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가이 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가이 칸국은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킵차크어 튀르크족의 유목 부족 연합체로, 볼가강과 우랄강 사이의 카스피해 북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양, 말, 낙타를 기르는 목축을 기반으로 무역, 약탈, 노예 매매 등을 통해 경제 활동을 했다. 사회는 유동적인 정치 조직과 반자율적인 울루스 단위로 구성되었으며, 이슬람교를 믿었지만 종교 기관은 발달하지 못했다. 16세기 중반 이후 대노가이, 소노가이 등으로 분열되었고, 러시아, 크림 칸국, 오스만 제국 등 주변 강대국들의 영향 아래 놓였다. 17세기 초 칼미크족의 침입과 내부 분열로 해체되었으며, 이후 잔존 세력은 18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의 팽창으로 인해 흩어지고 대부분 사라졌다. 현재는 북캅카스의 다게스탄 공화국에 노가이인들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가이인 - 알베르트 바티르가지예프
    알베르트 바티르가지예프는 킥복싱 챔피언 출신으로 2016년 복싱을 시작하여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WBA 임시 슈퍼페더급 타이틀을 획득한 러시아의 프로 복싱 선수이다.
  • 사라토프주의 역사 - 사라토프현
    사라토프현은 러시아 제국 시대에 아스트라한 현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나, 1928년 폐지되어 하부 볼가 주로 편입되었고,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 총독부 설치 및 군 편입과 분할, 19세기 새로운 군 설치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19세기 말에는 러시아어 사용 주민과 동방 정교회 신자가 다수를 차지했다.
노가이 칸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1500년경의 아시아 대륙, 노가이 호르드의 위치 표시
1500년경 아시아 대륙에서 노가이 호르드의 위치
15세기 말 노가이 호르드의 대략적인 영토
15세기 말 노가이 호르드의 대략적인 영토
기본 정보
공식 명칭노가이 호르드
일반 명칭노가이 호르드
존속 기간1440년대 – 1634년
수도사라이-주크
공용어노가이어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민족노가이족
정부 형태호르드
역사
시작1440년대
주요 사건러시아 차르국에 정복됨
종료1634년
이전 국가킵차크 칸국
이전 국가2아스트라한 칸국
계승 국가러시아 차르국
계승 국가2칼미크 칸국
계승 국가3아스트라한 칸국

2. 사회

지기스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은 1549년 지도에서 '노가이 타타르'(Nogay Tatars, 노가이 타타르인)를 볼가강 하류에 위치시켰다.


노가이 사회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하나는 자체적인 베이(지도자)가 이끄는 카스피해 북쪽의 노가이인이고, 다른 하나는 크림 칸국에 형식적으로 종속된 흑해 북쪽의 노가이인이었다. 전자는 1632년경 칼미크족에 의해 해체되었고, 후자는 크림 칸국의 운명을 함께했다.[1]

노가이어는 인접한 카자흐족, 바시키르족, 크림 타타르족, 볼가 타타르족과 같은 킵차크어 튀르크족의 한 형태였다. 이들의 종교는 이슬람교였지만, 종교 기관은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다.[1]

노가이족은 주로 양, 말, 낙타를 기르는 목축 유목민이었다. 이들은 무역(주로 말과 노예), 약탈, 공물 등을 통해 외부 물품을 얻었으며, 우랄강 유역에는 일부 예속 농민이 존재했다. 노예 약탈은 주요 수입원 중 하나였고, 노예는 크림부하라에서 판매되었다. 사냥, 어업, 대상 무역 세금, 계절별 농업 이주 또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1]

노가이 사회의 기본적인 단위는 반자율적인 '울루스' 또는 무리였다. 귀족은 '미르자'라고 불렸고, 통치자는 베이였다. 수도 또는 겨울 캠프는 사라이치크에 있었으며, 이곳은 우랄강 하류의 대상 무역 도시였다. 1537년부터 두 번째 계급은 '누르 알 딘'이었으며, 일반적으로 베이의 아들이나 동생이었고 후계자로 예상되었다. '누르 알 딘'은 볼가강 우안을 소유했다. 1560년대부터는 두 번째 '누르 알 딘'이 있었으며, 일종의 전쟁 지도자였다. 세 번째 계급은 '케이쿠바트'였으며, 엠바강을 소유했다.[1]

