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우플리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우플리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다나오스의 딸 아미모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르고스의 나우플리아(오늘날의 나플리오)의 시조이며, 뛰어난 항해술을 발휘하여 항해술을 발명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나우플리오스는 아들 팔라메데스가 오디세우스의 모략으로 살해당하자, 그리스 함대에 복수하기 위해 횃불로 유인하여 난파시키고, 장군들의 아내들을 유혹하여 불륜을 저지르게 했다.

2. 포세이돈의 아들

바다의 신 포세이돈다나오스의 딸 아미모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나우플리우스는 아르고스의 나우플리아(오늘날의 나플리오)를 세운 인물로 알려져 있다.[8][9]

2. 1. 탄생과 가계

포세이돈다나오스의 딸인 아미모네와의 사이에서 아들 나우플리우스를 낳았다.[8] 이 나우플리우스는 아르고스의 나우플리아 (오늘날의 나플리오)의 시조로 여겨졌으며,[9] 큰곰자리를 발견한 유명한 항해사였다.[10]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그가 다음과 같은 계보를 통해 같은 이름을 가진 아르고호 영웅의 조상이라고 말한다. 나우플리우스 - 프로이토스 - 레르노스 - 나우볼로스 - 클리토네우스 - 나우플리우스.[11] 아테네의 페레퀴데스에 따르면, 그는 다마스토르의 아버지이며, 그를 통해 페리스테네스의 할아버지, 딕튀스와 폴리덱테스의 증조할아버지였다.[12] 그는 뛰어난 항해 전문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항해술을 발명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가 항구로 기능하도록 설비한 항만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한다.[13]

나우플리우스는 아르고스 왕 다나오스의 딸 중 한 명인 아뮈모네와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들이다. 나우플리아의 창시자라고 하며, 아르고나우테스의 일원이기도 하다.

여신 헤라와 포세이돈이 아르고스의 영유권을 놓고 다툴 때, 패배한 포세이돈은 아르고스에 가뭄을 가져왔으므로, 다나오스는 딸들에게 물을 찾도록 했다. 아뮈모네는 물을 찾던 중 사티로스에게 습격당했으나, 포세이돈에 의해 구출되었고, 두 사람 사이에서 나우플리오스가 태어났다.

나우플리오스는 다마스토르와 프로이토스의 아버지라고 한다. 다마스토르의 아들 페리스테네스에게서 폴리데크테스와 딕튀스가 태어났다고 한다. 또한 프로이토스에게서는 레르노스, 나우볼로스, 크뤼토네오스 등 자손이 이어졌고, 크뤼토네오스에게서 2명의 나우플리오스가 태어났다.

2. 2. 항해술의 발명

바다의 신 포세이돈다나오스의 딸인 아미모네와의 사이에서 아들 나우플리우스를 낳았다.[8] 이 나우플리우스는 아르고스의 나우플리아(오늘날의 나플리오)의 시조로 여겨졌으며,[9] 큰곰자리를 발견한 유명한 항해사였다.[10] 그는 뛰어난 항해 전문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항해술을 발명했을 가능성도 있다.[13]

3. 팔라메데스의 아버지

나우플리오스, 팔라메데스의 아버지


나우플리오스는 에우보이아의 왕이자 팔라메데스의 아버지였다. 아들 팔라메데스가 오디세우스의 모략으로 죽임을 당하자, 트로이 전쟁에서 돌아오는 그리스 함대에 복수하기 위해 에우보이아 섬의 카페레우스 곶에서 횃불을 이용해 함대를 난파시켰다.

3. 1. 가계와 자식들

나우플리오스는 "파괴자 나우플리오스"라고도 불리며, 에우보이아의 왕이자 팔라메데스의 아버지였다.[14]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포세이돈아미모네의 아들이자 팔라메데스의 아버지는 "장수를 누린" 동일 인물이다.[15] 아폴로도로스는 트로이 전쟁에 관한 트로이 주기의 초기 서사시인 ''노스토이''(''귀향'')에서 나우플리오스의 아내는 필리라였으며, 케르콥스에 따르면 그의 아내는 헤시오네였지만, "비극 시인"에 따르면 그의 아내는 클리메네였다고 전한다.[16]

이 인물은 위에 언급된 나우플리오스의 자손에 해당한다. 크레타 섬의 왕 카트레우스의 딸 클리메네와의 사이에서 파라메데스, 오이악스, 나우시메돈을 낳았다.

