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학은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소리, 의미, 문법, 사용 방식 등 언어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한다. 연구 분야는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으로 크게 나뉘며,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텍스트 언어학 등이 주요 이론 분야이다. 또한, 어휘론, 어원론, 방언학과 같은 전통 언어학 분야와 비교 언어학, 언어 유형학, 전산 언어학, 말뭉치 언어학 등이 방법론에 따른 연구 분야로 존재한다. 언어학은 문학, 철학, 인류학, 심리학 등 다양한 학문과 융합하여 학제적 연구를 수행하며, 응용 언어학 분야에서는 언어 교육, 번역, 자연어 처리 등 실용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언어학의 역사는 고대 인도의 파니니부터 시작하여, 19세기 비교 언어학, 20세기 구조주의 언어학, 생성 문법 등을 거쳐 현대 언어학으로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 어휘
어휘는 특정 언어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단어들의 집합을 지칭하며, 언어학적으로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어휘 습득은 언어 능력 및 인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언어 - 링구아 프랑카
링구아 프랑카는 서로 다른 모국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기능적인 언어로서, 피진, 크리올어, 기존 언어를 포함하며 무역, 외교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현대에는 영어가 가장 널리 쓰이지만 다른 언어들도 특정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문화에 관한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문화에 관한 - 문학
문학은 언어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추구하며 다양한 형식과 사조를 보이고, 저작권 및 감상과 비평을 통해 독자들과 소통하는 예술 분야이다. - 언어에 관한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언어학 | |
---|---|
언어학 | |
![]() | |
기초 분야 | |
음성학 | 음성학 |
음운론 | 음운론 |
형태론 | 형태론 |
통사론 | 통사론 |
의미론 | 의미론 |
화용론 | 화용론 |
개별 언어학 | 개별언어학 |
문자론 | 문자론 |
기호학 | 기호학 |
언어 습득 | 언어습득 |
언어의 기원 | 언어의 기원 |
언어의 변화와 변이 | |
역사 언어학 | 역사언어학 |
비교 언어학 | 비교언어학 |
언어 지리학 | 언어지리학 |
언어 계통론 | 언어계통론 |
언어 연대학 | 언어연대학 |
언어 유형론 | 언어유형론 |
사회 언어학 | 사회언어학 |
방언학 | 방언학 |
이론 | |
생성 언어학 | 생성 언어학 |
인지 언어학 | 인지언어학 |
이론 언어학 | 이론언어학 |
응용 분야 | |
응용 언어학 | 응용언어학 |
대조 언어학 | 대조언어학 |
언어 인류학 | 언어인류학 |
심리 언어학 | 심리언어학 |
신경 언어학 | 신경언어학 |
생물 언어학 | 생물언어학 |
전산 언어학 | 전산언어학 |
계량 언어학 | 계량언어학 |
LGBTQ 언어학 | LGBTQ 언어학 |
법 언어학 | 법언어학 |
말뭉치 언어학 | 말뭉치언어학 |
관련 항목 | |
언어 | 언어 |
언어학자 | 언어학자 |
2. 언어학의 연구 분야
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나누는 가장 큰 구분 중의 하나는 어떤 한 순간의 언어 상태를 연구하는 공시언어학과 시간에 따른 언어의 변화를 연구하는 통시언어학을 구분하는 것이다.
- 공시언어학
- 통시언어학
다음은 언어학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론 분야이다. 이러한 구분은 언어가 낮은 단계의 소리에서 높은 단계의 뜻까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관점에 기반한 것이다. 그러한 위계적인 구조 속에서 어떠한 대상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가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 음성학은 음성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학문
- 음운론은 화자가 말할 때 심리적으로 구분하는 소리(음운)에 대한 학문
- 문자론은 문자에 대한 학문
- 형태론은 단어의 내부 구조에 대한 학문
- 통사론은 문장의 내부 구조에 대한 학문
- 의미론은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조합에 따른 의미 변화에 대한 학문
- 화용론은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한 학문
- 텍스트언어학 또는 담화론은 가장 큰 언어단위인 텍스트 또는 담화에 대한 학문
위에서 형태론과 통사론을 문법론으로 묶기도 한다.
다음 분야들은 그 연구의 역사가 매우 오래된 분야들로 전통언어학의 분야로 인식되기도 한다. 어휘론은 단어들의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에 해당하고 어원론은 언어의 시간적인 변화, 방언학은 언어의 공간적인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어떠한 차원에서 언어를 연구하는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야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구분은 위에 제시된
대상들을 어떠한 입장에서 또는 어떠한 방법론을 가지고 연구하는가를 구분하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적인 차원에서 음운론을 연구하는 분야는 역사음운론, 전산적인 차원에서 의미론을 연구하는 분야는 전산의미론, 이론적인 관점에서 통사론을 연구하는 분야는 이론통사론 등으로 불린다.
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통계학 등의 방법론을 이용한 접근법들도 존재하며 이들은 순수한 언어학이 아니라 학제간 연구로 인식되기도 하며 때로는 실용적인 성격이 강해 응용언어학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또한 언어의 어떤 측면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학이라는 학문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도 존재한다. 언어학의 방법론에 대한 추상적인 연구를 하는 메타언어학과 언어학의 역사를 연구하는 언어학사가 있다.
- 메타언어학
- 언어학사
이외에도 언어학의 하위 분야로 인식되기도 하고 문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기도 하는 문체론과 수사학, 철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는 기호학 등이 있다.

