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전쟁의 원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북 전쟁의 원인은 복합적이며, 노예제, 주의 권리,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그리고 남부의 문화적 정체성 등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노예제는 북부의 반노예제 운동과 남부의 노예제 옹호론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고, 1850년 타협과 공화당 창당, 링컨의 당선으로 이어졌다. 주의 권리 문제는 연방 정부의 권한과 남부의 자율성 간의 대립을 낳았으며, 경제적 요인으로는 북부와 남부의 상이한 경제 구조, 특히 노예 노동에 기반한 남부의 플랜테이션 경제와 산업화된 북부 간의 갈등이 있었다. 정치적 요인으로는 1850년대의 정치적 불안정,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 그리고 링컨의 당선이 남부의 탈퇴를 촉발했다. 남부의 문화와 정체성은 노예제를 사회 질서의 기반으로 옹호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분열을 더욱 심화시켰다. 포트 섬터 요새 공격으로 전쟁이 시작되었으며, 억제할 수 없는 갈등과 정치적 선동이 전쟁 발발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별 원인 -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은 팽창주의, 군국주의, 파시즘, 민족주의, 인종차별주의 등의 복합적인 이념과 정책, 그리고 베르사유 조약의 문제점, 국제연맹의 기능 부전, 자원 및 시장 경쟁 심화, 국제 관계 불안정성 등이 작용하여 발생했다. - 전쟁별 원인 -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은 복합적인 요인들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했으며, 사라예보 사건, 제국주의 경쟁, 군비 확장 경쟁, 민족주의 발흥, 동맹 관계, 외교적 실패 등이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 남부의 역사 - 크리크 전쟁
크리크 전쟁은 1813년부터 1814년까지 미국 남동부에서 일어난 무스코기(크리크) 족 내부의 내전으로, 미군은 레드 스틱스 세력을 제압하고 포트 잭슨 조약을 통해 영토를 빼앗았으며 앤드루 잭슨은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 미국 남부의 역사 - 쿠 클럭스 클랜
쿠 클럭스 클랜(KKK)은 미국에서 여러 차례 등장한 백인 우월주의 비밀결사체로, 흑인 권리 억압, 백인 지배 질서 유지, 가톨릭 신자·유대인·이민자 탄압, 그리고 극단적인 폭력을 자행하며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역사 (1849-1865) -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뷰캐넌은 1791년에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까지 제15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 문제와 경제 공황을 겪었고 남부의 탈퇴 시도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여 비판을 받았다. - 미국의 역사 (1849-1865)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남북 전쟁의 원인 | |
---|---|
개요 | |
원인 | 남북 전쟁의 원인 |
갈등 | 노예제 경제적 차이 정치적 대립 |
배경 | |
주요 사건 | 미주리 타협 (1820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 (1854년) 드레드 스콧 대 샌포드 사건 (1857년) 존 브라운의 하퍼스 페리 습격 (1859년)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
관련 문서 | 미국 연방 탈퇴 선언 코윈 수정 조항 노예 해방 선언 |
주요 논쟁점 | |
노예제 | 노예제 존폐 문제 노예제 확산 문제 |
주권 | 주권 대 연방 권력 연방 탈퇴 권리 |
경제 | 관세 정책 산업 경제 대 농업 경제 |
주요 인물 | |
북부 | 에이브러햄 링컨 율리시스 S. 그랜트 윌리엄 테쿰세 셔먼 |
남부 | 제퍼슨 데이비스 로버트 E. 리 스톤월 잭슨 |
결과 | |
주요 결과 | 미국 연방 재건 노예제 폐지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 남부 경제 붕괴 인종 관계 변화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남북 전쟁 미국 재건 시대 짐 크로 법 미국 시민권 운동 |
2. 노예제도
북부에서의 반노예제 운동은 1830년대와 1840년대에 고조되었다.[51] 이 기간은 북부 사회에 급격한 변혁이 일어난 시기였으며, 사회적·정치적으로 개혁주의가 확산된 시기였다. 노예 폐지 운동가를 포함한 이 시대의 많은 개혁가들은 노동자의 생활 방식과 노동 습관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혁하려 했으며, 노동자가 산업화, 자본주의화된 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도록 도왔다.[51]
반노예제 운동은 당시의 다른 개혁 운동과 마찬가지로 제2차 대각성의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이 새로운 국가에서 미국인으로서의 경력도 비교적 새로운 개인의 개혁을 강조하는 종교 부흥의 기간이었다. 시대의 개혁 정신은 종종 상반되는 정치적 목표를 가진 다양한 운동에 의해 표현되었지만, 대부분의 개혁 운동은 규율, 질서 및 구속을 통해 인간성을 변화시켜 나간다는 대각성의 원칙을 강조함으로써 공통의 미래를 그렸다.
"노예 폐지 운동가"에는 당시 여러 의미가 있었다.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의 신봉자, 웬델 필립스나 프레더릭 더글러스 등은 "노예제의 즉각적인 폐지"를 요구했기 때문에 말 그대로의 자들이었다. 보다 현실적인 집단은 시어도어 웰드나 아서 태판 등이었으며, 즉각적인 행동을 원하지만 긴 중간 과정을 거쳐 단계적으로 해방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반노예제론자"는 존 퀸시 애덤스였으며, 노예제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행하고, 가능한 경우에는 중단시켰지만, 어떠한 노예 폐지 운동에도 가담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1841년에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다투어진 아프리카인 노예의 반란, 소위 아미스타드호 사건의 공판에 애덤스는 출석하여 노예들은 해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88] 남북 전쟁 전 수년간, "반노예제론자"는 링컨을 비롯한 북부의 다수를 의미하며,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이나 도망 노예법이라는 형태로 노예제 자체와 그 영향의 "확대"에 반대했다. 많은 남부인들은 개리슨의 신봉자와의 구별도 없이 이들 모두를 노예 폐지 운동가라고 불렀다. 역사가 제임스 매퍼슨은 노예 폐지 운동가의 깊은 신념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든 사람은 신 앞에서 평등하다. 흑인의 영혼은 백인의 그것만큼이나 귀중하다. 신의 자녀 중 한 사람으로서 다른 사람을 노예로 삼는 것은, 비록 그것이 헌법으로 인정되었다 할지라도, 더 높은 법을 위반하는 것이다.[189]"
남부 대변인들은 노예 폐지론자들의 힘을 과장했으며, 특히 해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이자 연극인 ''엉클 톰스 캐빈''(1852)의 엄청난 인기에 주목했다.[51] 에이브러햄 링컨은 그녀를 "이 대전쟁을 시작한 작은 여자"라고 불렀다고 한다.[51]
대부분의 노예 폐지 운동가, 현저한 예는 개리슨이지만, 양키의 개신교의 이상인 자기 변혁, 산업, 번영을 강조함으로써 노예제를 사람의 운명과 노동의 성과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비난했다.
가장 열성적인 노예 폐지 운동가 중 한 명인 웬델 필립스는 노예 세력을 공격했고, 미국의 분열을 이미 1845년에 예감했다.
노예 폐지 운동가는 노예제를 미국의 백인 자유에 대한 위협으로도 공격했다. 자유는 단순히 구속이 없는 것 이상이었으며, 전전(戰前) 개혁가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사람은 스스로 구속을 걸 수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 1830년대와 1840년대의 반노예제 운동가에게, 자유 노동의 약속과 사회적 상승 지향(승진의 기회, 재산 소유의 권리 및 자신의 노동의 제어)이 개인을 변화시키는 중심 개념이었다.
쿠바를 노예주로 미국에 병합하려는, 소위 오스텐드 선언, 및 1850년의 도망 노예법에 관한 논쟁에서 당파적인 긴장 관계가 지속되었고, 1850년대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서는 서부의 노예제 문제가 국가 정치의 중심 과제가 되었다.
북부의 몇몇 집단에서 반노예제 감정은 1850년의 타협 이후 높아졌고, 반면에 남부의 자들은 북부 주에 있는 도망 노예를 추구하는 것과, 북부에 수년 동안 살고 있는 자유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노예라고 주장하는 등의 행동을 시작했다. 한편, 노예 폐지 운동가 중에는 법의 집행을 공공연히 방해하려는 자들이 있었다. 도망 노예법의 침해는 공공연히 조직적으로 행해졌다. 보스턴시는 거기에서 한 명의 도망 노예도 돌려보내지지 않았다고 자랑했지만, 시의 엘리트 계층인 시어도어 파커 등이 1851년 4월에는 폭동을 일으켜 법의 집행을 막으려는 움직임에 나섰다. 대중의 저항이라는 양상은 시에서 시로 확산되었고, 특히 1851년의 시러큐스 운동(이 해 늦은 제리 구출 사건으로 고조되었다)과 1854년의 다시 보스턴에서의 운동이 유명했다. 그러나, 1820년의 미주리 타협과 같은 문제가 부활할 때까지, 이 문제는 위기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새로운 문제는 서부 준주에 대한 노예제의 적용이었다.
가장 유명한 노예제 폐지 운동가인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은 민주주의의 성장을 믿는 것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았다. 미국 헌법에는 5분의 3 조항(제1조 제2절 제3목)이나 도망 노예 조항(제4조 제2절 제3항)이 있었고, 대서양노예 무역의 20년 연장이 있었기 때문에 개리슨은 민중 앞에서 헌법 사본을 태우고 헌법을 "죽음과의 계약이며, 지옥과의 동의"라고 말했다.[191] 1854년에 개리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반대 의견은 미국 남부 연합 부통령이 된 알렉산더 스티븐스에 의해 그 "코너스톤 연설"에서 표명되었다.
1847년의 윌모트 조항에 반대된 것으로 인해, "자유의 땅" 세력을 단결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이듬해 8월, 번버너라고 불린 급진적 뉴욕 민주당원, 자유당원, 그리고 반노예제 휘그당원들이 뉴욕주버펄로에서 회의를 열어, 자유토지당을 결성했다. 이 당은 전 대통령인 마틴 반 뷰런과 찰스 프랜시스 아담스 시니어를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로 삼았다. 자유토지당은 오리건이나 멕시코에서 얻은 영토와 같은 노예제가 없는 영토에 노예제를 확대하는 것에 반대했다.
북부와 남부의 노동 시스템의 기본적인 차이에 노예제에 대한 입장을 관련시키고, 이 차이를 특징짓는 문화와 이론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 에릭 포너의 저서 "자유의 땅, 자유 노동, 자유인"(1970년)이며, 찰스 베어드(1930년대의 지도적 역사학자)의 경제 결정론을 능가하는 것이었다. 포너는 노예제에 반대하는 북부에게 자유 노동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노예 제도 폐지 운동가의 도덕적 관심이 북부에서 반드시 지배적인 감정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많은 북부인(링컨 포함)은 북부에 흑인 노동력이 확대되어, 자유 백인 노동자의 입지를 위협할 위험이 있다는 점에 의해서 노예제에 반대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화당원과 노예 제도 폐지 운동가는 "자유 노동"에 광범위하게 관여함으로써 북부의 강력한 감정에 호소할 수 있었다. "노예 세력"이라는 생각은 남부의 흑인 노예의 맹세에 근거한 논쟁보다 훨씬 북부의 자기 이익에 호소하는 힘이 있었다.
2. 1. 노예제도 폐지 운동
북부에서의 반노예제 운동은 1830년대와 1840년대에 고조되었다.[51] 이 기간은 북부 사회에 급격한 변혁이 일어난 시기였으며, 사회적·정치적으로 개혁주의가 확산된 시기였다. 노예 폐지 운동가를 포함한 이 시대의 많은 개혁가들은 노동자의 생활 방식과 노동 습관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혁하려 했으며, 노동자가 산업화, 자본주의화된 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도록 도왔다.[51]
반노예제 운동은 당시의 다른 개혁 운동과 마찬가지로 제2차 대각성의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이 새로운 국가에서 미국인으로서의 경력도 비교적 새로운 개인의 개혁을 강조하는 종교 부흥의 기간이었다. 시대의 개혁 정신은 종종 상반되는 정치적 목표를 가진 다양한 운동에 의해 표현되었지만, 대부분의 개혁 운동은 규율, 질서 및 구속을 통해 인간성을 변화시켜 나간다는 대각성의 원칙을 강조함으로써 공통의 미래를 그렸다.
"노예 폐지 운동가"에는 당시 여러 의미가 있었다.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의 신봉자, 웬델 필립스나 프레더릭 더글러스 등은 "노예제의 즉각적인 폐지"를 요구했기 때문에 말 그대로의 자들이었다. 보다 현실적인 집단은 시어도어 웰드나 아서 태판 등이었으며, 즉각적인 행동을 원하지만 긴 중간 과정을 거쳐 단계적으로 해방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반노예제론자"는 존 퀸시 애덤스였으며, 노예제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행하고, 가능한 경우에는 중단시켰지만, 어떠한 노예 폐지 운동에도 가담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1841년에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다투어진 아프리카인 노예의 반란, 소위 아미스타드호 사건의 공판에 애덤스는 출석하여 노예들은 해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88] 남북 전쟁 전 수년간, "반노예제론자"는 링컨을 비롯한 북부의 다수를 의미하며,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이나 도망 노예법이라는 형태로 노예제 자체와 그 영향의 "확대"에 반대했다. 많은 남부인들은 개리슨의 신봉자와의 구별도 없이 이들 모두를 노예 폐지 운동가라고 불렀다. 역사가 제임스 매퍼슨은 노예 폐지 운동가의 깊은 신념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모든 사람은 신 앞에서 평등하다. 흑인의 영혼은 백인의 그것만큼이나 귀중하다. 신의 자녀 중 한 사람으로서 다른 사람을 노예로 삼는 것은, 비록 그것이 헌법으로 인정되었다 할지라도, 더 높은 법을 위반하는 것이다.[189]"
남부 대변인들은 노예 폐지론자들의 힘을 과장했으며, 특히 해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이자 연극인 ''엉클 톰스 캐빈''(1852)의 엄청난 인기에 주목했다.[51] 에이브러햄 링컨은 그녀를 "이 대전쟁을 시작한 작은 여자"라고 불렀다고 한다.[51]
대부분의 노예 폐지 운동가, 현저한 예는 개리슨이지만, 양키의 개신교의 이상인 자기 변혁, 산업, 번영을 강조함으로써 노예제를 사람의 운명과 노동의 성과를 제어할 수 없는 것으로 비난했다.
가장 열성적인 노예 폐지 운동가 중 한 명인 웬델 필립스는 노예 세력을 공격했고, 미국의 분열을 이미 1845년에 예감했다.