부모배우자자식
포세이돈, 아미모네필리라, 헤시오네, 클리메네파라메데스, 오이악스, 나우시메돈


3. 2. 억울한 딸들의 구원



나우플리오스는 에우보이아의 왕이자 팔라메데스의 아버지였다. 트로이 전쟁 동안 그리스인들이 팔라메데스를 부당하게 살해하자, 나우플리오스는 이에 대한 복수를 계획했다.[14]

크레타 섬의 왕 카트레우스는 자신의 딸 아에로페가 노예와 동침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녀를 익사시키도록 나우플리우스에게 넘겼지만, 나우플리우스는 아에로페의 목숨을 살려 미케네의 왕 플레이스테네스와 결혼시켰다.[17] 또 다른 이야기로, 카트레우스는 신탁에 의해 자신의 자식 중 한 명에게 살해당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딸 아에로페와 클리메네를 나우플리우스에게 외국에 팔아넘기도록 했다. 그러나 나우플리우스는 아에로페를 플레이스테네스에게 넘기고, 자신은 클리메네를 아내로 맞이했다.[19]

테게아의 왕 알레우스의 딸이자 영웅 텔레포스의 어머니인 아우게의 이야기도 있다.[20] 알레우스는 아우게가 임신한 것을 알고 그녀를 나우플리오스에게 익사시키라고 넘겼지만,[23] 나우플리오스는 대신 그녀를 미시아의 왕 테우트라스에게 팔았다.[24]

이처럼 나우플리우스는 나라에서 추방된 공주들을 다른 나라에 파는 일을 자주 맡았다. 알레오스의 딸 아우게, 카트레우스의 딸 아에로페와 클리메네가 그러한 예이다. 아우게는 나우플리우스의 도움으로 미시아의 왕 테우트라스의 아내가 되었고, 아에로페는 아테레우스의 아내가 되어 아가멤논메넬라오스의 어머니가 되었다. 클리메네는 나우플리우스가 직접 아내로 삼았다.

나우플리우스는 카트레우스의 딸 클리메네와의 사이에서 파라메데스, 오이아스, 나우시메돈을 낳았다.

3. 3. 팔라메데스의 죽음과 복수



나우플리오스는 "파괴자 나우플리오스"[14]라고도 불리며, 에우보이아의 왕이자 팔라메데스의 아버지였다.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포세이돈아미모네의 아들이자 팔라메데스의 아버지는 "장수를 누린" 동일 인물이다.[15]

나우플리오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아들 팔라메데스가 오디세우스의 모략으로 살해당하자, 트로이에 가서 그리스 군에게 배상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25][26] 이에 깊은 원한을 품은 나우플리오스는 그리스 각지를 돌며 집을 지키는 그리스 무장들의 아내가 불륜을 저지르도록 유도했으며, 에우보이아 섬의 카페레우스 곶에서 횃불을 태워 귀국 중인 그리스 군의 함대를 난파시키는 등 복수를 감행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에우보이아의 한 지역은 "젊은이들의 클럽"으로 불렸는데, 이는 나우플리우스가 칼키스에 탄원자로 왔을 때, 아카이아인들에게 기소당하고 고소당하는 과정에서, 도시 사람들이 그에게 젊은이들로 구성된 경호대를 제공했고, 그 경호대가 이 장소에 배치되었기 때문이다.[33]

나우플리우스의 죽음에 대해서는, 페넬로페의 간통이 잘 되지 않아서 자살했다는 등의 설이 있다.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거짓 횃불을 밝히는 것은 나우플리우스의 습관이었고, 그 자신도 같은 방식으로 죽음을 맞이했다.[34]

3. 3. 1. 팔라메데스의 죽음

팔라메데스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지만, 오디세우스의 배신으로 인해 동료 그리스인들에게 살해당했다.[25] 나우플리우스는 아들의 죽음에 대한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트로이로 갔지만, 성공하지 못했다.[26]

그 결과, 나우플리우스는 아가멤논 왕과 다른 그리스 지도자들에게 복수를 꾀했다. 아가멤논이 이끄는 그리스 함대가 트로이에서 귀향할 때, 에우보이아 남부 해안의 카페레우스 곶에서 거대한 폭풍에 휩쓸렸다.[27] 나우플리우스는 바위에 횃불을 밝혀 그리스 선원들이 안전한 항구라고 생각하고 횃불을 향해 항해하도록 유인했고, 그 결과 많은 배가 난파되었다.[28]

