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는 고발한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는 고발한다…!'는 프랑스 작가 에밀 졸라가 1898년 발표한 공개 서한으로, 알프레드 드레퓌스 사건과 관련된 프랑스 정부의 반유대주의와 군부의 부정을 비판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서한은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며, 진실 은폐와 사건 조작에 관련된 인물들을 고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후 권력에 맞서 진실을 밝히려는 지식인의 용기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이 표현은 문학, 예술,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사회적 비판과 진실 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낼 때 인용되었다.

2. 드레퓌스 사건의 배경

폴란드 판의 기사로, 에밀 졸라의 서한과 드레퓌스 사건을 보도하고 있다.


알프레드 드레퓌스 사건은 19세기 말 프랑스에서 유대인 출신 장교 드레퓌스가 간첩 혐의로 체포되면서 시작되었다. 1894년, 프랑스 육군 장교였던 드레퓌스는 독일 정부에 군사 기밀을 제공했다는 누명을 썼다. 당시 프랑스 사회는 반유대주의 정서가 팽배하여, 이 사건은 단순한 간첩 사건을 넘어 사회 전체를 뒤흔드는 큰 논쟁으로 번졌다.

2. 1. 알프레드 드레퓌스

알프레드 드레퓌스는 1859년 프랑스 북동부 알자스 지역의 뮐루즈에서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26] 보불 전쟁 결과 고향이 독일 제국에 병합되자, 1871년 파리로 이주했다.

1894년, 프랑스 참모 본부의 포병 장교였던 드레퓌스는 군사 기밀 정보를 독일 정부에 제공한 혐의를 받았다.[26] 독일 대사관에서 청소부로 일하는 프랑스 스파이 마리 바스티안이 조사의 출발점이었다. 그녀는 항상 우편함과 쓰레기통을 확인하며, 수상한 문서에 눈을 부릅떴다.[27] 그녀는 1894년에 독일 대사관에서 의심스러운 문서 상세 목록(보르데로)을 손에 넣었고, 이를 지휘관 위베르 조제프 앙리에게 보고했다. 그는 프랑스군 참모 막료의 정보부에 소속되어 있었다.[27]

마리 바스티안은 독일 무관 막시밀리안 폰 슈바르츠코펜의 쓰레기통에서 6개의 조각으로 찢어진 목록을 찾아냈다.[27] 문서는 조사되었고, 주로 필적 감정 전문가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드레퓌스는 유죄 판결을 받았다.[28] 필적학자들은 "드레퓌스의 필적과 목록의 필적이 공통점이 ''없음''은 '자기 위조'의 증명이다"라고 단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기이할 정도로 상세한 그림을 준비했다.[29] 기밀 증거를 제공한 장교도 마찬가지로 단정했다.[28]

드레퓌스는 비공개 군사 재판에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이 기간 동안 자신에게 불리한 증거에 대해 조사할 권리를 부여받지 못했다. 프랑스 육군은 굴욕적인 의식을 거행하여 그의 군적을 박탈하고, 남아메리카프랑스령 기아나 해안에 위치한 유배지 디아블 섬에 수용했다.[27]

당시 프랑스에서는 반유대주의가 만연했고, 가족 외에 드레퓌스를 변호한 사람은 극소수였다. 1899년에 드레퓌스는 재심을 위해 프랑스로 귀국, 다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사면을 받았다.[27] 1906년, 드레퓌스는 다시 상소하여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 1906년, 그에게는 "근거 없는 고난을 견뎌낸 병사"로서 레지옹 도뇌르 훈장도 수여되었다.[28]

2. 2. 반유대주의와 프랑스 사회

알프레드 드레퓌스는 부유한 유대인 가문 출신의 프랑스 육군 장교였다.[4] 1894년, 프랑스 참모 본부의 포병 대위였던 드레퓌스는 독일 정부에 군사 기밀을 제공한 혐의를 받았다.[4] 그는 비공개 군사 재판에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자신에게 불리한 증거를 조사할 권리는 없었다.[27] 프랑스 육군은 굴욕적인 의식을 통해 그의 군적을 박탈하고,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해안의 유배지 디아블 섬에 수용했다.[27]

당시 프랑스는 반유대주의가 만연했으며, 드레퓌스를 변호한 사람은 가족 외에는 극소수였다.[27] 1899년, 드레퓌스는 재심을 위해 프랑스로 돌아왔지만 다시 유죄 판결을 받았고, 이후 사면되었다.[5]

2. 3. 군사 재판과 유죄 판결

알프레드 드레퓌스는 1894년 프랑스 참모 본부의 포병 대위로 재직하던 중, 독일 정부에 군사 기밀을 제공한 혐의를 받았다.[4] 독일 대사관에서 청소부이자 프랑스 첩보원으로 일하던 마리 바스티앙이 독일 대사관의 쓰레기통과 우편함을 뒤져 찾아낸, 여섯 조각으로 찢어진 보르데로(문서 목록)가 증거로 제시되었다.[5]

군사 재판에서 드레퓌스는 주로 전문 필적 전문가의 증언에 의해 유죄 판결을 받았다.[6] 필적학자들은 드레퓌스의 글씨와 보르데로의 글씨 간의 '유사성 부족'이 '자기 위조'의 증거라고 주장하며 상세한 도표를 작성했다.[7] 또한 기밀 증거를 제공한 군 장교들의 주장도 있었다.[6]

드레퓌스는 자신에게 제시된 증거를 검토할 권리를 거부당한 채 비공개 군사 재판에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5] 프랑스 육군은 굴욕적인 의식으로 그의 계급을 박탈하고,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해안에 위치한 형벌 식민지인 악마의 섬으로 그를 보냈다.[5] 당시 프랑스는 반유대주의가 만연했던 시기였기에, 드레퓌스 가족 외에는 그를 옹호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3. 에밀 졸라와 '나는 고발한다'

1898년 나다르가 그린 에밀 졸라의 초상화


에밀 졸라는 1840년 4월 2일 파리에서 태어났다.[30] 프랑스 제2제국 나폴레옹 3세 치하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의 파리 사회를 다룬 20편의 소설 연작 레 루공-마카르프랑스어는 그의 대표작이다.[30] 그는 19세기 문학의 자연주의 운동을 이끌었으며, 프랑스 제3공화국의 강력한 지지자였다.[30] 1893년 7월 13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지만, 1898년 7월 26일 훈장이 정지되었다가 1901년 3월 10일에 복권되었다.

