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에바비스카야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에바비스카야주는 필리핀 루손섬에 위치한 주로, 1839년 정치-군사적 주로 설립되어 1841년 공식 승인되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카가얀 주의 일부였으며, 미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일본 점령기를 겪었다. 1971년 키리노 주가 분리되었으며, 현재 1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코르디예라 산맥, 시에라 마드레 산맥, 카라발로 산맥에 둘러싸여 있으며, 농업이 주 산업이다. 매년 5월에는 주 건립 기념일을 축하하는 암무간 축제를 개최하며, 다양한 토착 민족과 언어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가얀밸리 지방 - 카가얀주
필리핀 루손섬 북동부에 위치한 카가얀주는 풍부한 선사 시대 문명과 카가얀강을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2023년 미군 기지 건설 발표로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 카가얀밸리 지방 - 이사벨라주
이사벨라주는 필리핀 루손섬 카가얀 밸리 지방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왕령에 의해 1856년 설립되었으며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자랑하고, 옥수수와 쌀 생산량이 높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풍부한 산림 자원과 어장을 보유하고 있고, 일라간 시를 주도로 34개의 지방 자치 단체, 2개의 구성 도시 및 1개의 독립 구성 도시로 나뉜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누에바비스카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필리핀의 감귤 수도, 카가얀 계곡의 분수계 안식처 |
국가 | 필리핀 |
소속 지역 | 카가얀 밸리 지방 |
설립일 | 1839년 |
중심지 | 바욘봉 |
면적 | 4,813.88 제곱킬로미터 |
최고 지점 | 풀라그 산 (2,928 미터) |
인구 | 530,397 명 (2020년) |
인구 밀도 | 110 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통계 | 노보 비스카야노 |
시/군 | 독립시: 0개 구성시: 0개 자치체: 15개 |
바랑가이 | 275개 |
하원 의원 지역 | 누에바비스카야 선거구 |
시간대 | PHT (UTC+8) |
우편 번호 | 3700 |
지역 코드 | 78 |
ISO 코드 | PH-NUV |
정치 | |
지사 | 호세 V. 감비토 (PFP) |
부지사 | 유페미아 A. 다카요 (Aksyon) |
대표 | 루이사 요렌 쿠아레스마 (라카스-CMD) |
입법부 | 누에바비스카야 지방 의회 |
언어 | |
사용 언어 | 일로카노어 팡가시난어 타갈로그어 가당어 이시나이어 영어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누에바비스카야 주의 역사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미국 식민지 시대, 일본 점령기를 거쳐 필리핀 독립 이후까지 이어진다.
1818년, 누에바에시하는 이사벨라 주에서 팔라난을, 카가얀, 누에바비스카야, 키리노, 발레르, 카시구란, 인판타(구 비낭고난 데 람폰)와 폴릴로 제도를 타야바스에서, 그리고 리잘의 일부를 병합했다.[6][3] 1839년에 주(州)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설립 당시에는 현재의 마운틴 주, 이사벨라, 키리노, 북부 오로라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여 현재보다 훨씬 넓은 지역을 포함했다.[6]
필리핀 위원회는 미국 식민지 시대인 1902년에 이 지역에 민간 정부를 수립했다.[4] 1856년 5월, 누에바비스카야의 영토는 첫 수도였던 카마라그(현재 에차가게)를 포함한 북동부 지역의 상당 부분을 이사벨라 주에 할양하면서 크게 축소되었다.[5][4]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누에바비스카야(Nueva Vizcaya)라는 이름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비스케이주(스페인어로는 비스카야(Vizcaya), 바스크어로는 비즈카이아(Bizkaia)로 불림)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현재 누에바비스카야 주의 지역은 광대한 카가얀 주의 일부였다.[5] 누에바비스카야의 조직적인 종교는 도미니코회가 이 지역에 도착한 16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609년이 되어서야 종교 단체의 첫 번째 정착지가 이 지역 남부에 세워졌다. 1702년, 현재 아리타오의 바랑가이인 산타 클라라의 카라발로 산맥 기슭에 있는 부루부르에 수도원이 세워졌다. 이곳에서 누에바비스카야에서 첫 번째 미사가 열렸고, 기독교 개종자의 첫 세례가 거행되었다.