2. 1. 핵심 연구 분야
언어학의 연구 분야는 크게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으로 나뉜다. 공시언어학은 특정 시점의 언어 상태를, 통시언어학은 시간에 따른 언어 변화를 연구한다.언어학의 기본 이론 분야는 다음과 같이 소리에서 의미까지의 위계적 구조를 바탕으로 구분된다.
- 음성학은 음성의 물리적 성질을 연구한다.
- 음운론은 화자가 심리적으로 구분하는 소리(음운)를 연구한다.
- 문자론은 문자를 연구한다.
- 형태론은 단어의 내부 구조를 연구한다.
- 통사론은 문장의 내부 구조를 연구한다.
- 의미론은 단어 및 단어 조합의 의미 변화를 연구한다.
- 화용론은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사용되는 방식을 연구한다.
- 텍스트언어학 또는 담화론은 텍스트 또는 담화를 연구한다.
형태론과 통사론은 문법론으로 묶기도 한다.
전통언어학 분야로는 단어 체계를 연구하는 어휘론, 언어의 시간적 변화를 연구하는 어원론(어원학), 언어의 공간적 변화를 연구하는 방언학이 있다.
연구 차원에 따른 분야는 다음과 같다.
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통계학 등의 방법론을 이용한 접근법은 학제간 연구 또는 응용언어학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언어학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분야로는 메타언어학과 언어학사가 있다.
- 메타언어학
- 언어학사
문학 또는 철학 분야로 인식되기도 하는 문체론, 수사학, 기호학도 언어학과 관련이 있다.
언어 구조는 의미와 형태의 결합으로, 소쉬르의 언어 기호가 그 예시이다. 언어학자들은 원어민 화자가 아는 언어 사용 규칙을 이해하려 하며, 모든 언어 구조는 여러 분석 수준에서 규칙에 따라 결합되는 구성 요소로 분해될 수 있다.
문법(Grammar)은 주어진 언어에서 발화의 생성 및 사용을 지배하는 규칙 체계이다.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과 같은 규칙의 구성 요소 하위 집합을 포함한다.[31] 구조주의, 기능주의 언어학, 생성 언어학 등이 문법 원리를 다루는 현대적인 틀이다.[32]
담화는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언어이며, 쓰여진 텍스트와 구어 텍스트를 통해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구현한다.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될 때 특정 담화는 언어 변이체가 되며, 이를 등록어라고 한다.[35]
어휘 사전(lexicon)은 화자의 마음속에 저장된 단어와 용어들의 목록이다. 사전학(Lexicography)은 의미론(semantics) 영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단어들을 백과사전이나 사전에 매핑하는 학문이다.
문체론은 다양한 언어 공동체, 장르 등에서 쓰여진, 수화로 표현된, 또는 구어로 이루어진 담화 연구를 포함한다.[37]
2. 2. 전통적 연구 분야
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나누는 가장 큰 구분 중 하나는 특정 시점의 언어 상태를 연구하는 공시언어학과 시간에 따른 언어의 변화를 연구하는 통시언어학으로 구분하는 것이다.언어학은 낮은 단계의 소리에서 높은 단계의 뜻까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관점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이론 분야로 나뉜다.
- 음성학은 음성의 물리적 성질을 연구한다.
- 음운론은 화자가 말할 때 심리적으로 구분하는 소리(음운)를 연구한다.
- 문자론은 문자를 연구한다.
- 형태론은 단어의 내부 구조를 연구한다.
- 통사론은 문장의 내부 구조를 연구한다.
- 의미론은 단어의 의미와 단어의 조합에 따른 의미 변화를 연구한다.
- 화용론은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연구한다.
- 텍스트언어학 또는 담화론은 가장 큰 언어 단위인 텍스트 또는 담화를 연구한다.
형태론과 통사론은 문법론으로 묶기도 한다.
어휘론, 어원론, 방언학은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언어학 분야로 인식된다. 어휘론은 단어들의 체계를, 어원론(어원학)은 언어의 시간적인 변화를, 방언학은 언어의 공간적인 변화를 연구한다.
연구 차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야들이 존재한다.
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통계학 등의 방법론을 이용한 접근법들은 학제간 연구 또는 응용언어학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언어학이라는 학문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는 메타언어학과 언어학사가 있다.
- 메타언어학
- 언어학사
이외에도 문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기도 하는 문체론과 수사학, 철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는 기호학 등이 있다.
역사언어학은 특정 언어 또는 언어 집단의 변화를 역사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18세기 후반 고전학(philology)에서 발전하였으며,[11] 19세기 후반에 가장 널리 연구되었다.[12] 20세기에 형식주의(Formalism)와 생성 문법(generative grammar)으로 관심이 이동했음에도 불구, 여전히 언어학 연구의 중요한 분야이다.[13]
초기에는 여러 언어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비교언어학의 초석이었다.[15] 당시 학자들은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등을 연구하였고, 비교 방법과 내부 재구성 방법을 사용하여 선사 시대 원시 언어를 재구성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15]
현대 역사언어학에서는 특정 시대 내에서 방언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시간에 따른 언어 변화를 조사한다. 형태론적, 통사론적, 음성적 변화 연구가 포함된다.[21]
구문론(Syntax)은 단어와 형태소가 결합하여 구와 문장과 같은 더 큰 단위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어순, 통사적 관계, 구성소,[22] 일치 등이 주요 관심사이다.