노예 폐지 운동가는 노예제를 미국의 백인 자유에 대한 위협으로도 공격했다. 자유는 단순히 구속이 없는 것 이상이었으며, 전전(戰前) 개혁가는 진정으로 자유로운 사람은 스스로 구속을 걸 수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 1830년대와 1840년대의 반노예제 운동가에게, 자유 노동의 약속과 사회적 상승 지향(승진의 기회, 재산 소유의 권리 및 자신의 노동의 제어)이 개인을 변화시키는 중심 개념이었다.
쿠바를 노예주로 미국에 병합하려는, 소위 오스텐드 선언, 및 1850년의 도망 노예법에 관한 논쟁에서 당파적인 긴장 관계가 지속되었고, 1850년대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서는 서부의 노예제 문제가 국가 정치의 중심 과제가 되었다.
북부의 몇몇 집단에서 반노예제 감정은 1850년의 타협 이후 높아졌고, 반면에 남부의 자들은 북부 주에 있는 도망 노예를 추구하는 것과, 북부에 수년 동안 살고 있는 자유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노예라고 주장하는 등의 행동을 시작했다. 한편, 노예 폐지 운동가 중에는 법의 집행을 공공연히 방해하려는 자들이 있었다. 도망 노예법의 침해는 공공연히 조직적으로 행해졌다. 보스턴시는 거기에서 한 명의 도망 노예도 돌려보내지지 않았다고 자랑했지만, 시의 엘리트 계층인 시어도어 파커 등이 1851년 4월에는 폭동을 일으켜 법의 집행을 막으려는 움직임에 나섰다. 대중의 저항이라는 양상은 시에서 시로 확산되었고, 특히 1851년의 시러큐스 운동(이 해 늦은 제리 구출 사건으로 고조되었다)과 1854년의 다시 보스턴에서의 운동이 유명했다. 그러나, 1820년의 미주리 타협과 같은 문제가 부활할 때까지, 이 문제는 위기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새로운 문제는 서부 준주에 대한 노예제의 적용이었다.
가장 유명한 노예제 폐지 운동가인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은 민주주의의 성장을 믿는 것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았다. 미국 헌법에는 5분의 3 조항(제1조 제2절 제3목)이나 도망 노예 조항(제4조 제2절 제3항)이 있었고, 대서양노예 무역의 20년 연장이 있었기 때문에 개리슨은 민중 앞에서 헌법 사본을 태우고 헌법을 "죽음과의 계약이며, 지옥과의 동의"라고 말했다.[191] 1854년에 개리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반대 의견은 미국 남부 연합 부통령이 된 알렉산더 스티븐스에 의해 그 "코너스톤 연설"에서 표명되었다.
1847년의 윌모트 조항에 반대된 것으로 인해, "자유의 땅" 세력을 단결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이듬해 8월, 번버너라고 불린 급진적 뉴욕 민주당원, 자유당원, 그리고 반노예제 휘그당원들이 뉴욕주버펄로에서 회의를 열어, 자유토지당을 결성했다. 이 당은 전 대통령인 마틴 반 뷰런과 찰스 프랜시스 아담스 시니어를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로 삼았다. 자유토지당은 오리건이나 멕시코에서 얻은 영토와 같은 노예제가 없는 영토에 노예제를 확대하는 것에 반대했다.
북부와 남부의 노동 시스템의 기본적인 차이에 노예제에 대한 입장을 관련시키고, 이 차이를 특징짓는 문화와 이론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 에릭 포너의 저서 "자유의 땅, 자유 노동, 자유인"(1970년)이며, 찰스 베어드(1930년대의 지도적 역사학자)의 경제 결정론을 능가하는 것이었다. 포너는 노예제에 반대하는 북부에게 자유 노동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노예 제도 폐지 운동가의 도덕적 관심이 북부에서 반드시 지배적인 감정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많은 북부인(링컨 포함)은 북부에 흑인 노동력이 확대되어, 자유 백인 노동자의 입지를 위협할 위험이 있다는 점에 의해서 노예제에 반대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화당원과 노예 제도 폐지 운동가는 "자유 노동"에 광범위하게 관여함으로써 북부의 강력한 감정에 호소할 수 있었다. "노예 세력"이라는 생각은 남부의 흑인 노예의 맹세에 근거한 논쟁보다 훨씬 북부의 자기 이익에 호소하는 힘이 있었다.
2. 2. 노예제 옹호론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을 둘러싼 캔자스 사태에 대한 비난 여론이 북부에서 거세지자, 노예제 옹호론자들은 폐지론자들과 그 지지자들이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부도덕하다고 여겼던 생활 방식에 점점 더 몰두하게 되었고, 공화당 대통령의 당선 시 분리주의의 토대를 마련할 호전적인 친 노예제 이데올로기를 명확히 했다.[67] 남부인들은 북부의 정치적 변화에 대해 격렬하게 대응했다. 노예 소유 세력은 영토에서 헌법적 권리를 옹호하고 "적대적"이고 "파멸적인" 법안을 물리칠 충분한 정치력을 유지하려 했다.[67]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북부와 유럽에서 면직물 산업의 성장이 있었으며, 이는 노예제를 남부 경제에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게 만들었다.[67]역사학자 에릭 포너는 자유 노동 이념이 경제적 기회를 강조하는 북부의 사고방식을 지배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남부인들은 자유 노동을 "기름기 많은 기계공, 더러운 운영자, 주먹만한 농부, 그리고 달빛에 젖은 이론가"라고 묘사했다.[67] 그들은 서부의 무상 농지를 제공하려는 홈스테드법에 강력히 반대했는데, 소규모 농민들이 농장 노예제에 반대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68] 실제로, 홈스테드법에 대한 반대는 관세에 대한 반대보다 분리주의적 수사에서 훨씬 더 흔했다.[68] 칼훈과 같은 남부인들은 노예제가 "긍정적인 선"이며, 노예가 노예제로 인해 더 문명화되고 도덕적, 지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주장했다.[69]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은 민주주의의 성장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유명한 노예 폐지론자였다. 미국 헌법에는 3/5인 조항, 도망 노예 조항, 그리고 대서양 노예 무역에 대한 20년 보호 조항이 있었기 때문에, 개리슨은 공개적으로 미국 헌법 사본을 불태우고 그것을 "죽음과의 언약이며 지옥과의 약속"이라고 불렀다.[108][191] 1854년에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을 물건으로 만드는 억압을 분노와 혐오로 바라볼 수밖에 없다.[109][192]}}
노예제에 대한 반대 의견은 미국 남부 연합 부통령 알렉산더 H. 스티븐스가 그의 "건설 연설"에서 표명했다. 스티븐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 사이에 존재하는 아프리카 노예제흑인이 우리 문명의 형태에서 적절한 지위를 갖는 문제와 관련된 모든 불안한 문제를 영원히 해결했다. 이것이 최근의 분열과 현재의 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
해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 《엉클 톰스 캐빈》(1852년)이 인기를 얻으면서 노예제 폐지 운동은 더욱 성장하였다. 1831년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의 신문 《더 리버레이터》 창간 이후 노예제 폐지 운동은 선언되었다. 언론을 통한 (때로는 폭력을 동반한) 노예제 폐지 운동은 1859년 존 브라운의 하퍼스페리 습격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고, 남부 사람들에게는 심각한 위협으로 비쳤으며, 노예제 폐지 운동가들은 1790년대의 아이티 혁명이나 30년 전의 냇 터너의 시도와 같은 격렬한 노예 반란을 선동하는 것처럼 보였다.
1846년 J. D. B. 드보우가 발행한 《드보우즈 리뷰》는 북부에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것에 대해 농장주 계층에게 경고를 보내며 남부의 주요 잡지로 성장했다. 《드보우즈 리뷰》는 탈퇴로 향하는 여론을 이끄는 역할도 했다. 이 잡지는 북부에 제조업, 조선업, 은행 및 국제 무역이 집중되어 있는 것과 관련하여 남부 경제의 불평등을 강조했다. 노예제를 뒷받침하는 성경 구절을 찾고, 경제적, 사회학적, 역사적, 과학적 논쟁을 일으킴으로써 노예제를 "필요악"에서 "적극적 선"으로 변화시켰다. 현대 전체주의 사상, 특히 나치즘을 예견하는 J. H. 밴 에브리의 저서 《흑인과 흑인 노예: 열등 인종의 흑인: 정상 상태로서의 노예》는 제목부터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인종 차별에 유사과학적인 분석과 이론화를 적용하려 했다.
산업 자본주의가 북부에서 기세를 더해감에 따라 남부의 작가들은 자신들의 사회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는 (실행되지 않은 것도 있었지만) 귀족적인 특성, 즉 예의, 우아함, 기사도 정신, 느린 삶의 속도, 질서 있는 생활 및 여가를 강조했다. 이는 노예제가 공장 노동보다 더 인간적인 사회를 제공한다는 논리를 뒷받침하기도 했다. 조지 피츠휴의 저서 《모두 잡아먹자!》는 자유 사회의 노동자와 자본가 사이의 대립이 "도둑 귀족"과 "빈곤의 노예"를 낳고, 노예 사회에서는 이러한 대립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북부 공장 노동자의 이익을 위해서라도 노동자를 노예로 삼는 것이 낫다고 주장했다. 한편, 에이브러햄 링컨은 남부의 "북부의 임금 노동자는 운명적으로 그 생활 조건에 고정되어 있다"는 비꼬는 주장에 대해 비난했다. 자유 토지 소유자들에게 남부의 고정 관념은 완전히 반대되는 것으로, 즉 노예제가 확고한 반민주적인 귀족 정치를 유지하는 움직임 없는 사회였다.
3. 주의 권리
미국 시스템은 헨리 클레이가 의회에서 옹호한 경제 현대화 프로그램으로, 보호 관세, 연방 정부 지원을 받는 내부 개선, 국립 은행을 특징으로 했다. 이 시스템은 북부 산업 발전에 유리하여, 농업 중심 경제였던 남부의 반발을 샀다.[27][28][29][30] 남부에서는 북부에 대한 편애라는 주장이 나왔다.[209][210]
1820년대 경제 침체기에, 존 퀸시 애덤스 대통령 임기 말에 제정된 1828년 관세는 "혐오 관세"로 불리며 남부와 뉴잉글랜드 일부 지역의 반대에 부딪혔다.[31] 앤드루 잭슨 대통령 당선으로 관세 인하 기대가 있었으나, 잭슨 행정부의 미온적인 대처에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는 관세 무효화를 주장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32] 존 C. 칼훈은 1828년 "사우스캐롤라이나 선언 및 항의"를 통해 주 무효화의 헌법적 이론을 제시하며 잭슨 대통령과 대립했다.[211]
1832년 관세 제정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반발을 더욱 키웠고, 일부 과격파는 연방 탈퇴를 암시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의회는 1828년과 1832년 관세를 무효화하는 투표를 진행했다.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무효화를 반역으로 규정하고, 주의 연방 요새를 강화했다.[35]
1833년 초, 잭슨 지지자들은 대통령에게 군사력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강력 법안"을 도입하여 긴장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다른 주들의 불참,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내부의 분열, 그리고 클레이와 칼훈의 타협 관세 중재로 위기는 해소되었다. 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했지만, 잭슨 지지자들은 주 단독 행동의 불가함을 확인한 사건으로 평가했다.
칼훈은 1830년 이 위기를 통해 노예 소유의 권리를 남부 소수 민족의 주요 권리로 인식하고, 남부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33][34] 잭슨은 1833년 5월 1일, "관세는 구실일 뿐이며, 분열과 남부 연합이 실제 목적이었다. 다음 구실은 흑인 또는 노예 문제일 것이다."라고 썼다.[35]
이 문제는 1842년의 흑인 관세 이후 다시 나타났고, 1846년 워커 관세 이후 상대적 자유 무역 시대가 이어졌으나, 북부 산업가들은 산업 성장을 저해한다고 불평했다.[36]
3. 1. 무효화 위기
미국 시스템은 헨리 클레이가 의회에서 옹호한 경제 현대화 프로그램으로, 보호 관세, 연방 정부 지원을 받는 내부 개선, 국립 은행을 특징으로 했다. 이 시스템은 북부 산업 발전에 유리하여, 농업 중심 경제였던 남부의 반발을 샀다.[27][28][29][30] 남부에서는 북부에 대한 편애라는 주장이 나왔다.[209][210]1820년대 경제 침체기에, 존 퀸시 애덤스 대통령 임기 말에 제정된 1828년 관세는 "혐오 관세"로 불리며 남부와 뉴잉글랜드 일부 지역의 반대에 부딪혔다.[31] 앤드루 잭슨 대통령 당선으로 관세 인하 기대가 있었으나, 잭슨 행정부의 미온적인 대처에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는 관세 무효화를 주장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32] 존 C. 칼훈은 1828년 "사우스캐롤라이나 선언 및 항의"를 통해 주 무효화의 헌법적 이론을 제시하며 잭슨 대통령과 대립했다.[211]
1832년 관세 제정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반발을 더욱 키웠고, 일부 과격파는 연방 탈퇴를 암시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의회는 1828년과 1832년 관세를 무효화하는 투표를 진행했다. 앤드루 잭슨 대통령은 무효화를 반역으로 규정하고, 주의 연방 요새를 강화했다.[35]
1833년 초, 잭슨 지지자들은 대통령에게 군사력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강력 법안"을 도입하여 긴장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다른 주들의 불참,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내부의 분열, 그리고 클레이와 칼훈의 타협 관세 중재로 위기는 해소되었다. 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했지만, 잭슨 지지자들은 주 단독 행동의 불가함을 확인한 사건으로 평가했다.
칼훈은 1830년 이 위기를 통해 노예 소유의 권리를 남부 소수 민족의 주요 권리로 인식하고, 남부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33][34] 잭슨은 1833년 5월 1일, "관세는 구실일 뿐이며, 분열과 남부 연합이 실제 목적이었다. 다음 구실은 흑인 또는 노예 문제일 것이다."라고 썼다.[35]
이 문제는 1842년의 흑인 관세 이후 다시 나타났고, 1846년 워커 관세 이후 상대적 자유 무역 시대가 이어졌으나, 북부 산업가들은 산업 성장을 저해한다고 불평했다.[36]
4. 경제적 요인
미국은 메이슨 딕슨 선을 기준으로 뚜렷하게 두 지역으로 나뉘었다.[10] 북동부와 중서부는 가족 농장, 제조업, 광업, 상업, 운송업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했으며, 경계 주를 제외하고 노예제가 없어도 인구가 급증했다. 이러한 인구 증가는 높은 출산율과 아일랜드인, 영국인, 독일인, 폴란드인 및 북유럽 이민자들의 유입 때문이었다.[10] 반면 남부는 노예 노동에 기반한 농장이 지배적이었고, 텍사스 등 남서부에서 급격한 성장이 일어났다. 남부의 인구 증가 역시 높은 출생률에 기인했지만, 이민자 수는 많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북부의 인구 증가 속도가 남부를 앞질렀고, 이는 남부의 위기감을 조성했다.[11] 남부는 경계 주를 제외하고 도시와 마을이 거의 없었고, 제조업도 미미했다. 노예 소유주가 정치와 경제를 주도했지만, 남부 백인의 2/3는 노예를 소유하지 않았고 주로 생계형 농업에 종사했다. 정치적으로는 노예가 아닌 노예 제도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농장주를 지지하는가의 문제였다.[11]
노예제도는 오랫동안 국가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논쟁이 지속되었다. 북부 지역은 1776년 이후 노예제도를 폐지했다. 국가 통합을 유지하기 위해 정치인들은 노예 제도에 반대하면서도 중용적인 자세를 취했고, 그 결과 1820년 미주리 타협과 1850년 타협 등 많은 타협이 이루어졌다.