정치 조직은 유동적이었고, 유목민으로서 노가이인들은 싫어하는 지도자로부터 단순히 떠날 수 있었기 때문에 개인의 명성에 많이 의존했다. 대사와 상인은 정기적으로 구타당하고 강탈당했다. 많은 문화에서 경멸시되는 말 도둑질은 대초원 사회와 경제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베이와 미르자는 종종 외부 세력의 봉신임을 선언했지만, 그러한 선언은 거의 의미가 없었다.[1]

노가이 오르다는 에디게 가문을 맹주로 하는 부족 연합체였으며, 에디게 출신 부족인 망기트부를 비롯해 콘기라트 등 여러 부족이 참여했다. 창시자인 에디게는 칭기즈 칸의 직계 자손이 아니었기 때문에 에 즉위하지 못하고, 16세기 전반까지 조치의 13남 토카 테무르의 후예를 칸으로 옹립했다. 스스로는 베그 또는 아미르 칭호만을 사용했지만, 사실상 노가이 오르다의 군주로서 지배했다. 에디게의 자손들은 점차 분파되어 소규모 집단의 지배자가 되었으며, "아미르의 아들"을 의미하는 미르자 (무르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

2. 1. 사회 구조

노가이인은 카스피 해 북쪽과 흑해 북쪽의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카스피 해 북쪽의 노가이인은 자체적인 베이(지도자)가 이끌었으나, 1632년경 칼미크족에 의해 해체되었다. 흑해 북쪽의 노가이인은 크림 칸국에 형식적으로 종속되어 크림 칸국의 운명을 함께했다.[1]

노가이어는 킵차크어 튀르크족의 한 형태였으며, 종교는 이슬람교였으나 종교 기관은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다. 이들은 양, 말, 낙타를 기르는 목축 유목민이었으며, 무역, 약탈, 공물을 통해 외부 물품을 얻었다. 우랄 강 유역에는 일부 예속 농민이 있었다. 노예 약탈은 주요 수입원 중 하나였으며, 노예는 크림과 부하라에서 판매되었다. 사냥, 어업, 대상 무역 세금, 계절별 농업 이주 또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사회 기본 단위는 반자율적인 '울루스'였다. 귀족은 '미르자'라고 불렸으며, 통치자는 베이였다. 수도는 사라이치크였고, 1537년부터 두 번째 계급은 '누르 알 딘'으로 베이의 아들이나 동생이 후계자로 예상되었다. '누르 알 딘'은 볼가 강 우안을 소유했다. 1560년대부터는 두 번째 '누르 알 딘'이 전쟁 지도자 역할을 했다. 세 번째 계급은 '케이쿠바트'로 엠바 강을 소유했다.[1]

정치 조직은 유동적이었고 개인의 명성에 크게 의존했다. 대사와 상인은 자주 구타당하고 강탈당했으며, 말 도둑질은 대초원 사회와 경제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베이와 미르자는 종종 외부 세력의 봉신임을 선언했지만, 이는 거의 의미가 없었다.[1]

노가이 오르다는 에디게 가문을 맹주로 하는 부족 연합체였으며, 에디게 출신 부족인 망기트부를 비롯해 콘기라트 등 여러 부족이 참여했다. 에디게는 칭기즈 칸의 직계 자손이 아니었기 때문에 칸에 즉위하지 못하고, 조치의 13남 토카 테무르의 후예를 칸으로 옹립하고 자신은 베그 또는 아미르 칭호만을 사용했지만, 사실상 노가이 오르다의 군주로서 지배했다. 에디게의 자손들은 분파되어 소규모 집단의 지배자가 되었으며, "아미르의 아들"을 의미하는 미르자(무르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

2. 2. 경제

노가이인카스피해 북쪽에서 자체적인 베이(지도자)가 이끄는 그룹과 흑해 북쪽에서 크림 칸국에 형식적으로 종속된 그룹으로 나뉘었다. 카스피해 북쪽 그룹은 1632년경 칼미크족에 의해 해체되었고, 흑해 북쪽 그룹은 크림 칸국과 운명을 함께했다.

