabaui | 비행성 | 주행성 |
이 결과는 "포식자는 야행성, 주행성이 많다", "비행성 동물의 주행성 비율이 높다" 등 현생 동물과 공통된 경향을 보이며, 중생대 원룡류가 주행성이고 포유류는 야행성이었다는 일반적인 모델이 항상 옳지 않음을 보여준다[20]。
참조
[1]
웹사이트
Eyes of Ichthyosaurs
http://www.ucmp.berk[...]
UC Museum of Paleontology
2013-10-15
[2]
학술지
The sclerotic ring of squamates: an evo-devo-eco perspective
2016-10
[3]
학술지
Skeletons of the Eye: An Evolutionary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2018-12
[4]
웹사이트
Re: Sclerotic ring in eyes
http://dml.cmnh.org/[...]
2007-07-06
[5]
웹사이트
Ophthalmosaurus icenicus: Why did it have such large eyes?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2013-10-15
[6]
서적
The vertebrate eye and its adaptive radiation [by] Gordon Lynn Walls.
http://dx.doi.org/10[...]
Cranbrook Institute of Science
1942
[7]
학술지
The anatom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avian eye, orbit and sclerotic ring: implications for inferring activity patterns in extinct birds
2008-06
[8]
학술지
Scleral Ossicles of Teleostei: Evolutionary and Developmental Trends
https://onlinelibrar[...]
2008-01-22
[9]
서적
脊椎動物の進化
築地書館
1978
[10]
서적
脊椎動物のからだ その比較解剖学
法政大学出版局
1983
[11]
웹사이트
Eyes of Ichthyosaurs
http://www.ucmp.berk[...]
UC Museum of Paleontology
2013-10-15
[12]
서적
On the sclerotic ring of the eyes of birds and reptiles.
York,H. Sotheran
[13]
학술지
The sclerotic ring of squamates: an evo-devo-eco perspective
[14]
서적
脊椎動物の進化
築地書館
1978
[15]
웹사이트
Palaeos Vertebrates: Glossary S
http://palaeos.com/v[...]
2007-07-06
[16]
학술지
The Sclerotic Ring in North American Birds
[17]
웹사이트
Ophthalmosaurus icenicus: Why did it have such large eyes?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2013-10-15
[18]
서적
On the sclerotic ring of the eyes of birds and reptiles.
York,H. Sotheran
[19]
학술지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yeballs of nocturnal and diurnal amniotes revisited from optical perspectives of visual environments.
[20]
학술지
Nocturnality in Dinosaurs Inferred from Scleral Ring and Orbit Morphology
[21]
웹인용
Ophthalmosaurus icenicus: Why did it have such large eyes?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2013-10-15
[22]
웹인용
Eyes of Ichthyosaurs
http://www.ucmp.berk[...]
UC Museum of Paleontology
2013-10-15
[23]
웹인용
Palaeos Vertebrates: Glossary S
http://www.palaeos.c[...]
2007-07-06
[24]
웹인용
Re: Sclerotic ring in eyes
http://dml.cmnh.org/[...]
2007-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