팔라메데스의 죽음과 나우플리우스의 복수에 대한 이야기는 적어도 기원전 5세기부터 널리 알려졌다.[37]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는 모두 이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보이는 희곡을 썼는데, 각자는 《팔라메데스》라는 제목의 희곡을 가지고 있었다.[38] 소포클레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나우플리오스 카타플레온》(《나우플리우스가 항해하다》)과 《나우플리오스 피르카에우스》(《나우플리우스가 불을 지피다》)라는 두 개의 제목도 알려져 있다.[39] 이 두 작품은 동일한 희곡의 두 가지 이름일 수도 있지만, 아마도 서로 다른 두 개의 희곡일 것이다.[40]

이 모든 희곡은 유실되었고, 단지 증언과 파편만이 남아있다. 아이스킬로스의 《팔라메데스》의 한 구절("어떤 상처 때문에 내 아들을 죽였는가?")은 그 희곡에서 나우플리우스가 트로이에 와서 아들의 죽음에 항의했음을 보여주는 듯하다.[41] 소포클레스는 나우플리우스가 팔라메데스를 변호하며 그리스 군대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준 그의 많은 발명품과 발견들을 열거하는 연설을 한다.[42] 에우리피데스의 《팔라메데스》에서 나우플리우스의 아들 오에악스는 형제 팔라메데스와 함께 트로이에 있었는데, 여러 개의 노에 이야기를 새겨 바다에 던져 그 중 하나가 그리스로 흘러가 나우플리우스에게 발견되기를 바라면서 팔라메데스의 죽음을 아버지에게 알리기로 결정한다.[43] 이 시도는 성공한 것으로 보이며 나우플리우스가 트로이에 온다.[44]

3. 3. 2. 복수의 시작

오디세우스의 배신으로 아들 팔라메데스가 살해당하자,[25] 나우플리우스는 아들의 죽음에 대한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 트로이로 갔지만, 성공하지 못했다.[26] 그 결과, 나우플리우스는 아가멤논 왕과 다른 그리스 지도자들에게 복수를 결심했다.

아가멤논이 이끄는 그리스 함대가 트로이에서 귀향할 때, 에우보이아 남부 해안의 카페레우스 곶에서 큰 폭풍을 만났다. 이 곳은 나중에 "크실로파고스"('목재를 먹는 자')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7] 나우플리우스는 이 상황을 틈타 바위에 횃불을 밝혀 그리스 선원들이 안전한 항구라고 착각하게 만들었고, 많은 배가 난파되었다.[28] 히기누스에 따르면 나우플리우스는 해안까지 헤엄쳐 온 그리스인들을 모두 죽였다고 한다.[29]

나우플리우스는 또한 세 명의 그리스 사령관의 아내들이 남편에게 불충실하도록 만들었다. 아가멤논의 아내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아에기스토스와, 디오메데스의 아내 아이기알레는 코메테스와, 이도메네우스의 아내 메다는 레우코스와 불륜을 저질렀다.[30]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거짓 횃불을 밝히는 것은 나우플리우스의 평소 행동이었고, 그 자신도 같은 방식으로 죽음을 맞이했다고 한다.[34]

3. 3. 3. 그리스 함대의 난파

오디세우스의 배신으로 아들 팔라메데스가 살해당하자, 나우플리우스는 아들의 죽음에 대한 정의를 요구했지만 실패했다.[26] 복수를 위해, 트로이 전쟁에서 귀환하던 아가멤논 왕과 그리스 함대가 에우보이아 남부 해안의 카페레우스 곶을 지날 때, 나우플리우스는 바위에 횃불을 밝혀 그리스 선원들을 유인하여 많은 배를 난파시켰다.[27][28] 히기누스는 나우플리우스가 해안까지 헤엄쳐 온 그리스인들을 모두 죽였다고 덧붙인다.[29]

나우플리우스는 세 명의 그리스 사령관의 아내들이 남편에게 불충실하도록 유도했다. 아가멤논의 아내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아에기스토스와, 디오메데스의 아내 아이기알레는 코메테스와, 이도메네우스의 아내 메다는 레우코스와 불륜을 저질렀다.[30] 또한 오디세우스의 어머니 안티클레이아에게 아들이 죽었다고 설득하여 그녀가 스스로 목숨을 끊게 만들었다.[32]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거짓 횃불을 밝히는 것은 나우플리우스의 습관이었고, 그 자신도 같은 방식으로 죽음을 맞이했다.[34] 호메로스는 《오디세이아》에서 폭풍과 아이아스의 죽음을 언급하지만 팔라메데스나 나우플리우스의 복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35]