노가이어는 인접한 카자흐족, 바시키르족, 크림 타타르족, 볼가 타타르족과 같은 킵차크어 튀르크족의 한 형태였다. 종교는 이슬람교였지만, 종교 기관은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다.

노가이인은 양, 말, 낙타를 기르는 목축 유목민이었다. 외부 물품은 무역(주로 말과 노예), 약탈, 공물을 통해 얻었다. 우랄강 유역에는 일부 예속 농민이 있었다. 노가이인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는 노예 약탈이었으며, 노예는 크림과 부하라에서 판매되었다. 사냥, 어업, 대상 무역 세금, 계절별 농업 이주 또한 역할을 했지만, 이는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다.

기본적인 사회 단위는 반자율적인 '울루스' 또는 무리였다. 귀족은 '미르자'라고 불렸다. 노가이인의 통치자는 베이였다. 수도 또는 겨울 캠프는 사라이치크에 있었으며, 이곳은 우랄강 하류의 대상 무역 도시였다.

3. 노예 제도와 약탈

노가이 오르다는 크림 칸국과 함께 러시아, 우크라이나, 몰도바, 루마니아, 폴란드의 정착지를 습격했다. 노예들은 남부 러시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몰다비아, 왈라키아, 체르케시아에서 타타르 기병대에 의해 포획되었으며, 이는 "대초원의 수확"으로 알려진 무역이었다.[4] 포돌리아에서만 1578년과 1583년 사이에 모든 마을의 약 3분의 1이 파괴되거나 버려졌다.[4] 일부 연구자들은 크림 칸국 시대에 총 3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포획되어 노예가 되었다고 추정한다.[5]

4. 역사

1299년 노가이 칸이 사망하고, 1406년부터 1419년까지 에디구가 노가이 왕조를 창건했다. 에디구는 칭기즈 칸의 직계 자손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 되지 못하고 베그 또는 아미르 칭호를 사용했지만, 사실상 노가이 오르다의 군주로 지배했다. 그는 중앙아시아의 지배자 티무르의 지원을 받아 조치 울루스의 왕족 토크타미쉬와 대립하였고, 티무르와 협력하여 토크타미쉬를 격파하고 세력을 확대했다. 1398년에는 다른 계통의 왕족 테무르 쿠틀루크를 칸으로 옹립하고, 조치 울루스의 아미르들의 장으로 임명되었다.[13]

에디구의 세력권은 볼가강우랄강 사이의 카스피해 북안에 있었다. 1419년 에디구가 살해된 후에는 뒤를 이은 누라딘 아래에서 노가이 오르다의 세력은 우랄강과 볼가강을 넘어 동쪽으로는 아랄해 북안에서 서쪽으로는 아조프해 동안까지 미쳤다.

1438년 카잔 칸국, 1449년 크림 칸국, 1452년 카심 칸국, 1465년 카자흐 칸국, 1466년 아스트라한 칸국이 건국되었다. 1466년 당시 킵차크 칸국은 초원의 유목민, 사라이와 대상 무역에 대한 약간의 지배력만 남게 되었고, "대 오르다"라는 이름이 이 시점 이후에 나타난다.

1470년대에 노가이인들이 대 오르다에 적대적이었고, 1475년 오스만 제국이 제노바인으로부터 카파를 점령했다. 1480년부터 1519년까지 모스크바와 크림이 오르다와 리투아니아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었다. 1480년 우그라 강 대치에서 오르다가 모스크바 공격에 실패하면서 러시아가 타타르로부터 독립하게 되었다. 1481년 노가이인들이 대 오르다 칸을 전투에서 살해했고, 1502년 크림인들이 킵차크 칸국의 잔존 세력을 파괴하고 사라이를 파괴했다.

15세기 중반 이후 노가이 오르다가 지원하는 테무르 쿠틀루크의 후예는 볼가강 하류에 아스트라한 칸국을 세웠다.

