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와라모토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와라모토역은 일본 나라현 다와라모토정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킨테츠)의 역으로, 가시하라 선과 다와라모토 선이 지나는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텐리역에서 관리하는 유인역이다. 1923년 오사카 전기 궤도 우네비선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다와라모토역이 되었다. 역 주변에는 다와라모토 정청, 학교, 상업 시설, 종교 시설 등이 위치해 있으며,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4,745명이 이용했다. 2009년 서쪽 출구 역사 신설 및 역전 광장 정비 사업을 통해 니시다와라모토역과의 환승 편의성이 개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현의 철도역 - 미미나시역
미미나시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역으로, 승강장 길이 200m, 대기실을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는 유메 타운 쇼핑 센터, 도서관, 공원, 종합병원, 문화회관 등의 시설이 있다. - 나라현의 철도역 - 야마토코이즈미역
야마토코이즈미역은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있는 JR 서일본 간사이 본선(야마토지선)의 역으로, 통근 특급 "라쿠라쿠 야마토"가 정차하며 나라현 내 JR 역 중 세 번째로 많은 승차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 - 교토역
교토역은 JR, 킨테츠, 교토 시영 지하철 등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대규모 복합 환승역이자, JR 교토 이세탄 백화점, 호텔 등을 포함한 복합 시설을 갖춘 교토의 랜드마크이며, 국내외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 - 쓰신마치역
쓰신마치역은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역으로, 1931년 개업하여 2023년 무인화되었으며 섬식 및 측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특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쓰시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다와라모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다와라모토 역 |
원래 이름 | 田原本駅 (Tawaramoto-eki) |
종류 | 긴키 닛폰 철도 통근 철도 역 |
위치 | 일본 나라현 시키군 다와라모토정 171 |
소유주 | 긴키 닛폰 철도 |
운영자 | 긴키 닛폰 철도 |
노선 | 가시하라 선 다와라모토 선 |
거리 | 15.9 km |
승강장 | 2개의 상대식 승강장 |
선로 수 | 2 |
열차 운영자 | 긴키 닛폰 철도 |
버스 정류장 | 나라 교통 버스 노선: 다와라모토 버스 센터 21번 |
택시 승강장 | 이용 가능 |
연결 노선 | 니시-다와라모토 역에서 다와라모토 선 |
구조 | 지상 |
주차장 | 이용 가능 |
자전거 주차 | 이용 가능 |
접근성 | 경사로를 통해 각 매표소와 승강장 접근 가능 |
역 코드 | B36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개업일 | 1923년 3월 21일 |
전철화 여부 | 완료 |
이전 이름 | 긴키 닛폰 다와라모토 (1944—1964) 간큐 다와라모토 (1941—1944) 다이키 다와라모토 (1928—1941) |
일일 승객 수 | 4745명 |
승객 수 연도 | 2019년 |
![]() | |
![]() | |
인접 역 | |
가시하라 선 | 이전 역: 이와미 다음 역: 가사누이 역 |
다와라모토 선 | 이전 역: 구로다 역 |
노선 정보 | |
가시하라 선 노선 | 이전 역: 이와미 (B35) 다음 역: 가사누이 역 (B37) |
영업 거리 | 야마토사이다이지 역 기점 15.9km |
2. 역 구조