형태론(Morphology)은 단어의 형성 원리와 언어 내에서 단어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23][24] 형태소(morpheme)라는 관점에서 단어의 구조를 조사하며, 수, 시제, 상을 포함한 문법 범주를 표현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의미론과 용어론은 의미를 다루는 언어학의 하위 분야이다. 형식 의미론은 문장의 명칭과 그것이 구성 요소 표현의 의미로부터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연구하며,[26] 용어론은 화행, 함축등의 현상에 초점을 맞춘다.[27]
음성학과 음운론은 언어학의 한 분야로, 소리(또는 수화의 동등한 측면)를 다룬다. 음성학은 주로 소리의 물리적 측면을, 음운론은 소리의 언어적 추상화와 범주화를 다룬다.[29]
2. 3. 방법론에 따른 연구 분야
언어학의 연구 분야는 방법론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크게 특정 시점의 언어 상태를 연구하는 공시언어학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언어 변화를 연구하는 통시언어학으로 구분된다.[48]언어는 소리부터 의미까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관점에 기반하여, 연구 대상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기본 이론 분야들이 있다.
- 음성학: 음성의 물리적 성질을 연구한다.
- 음운론: 화자가 심리적으로 구분하는 소리(음운)를 연구한다.
- 문자론: 문자를 연구한다.
- 형태론: 단어의 내부 구조를 연구한다.
- 통사론: 문장의 내부 구조를 연구한다.
- 의미론: 단어 및 단어 조합에 따른 의미 변화를 연구한다.
- 화용론: 대화에서 화자의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연구한다.
- 텍스트언어학 (담화론): 텍스트 또는 담화를 연구한다.
형태론과 통사론은 문법론으로 묶기도 한다.
전통언어학 분야로는 어휘들의 체계를 연구하는 어휘론, 언어의 시간적 변화를 연구하는 어원론(어원학), 언어의 공간적 변화를 연구하는 방언학이 있다.
연구 차원에 따라, 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통계학 등의 방법론을 이용하는 분야들이 있다. 이들은 학제간 연구 또는 응용언어학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언어학 자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메타언어학과 언어학사도 있다.
문학 또는 철학 분야로 인식되기도 하는 문체론, 수사학, 기호학 등도 언어학과 관련된다.
인문주의 언어학은 언어가 사람들이 만들어낸 발명품이라고 본다.[41] 기호학적 전통은 언어를 의미와 형식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기호 체계로 간주한다.[42] 언어 수준의 구성은 계산적인 것으로 여겨진다.[43] 언어학은 사회학 및 문화 인류학과 관련되는데, 이는 서로 다른 언어들이 담화 공동체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44] 구조주의 언어학은 인문주의적 관점을 나타내는 틀에 포함된다.[45]
구조 분석은 음성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담화 수준의 각 언어 수준을 가장 작은 단위로 해체하여 목록으로 수집하고, 구조와 계층의 계층 내에서의 상호 연결성을 연구한다.[46] 기능 분석은 구조 분석에 각 단위가 가질 수 있는 의미론적 및 기타 기능적 역할을 할당한다.[47] 예를 들어, 명사구는 문장의 주어, 목적어, 작용자, 또는 피동자로 기능할 수 있다.
기능 언어학(기능 문법)은 구조주의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기능적 설명은 언어가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라는 개념을 포함하며, 언어 형태는 그 기능적 가치 또는 유용성에 의해 설명된다. 다른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은 형태가 양면적이고 다층적인 언어 시스템의 내적 메커니즘에서 비롯된다는 관점을 취한다.[48]
인지언어학과 생성 문법은 언어의 생물학적 기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성 문법에서는 타고난 영역 특수적 문법 지식을 포함하는 타고난 기반을 상정한다.[48][49] 인지언어학은 타고난 문법 개념을 거부하고, 인간의 마음이 사건 스키마에서 언어적 구성을 어떻게 만드는지,[50] 인지적 제약과 편향이 인간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51] 인지 언어학에서는 감각을 통해 언어에 접근한다.[52][53]
진화 언어학은 언어 단위를 문화적 복제자로 연구하며,[54] 언어가 어떻게 복제되고 개체 또는 언어 공동체의 마음에 적응하는지 연구한다.[57][58] 구성 문법은 밈 개념을 구문 연구에 적용하는 틀이다.[59][60][61][62] 생성적 접근 방식 대 진화적 접근 방식은 형식주의와 기능주의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이 용어는 인문 과학에서의 용어 사용과는 다르다.[63][64]
현대 언어학은 주로 기술적이다.[65] 언어학자들은 주관적인 판단을 내리지 않고 언어의 특징을 기술하고 설명한다. 동물학자가 특정 종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동물계를 연구하는 것과 유사하다.[66]
규범 언어학은 특정 언어 용법을 우선시하며, 언어 표준 확립을 목표로 할 수 있지만, 한 언어 또는 방언의 화자가 다른 언어 또는 방언의 화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시도(언어 제국주의)일 수도 있다. 규범주의의 극단적인 형태는 검열관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20세기 이전에는 언어학자들이 주로 통시적 측면에서 언어를 분석했지만, 20세기에 소쉬르 언어학이 등장하면서 공시적 접근 방식으로 관심이 이동했다.