15세기 후반, 무사의 지배 시기에 노가이 오르다는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무렵, 노가이 오르다에 속한 유목 부족들은 "노가이"라고 불렸으며, 타타르, 우즈베크인, 카자흐인 등 주변 다른 정권에 속한 조치 울루스 후예들과 구별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권력 분립도 진행되어, 16세기 중반에는 대노가이, 소노가이 등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노가이는 크림 칸국오스만 제국, 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에서 어느 쪽과 손을 잡을 것인지 선택해야 했다. 친모스크바파인 무사의 아들 이스마일의 자손이 이끌며 볼가강 서쪽을 지배한 세력은 대노가이, 친크림파인 이스마일의 형 유스프의 자손이 이끌며 아조프해 북안을 지배한 세력은 소노가이가 되어, 노가이 왕가도 분열되었다.

1556년 유스프가 전사한 후, 노가이 오르다는 부족 조직 해체가 진행되어 많은 노가이인이 러시아나 크림 칸국 영토로 이주하거나 중앙아시아로 흩어져 카자흐인이나 카라칼팍인에 합류했다.

16세기에 러시아 보호 아래 들어간 노가이인은 러시아 전역에 협력했고, 서부 국경 경비대원이 되었다. 1563년 1월, 노가이인 기병대가 리보니아 전쟁의 폴로츠크 원정에 투입되면서, 러시아에서 노가이는 타타르와 함께 러시아에 동화되기 시작했다.

남쪽 초원에 남은 노가이도 점차 약화되었다. 소노가이는 크림 칸국과 관계를 유지하며 크림 타타르인에 동화되었다. 대노가이는 비가 여러 명 난립하며 분열, 내부 항쟁이 반복되었다. 17세기 전반, 오이라트의 토르구트 부(칼미크)가 우랄강을 건너 대노가이 세력권에 나타나 노가이 사람들을 쫓아냈다. 이 사건으로 노가이 해체는 가속화되었고, 1642년 대노가이는 러시아에 신종하며 노가이 오르다는 최종 해체되었다.

노가이 오르다의 해체 후에도 크림 칸국 지배하의 흑해·아조프해 북안에는 쿠반 노가이, 제디시클 노가이, 부자크 노가이, 잠보일루크 노가이, 제드산 노가이 등의 여러 집단이 있었고, 쿠반강에서 드네스트르강에 이르는 여러 지역에 확산되었다.

17세기 초, 혼란의 시대 동안 노가이족은 러시아의 여러 도시와 마을을 약탈하고 주민들을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6] 1616년에는 대규모 노가이족이 러시아 국경을 침략했고, 1618년에는 모스크바와의 평화 조약으로 15,000명의 포로를 석방했다.[7] 1619년 이스테레크 베이 사망 이후 내전이 발발하면서 베이의 지위는 불확실해졌다.

1628년, 크림 타타르족과 노가이족은 폴란드의 마을들을 약탈하고 주민들을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 1634년, 노가이족은 칼미크족에게 크게 패배했다. 1637년, 1641~1643년에는 칸의 허가 없이 노가이족과 크림 귀족들이 러시아를 침략하기도 했다.[6]

1640년, 크림 타타르족과 노가이족은 볼히니아, 포돌리아, 갈리시아를 약탈하고 많은 포로를 잡았다. 1664년, 크림 타타르족과 노가이 귀족들은 폴란드 왕에 대한 군사 작전에 참여하여 리브니와 브랅스크 군을 황폐화시켰다. 1693년, 칼미크족은 러시아의 사주를 받아 노가이족을 공격했고, 1699년에도 노가이족은 남부 러시아 도시를 계속 약탈했다.

1711년, 칼미크족과 러시아인이 쿠반을 공격하여 노가이족을 죽이고 포로로 잡았다.[9] 1720년대에는 15,000개의 노가이족 '텐트'가 칼미크족을 피해 쿠반으로 도망갔다.

1736~1739년, 러시아는 일시적으로 아조프를 점령했다. 1770년, 예디산이 러시아와 동맹을 맺어 발칸에서 크림으로 가는 육로를 차단했다. 1771년에는 트란스-볼가 칼미크족이 준가리아로 대탈출했다. 1772년, 많은 크림 노가이족이 러시아의 보호를 받아들였다.

1774년,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에 의해 크림 반도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했고, 칸국은 점차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1783년, 러시아는 크림 반도를 병합했고, 많은 노가이족이 하부 드네프르에서 쿠반으로 이동했다. 같은 해, 쿠반 노가이 봉기가 일어났지만, 이는 저항의 마지막 시도였다.