다와라모토역은 2면 2선의 지상역이다. 오사카 방면(동쪽 출구)과 나라 방면(서쪽 출구) 양쪽에 역 건물이 있으며, 각 승강장은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동쪽 출구 개찰구는 오사카 방면 승강장과, 서쪽 출구 개찰구는 경사로를 통해 나라 방면 승강장과 연결된다. 지하 통로와 양쪽 승강장 사이에는 계단만 있고,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14]
덴리역 관리 유인역으로, PiTaPa, ICOCA 대응 자동 개찰구 및 자동 정산기(회수권 카드 및 IC 카드 충전 대응)가 설치되어 있다. 특급권 및 정기권은 전용 자동 판매기에서 구매할 수 있다.[14]
2. 1. 승강장
다와라모토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플랫폼을 갖춘 지상역이다. 1번 승강장은 가시하라진구마에 방면 하행 열차가, 2번 승강장은 야마토사이다이지, 교토 방면 상행 열차가 정차한다. 각 승강장은 6량 편성 열차에 대응 가능하다.[15]2. 1. 1. 타는 곳
승강장 | 노선 | 방향 | 행선지 |
---|---|---|---|
1 | 가시하라 선 | 하행 | 야마토야기, 가시하라진구마에 방면[15] |
2 | 상행 | 야마토사이다이지, 교토 방면[15] | |
-- |
상대식 2면 2선의 홈을 가진 지평역이다. 홈 유효 길이는 6량분이다. 역사는 하행선 측(동쪽 출구)과 상행선 측(서쪽 출구)에 각각 있으며, 상행 홈과 하행 홈은 지하도(개량 공사 전에는 구내 건널목)로 연결되어 있다. 동쪽 출구 개찰구와 하행 홈, 서쪽 출구 개찰구와 상행 홈은 각각 경사로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지하도와 양쪽 홈의 왕래는 계단만 있으며,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덴리역 관리의 유인역으로, PiTaPa・ICOCA 대응의 자동 개찰구 및 자동 정산기(회수권 카드 및 IC카드의 충전에 대응)가 설치되어 있다. 특급권 및 정기권은 전용 자동 판매기에서 즉시 구매가 가능하다.[14]
2. 2. 역사 및 시설
다와라모토역은 2개의 상대식 승강장과 2개의 선로를 갖춘 고가역이다. 승강장 유효 길이는 6량 편성 열차에 충분하다. 역 건물은 오사카 방면(동쪽 출구)과 나라 방면(서쪽 출구) 양쪽에 있으며, 오사카 방면 승강장과 나라 방면 승강장은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동쪽 출구 개찰구는 오사카 방면 승강장과 연결되고, 서쪽 출구 개찰구는 경사로를 통해 나라 방면 승강장과 연결된다. 지하 통로와 양쪽 승강장 사이에는 계단만 있으며,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14]텐리역 관리 유인역으로, PiTaPa・ICOCA 대응 자동 개찰구 및 자동 정산기(회수권 카드 및 IC카드의 충전에 대응)가 설치되어 있다. 특급권 및 정기권은 전용 자동 판매기에서 즉시 구매할 수 있다.[14]
3. 역 주변
다와라모토역과 니시다와라모토역 주변은 다와라모토정의 중심지로, 다와라모토 정청, 다와라모토 정 제1체육관, 다와라모토 시청, 나라현 이소키노 고등학교 등 여러 시설이 위치해 있다.
3. 1. 공공 시설
- 다와라모토 정청
- 다와라모토 경찰청사
- 나라현립 시키노 고등학교
- 다와라모토 우체국
3. 2. 상업 시설
- 나라 중앙 신용금고 본점
- 난토 은행 다와라모토 지점
3. 3. 종교 시설
- 정조사
- 본서사
- 쓰시마 신사
- 거울 만들기 옥좌 천조 어혼 신사
- 덴리교 다와라모토 분교회
3. 4. 기업
타미야 제작소 본사[1], 시나가와 공업소 본사[2], 나라 니시카와 본사[3]가 있다.4. 이용 현황
2019 회계 연도 기준, 다와라모토역의 하루 평균 승객은 4,745명(승차 인원 기준)이었다.[4]
4. 1. 연도별 이용 현황 (다와라모토역)
다와라모토역과 니시다와라모토역의 연도별 이용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수송 실적(승차 인원)은 '명/연도' 단위로, 연도별 총계값을 나타낸다.[20] 연도 간 비교에 적합하며, 다와라모토역-니시다와라모토역 간 환승 인원은 포함되지 않는다(각 역에서 여행을 시작한 승객 수).
- 승하차 인원 조사 결과는 특정 1일의 값(단위: 명)이다. 조사일의 날씨·행사 등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연도 간 비교 시 주의해야 한다. 다와라모토역-니시다와라모토역 간 환승 인원은 양쪽 역 승하차 인원에 모두 포함된다.
- 표에서 최고값은 빨간색, 최고값 기록 연도 이후 최저값은 파란색, 최고값 기록 연도 이전 최저값은 녹색으로 표기한다.