1898년 1월, 졸라는 알프레드 드레퓌스를 옹호하기 위해 프랑스 대통령 펠릭스 포르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에서 프랑스 정부의 반유대주의와 드레퓌스에게 거짓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을 비난했다. 졸라는 이 비난을 통해 정부가 자신을 명예 훼손으로 고소하도록 유도하여, 드레퓌스 유죄 판결의 증거가 불확실하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알리고자 했다. "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J'Accuse...!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이 서한은 조르주 클레망소의 자유주의 파리 일간지 L'Aurore|로로르프랑스어의 머릿기사에 실렸다.

졸라는 명예 훼손죄로 고소되어 2주 후 유죄 판결을 받고 투옥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 박탈을 선고받았다.[30] 투옥을 피하기 위해 잉글랜드망명하여 프랑스 정부가 붕괴될 때까지 드레퓌스를 변호했다.[30]

이후 지식인들의 끈질긴 요구로 1904년 드레퓌스 재심이 청구되었고, 1906년 드레퓌스는 무죄 판결을 받고 복권되어 소령으로 육군에 복직했다.

졸라는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공개 서한을 발표하고 4년 후, 굴뚝 배기 불량으로 인한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사망했다. 1908년 6월 4일, 졸라의 유해는 파리의 팡테옹에 매장되었다.[30]

3. 1. '나는 고발한다'의 집필 배경

에밀 졸라프랑스 사회 전체가 반유대주의 사상에 물들어 가는 상황에서 알프레드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고, 드레퓌스에게 죄를 뒤집어씌운 군부 세력을 비판하기 위해 '나는 고발한다'를 집필했다.[42] 졸라는 프랑스 대통령 펠릭스 포르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프랑스 정부가 알프레드 드레퓌스를 거짓으로 유죄 판결하고 반유대주의를 저질렀다고 비난했다.

졸라는 이 서한을 통해 드레퓌스 사건의 진실을 밝히고, 정의를 실현하고자 했다. 그는 자신의 의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정부 인사들이 그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도록 유도했다. 소송이 제기되면, 드레퓌스 지지자들은 드레퓌스가 유죄 판결을 받게 된 불안정한 증거를 확보하고 공개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이었다.

졸라는 서한에서 드레퓌스 사건의 배후에 아르망 뒤 파티 드 클람 소령이 있다고 지적하고, 드레퓌스가 유죄 판결을 받은 것은 잘못된 증거에 근거한 것이며 억울한 누명이라고 주장했다.[30] 그는 드레퓌스의 무죄를 확신하며, 그가 아르망 뒤 파티 드 클람 소령의 기괴한 상상력과 종교적인 동료, 그리고 '더러운 유대인'이라는 강박 관념의 희생자라고 강조했다.[31]

또한, 졸라는 페르디낭 발생 에스테라지 소령이 진범이며, 그 증거도 있지만 육군성이 에스테라지를 비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장 바티스트 빌로 장군이 드레퓌스 무죄의 증거를 은폐했으며, 라울 르 모통 드 보아데플르 장군과 샤를 아르튀르 곤스 장군이 드레퓌스에 대한 종교적 편견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했다.[31] 세 명의 필적 감정가에 대해서도 기만으로 가득 찬 허위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지적했다.[31]

졸라는 제1차 군사 재판이 비공개 문서에 근거하여 드레퓌스에게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위법이며, 제2차 군사 재판은 에스테라지 소령을 고의적으로 방면한 범죄 행위라고 고발했다.[31]

이 서한은 조르주 클레망소의 자유주의 파리 일간지 L'Aurore|로로르프랑스어의 머릿기사에 실려 프랑스 국내외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42] 아나톨 프랑스, 에밀 뒤르켐, 마르셀 프루스트, 클로드 모네와 같은 예술가, 과학자, 교수들이 드레퓌스 재심 청원서에 서명하면서 드레퓌스 재심 운동이 불붙었다.

졸라는 이 글로 인해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고 영국으로 망명했다가, 1899년 6월에 고등법원에서 드레퓌스 재심진행이 결정된 후에 귀국하였다.[42]

3. 2. '나는 고발한다'의 내용 분석

에밀 졸라알프레드 드레퓌스의 스파이 혐의에 대한 유죄 판결이 잘못된 것이며, 억울한 누명이라고 주장했다.[30] 졸라는 이 사건의 배후에 아르망 뒤 파티 드 클람 소령이 있다고 지적하며, 그가 드레퓌스에게 보르데로(필적 감정 증거)의 문구를 받아쓰게 하고, 거울로 둘러싸인 방에서 그를 관찰하는 아이디어를 냈다고 비난했다.[8] 또한 잠든 드레퓌스에게 갑작스러운 빛을 비춰 죄를 자백하게 하려던 것도 뒤 파티 드 클람 소령이었다고 폭로했다.[8]

졸라는, 반역자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보르데로가 드레퓌스와 같은 포병 장교가 아닌 보병 장교에게서 나왔다는 증거가 명백히 드러났을 것이라고 지적했다.[8]

졸라는 드레퓌스의 인품, 재산, 범행 동기의 부재, 그리고 그의 지속적인 무죄 주장을 들어, 그가 뒤 파티 드 클람 소령의 상상력, 종교 단체의 영향, 그리고 '더러운 유대인'에 대한 강박 관념의 희생자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8]

또한, 페르디낭 발랭 에스테라지 소령이 진범이며 증거도 제시되었지만, 그가 유죄로 밝혀지면 참모총부 전체가 유죄가 되므로 전쟁성이 에스테라지를 비호했다고 지적했다.