이후 150년 동안 흑해 곡물 항구는 러시아 농업과 인구의 대규모 남하 확장을 지원했다. 1783년부터 19세기까지 흑해 동쪽의 노가이족은 현재 위치인 남동쪽으로 이동했다. 1860년경, 수십만 명의 무슬림이 러시아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

1928년에는 노가이스키 구 (다게스탄 공화국)이, 2007년에는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에 노가이 구가 각각 설립되었다. 2002년 기준 노가이족 인구는 90,700명이었다.

4. 1. 킵차크 칸국의 쇠퇴 (13세기 말 ~ 16세기 초)

1299년 노가이 칸이 사망하고, 1406년부터 1419년까지 에디구가 노가이 왕조를 창건하면서 킵차크 칸국의 쇠퇴가 시작되었다.[11] 에디구는 중앙아시아의 지배자 티무르의 지원을 받아 조치 울루스의 왕족 토크타미쉬와 대립하였고, 티무르와 협력하여 토크타미쉬를 격파하고 세력을 확대했다.[12] 1398년에는 다른 계통의 왕족 테무르 쿠틀루크를 칸으로 옹립하고, 조치 울루스의 아미르들의 장으로 임명되었다.[13]

1438년 카잔 칸국, 1449년 크림 칸국, 1452년 카심 칸국, 1465년 카자흐 칸국, 1466년 아스트라한 칸국이 건국되었다. 1466년 당시 킵차크 칸국은 초원의 유목민, 사라이와 대상 무역에 대한 약간의 지배력만 남게 되었고, "대 오르다"라는 이름이 이 시점 이후에 나타난다.

1470년대에 노가이인들이 대 오르다에 적대적이었고, 1475년 오스만 제국이 제노바인으로부터 카파를 점령했다. 1480년부터 1519년까지 모스크바와 크림이 오르다와 리투아니아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었다. 1480년 우그라 강 대치에서 오르다가 모스크바 공격에 실패하면서 러시아가 타타르로부터 독립하게 되었다. 1481년 노가이인들이 대 오르다 칸을 전투에서 살해했고, 1502년 크림인들이 킵차크 칸국의 잔존 세력을 파괴하고 사라이를 파괴했다.

4. 2. 독립 시기 (16세기 초 ~ 17세기 초)

15세기 후반, 무사의 지배 시기에 노가이 오르다는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무렵, 노가이 오르다에 속한 유목 부족들은 "노가이"라고 불렸으며, 타타르, 우즈베크인, 카자흐인 등 주변 다른 정권에 속한 조치 울루스 후예들과 구별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권력 분립도 진행되어, 16세기 중반에는 대노가이, 소노가이 등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노가이는 크림 칸국오스만 제국, 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에서 어느 쪽과 손을 잡을 것인지 선택해야 했다. 친모스크바파인 무사의 아들 이스마일의 자손이 이끌며 볼가강 서쪽을 지배한 세력은 대노가이, 친크림파인 이스마일의 형 유스프의 자손이 이끌며 아조프해 북안을 지배한 세력은 소노가이가 되어, 노가이 왕가도 분열되었다.

1556년 유스프가 전사한 후, 노가이 오르다는 부족 조직 해체가 진행되어 많은 노가이인이 러시아나 크림 칸국 영토로 이주하거나 중앙아시아로 흩어져 카자흐인이나 카라칼팍인에 합류했다.

16세기에 러시아 보호 아래 들어간 노가이인은 러시아 전역에 협력했고, 서부 국경 경비대원이 되었다. 1563년 1월, 노가이인 기병대가 리보니아 전쟁의 폴로츠크 원정에 투입되면서, 러시아에서 노가이는 타타르와 함께 러시아에 동화되기 시작했다.

남쪽 초원에 남은 노가이도 점차 약화되었다. 소노가이는 크림 칸국과 관계를 유지하며 크림 타타르인에 동화되었다. 대노가이는 비가 여러 명 난립하며 분열, 내부 항쟁이 반복되었다. 17세기 전반, 오이라트의 토르구트 부(칼미크)가 우랄강을 건너 대노가이 세력권에 나타나 노가이 사람들을 쫓아냈다. 이 사건으로 노가이 해체는 가속화되었고, 1642년 대노가이는 러시아에 신종하며 노가이 오르다는 최종 해체되었다.