연도별 이용 현황(다와라모토역) | |||||||
---|---|---|---|---|---|---|---|
연도 | 당역분 수송 실적(승차 인원): 명/연도 | 승하차 인원 조사 결과: 명/일 | 특기 사항 | ||||
통근 정기 | 통학 정기 | 정기 외 | 합계 | 조사일 | 조사 결과 | ||
1982년(쇼와 57년) | ←←←← | 11월 16일 | 14,008 | ||||
1983년(쇼와 58년) | ←←←← | 11월 8일 | 15,361 | ||||
1984년(쇼와 59년) | ←←←← | 11월 6일 | 14,873 | ||||
1985년(쇼와 60년) | ←←←← | 11월 12일 | 14,246 | ||||
1986년(쇼와 61년) | ←←←← | 11월 11일 | 15,123 | ||||
1987년(쇼와 62년) | ←←←← | 11월 10일 | 15,240 | ||||
1988년(쇼와 63년) | ←←←← | 11월 8일 | 16,873 | ||||
1989년(헤이세이 원년) | ←←←← | 11월 14일 | 16,380 | ||||
1990년(헤이세이 2년) | ←←←← | 11월 6일 | 16,188 | ||||
1991년(헤이세이 3년) | ←←←← | ||||||
1992년(헤이세이 4년) | ←←←← | 11월 10일 | 15,220 | ||||
1993년(헤이세이 5년) | ←←←← | ||||||
1994년(헤이세이 6년) | ←←←← | ||||||
1995년(헤이세이 7년) | ←←←← | 12월 5일 | 15,435 | ||||
1996년(헤이세이 8년) | ←←←← | ||||||
1997년(헤이세이 9년) | ←←←← | ||||||
1998년(헤이세이 10년) | ←←←← | ||||||
1999년(헤이세이 11년) | ←←←← | ||||||
2000년(헤이세이 12년) | ←←←← | ||||||
2001년(헤이세이 13년) | ←←←← | ||||||
2002년(헤이세이 14년) | ←←←← | ||||||
2003년(헤이세이 15년) | ←←←← | ||||||
2004년(헤이세이 16년) | ←←←← | ||||||
2005년(헤이세이 17년) | 1,260,210 | ←←←← | 520,970 | 1,781,180 | 11월 8일 | 13,375 | |
2006년(헤이세이 18년) | 1,228,680 | ←←←← | 510,876 | 1,739,556 | |||
2007년(헤이세이 19년) | 1,279,410 | ←←←← | 508,870 | 1,788,280 | |||
2008년(헤이세이 20년) | 1,284,240 | ←←←← | 501,915 | 1,786,155 | 11월 18일 | 13,302 | |
2009년(헤이세이 21년) | 1,245,540 | ←←←← | 487,804 | 1,733,344 | |||
2010년(헤이세이 22년) | 1,223,820 | ←←←← | 511,014 | 1,734,834 | 11월 9일 | 13,801 | |
2011년(헤이세이 23년) | ←←←← | ||||||
2012년(헤이세이 24년) | ←←←← | 11월 13일 | 13,130 | ||||
2013년(헤이세이 25년) | ←←←← | ||||||
2014년(헤이세이 26년) | ←←←← | ||||||
2015년(헤이세이 27년) | ←←←← | 11월 10일 | 13,173 | ||||
2016년(헤이세이 28년) | ←←←← | ||||||
2017년(헤이세이 29년) | ←←←← | ||||||
2018년(헤이세이 30년) | 1,210,920 | ←←←← | 524,373 | 1,735,293 | 11월 13일 | 13,250 | |
2019년(레이와 원년) | 1,215,300 | ←←←← | 521,266 | 1,736,566 | |||
2020년(레이와 2년) | ←←←← | ||||||
2021년(레이와 3년) | ←←←← | 11월 9일 | 11,088 | ||||
2022년(레이와 4년) | ←←←← | 11월 8일 | 11,211 | ||||
2023년(레이와 5년) | ←←←← | 11월 7일 | 11,569 | ||||
연도별 이용 현황(니시다와라모토역) | |||||||
