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방과학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방과학연구소는 1970년 설립된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의 무기 및 군사 기술 연구 개발 기관이다. 냉전 시기 미국의 군사 원조 축소와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느껴 설립되었다. 주요 개발품으로는 K2 흑표, K9 자주포, 현무 미사일, 해성 미사일, KA-1 웅비 등이 있으며, 핵심 기술 개발, 무기 체계 개발, 민군 기술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한다. 1982년 미국의 압력으로 유도탄 개발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1983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이후 군사력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유도탄 개발을 재개했다. 공무원 조직의 경직성을 탈피하고 연구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인으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설립된 단체 -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53년 설치되어 한때 대사관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총영사관으로서,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 노던 준주를 관할하며 대한민국과 해당 지역 간의 정치·경제 관계 증진, 영사 업무, 문화 교류,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소재 대한민국 정부의 외교 공관이다.
  • 1970년 설립된 단체 -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기업 경쟁력 강화, 합리적인 노사관계 구축, 국내외 경제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목표로 노동 정책 관련 경영계를 대변하는 대한민국의 경영자 단체이다.
  • 대전 유성구 소재의 관공서 - 국립대전현충원
    국립대전현충원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국립묘지이며, 대통령, 독립유공자, 군인 등 국가에 공헌한 인물들의 유해를 안장하고 1985년에 정식 개원하였다.
  • 대전 유성구 소재의 관공서 - 대전지방기상청
    대전지방기상청은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의 기상업무를 총괄하는 기상청 산하 지방기상청으로, 기상 예보 및 특보 발표, 기상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청주기상지청과 홍성기상대 등을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방 관련 군정 및 군령, 기타 군사 사무를 관장하며, 대통령의 명을 받아 합동참모의장과 각 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국방과학연구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방과학연구소 로고
로고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방과학연구소 본부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본부
정식 명칭국방과학연구소
로마자 표기Gukbang Gwahak Yeonguso
설립일1970년 8월 6일
전신국방부 과학연구소 (1954년 7월 – 1961년 7월)
위치대전광역시 유성구 북유성대로488번길 160
직원 수3,432명 (2023년)
모토우리의 과학 기술의 힘으로 나라를 지킨다!
예산₩1조 4850억 원 (2022년) (미화 11억 8800만 달러)
웹사이트공식 ADD 웹사이트 (영문)
공식 ADD 웹사이트 (한국어)
상위 기관방위사업청
소장박종승
부소장정진경
개요
유형국방 군사 연구 개발 기관
국가대한민국
역할국방 기술 연구 개발

2. 연혁

1970년 8월 6일, 대통령령 제5267호 및 법률 제225호(1970년 12월 31일)에 따라 특별법에 의한 특수법인으로 국방과학연구소가 창설되었다.[9][10] 이는 1969년 닉슨 독트린 발표 이후 주한미군 철수와 북한의 군사적 도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자주국방 노력의 일환이었다.

1973년, 대한민국 정부는 철강, 기계, 화학, 석유 등 중화학 공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여 기반 산업 육성에 힘썼다. 1974년에는 8개년 군사력 건설 계획인 율곡사업을 시작하여 대한민국 군사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9][10][11]

2. 1. 설립 배경

1950년대 이승만 정부는 국방부 산하에 국방과학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위성 개발을 위한 로켓 연구 개발 등을 진행했으나,[1][2]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이 1972년 4월 3일 군사장비 전시회에서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시제품을 시찰하고 있다.


한국 전쟁이 정전 협정으로 종결된 후,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냉전 기간 동안 대립했다. 1953년 10월에 체결된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이후, 대한민국은 미국으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으면서 경제 재건에 힘썼다.[9]

1969년 7월 25일 발표된 닉슨 독트린으로 인해 주한미군 2만 명이 철수하면서 미국과 동구권 국가들 사이의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1963년 12월부터 집권한 박정희 대통령은 닉슨 독트린과 주한미군의 철수가 미국에 의존하던 대한민국의 군사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판단했고, 1960년대 후반부터 격화된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군사 원조에 의존하지 않는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이후 1970년 8월 국방과학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이듬해 11월에는 기본 무기 긴급 시제품 개발이라는 자체 국방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9][10]