팔라메데스의 죽음과 나우플리우스의 복수에 대한 이야기는 기원전 5세기부터 널리 알려졌다.[37] 비극 작가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는 모두 이 이야기를 다룬 희곡을 썼으며, 각자 《팔라메데스》라는 제목의 희곡을 가지고 있었다.[38] 소포클레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나우플리오스 카타플레온》과 《나우플리오스 피르카에우스》는 "파괴자 나우플리우스"와 그의 거짓 횃불 점화에 대한 이야기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모든 희곡은 유실되었고, 단지 증언과 파편만이 남아있다.

3. 3. 4. 그리스 장군 아내들의 불륜 조장

나우플리오스는 아들 팔라메데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오디세우스의 모략으로 살해당하자, 트로이에 가서 그리스 군에게 배상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25][26] 이에 원한을 품은 나우플리오스는 그리스 각지를 돌며, 집을 지키는 그리스 무장들의 아내가 불륜을 저지르도록 유도했다.[30]

그 결과, 아가멤논의 아내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아에기스토스와, 디오메데스의 아내 아이기알레리아는 코메테스와, 이도메네우스의 아내 메다는 레우코스와 불륜을 저질렀다.[30] 다만,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는 넘어가지 않았다.

3. 4. 나우플리오스의 죽음

오디세우스의 배신으로 팔라메데스가 죽자, 그의 아버지 나우플리우스는 아들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결심했다.[26] 트로이 전쟁이 끝나고 그리스 함대가 귀향할 때, 나우플리우스는 에우보이아 남부 해안의 카페레우스 곶에 횃불을 밝혀 그리스 함대를 유인했다.[27][28] 이 횃불을 항구의 불빛으로 착각한 그리스 함대는 암초에 걸려 난파되었고, 많은 그리스인들이 목숨을 잃었다.[28] 히기누스에 따르면 나우플리우스는 살아남은 그리스인들마저 학살했다고 한다.[29]

나우플리우스는 그리스 사령관들의 아내들이 남편에게 불충실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30] 아가멤논의 아내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아에기스토스와, 디오메데스의 아내 아이기알레는 코메테스와, 이도메네우스의 아내 메다는 레우코스와 불륜을 저질렀다.[30] 또한 나우플리우스는 오디세우스의 어머니 안티클레이아에게 아들이 죽었다는 거짓말을 하여 그녀를 자살하게 만들었다고도 한다.[32]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나우플리우스는 평소 거짓 횃불을 밝히는 습관이 있었으며, 결국 자신도 같은 방식으로 죽음을 맞이했다고 한다.[34]

4. 아르고 원정대

나우플리우스는 아르고 원정대의 일원이기도 했다.[48] 그는 티피스가 죽은 후 ''아르고호''를 조종하겠다고 자원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49]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에 따르면 그는 클리토나에우스의 아들이자, 포세이돈아미모네의 아들의 직계 후손이었다. 계보는 다음과 같다: 나우플리우스 – 프로이토스 – 레르누스 – 나우볼루스 – 클리토네우스 – 나우플리우스.[50] 하지만, 히기누스에 따르면 포세이돈의 아들은 아르고 원정대와 동일인물이었다.[51] 트로이 전쟁 시점에 아르고 원정대가 살아 있었을 가능성이 포세이돈과 아미모네의 아들보다 더 타당하므로, 팔라메데스의 아버지가 아르고 원정대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더 높지만, 현존하는 고대 자료 중 아르고 원정대를 팔라메데스의 아버지와 동일 인물로 식별하는 자료는 없다.[52]

이 인물은 아르고스 왕 다나오스의 딸 중 한 명인 아뮈모네와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들로, 나우플리아의 창시자라고 하며, 아르고나우테스의 일원이기도 하다.

여신 헤라와 포세이돈이 아르고스의 영유권을 놓고 다툴 때, 패배한 포세이돈은 아르고스에 가뭄을 가져왔으므로, 다나오스는 딸들에게 물을 찾도록 했다. 아뮈모네는 물을 찾던 중 사티로스에게 습격당했으나, 포세이돈에 의해 구출되었고, 두 사람 사이에서 나우플리오스가 태어났다.

