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 참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시 참푸르는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으로, 찐 쌀과 다양한 반찬을 곁들여 먹는 음식이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며, 발리, 자바, 말레이 반도, 중국계 인도네시아 등 여러 지역에서 고유한 스타일로 발전했다. 밥 종류, 반찬, 식사 방법 등은 지역과 식당에 따라 다르며, 뷔페식으로 제공되기도 하고, 포장 판매도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쌀 요리 - 비리아니
비리아니는 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요리로, 쌀과 고기, 해산물 또는 채소,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페르시아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파키 방식과 카치 방식으로 나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싱가포르의 쌀 요리 - 하이난 닭고기밥
하이난 닭고기밥은 하이난성 출신 중국 이민자들이 동남아시아로 이주하며 하이난의 전통 요리인 원창 닭고기를 활용하여 닭고기 육수로 밥을 짓는 방식에서 유래되어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온 요리이다. - 인도네시아의 쌀 요리 - 나시 우둑
나시 우둑은 코코넛 밀크와 향신료를 넣어 지은 인도네시아 쌀 요리로, 어원과 기원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자카르타의 베타위식 나시 우둑과 자바의 의례 음식으로도 사용되고, 최근에는 맥도날드에서도 판매될 만큼 인기가 있다. - 인도네시아의 쌀 요리 - 비리아니
비리아니는 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요리로, 쌀과 고기, 해산물 또는 채소,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페르시아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파키 방식과 카치 방식으로 나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찐 요리 - 바인 꾸온
바인 꾸온은 쌀가루 반죽을 얇게 펴서 만든 베트남 요리로, 양념 돼지고기, 목이버섯 등으로 속을 채워 짜루어, 오이 등과 함께 느억짬에 찍어 먹으며 아침 식사로 즐겨 먹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다른 나라에서도 유사한 요리를 찾아볼 수 있다. - 찐 요리 - 이들리
이들리는 남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유래한 쌀과 우라드 콩 발효 반죽을 쪄서 만든 음식으로, 다양한 지역적 변형이 존재하며 차트니, 삼바르 등과 함께 먹고, 매년 3월 30일은 "세계 이들리 데이"로 기념된다.
나시 참푸르 - [음식]에 관한 문서 | |
---|---|
명칭 | |
한국어 | 나시 참푸르 |
로마자 표기 | Nasi Campur |
다른 이름 | 나시 라메스 |
분류 | |
종류 | 주요리 |
지역 및 문화 | |
국가 |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
관련 요리 | 나시 파당 나시 라메스 나시 칸다르 리스타펠 (인도) |
특징 | |
주재료 | 밥과 다양한 반찬 |
제공 온도 | 뜨겁거나 실온 |
기타 | 네덜란드에서도 인기 있음 |
2. 기원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인 ''나시 참푸르''는 지역적 변형이 존재하여 인도네시아 군도만큼이나 다양하다.[1] 인도네시아인과 동남아시아인들은 일반적으로 찐 쌀을 섭취하며 채소와 고기로 구성된 반찬을 곁들여 먹기 때문에, 나시 참푸르를 만드는 정확한 규칙, 레시피, 정의는 없다. 그 결과, 기원이나 레시피에 대한 질문은 모호하다. 그러나 나시 참푸르는 일반적으로 채소와 고기로 구성될 수 있는 반찬이 곁들여진 찐 쌀로 인식되며, 더 큰 단체용으로 제공되는 뚬뻥 또는 화려한 식민지 연회에서 제공되었던 레이스타펠과는 대조적으로 개인별로 제공된다.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시 참푸르''는 인도네시아 군도만큼이나 다양한 지역적 변형을 보인다.[1] 찐 쌀에 채소와 고기 반찬을 곁들여 먹는 문화는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전역에 널리 퍼져 있어, 나시 참푸르에 대한 명확한 규칙이나 조리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나시 참푸르는 개인별로 제공되는 찐 쌀과 반찬의 조합으로 인식되며, 단체용 뚜umpeng이나 식민지 시대 연회 음식인 rijsttafel과는 구별된다.
