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남 협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남 협력은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유사한 배경을 가진 개발도상국 간의 협력을 의미한다. 1955년 반둥 회의를 기점으로 시작되었으며, 유엔은 1978년 남남 협력 기구를 설립하여 개발도상국 간의 무역과 협력을 증진했다. 남남 협력은 국가 주권 존중, 평등한 파트너십, 상호 이익 추구를 기본 원칙으로 하며, 정치, 경제, 과학 기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이루어진다. 특히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간의 ASA 협력이 활발하며, 신개발은행과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설립을 통해 인프라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중국은 아시아 태평양 자유 무역 지대 창설, 경제 특구 설립, 농업 기술 지원 등을 통해 남남 협력에 기여하고 있으며, 과학 기술 분야에서는 우주 기술, 기후 변화 대응 등에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남남 협력은 자본 부족, 특정 국가 중심의 목소리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지리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경제지리학 - 콤비나트
콤비나트 모델은 중국에서 특정 산업 집중화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개발 모델로,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부작용도 검토해야 한다. - 개발 - 국제개발연구센터
국제개발연구센터는 개발도상국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및 지식 연구를 지원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연구 지원 기관이다. - 개발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남남 협력 |
---|
2. 정의
'남남(South-South)'이라는 용어는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유사한 배경을 가진 개발도상국들을 지칭하며, 이들 간의 협력을 '남남 협력'이라고 한다.[1]
1955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열린 반둥 회의(아시아-아프리카 회의)는 남남 협력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 이 회의에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29개 독립국가가 참여했으며,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이 후원했다.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캄보디아, 스리랑카, 중국, 이집트, 에티오피아, 골드코스트,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일본, 요르단, 라오스, 레바논, 라이베리아, 리비아, 네팔, 파키스탄, 필리핀, 사우디 아라비아, 수단, 시리아, 태국, 터키, 베트남 민주 공화국, 베트남국, 예멘 왕국 등이 참석했다.[4]
'''남남 협력'''(South-South Cooperation|사우스-사우스 커어퍼레이션영어, '''SSC''')은 개발도상국(또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 간의 자원, 기술 및 지식 교환을 설명하기 위해 정책 입안자와 학자들이 역사적으로 사용해 온 용어이다.[2] 과거에는 지식 공유와 역량 구축에 초점을 맞췄지만, 최근에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와 새로운 금융 기관들이 개발 금융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2]
이러한 협력은 공동체와 국가를 식민주의, 빈곤, 억압 및 낙후성의 잔재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장기적인 역사적 프로젝트를 의미한다.[2] 또한, 세계 시스템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집단 간의 상호 이익과 연대를 통해 역사적 변화를 달성하는 주요 구성 개념이자 실천 방식이 된다. 즉, 개발 부문을 통한 협력이 이러한 '불리한' 공동체 간의 상호 지원을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북반구 국가의 지배에서 벗어나 공유된 이익을 반영하도록 전체 세계 질서가 변형될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다.[3]
3. 역사
당시 인도네시아 대통령 수카르노는 이 회의를 "인류 역사상 최초의 유색 인종 간 대륙 회의"라고 언급했다.[4] 이 회의는 탈식민지 시대 국제 관계에서 서구 지배에 대한 집단적 저항을 보여주었으며, "식민지 이후 국가들이 국제 관계에서 서구의 지배에 집단적으로 저항한 최초의 주요 사례를 제공했다."[4]
1978년 유엔은 개발도상국 간의 무역과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남남 협력 기구를 설립했다.[5] 1990년대 후반부터 남남 협력은 개발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특히 아프리카-남아메리카(ASA) 협력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남남 협력은 선진국의 원조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국제 권력 균형을 바꾸는 데 기여했다.[10]
3. 1. 아프리카-남아메리카(ASA) 협력
아프리카-남아메리카(ASA) 협력은 2006년 나이지리아 아부자에서 첫 번째 정상회담을 개최하였고, 2009년 베네수엘라 마르가리타섬에서 두 번째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2006년 첫 회담에는 아프리카 53개국, 남아메리카 12개국 대표가 참석하였고, 2009년 두 번째 회담에는 아프리카 49개국, 남아메리카 12개국 대표가 참석하였다.[37][38]
4. 기본 원칙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의 지도자들은 이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세계 질서를 만들고, 기존의 유럽과 미국 중심의 지배를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줄이기를 바라고 있다.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이 협력을 구축하는 것을 “민족 구제의 시작”으로 보고,[40] 중요한 반제국주의 운동이라고 생각했다.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대통령 역시 제3세계 국가를 유럽과 미국이 지배하는 것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남남 협력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국가 주권 존중에 대한 상호 존중
- 동등한 국가 간의 파트너십
- 협력과 관련된 이점을 고르게 획득
- 조건에 의존하지 않음
- 서로 협력하는 국가 간의 간섭 없음(불간섭)
5. 협력 방향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의 지도자들은 남남 협력을 통해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기존의 서구 중심 지배를 줄이고 새로운 세계 질서를 만들기를 바란다.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이 협력을 "민족 구제의 시작"이자[40] 중요한 반제국주의 운동이라고 생각했다.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대통령처럼 우고 차베스 대통령은 제3세계 국가를 서구가 지배하는 것에 매우 비판적이었다.