1840년 이후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노예 제도를 사회악을 넘어 도덕적 잘못이라고 비난했다. 1858년 링컨은 연설에서 "스스로 분열된 집은 존립할 수 없다"라고 말하며, 미국이 모두 노예 주가 되거나 모두 자유 주가 되는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가의 정치도 악의와 적대적인 당파적 논쟁이 증가하는 가운데, 1850년대에는 오래된 정당 정치가 붕괴되고 정치인들이 타협에 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854년에 제정된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은 많은 북부 사람들의 분노를 샀다.
1850년대에는 남부에 전혀 호소력이 없는 최초의 정당인 공화당이 창당되었고, 산업화된 북부와 농업 위주의 중서부는 자유 노동 산업과 자본주의의 경제 이념에 몰두했다.
1860년 에이브러햄 링컨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링컨 자신은 노예를 소유한 가문의 딸과 결혼했지만, 노예 소유주들은 링컨 및 연방 정부와의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고, 결국 미국으로부터의 남부 탈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초래했다.
역사학자들은 오늘날 일반적으로 경제적 갈등이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이 아니었다는 데 동의한다.[58]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역사학의 "진보 학파"에서는 분열 위기에 대한 경제적 근거가 일반적이었지만, 현재 이 설명을 지지하는 전문 역사학자는 거의 없다.[58] 경제사학자 리 A. 크레이그에 따르면, "사실, 지난 수십 년 동안 경제사학자들의 수많은 연구는 남북 전쟁 이전 시대의 남북 관계에서 경제적 갈등이 본질적인 조건이 아니었으며 남북 전쟁의 원인이 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59]
1860~61년에 전쟁을 피하기 위해 여러 그룹이 막판에 타협안을 찾으려고 했을 때, 그들은 경제 정책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크리텐덴 타협안, 코윈 수정안, 워싱턴 평화 회의와 같은 세 가지 주요 타협 시도는 도망 노예법, 개인 자유법, 영토 내 노예 제도, 기존 노예 주 내 노예 제도 간섭과 같은 노예 관련 문제만 다루었다.[60]
역사가 제임스 L. 휴스턴은 노예 제도의 경제적 역할을 강조한다. 1860년 10월, 분리주의의 주요 옹호자였던 윌리엄 로언즈 얀시는 남부에서 보유한 노예의 가치를 28억 달러로 평가했다.[61] 휴스턴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남부의 부, 노예 제도, 그리고 재산권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분열로 이어지는 남부의 정치적 행태를 이해하는 강력한 수단을 제공한다. 첫째, 노예 제도의 규모는 엄청난 제도였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재산권 주장은 노예 제도의 궁극적인 방어였고, 남부 백인과 친노예 제도 급진주의자들은 이를 알고 있었다. 셋째, 재산권에 의한 노예 제도 보호의 약점은 연방 정부였다. ... 넷째, 아프리카인에 대한 재산권의 신성함을 보존해야 한다는 강렬한 필요성은 남부 정치 지도자들이 노예 제도의 국유화를 요구하게 만들었다이는 노예 소유주들이 항상 그들의 재산 보유에 대해 보호받는 조건이다."[62]
목화씨 제거기는 목화 수확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켜 딥 사우스 경제의 중추로서 "면화 왕국"의 통합에 기여했으며, 면화 농장 경제가 의존했던 노예 노동 시스템을 더욱 강화했다. 남부가 산업화할 가능성은 사라졌다.
단일 경작인 단일 경작의 경향이 토지 황폐화를 초래하면서 면화 재배자들은 새로운 토지로 사업을 확장해야 했고, 따라서 미국 동부 해안에서 새로운 지역(예: 앨라배마, 미시시피, 그리고 텍사스 동부까지)으로 노예 제도가 서쪽으로 확장되었다.[63]
1927년 출간된 『미국 문명의 부상』에서 찰스 A. 비어드와 메리 비어드는 노예 제도가 사회적 또는 문화적 제도라기보다는 경제적 제도(노동 시스템)라고 주장한다. 비어드는 북동부의 금융, 제조업, 상업과 남부의 농장 간의 내재된 갈등을 언급했는데, 이들은 자체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연방 정부를 통제하려고 경쟁했다. 당시 경제 결정론자들에 따르면, 두 집단 모두 노예 제도와 주 권리에 대한 논쟁을 방어막으로 사용했다.
최근의 역사가들은 비어드의 주장을 거부했다. 그러나 그들의 경제 결정론은 이후의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다. 로버트 포겔(1993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과 스탠리 잉거먼의 『십자가 위의 시간: 미국 흑인 노예 제도의 경제학』(1974)은 노예 제도가 수익성이 있었고 노예 가격이 계속 상승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이몬도 루라기와 같은 현대화 이론가들은 산업 혁명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이탈리아와 미국의 남부에서 인도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농업적, 자본주의 이전적, "후진" 사회에 대한 분노의 날이 다가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미국 역사가들은 남부가 고도로 발전했으며 평균적으로 북부만큼 번영했다고 지적한다.
관세 문제는 전쟁 후 오랫동안 종종 인용되었으며, 이는 남부 연맹의 잃어버린 대의 역사가와 신 남부 연맹 옹호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1860~61년 당시 분리 독립을 막기 위해 타협안을 제안한 단체들은 관세 문제를 주요 문제로 제기하지 않았다.[169] 북부와 남부의 팸플릿 저술가들은 관세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며,[170] 일부가 언급했을 경우, 예를 들어 매튜 폰테인 모리[171]와 존 로스로프 모틀리[172]는 일반적으로 외국 독자를 대상으로 글을 썼다.
1861년 모릴 관세가 제정되기 전의 관세는 남부의 이익을 위해 남부에 의해 작성되고 승인되었다. 불만은 북동부(특히 펜실베이니아)에서 제기되었으며, 요율이 너무 낮다는 것이었다. 일부 남부인들은 결국 북부가 너무 커져서 의회를 장악하고 마음대로 관세를 인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173]
주의 권리에 관해서, 독립 선언문에 언급된 국가의 혁명 권리는 인간의 양도할 수 없는 평등한 권리에 기초했지만, 분리주의자들은 노예 제도를 위해 안전한 수정된 버전의 주의 권리를 믿었다.[174]
이러한 문제들은 인구의 47%가 노예였던 남부 저지대에서 특히 중요했다. 인구의 32%가 노예였던 남부 고지대는 섬터 요새 위기와 특히 링컨의 병력 소집령이 남부로 진격하여 요새를 재탈환하는 것을 분리 독립의 원인으로 간주했다. 인구의 13%가 노예였던 최북단 국경 노예 주들은 분리 독립하지 않았다.[175]
4. 1. 지역 간 경제적 차이
19세기 중반, 미국은 경제 구조가 다른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10] 북동부와 중서부는 가족 농장, 산업, 광업, 상업, 운송을 기반으로 급성장하는 경제를 이루었고, 높은 출생률과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인구가 빠르게 증가했다.[10] 특히 아일랜드계 미국인과 독일계 미국인의 이민이 많았다. 반면, 남부는 노예제에 기반한 플랜테이션 경제가 지배적이었으며, 농촌 지역이 많고 소규모 도시가 거의 없었다.[11] 노예 소유주들이 정치와 경제를 통제했지만, 백인 남부 가족의 약 75%는 노예를 소유하지 않았다.[11]전반적으로 북부 인구가 남부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면서 남부가 국가 정부를 지배하기 어려워졌다. 1860년 대통령 선거에서 농업 의존도가 높은 남부 주들은 산업화가 진행 중인 북부 주들보다 적은 수의 선거인단 투표수를 가지게 되었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남부 10개 주에서 선거에 참여하지 않고도 대통령에 당선될 수 있었다.[10]

남부, 중서부, 북동부는 서로 무역을 했고, 연방에 머물면서 각자 더욱 번영을 누렸다. 1920년대 찰스 A. 비어드는 이러한 경제적 차이점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는 주장을 펼쳤으나, 1950년 이후 주류 역사학자들은 이를 거의 받아들이지 않았다.[64] 케네스 스탬프는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현재 북부와 남부의 상이한 경제가 분열과 남북 전쟁으로 이어져야 할 만한 설득력 있는 이유를 찾지 못한다. 오히려, 그들은 경제가 서로 완벽하게 보완되는 지역들이 연합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했을 더 강력한 실질적인 이유를 발견한다."라고 요약했다.[65][66]
4. 2. 1857년 공황

몇몇 역사가들은 심각한 금융 1857년 공황과 그로 이어진 경제적 어려움이 공화당을 강화하고 지역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다고 믿는다. 공황 이전에는 비교적 낮은 관세 하에서 강력한 경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국가의 많은 부분이 성장과 번영에 집중했다.
철강 및 섬유 산업은 1850년 이후 매년 심각하고 악화되는 문제에 직면했다. 1854년까지 각 세계 시장에 철강 재고가 축적되었다. 철강 가격이 하락하면서 많은 미국의 철강 공장이 문을 닫게 되었다.
공화당은 서부 농부와 북부 제조업체에게 저관세 경제 정책을 지배하는 남부 지배 민주당 행정부에게 불황의 책임을 돌리도록 촉구했다. 그러나 불황은 남부와 서부 모두에서 북동부 은행 이익에 대한 의심을 되살렸다. 서부 농산물에 대한 동부의 수요는 서부를 북부에 더 가깝게 만들었다. "운송 혁명"(운하와 철도)이 진행되면서, 서부 생산자들의 밀, 옥수수 및 기타 주요 작물 중 점점 더 많은 부분과 절대량이 – 한때 애팔래치아 산맥을 넘어 운반하기 어려웠던 – 미국 북동부 시장으로 향했다. 불황은 동부 상품과 시장을 제공하고 상당한 이익을 제공할 홈스테더(homesteader, 개척 농민)를 위한 서부 시장의 가치를 강조했다.
토지 문제를 제외하고, 경제적 어려움은 불황에 대응하여 산업에 대한 더 높은 관세에 대한 공화당의 주장을 강화했다. 이 문제는 펜실베이니아와 아마도 뉴저지에서 중요했다.

5. 정치적 요인
미국은 메이슨 딕슨 선에 의해 명확하게 두 지역으로 나누어진 나라였다. 뉴잉글랜드 북동부 및 중서부의 경제는 가족에 의해 운영되는 농장, 제조, 광업, 상업 및 운송 사업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였고, 경계 주 이외에서 노예가 없어도 인구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었다. 이 인구 확대는 높은 출산율과 유럽 이민자들에 의해 기인한 것이었다. 특히 아일랜드인, 영국인, 독일인, 폴란드인과 북유럽 이민자가 많았다. 남부는 노예에 의해 개척 된 농장이 지배적이며 급속한 성장이라고 하면 텍사스와 같은 남서부에서 일고 있었다. 이곳의 인구 증가는 역시 높은 출생률에 의한 것이었고, 이민자 수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북부 지역의 인구 증가 속도가 남부를 웃돌았으며, 이것이 남부의 위기감을 조성하고 있었다. 남부는 경계 주를 제외하고 도시와 마을이 거의 없었고, 제조업도 마찬가지였다. 노예 소유자는 정치와 경제를 이끌어 있었지만, 남부 백인의 2/3는 노예를 소유하지 않았고, 주로 생계형 농업에 머물고 있었다. 정치적으로 그런 노예가 아닌, 노예 제도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농장주를 지지하는가의 문제였다.
노예제도는 국가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논의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북부 지방은 1776년 이후 노예제도를 폐지했다. 국가의 통합을 유지하기 위해 정치가는 노예 제도에 반대할 때도 중용적인 자세가 되었고, 결과적으로 1820년 미주리 타협과 1850년 타협이라는 많은 타협을 낳았다.
1840년 이후 노예제도 폐지론자들이 노예 제도를 사회 악을 넘어, 도덕적 잘못이라고 비난했다. 1858년 링컨의 연설에서 “자신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가정은 성립되지 않는다”라고 말했고, 연합 주로서 미국은 모두 노예 주가 되거나, 모든 자유 주가 되는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라의 정치도 악의와 적대적인 당파적 논쟁이 증가하는 가운데, 1850년대에는 오래된 정당 정치가 붕괴되고, 정치인들이 타협에 도달하는 방해 받게 되었다. 1854년에 생긴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은 많은 북부 사람들의 분노를 샀다.
1850년대는 남부에는 아무것도 어필하지 않는 최초의 정당인 공화당이 창당되었고, 공업화된 북부와 농업 위주의 중서부는 자유 노동 산업과 자본주의의 경제 이념에 관여 되어 왔다.
1860년 링컨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링컨 자신은 노예를 소유한 가문의 딸과 결혼했지만, 노예 소유자는 링컨과 연방 정부와의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고, 결국 미합중국에서 남부 탈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가져오게 되었다.[57]
1850년대의 정치인들은 1820년대와 1850년대에 지역 갈등을 억제했던 전통적인 제약이 무너져가는 사회에서 활동하고 있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양당제의 안정성이었다. 이는 북부와 남부에서 민주주의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1850년대는 대중 정당이 유권자 참여를 활성화하여 투표율이 80%에서 90%에 달했고, 정치 행위가 미국 대중 문화의 필수적인 요소가 된 시대였다. 역사학자들은 1850년대에 정치 참여가 오늘날보다 일반 미국인에게 더 큰 관심사였다는 데 동의한다. 정치 행위는 여러 기능 중 하나로서 집회, 퍼레이드, 다채로운 인물들이 등장하는 대중적인 오락의 한 형태였다. 또한, 주요 정치인들은 종종 대중의 관심사, 열망, 가치의 초석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역사학자 앨런 네빈스는 1856년에 열린 정치 집회에 2만 명에서 5만 명에 이르는 남녀가 참석했다고 기록했다. 1860년에는 투표율이 84%까지 치솟기도 했다. 1854년부터 1856년까지 공화당, 인민당, 반 네브래스카, 퓨전주의자, 노우 나싱당, 노우-섬씽당 (반노예주의 토착민), 메인 법 지지자, 금주주의자, 럼 민주당, 실버 그레이 휘그당, 힌두교도, 하드 쉘 민주당, 소프트 쉘, 하프 쉘, 입양 시민을 포함한 많은 신생 정당들이 등장했다. 1858년까지 이들은 대부분 사라졌고, 정치는 4가지 방향으로 분열되었다. 공화당은 강력한 민주당 소수 정당과 함께 대부분의 북부 주를 장악했다. 민주당은 북부와 남부로 분열되었으며 1860년에 두 개의 표를 냈다. 남부 비민주당은 다양한 연합을 시도했고, 대부분은 1860년에 헌법 연합당을 지지했다.