언어 분석의 통합적 측면은 문장 내 단어 배열 방식을, 패러다임적 측면은 주어진 텍스트에 내재된 패러다임이나 개념에 기반한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2. 4. 학제적 연구 분야
언어학은 문학, 철학, 인류학, 심리학, 인지과학 등과 연구 주제를 공유한다. 언어를 연구하는 분야들은 서로 겹치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특정 학문 분야의 하위 분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분야들을 흔히 학제적 연구라고 한다. 이들은 언어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들 사이의 경계에 놓여 있으며, 일부 분야는 언어와 관련됨에도 불구하고 언어학자들에 의해 거의 연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사회언어학은 언어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연구하며, 주어진 시점에서 언어의 변이와 다양성을 살펴본다.[95] 발달 언어학은 개인, 특히 아동의 언어 능력 발달을 연구한다.[93] 신경언어학은 인간 뇌의 구조 중 문법과 의사소통의 기초가 되는 부분을 연구하며, 심리언어학과 이론언어학의 모델을 바탕으로 뇌가 언어를 처리하는 생리적 메커니즘을 조사한다.[94] 응용언어학은 언어학 연구 결과를 언어 교육, 사전 편찬, 번역, 언어 계획, 자연어 처리와 같은 영역에 적용한다.[95] 오늘날 컴퓨터는 음성 합성, 음성 인식, 기계 번역 등 응용 언어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언어 분석은 난민 신청자들의 국적 확인에 사용되는 응용 언어학의 하위 분야이다.[96] 임상언어학은 언어학 이론을 언어치료 분야에 적용하며, 의사소통 장애 및 삼킴 장애 치료를 위한 교정 조치를 시행한다. 계산언어학은 계산적 관점에서 언어적 문제를 연구하며, 컴퓨터 언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종사한다. 진화 언어학은 인간 진화를 통한 언어 능력의 출현과 문화적 진화를 연구하는 사회생물학적 접근 방식이다.[100] 법언어학은 법의학에 언어 분석을 적용하여 법정에서 증거를 제공하고 형사 사건 해결에 기여한다.[101][102]
이 외에도 기호학, 언어 되살리기, 수리언어학, 언어병리학, 언어습득, 인류언어학, 인지언어학, 전산언어학, 통계언어학, 언어지리학, 언어철학 등이 학제적 연구 분야에 속한다.
3. 언어학의 역사
언어 묘사에 대한 가장 초기 활동은 기원전 6세기 인도의 문법학자 파니니에게서 찾을 수 있다.[67][68] 그는 자신의 저서 『아슈타디야이』에서 산스크리트어에 대한 형식적 묘사를 제시했다.[69][70] 오늘날 현대의 생성 문법 이론들은 그 당시에 확립된 많은 원리를 사용하고 있다.[71]
20세기 이전에는 1716년에 처음으로 증명된[72] "어원학"이라는 용어가 주로 역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언어 연구를 가리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73][74] 그러나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통시적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후로 이 초점은 이동했으며,[74] "어원학"이라는 용어는 현재 미국에서 특히 "언어의 문법, 역사 및 문학 전통 연구"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75] (미국에서는 어원학이 "언어 과학"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거의 없다.)[72]
"언어 연구자"라는 의미의 "언어학자"라는 용어는 1641년에 처음 등장했지만,[76] "언어학"이라는 용어는 1847년에 처음으로 증명되었다.[76] 이제 영어에서 언어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지만,[77][78] 때때로 "언어 과학"이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언어학은 자연 과학, 사회 과학, 형식 과학 및 인문학의 도구를 결합하는 다학제적 연구 분야이다.[79][80][81][82] 데이비드 크리스털과 같은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 분야를 주로 과학적인 것으로 개념화한다.[83] "언어학자"라는 용어는 언어를 연구하거나 해당 분야의 연구원이거나, 또는 이 분야의 도구를 사용하여 특정 언어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사람에게 적용된다.[84]
기존의 사고방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발전한 학설도 있고, 역사 속에서 한때 잊힌 듯했던 사고방식이 부활하여 영향을 준 학설도 있는 등,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언어학 역사 속에서 다양한 언어관에 기반한 여러 학설이 탄생하였다. 이러한 학설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영향을 주고받은 결과로 오늘날의 언어학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할 때, 과거의 역사를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서도 역사를 아는 것은 필수적이다.
3. 1. 고대와 중세의 언어 연구
고대 언어 연구는 기원전 6세기 인도에서 파니니가 산스크리트어 형태론 규칙 3,959개를 체계화하면서 시작되었다.[85] 파니니는 자음과 모음으로 산스크리트어 소리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명사, 동사와 같은 품사를 분류했는데, 이는 최초의 사례였다. 중동에서는 시바와이가 760년 ''알키타브 피 안나흐우''(الكتاب في النحوar, ''문법에 관한 책'')에서 아랍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남겼으며, 소리와 음소를 구분한 최초의 기록이다.[85]서구에서는 언어 연구가 철학의 일부로 시작되었다.[85] 플라톤은 ''크라튀로스'' 대화편에서 단어가 영원하고 관념의 세계에 존재하는 개념을 나타낸다고 주장하며 의미론 이론에 대한 초기 통찰을 제시했다. 기원전 280년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가 알렉산드리아에 대학교를 설립하여 학자들이 고대 그리스어 텍스트를 연구하고 다른 언어 사용자들에게 그리스어를 가르쳤다. 이 학교는 "문법"을 현대적 의미로 처음 사용했지만, 플라톤은 "테크네 그라마티케"(), 즉 "쓰기의 기술"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86] 중세 동안 언어 연구는 고대 언어와 텍스트 연구인 어원학의 주제로 포함되었으며, 로저 애스컴, 볼프강 라트케,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와 같은 교육자들이 실천했다.[87]
1786년 윌리엄 존스는 산스크리트어 문법이 그리스어, 라틴어 등과 유사하며, 이들이 공통 조어에서 분화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이는 비교 언어학의 시작으로 이어졌으며, 야코프 그림, 프란츠 보프, 라스무스 라스크 등에 의해 연구되었다. 19세기에는 젊은 문법 학파가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일어나 인도유럽어족 개념을 확립했다.
