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아메리칸 A3J 비질란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스아메리칸 A3J 비질란테는 1950년대 미 해군을 위해 개발된 항공모함 기반의 초음속 폭격기이다. A-5A, A-5B, 정찰기 RA-5C 등의 파생형이 있으며, 당시 항공모함 운용 항공기 중 가장 크고 복잡한 기종 중 하나였다. 베트남 전쟁에서 정찰기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운용 비용과 복잡성으로 인해 1970년대 후반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맥도널 더글러스 F-4 팬텀
맥도널 더글러스 F-4 팬텀은 1950년대 미국 해군에서 개발된 2인승 초음속 전투폭격기로, 1960년대부터 미군에서 운용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운용 중이다. - 1958년 첫 비행한 항공기 - CH-46 시나이트
CH-46 시나이트는 보잉 버톨에서 개발한 탠덤 로터 방식의 중형 수송 헬리콥터로, 미 해병대에서 병력 및 화물 수송, 수색 구조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여러 국가에서 군용 및 민간용으로 운용되었고 다양한 파생 모델이 있다. - 미국의 폭격기 -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는 미국 보잉사가 개발한 장거리 전략 폭격기로, 냉전 시기 핵 억지력의 핵심 전력이었으며, 현재까지 개량을 거쳐 2050년까지 운용될 예정이다. - 미국의 폭격기 - 컨솔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
컨솔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는 콘솔리데이티드사에서 개발한 미국의 4발 중폭격기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B-17을 대체하여 주력 폭격기로 활약했으며,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항공기이다. - 고익기 - 록히드 AC-130
AC-130은 근접 항공 지원 및 항공 저지 임무를 위해 C-130 수송기를 개조하여 개발된 건쉽으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미 공군 특수전 사령부에서 운용되어 대테러 전쟁에서 활약했다. - 고익기 - 록히드 C-130 허큘리스
한국 전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록히드 C-130 허큘리스는 짧은 활주로 이착륙 능력과 화물 수송 능력을 갖춘 4발 터보프롭 전술 수송기로,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개량형과 특수 임무형이 운용되고 있다.
노스아메리칸 A3J 비질란테 | |
---|---|
개요 | |
![]() | |
기종 | 항공모함 탑재 핵 폭격기 정찰기 |
제작사 | 노스 아메리칸 항공 |
설계자 | Frank G. Compton |
최초 비행 | 1958년 8월 31일 |
도입 | 1961년 6월 |
퇴역 | 1979년 11월 20일 |
상태 | 퇴역 |
주요 운용국 | 미국 해군(역사적) |
추가 운용국 | 해당 없음 |
생산 기간 | 1961년–1963년 1968년–1970년 |
생산 대수 | 167대 (137대가 RA-5C로 제작 또는 전환) |
대당 가격 | 해당 없음 |
파생형 | 해당 없음 |
제원 | |
일반적 특성 | 해당 없음 |
성능 | 해당 없음 |
2. 개발
1950년대 중반, 미국 해군은 운용 중이던 A-3 스카이워리어 함상 핵 공격기의 노후화에 따라 후속기를 필요로 했다. 이에 1953년부터 노스아메리칸사가 자체적으로 연구하던 초음속 함상 핵 공격기 설계안(NA-233)이 1956년 채택되어 'YA3J'라는 임시 제식 번호를 부여받았다.
시제기인 '''YA3J-1'''은 1958년 8월 31일 초도 비행에 성공했으며, 1957년 선행 양산형 발주에 이어 1960년부터는 본격적인 양산형 '''A3J-1'''이 발주되었다. 1962년 9월 18일, 미군의 항공기 명명법 개정에 따라 제식 명칭은 '''A-5A'''로 변경되었다.
A-5A(A3J-1)는 개발 중이던 1960년 12월 13일, 1000kg의 탑재물을 싣고 마하 2.1의 속도에서 급상승하여 고도 27874.2m에 도달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이 기록은 13년 이상 유지되었다.
2. 1. 기원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는 항공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던 시기였다.[3] 미국 해군은 당시 운용 중이던 더글러스사의 A-3 스카이워리어가 점차 노후화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새로운 함상 공격기를 필요로 했다. 이에 노스 아메리칸 항공(NAA)은 1953년 중반부터 '노스 아메리칸 범용 공격 무기'(North American General Purpose Attack Weapon, NAGPAW)라는 이름 아래 초음속 함상 핵 공격기 개발을 위한 자체 연구를 시작했다.[3] 이 연구는 실패한 노스 아메리칸 XA2J 슈퍼 새비지의 후속기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2] 1954년부터는 예비 설계 책임자인 프랭크 G. 컴턴의 주도 하에 NAA 콜럼버스 사업부에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상당한 탑재량을 싣고 마하 2의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항공모함 기반의 장거리 전천후 공격 폭격기를 구상했다.[2][3]
당시 마하 2급 속도를 내는 핵무장 항공기를 항공모함에서 운용한다는 것은 매우 야심 찬 목표였다.[3] NAA가 구상한 NA-233 설계안은 XA2J처럼 트윈 엔진과 높이 장착된 날개를 가졌지만, 높은 후퇴익과 제트 추진 방식을 채택하여 차별화되었다. 또한, 초음속 폭격기로서는 처음으로 날씬한 전방 동체와 완전 가변형 쐐기형 측면 공기 흡입구를 적용하는 등 여러 첨단 기술을 통합했다.[4] 초기 설계에서는 두 개의 수직 꼬리날개를 고려했으나, 개발 과정에서 하나의 대형 수직 꼬리날개로 변경되었다.[2][6]