3. 다양한 형태
나시 참푸르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밥과 다양한 반찬을 곁들인 음식을 지칭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양한 반찬이 있는 밥을,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에서는 말레이식 섞음밥을 의미하지만,[2] 나시 참푸르 치나 등 비말레이 버전도 있다.
자바, 발리, 말레이 반도, 보르네오, 술라웨시, 파푸아, 인도-식민지 요리, 중국계 인도네시아식 나시 참푸르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다양한 지역적 변형이 발견된다.
3. 1. 발리식 나시 참푸르
발리에서 '나시 참푸르 발리' 또는 간단히 '나시 발리'라고 불리는 볶음밥은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음식이다.[3] 이 발리식 '나시 참푸르'는 "발리 요소", 즉 국제 방문객들 사이에서 발리의 인기 덕분에 국제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버전일 것이다.[4] 맛은 종종 현지 고유의 풍미를 가지며, 많은 카레 및 채소 요리의 기반으로 사용되는 전형적인 발리 향신료 혼합물인 '바사 게네프'(완전한 향신료)로 강조된다.[1] 발리식 볶음밥은 쌀 위에 구운 참치, 튀긴 두부, 오이, 시금치, 템페, 쇠고기 큐브, 채소 카레, 옥수수 및 칠리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볶음밥은 종종 바나나 잎에 싸여 길거리 노점상에서 판매된다.
힌두교도가 다수인 발리에서는 '나시 참푸르' 요리에 라와르와 바비 굴링을 추가할 수 있다. 할랄 버전도 이용 가능하며, 아얌 베투투, 사테 리릿, 계란이 밥과 함께 제공된다.
3. 2. 자바식 나시 참푸르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시 참푸르는 지역적 변형이 다양하다. 자바에서는 나시 참푸르를 종종 "나시 라메스"(ꦤꦱꦶꦫꦩꦼꦱ꧀|섞인 밥jv)라고 부르며, 섬 전역에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자바식 나시 참푸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요리 중 하나는 볶음 국수이다. "나시 라메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서자바에서 인도인(유라시아인) 요리사 트루스 반 데르 카펠렌이 만든 요리인데, 그녀는 일본 점령 기간(및 이후) 동안 반둥 수프 키친을 운영했다. 나중에 그녀는 네덜란드에 식당을 열었고 그곳에서도 이 요리를 똑같이 인기를 얻게 만들었다.
욕야카르타의 자바식 나시 참푸르는 "나시 잉쿵"이라고 불리며, "아얌 잉쿵"이라고 불리는 통닭 요리, 우라판 카술탄, 페르케델, 엠팔 가핏, 사테 투숙 지워 및 뚬펭 밥으로 구성된다.[5] 나시 라메스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버전은 나시 쿠칭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더 작은 부분으로 제공된다.
3. 3. 인도네시아 중국식 나시 참푸르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인 ''나시 참푸르''는 지역마다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1] 찐 쌀에 채소와 고기 반찬을 곁들여 먹는 인도네시아 및 동남아시아 식문화 특성상, 나시 참푸르에는 정해진 규칙이나 조리법이 없다. 하지만, 나시 참푸르는 보통 찐 쌀에 여러 반찬을 곁들여 1인분씩 제공되는 형태로, 단체용 뚜umpeng이나 식민지 시대 연회 음식인 rijsttafel과는 구별된다.
대부분 나시 참푸르는 밥과 다양한 반찬을 함께 제공하는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버전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양한 반찬이 곁들여진 모든 종류의 밥을,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에서는 주로 말레이식 섞음밥을 지칭한다.[2] 하지만, 나시 참푸르 치나, 나시 참푸르 오랑 울루, 나시 참푸르 이반 등 비말레이 버전도 존재한다.