많은 남부 주들은 1851년에 무효화와 분리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헌법 회의를 열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를 제외하고,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회의 선거는 "다른 주와의 협력 없이는 분리 없음"이 아닌 "분리 없음"의 선택 사항조차 제공하지 않았으며, 남부 회의는 분리 조항에 반대표를 던진 연합주의자들에 의해 지배되었다.
]]
1803년부터 1854년까지 미국은 구매(루이지애나 매입), 협상(애덤스-오니스 조약, 오리건 조약), 정복(멕시코 할양)을 통해 광대한 영토 확장을 이루었다.[79] 1845년까지 이 영토에서 분할된 주들 중 루이지애나, 미주리, 아칸소, 플로리다, 텍사스, 그리고 앨라배마와 미시시피의 남부 지역은 모두 노예주로 연방에 가입했다.[80] 1848년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북부 멕시코의 정복과 함께 노예 소유 세력은 이 땅에서도 제도가 번성할 것을 기대했다. 남부인들은 또한 쿠바(오스텐드 선언 참조), 멕시코, 중앙 아메리카(황금 고리 (제안된 국가) 참조)를 노예주로 합병할 것을 예상했다.[80][81] 북부 자유 토지 세력은 노예 토지의 추가 확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려고 했다. 노예 제도를 옹호하는 세력과 반대하는 세력이 충돌한 것은 바로 이러한 영토 분쟁 때문이었다.[82][83]
남부 주에서의 노예 제도의 존재는 이 제도의 서부 영토 확장이라는 폭발적인 문제보다 정치적으로 훨씬 덜 양극화되었다.[84] 더욱이 미국인들은 인신 구속에 관해 두 가지 잘 확립된 헌법 해석에 의해 정보를 얻었다. 즉, 노예주는 경계 내에서 이 제도에 대한 완전한 자율권을 갖고 있으며, 국내 노예 무역주 간의 무역은 연방의 간섭으로부터 면제된다는 것이다.[85][86] 노예 제도를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실행 가능한 전략은 새로운 영토로의 확장을 제한하는 것이었다.[87] 노예 소유 세력은 이 전략이 자신들에게 가하는 위험을 완전히 이해했다.[88][89] 남부와 북부 모두 "영토에 대한 노예 제도 문제를 결정하는 권한은 노예 제도 자체의 미래를 결정하는 권한이었다."라고 믿었다.[90][91]
1860년까지 연방의 영토 통제 문제에 답하기 위해 네 가지 교리가 등장했으며, 이들은 암묵적으로나 명시적으로 헌법에 의해 승인되었다고 주장했다.[92] 두 가지 "보수적" 교리는 문서의 텍스트와 건국 문서의 역사적 선례를 강조했고, 다른 두 가지 교리는 헌법을 초월하는 주장을 발전시켰다.[93]
"보수적" 이론 중 하나는 헌법 연합당이 대표했는데, 이는 영토에서의 자유와 노예 할당의 역사적 지정을 헌법적 의무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60년의 크리텐덴 타협은 이러한 견해의 표현이었다.[94]
두 번째 교리는 의회의 우위를 주장하는 것으로, 에이브러햄 링컨과 공화당이 옹호했으며, 헌법은 입법자들을 균형 정책에 묶지 않으며의회 재량으로 영토에서 노예 제도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95]단, 하나의 예외가 있었다. 즉, 수정 헌법 제5조의 적법 절차 조항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의회는 인신 구속을 제한할 수 있지만, 결코 이를 설정할 수는 없었다. 윌모트 조항은 1846년에 이 입장을 발표했다.
연방 권위를 거부하는 두 교리 중 하나는 일리노이주 상원 의원 스티븐 A. 더글러스의 북부 민주당원이, 다른 하나는 미시시피주 상원 의원 제퍼슨 데이비스와 켄터키주 상원 의원 존 C. 브레킨리지의 남부 민주당원이 제시했다.
더글러스는 영토 주권 또는 "민중" 주권 교리를 고안했는데, 이는 영토의 정착민들이 노예 제도를 확립하거나 폐지할 수 있는 연합 내 주와 동일한 권리를 갖는다고 선언했다순전히 지역적인 문제였다. 더글러스에 따르면 영토를 창설한 의회는 국내 문제에 대한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렇게 하는 것은 미국 헌법에 내포된 자치 전통을 위반하는 것이었다.[96] 1854년의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은 이 교리를 입법화했다.
이 4중주 중 네 번째는 주권 이론("주 권리")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정치 이론가이자 정치가인 존 C. 칼훈의 이름을 따서 "칼훈 교리"라고도 불린다.[97] 연방 권위나 자치에 대한 주장을 거부하면서 주권은 미국 헌법에 따라 연방 내에서 노예 제도의 확산을 촉진하는 데 주에 권한을 부여할 것이며단순히 분리 주장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98] 기본 전제는 영토 내 노예 제도 문제와 관련된 모든 권한이 각 주에 있다는 것이었다. 연방 정부의 역할은 주 거주민이 영토에 들어갈 때 주법의 시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99] 칼훈은 영토 내 연방 정부는 여러 주권 국가의 대리인일 뿐이며, 따라서 어떤 주에서 합법적인 재산인 것을 어떤 영토로 가져오는 것을 금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즉, 주권은 노예 소유 주의 법에 "초사법적" 효력을 부여했다.[100]
"주 권리"는 연방 권위를 통해 노예주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식화되고 적용된 이념이었다.[101] 역사학자 토마스 L. 크라나위터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T]연방 노예 보호에 대한 남부의 요구는 연방 권력의 전례 없는 확장을 요구하는 것이었다."[102]
1860년까지 이 네 가지 교리가 노예 제도, 영토 및 미국 헌법 문제에 관해 미국 대중에게 제시된 주요 이념을 구성했다.[103] 그러나 실제로 1860년까지 노예 제도는 영토에서 사실상 소멸되었다. 186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유타 영토(몰몬교가 통제)에는 29명의 노예가 있었고, 네브래스카에는 15명, 캔자스에는 2명(1861년 초 주가 되면서 폐지됨)이 있었다. 콜로라도, 워싱턴, 네바다, 뉴멕시코, 다코타의 다른 영토에는 노예가 없었으며, 캘리포니아와 오리건의 새로운 주에도 노예가 없었다. 1860년 미국 인구 조사#미국 주 및 영토의 인구를 참조하십시오.[104] 네브래스카의 노예 제도 역사, 캔자스의 노예 제도 역사, 유타의 노예 제도 역사도 참조하십시오.
대부분의 사람들은 타협안이 영토 문제를 종결시켰다고 생각했지만, 스티븐 더글러스는 1854년에 이 문제를 다시 제기했다. 더글러스는 광대한 새로운 양질의 농지를 개척하기 위해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안을 제안했다. 시카고 출신인 그는 시카고에서 캔자스와 네브래스카로 연결되는 철도에 특히 관심이 있었지만, 이것은 논쟁의 대상이 아니었다. 더 중요한 것은 더글러스가 풀뿌리 민주주의를 확고히 믿었다는 점이다 즉, 다른 주의 정치인이 아니라 실제 정착민들이 노예제에 대해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그의 법안은 영토 입법부를 통해 주민 주권이 "노예제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결정하도록 규정하여, 사실상 미주리 타협을 폐지했다. 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은 북부 주에서 항의의 불길을 일으켰다. 이는 미주리 타협을 폐지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 그러나 법안이 처음 소개된 후 한 달 동안의 대중 반응은 상황의 심각성을 예고하지 못했다. 북부 신문들이 처음에는 이 이야기를 무시했기 때문에 공화당 지도자들은 대중의 반응이 없음을 한탄했다.
결국 대중의 반응이 나타났지만, 지도자들이 이를 촉발해야 했다. 샐먼 P. 체이스의 "무소속 민주당원의 호소"는 대중의 여론을 불러일으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뉴욕에서는 윌리엄 H. 수어드가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집회가 없자 스스로 네브래스카 법안에 반대하는 집회를 조직했다. ''National Era'', ''뉴욕 트리뷴''(New-York Tribune)과 같은 언론과 지역 자유 토지 저널은 이 법안을 비난했다. 1858년 링컨-더글러스 토론은 노예제 확장의 문제에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855년경 캔자스에서는 노예 문제가 참을 수 없는 긴장과 폭력의 상태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곳은 압도적인 수의 정착민들이 공공 문제에 무관심한 서부 개척자들이었던 지역이었다. 주민 대다수는 지역 간의 긴장이나 노예 문제에 관심이 없었다. 대신 캔자스의 긴장은 경쟁하는 청구자들 간의 갈등으로 시작되었다. 첫 번째 정착 물결 동안 누구도 토지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정착민들은 경작에 적합한 새로 개방된 토지를 차지하기 위해 달려들었다. 캔자스에서 긴장과 폭력이 북부 출신 정착민과 미주리 출신 정착민 간의 대립으로 나타났지만, 노예 문제에 대한 이념적 분열의 증거는 거의 없다. 대신 미주리 출신 청구인들은 캔자스를 자신들의 영역으로 생각하며, 북부 출신 불법 점유자들을 침략자로 간주했고, 북부 출신은 미주리 출신이 제대로 정착하지 않고 가장 좋은 토지를 빼앗았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1855~56년 "피 흘리는 캔자스"의 폭력은 존 브라운이 - 추종자들은 그를 노예 제도를 파괴하라는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여겼다 - 난투극에 참여한 후 이념적 절정에 이르렀다. 그의 노예 지지 정착민 5명 암살(1856년 5월 24일 밤의 소위 "포타와토미 학살")은 일부 불규칙적인, 게릴라 스타일의 갈등을 초래했다. 존 브라운의 열정을 제외하고 캔자스의 갈등은 토지 소유권이나 약탈에 더 관심이 있는 무장 세력 간의 충돌이었다.
{{인용문구
|align = left
|width = 35%
|quote = 그의 자유를 위한 열정은 내 것보다 훨씬 뛰어났다... 내 열정은 촛불과 같았지만, 그의 열정은 타오르는 태양과 같았다. 나는 노예를 위해 살 수 있었지만, 존 브라운은 노예를 위해 죽을 수 있었다.
|source = 프레데릭 더글러스가 존 브라운에 대해 말하다
}}
그러나 캔자스의 내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국적으로 그리고 의회에서 이에 대한 반발이었다. 북부와 남부 모두에서 다른 지역의 공격적인 의도가 캔자스에서 일어나는 일로 요약되고(그리고 책임이 있다) 있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었다. 결과적으로 "피 흘리는 캔자스"는 지역 갈등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캔자스 사태에 분개한 공화당은 - 미국 역사상 최초의 전적으로 지역주의적 주요 정당 - 자신감을 가지고 첫 번째 대통령 선거전에 나섰다. 그들의 후보인 존 C. 프리몬트는 신생 정당에 일반적으로 안전한 후보였다.[141] 그의 지명은 일부 토착주의적 노우 나싱 지지자들을 화나게 했지만(그의 어머니는 가톨릭 신자였다), 정치 경력이 짧은 서부 탐험가이자 전 캘리포니아 상원의원을 지명한 것은 전직 민주당원을 끌어들이기 위한 시도였다. 다른 두 공화당 경쟁자인 윌리엄 H. 수어드와 새먼 P. 체이스는 너무 급진적이라고 여겨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56년 선거 운동은 거의 전적으로 노예 문제에 대해 치러졌고 - 민주주의와 귀족 정치 간의 투쟁으로 묘사되며 - 캔자스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공화당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과 노예 확장을 비난했지만, 노예 반대주의의 이상주의와 북부의 경제적 열망을 결합한 내부 개선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새로운 정당은 빠르게 강력한 당파 문화를 발전시켰고, 활기찬 활동가들은 전례 없는 수의 유권자를 투표소로 이끌었다. 사람들은 열정적으로 반응했다. 젊은 공화당원들은 "와이드 어웨이크" 클럽을 조직하고 "자유 토지, 자유 노동, 자유 시민, 프리몬트!"를 외쳤다. 남부 강경파와 심지어 일부 온건파가 프리몬트가 승리할 경우 탈퇴 위협을 가하면서, 민주당 후보인 제임스 뷰캐넌은 연방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득을 보았다.