NAA의 제안은 미 해군의 관심을 끌었고, 해군은 마하 2의 고속 성능과 함께 항공모함 갑판에서 맞바람(갑판풍) 없이 최대 중량으로 이륙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제시했다.[3] 컴턴의 설계팀은 이러한 요구 사항을 성공적으로 설계에 반영했다.[3] 이에 미 해군은 설계안을 승인하고 1955년 7월, 목업 제작을 포함한 초기 설계 계약을 NAA에 발주했다.[5] 1956년 8월 29일에 계약이 체결되었고, "YA3J"의 임시 제식 번호가 부여되었다.[3] 같은 해 9월에는 비행 가능한 시제기 2대 제작을 위한 후속 계약이 이 회사에 수여되었다.[3]
1957년에는 선행 양산형인 A3J가 발주되었고, 1958년 8월 31일, 시제 1호기인 YA3J-1(기체 번호 145157)이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6] 개발 초기 미 해군은 한국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고도 재래식 공격 임무를 중시했으나, 점차 A-3 스카이워리어를 대체할 전략 핵 공격 역할로 기체의 임무를 변경했다.[7] 이에 따라 설계팀은 동체 후미의 두 엔진 사이에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독특한 선형 폭탄창을 구현했으며, 이 공간은 필요에 따라 연료 탱크나 정찰 장비를 탑재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7]
1960년부터는 본격적인 양산형인 A3J-1이 발주되었다. 같은 해 12월 13일, 미 해군 조종사 르로이 히스 중령과 폭격 항법사 래리 몬로 중위가 탑승한 A3J-1은 1000kg의 화물을 싣고 마하 2.1까지 가속한 뒤 급상승하여 고도 27874.2m에 도달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 고도 기록은 13년 이상 유지되었다. 이후 1962년 9월 18일, 미군의 항공기 명명법 개정에 따라 A3J-1은 '''A-5A'''로 제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2. 2. 추가 개발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NAA는 개선된 폭격기 모델인 A-5B를 개발했다.[3] 이 모델은 항공기의 최대 중량을 상당히 증가시켰으며, 추가 연료를 수용하기 위해 동체를 '험프 백'(hump back) 형태로 재설계했다. 날개 또한 확대된 후행 플랩과 완전한 블로운 플랩으로 개선되었다. 이러한 변경 덕분에 4개의 외부 드롭 탱크를 장착했을 때 폭격기의 항속거리가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3] 그러나 미국 해군의 전략적 초점이 유인 폭격기에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로 옮겨가면서, A-5B는 6대만 완성된 후 개발이 중단되었다.
대부분의 비질란테는 RA-5C로 지정된 정찰 구성으로 생산되었다.[8] RA-5C는 약간 더 넓은 날개 면적을 가졌으며, 동체 아래에는 길고 카누 모양의 페어링이 추가되어 APD-7 측면 감시 항공 레이더(SLAR), AAS-21 적외선 라인 스캐너, 카메라 팩 및 개선된 전자전 장비를 포함한 다중 센서 정찰 팩을 수용했다. AN/ALQ-61 전자 정보(ELINT) 시스템도 탑재할 수 있었다. RA-5C는 AN/ASB-12 폭격 시스템을 유지하여 이론적으로는 무기 탑재가 가능했지만, 실제 운용에서는 무장을 하지 않았다. 후기에 생산된 RA-5C는 17,900 lbf (80 kN)의 애프터버닝 추력을 내는 더 강력한 J79-10 엔진을 탑재했다. 정찰형 비질란테는 공격형보다 거의 5톤 더 무거워졌고, 이로 인해 가속 및 상승률은 감소했지만 수평 비행 속도는 여전히 빨랐다.
로열 오스트레일리아 공군(RAAF)은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를 대체할 주력 폭격기로 RA-5C 도입을 고려했다. 맥도넬 F-4C/RF-4C, 다소 미라주 IVA, BAC TSR-2 등 다른 항공기들도 검토 대상이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RAAF의 요구 사항에 맞춰 개발된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C가 선정되었다.[9][10] F-111C의 개발이 지연되자, 일부 RAAF 장교들은 비질란테가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더 빨리 인도될 수 있다며 36대의 비질란테를 임시로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호주 정부는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도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1]
3. 설계
노스아메리칸 A-5 비질란테는 노스 아메리칸 항공(NAA)이 1950년대 중반부터 개발한 초음속 항공모함 탑재 공격기이다.[2][3] 도입 당시 항공모함에서 운용되는 항공기 중 가장 크고 복잡한 기체 중 하나였다.[6] 초기에는 더글러스 A-3 스카이워리어를 대체하는 전략 핵 공격 임무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으나, 이후 정찰 임무 위주로 운용되었다.[7]
비질란테는 마하 2급의 고속 성능을 목표로 여러 첨단 기술을 적용했다. 높은 위치에 장착된 후퇴익은 저속에서의 양력 확보를 위해 블로운 플랩을 채택했다.[6] 날개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고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에일러론을 생략하고, 롤 제어는 스포일러와 전유동식 수평 미익의 차동 작동으로 이루어졌다.[6] 날개 외피는 알루미늄-리튬 합금으로 제작되었고, 고온에 노출되는 엔진 주변 등 주요 구조부에는 티타늄 합금이 사용되었다.[2][12] 일부 고온 부분에는 열 반사를 위해 금 코팅을 적용하기도 했다.[2][12] 항공모함 격납고의 높이 제한을 맞추기 위해 초기 설계의 쌍수직 미익 대신 단일 대형 수직 안정판을 채택했으며, 항공모함 운용 편의성을 위해 주익, 수직 안정판, 기수 레이돔이 접히는 구조였다.[1][13]