다음은 노가이 칸국의 독립 시기 주요 사건을 정리한 표이다.

} 기병. 모스크바 불탐

|-

| 1572년 || 두 번째 습격 실패

|-

| 1577년 || 크림 타타르와 노가이, 계속해서 남부 모스크바 땅을 습격, 템니코프를 폐허로 만듦

|-

| 1577년 또는 1580/81년 || 사라이지크, 탈영한 코사크에 의해 파괴됨

|-

| 1582/83년 || 스웨덴 및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모스크바 평화 조약 체결

|-

| 1584년 || 크림-노가이, 랴잔 땅 약탈. 노가이, "수많은 슬라브인" 포획

|-

| 1588년 || 많은 노가이, 돈 강으로 이동. 대 오르다와 소 오르다 간의 매우 파괴적인 전투 발생

|-

| 1593년 || 노가이, 보로네시와 리브니에서 활동

|-

| 1594년 || 노가이 (최대 ), 남부 모스크바 땅을 습격. 적이 포위되고 노가이가 도시를 습격

|-

| 1598년 || 모스크바, 요새 남쪽으로 확장

|-

| 1600년 || 모스크바, 처음으로 노가이 베이 '임명'. 노가이 내 내전 발생

|}

4. 3. 쇠퇴와 멸망 (17세기 초 ~ 18세기 말)

17세기 초, 혼란의 시대 동안 노가이족은 러시아의 여러 도시와 마을을 약탈하고 주민들을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6] 1616년에는 대규모 노가이족이 러시아 국경을 침략했고, 1618년에는 모스크바와의 평화 조약으로 15,000명의 포로를 석방했다.[7] 1619년 이스테레크 베이 사망 이후 내전이 발발하면서 베이의 지위는 불확실해졌다.

1628년, 크림 타타르족과 노가이족은 폴란드의 마을들을 약탈하고 주민들을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았다. 1633년에는 크림-노가이족이 마지막으로 오카 강에 도달했다.[8] 1634년, 노가이족은 칼미크족에게 크게 패배했다. 1637년, 1641~1643년에는 칸의 허가 없이 노가이족과 크림 귀족들이 러시아를 침략하기도 했다.[6]

1640년, 크림 타타르족과 노가이족은 볼히니아, 포돌리아, 갈리시아를 약탈하고 많은 포로를 잡았다. 1664년, 크림 타타르족과 노가이 귀족들은 폴란드 왕에 대한 군사 작전에 참여하여 리브니와 브랅스크 군을 황폐화시켰다. 1693년, 칼미크족은 러시아의 사주를 받아 노가이족을 공격했고, 1699년에도 노가이족은 남부 러시아 도시를 계속 약탈했다.

1711년, 20,474명의 칼미크족과 4,100명의 러시아인이 쿠반을 공격하여 11,460명의 노가이족을 죽이고 5,060명을 익사시켰으며, 수많은 가축과 22,100명의 포로를 데려갔다. 이 중 성인 남성은 700명에 불과했다. 돌아오는 길에 그들은 노가이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2,000명의 러시아 포로를 구출했다.[9] 1720년대에는 15,000개의 노가이족 '텐트'가 칼미크족을 피해 쿠반으로 도망갔다.

1736~1739년, 러시아는 일시적으로 아조프를 점령했다. 1770년, 예디산이 러시아와 동맹을 맺어 발칸에서 크림으로 가는 육로를 차단했다. 1771년에는 트란스-볼가 칼미크족이 준가리아로 대탈출했다. 1772년, 많은 크림 노가이족이 러시아의 보호를 받아들였다.

1774년,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에 의해 크림 반도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했고, 칸국은 점차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1783년, 러시아는 크림 반도를 병합했고, 많은 노가이족이 하부 드네프르에서 쿠반으로 이동했다. 같은 해, 쿠반 노가이 봉기가 일어났지만, 이는 저항의 마지막 시도였다.