누에바비스카야에 대한 스페인 정복은 느리고 고된 과정이었다. 원주민들이 스페인 주권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여러 번 원정을 보내야 했다. 이러한 원정 중 일부에서는 필리핀 족장의 도움이 이용되었다. 이 원정 중 가장 유명한 것은 1847-1848년에 마리아노 오스카리즈가 지휘한 것으로, 그는 이 지역을 지나 루손 동해안의 팔라난까지 진출했다.[2]
1839년, 당시 카가얀의 ''알칼데 마요르''인 루이스 라르디사발의 조언에 따라[4], 당시 필리핀 총독은 누에바비스카야의 정치-군사적 주를 만들었다.[5] 이 명령은 1841년 4월 10일 왕령에 의해 승인되었다. 누에바비스카야라는 이름은 라르디사발의 고향인 스페인의 비스케이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주는 현재의 누에바비스카야, 키리노, 이푸가오, 아파야오, 칼링가 주, 벵게트, 바타네스, 이사벨라 주의 상당 부분, 그리고 북부 오로라 주의 지역을 포함했다.[5]
2. 2. 미국 식민지 시대
1908년, 누에바비스카야주의 북서쪽 지역은 새롭게 조직된 이푸가오의 하위 주로 편입되었다.[5] 1914년 토지관리국에서 실시한 조사는 그 지역을 더욱 축소시켰고, 1917년 행정법 제정으로 인해 다시 축소되었다.[4] 1905년 현재 오로라주의 북부 지역(현재의 딜라사그와 카시구란 일부 포함)은 타야바스(현재 케손)에 합병되었다. 1918년, 발레르 북쪽의 현대 오로라 지역(디나룽간, 디파쿨라오, 마리아 아우로라 포함, 카시구란과 딜라사그 외)이 누에바비스카야의 관할로 이관되었지만, 1946년 케손주로 다시 반환되었다.누에바비스카야주는 미국 시대에 필리핀 상원의 제12 선거구에 포함되었다. 이 선거구에는 마운틴 프로빈스주(현재의 아파야오, 칼링가, 마운틴 프로빈스, 벵게트 포함), 코타바토, 아구산, 다바오, 삼보앙가, 술루가 포함되었다. 이 주는 마운틴 프로빈스 및 코르디예라와 민다나오의 다른 원주민 지역과의 민족적 유사성 때문에 선거구에 포함되었다.
2. 3.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의 태평양 전쟁 동안, 일본군은 누에바비스카야를 점령하고, 이 지역에 이른바 "위안부"로 불리는 필리핀 여성들을 일본군의 통제 하에 노예로 예속시켜 조직적인 집단 강간 및 살해를 자행한 "위안소"를 설치했다.[7][8][9] 달턴 고개는 일본 제국, 필리핀 연방 및 미국군 사이의 주요 전투의 무대였으며, 1945년 5월 31일에 연합군이 승리했다.[5][10]2. 4. 필리핀 독립 이후
1971년, 공화국 법 제6394호가 통과되면서, 당시 누에바비스카야 주의 하위 행정 구역이었던 키리노 주는 모(母)주에서 분리되어 정규 주가 되었다.[5][4][11][12]3. 지리
누에바비스카야 주는 북 루손의 세 개의 큰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서쪽으로는 코르디예라 산맥, 동쪽으로는 시에라 마드레 산맥, 남쪽으로는 카라발로 산맥에 접해 있다.[5] 이 주는 가파른 산에서 완만한 구릉까지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계곡과 평야도 존재한다.[4] 카라발로 산맥은 누에바비스카야 주(그리고 카가얀 계곡 전체)를 중앙 루손 평원에서 분리한다.
누에바비스카야 주의 총 면적은 3975.67km2이다. 카가얀 계곡 지역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메트로 마닐라에서 북쪽으로 약 268km 떨어져 있고, 카가얀 계곡 도로(마할리카 고속도로)를 통해 육로로 접근할 수 있다.