자바, 발리, 말레이 반도, 보르네오, 술라웨시, 파푸아, 인도-식민지 요리, 그리고 중국계 인도네시아식 나시 참푸르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는 다양한 지역적 변형이 존재한다.
"나시 참푸르 티옹화"는 "중국 스타일의 다양한 고기가 들어간 밥"을 의미하는 "나시 뎅안 다깅 참푸르 카라 티옹화"의 줄임말이다. 이 지역의 대부분의 중국인 노점과 푸드 코트에서는 밥과 국 한 그릇에 한 종류의 고기만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고기는 별도로 주문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중국인 판매점의 메뉴는 대부분 흰쌀밥과 함께 제공되는 특정 고기(예: 차슈 밥, 구운 돼지고기 밥)를 지칭한다. 나시 참푸르 티옹화는 다양한 중국식 바비큐 고기를 한 번에 맛볼 수 있는 세트 메뉴라고 할 수 있다.
자카르타를 비롯하여 중국계 인구가 많은 주요 도시에서는 중국계 인도네시아식 "나시 참푸르 티옹화"[6]를 "나시 참푸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차슈, 바삭하게 구운 돼지고기, 달콤한 돼지고기 소시지, 돼지고기 사테 등 다양한 바비큐 고기를 밥 위에 올린 요리이다. 이 요리는 보통 간단한 중국식 닭고기 수프나 사유르 아신(발효된 겨자 잎이 들어간 돼지 뼈로 만든 맑은 국)과 함께 제공된다. 하지만, 이와 유사한 요리는 중국 본토,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또는 자카르타 외 인도네시아의 대부분 지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3. 4. 미낭카바우식 나시 참푸르
나시 파당은 인도네시아 서수마트라에서 유래한 미낭카바우 음식 문화의 대표적인 요리이다.[7] 밥과 함께 고기, 생선, 채소, 매운 삼발 등 다양한 종류의 미리 조리된 반찬이 제공된다. 파당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파당 식당은 전통적인 루마 가당 건축 양식과 다양한 그릇에 정성스럽게 담긴 음식을 진열한 화려한 창문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음식을 내는 방식은 작은 식당에서는 주로 고객이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는 '페산' 방식을 사용하고, 대형 식당에서는 다양한 음식을 연회 스타일로 제공하는 '히당' 방식을 사용한다.[8]
나시 카파우는 부킷팅기의 나가리 카파우에서 유래되었으며, 나시 참푸르의 미낭카바우 버전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나시 카파우 식당에서는 손님들이 큰 그릇에 담긴 다양한 요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두 가지 식사 스타일 모두 식사 전후에 손을 씻기 위해 라임이 들어있는 물 그릇인 코보칸을 사용하여 손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시 파당과 나시 카파우는 미낭카바우 사람들의 풍부한 요리 유산을 보여주는 다양한 요리를 특징으로 한다. 밥과 함께 제공되는 인기 있는 반찬으로는 ''굴라이 쿠바닥''(덜 익은 잭프루트 카레)과 삶은 카사바 잎이 있다. 그 외에도 렌당(매운 쇠고기 스튜), ''굴라이 아얌''(닭고기 카레)과 같은 다양한 굴라이와 굴라이 툰장(소 발 힘줄), 굴라이 아티(소 간)와 같은 내장 요리도 제공된다. 메뉴에는 아얌 고렝(프라이드 치킨), 발루이크 고렝(구운 장어)과 같은 튀김 요리와 삼발, 덴뎅 발라두(고추를 곁들인 바삭한 쇠고기), 이칸 아삼 페데 (매콤한 시큼한 생선)와 같은 독특한 요리도 포함될 수 있다.