3. 2. 19세기의 비교언어학과 역사언어학
역사언어학은 특정 언어 또는 언어 집단의 변화를 역사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18세기 후반, 고대 텍스트와 구전 전통을 연구하는 고전학에서 발전하여 서구에서 시작되었다.[11] 19세기 후반에는 역사언어학이 가장 널리 연구되었으며, 초기에는 여러 언어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비교언어학의 초석이었다.[15] 당시 학자들은 다양한 언어족을 분류하고, 비교 방법과 내부 재구성 방법을 사용하여 선사 시대 원시 언어를 재구성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15]인도유럽어족을 설명하기 위해 시작된 연구는 우랄어족 연구로 이어졌고, 이후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족과 같은 다른 언어의 텍스트 코퍼스에 대한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역사 연구에서는 통일설 원리가 작업 가설로 사용된다.[16] 윌리엄 드와이트 휘트니는 "[언어] 역사의 시작 단계에서도 동일한 원리가 작용한다는 것을 찾는 것"을 역사언어학의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했다.[17]
오늘날 비교 연구는 언어 내의 후속적인 내부 발전, 특히 현대 표준 언어의 발전과 표준화된 형태에서 다양한 변이체로의 언어 발전에 걸쳐 수행된다. 일부 학자들은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및 기타 언어족을 가상적인 노스트라틱 어족에 연결하는 상위어족을 확립하려고 시도했지만,[18] 이러한 시도는 아직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현대 역사언어학은 특정 시대 내에서 방언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시간에 따른 언어 변화를 조사하며, 형태론적, 통사론적, 음성적 변화 연구를 포함한다.[21]
18세기에 윌리엄 존스가 비교 방법을 처음 사용하면서 비교 언어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88] 야코프 그림은 독일어 문법("''Deutsche Grammatik''")을 저술하여 "세계 최초의 위대한 과학적 언어학 연구"를 수행했다.[89] 이후 다른 학자들이 유럽의 다른 언어 그룹에 대한 유사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빌헬름 폰 훔볼트는 언어 연구를 일반적인 언어 연구로 확장하였는데, 그의 저서 "''Über die Verschiedenheit des menschlichen Sprachbaues und ihren Einfluß auf die geistige Entwickelung des Menschengeschlechtsde|인간 언어 구조의 다양성과 인류의 정신적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는 이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89]
1786년, 잉글랜드의 법학자 윌리엄 존스는 산스크리트어 문법이 그리스어나 라틴어 등의 문법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이들이 공통의 조어에서 분화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이를 계기로 19세기에 야코프 그림, 프란츠 보프, 라스무스 라스크에 의해 비교 언어학이 시작되었다. 젊은 문법 학파는 언어의 역사적 전개를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인도유럽어족의 개념을 확립했다.
3. 3. 20세기 이후의 현대 언어학
20세기 초에는 역사언어학 및 비교언어학에서 동시적 분석으로 초점이 이동하였다. 레오나르드 블룸필드, 루이 옐름슬레프, 그리고 담화 분석 방법론을 개발한 젤리그 해리스에 의해 구조 분석이 발전되었다. 기능 분석은 프라하 언어학 서클과 앙드레 마르티네에 의해 개발되었다.[90][91][92] 20세기 초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언어학은 통시적 연구에서 공시적 연구로 연구 대상을 확장했다. 또한 소쉬르의 언어학은 언어학에 국한되지 않고 "구조주의"라 불리는 하나의 흐름의 일부가 되었다(언어학에서는 (유럽) 구조주의 언어학이라고도 함). 20세기 이후의 언어학을 가리켜 근대 언어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90][91][92]미국의 언어학은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의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연구와 에드워드 사피어가 그 선구자였다. 거기서 발전한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전술한 유럽 구조주의 언어학과의 관련은 희박하다)의 틀은 레너드 블룸필드에 의해 확립되었다.[90][91][92]
1960년대에 음향 녹음 장치가 보편화됨에 따라 방언 기록이 이루어지고 보관되었으며, 청각언어법은 외국어 학습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하였다. 1960년대에는 비교언어학, 특히 언어유형론에서의 보편 문법 연구가 다시 부상하였다. 20세기 말에는 언어 기술과 디지털화된 말뭉치 언어학의 출현으로 언어학 분야가 더욱 세분화되었다.[90][91][92] 20세기 후반, 노엄 촘스키의 생성 문법은 이상에서 언급한 근대 언어학으로부터 더욱 변혁을 가져왔으며, 현대 언어학이라고도 불린다. 후술하는 인지 언어학으로부터 비판도 있지만, "촘스키 언어학"이 전부는 아니지만 현대 언어학에 있어서 그 영향은 크다.[90][91][92]
또한 20세기 후반에는 그 외에도 마이클 할리데이 등의 기능 언어학(Systemic functional grammar)이나 조지 레이코프 등의 인지 언어학 등, 다른 접근 방법도 고안되었다.[90][91][92]
4. 언어학의 응용 분야
응용언어학은 언어와 관련된 실질적인 분야를 다루며, 언어 관련 교재 개발, 교수법, 번역과 통역, 사전 편찬, 언어치료, 언어정책, 전산처리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95]
언어학 연구는 언어 교육, 사전 편찬, 번역, 언어 계획(언어 사용과 관련된 정부 정책 시행 포함), 자연어 처리와 같은 영역에 적용된다.[95] 응용 언어학자들은 기존의 언어학적 지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세계의 언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둔다.[95] 이들은 사회학(예: 대화 분석)과 인류학 등 여러 출처의 전문 지식을 활용한다.[95] 구성 언어도 응용 언어학에 속한다.[95]