2. 2. 주요 연혁


  • 1974년 2월: 항공사업본부 신설 (대전)
  • 1976년 5월: 해상/수중사업본부 신설 (진해)
  • 1977년 10월: 시험평가단 신설 (안흥)
  • 1981년 7월: 부설 국방품질검사소 설립 (서울)
  • 1983년 1월: 연구소 본부 대전 이전
  • 1995년 5월: 기동시험장 (창원), 해상시험장 (진해) 건설
  • 1999년 1월: 국방정보체계연구소 통합
  • 2006년 1월: 부설 국방품질관리소 분리 독립 (국방기술품질원)
  • 2014년 1월: 민군협력진흥원, 국방고등기술원 신설
  • 2014년 5월: 부설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 설립
  • 2016년 12월: 서이말 해상시험소 준공 (거제)
  • 2018년 3월: 삼척연구센터 착공 (삼척)
  • 2019년 4월: 부설 지상기술연구원(5본부), 해양기술연구원(6본부), 항공기술연구원(7본부)으로 조직개편
  • 2020년 4월: 안전보안센터 설립 (前 비상보안안전실)

3. 조직

국방과학연구소는 연구소장과 부소장 아래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조직으로 평의회가 있고, 외부 감사역이 존재한다.


  • 연구소장
  • * 부소장
  • * 육상병기기술부
  • * 해양병기기술부
  • * 항공기·미사일부
  • * 정보·전자전부
  • * 핵심기술부
  • * 국방기술시험센터
  • * 보안실
  • * 관리부
  • * 응용기술센터

3. 1. 감사

제공된 소스에는 감사 관련 내용이 존재하지 않아,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2. 부소장

국방과학연구소는 약 2,500명의 인원을 보유하며, 이 중 Ph.D.영어 약 620명, 이학석사 약 1,360명, 지원 인력 약 370명으로 구성된다.

3. 3. 세부 조직 (일본어 위키 참고)


  • 연구소장
  • * 부소장
  • * 육상병기기술부
  • ** 장갑시험실
  • ** 화기통제장치연구실
  • ** 전차 가상 시제품 제작실
  • ** 자동화기 시스템 연구실
  • ** 현가장치연구실
  • ** 화학분석실
  • * 해양병기기술부
  • ** 진동음향연구실
  • ** 수중탄도·수중전활동실
  • ** EMI/EMC 자기연구실
  • ** 추진기관연구실
  • ** 수중음향연구실
  • ** 소나 신호처리실
  • * 항공기·미사일부
  • ** 구조시험실
  • ** 풍동시험실
  • ** 강도 루프 시뮬레이션실
  • ** 비행역학연구실
  • * 정보·전자전부
  • ** 전자전연구실
  • ** 통신기기관연구실
  • * 핵심기술부
  • ** 열원영상광학연구실
  • ** 관성항법시험실
  • ** 레이더연구실
  • ** 재료특성평가실
  • ** 탄약·탄두연구실
  • ** 추진력연구실
  • * 국방기술시험센터
  • * 보안실
  • * 관리부
  • * 응용기술센터
  • 상부 조직: 평의회
  • 외부 감사역


약 2,500명의 인원을 보유하며, Ph.D. 학위 소지자 약 620명, 이학 석사 학위 소지자 약 1,360명 및 지원 인원 약 370명으로 구성된다.

4. 주요 연구 개발 분야



국방과학연구소는 대한민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핵심 전력 체계 및 핵심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이 꺼리는 고위험/비경제성 분야, 육해공군 주력 무기들의 무인화 및 첨단화, 미래 신특수 무기 분야에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979년 미국 대사와 8군 사령관은 국방과학연구소의 유도탄 개발이 동북아 평화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대한민국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14] 1982년 전두환 정권은 미국의 압력에 굴복해 유도탄 개발팀을 해체했으나, 1983년 대한항공기 격추 사건 이후 유도탄 개발을 재개하여 성과를 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 시절 계획했던 첩보 수집 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 연구 개발은 부활되지 않았다.

국방과학연구소는 2522명의 인력과 8000억(2008년 기준) 규모의 예산을 가진 대형 국책 연구 기관이다. 연구 개발 인력이 82%를 차지하며, 박사 학위 소지자는 31%, 석사 이상 학위 소지자는 94%이다.