동체 중앙 하부에는 두 개의 제너럴 일렉트릭 J79 터보제트 엔진을 나란히 배치했으며, 엔진 공기 흡입구는 초음속 비행에 적합한 가변식 쐐기형 측면 흡입구 형태였다.[4][2][14] 이 엔진은 다른 항공기에도 사용되었지만, 비질란테에 탑재된 버전은 공기 충격 시동기(air-impingement starter)를 사용하는 등 일부 차이가 있었다.[3] 각 엔진에는 발전기가 장착되었고, 비상시를 대비한 램 에어 터빈 구동 유압 장치도 갖추었다.[3]
전자 장비는 당시 기준으로 매우 진보적이고 복잡했다. 기계식/유압식 백업 시스템을 갖춘 초기 플라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을 도입한 최초의 항공기 중 하나였다.[3] 조종석에는 초기 형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인 PPDI(Pilot's Projected Display Indicator)가 설치되었고, 다중 모드 레이더, 관성 항법 시스템(REINS), 기수 아래의 폐쇄 회로 텔레비전 카메라, 그리고 이들을 통합 제어하는 초기 디지털 컴퓨터인 VERDAN(Versatile Digital Analyzer)을 탑재했다.[15] 비질란테는 디지털 컴퓨터를 탑재한 최초의 폭격기이기도 했다.[3]
승무원은 조종사와 폭격수-항법사(BN) 2명이 탠덤(전후) 방식으로 탑승했으며, 각자 독립된 캐노피와 노스 아메리칸 HS-1A 사출 좌석을 갖추었다.[1][3] 정찰형인 RA-5C에서는 폭격수-항법사 대신 정찰/공격 항법사(RAN)가 탑승했다.[1][3]
핵무기 탑재를 위해 엔진 사이 후방 동체에 독특한 "선형 폭탄창"을 설계했다. 이는 초음속 비행 중에도 무장을 투하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식이었으나, 실제 운용상의 문제로 인해 정찰형에서는 연료 탱크 공간으로만 활용되었다.[7][17] (자세한 내용은 #탑재 무장 참조)
초기형(A-5A)은 날개 아래 2개의 파일론을 가졌으며, 개량형인 A-5B는 파일론 수를 4개로 늘리고 내부 연료 탱크 용량을 증대시켜 동체 상부에 눈에 띄는 "혹"이 생겼다. 또한 A-5B는 날개 앞전의 블로운 플랩을 개선하고 착륙 장치를 강화했다. 비질란테는 "중(heavy)" 항공기로 분류되었음에도 상당히 민첩했으며, 특히 무장을 장착하지 않았을 때는 고고도와 저고도 모두에서 매우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었다.[18] 그러나 높은 접근 속도와 큰 받음각 때문에 항공모함 착륙 시 조종사의 부담이 컸다.[18]
3. 1. 탑재 무장

항공모함 기반의 초음속 핵무기 공격기로 설계된 비질란테의 주요 무장은 엔진 사이 후방 동체에 있는 독특한 "선형 폭탄창"에 탑재되어 초음속 상태에서 폭탄을 투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6] 이 폭탄창은 쌍발 엔진 사이에 원통형 내부 공간을 마련하여, 여기에 단일 핵무기(주로 Mk 28(B28) 폭탄) 1발과 2개의 일회용 연료 탱크를 stores train|스토어스 트레인영어이라고 불리는 형태로 연결하여 수납하고, 후미는 탈착식 테일콘으로 막는 방식이었다.[16]
핵폭탄 투하 시에는 먼저 테일콘을 분리하고, 목표 지점에 도달했을 때 거의 비어 있는 2개의 증설 연료탱크와 핵폭탄을 drogue gun|드로그 건영어을 이용해 항공기 뒤쪽으로 초당 약 약 15.24m(15.24m/초)의 속도로 사출했다.[16] 이를 통해 A-5는 초음속 비행 상태에서도 속도 저하를 최소화하며 핵폭탄을 투하할 수 있었다. 이 설계는 고속 비행에 방해가 되는 폭탄이나 연료탱크를 기체 외부에 장착할 필요가 없고, 일반적인 폭탄창처럼 투하 시 문을 열 필요가 없어 공기 저항이나 충격파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투하된 핵폭탄이 항공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의 영향을 덜 받게 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그러나 실제 운용 결과, 이 시스템은 신뢰성이 낮아 선형 폭탄창에 실제 핵무기가 탑재된 적은 없었다.[17] 캐터펄트 사출 시의 충격으로 연료통이 갑판으로 떨어져 나가는 사고가 세 차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항공기 한 대가 손실되기도 했다.[17] 또한 핵폭탄을 1발밖에 탑재할 수 없어 범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지적되었다. 결국 정찰형인 RA-5C에서는 이 공간을 연료 탑재용으로만 사용하게 되었다. 선형 폭탄창은 핵폭탄 대신 증설 연료탱크 3개를 탑재하거나, 공중 급유 장치를 탑재하여 A-5를 공중 급유기로 운용하는 방안도 고려되었다.[41]

초기 생산된 비질란테(A-5A)에는 날개 아래 좌우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파일론이 장착되었으며, 주로 드롭 탱크를 장착하기 위한 용도였다. 두 번째 개량형인 A-5B는 여기에 2개씩을 더 추가하여 총 4개의 날개 하드포인트를 갖추었다. 이 하드포인트에는 필요에 따라 파일론을 증설하여 핵폭탄을 포함한 각종 폭탄, 로켓탄, 공대지 미사일, 추가 연료탱크 등을 장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부에 무장이나 연료탱크를 장착하면 초음속 비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제 작전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주로 선형 폭탄창만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4. 운용 역사
'A3J-1'으로 명명된 비질란테는 1961년 6월 플로리다주 샌포드 해군 항공 기지의 제3 중공격 비행대대(VAH-3)에 처음 배치되어, 기존의 더글러스 A-3 스카이워리어를 대체하며 핵 공격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19] 모든 비질란테 기체는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있는 포트 콜럼버스 공항의 노스 아메리칸 항공 시설에서 제작되었다.