일부 지도자들은 정치 분야에서 큰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남남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가 세계 무대에서 더 큰 정치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지도자들은 협력을 통해 정치 체제를 완전히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예를 들어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남남 협력을 "21세기 사회주의"라는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무대로 이용하고자 했다.
고(故) 우고 차베스 전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이러한 협력의 형성을 "국민 구원의 시작"으로 보았다.[11]
6. 경제 협력
2009년 정상 회담에서 체결된 지역 무역 협정 중 베네수엘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석유 협정을 체결하고 시에라리온과 합작 광산 회사를 설립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41] 브라질은 매년 10억달러 이상의 해외 원조를 지원하며(많은 전통적인 지원국보다 많은), 기술분야의 전문 지식과 전문 기술의 이전에 중점을 둔 '지원의 국제적 본보기'로 평가받고 있다.[42]
두 대륙은 볼리비아, 브라질,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알제리, 앙골라, 리비아, 나이지리아, 차드, 가봉, 적도 기니의 석유와 천연 가스 매장량을 포함하여 세계 에너지 자원의 4분의 1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43]
6. 1. 인프라 프로젝트 자금 지원
신개발은행(NDB)과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AIIB) 설립은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은행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개발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014년 7월, 브릭스(BRICS) 국가(브라질, 러시아 연방,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는 신개발은행(브릭스 개발 은행) 설립을 승인했다. 이 은행은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대출에 주력하며, 본부는 상하이에 있다. 이와 함께 비상 준비 협정(CRA)도 체결되어, 브릭스 국가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때 세계 은행 및 국제 통화 기금의 대안을 제공하고, 국가 경제를 보호하며, 글로벌 입지를 강화한다. 러시아 연방은 CRA에 180억달러를 기여하고 있으며, 다섯 파트너는 총 1000억달러 이상을 신용 공여할 예정이다. CRA는 현재 운영 중이며, 2015년과 2016년에는 신개발은행의 자원을 활용한 혁신적인 프로젝트 자금 조달 메커니즘 개발 작업이 진행되었다.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AIIB) 또한 인프라 프로젝트 자금 지원을 위해 설립되었다. 중국이 주도하는 이 은행은 베이징에 본부를 두고 있다. 2016년까지 프랑스, 독일, 대한민국, 영국 등 50개 이상의 국가가 가입 의사를 표명했다.
6. 2. 아시아-태평양 자유 무역 지대
중국은 아시아 태평양 자유 무역 지대 창설을 주도하고 있으며, 중국의 구상에 따르면 이는 이 지역의 기존 양자 및 다자간 자유 무역 협정을 대체하게 된다. 2014년 11월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 정상 회담에서는 2016년 말까지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기 위한 '베이징 로드맵'을 승인했다.[17]6. 3. 경제 특구
중국의 해외 경제 특구(SEZ)는 남남 협력의 또 다른 예시이다.[18] 1990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기업들은 나이지리아(2개), 잠비아, 지부티, 케냐, 모리셔스, 모리타니, 이집트, 오만, 알제리를 포함하여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중동에 11개의 경제특구를 설립했다.[19]일반적으로 중국 정부는 이러한 경제특구 설립에 중국 기업 주도 방식을 취하며, 중국-아프리카 개발 기금을 통한 지원을 포함하여 보조금, 대출 및 지원 형태로 지원한다.[19]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은 이러한 경제특구를 적극 홍보한다.[19] Dawn C. Murphy 교수에 따르면, 이러한 경제특구는 중국의 개발 성공을 다른 국가로 이전하고, 중국 제조업체의 비즈니스 기회를 늘리며, 주요 시장에 대한 특혜 무역 접근성을 가진 국가에 경제특구를 설립하여 무역 장벽을 피하고, 해당 지역에 투자하는 중국 중소기업을 위한 긍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9]
6. 4. 지역 경제 공동체
러시아 연방은 상하이 협력 기구 및 유라시아 경제 연합을 통해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발전시키고 있다. 유라시아 경제 연합은 2015년 1월 1일 벨라루스, 카자흐스탄과 함께 출범했으며 이후 아르메니아와 키르기스스탄으로 확대되었다. 유라시아 경제 연합은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를 대체한다.[1]중국-아랍 국가 협력 포럼과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은 남남 협력 기구이며, 특히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은 경제 협력 외에도 상당한 정치적 협력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1]
6. 5. 농업 분야 협력
중국은 남남 협력에 대한 이념적 헌신과 식량 안보 증진에 대한 실용적인 열망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에 여러 농업 기술 시범 센터를 설립했다.[21] 이는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의 농업 협력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22] 이 센터는 중국의 농업 전문 지식과 기술을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에 전달하는 동시에 중국 농업 부문의 기업에 시장 기회를 창출하는 기능을 한다.[22]중국은 2006년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회의에서 처음으로 농업 기술 시범 센터를 발표했다. 2006년부터 2018년 사이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19개의 센터를 설립했다.[22] 2023년 현재, 농업 기술 시범 센터는 24개 아프리카 국가에 존재한다.[23]