4. 1. 핵심 기술 개발

대한민국 정부 및 국방과학연구소는 국방과학연구소가 핵심 전력 체계와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기업들이 꺼리는 고위험/비경제성 분야, 육해공군 주력 플랫폼 무기의 무인화 및 첨단화, 미래 대비 신특수 무기 분야에 연구 역량을 발휘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14]

국방과학연구소는 무기 체계 개발 및 핵심 기술 개발에 대한 업체 주관 및 산학연 주관 사업 과제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기업 및 산학연에 대한 국방과학연구소의 기술 이전 및 전수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14]

국방 기술 개발 프로그램은 기초 연구 개발, 핵심 기술 연구 개발, 민군 기술 협력, 필수 부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 새로운 개념의 기술 시연으로 분류된다. 거의 모든 주요 개발 프로젝트는 국방과학연구소 및 대한민국 방산업체와 협력하여 진행되며, 핵심 기술의 대부분은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개발되고, 민간 방산업체는 나머지 하위 기술 개발과 필수 부품 및 완제품 생산을 담당한다.[14]

4. 2. 무기 체계 개발

대한민국 정부 및 국방과학연구소는 국방과학연구소가 핵심 전력 체계 및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기업이 꺼리는 고위험/비경제성 분야, 육해공군 주력 플랫폼 무기의 무인화 및 첨단화, 미래 대비 신특수 무기 분야에 연구 역량을 발휘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무기 체계 개발 및 핵심 기술 개발에 대한 업체 주관 및 산학연 주관 사업 과제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기업 및 산학연에 대한 국방과학연구소의 기술 이전 및 전수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14]

1979년에는 미국 대사와 8군 사령관이 외무부국방부를 방문하는 등 여러 차례 서신을 통해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개발 중인 유도탄 개발 배치 계획이 동북아 평화를 파괴한다고 주장했다.

1982년 전두환 정권은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국방과학연구소의 유도탄 개발팀을 해체하기도 했다.

하지만 1983년 9월 1일 대한항공기 격추 사건 이후 한국의 군사력이 취약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유도탄 개발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그 결과, 몇몇 유도탄 개발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 시절 계획했던 작전에 중요한 첩보 수집 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 연구 개발은 복원되지 않았다.

5. 주요 개발품

국방 기술 개발 프로그램은 기초 연구 개발, 핵심 기술 연구 개발, 민군 기술 협력, 필수 부품, 소프트웨어 개발 및 새로운 개념의 기술 시연으로 분류된다. 거의 모든 주요 개발 프로젝트는 국방과학연구소(ADD) 및 대한민국 방산업체와 협력하여 진행되며, 핵심 기술의 대부분은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개발되고, 민간 방산업체는 나머지 하위 기술 개발과 필수 부품 및 완제품 생산을 담당한다.[14]

주요 개발품 목록
종류품목
지상 무기K2 흑표, K9 자주포, K200 장갑차, 현무, 비호, 텅스텐 관통자 소재, 전장감시 장비
유도 무기현무, SSM-700K 해성, 청상어 경어뢰, 백상어 중어뢰, 흑상어 어뢰, 홍상어
항공 무기KA-1 웅비, ALQ-200K, KT-1
기타전투식량, 전투기용 전지


5. 1. 지상 무기

5. 2. 유도 무기

5. 3. 항공 무기

5. 4. 기타

국방과학연구소는 아래와 같은 장비 및 물품을 개발하거나 개발에 참여했다.

6. 미국의 압력과 유도탄 개발

1979년, 미국은 국방과학연구소의 유도탄 개발이 동북아 평화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대한민국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9] 1982년, 전두환 정권은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유도탄 개발팀을 해체했다.[9] 1983년, 대한항공기 격추 사건 이후 한국의 군사력 취약성이 드러나자 유도탄 개발이 재개되었다.[9] 박정희 정권 시절 계획했던 첩보 수집 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 연구개발은 부활되지 않았다.