오늘날 컴퓨터는 응용 언어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음성 합성과 음성 인식은 컴퓨터에 음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95] 계산 언어학의 기계 번역, 컴퓨터 지원 번역, 자연어 처리 분야는 응용 언어학의 최전선에 등장했다.[95]
언어 분석은 난민 신청자들의 국적 확인에 사용되는 응용 언어학의 하위 분야이다.[96] 국가에 따라 면접은 난민 신청자의 모국어로 통역사를 통해 진행되거나, 영어와 같은 국제적인 ''공용어''로 진행된다.[96] 면접 녹음 테이프는 언어 분석을 거치며, 분석가의 언어적 특징 분석은 난민 신청자의 국적 결정에 사용된다.[96] 언어 분석 결과는 난민 지위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96]
언어 기록은 언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와 언어학적 연구를 결합하여 언어와 그 문법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7] 어휘론은 어휘를 구성하는 단어들을 기록하며, 이는 사전에 편찬된다.[97] 전산 언어학은 자연어의 통계적 또는 규칙 기반 모델링에 관심이 있다.[97] 번역 및 해석 행위와 언어 교육에서 특정 언어 지식이 적용된다.[97] 정책 입안자들은 언어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교육 및 교수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시행한다.[97]
언어학자들은 기록되지 않은 언어를 기술하고 분석하는 데 관심을 가져왔다.[97] 이는 프란츠 보아스를 시작으로 미국 언어학의 주요 초점이 되었다.[97] 언어 기록에 대한 초점은 급속히 사라져 가는 원주민 언어를 기록하려는 우려에서 비롯되었다.[97] 보아스식 언어 기술의 민족지학적 차원은 사회 언어학, 인류 언어학, 언어 인류학과 같은 학문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97]
언어 기술 및 기록에 대한 강조는 북미 이외 지역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사라져 가는 원주민 언어의 기록이 언어학과 관련된 일부 대학 프로그램의 초점이 되고 있다.[97] 언어 기술은 노력이 많이 드는 일이며, 수년간의 현장 연구가 필요하다.[97] 기록 작업에는 상당한 말뭉치를 수집해야 하며, 이는 텍스트와 음향 및 비디오 녹음으로 구성되어 개방형 저장소에 저장하고 추가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97]
번역 분야는 서면 및 구어 텍스트 번역을 포함한다.[98][99] 번역가는 서로의 언어를 모르는 두 화자 간의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용된다.[98][99] 계산 언어학 설정에서 두 개 이상의 언어 간의 단어와 구문을 번역하는 작업에 종사하기도 한다.[98][99] 출판사에서도 번역이 수행되며, 국가 간 및 문화 간 설문 조사 연구에서는 다국어 사용 인구 간에 비교 가능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번역을 사용한다.[98][99] 학계 번역가는 기술, 과학, 법률, 경제 등 다양한 분야를 전문으로 한다.[98][99]
임상언어학은 언어학 이론을 언어치료 분야에 적용하는 학문이다.[101][102] 언어치료사는 의사소통 및 삼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교정 조치를 시행한다.[101][102]
계산언어학은 알고리즘 명세 및 계산 복잡도의 계산적 고려 사항을 주의 깊게 고려하여 언어적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101][102] 계산언어학자들은 컴퓨터 언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종사한다.[101][102]
법언어학은 법의학에 언어 분석을 적용하는 학문이다.[101][102] 법적 맥락에서 사용된 문체, 언어, 어휘 사용 및 기타 언어적, 문법적 특징을 조사하여 법정에서 증거를 제공한다.[101][102] 법언어학자들은 형사 사건의 틀에서도 전문 지식을 활용한다.[101][102]
5. 한국 언어학의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고려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과 같이 주요 언어학에 대한 커리큘럼을 가진 언어학과들은 전공 학위에서 문학사로 분류하고 있다.
5. 1. 주요 연구 기관 및 학회
5. 2. 주요 연구 분야 및 과제
대한민국에서는 고려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과 같이 주요 언어학에 대한 커리큘럼을 가진 언어학과들은 전공 학위에서 문학사로 분류하고 있다.[139][140]참조
[1]
서적
Language and Linguistics: The Key Concept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9-21
[2]
서적
On Language and Linguistic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
웹사이트
What is Linguistic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https://www.linguist[...]
[4]
웹사이트
Linguistics Program – Linguistics Program |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https://sc.edu/study[...]
[5]
웹사이트
Studying Linguistic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https://www.linguist[...]
[6]
웹사이트
Theoretical Linguistics
https://www.globelan[...]
[7]
웹사이트
The Fields of Applied Linguistics
https://www.thoughtc[...]
[8]
서적
Theory in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An Encyclopedia
SAGE Publishing
2013-09-27
[9]
서적
Clinical linguistics
Springer-Verlag
1981
[10]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11]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An Introduc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Idea System of the Early Comparative Grammarians.