3. 1. 행정 구역
누에바비스카야주는 15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바욤봉이 주도이자 주요 교육 중심지이며, 밤방(농업 중심지)과 솔라노(금융 지구)가 주요 상업 중심지이며, 카야파가 여름 수도이자 이 주의 "채소 그릇"이다. 모든 지방 자치체는 단일 입법 지구에 포함되어 있으며, 주 의회 대표를 위해 두 개의 지구로 나뉜다. 제1지구는 암바구이오, 바가바그, 바욤봉, 디아디, 케손, 솔라노, 비야베르데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지구는 알폰소 카스타녜다, 아리타오, 밤방, 둡팍 델 노르테, 둡팍 델 수르, 카야파, 카시부, 산타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지방 자치체 | 인구 | 면적 (km2) | 인구 밀도 (/km2) | 바랑가이 수 | ||
---|---|---|---|---|---|---|
2020년 | 2015년 | |||||
알폰소 카스타녜다 | 8,539 | 7,940 | 849.83km2 | 10 | 6 | |
암바구이오 | 15,472 | 15,250 | 156.26km2 | 99 | 8 | |
아리타오 | 42,197 | 37,225 | 265.6km2 | 160 | 22 | |
바가바그 | 37,985 | 35,501 | 183.9km2 | 210 | 17 | |
밤방 | 55,789 | 53,433 | 345km2 | 160 | 25 | |
바욤봉 † | 67,714 | 61,512 | 163.36km2 | 420 | 25 | |
디아디 | 19,236 | 18,122 | 181.2km2 | 110 | 19 | |
둡팍 델 노르테 | 33,295 | 27,514 | 347.3km2 | 96 | 15 | |
둡팍 델 수르 | 21,224 | 19,111 | 374.7km2 | 57 | 19 | |
카시부 | 41,776 | 37,705 | 318.8km2 | 130 | 30 | |
카야파 | 26,469 | 23,714 | 740.2km2 | 36 | 30 | |
케손 | 24,055 | 21,056 | 266.62km2 | 90 | 12 | |
산타페 | 18,276 | 16,180 | 399.81km2 | 46 | 16 | |
솔라노 | 65,287 | 59,517 | 139.8km2 | 470 | 22 | |
비야베르데 | 20,118 | 18,507 | 81.5km2 | 250 | 9 | |
합계 | 497,432 | 452,287 | 4813.88km2 | 100 | 275 | |
† 주도 |
누에바비스카야주에는 15개의 지방 자치 단체가 있으며, 총 275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3. 2. 바랑가이
누에바비스카야주에는 15개의 지방 자치체가 있으며, 총 275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scope="col"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class="unsortable" rowspan="2" | | 지방 자치체 | 인구 | scope="col" style="border-bottom:0;text-align:center;" class="unsortable" | | 면적 | 밀도 | 바랑가이 수 | |||||
---|---|---|---|---|---|---|---|---|---|---|---|
style="border-width:0 thin thin 0;" colspan="2" | | (2020) | (2015) | style="border-top:0;" | | km2 | sq mi | /km2 | /sq mi | style="border-top:0;" |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알폰소 카스타녜다 | 7,940 | 6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암바구이오 | 15,250 | 8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아리타오 | 37,225 | 22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바가바그 | 35,501 | 17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밤방 | 53,433 | 25 | ||||||||
scope="row" style="border-width:medium 0 medium medium;background-color:initial;" | | 바욤봉 | † | 61,512 | 25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디아디 | 18,122 | 19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둡팍 델 노르테 | 27,514 | 15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둡팍 델 수르 | 19,111 | 19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카시부 | 37,705 | 30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카야파 | 23,714 | 30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케손 | 21,056 | 12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산타페 | 16,180 | 16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솔라노 | 59,517 | 22 |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 | 비야베르데 | 18,507 | 9 | ||||||||
scope="row" style="border-right:0;" | | 합계 | 497,432 | 452,287 | style="text-align:right;" | | 4,813.88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style="text-align:right;" | | 275 | ||
colspan="2"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 | † 주도 | 지방 자치체 |
4. 인구
누에바비스카야주의 인구는 1903년 첫 인구 조사부터 2020년까지 꾸준히 증가해 왔다.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연도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903년 | 19,725명 |
1918년 | 35,838명 |
1939년 | 62,818명 |
1948년 | 80,555명 |
1960년 | 113,194명 |
1970년 | 147,477명 |
1975년 | 177,099명 |
1980년 | 213,151명 |
1990년 | 282,394명 |
1995년 | 334,565명 |
2000년 | 366,962명 |
2007년 | 421,355명 |
2010년 | 452,287명 |
2015년 | 452,287명 |
2020년 | 497,432명 |
누에바비스카야주에는 15개의 지방 자치 단체가 있으며, 총 275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2010년 인구 기준으로 솔라노의 ''록사스''가 가장 인구가 많았으며, 산타 페의 ''산타 로사''가 가장 인구가 적었다.[10]
4. 1. 민족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누에바비스카야주의 인구는 497,432명이며, 인구 밀도는 120PD/km2이다.누에바비스카야주에는 약 18개의 토착 민족이 거주하며, 주요 부족은 다음과 같다.