밀러드 필모어, 아메리카당(노우 나싱)과 실버 그레이 휘그당의 후보는 뉴욕주 올버니에서 한 연설에서 공화당 후보가 당선되면 연방이 해체될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7월 23일 일리노이주 갈레나에서 한 연설에서 이에 답했다. 칼 샌드버그는 이 연설이 아마도 링컨의 잃어버린 연설과 유사했을 것이라고 썼다. "훈련된 육군과 해군, 그리고 잘 채워진 금고를 가진 다수가 무장하지 않고, 훈련되지 않고, 조직되지 않은 소수에게 공격을 받더라도 스스로를 보존할 수 없다면, 이 정부는 정말 약할 것입니다. 연방 해체에 대한 모든 이야기는 허튼 소리입니다 - 멍청한 짓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연방을 해체하지 않을 것이고, ''여러분은'' 해체할 수 없습니다."[142]
Dred Scott v. Sandford도 참조
리컴턴 헌법과 ''드레드 스콧 대 샌퍼드'' (응답자의 이름인 샌퍼드[143]는 보고서에 오기되었다)[144]는 모두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의 결과로 발생한 노예제 논쟁인 피 흘리는 캔자스의 일부였다. 이는 스티븐 더글러스가 미주리 타협에서 캔자스와 네브래스카 준주에서 노예제를 금지하는 것을 주민의 자치로 대체하려 한 시도였다. 이는 준주의 사람들이 노예제 찬반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캔자스에서 노예제를 허용하려 했던 리컴턴 헌법은 친노예제 국경 깡패들의 대규모 투표 사기의 결과였다. 더글러스는 리컴턴 헌법을 격파했는데, 이는 캔자스 내 소수의 친노예제 지지자들이 이 헌법을 지지했고, 더글러스는 다수결의 원칙을 믿었기 때문이다. 더글러스는 남부와 북부 모두 주민 자치를 지지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어느 쪽도 그렇지 않았다. 이는 어느 쪽도 더글러스를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857년 미국 대법원의 ''드레드 스콧 대 샌퍼드'' 판결은 논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미국 대법원장 로저 B. 토니의 판결은 흑인은 "백인이 존중해야 할 권리가 없을 정도로 열등하다"고 밝혔고,[145] 노예제는 준주 내 다수의 사람들이 노예제에 반대하더라도 준주로 확산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링컨은 "다음 ''드레드 스콧'' 판결"이 북부 주에 노예제를 강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46][147]
역사학자들은 이 판결이 남북 전쟁으로 이어지는 긴장을 극적으로 고조시켰다는 데 동의한다.[148][149][150] 2022년 역사학자 데이비드 W. 블라이트는 1857년이 "분열로 가는 길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드레드 스콧 사건 때문에 북부와 남부 모두에서 이미 흔했던 공포, 불신, 음모적 증오가 새로운 수준으로 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51]
리컴턴 헌법
제임스 뷰캐넌(James Buchanan) 대통령은 캔자스를 리컴턴 헌법에 따라 노예주로 연방에 가입하도록 의회에 촉구함으로써 캔자스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결정했다. 그러나 캔자스 유권자들은 10,226 대 138표로 이 헌법을 압도적으로 거부했다. 뷰캐넌은 리컴턴 헌법을 옹호하기 위해 대통령 권한을 행사하면서 공화당원들을 더욱 분노하게 하고 자신의 당원들로부터 소외되었다. 더글러스파는 이러한 계획이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의 기초가 된 주민 주권의 원칙을 훼손하려는 시도로 보였기 때문에 행정부와의 관계를 끊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보수주의자들은 주 권리의 원칙이 침해당했다고 느끼며 분개했다. 심지어 남부에서도 전직 휘그당원들과 국경 지대의 노우-낫싱(Know-Nothings)은, 특히 존 벨과 존 J. 크리텐덴(분파 간의 논쟁에서 핵심 인물)이 공화당에 행정부의 움직임에 반대하고 영토에 노예제를 수용하거나 거부할 권한을 부여하라는 요구를 받아들일 것을 촉구했다.
민주당 내의 분열이 심화되면서, 온건한 공화당원들은 반행정부 민주당원, 특히 스티븐 더글러스와의 동맹이 1860년 선거에서 핵심적인 이점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공화당 관찰자들은 리컴턴 헌법에 대한 논란을 프레몬트가 거의 지지를 얻지 못했던 국경 지대에서 민주당의 지지를 빼앗을 기회로 보았다. 결국, 국경 지대는 과거에 남부의 연방 탈퇴 위협 없이 북부 지지 기반을 가진 휘그당을 지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전략의 지지자 중에는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가 있었는데, 이 신문은 공화당에 분파 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더 이상 노예주는 없다"를 요구하는 타협적인 정책을 옹호하여 주민 주권에 대한 반대를 약화시킬 것을 촉구했다. ''타임스''는 1860년 선거에서 공화당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떤 이유에서든 뷰캐넌 행정부에 불만을 품은 모든 유권자를 포함하도록 지지 기반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민주당 행정부에 대한 커져가는 반대를 통합할 동맹에 대한 압력이 강했다. 그러나 그러한 동맹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공화당을 국가적이고 보수적인, 연방주의 정당으로 변모시키는 것을 수반했을 것이다. 사실, 이것은 휘그당의 후계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공화당 지도자들은 노예제에 대한 당의 입장을 수정하려는 모든 시도를 강력히 반대했다. 예를 들어, 의회에 있는 92명의 모든 공화당 의원들이 1858년 크리텐덴-몽고메리 법안에 찬성표를 던졌을 때, 그들은 원칙을 포기했다고 생각하여 경악했다. 이 타협안은 캔자스가 노예주로 연방에 가입하는 것을 막았지만, 노예제를 완전히 거부하는 대신 주민 주권을 요구했다는 사실은 당 지도자들에게 우려를 안겨주었다.
결국, 크리텐덴-몽고메리 법안은 공화당, 국경 지대의 전직 휘그당 남부인, 그리고 북부 민주당원들로 구성된 대규모 반행정부 연합을 만들지 못했다. 대신 민주당은 분파를 따라 갈라졌다. 반리컴턴 민주당원들은 특정 지도자들이 친노예 정책을 당에 강요했다고 불평했다. 그러나 더글러스파는 행정부의 압력에 굴복하는 것을 거부했다. 현재 공화당의 당원인 반네브래스카 민주당원들처럼 더글러스파는 행정부가 아닌 자신들이 대부분의 북부 민주당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남부의 극단주의적 정서는 남부의 플랜테이션 계급이 중앙 정부의 행정, 입법, 사법 기구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인식하면서 극적으로 발전했다. 또한 남부 민주당원들이 민주당 내의 동맹을 통해 북부 주들에서 권력을 조작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졌다.
1856년 5월 19일, 매사추세츠 상원 의원 찰스 섬너는 상원에서 "캔자스에 대한 범죄"라는 제목의 긴 연설을 했다. 그는 이 연설에서 노예 권력을 국가의 문제 뒤에 숨은 악의 세력으로 규탄했다. 섬너는 남부인들이 캔자스에 대한 "범죄"를 저질렀으며,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상원 의원 앤드루 P. 버틀러를 지목했다.[155] 섬너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사람을 묘사하며 "그는 다른 사람에게는 흉하지만, 그에게는 항상 사랑스러운 첩을 선택했다. 세상의 눈에는 더럽지만, 그에게는 정숙하다. 나는 창녀, 노예제를 말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156] 윌리엄제임스 헐 호퍼에 따르면, "이 연설 전체에서 반복되는 성적 이미지는 우연이 아니며 선례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도 중요하다. 폐지론자들은 노예 소유주가 노예와 강제적인 성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노예제를 유지한다고 비난했다."[157] 사흘 뒤, 섬너는 상원 의사당에서 자신의 책상에서 일하다가 버틀러의 조카인 프레스턴 S. 브룩스 하원 의원에게 거의 죽을 정도로 구타를 당했다. 섬너는 회복하는 데 수년이 걸렸다. 그는 반 노예제 운동의 순교자가 되었고, 이 사건은 노예 사회의 야만성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브룩스는 남부의 명예를 지킨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이 사건은 북부와 남부의 분열을 더욱 심화시켰고, 새로운 공화당을 강화했으며, 의회에서 새로운 폭력의 요소를 더했다.[158]
링컨-더글러스 토론은 1858년 일리노이주의 미국 상원 의원인 스티븐 더글러스와 더글러스를 상원에서 교체하려 했던 공화당원 에이브러햄 링컨 사이에서 열린 7차례의 일련의 토론이었다. 토론의 주요 내용은 노예 제도였다. 더글러스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을 옹호했는데, 이 법은 미주리 타협에 따른 미주리 북서쪽 루이지애나 매입 지역의 노예 제도 금지를 주권재민으로 대체하여 캔자스와 같은 자치구의 주민들이 노예 제도를 찬성하거나 반대
5. 1. 1850년 타협
미국-멕시코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하면서 멕시코로부터 빼앗은 광대한 영토가 추가되었다. 해당 영토에서 노예제를 허용할지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노예주와 자유주 간의 전쟁 위험을 높였고, 정복지에서 노예제를 금지하려는 윌모트 조항에 대한 북부의 지지가 증가하면서 지역 간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 논쟁은 1850년 타협안으로 잠정적으로 해결되었는데, 이 타협안에 따라 유타와 뉴멕시코는 노예제 허용 여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되었고, 캘리포니아는 자유주로 편입되었으며, 경계 조정을 통해 노예주인 텍사스의 영토가 축소되었고, 컬럼비아 특별구에서는 노예 무역이 종식되었지만, 노예제 자체는 유지되었다. 그 대가로 남부 지역은 더 강력한 도망 노예법을 얻었는데, 이는 미국 헌법에 언급된 내용보다 강화된 것이었다. 이 도망 노예법은 노예제를 둘러싼 논쟁에 다시 불을 지폈다.1850년 도망 노예법은 북부인들에게 도망 노예를 되찾는 데 남부인들을 돕도록 요구했는데, 많은 북부인들은 이에 강력히 반대했다. 앤서니 번스는 이 법으로 인해 붙잡혀 사슬에 묶여 노예로 되돌려진 도망 노예 중 한 명이었다. 해리엇 비처 스토의 베스트셀러 소설 ''엉클 톰스 캐빈''은 도망 노예법에 대한 반대를 크게 증가시켰다.
5. 2. 공화당의 창당

미국 정당 체제는 남북 전쟁 이전 수십 년 동안 휘그당과 민주당이 주도했다. 그러나 휘그당 내부의 분열이 심화되면서 1850년대에는 기묘한 동거 정당이 되었다. 노예제 반대파는 전통주의적이고 점차 친 노예제를 지향하는 남부파와 충돌했다. 이러한 분열은 1852년 선거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휘그당 후보 윈필드 스콧은 프랭클린 피어스에게 참패했다. 이전 휘그당 대통령 재커리 테일러를 지지했던 남부 휘그당은 테일러에게 실망했고, 다른 휘그당을 지지하려 하지 않았다. 노예 소유주였음에도 불구하고 테일러는 이 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게 노예제에 반대했다. 남부 휘그당의 지지를 잃고, 북부에서 자유토지당으로 표를 잃으면서 휘그당은 멸망할 운명에 놓였다. 그들은 그랬고, 다시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못할 것이다.
휘그당의 마지막 몰락은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이었다. 이 법은 또한 휘그당과 자유토지당을 모두 흡수하여 휘그당이 항상 되는 것을 거부했던 노예제 반대 정당을 만들 공화당의 시작을 알렸다. 이 법은 캔자스 준주와 네브래스카 준주를 노예제와 노예 주로의 미래 편입을 허용하여, 미주리 타협의 일부였던 북위 36° 30′ 이북 지역의 노예제 금지를 암묵적으로 폐지했다. 이 변화는 노예 소유 남부의 공격적이고 팽창주의적인 책략으로 노예제 반대 북부인들에게 여겨졌다. 이 법의 반대자들은 강하게 동기 부여를 받아 새로운 정당을 결성하기 시작했다. 이 정당은 자카리아 챈들러와 같은 노예제 반대 양심적 휘그당과 새먼 P. 체이스와 같은 자유토지당의 연합으로 시작되었다.
새로운 노예제 반대 정당의 이름으로 "공화당"이 제안된 최초의 반 네브래스카 운동 지역 회의는 1854년 3월 20일 위스콘신주 리폰의 학교에서 열렸다. 공화당이라는 이름으로 강령을 만들고 후보자를 지명한 최초의 주 차원 전당대회는 1854년 7월 6일 미시간주 잭슨 근처에서 열렸다. 그 전당대회에서 당은 새로운 영토로의 노예제 확장에 반대하고 주 전체의 후보자 명단을 선택했다. 중서부는 주 공화당 티켓을 형성하는 데 앞장섰다; 세인트루이스와 자유 주 인접 지역을 제외하고, 남부 주에서 당을 조직하려는 노력은 없었다. 그렇게 공화당이 탄생했다. 변방의 "자유 토지"라는 대중적이고 감정적인 문제를 놓고 선거 운동을 벌이면서 불과 6년 만에 백악관을 장악하게 되었다.

1856년 선거에서 큰 패배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공화당 지도자들은 비록 북부 유권자들에게만 호소했지만, 1860년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와 일리노이 주와 같은 두 개의 주만 더 확보하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민주당이 자체적인 문제로 고심하는 동안, 공화당 지도자들은 선출된 의원들이 서부 노예제 문제에 집중하도록 노력했고, 이를 통해 대중의 지지를 결집할 수 있었다. 체이스는 섬너에게 만약 보수주의자들이 성공한다면 자유 토지당을 재창당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썼다. 그는 또한 많은 공화당원들이 정치적, 경제적 논쟁을 위해 노예제에 대한 도덕적 비판을 회피하려는 경향에 특히 당황했다.
서부 노예제 논란은 여전히 노예제 문제에 대한 고착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북부에서 대중 정치와 대중 민주주의가 빠르게 확장되면서 분열의 긴장에 대한 오래된 제약이 약화되고 있었지만, 서부 노예제 문제에 대한 갈등의 지속은 남부의 급진적 민주당원과 북부의 급진적 공화당원의 노력을 필요로 했다. 그들은 분열의 갈등이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남아있도록 해야 했다.
윌리엄 시워드는 민주당이 전국 다수당이었고, 일반적으로 의회, 대통령직, 많은 주 정부 관직을 장악했던 1840년대에 이러한 잠재력을 고려했다. 국가의 제도적 구조와 정당 체제는 노예 소유자들이 국가의 더 많은 영토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국가 정책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많은 민주당 지도자들이 노예제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려 하지 않고, 당의 친남부적 입장이 커지고 있다는 대중의 불만이 커지면서 시워드는 휘그당이 민주주의와 평등의 수사법에 대한 강력한 독점을 깨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휘그당이 노예제 폐지를 당의 강령으로 채택하는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다시 한번, 증가하는 수의 북부인들에게 남부 노동 시스템은 미국 민주주의의 이상과 점점 더 반대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공화당은 연방 정부를 장악하고 헌법을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왜곡하려 하는 "노예 권력 음모"의 존재를 믿었다. "노예 권력"이라는 아이디어는 시워드와 같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정치적으로 연관되기를 바랐던 반 귀족적 매력을 공화당에게 제공했다. 오래된 노예제 반대 논쟁과 노예제가 북부의 자유 노동과 민주적 가치에 위협을 가한다는 생각을 결합함으로써, 공화당은 북부 사회의 핵심에 놓인 평등주의적 관점을 활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1860년 대통령 선거 운동 기간 동안 공화당 연설가들은 심지어 "정직한 에이브"를 이러한 원칙의 화신으로 묘사하며, 그를 "노동의 아이"이자 "개척자의 아들"이라고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정직한 산업과 노력"이 북부에서 어떻게 보상받았는지 증명했다고 말했다. 링컨은 휘그당원이었지만, "와이드 어웨이크스"(공화당 클럽 회원)는 그가 쪼갠 레일의 복제품을 사용하여 유권자들에게 그의 평범한 출신을 상기시켰다.
거의 모든 북부 주에서 조직자들은 1854년 선거에서 공화당 또는 반 네브래스카 융합 운동을 시도했다. 급진 공화당이 새로운 조직을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포괄적인 급진 프로그램이 당 정책이 되었다. 그들이 1854년 여름에 공화당을 조직하는 것을 도왔듯이, 급진파는 1856년 당의 전국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뉴욕, 매사추세츠, 일리노이의 공화당 전당대회는 급진적 강령을 채택했다. 위스콘신, 미시간, 메인, 버몬트와 같은 주에서 이러한 급진적 강령은 일반적으로 정부와 노예제의 분리, 도망 노예법 폐지, 더 이상 노예 주를 만들지 않을 것을 요구했으며, 펜실베이니아, 미네소타, 매사추세츠에서도 급진적 영향력이 높을 때 그렇게 했다.