3. 5. 말레이식 나시 참푸르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에서 가장 흔한 나시 참푸르 형태는 말레이식 나시 참푸르이다. 싱가포르, 태국 남부, 수마트라 동부 및 남부 해안, 서 칼리만탄 일부를 포함한 말레이 인도네시아 지역에서도 인기가 있다. 클라탄과 파타니에서는 ''나시 베를라우크''(Nasi Berlauk)로, 페낭에서는 ''나시 멜라유''(Nasi Melayu)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찐 흰쌀밥을 기본으로, 카레, 구이 고기, 채소, 삼발 등 다양한 반찬을 곁들인다.[9] 전통적인 향신료와 허브를 사용하여 톡 쏘는 듯하고 향긋한 풍미를 자랑한다. ''굴라이 이칸''(생선 카레), ''카리 아얌''(닭고기 카레), ''렌당 다깅''(쇠고기 렌당)과 같은 풍부한 카레가 자주 등장하며, ''이칸 바카르''(구운 생선), ''아얌 고렝 베렘파''(향신료를 넣은 닭튀김)와 같은 구운 또는 튀긴 단백질도 제공된다. 볶거나 데친 채소는 신선함과 질감을 더하며, 특히 ''캉콩''(모닝글로리), 삼발을 곁들인 가지, 긴 콩이 인기가 있다. 새우 페이스트로 만든 ''삼발 벨라칸''을 포함한 다양한 삼발은 독특한 매운맛과 우마미를 더한다. 튀긴 템페, 두부, 삶은 달걀, 절인 채소와 같은 추가 품목은 풍미와 다양성을 더하여 접시를 완성한다.[9]
일반적으로 캐주얼하고 셀프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되는 나시 참푸르는 식사하는 사람이 뷔페와 같은 진열대에서 접시를 만들어 한 번의 제공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9]
3. 6. 말레이시아-싱가포르 중국식 나시 참푸르
''나시 참푸르 시나''(중국식 믹스 라이스)라고도 불리는 이코노미 라이스(經濟飯|징지판중국어)는 호커 센터, 푸드 코트,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노점상에서 인기 있는 식사 메뉴이다. 호키엔어로는 'cai png'이라고 불린다. 찐 흰 쌀밥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조리된 요리를 제공하는 이 경제적인 식사는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보통 10개에서 15개의 선택지(고기, 채소, 계란, 두부 등)가 있다. 고객은 원하는 조합을 선택하며, 종종 밥에 카레를 추가하여 말레이 또는 인도네시아 나시 참푸르와 유사한 간단하면서도 맞춤형 식사를 만든다. 말레이시아 화교, 싱가포르 화교, 브루나이 사람들에게 "집에서 만든" 음식의 한 형태로 여겨지는 이코노미 라이스 판매점은 전통적인 중국 가족 식사의 편안함과 맛을 반영하는 저렴한 식사 선택지를 제공한다.[10]
3. 7. 기타 지역 변형
자바, 발리, 미낭카바우, 중국, 말레이 커뮤니티 외에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의 다양한 원주민 집단이 나시 참푸르에 대한 자신만의 해석을 발전시켰다. 아체, 바탁, 순다, 다약, 반자르, 부기스-마카사르, 마나도와 같은 집단은 고유한 변형을 통해 나시 참푸르가 통일된 반찬 세트를 따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아체 나시 참푸르는 향기로운 허브로 양념한 튀긴 닭고기 요리인 ''아얌 탕깝''을 포함할 수 있다. 바탁 버전은 풍부한 향신료로 만든 매운 돼지고기 요리인 삭상과 허브와 향신료 혼합물에 절인 생선 요리인 ''나니우라''를 자주 선보인다. 이는 신선한 재료에 대한 지역의 접근성과 대담한 맛을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요리 전통을 반영한다.
순다 나시 참푸르는 일반적으로 매운 칠리 페이스트인 삼발과 함께 제공되는 신선한 생 채소를 강조하며, 이칸 바카르(구운 생선)와 같은 요리를 보완한다. 이는 식사에서 신선함과 단순성을 선호하는 순다 사람들의 특징을 보여준다. 한편, 다약 요리에서는 멧돼지나 강고기를 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다약 커뮤니티가 그들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연 자원과의 관계를 반영한다.