이후 150년 동안 흑해 곡물 항구는 러시아 농업과 인구의 대규모 남하 확장을 지원했다. 1783년부터 19세기까지 흑해 동쪽의 노가이족은 현재 위치인 남동쪽으로 이동했다. 1860년경, 수십만 명의 무슬림이 러시아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

4. 4. 멸망 이후 (19세기 ~ 현재)

1633년, 마지막으로 크림-노가이족이 오카 강에 도달하였다.[8]1634년에는 칼미크족이 노가이족을 크게 무찔렀다. 1693년에는 칼미크족이 러시아의 사주를 받아 노가이족을 공격했다.

1711년, 20,474명의 칼미크족과 4,100명의 러시아인이 쿠반을 공격하여 11,460명의 노가이족을 죽이고, 5,060명을 익사시켰으며, 2,000마리의 낙타, 39,200마리의 , 190,000마리의 , 220,000마리의 과 22,100명의 인간 포로를 확보했다. 이 중 성인 남성은 700명에 불과했다. 귀가 길에 그들은 돌아오는 노가이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2,000명의 러시아 포로를 구출했다.[9]

1774년,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으로 크림 칸국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했으나, 점차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1783년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병합하면서 많은 노가이족이 하부 드네프르에서 쿠반으로 이동했다. 같은 해, 쿠반 노가이 봉기가 일어났지만, 이는 저항의 마지막 시도였다.

이후 150년 동안 흑해 곡물 항구는 러시아 농업과 인구의 대규모 남하 확장을 지원했다.

1783년부터 19세기까지 흑해 동쪽의 노가이족은 현재 위치인 남동쪽으로 이동했다. 1860년경에는 수십만 명의 무슬림이 러시아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

1928년에는 노가이스키 구 (다게스탄 공화국)이, 2007년에는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에 노가이 구가 각각 설립되었다. 2002년 기준 노가이족 인구는 90,700명이었다.

5. 주요 인물


  • 테미르 칸 노가이: 1481년 우그라 대치 중 아흐메드 칸을 암살했다.[1]
  • 무사 미르자(1506년 사망): 17명의 아들을 두었다.[2]
  • 세이디악(1521): 1551년 우르겐치 근처에서 아스트라한 칸국을 격파했다.[2]
  • 마마이 칸(1549년 사망): 1523년 크림 칸을 암살했다. 1530년대에 야이크 근처, 이후 카잔 근처에서 활동했다.[2]
  • 요수프 칸(1549–1555): 1535년경 카잔 근처에서 활동했다. 1549년 카잔을 상대로 모스크바를 지원했다. 1551년 야이크 근처에서 모스크바와 결별하고 30만 기병과 8명의 아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1552년경 모스크바 습격을 포기했고, 1555년 아르슬란 미르자에게 살해되었다.[2]
  • 이스마일 칸 노가이(1555–1564): 1551년 아스트라한 근처에서 활동했다. 1554년 아스트라한 점령을 지원했고, 1555년 모스크바에 2만 마리의 말을 보냈다. 같은 해 베그가 되었다. 1556–57년 요수프의 아들들에게 재산을 압류당했다. 1558년 버려져 굶주리다가 식량을 구하기 위해 볼가 강 건너로 보내졌다. 1560년 크림 반도를 공격하려 했으나 카지 미르자에게 저지되었다.[2]
  • 카잔의 소임비케: 요수프 칸의 딸이자 카잔 칸의 미망인으로, 모스크바의 포로가 되었다.[3]
  • 아르슬란 미르자: 쿠줌의 아들로, 요수프 칸을 살해했다. 이스마일 아래에서 케이쿠바트였다.[4]
  • 카지 미르자(1577년 사망): 마마이 칸의 아들이다. 1551년 작사르테스 근처에서 활동했다. 1555년 이스마일 아래에서 누레딘이었다. 1557년경 이스마일이 틴 아흐마드를 후계자로 임명하면서 이스마일과 결별하고 쿠반으로 도망가 소호르드를 건국했다. 1577년 카바르디아인과의 전쟁에서 사망했다.[5]
  • 틴 아흐마드(1564–1579): 1577년 모스크바 습격을 지원했다고 한다.[6]
  • 우루스 칸 노가이(1579–1590): 1581년 크림 타타르족과 함께 모스크바 국경을 공격했다. 소호르드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7]
  • 우르 무하메드 칸(1590–1597)[8]
  • 틴 무하메드(1597–1600)[9]
  • 이스테레크(1600–1618): 1600년 러시아인에 의해 아스트라한에 임명되었다. 1613년 칼미크족의 공격을 받아 코카서스로 도망친 후, 아조프 해 지역으로 갔다. 러시아와 터키에 충성을 맹세한 후 폴란드와 동맹을 맺고, 페르시아로부터 사절을 받았으며, 크림봉신이 되기를 거부했다. 1616년 크림의 공격을 받아 아스트라한에서 러시아의 보호를 구했다. 1618년 의문스러운 상황에서 사망했다.[10]
  • 카나이 칸(1622–1634)[11]


