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IPI)는 1950년 언론 자유 증진과 언론 실천 개선을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전 세계 언론 자유를 감시하고 언론인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항의 서한을 발송하며, 언론 자유가 위협받는 국가에 현장 실사를 수행한다. 또한 언론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매년 세계 언론 자유 검토 보고서를 발표하며, 자유 언론을 위해 헌신한 언론인에게 상을 수여한다. IPI는 대한민국 언론 상황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모두 내린 바 있으며, IPI 한국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설립된 기업 - 세아트
    세아트는 스페인 정부와 은행, 피아트의 합작으로 1950년 설립되어 피아트 기술 지원으로 성장하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가 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마토렐에 본사를 두고 고성능 브랜드 쿠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 1950년 설립된 기업 - 도에이
    도에이는 1938년에 설립된 일본의 영화 및 텔레비전 제작사로, 《가면라이더》, 《슈퍼전대 시리즈》 등을 제작하며 다양한 사업을 전개한다.
  • 국제 기구 - 아시아 협력 대화
    아시아 협력 대화는 2002년 아시아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진 및 협력 강화를 목표로 태국 총리의 제안으로 설립된 정부 간 협의체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며 35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 기구 - 국제기구
    국제기구는 국가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설립한 연합으로, 정부간기구(IGO)와 국제비정부기구(INGO)로 나뉘며, 경제적 이익, 정치적 영향력 확대, 안보 강화 등을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비영리 조직
산업 분야언론
인권
사회 정의
설립일1950년 10월
위치오스트리아
웹사이트국제 언론 협회
역사
창립1950년

2. 역사

1950년 10월, 세계 15개국에서 모인 34명의 편집자들이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언론인협회(IPI)를 창설했다.[1]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유 언론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믿음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1] 2011년 현재 120개국 이상의 회원국이 참여하는 국제 조직으로 발전했다.[1]

3. 활동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IPI)는 전 세계 언론 자유를 감시하고, 언론인과 언론사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다.


  • 각국 정부 및 정부 간 기구에 언론인과 언론사에 대한 위협 및 공격에 대한 항의 서한을 보낸다.[1]
  • 언론 자유가 위협받는 국가에 현장 실사를 수행하여 정부 관계자, 외교관, 언론인, 비정부 기구(NGO)와 회담을 갖는다.[1]
  • 언론 관련 문제 연구 및 ''IPI 글로벌 저널리스트'' 등 간행물 배포, 새로운 미디어 법률 검토 및 국제 기준에 맞는 법률 제정 권고, 1997년부터 전 세계 사망 언론인 추적 "사망 감시(Death Watch)"를 진행한다.[4] [5]
  • 매년 전 세계 언론 침해 보고서 세계 언론 자유 검토 발표.[6]
  • 2000년 창립 50주년 기념 50명의 "세계 언론 자유 영웅" 선정, 2011년까지 흐란트 딩크(터키)와 안나 폴리트콥스카야(러시아) 등 10명 추가 선정.[2]
  • 1996년부터 IPI 자유 언론 선구자상 수여.[3]
  • 매년 전 세계 출판인, 편집자, 고위 언론인 등이 모여 언론 자유 관련 문제 논의 국제 회의 개최.

3. 1. 항의 서한

국제 신문 편집자 협회(IPI)는 전 세계의 언론 자유를 감시하고, 언론인과 언론사에 대한 위협 및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정부 및 정부 간 기구에 항의 서한을 보낸다. 이러한 항의 서한은 IPI 회원들이 직접 겪는 어려움을 토대로 IPI에 제보되는 경우가 많다.[1]

3. 2. 언론 자유 실사 (Press freedom missions)

IPI는 언론의 자유가 위협받는 국가에 현장 실사를 수행한다. 정부 관계자, 외교관, 언론인, 비정부 기구(NGO)와 회담을 갖고, 소송에서 법적 대리 및 지원을 제공한다.[1] IPI는 언론 자유 위협 시 정부 관료, 외교관, 대변인, 비정부 기구에 입회하여 법적 진술을 제공하고 소송을 제기한다.[1]