토라자 요리는 바나나 잎으로 싼 구운 고기로 구성된 ''파퐁''을 포함하여 독특한 풍미를 제공한다. 마나도 나시 참푸르는 매운 소스로 유명한 구운 생선 요리인 이칸 바카르 리카가 특징이며, 다양한 삼발이 함께 제공되어 전반적인 맛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나시 참푸르의 변형들은 각 커뮤니티의 요리 전통을 보여주며, 각 지역의 다양한 맛과 재료를 강조한다. 각 변형은 지역 문화, 사용 가능한 재료 및 역사적 영향을 반영하여 나시 참푸르의 전체적인 다양성에 기여한다.[1]
4. 식사 방법 및 스타일
나시 참푸르는 인기 있는 현지 음식으로, 노점상, 레스토랑 등에서 판매된다. 식기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식사하는 것은 이 지역의 문화이며, 일본의 덮밥과도 통하는 부분이 있다. 비슷한 반찬과 비슷한 스타일로 가정에서도 먹지만, 구체적인 요리 이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이 단어로 부르는 경우는 적다.
가게에서 먹을 때는 숟가락과 포크가 준비되어 있지만, 오른손만 사용하여 먹는 사람도 많다. 따라서 핑거볼도 준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요리를 고르는 방법이나 지불 방법은 한 상 차림 식당(마이도 오오키니 식당 등)이나 카페테리아와 비슷하며, 기본적으로 손님이 기호에 따라 요리를 선택하고 마지막에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외국인 대상 레스토랑 등에서는 미리 반찬이 선택되어 있어 손님이 고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기본적으로 한 접시에 담아내지만 가게에서 여러 명이 나눠 먹는 경우에는 예외이다. 또한, 수프류는 예외로 다른 식기를 사용하지만, 그마저도 밥 위에 부어 먹는 사람도 있다. 노점상에서는 포장 판매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기름 종이로 전체를 싸서 신문지로 한 번 더 싸거나, 봉투에 넣어준다. 수프는 비닐 봉투에 넣어준다. 옛날에는 기름 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바나나 잎을 사용했다.
5. 재료
나시 참푸르는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인도네시아 군도의 다양성만큼이나 지역별 특징이 뚜렷하다.[1]
일반적으로 나시 참푸르는 찐 쌀밥에 채소와 고기 반찬을 곁들여 먹는 형태이다. 개인별로 제공되는 것이 특징이며, 단체용으로 제공되는 뚜umpeng이나 식민지 시대 연회 음식인 rijsttafel과는 구별된다.
나시 참푸르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밥과 다양한 반찬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양한 반찬과 함께 제공되는 모든 종류의 밥을,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에서는 주로 말레이 섞음밥을 의미한다.[2] 비말레이 버전으로는 나시 참푸르 치나, 나시 참푸르 오랑 울루, 나시 참푸르 이반 등이 있다.
발리에서는 '나시 참푸르 발리' 또는 '나시 발리'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3] 발리식 나시 참푸르는 구운 참치, 튀긴 두부, 오이, 시금치, 템페, 쇠고기, 채소 카레, 옥수수, 칠리 소스 등을 밥 위에 얹어 바나나 잎에 싸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라와르나 바비 굴링을 추가하기도 하지만, 할랄 버전에는 아얌 베투투, 사테 리릿, 계란 등이 사용된다.