편지 말미에서 졸라는, 장바티스트 빌로 장군이 드레퓌스의 무죄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이를 은폐했다고 비난했다.[8] 라울 르 무통 드 부아데프르 장군과 샤를 아르튀르 곤스 장군은 드레퓌스에 대한 종교적 편견을 가지고 있다고 비난했다.[8] 필적 감정 전문가 벨롬, 바리나르, 쿠아르 3명은 시력과 판단력에 문제가 있다는 의학적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는 한, 허위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비난했다.[8]

졸라는 마지막으로, 기밀 문서를 근거로 드레퓌스를 유죄로 판결하여 법을 위반한 최초의 군사 재판소와, 에스테라지 소령을 고의로 무죄 석방한 두 번째 군사 재판소를 고발했다.[8]

3. 3. '나는 고발한다'의 발표와 파장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조르주 클레망소의 자유주의 파리 일간지 L'Aurore|로로르프랑스어의 머릿기사에 실린 공개 서한이다. 이 서한은 신문 제1면에 대문짝만하게 실렸으며, 프랑스 국내외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42]

여러 지식인과 신문사 <<르 피가로>> 등이 드레퓌스의 무죄와 에스테라지 범인설을 주장했지만, 반유대주의에 휩싸인 가톨릭 세력과 보수 언론들은 '드레퓌스는 죽어라'는 등의 폭언을 일삼았다. 프랑스 사회 전체가 반유대주의 사상에 물들어 갈 때, 졸라는 이 편지를 통해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고 드레퓌스에게 죄를 뒤집어씌운 군부 세력을 비판했다. 이후 아나톨 프랑스, 에밀 뒤르켐, 마르셀 프루스트, 클로드 모네와 같은 예술가, 과학자, 교수들이 드레퓌스 사건 재심 청원서에 서명하면서 드레퓌스 재심 운동이 불붙었다.

졸라는 이 글을 쓴 이후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1898년 7월에 유죄 판결을 받고 영국으로 망명하였으며, 1899년 6월에 고등법원에서 드레퓌스 재심진행이 결정된 후에 귀국하였다.[42] 1899년 9월 9일 드레퓌스의 간첩혐의에 대한 재심이 열렸으나 10년형이 선고되었으며, 같은 달 19일에 드레퓌스는 대통령 특사로 석방되었다.[43] 졸라는 대통령에게 보낸 그의 편지를 출판한 것에 대해 명예 훼손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었고, 2주 후에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레지옹 도뇌르에서 제명되었다. 감옥행을 피하기 위해 졸라는 영국으로 도망쳤다. 그는 내각이 무너질 때까지 그곳에 머물면서 드레퓌스를 계속 변호했다.

4. 드레퓌스 재심과 진실 규명

에밀 졸라의 서한은 프랑스 국내외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 르 피가로 등의 신문사와 여러 지식인들은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했지만, 반유대주의에 휩싸인 가톨릭 세력과 보수 언론들은 드레퓌스를 비난했다.[42]

이후 아나톨 프랑스, 에밀 뒤르켐 등 많은 지식인들이 드레퓌스 사건 재심 청원서에 서명하면서 재심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졸라는 명예훼손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영국으로 망명했다가, 1899년 드레퓌스 재심 결정 후 귀국했다.

1899년 재심에서 드레퓌스는 다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대통령 특사로 석방되었다.[43] 1906년, 드레퓌스는 마침내 무죄 판결을 받고 복권되어 군에 복직했다.[6] 그는 "비할 데 없는 순교를 견뎌낸 병사"에게 수여되는 레지옹 도뇌르 십자 훈장을 받았다.

4. 1. 지식인과 여론의 역할

에밀 졸라가 〈나는 고발한다...!〉를 발표한 후, 아나톨 프랑스, 에밀 뒤르켐, 마르셀 프루스트, 클로드 모네 등 여러 예술가, 과학자, 교수들이 드레퓌스 재심 청원서에 서명하면서 드레퓌스 재심 운동이 시작되었다.[42]

졸라는 이 글로 인해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1898년 7월 유죄 판결을 받고 영국으로 망명했으나, 1899년 6월 고등법원에서 드레퓌스 재심이 결정된 후 귀국했다.[42] 이후 지식인들의 끈질긴 요구로 1904년 드레퓌스에 대한 재심이 청구되었고, 1906년 무죄 판결과 함께 복권되었다.

4. 2. 재심 과정과 무죄 판결

에밀 졸라는 〈나는 고발한다...!〉를 발표한 후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1898년 7월에 유죄 판결을 받고 영국으로 망명하였다. 1899년 6월, 고등법원에서 드레퓌스 재심이 결정되자 프랑스로 귀국하였다.[42] 1899년 9월 9일, 드레퓌스의 간첩 혐의에 대한 재심이 열렸으나 10년 형이 선고되었다. 같은 달 19일, 드레퓌스는 대통령 특사로 석방되었다.[43]

이후 지식인들의 끈질긴 요구로 1904년에 드레퓌스에 대한 재심이 청구되었고, 마침내 1906년 드레퓌스는 무죄 판결을 받고 모든 혐의를 벗었다. 이후 복권되어 소령으로 진급, 육군에 복직했다.

5. '나는 고발한다'의 역사적 의의와 영향

"나는 고발한다…!"는 발표 당시 프랑스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드레퓌스 사건 재심의 도화선이 되었다. 에밀 졸라는 이 서한을 통해 반유대주의에 휩싸인 프랑스 사회의 부조리와 군부의 은폐를 폭로하고 진실을 밝히고자 했다.