1962년 9월,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 주도로 시행된 미군 항공기 명명법 통합 계획에 따라 비질란테는 'A-5'로 재지정되었다. 최초 모델 A3J-1은 'A-5A'로, 개량형 A3J-2는 'A-5B'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개발된 정찰 버전(원래 A3J-3P)은 'RA-5C'가 되었다. 초기 운용 단계에서는 첨단 시스템의 신뢰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정비 인력의 경험 축적으로 점차 해결되었다.[20]
A-5의 운용 시기는 미국의 핵 전략이 유인 폭격기보다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던 때와 맞물렸다.[21] 이에 따라 미 해군은 장거리 고속 정찰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비질란테가 이 역할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그 결과 1963년 A-5 공격기 버전의 조달이 종료되었고, 기체는 고속 정찰 임무를 수행하는 RA-5C로 전환되었다. 최초의 RA-5C는 1963년 7월 RVAH-3에 인도되었으며, 모든 비질란테 운용 비행대대는 VAH(중공격 비행대대)에서 RVAH(정찰 공격 비행대대)로 재지정되었다.
정찰 공격 제1 비행단(COMRECONATKWING ONE) 지휘 아래 총 10개의 RA-5C 비행대대가 창설되었다. RVAH-3는 훈련 부대로 남았고, 나머지 9개 비행대대(RVAH-1, RVAH-5, RVAH-6, RVAH-7, RVAH-9, RVAH-11, RVAH-12, RVAH-13, RVAH-14)는 USS ''포레스탈'', USS ''사라토가'', USS ''레인저'', USS ''인디펜던스'', USS ''키티호크'', USS ''컨스텔레이션'', USS ''엔터프라이즈'', USS ''아메리카'', USS ''존 F. 케네디'', 니미츠급 항공모함 등 주요 항공모함에 배치되어 대서양, 지중해, 서태평양 등지에서 활동했다.
10개의 RA-5C 비행대대 중 8개는 1964년 8월부터 베트남 전쟁에 투입되어 광범위하게 운용되었다. 주로 위험 부담이 큰 중고도 폭격 후 정찰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총 18대의 RA-5C가 전투 중 손실(대공포 14대, 지대공 미사일 3대, MiG-21 1대)되었고, 추가로 9대가 작전 중 사고로 손실되었다. 이러한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1968년부터 1970년까지 36대의 RA-5C가 추가로 생산되었다.[22]
운용 기간 동안 비질란테 부대의 주둔 기지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68년 플로리다의 샌포드 해군 항공 기지가 폐쇄되면서 조지아주의 올버니 해군 항공 기지로 이전했고, 1974년에는 다시 플로리다의 키웨스트 해군 항공 기지로 이전했다.
비질란테는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운용 비용이 비싸고 정비가 복잡했으며, 큰 크기로 인해 항공모함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 군비 감축과 F-14 톰캣, S-3 바이킹 등 신형 기체 도입으로 항공모함 공간 부족 문제가 심화되면서, 1974년부터 RVAH 비행대대의 해체가 시작되었다. 마지막 비행대대인 RVAH-7은 1979년 말 임무를 종료했고, RA-5C의 마지막 비행은 1979년 11월 20일에 이루어졌다.[23] 모 비행단인 정찰 공격 제1 비행단은 1980년 1월 해체되었다.
비질란테 퇴역 후 항공모함 기반 정찰 임무는 RF-8G 크루세이더, RF-4B 팬텀 II, 그리고 이후 전술 항공 정찰 포드 시스템(TARPS)을 장착한 F-14 톰캣 등이 이어받았다. 한편, 비질란테가 대체하려 했던 더글러스 A-3 스카이워리어는 정찰, 전자전, 공중급유 등 다양한 역할로 1990년대 초까지 운용되었다.
A-5/RA-5 비질란테는 미국 해군에서만 운용되었으며, 다른 나라에 판매되거나 공여되지 않았다.
4. 1. 실전 배치

'A3J-1'로 명명된 비질란테는 1961년 6월 플로리다주 샌포드 해군 항공 기지의 RVAH-3(당시 제3 중공격 비행대대, VAH-3)에 처음 배치되었다. 이 부대는 중공격, 즉 "전략 핵 공격" 임무를 수행하며 기존의 더글러스 A-3 스카이워리어를 대체했다.[19] 비질란테의 모든 기종은 노스 아메리칸 T-2 버키, T-39 세이버라이너, OV-10 브롱코와 함께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의 포트 콜럼버스 공항 내 노스 아메리칸 항공 시설에서 생산되었다.
1962년 9월,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 주도로 시행된 미군 항공기 명명법 통합 계획에 따라 비질란테는 'A-5'로 재지정되었다. 최초 모델인 A3J-1은 'A-5A'로, 개량형인 A3J-2는 'A-5B'로 변경되었고, 이후 개발된 정찰 버전(원래 A3J-3P)은 'RA-5C'가 되었다.
비질란테의 초기 운용은 탑재된 첨단 시스템 때문에 많은 문제에 부딪혔다. 이 시스템들은 매우 정교했지만, 개발 초기 단계의 기술이었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졌다.[20] 시간이 지나면서 정비 인력들이 경험을 쌓아 신뢰성 문제 대부분을 해결했지만, 비질란테는 운용 기간 내내 유지보수가 많이 필요한 기체로 남았다.
1962년 10월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에는 VAH-1 소속의 A-5A가 플로리다주 키웨스트에 전개되었다. 이는 쿠바에 대한 핵 공격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미국의 강경한 대응 태세를 보여주는 조치 중 하나였다.