Springer, Dordrecht
[13]
웹사이트
Subfields of Linguistics Defined: Phonetics,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Pragmatics
https://parentingpat[...]
2013-04-27
[14]
서적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https://simondlevy.a[...]
[15]
간행물
Editors' Introduction: Foundations of the new historical linguistics.
Routledge
[16]
서적
Principles of Linguistic Change, Volume 1: Internal Factors
Blackwell
[17]
서적
Language and the Stud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Scribener
[18]
웹사이트
Early Uralic – Indo-European contacts within Europe
https://indo-europea[...]
2019-12-29
[19]
논문
Historical Linguistics and Cognitive Science
http://www.personal.[...]
[20]
뉴스
History of Historical Linguistics Essay on History, Linguistics
https://benjaminbarb[...]
2019-08-11
[21]
논문
The definition of the grammatical category in a syntactically oriented morphology
https://www.academia[...]
2005-01
[22]
백과사전
Syntax–Semantics Interface
https://www.research[...]
Elsevier
2015
[23]
서적
Encyclopedia of Cognitive Science
Macmillan Reference, Ltd., Yale University
n.d.
[24]
서적
What is Morphology?
Blackwell Publishing
n.d.
[25]
웹사이트
In linguistics
https://www.academia[...]
[26]
서적
Pragmatics: An Introduction
Blackwell
2001
[27]
웹사이트
Meaning (Semantics and Pragmatic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https://www.linguist[...]
[28]
웹사이트
What is pragmatics?
http://www.gxnu.edu.[...]
[2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Linguistic Theory – Phonology: The Sound Patterns of Language
https://scholar.harv[...]
Harvard University
[30]
기타
[31]
서적
Linguistics
https://mitpress.mit[...]
The MIT Press
[32]
서적
Syntax: A Generative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ing
[33]
서적
Meaning and Grammar: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34]
논문
Discourse, grammar, discourse
[35]
서적
Language and Context: a Functional Linguistic Theory of Register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6]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016-08-15
[37]
웹사이트
"Stylistics" by Joybrato Mukherjee. Chapter 49. ''Encyclopedia of Linguistics''.
http://www.uni-giess[...]
2013-10-04
[38]
서적
The Philosophy of Rhetoric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9]
서적
Writing and Difference and Of Grammatology
[40]
서적
Trends in Linguistics: Runes and Germanic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41]
서적
Handbook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42]
서적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43]
서적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https://monoskop.org[...]
The Philosophical Library, Inc.
1959
[44]
학술지
Theory of language: a taxonomy
2021
[45]
서적
Einführung in die grammatische Beschreibung des Deutschen (2nd ed.)
https://www.oapen.or[...]
Language Science Press
2020-01-16
[46]
서적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http://www.uel.br/pr[...]
Hodder
2020-01-16
[47]
서적
Functionalism in Linguistics
John Benjamins
1987
[48]
학술지
Structures, not strings: linguistics as part of the cognitive sciences
https://www.research[...]
2020-01-05
[49]
서적
The Minimalist Program (2nd ed.)
MIT Press
2015
[50]
서적
Handbook of Language Emergence
Wiley
2015
[51]
서적
Language and the Creative Mind
Chicago University Press
2014
[52]
학술지
MIND-AS-BODY as a Cross-linguistic Conceptual Metaphor
https://www.research[...]
2020-07-15
[53]
학술지
The cognitive psychological reality of image schemas and their transformations
1995
[54]
학술지
Integrating cognitive linguistics and language evolution research
https://apcz.umk.pl/[...]
2020-01-16
[55]
서적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6
[56]
학술지
Evolutionary linguistics
http://www.afhalifax[...]
2020-01-16
[57]
학술지
Complex adaptive systems and the origins of adaptive structure: what experiments can tell us
https://www.research[...]
2020-01-16
[58]
학술지
Language Structures May Adapt to the Sociolinguistic Environment, but It Matters What and How You Count: A Typological Study of Verbal and Nominal Complexity
[59]
학술지
Grammaticalization and the life cycles of constructions
2001
[60]
서적
The Language Phenomenon
http://www.labex-who[...]
Springer
2020-03-04
[61]
서적
Competition in Language Change: the Rise of the English Dative Alternation
De Gruyter Mouton
[62]
서적
Handbook of Language Emergence
Wiley
2015
[63]
서적
Functionalism and Formalism in linguistics, 1
John Benjamins
1999
[64]
백과사전
Functional Approaches to Grammar
Elsevier
[65]
서적
Elements of General Linguistics
Faber
[66]
웹사이트
Linguistics | PDF | Lexicon | Linguistics
https://www.scribd.c[...]
2022-06-10
[67]
서적
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 The Search for Principles and Patter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1908
[69]
웹사이트
Aṣṭādhyāyī 2.0
http://panini.phil.h[...]
2021-02-27
[70]
서적
The Ashtadhyayi of Panini (2 Vols.)
http://www.vedicbook[...]
Vedic Books
2012-09-17
[71]
논문
On Panini and the Generative Capacity of Contextualised Replacement Systems
https://www.aclweb.o[...]
[72]
웹사이트
philology
2018-03-05
[73]
논문
Introduction: Philology in a Manuscript Culture
[74]
서적
Understanding Languag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서적
Nineteenth-Century Linguistics
1998
[76]
웹사이트
linguist
2018-03-05
[77]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Language and Linguistic in the ELT Classroom
https://www.academyp[...]