졸라의 용기 있는 행동은 아나톨 프랑스, 에밀 뒤르켐, 마르셀 프루스트, 클로드 모네 등 당대 지식인과 예술가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이들은 드레퓌스 재심 청원서에 서명하며 재심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졸라는 이 글로 인해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영국으로 망명해야 했지만, 결국 드레퓌스는 1906년에 무죄 판결을 받고 복권되었다. 이는 진실과 정의를 위한 투쟁이 결코 헛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5. 1. 진실과 정의를 위한 투쟁의 상징

"나는 고발한다…!"는 권력에 맞서 진실을 밝히려는 지식인의 용기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된다. 에밀 졸라드레퓌스 사건의 진실을 폭로한 이 서한은 워낙 유명해졌기 때문에, 심지어 영어에서도 '나는 고발한다…!'(J'accuse…!)는 표현은 누군가 강력한 존재에 맞서 격분하거나 비난할 때 포괄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42]

5. 2. 언론과 지식인의 역할 강조

에밀 졸라의 서한은 신문 제1면에 대문짝만하게 실렸으며, 프랑스 국내외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 여러 지식인과 신문사 르 피가로 등은 알프레드 드레퓌스의 무죄와 에스테라지 범인설을 주장했지만, 반유대주의에 휩싸인 가톨릭 세력과 보수 언론들은 '드레퓌스는 죽어라'는 등의 폭언을 일삼았다.

졸라는 프랑스 사회 전체가 반유대주의 사상에 물들어 갈 때, 이 편지를 통해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고 그에게 죄를 뒤집어씌운 군부 세력을 비판했다. 이후 아나톨 프랑스, 에밀 뒤르켐, 마르셀 프루스트, 클로드 모네와 같은 예술가, 과학자, 교수들이 드레퓌스 사건 재심 청원서에 서명하면서 드레퓌스 재심 운동이 불붙었다.

졸라는 이 글을 쓴 후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1898년 7월 유죄 판결을 받고 영국으로 망명하였으며, 1899년 6월 고등법원에서 드레퓌스 재심 진행이 결정된 후에 귀국하였다.[42] 1899년 9월 9일 드레퓌스의 간첩 혐의에 대한 재심이 열렸으나 10년형이 선고되었으며, 같은 달 19일에 드레퓌스는 대통령 특사로 석방되었다.[43]

그 후 지식인들의 끈질긴 요구에 의해 1904년에 드레퓌스에 대한 재심이 청구되었고, 마침내 드레퓌스는 1906년 무죄가 선고되어 모든 혐의를 벗고 복권, 소령으로 진급하여 육군에 복직했다.

5. 3. 다양한 분야에 미친 영향

J'Accuse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문서는 프랑스 국내외에 큰 논란을 일으켰고, 드레퓌스 사건 재심 운동에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 서한은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고 그에게 죄를 뒤집어씌운 군부 세력을 비판한 것으로, 아나톨 프랑스, 에밀 뒤르켐, 마르셀 프루스트, 클로드 모네와 같은 저명한 인사들이 드레퓌스 사건 재심 청원서에 서명하게 만들었다.[42]

이후 '나는 고발한다'(''J'accuse!'')는 표현은 누군가 강력한 존재에 맞서 격분·비난할 때 포괄적인 표현으로 사용될 정도로 유명해졌다.