시카고에서 열린 공화당 1860년 후보 지명 대회에서 보수주의자들은 급진파로 이전에 명성을 얻었던 윌리엄 시워드의 지명을 막을 수 있었다(그러나 1860년까지 호러스 그릴리에 의해 너무 온건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다른 후보들은 이전에 휘그당에 반대하는 정당에 가입하거나 결성했으며, 그로 인해 많은 대의원들의 적이 되었다. 링컨은 세 번째 투표에서 선출되었다. 그러나 보수주의자들은 "휘그당"의 부활을 가져올 수 없었다. 노예제에 관한 대회의 결의안은 1856년과 거의 같았지만, 표현은 덜 급진적으로 보였다. 그 후 몇 달 동안, 토마스 유잉과 에드워드 베이커와 같은 공화당 보수주의자들조차 "영토의 정상적인 상태는 자유이다"라는 강령을 받아들였다. 전반적으로 조직자들은 공화당의 공식 정책을 형성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했다.
남부의 노예 소유 이익은 이제 공화당 대통령의 등장과 국가의 균형을 변경할 새로운 자유 주의 유입의 전망에 직면했다. 많은 남부 사람들에게 르컴턴 헌법의 압도적인 패배는 더 많은 자유 주가 연방에 들어설 것을 예고했다. 미주리 타협에서 시작하여 남부 지역은 상원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예 주와 자유 주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했다. 마지막 노예 주가 1845년에 승인된 이후, 5개의 자유 주가 더 들어섰다. 북부와 남부의 균형을 유지하는 전통은 더 많은 자유 토지 주의 추가를 위해 포기되었다.
북부 사람들은 북부 사회가 남부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고, 남부가 현재의 경계를 넘어 노예 세력을 확장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다고 점차 확신하게 되었으며, 갈등이 있을 수 있다는 견해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갈등에는 공화당의 지배적인 입장이 필요했다. 공화당은 변경 지역의 "자유 토지"를 인기 있는 감정적인 문제로 정치 활동을 벌였고, 결성된 지 불과 6년 만에 백악관(대통령)을 차지했다.
공화당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의 입법화에 관한 논쟁 속에서 성장했다.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대한 북부의 반응이 일어나자, 그 지도자들은 새로운 정치 조직을 만들도록 움직였다. 헨리 윌슨은 휘그당이 이미 죽었다고 선언하고, 그것을 부활시키려는 어떠한 움직임에도 반대할 것을 맹세했다. "뉴욕 트리뷴"의 호러스 그릴리는 새로운 북부 정당의 결성을 요구했고, 벤저민 웨이드, 서먼 P. 체이스, 찰스 서머 등이 네브래스카 법안에 반대하는 동맹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뉴욕 트리뷴"의 가마리엘 베일리는 5월에 반노예제 측 휘그당 의원과 민주당 의원의 당원 회합 소집을 추진했다.
집회는 1854년2월 28일에 위스콘신주 리폰의 회중 교회에서 개최되었고, 네브래스카 법안에 반대하는 30여 명이 새로운 정당의 결성을 요구하며, 당명으로는 "공화당"이 가장 적합하다고 제안했다(이는 그 동기를 독립 선언에 결부시키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제안자들이 1854년 여름에 많은 북부 주에서 공화당을 결성하는 데 지도적인 역할을 했다. 보수적 및 중도적인 사람들은 단순히 미주리 타협을 회복하거나 노예제의 확대를 금지할 것을 요구하는 것만으로 만족했지만, 개혁파는 도망 노예법의 철폐와 노예제가 존재하는 주에서의 급속한 노예제 폐지를 주장했다. "개혁"이라는 단어는 영토에서의 노예제 확대를 허용한 1850년의 타협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었다.
그러나, 뒷북을 치는 혜택도 없이, 1854년 선거에서는 반노예제보다 노우 나싱 운동이 승리할 가능성을 보였다. 가톨릭과 이민자의 문제가 노예제보다 민중에게 더 호소력이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노우 나싱즈는 1854년 필라델피아 시장 선거에서 8,000표 이상의 큰 차이로 승리했다. 더글러스 상원 의원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대한 큰 반론을 받은 후에도, 민주당에 대한 기본적인 위협으로 공화당보다 노우 나싱즈를 더 높이 평가했다.
공화당이 자신들은 "자유 노동"을 주장하는 정당이라고 주장하자, 그 지지자가 급증했지만, 주로 중산층의 지지였고, 임금 노동자나 실업자 등 노동 계급의 지지는 아니었다. 공화당이 자유 노동의 미덕에 대해 칭찬할 때, 그것은 단순히 "일을 성취한" 많은 사람과 실제로 그렇게 하고 싶어하는 기타 다수의 경험을 반영할 뿐이었다. 영국의 토리당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공화당은 민족주의자, 동질주의자, 제국주의자 및 국제인으로 부상해 왔다.
아직 "일을 성취하지" 못한 사람들 중에는 북부의 공장 노동자 중에서 비율이 크게 늘어난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공화당은 그들의 질서 있는 자유라는 구상에 근본적으로 필요한 자제심, 극기심, 그리고 냉정함이라는 성격이 가톨릭 노동자들에게는 결여되어 있다고 간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화당은 교양, 신조 및 근면성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프로테스탄트의 노동 윤리의 가치관이었다. 공화당 지지의 시카고 데모크라틱 프레스는 1856년 대통령 선거에서 제임스 뷰캐넌이 존 C. 프리몬트를 이긴 후 사설에 "자유 학교가 골칫거리로 간주되는 곳, 종교가 소외되고, 게으른 낭비가 지배적인 곳, 거기에서는 뷰캐넌이 강한 지지를 받았다"라고 썼다.
민족과 종교, 사회와 경제 및 문화의 단층선이 미국 사회에 가로놓여 있었지만, 당파색을 더욱 강화하게 되었고, 상승하는 산업 자본주의에 이익을 느끼는 양키 프로테스탄트와 남부의 노예 소유자의 이익과 결부된 자들에 대한 반대를 강화하는 미국적 민족주의자의 대항이라는 형태가 되었다. 예를 들어, 평가가 높은 역사학자 돈 E. 페렌바처는 그의 저서 "1850년대의 위대한 인물, 링컨으로의 서곡"에서, 일리노이주에서는 두드러진 선거 결과가 개척지의 지역 형태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지적하며, 국가 정치의 축소판이 얼마나 되는지를 언급했다. 남부 출신이 정착한 개척지는 민주당에 충실했고, 뉴잉글랜드에서 온 사람들은 공화당에 충실했다. 게다가 경계에 해당하는 지역은 정치적으로 중도였고, 관습적으로 힘의 균형을 유지했다. 종교, 윤리관, 지역 및 계급적 동일성이 얽혀, 자유 노동과 자유 토지의 문제는 쉽게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했다.
"피의 캔자스"에서의 다음 2년간의 사건들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의해 원래 북부의 일부 사람들에게 촉발된 민중의 열정을 유지시켰다. 북부 출신 사람들은 신문과 설교 및 노예제 폐지론자 조직의 강력한 정보 선전에 의해 용기를 얻었다. 매사추세츠 이민 지원 회사와 같은 조직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는 경우도 많았다. 남부 출신 사람들은 그들이 나온 지역 사회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종종 받았다. 남부 사람들은 새로운 영토에서 출신지의 헌법으로 보장된 권리를 지킬 것을 요구하며, "적대적이며 파괴적인 입법"을 격퇴할 만큼 충분한 정치적 힘을 유지하려고 했다.
대평원은 면화 재배에는 거의 적합하지 않았지만, 서부가 노예제에 개방될 것을 요구한 남부 사람들은 마음속으로는 광물을 생각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브라질에서는 광업에 노예 노동자를 사용하여 성공한 사례가 있었다. 18세기 중반, 미나스제라이스주에서는 금광에 더하여 다이아몬드 채굴이 시작되었고, 브라질 북동부의 설탕 생산 지역에서 노예를 데리고 온 그 소유주들이 대거 몰려들었다. 남부 지도자들은 이 사례를 잘 알고 있었다. 그것은 이미 1848년 노예제 옹호 잡지 "데보우즈 리뷰"에서 권장되었다.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은 캔자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르컴프턴 헌법 하에서 캔자스를 노예주로 인정하도록 의회에 촉구했다. 그러나 1만 명 이상이었던 캔자스 유권자들은 이 헌법을 완전히 거부했다. 이는 최소한 양측이 조장한 투표 관련 부정 행위와도 관련이 있었다. 뷰캐넌은 자신의 정치 생명을 걸고 그 목적을 달성하려 했지만, 공화당원들을 더욱 분노하게 만들고, 자신의 당원들에게서도 소외되었다. 스티븐 더글러스의 일파는 중앙의 관리를 깨뜨리려 했지만, 이 뷰캐넌의 계획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이 기초하는 인민 주권이라는 원칙을 왜곡하려는 시도로 간주했다. 전국적으로 마치 주의 권한 원칙이 침해된 것처럼 느껴지고, 보수적인 의견의 힘이 증가했다. 남부에서조차도, 전 휘그당원이나 경계주의 노우-나싱당원, 특히 존 벨과 존 크리텐든(당파 간 논쟁에서 핵심 인물)이 공화당에 호소하여 중앙 관리의 움직임에 반대하도록 하고, 신 영토는 주권을 수용하거나 거부할 권한이 부여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민주당 내의 균열이 깊어지면서, 중도 공화당원들은 중앙의 관리를 싫어하는 민주당원, 특히 스티븐 더글러스와의 연합을 통해 1860년 대통령 선거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공화당 관찰자 중에는, 프레몬트가 거의 지지를 얻지 못했던 경계주에서 민주당 지지자를 빼앗을 기회로 르콤프턴 헌법에 관한 논쟁을 보는 사람도 있었다. 결국 경계주는, 미국 연방으로부터의 남부 탈퇴에 대한 우려를 자극하지 않고, 과거에 지지했던 북부에 기반을 둔 휘그당의 지지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았다.
공화-민주 연합 전략에 반대했던 것은 "뉴욕 타임스"였다. 당파 간의 긴장 관계를 완화하기 위해 "노예주는 더 이상 필요 없다"라는 타협적인 정책을 채택하고, 인민 주권에 대한 반대를 공화당이 경시하고 있다고 항의했다. 타임스는 공화당이 1860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뷰캐넌의 판결로 동요한 유권자들을 포함한 지지 기반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었다.
실제로 민주당 주도 정치에 대한 반대가 증가하면서, 그 반대 의견을 통합하는 연합에 대한 압력이 강해졌다. 그러나 그러한 연합은 새로운 생각은 아니었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공화당을 국내의 국민적, 보수적 합동 정당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했다. 실질적으로 공화당은 휘그당의 후계자가 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공화당 지도자들은 노예제에 관한 당의 입장을 바꾸는 것을 단호하게 반대했다. 예를 들어 1858년 크리텐든-몽고메리 법안에 92명의 공화당 하원 의원 전원이 찬성표를 던졌을 때, 그 원칙이 무너졌다고 생각하고 경악했다. 이 타협 수단은 캔자스가 노예주로 연방에 가입하는 것을 막았지만, 노예제의 확장에 대한 철저한 반대가 아닌 인민 주권을 요구했다는 사실은 당 지도자들을 괴롭게 했다.
결국 크리텐든-몽고메리 법안은, 공화당, 경계주의 전 휘그당 및 북부의 민주당에 의한 중앙 관리 반대 대동맹을 만들지 못했다. 그 대신, 민주당은 단순히 당을 분열시켰다. 반 르콤프턴 민주당원들은 새로운 노예 제도 옹호라는 시험이 당에 부과되었다고 한탄했다. 그러나 더글러스 일파는 중앙 관리의 압력에 굴복하는 것을 거부했다. 당시 공화당으로 전향한 반 네브래스카 법 민주당원과 마찬가지로, 더글러스파는 중앙 관리가 아니라 그들이 북부 민주당 대다수의 지지를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남부의 과격한 사고를 하는 자들은, 남부의 농원주 계층이 중앙 정부의 행정, 입법 및 사법 조직에 대한 지배를 약화시켰기 때문에, 극적으로 전진할 수 있었다. 또한 남부의 민주당은 민주당 내의 동맹을 통해 북부 여러 주에서의 힘을 조종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5. 3. 링컨의 당선과 남부의 탈퇴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에이브러햄 링컨이 당선되자 남부는 연방 탈퇴를 선택했다.[163] 남부는 메이슨 딕슨 선을 경계로 북부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노예제를 기반으로 한 농업 경제에 의존하고 있었다. 반면 북부는 제조업, 상업 등이 발달하였고,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인구가 급증하고 있었다.[159][160][161] 이러한 경제, 인구 구조의 차이는 남부의 위기감을 조성했다.노예제도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1820년 미주리 타협, 1850년 타협 등 여러 타협이 이루어졌지만, 1850년대 이후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노예제를 도덕적 잘못으로 비난하며 갈등이 심화되었다. 1854년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은 북부 사람들의 분노를 샀고, 공화당 창당으로 이어졌다. 공화당은 남부에는 지지 기반이 없는 최초의 정당이었으며, 자유 노동과 자본주의 경제 이념을 지지했다.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지역적 분열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163] 공화당 후보 에이브러햄 링컨은 북부의 지지를 얻어 당선되었지만, 남부에서는 링컨과 연방 정부와의 관계 유지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민주당은 리컴턴 헌법과 스티븐 A. 더글러스의 프리포트 독트린에 대한 의견 차이로 분열되었고, 남부 "강경파(Fire-Eaters)"는 존 C. 브레킨리지를 지지하며 독자적인 후보를 냈다.