자바에서는 나시 참푸르를 "나시 라메스"라고 부르며, 볶음 국수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욕야카르타의 "나시 잉쿵"은 통닭 요리, 우라판 카술탄, 페르케델, 엠팔 가핏, 사테 투숙 지워, 뚬펭 밥으로 구성된다.[5]
중국계 인도네시아 스타일의 "나시 참푸르 티옹화"는 차슈, 구운 돼지고기, 달콤한 돼지고기 소시지, 돼지고기 사테 등 다양한 바비큐 고기를 밥과 함께 제공한다.[6]
나시 파당은 서수마트라의 미낭카바우 음식 문화를 대표하며,[7] 밥과 함께 고기, 생선, 채소, 삼발 등 다양한 반찬을 제공한다. 나시 카파우는 부킷팅기의 나가리 카파우에서 유래되었으며, 나시 파당과 유사하지만 다양한 요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말레이 나시 참푸르는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에서 가장 흔하며, 클라탄과 파타니에서는 ''Nasi Berlauk'', 페낭에서는 ''Nasi Melayu''라고 불린다. 찐 쌀밥에 카레, 구이 고기, 채소, 삼발 등 다양한 반찬을 곁들인다.[9]
이코노미 라이스는 '나시 참푸르 시나'라고도 불리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호커 센터 등에서 찐 쌀밥과 다양한 요리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형태이다.[10]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의 다양한 원주민 집단도 각자의 나시 참푸르를 발전시켰다. 아체, 바탁, 순다, 다약, 반자르, 부기스-마카사르, 마나도 등은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반찬을 사용한다.
나시 참푸르의 밥은 보통 흰 쌀밥[12]이지만, 코코넛 주스를 넣어 지은 밥이나, 강황을 넣어 노랗게 한 밥(nasi kuning)을 선택할 수도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코코넛 주스를 넣어 지은 밥을 사용한 나시 레마가 흔하다.
반찬은 주로 인도네시아 요리나 말레이시아 요리이며, 고기, 채소, 땅콩, 달걀, 템페, 크루푹 등이 사용된다. 삼발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무슬림이 많아 돼지고기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힌두교 신자도 있어 쇠고기도 피하는 경우가 많아 닭고기 요리가 주를 이룬다. 채소는 잘 익혀서 사용하며,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고 진한 양념이나 팜유로 튀긴 요리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Nasi Campur: Rice With a Side of Serendipity
http://www.thejakart[...]
JakartaGlobe
2010-04-02
[2]
웹사이트
Nasi Campur (Malay Mixed Rice)
http://www.backpacki[...]
Backpacking Malaysia
2014-07-06
[3]
웹사이트
'Nasi campur' Kedewatan, a tourist favorite
https://sobatjalan.c[...]
Sobat Jalan
2014-07-05
[4]
웹사이트
Malaysian Cuisine: A Case of Neglected Culinary Globalization
http://icc.fla.sophi[...]
Sophia University Institute of Comparative Culture, Tokyo
2014-05-02
[5]
웹사이트
Royal Ambarrukmo Patenkan Nasi Campur Ambarrukmo
http://www.harianjog[...]
Harian Jogja
2014-07-04
[6]
웹사이트
Nasi Campur Konghu (Chinese Mix Rice)
http://jakartathecit[...]
Jakarta the City
2014-07-06
[7]
웹사이트
Padang's Feast Fit for a King
http://eatingasia.ty[...]
Eating Asia
2013-08-20
[8]
웹사이트
A Unique of Padang
http://padangbaycity[...]
Padangbaycity.com
2010-09-22
[9]
citation
Nasi Campur – The Most Flavorful Buffet You’ll Ever
https://www.migratio[...]
2024-10-28
[10]
웹사이트
Economy Rice Stalls – A digest of Malaysian struggles
https://penangmonthl[...]
2020-01-31
[11]
문서
campurは[[チャンプルー]]や[[ちゃんぽん]]の語源の可能性があるが、これらは日本で料理においてはいろいろな食材を使用したことをあらわしている。ちゃんぽんは一般的には[[麺料理]]であるが[[ちゃんぽん#沖縄のちゃんぽん|沖縄のちゃんぽん]]は、ナシチャンプルと同じくおかず乗せご飯である。
[12]
문서
インドネシアでは[[東南アジア]]に多い[[インディカ米]]ではなく、やや日本のコメに近い[[ジャバニカ米]]のことが多い。
[13]
뉴스
인도네시아에선 길거리 음식이 제맛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7-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