하지만 A-5가 운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미국의 핵 전략이 크게 바뀌던 때였다. 미국은 유인 폭격기 대신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더 중요하게 여기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해군은 장거리 정찰기 필요성이 생겼고, 공격 임무에서 역할이 줄어든 비질란테가 이 임무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21] 그 결과, 1963년에 A-5의 생산이 종료되었고, 기체는 고속 정찰 역할로 전환되었다. 최초의 RA-5C는 1963년 7월, 플로리다주 샌포드 해군 항공 기지에 주둔한 A-5A/B 대체 훈련 비행대대인 제3 정찰 공격 비행대대(RVAH-3)에 인도되었다. 공격기에서 정찰기로 역할이 바뀌면서 모든 비질란테 운용 비행대대는 명칭이 VAH에서 RVAH로 변경되었다.
정찰 공격 제1 비행단(COMRECONATKWING ONE)의 지휘 아래 총 10개의 RA-5C 비행대대가 창설되었다. RVAH-3는 미국 본토에서 RA-5C 조종사 및 정비 인력 훈련을 계속 담당했고, RVAH-1, RVAH-5, RVAH-6, RVAH-7, RVAH-9, RVAH-11, RVAH-12, RVAH-13, RVAH-14는 정기적으로 USS ''포레스탈'', USS ''사라토가'', USS ''레인저'', USS ''인디펜던스'', USS ''키티호크'', USS ''컨스텔레이션'', USS ''엔터프라이즈'', USS ''아메리카'', USS ''존 F. 케네디'', 그리고 니미츠급 항공모함 등에 배치되어 대서양, 지중해, 서태평양 등지에서 활동했다.

10개의 RA-5C 비행대대 중 8개는 1964년 8월부터 베트남 전쟁에 투입되어 광범위하게 운용되었다. 주로 위험 부담이 큰 중고도 폭격 후 정찰 임무(Bomb Damage Assessment, BDA)를 수행했다. 비질란테는 빠르고 민첩한 기동성을 보여주었지만, 전쟁 중 총 18대의 RA-5C가 전투에서 손실되었다. 손실 원인은 대공포화 14대, 지대공 미사일 3대였으며, 1대는 라인배커 II 작전 중 MiG-21 전투기에 격추되었다. 이 외에도 제77기동부대 작전 중 사고로 9대의 RA-5C가 추가로 손실되었다. 이러한 손실을 메우기 위해 1968년부터 1970년까지 36대의 RA-5C가 추가로 생산되었다.[22]
원래 비질란테 부대의 모기지였던 플로리다의 샌포드 해군 항공 기지는 1968년 의회 결정으로 폐쇄되었다. 이에 따라 정찰 공격 제1 비행단과 예하 비행대대, 모든 항공기와 인력은 조지아주 올버니의 터너 공군 기지(Turner AFB)로 이전했다. 이곳은 원래 전략 공군 사령부(SAC)의 보잉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폭격기와 보잉 KC-135 공중급유기 기지였으나, 해군으로 관할권이 넘어가면서 올버니 해군 항공 기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불과 6년 뒤인 1974년, 베트남 전쟁 이후 군비 감축의 일환으로 올버니 해군 항공 기지 역시 폐쇄가 결정되었고, 모든 RA-5C 부대와 인원은 플로리다의 키웨스트 해군 항공 기지로 다시 이전되었다.


비질란테는 뛰어난 성능을 보였지만 운용 비용이 비싸고 정비가 복잡했다. 또한 F-14 톰캣과 S-3 바이킹 같은 대형 기종들이 도입되면서 항공모함의 비행 갑판과 격납고 공간 부족 문제가 심화되었다. 비질란테는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는 기체였다. 베트남 전쟁이 끝나면서 1974년부터 RVAH 비행대대의 해체가 시작되었고, 마지막 비질란테 비행대대인 RVAH-7은 1979년 말 USS ''레인저'' 항공모함에서의 서태평양 배치를 마지막으로 임무를 마쳤다. RA-5C의 마지막 비행은 1979년 11월 20일, 플로리다 키웨스트 해군 항공 기지에서 이루어졌다.[23] 정찰 공격 제1 비행단은 1980년 1월 키웨스트 해군 항공 기지에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비질란테는 퇴역했지만, 이 기종의 등장이 더글러스 A-3 스카이워리어의 운용을 즉시 종료시킨 것은 아니었다. A-3 스카이워리어는 사진 정찰(RA-3A/B), 전자전(EA-3A/B, ERA-3B, EKA-3B), 공중 급유(KA-3B), VIP 수송(VA-3B) 등 다양한 파생형으로 1990년대 초까지 계속 운용되었다.
비질란테가 맡았던 항공모함 기반 정찰 임무는 이후 전투기들이 이어받았다. 내부 카메라를 장착한 RF-8G 크루세이더는 이미 1960년대 초부터 비질란테를 운용하기 어려운 구형 항공모함에서 운용되고 있었다. 해병대의 RF-4B 팬텀 II 역시 항공모함에 배치되어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이들 기종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비질란테의 역할을 대체했으며, 이후에는 전술 항공 정찰 포드 시스템(TARPS) 및 디지털 TARPS(D-TARPS)를 장착한 F-14 톰캣 전투기가 정찰 임무를 넘겨받았다. 현재 보잉 F/A-18E/F 슈퍼 호넷과 같은 최신 함재 전투기들의 중량은 비질란테와 비슷한 약 28553.62kg 수준까지 증가했다.