- 이푸가오족(케손, 바가바그, 카시부)
- 가당족(솔라노 및 바욤봉)
- 이시나이족(두팍 델 수르 및 밤방)
- 두마갓족(아리타오)
- 칼란구야족(산타페)
- 부글칼롯족(알폰소 카스타녜다 및 두팍 델 노르테)
이들 토착 민족 집단은 주의 일부 지역에 대한 조상 영토 권리를 신청했다.[13][14]
일로카노족은 1700년대부터 담배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스페인 행정부에 의해 이주해 온 노동자들의 후손으로, 토착민은 아니다. 이후 교회 및 기타 구조물 건설 기술을 가진 이민자들도 이주해 왔다. 토착 부족들은 스페인 사람들과 협력하지 않았고,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스페인 관리들은 팡가시난과 일로코스 해안 지역에서 훈련된 노동력을 수입하기로 결정했다. 스페인 의회는 노동력 이주 필요성을 심의했고, 과반수 투표와 국왕의 승인을 거쳐 일로카노족의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이들에게는 농지가 제공되었다.[15]
누에바비스카야주 설립 이후, 초기 정착민인 이고로트족(일롱고트족 (부글칼롯), 이푸가오족, 이시나이족, 칼란구야족, 가당족, 팡가시난족)의 문화와 관습이 여전히 남아 있다.[15] 문명의 유입과 현대 기술의 도입으로 인접 지역으로부터의 이민도 발생했다. 누에바비스카야주는 기술적으로 코르디예라에 속해 코르디예라 자치 지역 포함이 추진되었으나, 국가 정부의 자치 코르디예라 제정 실패로 무산되었다. 오늘날, 문화적, 지리적 연결성에도 불구하고 누에바비스카야주가 코르디예라 행정구에서 제외된 것에 대한 의문이 남아 있다. 이 지역은 코르디예라 지역 외부에 가장 많은 이고로트족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타갈로그족은 누에바에시하주와의 경계와 수도인 바욤봉에 거주한다.

4. 2. 언어
누에바비스카야주는 루손섬에서 가장 다양한 토착 언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코르디예라 산맥과의 문화적, 지리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필리핀어 위원회(Komisyon ng Wikang Filipino)에 따르면 이 주의 토착 언어는 ''부글루트어''(Bugkalut language), ''이발로이어''(Ibaloy language), ''이푸가오어''(Ifugaw language), ''이구왁어''(Iguwak language), ''이룽둥간어''(Irungdungan language), ''이시네이어''(Isinay language), ''칼랑구야어''(Kalanguya language), ''칸카나에이어''(Kankanaey language)이다.[13][14]일로코스 지역 사람들이 이주해 오면서 일로카노어와 문화가 유입되었고, 일로카노어는 이 지역의 ''공용어''(lingua franca)가 되었다. 일로카노어 억양은 원주민들의 언어에 영향을 받았다. 일로카노족의 근면함과 사업가적 기질, 농업 등의 산업 분야에서의 재능은 이 지역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누에바비스카야주는 과거 카가얀주의 일부였기 때문에, 소수의 주민들은 이바나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4. 3. 종교
로마 가톨릭교는 누에바 비스카야주 인구의 약 63%를 차지한다.[16] 그 외 종교로는 아글리파얀 교회, Iglesia ni Cristo (누에바 비스카야주 인구의 약 5~6%[17]),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침례교, 감리교, 오순절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및 기타 복음주의 기독교 (누에바 비스카야주 인구의 약 17%~20%[18][19]), 무슬림과 토착 코르디예라 종교가 있다.5. 경제
누에바비스카야주는 쌀, 옥수수, 과일, 채소를 주요 작물로 하는 농업이 주 산업이다.[5] 특히 포멜로, 폰칸, 오렌지를 생산하는 주요 감귤류 생산지이다. 밤방에 위치한 누에바비스카야 농업 터미널은 인근 지방과 메트로 마닐라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카시부 시에 위치한 디디피오 광산과 같은 광산업도 지방 수입에 기여하고 있다.[20][21] 그러나 광산 활동으로 인해 수원 고갈, 환경 오염, 농부와 어부의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22][23][24]
광물 및 지구과학국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발견된 금속 광물 매장량은 구리, 금, 몰리브덴, 황철석이다. 비금속 매장량에는 적토, 백토, 석회암이 포함되며, 모래와 자갈이 가장 풍부하다.[25]
2008년 1월 11일, 카가얀 어업 및 수산 자원국 (BFAR)은 틸라피아(틸라피아아과 족에 속하는 시클리드 물고기 종) 생산량이 증가했으며 카가얀 계곡이 현재 필리핀의 틸라피아 수도(성 베드로의 물고기)라고 밝혔다. 2003년 이후 생산 공급량은 37.25% 증가하여 2007년에는 14000ton에 달했다. 최근 수산 회의에서 틸라피아 생산량 증가는 정부의 개입, 즉 빠른 성장 종 제공, 양질의 치어 공급을 위한 사설 부화장 인가, 시범 농장 설립, 새로 건설된 양어장에 치어 무료 제공, 디아디 마을의 누에바비스카야로 틸라피아 보급 등으로 인한 것으로 밝혀졌다.[26]
6. 문화
누에바비스카야 주에서는 매년 5월, 주 건립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암무간 축제를 개최한다. "암무간"은 가당족 언어로서 "모임"을 의미하며, 이는 이 지역의 다양한 민족언어 집단의 단결을 상징한다.