  • 1913년, 멕시코 하원의원 루이스 마누엘 로하스는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이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과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 부통령 암살에 참여한 것에 대해 하원 앞에서 Yo acuso...es 연설을 했다.
  • 1915년, 독일의 평화주의자 리하르트 그렐링은 독일 제국의 행동을 비난하는 J'Accuse!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책을 썼다.
  • 1919년, 아벨 강스제1차 세계 대전에 반대하는 성명으로 그의 영화 J'accuse프랑스어를 발표했고, 강스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했다.
  • 1925년, 가장 인기 있는 팔레스타인 아랍 신문인 ''Filastin (La Palestine)''은 "J'Accuse!"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밸푸어 선언에 항의하는 4페이지짜리 사설을 게재했다.
  • 1938년, 벨기에 파시스트 정치인 레옹 데그렐은 "축적자, 은행가, 저축 약탈자, 겁쟁이"로 장관 폴 스텡거르를 비난하는 J'accuse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논쟁적인 소책자를 출판했다. 이는 J'accuse Léon Degrelle프랑스어이라는 제목의 보복 팜플렛을 불러일으켰다.
  • 1950년 부활절에, 레트리스트 운동의 회원들은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신도들 앞에서 신의 죽음을 선포했다. 미셸 무르는 "J'accuse"프랑스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의 악함을 자신이 본 대로 선포했다.
  • 1954년, J.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그가 미국 원자력 위원회에 보안 위험을 제기했다는 혐의를 둘러싼 논란 동안, 언론인 조셉과 스튜어트 알솝은 ''하퍼스 매거진''에 "우리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으며, 여기서 그들은 오펜하이머를 루이스 스트라우스 위원장의 사소한 앙심의 피해자로 옹호했다.[11]
  • 1961년,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에서, 수석 검사 기디온 하우너는 개회 진술에서 이 문구를 사용했다.[12]
  • 1982년, ''코멘터리 매거진'' 편집장 노먼 포드호레츠는 1982년 레바논 전쟁 동안 이스라엘에 대한 과도한 비판에 대해 반유대주의를 비난하는 기사에 "J'Accuse"프랑스어라는 제목을 사용했다.[13]
  • 또한 1982년, 그레이엄 그린은 Nice에서 조직 범죄가 번창하는 이유가 도시의 상위 정부가 사법 및 경찰 부패를 보호했기 때문이라고 선언하면서 ''italic=unset|J'Accuse프랑스어: The Dark Side of Nice''를 출판했다.[14]
  • 1998년, 호주의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 ''The Games''는 "J'Accuse"라는 에피소드에서 잭 휴즈 캐릭터를 데뷔시켰다. 이 쇼는 무엇보다도 시드니 올림픽 조직의 부패를 비판하는 풍자이며, 잭 휴즈 캐릭터는 종종 스캔들과 부패를 파헤치는 저널리스트이며, 이는 쇼의 주인공들을 매우 짜증나게 한다.
  • 2003년, New Directions은 이스라엘 시인 아하론 샤브타이의 J'Accuse프랑스어를 출판했는데, 이는 두 개의 다른 컬렉션인 ''Politika''와 ''Artzenu''에서 가져온 시 모음집이며, 피터 콜이 번역했다.
  • 2008년, 영화 감독 피터 그리너웨이는 ''렘브란트의 cat=no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발표했다. 이는 그의 영화 ''Nightwatching''의 동반 작품이다. 이 다큐멘터리는 렘브란트의 그림 ''야경''이 묘사된 사람들 중 일부의 살인에 대한 단서를 남겼다는 그리너웨이의 이론을 보여준다.
  • 2012년,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와 하깃 보러는 최근 가자 지구에서 열린 언어학 회의에 참석한 7명의 동료들과 함께 캐나다,[15] 미국[16], 프랑스에서 번역되어 출판된 공개 서한을 썼으며, 이 서한은 주류 언론이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의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를 보도하는 데 실패하는 방식에 대해 Nous accusons...프랑스어 ('우리는 고발한다...')로 시작했다.[17]
  • 2012년, 당시 호주 부총리인 웨인 스완은 호주 총리인 줄리아 길라드에게 그녀가 성차별 연설을 하면서 호주 야당 대표인 토니 애벗을 성차별과 여성 혐오로 비난하면서 "j'accuse프랑스어 연설"을 했다고 말했다.[18]
  • 2016년 5월 13일, 브라질의 칼럼니스트이자 정치학 교수 블라디미르 사파트레는 Folha de S.Paulopt 신문에 italic=no|Nós acusamos프랑스어 (우리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여 브라질 대통령 지우마 호세프의 퇴출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비난했다.[19]
  • 2016년 9월 1일, 아르헨티나 변호사이자 정치인 마가리타 스톨비저는 Yo acuso프랑스어 ("나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하여 아르헨티나 대통령 크리스티나 키르치네르 정부의 부패를 비난했다.[20]
  • 2019년, 노먼 핀켈스타인은 "나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하여 국제 형사 재판소의 수석 검사 파투 벤수다가 2010년 가자 지구 선박 공격에서 발생한 잠재적인 이스라엘 전쟁 범죄를 제대로 조사하지 못했음을 증명하려 했다.[22]
  • 2021년 프랑스 텔레비전 시리즈 ''루팡''에서 파비엔느 베리오의 개는 italic=yes|J'accuse프랑스어라고 불리는데, 이는 파비엔느가 저널리스트이기 때문이다.
  • 로만 폴란스키가 드레퓌스 사건에 관한 영화(졸라가 등장하는)의 프랑스어 제목은 ''J'Accuse''이지만, 영어 제목은 ''An Officer and a Spy''이다.
  • 2020년, 프랑스 배우 데이비드 세레로는 "J'Accuse" 텍스트 전체를 녹음했다.[25]

6. 기타

영어권에서는 '나는 고발한다(''J'accuse!'')'라는 표현이 누군가 강력한 존재에 맞서 격분하거나 비난할 때 사용되는 포괄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10]

연도사건내용
1913년루이스 마누엘 로하스의 연설멕시코 하원의원 루이스 마누엘 로하스가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이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과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 부통령 암살에 참여한 것에 대해 하원 앞에서 Yo acuso...|요 아쿠소es 연설을 함.
1915년리하르트 그렐링의 저서독일의 평화주의자 리하르트 그렐링이 독일 제국의 행동을 비난하는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책을 씀.
1919년아벨 강스의 영화아벨 강스제1차 세계 대전에 반대하는 성명으로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를 발표, 국제적인 명성을 얻음.
1925년Filastin (La Palestine) 사설팔레스타인 아랍 신문 Filastin (La Palestine)이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밸푸어 선언에 항의하는 4페이지짜리 사설 게재.
1938년레옹 데그렐의 소책자벨기에 파시스트 정치인 레옹 데그렐이 장관 폴 스텡거르를 비난하는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소책자 출판. 이는 Jaccuse Léon Degrelle|레옹 데그렐을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보복 팜플렛을 불러일으킴.
1950년레트리스트 운동 선언레트리스트 운동 회원들이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신도들 앞에서 신의 죽음을 선포. 미셸 무르는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의 악함을 선포.
1954년조셉과 스튜어트 알솝의 기사J.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그가 미국 원자력 위원회에 보안 위험을 제기했다는 혐의 논란 동안, 조셉과 스튜어트 알솝이 하퍼스 매거진에 "우리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써서 오펜하이머를 옹호.[11]
1958년영화 나는 고발한다! 개봉호세 페러가 드레퓌스 역을 맡은 영화 나는 고발한다!가 개봉됨.
1961년아돌프 아이히만 재판아돌프 아이히만 재판에서 수석 검사 기디온 하우너가 개회 진술에서 이 문구를 사용.[12]
1982년노먼 포드호레츠의 기사코멘터리 매거진 편집장 노먼 포드호레츠가 1982년 레바논 전쟁 동안 이스라엘에 대한 과도한 비판에 대해 반유대주의를 비난하는 기사에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을 사용.[13]
1982년그레이엄 그린의 저서그레이엄 그린이 니스에서 조직 범죄가 번창하는 이유가 도시의 상위 정부가 사법 및 경찰 부패를 보호했기 때문이라고 선언하면서 'italic=unset|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The Dark Side of Nice'' 출판.[14]
1998년The Games 에피소드호주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 The Games가 "J'Accuse"라는 에피소드에서 잭 휴즈 캐릭터를 데뷔. 이 쇼는 시드니 올림픽 조직의 부패를 비판.
2003년아하론 샤브타이의 시집New Directions이 이스라엘 시인 아하론 샤브타이의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출판. 피터 콜 번역.
2008년피터 그리너웨이의 다큐멘터리피터 그리너웨이가 렘브란트의 cat=no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 발표. 그의 영화 Nightwatching의 동반 작품.
2012년노엄 촘스키와 하깃 보러의 공개 서한노엄 촘스키와 하깃 보러가 가자 지구에서 열린 언어학 회의에 참석한 7명의 동료들과 함께 공개 서한을 썼으며, 주류 언론이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의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를 보도하는 데 실패하는 방식에 대해 Nous accusons...|우리는 고발한다...프랑스어로 시작.[15][16][17]
2012년웨인 스완의 발언호주 부총리인 웨인 스완이 호주 총리인 줄리아 길라드에게 그녀가 성차별 연설을 하면서 호주 야당 대표인 토니 애벗을 성차별과 여성 혐오로 비난하면서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연설"을 했다고 말함.[18]
2016년블라디미르 사파트레의 기사브라질 칼럼니스트 블라디미르 사파트레가 Folha de S.Paulopt 신문에 italic=no|"Nós acusamos"|우리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여 브라질 대통령 지우마 호세프의 퇴출 관련 문제를 비난.[19]
2016년마가리타 스톨비저의 저서아르헨티나 변호사 마가리타 스톨비저가 Yo acuso|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하여 아르헨티나 대통령 크리스티나 키르치네르 정부의 부패를 비난.[20]
2017년피터 베이커의 기사뉴욕 타임스 특파원 피터 베이커가 해고된 FBI 국장 제임스 코미미국 상원 정보 위원회 증언을 "한 세대 동안 대통령에 대한 고위 법 집행관의 가장 치명적인 italic=no|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순간"이라고 씀.[21]
2019년노먼 핀켈스타인의 저서노먼 핀켈스타인이 "나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하여 국제 형사 재판소 수석 검사 파투 벤수다가 2010년 가자 지구 선박 공격에서 발생한 잠재적인 이스라엘 전쟁 범죄를 제대로 조사하지 못했음을 증명하려 함.[22]
2020년마이클 고브의 발언영국 내각 장관 마이클 고브가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COBR 회의에서 총리의 부재에 대한 언론 보도에 대한 응답으로 "a italic=no|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narrative"라는 문구를 사용.[23]
2020년제임스 매티스 인터뷰 관련 기사The Atlantic이 제임스 매티스가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고, 이를 매티스의 italic=no|"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로 특징짓는 인터뷰 내용을 씀.[24]
2021년루팡프랑스 TV 시리즈 루팡에서 파비엔느 베리오의 개 이름이 italic=yes|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임.
2020년데이비드 세레로의 녹음로만 폴란스키가 드레퓌스 사건에 관한 영화(졸라 등장)의 프랑스어 제목은 'JAccuse이지만, 영어 제목은 An Officer and a Spy'임. 프랑스 배우 데이비드 세레로는 "JAccuse" 텍스트 전체를 녹음.[25]