링컨은 선거인단 확보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163]
- '''에이브러햄 링컨: 180 (득표율 40%)'''
- '''J.C. 브레킨리지''': 72 (득표율 18%)
- '''존 벨''': 39 (득표율 13%)
- '''스티븐 더글러스''': 12 (득표율 30%)
윌리엄 로운즈 얀시는 영토에 대한 연방 노예법 제정을 요구하며 민주당을 분열시켰고, 이는 링컨의 당선에 기여했다.[164] 그는 남부의 지지를 얻으면서도 북부인들을 격분시킬 수 있는 극단적인 노예법을 요구했다.[164][165]
선거 직후, 사우스캐롤라이나는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미국'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주들 사이에 현재 존속하는 연합은 이로써 해체된다."라고 선언하며 연방 탈퇴를 선언했다. 1861년 2월까지 6개의 면화 생산 주(미시시피, 플로리다, 앨라배마, 조지아, 루이지애나, 텍사스)가 탈퇴하여 미국 남부 연합을 형성했고, 링컨이 군대를 소집한 후 4개의 국경 주(버지니아, 아칸소, 노스캐롤라이나, 테네시)가 추가로 탈퇴했다.[168]

6. 남부의 문화와 정체성
미국은 메이슨 딕슨 선을 경계로 북부와 남부 두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북동부와 중서부는 가족 농장, 제조, 광업, 상업, 운송 사업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했고, 경계 주를 제외하고 노예제가 없어도 높은 출산율과 유럽 이민자들(아일랜드인, 영국인, 독일인, 폴란드인, 북유럽 이민자) 덕분에 인구가 급증했다. 반면 남부는 노예 노동에 기반한 플랜테이션 농업이 지배적이었고, 텍사스 같은 남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남부의 인구 증가 역시 높은 출생률에 기인했지만, 이민자 수는 적었다. 북부의 인구 증가 속도가 남부를 압도하면서 남부의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남부는 경계 주를 제외하고 도시와 마을, 제조업이 거의 없었고, 노예 소유주가 정치와 경제를 주도했지만, 남부 백인의 2/3는 노예를 소유하지 않고 주로 생계형 농업에 종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노예제 유지를 위해 노예 소유주를 지지했다.
노예제도는 오랫동안 국가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논쟁의 대상이었다. 북부는 1776년 이후 노예제도를 폐지했지만, 국가 통합을 위해 정치인들은 노예제 반대에도 중용적인 자세를 취했고, 이는 1820년 미주리 타협과 1850년 타협 등 여러 타협을 낳았다.
1840년 이후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노예제를 사회악을 넘어 도덕적 잘못으로 비난했다. 1858년 링컨은 "스스로 분열된 집은 존립할 수 없다"며 미국이 모두 노예 주 또는 모두 자유 주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50년대에는 정당 정치가 붕괴되고 정치인 간 타협이 어려워졌으며, 1854년 캔자스 네브래스카 법은 많은 북부인들의 분노를 샀다.
1850년대, 남부에는 기반이 없는 최초의 정당인 공화당이 창당되었고, 공업화된 북부와 농업 중심의 중서부는 자유 노동과 자본주의 경제 이념에 몰두했다. 1860년 링컨의 대통령 당선은 노예 소유주들이 연방 정부와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만들었고, 결국 남부의 미합중국 탈퇴라는 극단적 선택을 초래했다.
소수의 남부인만이 노예를 소유했지만, 모든 계층의 남부인들은 북부의 자유 노동 폐지 운동으로 인해 위협받는 노예제를 사회 질서의 기반으로 옹호했다.[43] 186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노예 소유 가구 비율은 15개 노예 주에서 26%, 4개 국경 주에서 16%, 11개 남부 연합 주에서 31%였다. 미시시피가 49%로 가장 높았고, 사우스캐롤라이나가 46%로 그 뒤를 이었다.[44]
플랜테이션 노예제에 기반한 남부 사회는 북부보다 더 계층적이고 가부장적이었다. 1850년, 약 600만 명의 자유 남부인 중 약 35만 명이 노예 소유주였고, 이들 사이에서도 노예 소유 집중도는 불균등했다. 노예 소유주의 약 7%가 노예 인구의 약 4분의 3을 소유했다. 대규모 플랜테이션 소유주인 최상층 노예 소유주들은 규모의 경제를 통해 이익을 얻었고, 면화와 같은 노동 집약적인 고수익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많은 노예를 필요로 했다.[45]
1850년대에는 대규모 플랜테이션 소유주가 소규모 농부보다 경쟁 우위를 점하면서 더 적은 수의 농장주가 더 많은 노예를 소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가난한 백인과 소규모 농부들은 일반적으로 농장주 엘리트의 정치적 리더십을 수용했다. 남부에서 시작된 민주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노예제가 내부 붕괴 위협을 받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부의 새로운 영토 개방으로 많은 비 노예 소유자들도 언젠가 노예를 소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식했다.[46] 둘째, 남부의 소규모 자유 농부들은 인종 차별을 수용하여 남부 내부의 민주적 개혁 주체가 되기 어려웠다.[47] 백인 우월주의는 노예제를 문명 사회에 합법적이고 자연스러우며 필수적인 것으로 보이게 했다. 인종 차별은 노예 법전과 흑인의 백인에 대한 종속을 보여주는 사회적 관습 등을 통해 유지되었다. "노예 순찰대"는 모든 계층의 남부 백인을 하나로 모으는 제도 중 하나였고, 노예 "순찰대"와 "감독관"은 백인 남부인에게 권력과 명예를 제공했다. 노예 사회 규제를 위반한 흑인을 감시하고 처벌하는 것은 남부에서 가치 있는 지역 사회 서비스였으며, 자유 흑인이 법과 질서를 위협한다는 공포가 널리 퍼져 있었다.
셋째, 소수의 노예를 소유한 요먼과 소규모 농부들은 시장 경제를 통해 엘리트 농장주와 연결되었다.[48] 많은 지역에서 소규모 농부들은 면화 탈곡기, 시장, 사료, 가축, 대출 등에 대해 지역 농장주 엘리트에게 의존했다. 남부 상인들은 종종 가장 부유한 농장주의 일에 의존했다. 이러한 의존성은 많은 백인 비 노예 소유자들이 대규모 노예 소유주의 이익에 반하는 정치 활동을 하는 것을 막았다. 가난한 백인과 시장 경제 외부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 계층의 백인들은 광범위한 친족 관계를 통해 엘리트 농장주와 연결될 수 있었다. 남부의 상속은 불공평했기 때문에 가난한 백인이 부유한 플랜테이션 소유주의 친척일 수 있었고, 부유한 친척처럼 노예제를 지지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당시 미국에는 비밀 투표가 없었기 때문에 기득권에 반하여 투표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추방될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의미했다.
1850년대, 남부 노예 소유주와 비 노예 소유주 모두 북부의 자유 토지당과 폐지 운동으로 인해 국가 정치 무대에서 고립감을 느꼈다. 제조 상품, 상업 서비스, 대출에 대해 북부에 의존하고 번성하는 북서부 농업 지역과 단절되면서, 그들은 북부의 성장하는 폐지 운동에 직면했다.
역사학자 윌리엄 C. 데이비스는 남부 문화가 북부와 다르거나 전쟁의 원인이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며, 사회적, 문화적으로 북부와 남부는 크게 다르지 않았고, 같은 신에게 기도하고,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같은 조상을 공유하고, 같은 노래를 불렀다고 주장한다.[49] 데이비스는 노예 제도가 문화가 아닌 전쟁의 원인이며, 노예 제도가 존재하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 1804년까지 메릴랜드 북쪽에서는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에, 노예 제도는 그들의 노동과 경제뿐만 아니라 새로운 공화국에서의 권력 자체를 구분했다고 주장한다.[49]
역사학자 제임스 M. McPherson에 따르면 예외주의는 남부가 아닌 북부에 적용되었는데, 북부는 노예 제도를 폐지하고 산업 혁명을 시작하여 도시화와 교육 증가로 이어졌고, 이는 다양한 개혁 운동, 특히 노예 폐지론의 세력을 강화했다.[54] 8명의 이민자 중 7명이 북부에 정착했고, 대부분의 이민자들이 노예 제도를 싫어했으며, 남부에서 북부로 간 백인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두 배나 많다는 사실은 남부의 방어적이고 공격적인 정치적 행동에 기여했다. ''찰스턴 머큐리(Charleston Mercury)''는 노예 제도 문제에 대해 북부와 남부는 "단지 두 민족일 뿐만 아니라 경쟁적이고 적대적인 민족"이라고 썼다.[54] ''드 보우 리뷰(De Bow's Review)''는 "우리는 혁명에 저항하고 있다.... 우리는 인간의 권리를 위한 돈키호테적인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보수적이다"라고 말했다.[54]
앨런 네빈스는 남북 전쟁이 윌리엄 H. 수어드 상원의원의 표현을 빌려 "억압할 수 없는" 갈등이었다고 주장했다. 네빈스는 도덕적, 문화적, 사회적, 이념적, 정치적, 경제적 문제를 강조하는 상반된 설명들을 종합했다. 그는 북부와 남부가 빠르게 두 개의 다른 민족이 되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이는 역사학자 에이버리 크레이븐도 언급한 내용이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의 근본에는 노예 제도 문제가 있었지만, 지역의 기본적인 가정, 취향, 문화적 목표도 다른 방식으로 갈라지고 있었다. 북부는 일부 사람들이 남부에 위협이 된다고 인식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현대화되고 있었다.[54]
7. 전쟁의 발발
1860년 12월 사우스캐롤라이나가 탈퇴했을 때, 노예 소유주였고 친노예 제도주의자였던 로버트 앤더슨 소령은 연방에 충성을 유지했다.[176] 그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에 주둔한 미 육군 부대의 지휘관이었으며, 포트 섬터로 수비대를 이동시켰다.[176] 1861년 2월 미국 남부 연합이 결성되어 요새를 점령하라고 명령했고, P. G. T. 보레가드 준장이 지휘한 포격 공격은 1861년 4월 12일에 시작되었다.[176] 앤더슨은 수적으로 열세에 놓이고 무기가 부족해 4월 14일에 요새를 항복했다.[176] 이 전투는 미국 남북 전쟁을 시작하게 했으며, 북부와 남부 모두 전쟁에 대한 압도적인 요구가 있었고, 켄터키만이 중립을 유지하려고 시도했다.[176]
애덤 굿하트(2011)에 따르면, 미국 국기의 현대적인 의미도 포트 섬터 방어에서 형성되었다.[177] 이후, 국기는 미국 민족주의와 탈퇴주의 거부를 상징하기 위해 북부 전역에서 사용되었다.[177]
개전 전부터도, 나라를 불태운 당파 간 긴장 관계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된 설명이 시도되었다. 제임스 뷰캐넌은 당파 간 적대감은 우연한 것이며, 자기중심적이거나 광신적인 선동가에 의한 불필요한 일이었다고 믿었고, 공화당의 "광신"을 이유로 지목했다. 반면에 윌리엄 수어드는 반대 세력과 지키려는 세력 사이에 억제할 수 없는 갈등이 있었다고 믿었다.
억제할 수 없는 갈등이라는 생각은 초기 역사가들의 논쟁에서도 지배적이었다. 헨리 윌슨의 저서 "미국 노예 세력의 흥망의 역사"(1872-1877)는 이러한 도덕적 해석을 가장 먼저 대표하는 것으로, 북부 사람들은 "노예 세력"의 도전적인 생각에 대항하여 합중국을 지키기 위해 싸웠다고 주장했다. 이후 윌슨의 7권으로 이루어진 "1850년 타협부터 남북 전쟁까지의 미국 합중국사"(1893-1900)에서는, 제임스 포드 로즈가 노예제를 남북 전쟁의 중심이자 실질적으로 유일한 원인으로 보았다.
전쟁은 피할 수 없었다는 생각은 1920년대까지 역사가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이 무렵, "수정주의자"들은 분쟁에 이르게 된 새로운 이유를 제창하기 시작했다. 제임스 G. 랜들, 아베리 크레이븐과 같은 수정주의 역사가들은 남부 사회와 경제의 구조 속에 전쟁을 요구하는 기본적인 차이점은 없었다고 보았다. 랜들은 "실수를 한 세대" 지도자들의 태만을 비난했다. 더 나아가 노예제는 본래 해로운 제도가 아니며, 19세기 중에는 사라질 운명이었다고 보았다. 또 다른 지도적 수정주의자 크레이븐은 랜들보다 노예제 문제를 강조했지만, 대체로 같은 요점을 지적했다. 크레이븐의 저서 "남북 전쟁의 도래"에서는 노예 노동자는 북부 노동자보다 나쁜 상태는 아니었고, 노예 제도 그 자체가 궁극적으로는 소멸해가는 과정에 있었으며, 전쟁은 헨리 클레이와 다니엘 웹스터에 의해 피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50년대의 정치가들이 무능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수정주의적 해석의 요소를 남겨두면서도, 정치적 선동의 역할을 강조했다. 데이비드 허버트 도널드의 1960년 논의에서는 1850년대의 정치가들은 이상할 정도로 무능하지는 않았지만, 민주주의의 급격한 확대에 직면하여 전통적인 제약이 사라져 가는 사회에서 활동했다고 논했다.
참조
[1]
논문
What Twenty-First-Century Historians Have Said about the Causes of Disunion: A Civil War Sesquicentennial Review of the Recent Literature
https://doi.org/10.1[...]
2012-08-20
[2]
논문
"A Book for Every Perspective: Current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Textbooks"
2005
[3]
논문
Using Confederate Documents to Teach About Secession, Slavery, and the Origins of the Civil War
https://www.jstor.or[...]
2011
[4]
뉴스
What This Cruel War Was Over
https://www.theatlan[...]
2015-06-23
[5]
웹사이트
A Declaration of the Immediate Causes which Induce and Justify the Secession of the State of Mississippi from the Federal Union.
https://www.battlefi[...]
2024-09-12
[6]
서적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0-25
[7]
서적
The Idea of a Southern Nation: Southern Nationalists and Southern Nationalism, 1830–1860
1981
[8]
서적
North Over South: Northern Nationalism and American Identity in the Antebellum Era
2000
[9]
웹사이트
Highlights from the 2011 Annual Meeting of the Organization of American Historians in Houston, Texas
http://www.hnn.us/ar[...]
2011-03-17
[10]
문서
The Mason–Dixon line and the Ohio River were key boundaries.
[11]
서적
The Enduring Vision, Volume I: To 1877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5-12-11
[12]
서적
The Slave Power: The Free North and Southern Domination, 1780–1860
2000
[13]
간행물
"The Republican Party and the Slave Power"
2010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논문
"Slavery and the Northwest Ordinance: A Study in Ambiguity"
1986
[21]
논문
"'They Are Very Much Interested in Obtaining an Unlimited Slavery': Rethinking the Expansion of Slavery in the Louisiana Purchase Territories, 1803–1805"
2003
[22]
문서
[23]
문서
[24]
웹사이트
Missouri Compromise
https://www.loc.gov/[...]
2018-01-28
[25]
문서
[26]
문서
[27]
웹사이트
Leah S. Glaser, "United States Expansion, 1800–1860"
http://www.vcdh.virg[...]
2007-05-21
[28]
논문
Review of ''The Shaping of American Liberalism: The Debates over Ratification, Nullification, and Slavery''. by David F. Ericson
1994
[29]
웹사이트
John Tyler, Life Before the Presidency
http://www.millercen[...]