7. 정부기구에서 법인체로 변경한 이유

국방과학연구소는 공무원 조직의 경직성을 탈피하여 연구기관의 조직 유연성을 확보하고, 정부 예산회계의 경직성을 탈피하여 연구개발 예산 집행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인체로 변경되었다. 또한, 공무원 신분으로는 곤란한 해외 우수 과학자 유치 및 처우 보장을 위해서도 법인화가 필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법인화되었지만, 연구소는 국방과학연구소법을 통해 국가 기관으로서의 역할 및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국방부 장관의 역할을 연구소 소장에게 위임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정부 주도의 연구 개발을 연구소에 위임하여 수행하며, 국방과학기술 관련 제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9]

8. 주요 방위산업체

업체명주요 생산 품목
한국항공우주산업(KAI)F16 전투기 면허 생산, KT1 기본훈련기, T50 고등훈련기
S&T모티브(구 S&T대우)각종 개인화기(소총, 경기관총, 기관단총, 권총)
현대로템K1 전차, K2 흑표
대우조선해양호위함, 잠수함, 잠수함 구난함, KDX1 구축함, 초계함
LIG넥스원지대공·지대지 미사일 체계, 휴대용 미사일, 지상·해상용 레이다
한화테크윈K9 자주포, 상륙·돌격 장갑차, F16 전투기 엔진, 헬기 엔진
현대위아무반동총, 박격포, 견인곡사포, 전차포, 전투기·헬기 착륙장치
풍산탄약, 전차용 포탄, 20mm벌컨 사거리 연장탄, 155mm 항력 감소 고폭탄
두산인프라코어 (구 대우정밀기계)장갑차, 30mm 자주대공포,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현대중공업초계함, 호위함, 군수지원함, 미사일 구축함, 상륙강습함
한진중공업초계함, 고속정, 대형 상륙함, 잠수정, 공기부양선, 구난함
한화수류탄 등 각종 폭발물 및 신관, 정밀 유도무기체제, K11 복합형소총용 공중폭발탄
두산중공업함정 추진 시스템, 도하용 부교, 장갑용 판재
휴니드 테크놀러지스무전기, 차세대 무전기, 박격포 사격제원계산기
삼성SDS지휘자동화체계, 육군탄약정보체계, 국방의료정보체계
풍산S&T로켓탄용·박격포탄용·함포탄용 신관, 센서, 타이머, 가속도계
연합정밀차량용 디지털 통신장치, 전자파 차단 케이블, 커넥터

[27]

참조

[1] 웹사이트 이승만 정권 시기 과학정책과 국방부 과학연구소 중견관리의 행정경험 http://archive.histo[...] The Archives of Korean History 2013-10-11
[2] 논문 Understanding Compressed Growth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Focusing on Public Research Institutes https://www.kci.go.k[...]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2015
[3] 웹사이트 3. 임직원 수 https://www.alio.go.[...]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2023
[4] 웹사이트 Mission & Vision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5] 웹사이트 국방기술 연구개발 투자 1조 원 시대를 열다 https://www.dapa.go.[...]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2021-09-06
[6] 논문 Defender of the Nation, Champion of Science: The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s a Nexus for the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ttps://read.dukeupr[...] 2023
[7] 서적 Containing Missile Proliferation: Strategic Technology, Security Regim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rms Contro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3
[8] 웹사이트 Anasis 2 (KMilSatCom 1) https://space.skyroc[...]
[9] 웹사이트 1970년대 방위산업 육성 : 자주국방의 토대 구축 https://www.much.go.[...]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10]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Process & Achievement of the Korean Defense Industry for Last 40 Years https://dl.nanet.go.[...]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2010
[11] 웹사이트 중화학공업 (重化學工業)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12] 웹사이트 조직도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13] 웹사이트 국방과학연구소 (國防科學硏究所)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14] 웹사이트 Defense Technology R&D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15] 웹사이트 Missile System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16] 웹사이트 ADD, SLBM 잠수함 최초 발사시험 성공 https://www.mnd.g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21-09-15
[17] 웹사이트 '안보불안' 우려했나…정부·군, L-SAM 등 무기영상 이례적 공개(종합)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2-02-28
[18] 웹사이트 Missile Defense System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19] 웹사이트 Ground Weapon System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0] 웹사이트 Maritime/Underwater Weapon System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1] 웹사이트 Aircraft and UAV System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2] 웹사이트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3] 웹사이트 Command and Control/Information Warfare System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4] 웹사이트 Space Technologie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5] 웹사이트 Core Technologie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6] 웹사이트 Future Technologies https://www.add.re.k[...]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7] 뉴스 주성민, [국방] 기술은 최고, 경영은 최악... 시사저널 2001-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