한국 현대사에서 '나는 고발한다'는 표현은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그 정신은 여러 주요 사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권력에 대한 비판과 진실 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나는 고발한다'의 핵심 정신과 맞닿아 있다.

사건내용나는 고발한다와의 연관성
4.19 혁명 (1960년)이승만 정권의 부정부패와 독재에 항거한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권력의 부당함에 대한 저항, 불의에 맞서는 용기
유신 체제 하의 민주화 운동 (1970년대)박정희 정권의 억압적인 통치에 맞선 민주화 운동, 장준하 선생 의문사 등권력 남용 비판,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
5.18 민주화운동 (1980년)신군부의 권력 장악에 맞선 광주 시민들의 항쟁국가 폭력의 잔혹함 고발,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
6월 항쟁 (1987년)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이한열 열사의 죽음으로 인한 국민적 분노권력의 은폐와 조작에 대한 저항, 진실 요구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2016년)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의 국정 농단 사건으로 인한 촛불 시위권력 사유화와 부패 고발, 시민들의 직접 심판



이처럼 한국 현대사에서 '나는 고발한다'는 명시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그 정신은 권력에 대한 비판과 진실 규명, 그리고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으로 이어져 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사건들은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쟁취하고 발전시켜온 역사적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6. 1. 영어에서의 활용

영어권에서 '나는 고발한다(''J'accuse!'')'는 표현은 누군가 강력한 존재에 맞서 격분·비난할 때 사용되는 포괄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10]