Theory and Practice in Language Studies
2023-12-10
[78]
웹사이트
What is Linguistics?
https://www.bcu.ac.u[...]
2023-12-10
[79]
서적
The Handbook of Educational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2-01
[80]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pplie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03-20
[81]
웹사이트
The Science of Linguistics
https://www.linguist[...]
2018-04-17
[82]
서적
Essays on Linguistic Realism
https://philarchiv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8
[83]
서적
Linguistics
Penguin Books
[84]
백과사전
Linguist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85]
서적
(missing)
[86]
서적
Western linguistics: An historical introduction
Wiley-Blackwell
[87]
서적
(missing)
[88]
서적
(missing)
[89]
서적
(missing)
[90]
논문
Linguist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computational) corpus linguistics
https://tidsskrift.d[...]
2014-12-19
[91]
논문
Corpus Linguistics, Learner Corpora, and SLA: Employing Technology to Analyze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백과사전
Corpus Linguistics
https://www.scienced[...]
Elsevier
2006-01-01
[93]
논문
Developmental Linguistics
https://www.degruyte[...]
1981-01-01
[94]
논문
Cerebellum as a Master-Piece for Linguistic Predictability
2017-10-25
[95]
서적
Controversies in Applied Linguistics (pp. 288)
Oxford University Press
[96]
논문
Applied Linguistics and Language Analysis in Asylum Seeker Cases
http://songchau.goog[...]
[97]
서적
Language documentation: What is it and what is it good for?
Mouton de Gruyter
[98]
논문
Introduction: Translation of questionnaires in cross-national and cross-cultural research
https://www.trans-in[...]
2018-07-25
[99]
서적
The Sociolinguistics of Survey Translation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9-07-09
[100]
논문
Evolutionary Linguistics
2008-10-01
[101]
간행물
What is Forensic Linguistics?
https://www.thetext.[...]
[102]
웹사이트
what is forensic linguistics?
http://www.forensicl[...]
[103]
웹사이트
言語学
小学館
2023-12-12
[104]
서적
The Concis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05]
서적
Handbook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106]
서적
Prolegomena to a Theory of Languag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107]
서적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https://archive.org/[...]
Philosophy Library
1959
[108]
학술지
Theory of language: a taxonomy
https://link.springe[...]
2021-08-02
[109]
서적
Einführung in die grammatische Beschreibung des Deutschen (2nd ed.)
https://library.oape[...]
Language Science Press
2016
[110]
서적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http://www.uel.br/pr[...]
Hodder
2004
[111]
서적
Functionalism in Linguistics
John Benjamins
1987
[112]
학술지
Structures, not strings: linguistics as part of the cognitive sciences
https://www.research[...]
2021-08-03
[113]
서적
The Minimalist Program (2nd ed.)
MIT Press
2015
[114]
서적
Handbook of Language Emergence
Wiley
2015
[115]
서적
Language and the Creative Mind
Chicago University Press
2014
[116]
학술지
Metaphors and neuro-linguistic programming
2010
[117]
학술지
MIND-AS-BODY as a Cross-linguistic Conceptual Metaphor
https://www.research[...]
2020-07-15
[118]
학술지
The cognitive psychological reality of image schemas and their transformations
1995
[119]
서적
Empirical Approaches to Cognitive Linguistics: Analyzing Real-Life Dat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8-05
[120]
학술지
Integrating cognitive linguistics and language evolution research
https://apcz.umk.pl/[...]
2021-08-03
[121]
서적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6
[122]
학술지
Evolutionary linguistics
http://www.afhalifax[...]
2021-08-03
[123]
학술지
Complex adaptive systems and the origins of adaptive structure: what experiments can tell us
https://www.pure.ed.[...]
2021-08-03
[124]
학술지
Language Structures May Adapt to the Sociolinguistic Environment, but It Matters What and How You Count: A Typological Study of Verbal and Nominal Complexity
[125]
학술지
Grammaticalization and the life cycles of constructions
2001
[126]
서적
The Language Phenomenon
Springer
2020-03-04
[127]
서적
Competition in Language Change: the Rise of the English Dative Alternation
De Gruyter Mouton
[128]
서적
Handbook of Language Emergence
Wiley
2015
[129]
서적
Functionalism and Formalism in linguistics, 1
John Benjamins
1999
[130]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Elsevier
[131]
서적
On Language and Linguistics
https://archive.org/[...]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32]
웹인용
What is Linguistic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https://www.linguist[...]
2022-02-08
[133]
웹인용
Social Science Majors, University of Saskatchewan
http://artsandscienc[...]
2016-02-06
[134]
웹인용
Language as a Natural Object; Linguistics as a Natural Science
http://www.dingo.sbs[...]
[135]
웹사이트
Cognitive Science
http://plato.stanfor[...]
[136]
서적
Linguistics
https://mitpress.mit[...]
The MIT Press
2012-07-25
[137]
웹인용
Studying Linguistic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https://www.linguist[...]
2022-04-01
[138]
서적
Theory in Social and Cultrual Anthropology: An Encyclopedia
SAGE Publishing
[139]
참고자료
서울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칙 제2장 학위수여규정 및 고려대학교 학칙 [별표1]대학(학부), 학과(부)별 수여 학위명, 부산대 [별표5-1] 학사과정 학과(부)별 수여 학위명[제75조 관련] 등
[140]
참고자료
커리어넷-학과정보,언어학과
http://www.career.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