나우플리오스는 다마스토르와 프로이토스의 아버지라고 한다. 다마스토르의 아들 페리스테네스에게서 폴리데크테스와 딕튀스가 태어났다고 한다. 또한 프로이토스에게서는 레르노스, 나우볼로스, 크뤼토네오스 등 자손이 이어졌고, 크뤼토네오스에게서 2명의 나우플리오스가 태어났다.

5. 기타

참조

[1] 서적 p. 235 https://books.google[...]
[2] 서적 p. 325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s.v. Nauplius 1.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s.v. Nauplius 2.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s.v. Nauplius 3. https://www.perseus.[...]
[6] 서적 s.v. Nauplius, p. 302
[7] 웹사이트 2.1.5 http://data.perseus.[...]
[8] 웹사이트 2.7.4 http://data.perseus.[...]
[9] 서적 Argonautica 1.133–138 https://books.google[...]
[10] 서적 Fabulae 14.11 (Smith and Trzaskoma, p. 101) https://books.google[...]
[11] 서적 p. 236 https://books.google[...]
[12] 서적 s.v. Nauplius (1), p. 390
[13] 서적 fr. 4 Fowler, apud schol. Apollonius of Rhodes 4.1091 [= FGrHist 3 F 4] (Gantz, pp. 207–208; Fowler 2013, p. 250, Fowler 2000, p. 277)
[14] 웹사이트 2.1.5 http://data.perseus.[...]
[15] 서적 Argonautica 1.133–138 https://archive.org/[...]
[16] 서적 Fabulae 14 (Smith and Trzaskoma, p. 101), 169 and 169A (Smith and Trzaskoma, pp. 153–154) https://books.google[...]
[17] 서적 p. 235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2.38.2 https://www.perseus.[...]
[19] 웹사이트 4.35.2 https://www.perseus.[...]
[20] 웹사이트 8.6.2 https://www.perseus.[...]
[21] 웹사이트 1.134 https://www.perseus.[...]
[22] 서적 Argonautica 1.133–138 https://books.google[...]
[23] 웹사이트 s.v. Nauplius 1. https://www.perseus.[...]
[24] 서적 s.v. Nauplius, p. 302
[25] 서적 fr. 4 Fowler, apud schol. Apollonius of Rhodes 4.1091 [= FGrHist 3 F 4] (Fowler 2013, p. 250, Fowler 2000, p. 277)
[26] 서적 Orestes, 54
[27] 서적 s.v. Nauplius (1)., p. 390
[28] 서적 p. 485 https://books.google[...]
[29] 서적 p. 326 https://books.google[...]
[30] 웹사이트 2.1.5 http://data.perseus.[...]
[31] 웹사이트 3.2.2 https://www.perseus.[...]
[32] 서적 s.v. Nauplius, pp. 302–303
[33] 서적 pp. 325–326 https://books.google[...]
[34] 서적 pp. 235–236 https://books.google[...]
[35] 서적 p. 604
[36] 서적 s.v. Nauplius I, p. 124
[37] 서적 s.v. Nauplius
[38] 서적 p. 336 https://books.google[...]
[39] 서적 p. 236 https://books.google[...]
[40] 서적 p. 604
[41] 웹사이트 2.1.5 http://data.perseus.[...]
[42] 웹사이트 3.2.2 http://data.perseus.[...]
[43] 웹사이트 E.6.8 http://data.perseus.[...]
[44] 웹사이트 1.1 http://www.theoi.com[...]
[45] 웹사이트 5.2 http://www.theoi.com[...]
[46] 서적 p. 355 https://books.google[...]
[47] 서적 p. 271
[48] 웹사이트 1295 Κρήσσης https://www.perseus.[...]
[49] 서적 pp. 520, 521 https://www.loebclas[...]
[50] 서적 pp. 37–38 https://books.google[...]
[51] 서적 pp. 524, 525 https://www.loebclas[...]
[52] 서적 pp. 554–555
[53] 웹사이트 1295–1297 http://data.perseus.[...]
[54] 웹사이트 1295–1297 http://data.perseus.[...]
[55] 웹사이트 1295 Κρήσσης https://www.perseus.[...]
[56] 웹사이트 1296 ὁ φιτύσας πατήρ https://www.perseus.[...]
[57] 서적 pp. 148, 149 https://www.loebclas[...]
[58] 서적 p. 355 https://books.google[...]
[59] 서적 p. 271
[60] 웹사이트 3.2.2 http://data.perseus.[...]
[61] 서적 pp. 543–544 https://books.google[...]
[62] 서적 428–431