6. 1. 암무간 축제
매년 5월, 누에바비스카야 주는 건립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5일간의 암무간 축제를 개최한다. "암무간"이라는 단어는 주 내의 다양한 가당족 언어에서 "모임"을 의미하며, 이는 이 지역의 다양한 민족언어 집단의 단결을 상징한다. 이 축제는 문화 전시, 미인 대회, 농업 무역 박람회, 관광 박람회, 댄스 경연 대회 및 콘서트를 포함한 다양한 쇼를 선보인다.7. 교육
- 성 카테린 학교 (밤방)
- 누에바비스카야 주립 대학교 - 바욤봉과 밤방에 캠퍼스가 있음.
- 성 마리아 대학교 (''바욤봉'')
- 뮤어 우즈 아카데미 (''바욤봉'')
- 필리핀 과학 고등학교 - 카가얀 밸리 캠퍼스 (''바욤봉'')
- 앨더스게이트 칼리지 (''솔라노'')
- 시에라 칼리지 (''바욤봉'')
- PLT 칼리지 (''바욤봉'')
- JARS 아카데미 (''바욤봉'')
- 필리핀 킹스 칼리지 (''밤방'')
- 성 마리아 듀팍 학교
- 아리타오 성 테레시타 아카데미
- 듀팍 델 노르테 국립 고등학교
- 듀팍 델 수르 국립 고등학교
- 가나오 국립 고등학교
- 성 카테린 시에나
- 성 루이스 학교 (솔라노)
- 솔라노 고등학교 (솔라노)
- 누에바비스카야 종합 고등학교 (바욤봉)
- 북 루손 기술 연구소 (바욤봉)
- 누에바비스카야 간병인 아카데미 (솔라노)
- 누에바비스카야 연구소 (아리타오)
- 솔라노 기술 연구소 (솔라노)
- 비즈카야 컴퓨터 과학 연구소 (바욤봉)
8. 저명한 인물
- 카를로스 파디야 (두팍스델노르테) - 누에바비스카야 주지사 및 국회의원 (2016-2022, 1987–1992, 1995–2004, 2007–2016)
- 에디스 티엠포 (바욤봉) - 문학 국가 예술가
- 존 카스트리시오네스 (바욤봉) - 농지개혁부 장관 (2017–2021)
- 다닐로 림 (솔라노) - 육군 장교, 쿠데타 모의자,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장 (2017–2021)
- 비센테 다나오 (바욤봉) - 필리핀 국가 경찰청장 (2022)
- 레오나르도 B. 페레즈 (바욤봉) - 상원의원 (1967–1972) 및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1973–1980)
- 로메오 A. 브라우너 (솔라노) -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2008)
- 로이 V. 아라곤 (두팍스델노르테) - 작가
- 짐보이 마틴 (솔라노) - 배우/래퍼 - PBB 737 우승자
- 힐라리에 파룬가오 (솔라노) - 미스 월드 2015 대회에서 필리핀 대표 및 10위권 진출
- 마리테스 비투그 (솔라노) - 탐사 저널리스트
- 자이자 크루즈 바카니 (밤방) - 2015년 뉴욕 타임스 매거진에 의해 처음으로 인정받은 국제 스트리트 사진작가
- 스테이시 세비야 (바가방) - 비니 멤버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12-16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hilippines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2021-01-19
[3]
웹사이트
Who We Are: Nueva Ecija
https://region3.dilg[...]