노가이 오르다는 에디게 가문을 맹주로 하는 부족 연합체였으며, 에디게 출신 부족인 망기트부를 비롯해 콘기라트 등 여러 부족이 참여했다. 창시자인 에디게는 칭기즈 칸의 직계 자손이 아니었기 때문에 당시 관습에 따라 에 즉위하지 못했다. 16세기 전반까지 에디게와 그의 자손들은 조치의 13남 토카 테무르의 후예를 칸으로 옹립했으며, 스스로는 베그 또는 아미르의 칭호만을 사용했지만, 그들은 노가이 오르다의 사실상 군주로서 지배했다. 또한, 많은 유목 정권이 그러했듯이, 점차 창시자 에디게의 자손들이 분파되어 소규모 집단의 지배자가 되었지만, 그들은 "아미르의 아들"을 의미하는 미르자 (무르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2]

6. 문화

노가이 오르다의 유목민들은 다른 주치 울루스의 유목민들과 마찬가지로 이슬람교를 신봉했다. 에디게의 후예들은 이슬람 신앙을 칭기즈 칸의 혈통을 잇지 않은 망기트부 가문과 연결하여, 에디게를 아부 바크르의 20대손으로 묘사하는 족보까지 만들어냈다.[1]

크림 칸국이나 카자흐 칸국과 같은 주변 제국들과 달리, 현재 직계 후손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노가이 오르다이지만, 그들이 전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노가이 오르다의 역사 전승은 영웅 서사시 형태로 흩어진 노가이인들이 동화된 중앙 유라시아 각지의 튀르크계 민족들 사이에서 전해져 내려오며, "노가이 체계"라고 불리는 서사시군으로 남아 있다.[1]

참조

[1] 서적 Russia's Steppe Frontier
[2] 서적 Russia's Steppe Frontier
[3] 간행물 Atlas of the Ethno-Political History of the Caucasus 2014
[4]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2-05-31
[5] 논문 Muscovy and the [[Black Sea]] Slave Trade
[6]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on the Black Sea Steppe, 1500–1700
[7] 서적 Russia's Steppe Frontier
[8] 문서
[9] 서적 Where Two Worlds Meet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연도사건
1509년경노가이, 대 오르다가 비운 땅으로 이동
1519년모스크바-크림 동맹 종료
1521년카자흐족에 의해 서쪽으로 밀려난 노가이, 볼가를 건너 아스트라한을 공격
1522년경카자흐족, 노가이 수도 점령
1523년크림, 잠시 아스트라한을 점령했지만, 군대와 칸이 노가이에 의해 전멸
1547년이반 4세, 모스크바 대공, 최초의 전 러시아 차르가 됨
1552년카잔, 모스크바에 병합. 노가이, 조공 상실
1550년경–1560년크림 타타르와 노가이, 다시 랴잔 땅을 공격
1556년아스트라한, 모스크바에 병합. 노가이, 조공 상실
1557년미르자 카지, 볼가를 건너 쿠반 강을 따라 소 오르다를 건설
1567년–1571년노가이 남쪽 테레크 강에 모스크바 요새 건설
1569년오스만 제국과 크림, 소 오르다와 함께 아스트라한 점령 실패
1570년대카자흐족의 압력으로 노가이 무역, 중앙 아시아에서 모스크바로 이동
1571년러시아-크림 전쟁 (1571) 크림-노가이, 모스크바 공격. {{cvt|100|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