---|---|---|---|---|---|---|---|
연도 | 당역분 수송 실적(승차 인원): 명/연도 | 승하차 인원 조사 결과: 명/일 | 특기 사항 | ||||
통근 정기 | 통학 정기 | 정기 외 | 합계 | 조사일 | 조사 결과 | ||
1982년(쇼와 57년) | ←←←← | 11월 16일 | 4,853 | ||||
1983년(쇼와 58년) | ←←←← | 11월 8일 | 4,848 | ||||
1984년(쇼와 59년) | ←←←← | 11월 6일 | 4,842 | ||||
1985년(쇼와 60년) | ←←←← | 11월 12일 | 4,588 | ||||
1986년(쇼와 61년) | ←←←← | 11월 11일 | 5,440 | ||||
1987년(쇼와 62년) | ←←←← | 11월 10일 | 5,321 | ||||
1988년(쇼와 63년) | ←←←← | 11월 8일 | 6,781 | ||||
1989년(헤이세이 원년) | ←←←← | 11월 14일 | 5,901 | ||||
1990년(헤이세이 2년) | ←←←← | 11월 6일 | 6,165 | ||||
1991년(헤이세이 3년) | ←←←← | ||||||
1992년(헤이세이 4년) | ←←←← | 11월 10일 | 5,828 | ||||
1993년(헤이세이 5년) | ←←←← | ||||||
1994년(헤이세이 6년) | ←←←← | ||||||
1995년(헤이세이 7년) | ←←←← | 12월 5일 | 6,112 | ||||
1996년(헤이세이 8년) | ←←←← | ||||||
1997년(헤이세이 9년) | ←←←← | ||||||
1998년(헤이세이 10년) | ←←←← | ||||||
1999년(헤이세이 11년) | ←←←← | ||||||
2000년(헤이세이 12년) | ←←←← | ||||||
2001년(헤이세이 13년) | ←←←← | ||||||
2002년(헤이세이 14년) | ←←←← | ||||||
2003년(헤이세이 15년) | ←←←← | ||||||
2004년(헤이세이 16년) | ←←←← | ||||||
2005년(헤이세이 17년) | 171,060 | ←←←← | 91,554 | 262,614 | 11월 8일 | 5,115 | |
2006년(헤이세이 18년) | 174,060 | ←←←← | 90,096 | 264,156 | |||
2007년(헤이세이 19년) | 182,700 | ←←←← | 90,268 | 272,968 | |||
2008년(헤이세이 20년) | 183,060 | ←←←← | 90,648 | 273,708 | 11월 18일 | 5,252 | |
2009년(헤이세이 21년) | 171,390 | ←←←← | 87,634 | 259,024 | |||
2010년(헤이세이 22년) | 177,150 | ←←←← | 90,768 | 267,918 | 11월 9일 | 5,676 | |
2011년(헤이세이 23년) | ←←←← | ||||||
2012년(헤이세이 24년) | ←←←← | 11월 13일 | 4,387 | ||||
2013년(헤이세이 25년) | ←←←← | ||||||
2014년(헤이세이 26년) | ←←←← | ||||||
2015년(헤이세이 27년) | ←←←← | 11월 10일 | 4,809 | ||||
2016년(헤이세이 28년) | ←←←← | ||||||
2017년(헤이세이 29년) | ←←←← | ||||||
2018년(헤이세이 30년) | 179,490 | ←←←← | 91,094 | 270,584 | 11월 13일 | 5,690 | |
2019년(레이와 원년) | 176,640 | ←←←← | 86,943 | 263,583 | |||
2020년(레이와 2년) | ←←←← | ||||||
2021년(레이와 3년) | ←←←← | 11월 9일 | 4,766 | ||||
2022년(레이와 4년) | ←←←← | 11월 8일 | 4,019 | ||||
2023년(레이와 5년) | ←←←← | 11월 7일 | 4,271 | ||||
5. 역사
1923년 오사카 전기 궤도 우네비 선(현재의 가시하라 선) 개통과 함께 다와라모토역이 영업을 시작했다.[7][8] 이후 1941년 산구 급행 철도와 합병, 1944년 난카이 전기 철도와 합병을 거쳐 긴키 닛폰 철도 소속이 되었다.[8]