  • 1913년, 멕시코 하원의원 루이스 마누엘 로하스는 미국 대사 헨리 레인 윌슨이 프란시스코 I. 마데로 대통령과 호세 마리아 피노 수아레스 부통령 암살에 참여한 것에 대해 하원 앞에서 Yo acuso...|요 아쿠소es 연설을 했다.
  • 1915년, 독일의 평화주의자 리하르트 그렐링은 독일 제국의 행동을 비난하는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책을 썼다.
  • 1919년, 아벨 강스제1차 세계 대전에 반대하는 성명으로 그의 영화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를 발표했고, 강스를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했다.
  • 1925년, 가장 인기 있는 팔레스타인 아랍 신문인 ''Filastin (La Palestine)''은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밸푸어 선언에 항의하는 4페이지짜리 사설을 게재했다.
  • 1938년, 벨기에 파시스트 정치인 레옹 데그렐은 "축적자, 은행가, 저축 약탈자, 겁쟁이"로 장관 폴 스텡거르를 비난하는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논쟁적인 소책자를 출판했다. 이는 J'accuse Léon Degrelle|레옹 데그렐을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보복 팜플렛을 불러일으켰다.
  • 1950년 부활절에, 레트리스트 운동의 회원들은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의 신도들 앞에서 신의 죽음을 선포했다. 미셸 무르는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의 악함을 자신이 본 대로 선포했다.
  • 1954년, J.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그가 미국 원자력 위원회에 보안 위험을 제기했다는 혐의를 둘러싼 논란 동안, 언론인 조셉과 스튜어트 알솝은 ''하퍼스 매거진''에 "우리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으며, 여기서 그들은 오펜하이머를 루이스 스트라우스 위원장의 사소한 앙심의 피해자로 옹호했다.[11]
  • 호세 페러가 드레퓌스 역을 맡은 영화 ''나는 고발한다!''가 1958년에 개봉되었다.
  • 1961년,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에서, 수석 검사 기디온 하우너는 개회 진술에서 이 문구를 사용했다.[12]
  • 1982년, ''코멘터리 매거진'' 편집장 노먼 포드호레츠는 1982년 레바논 전쟁 동안 이스라엘에 대한 과도한 비판에 대해 반유대주의를 비난하는 기사에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을 사용했다.[13]
  • 또한 1982년, 그레이엄 그린은 니스에서 조직 범죄가 번창하는 이유가 도시의 상위 정부가 사법 및 경찰 부패를 보호했기 때문이라고 선언하면서 ''italic=unset|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The Dark Side of Nice''를 출판했다.[14]
  • 1998년, 호주의 풍자 텔레비전 프로그램 ''The Games''는 "J'Accuse"라는 에피소드에서 잭 휴즈 캐릭터를 데뷔시켰다. 이 쇼는 무엇보다도 시드니 올림픽 조직의 부패를 비판하는 풍자이며, 잭 휴즈 캐릭터는 종종 스캔들과 부패를 파헤치는 저널리스트이며, 이는 쇼의 주인공들을 매우 짜증나게 한다.
  • 2003년, New Directions은 이스라엘 시인 아하론 샤브타이의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를 출판했는데, 이는 두 개의 다른 컬렉션인 ''Politika''와 ''Artzenu''에서 가져온 시 모음집이며, 피터 콜이 번역했다.
  • 2008년, 영화 감독 피터 그리너웨이는 ''렘브란트의 cat=no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발표했다. 이는 그의 영화 ''Nightwatching''의 동반 작품이다. 이 다큐멘터리는 렘브란트의 그림 ''야경''이 묘사된 사람들 중 일부의 살인에 대한 단서를 남겼다는 그리너웨이의 이론을 보여준다.
  • 2012년,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와 하깃 보러는 최근 가자 지구에서 열린 언어학 회의에 참석한 7명의 동료들과 함께 캐나다,[15] 미국[16], 프랑스에서 번역되어 출판된 공개 서한을 썼으며, 이 서한은 주류 언론이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의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를 보도하는 데 실패하는 방식에 대해 Nous accusons...|우리는 고발한다...프랑스어로 시작했다.[17]
  • 2012년, 당시 호주 부총리인 웨인 스완은 호주 총리인 줄리아 길라드에게 그녀가 성차별 연설을 하면서 호주 야당 대표인 토니 애벗을 성차별과 여성 혐오로 비난하면서 "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연설"을 했다고 말했다.[18]
  • 2016년 5월 13일, 브라질의 칼럼니스트이자 정치학 교수 블라디미르 사파트레는 Folha de S.Paulopt 신문에 italic=no|"Nós acusamos"|우리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여 브라질 대통령 지우마 호세프의 퇴출과 관련된 여러 문제를 비난했다.[19]
  • 2016년 9월 1일, 아르헨티나 변호사이자 정치인 마가리타 스톨비저는 Yo acuso|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하여 아르헨티나 대통령 크리스티나 키르치네르 정부의 부패를 비난했다.[20]
  • 2017년 6월 9일, ''뉴욕 타임스'' 백악관 특파원 피터 베이커는 해고된 미국 FBI 국장 제임스 코미미국 상원 정보 위원회 증언과 관련하여 "침착하고 신중하며 감정 없는 어조로 전달되었지만, 코미 씨의 목요일 증언은 확실히 한 세대 동안 대통령에 대한 고위 법 집행관의 가장 치명적인 italic=no|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순간이었다[도널드 트럼프를 지칭]."라고 썼다.[21]
  • 2019년, 노먼 핀켈스타인은 "나는 고발한다!"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하여 국제 형사 재판소의 수석 검사 파투 벤수다가 2010년 가자 지구 선박 공격에서 발생한 잠재적인 이스라엘 전쟁 범죄를 제대로 조사하지 못했음을 증명하려 했다.[22]
  • 2020년 4월 19일, 영국 내각 장관 마이클 고브는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COBR 회의에서 총리의 부재에 대한 언론 보도에 대한 응답으로 "a italic=no|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 narrative"라는 문구를 사용했다.[23]
  • 2020년 6월 3일, The Atlantic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 국방 장관이자 퇴역 해병대 장군 제임스 매티스가 트럼프 대통령을 여러 면에서 강력하게 비판하고, 이를 매티스의 italic=no|"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로 특징짓는 인터뷰에서 언급한 내용에 대해 썼다.[24]
  • 2021년 프랑스 텔레비전 시리즈 ''루팡''에서 파비엔느 베리오의 개는 italic=yes|J'accuse|나는 고발한다프랑스어라고 불리는데, 이는 파비엔느가 저널리스트이기 때문이다.
  • 로만 폴란스키가 드레퓌스 사건에 관한 영화(졸라가 등장하는)의 프랑스어 제목은 ''J'Accuse''이지만, 영어 제목은 ''An Officer and a Spy''이다.
  • 2020년, 프랑스 배우 데이비드 세레로는 "J'Accuse" 텍스트 전체를 녹음했다.[25]

6. 2. 한국 현대사에서의 '나는 고발한다'

한국 현대사에서 '나는 고발한다'라는 표현은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그 정신은 여러 주요 사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권력에 대한 비판과 진실 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나는 고발한다'의 핵심 정신과 맞닿아 있다.

  • 1960년 4.19 혁명: 이승만 정권의 부정부패와 독재에 항거한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는 권력의 부당함에 대한 저항 정신을 보여준다. 이는 '나는 고발한다'의 정신과 유사하게, 불의에 맞서는 용기를 상징한다.