[30]
논문
"The Economics and Politics of Charleston's Nullification Crisis"
1981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The Union at Risk: Jacksonian Democracy, States' Rights, and the Nullification Crisis
1987
[34]
문서
[35]
서적
American Lion: Andrew Jackson in the White House
2009
[36]
논문
The Tariff Issue on the Eve of the Civil War
https://www.jstor.or[...]
1938
[37]
서적
2008
[37]
서적
2005
[38]
서적
1995
[39]
서적
1995
[40]
서적
2005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The Myth of the Lost Cause: Why the South fought the Civil War and Why the North Won
Regnery Publishing
2015
[4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2.census.[...]
2018-01-11
[46]
서적
American History: A Survey
McGraw-Hill
[47]
서적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48]
서적
The Economic Growth of the United States 1790–1860
Englewood Cliffs
[49]
서적
Look Away!: A History of 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https://www.google.c[...]
The Free Press
2002
[50]
서적
Slavery in White and Black: Class and Race in the Southern Slaveholders' New World Order
2008
[51]
서적
The Abolitionists and the South, 1831–186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52]
서적
Fleshing Out America: Race, Gender, and the Politics of the Body in American Literature, 1833–187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4-08-24
[53]
서적
Encyclopedia of Antislavery and Aboli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54]
논문
Antebellum Southern Exceptionalism: A New Look at an Old Question
1983-09
[55]
논문
Conflict and Collaboration: Yeomen, Slaveholders, and Politics in the Antebellum South
1985-10
[56]
서적
Politics and Power in a Slave Society: Alabama, 1800–1860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78
[57]
서적
Race and Politics: "Bleeding Kansas" and the Coming of the Civil War
1969
[58]
서적
2007
[59]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A Handbook of Literature and Research
1996
[60]
서적
2001
[61]
서적
[62]
서적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Union
[63]
웹사이트
Soil Exhaustion as a Factor in the Agricultural History of Virginia and Maryland, 1606–1860
http://www.sc.edu/us[...]
2008-05-16
[64]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A Handbook of Literature and Research
1996
[64]
서적
The Progressive Historians: Turner, Beard, Parrington
1969
[64]
논문
The Beards Were Right: Parties in the North, 1840–1860
2001
[65]
서적
The Imperiled Union: Essays on the Background of the Civil War
1981
[66]
서적
The Imperiled Union
[67]
논문
Antebellum Southern Exceptionalism: A New Look at an Old Question
2004-12
[68]
논문
The Tariff Issue on the Eve of the Civil War
https://www.jstor.or[...]
1938
[69]
웹사이트
John Calhoun, "Slavery a Positive Good", February 6, 1837
http://teachingameri[...]
2007-04-30
[70]
서적
America's God: From Jonathan Edwards to Abraham Lincoln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Civil War as a Theological Crisis
UNC Press
[72]
서적
The US Civil War as a Theological War: Confederate Christian Nationalism and the League of the South
Oxford University Press
[73]
간행물
Learning the Lessons of Slavery
http://www.christian[...]
2003-02
[74]
문서
"The origins of 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A historiographical study."
2002
[75]
서적
A Documentary History of Religion in America to the Civil War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Co.
[76]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Simon & Schuster
[77]
서적
America's God: From Jonathan Edwards to Abraham Lincoln
Oxford University Press
[78]
서적
Religion and the American Civil War
https://www.quest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9-07
[79]
문서
1964
[80]
문서
2007
[81]
문서
[82]
문서
1964
[83]
문서
2008
[84]
문서
2007
[85]
문서
1964
[86]
문서
[87]
문서
1964
[88]
문서
2008
[89]
문서
2007
[90]
문서
1964
[91]
문서
2007
[92]
문서
1964
[93]
문서
1964
[94]
문서
1964
[95]
문서
1966
[96]
문서
1964
[97]
문서
1966
[98]
문서
1964
[99]
문서
1964
[100]
문서
2004
[101]
문서
2007
[102]
문서
2008
[103]
문서
1964
[104]
문서
Preliminary Report of the Eighth Census, 1860
1862
[105]
웹사이트
The Amistad Case
http://www.npg.si.ed[...]
National Portrait Gallery
2007-10-16
[106]
서적
Battle Cry
[107]
서적
Holy Warriors: The Abolitionists and American Slavery
1976
[108]
서적
Against Slavery: An Abolitionist Reader
2000
[109]
웹사이트
Abolitionist William Lloyd Garrison Admits of No Compromise with the Evil of Slavery
https://web.archive.[...]
2007-10-16
[110]
문서
Alexander Stephen's Cornerstone Speech, Savannah
Georgia
1861-03-21
[111]
서적
The Free Soilers: Third Party Politics, 1848–54
1973
[112]
서적
The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2000
[113]
논문
The Wilmot Proviso Revisited
1969
[114]
서적
William Lowndes Yancey and the Coming of the Civil War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6
[115]
간행물
Compromise of 1850
2011
[116]
서적
On the brink of Civil War: The compromise of 1850 and how it changed the course of American history
Rowman & Littlefield
2003
[117]
서적
The Causes of the Civil War
[118]
서적
The State Rights Fetish
[119]
서적
'"The State Rights Fetish" in' Stampp, ed. The Causes of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5-12-11
[120]
서적
[121]
웹사이트
Why Non-Slaveholding Southerners Fought
https://web.archive.[...]
2011-03-21
[122]
웹사이트
Speech of Henry Benning to the Virginia Convention
https://web.archive.[...]
2015-03-17
[123]
서적
The Causes of the Civil War
[124]
서적
Ordeal of the Union: Fruits of Manifest Destiny 1847–1852
[125]
서적
[126]
인용
[127]
인용
[128]
문서
Jefferson Davis' Second Inaugural Address, Virginia Capitol, Richmond
1862-02-22
[129]
연설
Lawrence Keitt, congressman from South Carolina, in a speech to the House on January 25, 1860
[130]
서적
The Causes of the Civil War
[131]
서적
Look Away!: A History of 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2002
[132]
서적
The Cause Lost: Myths and Realities of the Confederacy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6
[133]
웹사이트
U.S. Senate: The Kansas-Nebraska Act
https://www.senate.g[...]
2021-09-23
[134]
웹사이트
The Wealthy Activist Who Helped Turn "Bleeding Kansas" Free
https://www.smithson[...]
2021-09-23
[135]
서적
The encyclopedia of American political history
2001
[136]
서적
Free soil, free labor, free men: the ideology of the Republican Party before the Civil War
1970
[137]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Republican Party
http://www.wisconsin[...]
[138]
웹사이트
Under the Oaks: Commemorating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an Party, at Jackson, Michigan, July 6, 1854
https://books.google[...]
1904
[139]
서적
Ordeal of the Union: A house dividing, 1852–1857. Vol. 2
1947
[140]
서적
The origins of the Republican Party, 1852–1856
1987
[141]
서적
Abraham Lincoln: The Prairie Years
Dell
1954
[142]
서적
Abraham Lincoln: The Prairie Years
Dell
1954
[143]
서적
Origins of the Dred Scott Case: Jacksonian Jurisprudence and the Supreme Court 1837–1857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44]
논문
"What the Court Decided in Scott v. Sandford"
1988
[145]
문서
The Impending Crisis
[146]
웹사이트
First Lincoln Douglas Debate at Ottawa, Illinois August 21, 1858
https://quod.lib.umi[...]
2022-06-09
[147]
문서
The Dred Scott Case: Its Significance in American Law and Politics
1978
[148]
간행물
Diplomatic Failure: James Buchanan's Inaugural Address
https://journals.psu[...]
2022-12-26
[149]
문서
"The Lawsuit That Started the Civil War."
[150]
문서
"Dred Scott: The decision that sparked a civil war."
https://heinonline.o[...]
2007
[151]
뉴스
"Was the Civil War Inevitab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12-22
[152]
서적
Southern Honor: Ethics and Behavior in the Old South
1982
[153]
서적
Political Culture and Secession in Mississippi: Masculinity, Honor, and the Antiparty Tradition, 1830–186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11
[154]
서적
A Companion to the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Wiley
2015-12-11
[155]
논문
"Time, Tropes, and Textuality: Reading Republicanism in Charles Sumner's 'Crime Against Kansas'"
http://muse.jhu.edu/[...]
2003
[156]
서적
"A Gentleman and an Officer": A Military and Social History of James B. Griffin's Civil War
https://books.google[...]
Oxford U.P.
2015-12-11
[157]
서적
The Caning of Charles Sumner: Honor, Idealism, and the Origins of the Civil War
2010
[158]
논문
"The Crime Against Sumner: The Caning of Charles Sumner and the Rise of the Republican Party"
1979
[159]
서적
The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D.C. Health and Company
[160]
서적
Ordeal of the Union (vol. 3)
Charles Scribner's Sons
[161]
문서
[162]
서적
John Brown's Trial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06-23
[163]
웹사이트
1860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http://uselectionatl[...]
2013-06-26
[164]
문서
The Road to Disunion: Secessionists Triumphant 1854–1861
[165]
문서
Oxford
1978/2001
[166]
서적
The Disruption of American Democracy: A History of the Political Crisis That Led up to the Civil War
1949
[167]
서적
Political Man: The Social Bases of Politics
Doubleday
1960
[168]
서적
Days of Defiance: Sumter, Secession, and the Coming of the Civil War
1999
[169]
서적
Old Gentleman's Convention: The Washington Peace Conference of 1861
1961
[170]
서적
Southern Pamphlets on Secession, November 1860–April 1861
https://books.google[...]
U. of North Carolina Press
2015-12-11
[171]
간행물
"Captain Maury's Letter on American Affairs: A Letter Addressed to Rear-Admiral Fitz Roy, of England"
Harvard, A John Harvard Library Book
1861/1967
[172]
간행물
"The Causes of the American Civil War: A Paper Contributed to the London Times"
Harvard, A John Harvard Library Book
1861/1967
[173]
논문
"The Tariff Issue on the Eve of the Civil War"
https://www.jstor.or[...]
1938-10
[174]
문서
The Road to Disunion, Secessionists Triumphant: 1854–1861
[175]
서적
Reluctant Confederates: Upper South Unionists in the Secession Crisis
1989
[176]
서적
'1861: The Civil War Awakening'
2011
[177]
서적
'1861: The Civil War Awakening'
2011
[178]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A Handbook of Literature and Research'
1996
[179]
서적
'Americans Interpret Their Civil War'
1954
[180]
서적
Washington Brotherhood: Politics, Social Life, and the Coming of the Civil War
https://books.google[...]
U of North Carolina Press
2015-12-11
[181]
서적
'Americans Interpret Their Civil War'
1954
[182]
논문
"The Lincoln Theme Since Randall's Call: The Promises and Perils of Professionalism."
http://quod.lib.umic[...]
1979
[183]
논문
"The Blundering Generation."
https://www.jstor.or[...]
1940
[184]
서적
'The Coming of the Civil War'
1942
[185]
논문
"Coming of the War Between the States: An Interpretation."
https://www.jstor.or[...]
1936
[186]
서적
"Died of Democracy."
1960
[187]
웹사이트
http://www.nationalc[...]
[188]
웹사이트
The Amistad Case
http://www.npg.si.ed[...]
National Portrait Gallery
2007-10-16
[189]
서적
Battle Cry
[190]
간행물
"No Union With Slaveholders"
1845-01-15
[191]
서적
'Against Slavery: An Abolitionist Reader'
2000
[192]
웹사이트
Abolitionist William Lloyd Garrison Admits of No Compromise with the Evil of Slavery
http://members.aol.c[...]
2007-10-16
[193]
연설
Alexander Stephen's Cornerstone Speech
1861-03-21
[194]
논문
"Antebellum Southern Exceptionalism: A New Look at an Old Question"
1983-09
[195]
논문
"Conflict and Collaboration: Yeomen, Slaveholders, and Politics in the Antebellum South"
1985-10
[196]
서적
'Politics and Power in a Slave Society: Alabama, 1800-1860'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78
[197]
서적
The Causes of the Civil War
[198]
서적
Look Away
[199]
서적
Battle Cry
[200]
서적
The Causes of the Civil War
[201]
서적
'Ordeal of the Union: Fruits of Manifest Destiny 1847-1852'
[202]
연설
"Jefferson Davis' Second Inaugural Address"
1862-02-22
[203]
인용구
Congressman from South Carolina
1860-01-25
[204]
인용구
reply in the Senate to William H. Seward
1860-02-29
[205]
인용구
reply in the Senate to William H. Seward
1860-02-29
[206]
논문
"Antebellum Southern Exceptionalism: A New Look at an Old Question"
1983-09
[207]
웹사이트
"United States Expansion, 1800-1860"
http://www.vcdh.virg[...]
[208]
논평
"Reviewed of ''The Shaping of American Liberalism: The Debates over Ratification, Nullification, and Slavery''"
1994-10
[209]
웹사이트
"John Tyler, Life Before the Presidency"
http://www.millercen[...]
[210]
논문
"The Economics and Politics of Charleston's Nullification Crisis"
1981-08
[211]
웹사이트
States Rights, One of the Causes of the Civil War
http://www.civilwarh[...]
[212]
서적
American History: A Survey
McGraw-Hill
[213]
서적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Beacon Press
[214]
서적
The Economic Growth of the United States 1790-1860
Englewood Cliffs
[215]
서적
The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D.C. Health and Company
[216]
서적
Ordeal of the Union (vol. 3)
Charles Scribner's Sons
[217]
문서
Moore, Barrington. p. 122.
[218]
문서
Craig in Woodworth, ed. The American Civil War: A Handbook of Literature and Research (1996), p. 505
[219]
문서
Donald 2001 pp 134-38
[220]
문서
Woodworth, ed. The American Civil War: A Handbook of Literature and Research (1996), 145 151 505 512 554 557 684; Richard Hofstadter, The Progressive Historians: Turner, Beard, Parrington (1969); for one dissenter see Marc Egnal. "The Beards Were Right: Parties in the North, 1840-1860". Civil War History 47, no. 1. (2001): 30-56.
[221]
문서
Kenneth M. Stampp, The Imperiled Union: Essays on the Background of the Civil War (1981) p 198
[222]
인용
Also from Kenneth M. Stampp, The Imperiled Union p 198{{quotation|
[223]
논문
James McPherson, Antebellum Southern Exceptionalism: A New Look at an Old Question Civil War History - Volume 50, Number 4, December 2004, page 421
[224]
논문
Richard Hofstadter, "The Tariff Issue on the Eve of the Civil War"
http://links.jstor.o[...]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938-10
[225]
문서
John Calhoun, Slavery a Positive Good
http://teachingameri[...]
1837-02-06
[226]
문서
Letter to Horace Greeley
http://showcase.neti[...]
1862-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