가시하라 선과 다와라모토 선 접속역이지만, 두 노선은 각각 다른 회사(오사카 전기 궤도, 야마토 철도)에 의해 건설되어 독립된 역사를 지닌다. 1964년경 다와라모토역과 니시다와라모토역 통합 이전 계획이 있었으나, 지역 주민 반대로 무산되었다.[7][9]
5. 1. 연혁
- 1923년 (다이쇼 12년) 3월 21일: 오사카 전기 궤도 우네비선(현재의 가시하라 선) 히라하타 - 가시하라진구마에(초대) 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7][8]
- 1928년 (쇼와 3년) 8월: '''다이키 다와라모토역'''으로 개칭.[7]
- 1941년 (쇼와 16년) 3월 15일: 오사카 전기 궤도가 산구 급행 전철을 합병하여 간사이 급행 철도의 역이 됨.[8] '''칸큐 다와라모토역'''으로 개칭.[7][9]
- 1944년 (쇼와 19년) 6월 1일: 전시 합병으로 간사이 급행 철도가 긴키 닛폰 철도로 개칭.[8] 역명을 '''긴키 닛폰 다와라모토역'''으로 개칭.[7][9]
- 1964년 (쇼와 39년) 10월 1일: '''다와라모토역'''으로 다시 개칭. 이 날 긴테쓰는 시키이코마 전기철도를 합병했고, 그 전까지 다와라모토역을 칭하던 시키이코마 전기철도의 역이 니시타와라모토역으로 개칭.[7][9]
- 1990년 (헤이세이 2년) 3월 12일: 역사 개량 공사 완료. 구내 건널목이 폐지되어 지하도로 변경, 승강장이 6량 편성에 대응하도록 연장됨.
- 1992년 (헤이세이 4년) 3월: 자동 개찰기 설치. 단말기 설치로 정기권 예약 발매역에서 즉시 발매역으로 변경됨.
- 2001년 (헤이세이 13년) 2월 1일: SF(스토어드 페어) 시스템 도입 및 "스룻토 KANSAI" 대응 카드 취급 개시, 당역에서 "중도 하차 지정역" 제도 폐지.
- 2007년 (헤이세이 19년) 4월 1일: PiTaPa 사용 개시.[10]
- 2009년 (헤이세이 21년) 12월 6일: 서쪽 출구 역사 사용 개시.[11] 동쪽 출구 역사에 정기권・특급권 자동 발매기 신설, 창구는 계절 영업(원칙적으로 폐지)으로 변경.
6. 인접역
긴테쓰 다와라모토 선
: '''니시다와라모토역 (I36)''' - 구로다역 (I37)
6. 1.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역)
긴테쓰 가시하라 선- 급행
히라하타역 (B32) - '''다와라모토역 (B36)''' - 야마토야기역 (B39)
- 보통
이와미역 (B35) - '''다와라모토역 (B36)''' - 가사누이역 (B37)
7. 니시다와라모토역
1918년 4월 26일, 야마토 철도가 신오지 - 당역 구간을 개업하면서 '''다와라모토역'''으로 설치되었다. 1922년 9월 3일 야마토 철도가 아지마역까지 연장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8] 1944년 1월 11일에는 당역 - 사쿠라이 구간이 휴지(1958년 폐지)되었다.[8]
1961년 10월 1일 야마토 철도가 시키이코마 전기철도에 합병되어 해당 회사의 역이 되었고,[8] 1964년 10월 1일 긴키 닛폰 철도에 합병되면서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선의 역이 되면서 '''니시다와라모토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8][12] 2007년 4월 1일부터 PiTaPa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13]
7. 1. 역 구조 (니시다와라모토역)
두단식 1면 2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역사는 선로가 끊기는 부분에 있다. 승강장 위에는 대합실이 있다. 오지역이 관리하는 유인역으로, PiTaPa·ICOCA 대응 자동 개찰기 및 자동 정산기(회수권 카드 및 IC 카드의 충전에 대응)가 설치되어 있다.[16]
7. 1. 1. 타는 곳 (니시다와라모토역)
구내에는 보선 차량용 유치선에 접해 옛 야마토 철도 시대의 승강장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