3. 3. 연구

국제신문편집자협회(IPI)는 언론 관련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분기별 잡지인 ''IPI 글로벌 저널리스트''(IPI Global Journalist)를 포함하여 언론의 자유에 관한 여러 https://web.archive.org/web/20110829150139/http://www.freemedia.at/publications.html 간행물을 배포한다.[4] 새로운 미디어 법률을 정기적으로 면밀히 검토하고, 각국 정부에 표현의 자유에 관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에 따라 법률을 제정하도록 권고한다. 또한 전 세계에서 사망한 언론인을 추적하는 "사망 감시(Death Watch)"를 1997년부터 진행하고 있다.[5]

3. 4. 세계 언론 자유 검토 (World Press Freedom Review)

매년, IPI는 전 세계 언론 침해에 대한 권위 있는 보고서인 세계 언론 자유 검토를 발표한다.[6]

3. 5. IPI 세계 언론 자유 영웅 (World Press Freedom Heroes)

2000년, IPI는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50명의 언론인을 "세계 언론 자유 영웅"으로 선정했다. 이후 2011년 기준으로, 암살된 언론인 흐란트 딩크(터키)와 안나 폴리트콥스카야(러시아)를 포함하여 10명이 추가로 선정되었다.[2]

3. 6. IPI 자유 언론 선구자상 (IPI Free Media Pioneer Award)

1996년에 제정된 IPI 자유 언론 선구자상[3]은 자국 또는 지역에서 더 자유롭고 독립적인 언론을 보장하기 위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싸우는 개인 또는 단체를 기린다. 이 상은 자유 언론과 자유 발언을 위해 헌신하는 미국의 초당적 국제 재단인 프리덤 포럼이 공동 후원한다.

수상자는 1996년 러시아의 NTV, 1997년 인도네시아의 독립 언론인 연합, 1998년 세르비아의 라디오 B92를 시작으로 한다.[3] 2022년에는 우크라이나의 ''ABO 지역 미디어 개발 기구'', ''흐로마드스케'', ''슬리드스트보.info'', ''스톱페이크'', ''키이우 독립'', ''우크라이너'' 및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등 7개의 단체가 수상했다. IPI는 우크라이나 언론 단체들이 "엄청난 어려움 속에서 지역 사회에 봉사하겠다는 굳건한 의지를 가지고, 용기, 훌륭한 보도, 러시아의 침략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도전과 위험에 정면으로 맞섰다"고 평가했다.

3. 7. IPI 세계 회의 (IPI World Congress)

IPI는 매년 전 세계 출판인, 편집자 및 고위 언론인 수백 명이 모여 언론 자유를 위한 투쟁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논의하고 토론하는 국제 회의를 개최한다.

4. 대한민국과 관계

국제언론인협회(IPI)는 긴급조치 9호가 발동되었던 유신 말기에도 한국을 '언론 선진국'으로 분류했으며, 1981년 9월 22일 청와대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과 만난 뒤에는 한국을 '언론자유 선진국'으로 평가했다.[14]

2001년 10월, IPI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대한민국을 '언론자유 억압 감시대상국' 명단에 올렸다. IPI는 한국 정부가 언론사에 대한 부당한 세무조사와 일부 언론사주 구속을 통해 언론을 탄압하고 언론자유를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제기자연맹(IFJ)은 한국 정부가 조세 관련법을 부당하게 이용해 언론을 탄압한 증거가 없으며, 한국 언론은 일반적인 언론자유를 보장받고 있다고 반박했다.[8]

2007년 IPI는 대한민국 정부취재 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에 대해 우려를 담은 서한을 보냈고, 참여정부는 이에 반박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9] 반면 2008년 이명박 정부의 '프레스 프렌들리 정책'에 대해서는 적극 환영을 표했다.[10] 2008년 4월 30일에는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대한민국의 언론 상황이 개선됐음을 환영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11]

2009년 언론인 체포와 구속에 대해 국제기자연맹(IFJ)과 국제앰네스티가 언론의 독립성을 위협하는 사건이라고 지적하며 민주주의 후퇴를 염려했지만, IPI는 어떤 논평도 하지 않았다.[12] 2010년 5월 17일 "UN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 프랑크 라 뤼의 실태조사에 국가정보원이 특별보고관을 미행하며 감시한 사건에 대해서도 논평하지 않았다.[13]

2001년 IPI는 WAN와 함께 대한민국을 러시아, 베네수엘라, 스리랑카, 짐바브웨 등과 함께 '언론 탄압 감시 대상국'으로 지정했다(2004년 제외).