한편, 비질란테의 원래 임무였던 핵 공격 역할은 1964년에 실전 부대에서의 운용이 종료되었고, 1967년에는 정찰형인 RA-5C를 포함하여 모든 기체가 핵 공격 임무에서 완전히 제외되었다. 이는 소련의 방공망이 강화되어 항공기를 이용한 침투 공격이 어렵다고 판단되었고,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이 실용화되면서 해군의 전략 핵 공격 능력이 항공모함 중심에서 탄도 미사일 잠수함 중심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4. 2. 정찰기로의 개조
A-5 비질란테는 고속 비행 성능을 중시하여 경량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초기형은 3.5G, 이후 모델도 5G 정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내G 강도를 가졌다.[21] 또한 핵무기 투하에 특화된 독특한 선형 폭탄창 구조는 통상적인 폭탄이나 미사일 운용에 제약이 따랐다.[21] 이러한 운용상의 한계와 더불어, 1960년대 초 미국의 국방 전략이 유인 폭격기보다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21], 미 해군은 마하 2 이상의 고속 성능을 가진 비질란테를 장거리 정찰기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1962년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 하에서 시행된 삼군 통합 명명 계획에 따라 A3J-1은 A-5A로, A3J-2는 A-5B로 재지정되었고, 같은 해 정찰기형인 RA-5C의 개발 및 발주가 시작되었다.[21] 정찰기 사양으로 새롭게 생산된 기체와 기존의 A-5A/B를 개조한 기체를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비질란테는 RA-5C 사양으로 통일되었다. RA-5C는 기존 A-5 기체 동체 상부에 연료 탱크를 추가하여 외부적으로 "험프(hump)"라 불리는 불룩한 외형을 가지게 되었고, 동체 하부에는 가시광선 및 적외선 카메라, AN/ALQ-61 전자 정찰 시스템, AN/AAS-21 적외선 센서, AN/APD-7 측방 감시 레이더 등 다양한 정찰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카누 형태의 페어링이 장착되었다. 기존의 선형 폭탄창 공간은 주로 추가 연료 탱크를 탑재하는 데 사용되었다.[17]
최초의 RA-5C는 1963년 7월, 플로리다주 해군 항공 기지 샌포드의 제3 정찰 공격 비행대대(RVAH-3)에 인도되었다. 이 부대는 RA-5C 운용을 위한 훈련 비행대대(RAG/FRS) 역할을 수행했으며, 비질란테의 임무가 공격에서 정찰로 전환됨에 따라 모든 관련 비행대대는 VAH(중공격 비행대대)에서 RVAH(정찰 공격 비행대대)로 재지정되었다. 실질적인 작전 부대 배치는 1963년 제5중 공격 비행대(1964년 이후 제5정찰중 공격 비행대(RVAH-5)로 개칭)부터 시작되었다.
1964년 8월부터 RA-5C는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투입되었다. 총 10개의 RVAH 비행대대 중 8개 대대가 남중국해에 전개된 제7함대 소속 항공모함에 배치되어 북베트남 상공에서의 위험한 중고도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RA-5C는 빠른 속도와 민첩성을 바탕으로 정찰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했지만, 격렬한 대공 방어망에 노출되어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총 18대의 RA-5C가 전투 중 손실되었는데, 이 중 14대는 대공포, 3대는 지대공 미사일, 1대는 MiG-21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었다. 이 외에도 작전 중 사고로 9대의 RA-5C가 추가로 손실되었다.[22] 이러한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1968년부터 1970년까지 36대의 RA-5C가 추가로 생산되기도 했다.[22]
베트남 전쟁 이후에도 RA-5C는 계속 운용되었지만,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발목을 잡았다. 낮은 기체 강도 문제와 더불어, 함재기로서는 이례적으로 큰 크기(약 28553.62kg 급)로 인해 항공모함에서의 운용과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았다.[20] 예를 들어, 격납고 내에서는 공간 확보를 위해 수직 꼬리 날개를 접어야 했고, 항공기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는 기수 레이돔까지 접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초기 전자 장비들은 잦은 고장을 일으켜 유지보수 부담을 가중시켰고, 운용 비용 또한 높았다.
결국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의 군비 감축 기조와, F-14 톰캣에 전술 항공 정찰 포드 시스템(TARPS)을 장착하여 정찰 임무를 통합하려는 계획에 따라 RA-5C는 점차 퇴역 수순을 밟게 되었다. 해군은 F-14의 정찰 능력이 완전히 갖춰지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RF-8G 크루세이더를 운용했으며, 마지막 RA-5C 운용 비행대대인 RVAH-7은 1979년 말 서태평양 배치를 마지막으로 임무를 종료했다. RA-5C의 공식적인 마지막 비행은 1979년 11월 20일 플로리다주 해군 항공 기지 키웨스트에서 이루어졌고[23], 1980년 1월 모 비행단인 정찰 공격 제1 비행단(COMRECONATKWING ONE)이 해체되면서 비질란테는 미 해군에서 완전히 퇴역했다.
5. 퇴역
비질란테는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운용 비용이 비싸고 시스템이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까다로운 기체였다. 또한 F-14 톰캣이나 S-3 바이킹과 같은 신형 항공기들이 도입되면서 한정된 항공모함의 비행 갑판과 격납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비질란테의 퇴역을 앞당기는 배경이 되었다.
베트남 전쟁 이후 군비 감축의 일환으로, 비질란테 운용 부대의 거점 기지였던 해군 항공 기지 올버니가 1974년에 폐쇄되면서 모든 RA-5C 부대와 인원은 플로리다주 해군 항공 기지 키웨스트로 이전되었다. 같은 해인 1974년부터 정찰 공격 비행대대(RVAH)의 해체가 시작되었다.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비질란테 비행대대인 RVAH-7은 1979년 말, USS ''Ranger''호를 타고 서태평양으로의 마지막 배치를 마쳤다. RA-5C의 공식적인 마지막 비행은 1979년 11월 20일, 해군 항공 기지 키웨스트에서 이루어졌다.[23] 모 비행단이었던 정찰 공격 제1 비행단(COMRECONATKWING ONE) 역시 1980년 1월 해군 항공 기지 키웨스트에서 해산되었다. 퇴역한 기체들은 애리조나주 데이비스-먼던 공군 기지의 군용기 보관 및 처리 센터 등에 보관되었다.