2024-07-06
[4]
웹사이트
Provincial Profile
https://web.archive.[...]
2015-01-17
[5]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https://books.google[...]
Tahanan Books
1995
[6]
웹사이트
Aurora, Philippines – History
http://www.aurora.ph[...]
2023-02-18
[7]
뉴스
Philippine Survivor Recounts Her Struggle As A 'Comfort Woman' For Wartime Japan
https://www.npr.org/[...]
NPR
2021-08-15
[8]
서적
The Other Empire: Literary Views of Japan from the Philippines, Singapore, and Malaysia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21-08-15
[9]
웹사이트
Women made to be Comfort Women - Philippines
https://www.awf.or.j[...]
2023-04-14
[10]
서적
Triumph in the Philippines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2005
[11]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734 - An Act Creating the Subprovince of Quirino in the Province of Nueva Vizcaya
http://www.chanroble[...]
2015-01-13
[12]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Quirino
https://web.archive.[...]
2015-01-13
[13]
웹사이트
Dipaculao Egongot ICCA, Philippines
http://www.iccaregis[...]
2020-06-08
[14]
뉴스
IP tribe pushes domain claim
https://manilastanda[...]
2017-05-01
[15]
뉴스
Nueva Vizcaya mounts Ammungan fest, celebrates diversity
https://web.archive.[...]
2014-07-14
[16]
웹사이트
MAP: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21-04-03
[17]
웹사이트
MAP: Iglesia ni Cristo in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21-04-03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10-09
[19]
웹인용
Nueva Vizcaya Statistical Tables
http://psa.gov.ph/si[...]
[20]
뉴스
OceanaGold inks deal
https://web.archive.[...]
2013-10-17
[21]
뉴스
OceanaGold to invest $20m
https://web.archive.[...]
2013-09-13
[22]
웹사이트
Highlights of complaints submitted to UN human rights body
https://www.bulatlat[...]
2020-03-07
[23]
웹사이트
Investigating mining pollution and plunder in Nueva Vizcaya
https://www.bulatlat[...]
2014-10-05
[24]
웹사이트
Nueva Vizcaya officials vow to block renewal of OceanaGold mining permit
http://www.rappler.c[...]
2018-03-06
[25]
웹사이트
Mines and Geosciences Bureau; Mines Sector
https://web.archive.[...]
2016-04-22
[26]
웹사이트
Abs-Cbn Interactive, Cagayan Valley country's tilapia capital
http://www.abs-cbnne[...]
2008-01-13
[27]
웹사이트
Legislative Branch – Nueva Vizcaya, Philippines
https://nuevavizcaya[...]
2020-02-19
[28]
웹사이트
Nueva Vizcaya presents 5th 'Ammungan ' Festival
https://rdc.rdc2.gov[...]
2024-10-03
[29]
뉴스
Nueva Vizcaya's Ammungan Festival to showcase local products
https://manilastanda[...]
2024-10-03
[30]
뉴스
Nueva Vizcaya holds 15th Ammungan festival
https://news.abs-cbn[...]
2024-10-03
[31]
웹사이트
Senate honors the "Legend of the North"
https://legacy.senat[...]
2024-05-11
[32]
웹사이트
Order of National Artists: Edith L. Tiempo
https://web.archive.[...]
2024-05-02
[33]
뉴스
PROFILE: John Castriciones {!} Candidate for Senator - 2022 elections
https://ph.rappler.c[...]
2024-05-02
[34]
뉴스
Danny Lim: The West Pointer who rebelled against a system, then embraced it
https://www.rappler.[...]
2021-01-06
[35]
웹사이트
Danao takes over from Dela Rosa
https://edgedavao.ne[...]
Edge Davao
2024-05-02
[36]
웹사이트
Senate Resolution No. 36
https://legacy.senat[...]
Sena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4-05-02
[37]
뉴스
Hillarie Danielle Parungao is Miss World Philippines 2015
https://www.manilast[...]
2024-05-02
[38]
뉴스
Dañguilan-Vitug launches book in NV
https://issuu.com/th[...]
Saint Mary's University
2012-10
[39]
뉴스
Stacey Sevilleja on Growing with BINI: ‘A Good Heart Will Always Win’
https://vogue.ph/lif[...]
Vogue Philippines
2024-10-28
[40]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41]
간행물
2000
[42]
간행물
2003
[43]
간행물
2006
[44]
간행물
2012
[45]
간행물
2015
[46]
간행물
2018
[47]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