  • 1970년대 유신 체제 하의 민주화 운동: 박정희 정권의 억압적인 통치에 맞서 민주화 운동은 '나는 고발한다'의 정신을 이어받아 권력의 남용을 비판하고 진실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장준하 선생의 의문사는 진실을 은폐하려는 권력에 대한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 1980년 5.18 민주화운동: 신군부의 권력 장악에 맞선 광주 시민들의 항쟁은 '나는 고발한다'의 정신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 국가 폭력의 잔혹함을 고발하고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 1987년 6월 항쟁: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이한열 열사의 죽음은 권력의 은폐와 조작에 대한 국민적 분노를 일으켰다. 이는 '나는 고발한다'의 정신처럼 진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의 국정 농단 사건은 권력의 사유화와 부패를 고발하는 촛불 시위를 불러일으켰다. 이는 '나는 고발한다'의 정신과 같이, 시민들이 직접 나서 권력의 부정을 심판하고 진실을 밝히고자 한 사례이다.


이처럼 한국 현대사에서 '나는 고발한다'는 명시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그 정신은 권력에 대한 비판과 진실 규명, 그리고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으로 이어져 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사건들은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쟁취하고 발전시켜온 역사적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J'Accuse https://www.merriam-[...]
[2] 뉴스 When Zola wrote 'J'accuse!' http://archive.bosto[...] 2008-03-30
[3] 서적 Une journée dans l'affaire Dreyfus
[4] 웹사이트 Alfred Dreyfus Biography (1859–1935) http://www.biography[...] 2008-02-16
[5] 서적 France and the Dreyfus Affair: A Documentary History St. Martin's College Publishing Group 1999
[6] 웹사이트 A Century-Old Court Case That Still Resonates https://www.nytimes.[...] 2007-10-17
[7] 간행물 Trial of the Century: Revisiting the Dreyfus affair http://www.newyorker[...] 2011-05-29
[8] 웹사이트 J'accuse by Émile Zola (Sample) – Chameleon-Translations https://web.archive.[...] 2008-07-23
[9] 웹사이트 J'Accuse! The Sins of the Artist https://creativitydi[...] 2018-02-03
[10] 뉴스 Adam Rayski, responsable de la section juive du Parti communiste français https://www.lemonde.[...] Le Monde 2008-03-19
[11] 간행물 We Accuse! http://www.harpers.o[...] Harper's 1954-10
[12] 웹사이트 Eichmann's handwritten clemency plea released in Israel http://www.jta.org/2[...] 2016-03-12
[13] 웹사이트 J'accuse http://www.commentar[...] 1982-09
[14] 웹사이트 On the Riviera, A Morality Tale by Graham Greene https://www.nytimes.[...] 2023-01-08
[15] 웹사이트 Nous accusons: Mainstream media fails to report on atrocities against Gaza https://rabble.ca/ne[...] 2012-11-14
[16] 웹사이트 Nous accusons: Mainstream media fails to report on context and severity of atrocities against Gaza https://mondoweiss.n[...] 2012-11-14
[17] 웹사이트 Nous accusons ! La sourde oreille des grands médias sur la situation et la gravité des atrocités commises par Israël à Gaza https://www.legrands[...] 2012-11-16
[18] 간행물 On the road with Julia Gillard https://www.themonth[...] 2022-10-04
[19] 웹사이트 Nós acusamos http://www1.folha.uo[...] 2016-05-14
[20] 웹사이트 Stolbizer presentó su libro ''Yo acuso'' junto a Vidal y Massa http://www.clarin.co[...] 2016-09-01
[21] 웹사이트 For Trump, the 'Cloud' Just Grew That Much Darker https://www.nytimes.[...] 2017-06-08
[22] 서적 I Accuse! OR Books 2019
[23] 뉴스 Boris Johnson missed five coronavirus Cobra meetings, Michael Gove says https://www.theguard[...] 2022-02-18
[24] 간행물 James Mattis Denounces President Trump, Describes Him as a Threat to the Constitution https://www.theatlan[...] 2020-06-03
[25] 문서 https://www.amazon.f[...]
[26] 웹사이트 Alfred Dreyfus Biography (1859–1935) http://www.biography[...] Biography.com 2008-02-16
[27] 서적 France and the Dreyfus Affair: A Documentary History St. Martin's College Publishing Group 1999
[28] 뉴스 A Century-Old Court Case That Still Resonates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07-10-17
[29] 간행물 Trial of the Century: Revisiting the Dreyfus affair http://www.newyorker[...] Condé Nast
[30] 웹사이트 Biography for Émile Zola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08-02-15
[31] 뉴스 J'Accuse http://www.chameleon[...] L'Aurore 2008-02-12
[32] 서적 J'accuse M. Segers: j'accuse le ministre Segers d'être un cumulard, un bankster, un pillard d'épargne et un lâche https://books.google[...] Léon Degrelle 1935
[33] 웹사이트 j'accuse leon degrelle, on joint Inventaire des archives Rex et mouvements wallons de collaboration, par H. Masson, 1981 par Emmanuel D'Hooghvorst, Action nouvelle,: Assez bon Couverture souple (1936) {{!}} Librairie Grandchamps / Fafouille https://www.abebooks[...] 2020-08-12
[34] 간행물 We Accuse! http://www.harpers.o[...] Harper's 1954-10
[35] 웹사이트 J'accuse" by Norman Podhoretz http://www.commentar[...] Commentary Magazine 1982-09
[36] 간행물 Emotional power of misogyny speech was lost on Gillard http://www.theaustra[...] 2013-09-05
[37] 서적 누가 역사의 진실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05-15
[38] 서적 거꾸로 읽는 세계사 푸른나무 2003-08-18
[39] 웹사이트 "[다음백과] 나는 고발한다(J'Accuse)" https://100.daum.net[...]
[40] 서적 거꾸로 읽는 세계사 푸른나무 2003-08-18
[41] 서적 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세기의 재판이야기 한겨레신문사 2000-03-28
[42] 서적 누가 역사의 진실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05-15
[43] 서적 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세기의 재판이야기 한겨레신문사 2000-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