비질란테의 정찰 임무는 주로 다른 전투기들이 이어받았다. 내부 카메라를 장착한 RF-8G 크루세이더는 이미 운용 중이었고, 해병대의 RF-4B 팬텀 II도 항공모함에 배치되어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F-14 톰캣이 전술 항공 정찰 포드 시스템(TARPS) 및 디지털 전술 항공 정찰 포드(D-TARPS)를 탑재하면서 비질란테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 흥미롭게도, F-14 톰캣이나 이후 등장한 보잉 F/A-18E/F 슈퍼 호넷과 같은 현대의 항공모함 기반 전투기들은 비질란테와 비슷한 약 28553.62kg 수준의 중량을 가지게 되었다.
6. 파생형
- '''XA3J-1''' (NA-247)
:: 시험 제작기. 총 2대가 제작되었으며, 1대는 나중에 RA-5C로 개조되었고 다른 1대는 1959년에 추락했다.
- '''A-5A'''
:: 초기 양산형 공격기 모델. 이전 명칭은 '''A3J-1'''이었다. 총 58대가 주문되었으나 57대가 제작되었고(NA-247 9대, NA-263 14대, NA-269 34대), 1대는 취소되었다. 1962년 미 국방부의 항공기 명칭 통일 정책에 따라 A-5A로 재지정되었다. 이후 생존 기체 중 43대가 RA-5C 정찰기 사양으로 개조되었다.[26]
- '''A-5B'''
:: A-5A의 개량형. 이전 명칭은 '''A3J-2'''였다. 동체 상부에 연료 탱크를 추가하여 연료 탑재량을 늘렸고("험프백" 형태), 날개 하드포인트가 2개에서 4개로 증가했으며, 고양력 장치(블로운 플랩)가 개선되었다. 총 18대가 주문되었으나, 전략 환경 변화로 핵 공격 임무의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6대(NA-269)만 A-5B 사양으로 완성되었다.[3] 나머지 12대 중 5대는 XA3J-3P(YA-5C) 시제기로 완성되었고, 이후 모두 RA-5C로 개조되었다.
- '''RA-5C'''
:: 복좌식 전천후 항공모함 탑재용 장거리 정찰기 모델. 이전 명칭은 '''A3J-3P'''였다. A-5B의 기체를 기반으로 동체 하부에 카메라, 측면 감시 항공 레이더(SLAR), 적외선 스캔 장비 등을 탑재한 긴 카누 형태의 페어링을 추가했다. AN/ASB-12 폭격 시스템은 유지되었으나 실제 작전에서 무장을 탑재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후기 생산 기체에는 더 강력한 J79-GE-10 엔진이 탑재되었다.[8] 신규 생산 91대(NA-269 12대, NA-279 20대, NA-283 23대, NA-316 36대)와 기존 A-5A/B에서 개조된 61대(A-5A 43대, A-5B 18대)를 합쳐 총 152기가 운용되었다. NA-316 사양 기체는 공기 흡입구 형상이 개량되고 날개와 엔진 나셀에 필렛이 추가되었다.
- '''YA-5C'''
:: RA-5C의 시제기 명칭. A-5B 주문량 중 5대가 정찰 장비 없이 '''XA3J-3P'''로 우선 완성되어 조종사 훈련 등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RA-5C 사양으로 개조되면서 YA-5C로 재지정되었다.
'''미 공군 제안형'''

- '''NA-247 "Retaliator"'''
:: 1960년대 미국 공군의 F-102 델타 대거 및 F-106 델타 다트 후계기 사업에 제안된 고속 요격기 겸 전투폭격기 모델. YA3J-1(NA-247) 시제기를 기반으로, 동체 내부의 선형 폭탄창에 로켓다인 XLR46-NA-2 로켓 엔진을 부스터로 탑재하고, 무장은 기체 하부에 장착하는 구상이었다. 제안 단계에 머물렀으며 실물은 제작되지 않았다.[27][42][43][44]
- '''NR-349'''
:: 1970년대 미국 공군의 개량형 유인 요격기(Improved Manned Interceptor, IMI) 구상에 제안된 초음속 요격기 모델. 기존의 선형 폭탄창 공간에 J79 엔진 1기를 추가하고 동체 상면에 공기 흡입구를 신설하여 총 3개의 엔진을 탑재하며, 기수를 재설계하여 AIM-54 피닉스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6발을 동체 하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IMI 구상이 취소되면서 제안 단계에서 종료되었다.[28][45]
7. 제원 (A-5A)
'''일반 특성'''[46][47]
- '''승무원:''' 2명
- '''길이:''' 23.32m (76 ft 6 in)
- '''날개폭:''' 16.15m (53 ft 0 in)
- '''높이:''' 5.92m (19 ft 5 in)
- '''날개 면적:''' 65.03m2 (700 ft²)
- '''공허 중량:''' 14839kg (32,714 lb)
- '''운용 중량:''' 21559kg (47,530 lb)
- '''최대 이륙 중량:''' 25534kg (한국어 소스 기준) / 28615kg (62,953 lb, 영어 소스 기준)
- '''엔진:''' 2 × J79-GE-2, 4 또는 8 터보제트 엔진 (한국어 소스 기준) / 2 × J79-GE-8 후연소 터보제트 엔진 (영어 소스 기준)
- * 기본 추력: 7,325 kgf (각각, 한국어 소스 기준) / 48 kN (10,900 lbf) (각각, 영어 소스 기준)[48]
- * 후연소기 추력: 7,711 kgf (각각, 한국어 소스 기준) / 76 kN (17,000 lbf) (각각, 영어 소스 기준)[48]
'''성능'''
- '''최대 속도:'''
- * 고도 12192m (40,000 ft)에서: 마하 수 1.73 (2125km/h, 1,320 mph)[47]
- * 해면 고도에서: 마하 수 1.06 (1297km/h, 806 mph)