[63] 서적 pp. 32–40 (frs. 77–89) https://books.google[...]
[64] 서적 Vol. 1 pp. 46 ff. (frs. 77–89) https://books.google[...]
[65] 서적 pp. 428–429
[66] 서적 Vol. 1 pp. 46–47 https://books.google[...]
[67] 서적 Odysseus 15 (Garagin and Woodruff, p. 286) https://books.google[...]
[68] 웹사이트 4.33.8 https://penelope.uch[...]
[69] 웹사이트 8.48.7 https://www.perseus.[...]
[70] 웹사이트 2.7.4 https://www.perseus.[...]
[71] 웹사이트 3.9.1 https://www.perseus.[...]
[72] 서적 Odysseus 16 (Garagin and Woodruff, p. 286) https://books.google[...]
[73] 웹사이트 4.33.10 https://penelope.uch[...]
[74] 웹사이트 2.7.4 https://www.perseus.[...]
[75] 웹사이트 8.4.9 https://www.perseus.[...]
[76] 웹사이트 13.1.69 https://www.perseus.[...]
[77] 서적 pp. 459–460 https://books.google[...]
[78] 서적 pp. 603–608
[79] 웹사이트 E.3.8 http://data.perseus.[...]
[80] 서적 pp. 606–607
[81] 서적 p. 485 https://books.google[...]
[82] 웹사이트 E.6.11 http://data.perseus.[...]
[83] 서적 pp. 485–486 https://books.google[...]
[84] 서적 pp. 695–697
[85] 웹사이트 765–767 http://data.perseus.[...]
[86] 웹사이트 1126–1131 http://data.perseus.[...]
[87] 서적 384–386 (Mair, pp. 526, 527) https://archive.org/[...]
[88] 서적 1093–1098 (Mair, pp. 584–587) https://archive.org/[...]
[89] 웹사이트 8.6.2 https://www.perseus.[...]
[90] 서적 116, 249 (Smith and Trzaskoma, pp. 136, 172)
[91] 서적 557–570 (pp. 170–173) https://www.loebclas[...]
[92] 서적 658–659 (pp. 402, 403) https://www.loebclas[...]
[93] 웹사이트 E.6.7 http://data.perseus.[...]
[94] 웹사이트 E.6.11 http://data.perseus.[...]
[95] 서적 Argonautica 1.370–372 (Mozley, pp. 30, 31) https://www.loebclas[...]
[96] 웹사이트 5.1 http://www.theoi.com[...]
[97] 서적 The Fall of Troy 14.612–628 https://archive.org/[...]
[98] 서적 116 (Smith and Trzaskoma, p. 136)
[99] 서적 p. 487 https://books.google[...]
[100] 서적 pp. 607–608, 697–698
[101] 서적 1093–1098 (Mair, pp. 584–587) https://archive.org/[...]
[102] 서적 1216–1224 (Mair, pp. 594, 595) https://archive.org/[...]
[103] 웹사이트 E.6.9 http://data.perseus.[...]
[104] 웹사이트 1.22.6 https://www.perseus.[...]
[105] 서적 pp. 607–608
[106] 웹사이트 33 http://data.perseus.[...]
[107] 서적 p. 697
[108] 웹사이트 2.1.5 http://data.perseus.[...]
[109] 서적 p. 695
[110] 웹사이트 4.499-507 http://data.perseus.[...]
[111] 서적 p. 182 https://www.loebclas[...]
[36] 서적 Proclus' Summary of the Nostoi, attributed to Agias of Trozen http://www.stoa.org/[...] 2006-08-21
[37] 서적 Sommerstein https://www.loebclas[...]
[38] 서적 Sommerstein https://www.loebclas[...]
[39]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40] 서적 Gantz
[41] 서적 Sommerstein https://www.loebclas[...]
[42] 서적 Sophocles
[43]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44] 서적 Collard and Cropp (2008b) https://www.loebclas[...]
[45] 서적 Wright https://books.google[...]
[46] 서적 Wright https://books.google[...]
[47] 서적 Mair https://archive.org/[...]
[48]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49] 서적 Gaius Valerius Flaccus https://www.loebclas[...]
[50] 서적 Apollonius of Rhodes https://books.google[...]
[51] 서적 Gaius Julius Hyginus https://books.google[...]
[52]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