2011년 1월 현재, IPI의 대한민국 관련 과거 자료는 모두 삭제되어 있다.

4. 1. IPI 한국위원회

IPI영어 한국위원회는 2001년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4]

직위이름소속
위원장방상훈조선일보 사장
부위원장윤세영SBS 회장
부위원장홍석현중앙일보 회장
이사김경철KH내외경제 사장
이사권호경CBS 사장
이사김근연합뉴스 사장
이사현소환IPI영어 종신회원
이사김대성제주일보 사장
이사김상훈부산일보 사장
이사김성열동아일보 고문
이사김종태광주일보 회장
이사박권상KBS 사장
이사송병준세계일보 사장
이사오명동아일보 회장
이사윤종서대전일보 사장
이사장재국한국일보 회장
이사장준봉경향신문 사장
이사조희준스포츠투데이 회장
이사최승익강원일보 사장
이사최학래한겨레 사장
감사김영용한국경제신문 사장
감사장대환매일경제신문 사장
회원금창태중앙일보 부회장
회원고제철광주매일 회장
회원노승숙국민일보 사장
회원김대중조선일보 주필·이사
회원김영일국민일보 회장
회원김재호동아일보 전무
회원김정국문화일보 사장
회원김명수경인일보 사장
회원김영렬서울경제신문 사장
회원김중배MBC 사장
회원김학준동아일보 사장
회원박명훈경향신문 편집국장
회원백인호YTN 사장
회원서창훈전북일보 사장
회원신화수인천일보 사장
회원송도균SBS 사장
회원안병훈조선일보 부사장
회원안형순강원도민일보 사장
회원엄기영문화방송 보도본부장
회원이제훈중앙일보 사장
회원장재근한국일보 부회장
회원전만길대한매일신보 사장
회원전병채KBS 보도본부장
회원정재완매일신문 사장
회원최우석조선일보 기자
준회원김용술한국언론재단 이사장
사무국장최승우조선일보 기자


5. 최근 활동

2010년 9월 12일 오스트리아 에서 열린 2010 세계대회와 총회에 한국대표단이 참가했다.[1]

참가자소속 및 직책
현소환IPI 본부이사
박정찬연합뉴스 사장
이병규문화일보 사장
최맹호동아일보 부사장
이후혁대구일보 부사장
권문한한국신문협회 사무총장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s://ipi.media/ab[...] 2021-09-01
[2] 웹사이트 World Press Freedom Heroes http://www.freemedia[...] 2014-12-26
[3] 웹사이트 Free Media Pioneer Award https://web.archive.[...] 2015-03-07
[4] 간행물 publications http://www.freemedia[...]
[5] 문서 Death Watch http://www.freemedia[...]
[6] 간행물 The World Press Freedom Review http://www.freemedia[...]
[7] 뉴스 IPI・WAN、韓国を言論弾圧監視対象国に指定 http://www.chosunonl[...]
[8] 웹인용 IPI "한국 언론자유 감시대상국 유지" http://media.daum.ne[...] 2011-01-16
[9] 저널 정부 IPI 잘못된 정보에 근거 반박서한 발송 null null 2011-01-16
[10] 웹인용 IPI,“새정부 언론정책 환영” http://m.president.g[...] 2011-01-16
[11] 뉴스 靑 "국제언론인협회, 李대통령 언론정책 환영" http://media.daum.ne[...] 뉴시스 2008-04-30
[12] 뉴스 언론인 구속·체포, 방송가 휘감는 ‘8월 잔혹설’ http://www.pdjournal[...] 2009-09-31
[13] 뉴스 유엔 특별조사관 “한국에서 표현의 자유 위축” http://media.daum.ne[...] 경향신문 2010-05-17
[14] 뉴스 항의서한 작성에 조선일보 기자 포함?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1-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