- '''전투 행동 반경:''' 2026km (1,121 nmi, 1,289 mi)
- '''최대 항속 거리:''' 2908km (1,571 nmi, 1,807 mi) / 5150km (외부 연료 탱크 사용 시)
- '''실용 상승 한도:''' 15880m (52,100 ft)
- '''상승률:''' 2438m/min (8,000 ft/min)
- '''날개 하중:''' 308.3kg/m2 (80.4 lb/ft²)
- '''추력 대 중량비:''' 0.72[47]
'''무장'''
- '''폭탄:'''
- * 내부 무장창: 1 × Mk.27, Mk.28 또는 Mk.43 자유낙하 핵폭탄
- * 외부 파일론 (2개): 2 × Mk.43 핵폭탄 또는 최대 2270kg (5,000 lb)의 일반 폭탄 (Mk.83, Mk.84 등)
8. 기록
1960년 12월 13일, 미국 해군 사령관 러로이 A. 히스(조종사)와 래리 먼로 중위(폭격수/항법사)는 A3J 비질란테에 1000kg의 탑재물을 싣고 약 27874.20m(약 27874m)의 세계 고도 기록을 세워 이전 기록을 약 6.44km 이상 경신했다. 이 새로운 기록은 13년 이상 유지되었다.[24] 이 기록은 마하 2.1의 속도에 도달한 후, 날개가 계속 작동할 수 있는 고도를 넘어 탄도 궤적을 그리며 상승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엔진은 희박한 대기에서 꺼졌고, 항공기는 뒤집혔다. 이는 이전 비행에서도 이미 경험한 바 있었고, 조종사는 단순히 조종 장치를 해제했고, 항공기는 낮은 대기의 더 두꺼운 공기로 다시 하강하면서 자연스럽게 제어력을 되찾았다.[25]
9. 운용 국가
10. 등장 작품
(내용 없음)
10. 1. 영화
- 최종 카운트다운: 니미츠급 항공모함 니미츠의 함재기는 아니지만, RA-5 비질란테가 지상 주기 상태로 등장하는 장면이 확인된다. 영화에서 니미츠에 탑재된 사진 정찰기로는 RF-8G 크루세이더가 나온다.
10. 2. 만화
참조
[1]
서적
1982
[2]
서적
2001
[3]
서적
1993
[4]
서적
1993
[5]
서적
1981
[6]
서적
1981
[7]
서적
1993
[8]
서적
1993
[9]
웹사이트
FYJS
http://www.fyjs.cn/b[...]
2013-11-22
[10]
웹사이트
Search & Retrieve - Search timeout error
http://recordsearch.[...]
2013-12-02
[11]
서적
2010
[12]
서적
1993
[13]
서적
Aerofax Minigraph 9: North American Rockwell A3J/A-5 Vigilante
Aerofax, Inc.
1989
[14]
서적
1993
[15]
서적
1993
[16]
서적
2009
[17]
웹사이트
The North American A-5/RA-5 Vigilante
http://www.airvector[...]
2016-01-19
[18]
서적
2008
[19]
서적
2000
[20]
서적
Aerofax Minigraph 9: North American Rockwell A3J/A-5 Vigilante
Aerofax, Inc.
1989
[21]
서적
2014
[22]
서적
2008
[23]
서적
1997
[24]
서적
1981
[25]
간행물
North American Rockwell A3J (A-5) Vigilante
2000
[26]
웹사이트
https://theaviationg[...]
[27]
웹사이트
https://min.news/en/[...]
2024-08
[28]
서적
2007
[29]
웹사이트
RA-5C Vigilante History
http://www.bobjellis[...]
[30]
웹사이트
A-5 Vigilante/149289.
http://www.pimaair.o[...]
[31]
웹사이트
A-5 Vigilante/151629.
http://www.pwam.org/[...]
[32]
웹사이트
A-5 Vigilante/156615.
http://www.castleair[...]
[33]
웹사이트
A-5 Vigilante/156621.
http://www.esam.org/[...]
[34]
웹사이트
A-5 Vigilante/156624.
http://www.navalavia[...]
[35]
웹사이트
A-5 Vigilante/156641.
http://www.midway.or[...]
[36]
서적
Goodspeed 2000
[37]
서적
Wilkinson 1966
[38]
서적
Taylor 1964
[39]
웹사이트
Designations of US Military Electronic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http://www.designati[...]
2012-01-31
[40]
서적
Eden 2009
[41]
웹사이트
Vigilante Linear bomb bay|By crisis loaner
https://combatace.co[...]
COMBAT Ace
2021-10-08
[42]
문서
https://ntrs.nasa.go[...]
[43]
문서
https://www.history.[...]
[44]
뉴스
https://min.news/en/[...]
[45]
서적
AMERICAN SECRET PROJECTS
Midland Publishing Ltd.
2010
[46]
서적
Goodspeed 2000
[47]
서적
Wilson 2000
[48]
서적
Taylor 1965
[49]
웹사이트
Designations of US Military Electronic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http://www.designati[...]
2012-01-31
[50]
서적
Eden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