7. 과학 기술 협력
개발도상국들은 과학, 기술, 혁신 분야에서 양자 간 협력 및 지역 센터를 통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과학 기술 협력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유네스코 후원하에 2008년 말레이시아에 설립된 남남 협력을 위한 국제 과학 기술 혁신 센터(ISTIC)가 있다.[1]
- 중동 지역 실험 과학 및 응용을 위한 싱크로트론 빛(SESAME)을 활용하는 센터가 있다.[1]
- 중국과 브라질은 우주 분야에서 협력하여 지구 관측 위성을 개발 및 발사했다.[25] 2023년 기준으로 양국은 6개의 중국-브라질 지구 자원 위성을 공동 개발했다.[25]
- 중국은 청정 에너지 분야에서 개발도상국에 기술을 수출하고, "10-100-1000"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25]
- 브라질과 중국은 기후 변화 및 에너지 기술 혁신을 위한 중국-브라질 센터를 설립했다.[25]
7. 1. 양자 협력
중국과 러시아 연방은 '역동적인 양자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2001년 양국이 서명한 선린 우호 협력 조약에 따른 것으로, 4개년 실행 계획이 정기적으로 수립되었다.[1] 양국은 수십 개의 대규모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1] 여기에는 중국 최초의 초고압 송전선 건설, 실험용 고속 중성자 반응로 개발, 러시아 연방 및 중국 내 지질 탐사, 광학, 금속 가공, 유압, 공기역학, 고체 연료 전지 공동 연구 등이 포함된다.[1] 또한 산업 및 의료용 레이저, 컴퓨터 기술, 에너지, 환경 및 화학, 지구화학, 촉매 공정, 신소재 등도 주요 협력 분야이다.[1]7. 2. 지역 센터
유네스코 후원하에 설립된 남남 협력을 위한 국제 과학 기술 혁신 센터(ISTIC)는 2008년 말레이시아에 설립되었다.[1] 2014년 카리브해 과학자 네트워크인 Cariscience는 ISTIC과 협력하여 토바고에서 카리브해 지역의 기술 기업가 정신에 관한 훈련 워크숍을 개최했다.[1] 또 다른 예로는 중동 지역 실험 과학 및 응용을 위한 싱크로트론 빛(SESAME)을 활용하는 센터가 있다.[1]7. 3. 우주 기술
중국과 브라질은 우주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협력해 왔다.[25] 가장 성공적인 우주 협력 프로젝트 중 하나는 지구 관측 위성의 개발 및 발사였다.[25] 2023년 기준으로 양국은 6개의 중국-브라질 지구 자원 위성을 공동 개발했다.[25] 이 프로젝트는 브라질과 중국 모두 위성 영상 접근성을 높이고 원격 탐사 연구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25] 브라질과 중국의 협력은 개발도상국 간의 남남 협력의 독특한 사례이다.[25]7. 4. 기후 변화
중국은 청정 에너지 분야의 선두 주자로, 개발도상국에 기술을 수출하고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양자 협력 프로그램의 원천이기도 하다.[25] "10-100-1000" 프로그램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남남 협력에 대한 중국의 포괄적인 이니셔티브이다.[25] 2016년에 발표된 이 프로그램은 10개의 저탄소 시범 지구, 100개의 기후 변화 완화 프로젝트, 그리고 1,000개의 기후 변화 교육 협력 프로젝트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5] 2023년 기준으로 중국은 이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최소 27개 개발도상국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25] 세이셸, 스리랑카, 미얀마는 저탄소 시범 지구 개발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25] 중국은 이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수많은 기후 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해 왔다.[25]브라질과 중국은 기후 변화 및 에너지 기술 혁신을 위한 중국-브라질 센터를 설립했으며, 이는 가장 야심찬 남남 양자 청정 에너지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25]
8. 안보 협력
2009년 아프리카-남아메리카 정상회의에서 무아마르 카다피는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간의 방위 동맹("남쪽의 NATO")을 제안했으나,[26] 이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이 두 대륙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안전보장이사회의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었다.[44]
9. 문화 협력
쿠바는 스포츠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다양한 국가들과 교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30] 또한 복합 스포츠 경기 대회를 활용하여 스포츠 외교를 장려하는 방안에 대한 관심도 존재한다.[31]
10. 남남 이주
개발도상국 간의 이주는 모든 국제 이주의 최소 3분의 1을 차지하며,[32] 일반적으로 인접 국가 간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인도로 이민 온 사람들의 98%는 이전 거주지를 아시아의 다른 지역으로 기록했다.[33] 최근의 남남 이주는 이주자들이 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며, 중동의 남아시아 디아스포라가 이러한 이주 통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34]
11. 과제와 비판
남남 협력은 국제 통화 기금과 세계은행의 대안으로 제시된 "남남 은행" 설립에 필요한 자본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1]
또한,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베네수엘라 등 비교적 부유하고 강력한 국가들의 목소리만 주로 반영된다는 비판이 존재한다.[1]
참조
[1]
서적
The South in World Politics
Palgrave Macmillan
2010
[2]
웹사이트
Cooperation of the future
https://www.dandc.eu[...]
2019-07-18
[3]
서적
South–South cooperation and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Routledge
2018-10-11
[4]
학술지
Studying the Bandung conference from a Global IR perspective
2016-07-03
[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for South-South Cooperation
http://ssc.undp.org/
ssc.undp.org
2014-01-18
[6]
웹사이트
openDemocracy
http://www.opendemoc[...]
opendemocracy.net
2014-01-18
[7]
간행물
South-South Economic Linkages: An Overview
http://www.adb.org/s[...]
Asian Development Bank
2011-08
[8]
웹사이트
Africa, South America strengthen ties
http://www.southafri[...]
2009-10-23
[9]
웹사이트
First Africa-South America Summit – English pravda.ru
http://english.pravd[...]
english.pravda.ru
2006-12
[10]
웹사이트
South-South Cooperation Defies the North | Global Envision
http://www.globalenv[...]
globalenvision.org
[11]
웹사이트
Chavez, Gaddafi push Africa, South America unity –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www.abc.net.a[...]
abc.net.au
[12]
웹사이트
The Changing Landscape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http://www.wto.org/e[...]
World Trade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2007-06-04
[13]
학회자료
The role of Brazil as a new donor of development aid in Africa
https://www.academia[...]
2017-10-06
[14]
간행물
Brazil: an emerging aid player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010
[15]
웹사이트
Inter Press Service –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for Global Change
http://ipsnews.net/n[...]
ipsnews.net
2014-01-18
[16]
서적
Russian Federation. In: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http://unesdoc.unesc[...]
UNESCO
2017-04-04
[17]
서적
China. In: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http://unesdoc.unesc[...]
UNESCO
2017-04-04
[18]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19]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20]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2022
[21]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2022
[22]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2022
[23]
서적
China's Relations with Africa: a New Era of Strategic Engagem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24]
서적
UNESCO Science Report: towards 2030
http://unesdoc.unesc[...]
UNESCO
2017-04-04
[25]
서적
Cooperating for the Climate: Learning from International Partnerships in China's Clean Energy Sector
The MIT Press
2023
[26]
뉴스
Venezuela summit criticises West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9-27
[27]
웹사이트
Feature: Baseball5 continues to gain popularity in Cuba-Xinhua
https://english.news[...]
2024-10-30
[28]
웹사이트
Baseball5 shines bright on the diamond
https://www.wbsc.org[...]
2024-10-30
[29]
학술지
The (Soft) Power of Sport: The Comprehensive and Contradictory Strategies of Cuba's Sport-Based Internationalism
https://www.jstor.or[...]
2013
[30]
학술지
Cuban sport policy and South–South development cooperation: an overview and analysis of the Escuela Internacional de Educación Física y Deporte
http://www.tandfonli[...]
2014-05-28
[31]
학술지
Leveraging global south sports mega events to advance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 theory and practice
https://onlinelibrar[...]
2024-08-11
[32]
웹사이트
How Global South Perspectives Challenge Thinking On Migration
https://unu.edu/cpr/[...]
2024-10-03
[33]
학술지
Immigrants and Immigration in India: A Fresh Approach
https://www.jstor.or[...]
2015
[34]
Citation
Global Trends in South–South Migration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10-03
[3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sc.undp.org/
2011-03-29
[36]
웹사이트
http://www.opendemoc[...]
[37]
웹사이트
http://www.southafri[...]
[38]
뉴스
http://english.pravd[...]
[3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lobalenv[...]
2011-09-09
[40]
뉴스
http://www.abc.net.a[...]
[41]
문서
http://www.wto.org/e[...]
[42]
간행물
브라질: 신흥 원조국
http://www.odi.org.u[...]
해외 개발 연구소
2010
[4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ipsnews.net/n[...]
2014-01-18
[44]
뉴스
http://news.bbc.c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