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크로뮴산 포타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강한 산화력을 가진 물질로, 주로 유기 화학 반응에서 산화제로 사용되며, 알코올을 카르복실산 또는 케톤으로 산화시키는 데 쓰인다. 과거에는 실험 기기 세척에 사용되었으나, 독성 및 환경 오염 문제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다.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주로 염화 칼륨과 다이크로뮴산 나트륨의 반응으로 제조되며, 크롬 명반의 전구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물질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며, 피부염, 발암성, 부식성 등 유해성이 있어 취급에 주의해야 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독극물, 위험물, 특정 화학 물질로 규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뮴산염 - 크롬산칼륨
크롬산칼륨은 K₂CrO₄ 화학식을 갖는 무기 화합물로, 산화제, 무기 분석 시약, 침전 적정 지시약 등으로 사용되며, 발암물질 및 부식성을 지닌다. - 화합물 - 염기
염기는 수소 이온을 받거나 전자쌍을 제공하는 물질로, 금속 산화물 형태를 띠며 쓴맛과 미끈거리는 특징을 가진 전해질이고,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리, 루이스 등의 정의가 있으며, 중화반응, pH 변화, 다양한 산업 분야 활용, 여러 종류의 염기 분류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화합물 - 염
염은 산과 염기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이온 화합물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되고 산성염, 염기성염, 정염으로 분류되며, 이온 결합,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고, 앙금 생성 반응을 보이며, 식품, 제조, 농업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 칼륨 화합물 - 염화 칼륨
염화칼륨(KCl)은 칼륨 이온과 염화물 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성 화합물로, 칼륨 비료, 화학 공업, 의학, 사형 집행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면심입방구조와 광학적 특성을 지니고, 캐나다, 러시아, 벨라루스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 칼륨 화합물 - 아세트산 칼륨
아세트산 칼륨은 아세트산을 칼륨 염기로 처리하여 제조되며, 제빙제, 소화제, 식품 첨가물, 의약품, 조직 보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다이크로뮴산 포타슘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IUPAC 명칭 | 다이크로뮴산 칼륨(VI) |
다른 이름 | 다이크로뮴산 칼륨 중크롬산 칼륨 이포타슘 다이크로메이트 다이크로뮴산, 이포타슘 염 크롬산, 이포타슘 염 로페사이트 |
화학식 | K2Cr2O7 |
몰 질량 | 294.185 g/mol |
외형 | 적등색 결정성 고체 |
냄새 | 무취 |
물성 | |
밀도 | 2.676 g/cm3, 고체 |
용해도 | 4.9 g/100 mL (0 °C) |
용해도 (20°C) | 13 g/100 mL |
용해도 (100°C) | 102 g/100 mL |
다른 용매 용해도 | 에탄올, 아세톤에 불용 |
녹는점 | 398 °C |
끓는점 | 500 °C (분해) |
굴절률 | 1.738 |
구조 | |
배위 | 사면체 (Cr) |
결정 구조 | 삼사정계 (α-형, <241.6 °C) |
![]() | |
열화학 | |
생성 엔탈피 | −2033 kJ/mol |
엔트로피 | 291.2 J/(K·mol) |
열용량 | 219 J/mol |
위험성 | |
주된 위험 | 발암성, 부식성 |
GHS 그림 문자 | '' |
NFPA 704 | 보건: 4 화재: 0 반응성: 1 기타: OX |
인화점 | 불연성 |
LD50 | 25 mg/kg (경구, 쥐) |
UN 번호 | 3288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크로뮴산 칼륨 몰리브데넘산 칼륨 텅스텐산 칼륨 |
다른 양이온 | 다이크로뮴산 암모늄 다이크로뮴산 나트륨 |
관련 화합물 | 과망가니즈산 칼륨 |
식별 | |
CAS 등록번호 | 7778-50-9 |
UNII | T4423S18FM |
ChemSpider ID | 22910 |
ChEMBL | 1374101 |
PubChem | 24502 |
EINECS | 231-906-6 |
RTECS | HX7680000 |
2. 화학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강한 산화력을 지닌 화합물이다. 이러한 성질 덕분에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측정 시약, 크롬 도금, 사진 현상, 화약의 산화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7].
과거에는 황산과 혼합하여 크롬산 혼합액 형태로 만들어 실험 기구 세척 등에 사용하기도 했으나, 크로뮴 화합물의 독성 및 환경 오염 문제, 폐액 처리의 어려움 때문에 현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17].
2. 1. 제조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일반적으로 염화 칼륨과 다이크로뮴산 나트륨의 반응을 통해 제조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크롬철광과 같은 크로뮴 광석을 수산화 칼륨과 함께 가열하여 크로뮴산 칼륨을 얻고, 이를 다시 다이크로뮴산 칼륨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있다.다이크로뮴산 칼륨은 물에 잘 녹으며, 용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이온화된다.
: K2Cr2O7 → 2 K+ + Cr2O72−
: Cr2O72− + H2O ⇌ 2 CrO42− + 2 H+
2. 2. 반응
유기 화학에서 산화제로 사용되며, 그 세기는 과망가니즈산 칼륨보다 약하다. 주로 알코올의 산화에 이용된다. 1차 알코올을 알데하이드로 산화시키며, 좀 더 강한 조건에서는 카복실산으로도 산화시킬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과망가니즈산 칼륨은 카복실산만을 주된 생성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2차 알코올은 케톤으로 산화시킨다. 예를 들어, 멘톨을 산성 다이크로뮴산 용액으로 산화시켜 멘톤을 제조할 수 있다.[30][7] 3차 알코올은 산화시키지 못한다.수용액 상태에서 나타나는 색 변화는 알데하이드와 케톤을 구별하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다. 알데하이드는 다이크로뮴산 이온의 크롬 산화수를 +6에서 +3으로 환원시켜 용액의 색을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변화시킨다. 이는 알데하이드가 해당 카복실산으로 산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반응이다. 반면, 케톤은 더 이상 산화되지 않으므로 용액은 주황색을 그대로 유지한다.
강하게 가열하면 산소를 방출하며 분해된다.
: 4 K2Cr2O7 → 4 K2CrO4 + 2 Cr2O3 + 3 O2
다이크로뮴산 이온(Cr2O72-)이 포함된 주황색-붉은색 용액에 알칼리를 가하면, 노란색의 크롬산 이온(CrO4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크롬산 칼륨(K2CrO4)은 탄산 칼륨(K2CO3)과의 반응을 통해 산업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 K2Cr2O7 + K2CO3 → 2 K2CrO4 + CO2
이 반응은 가역 반응이다.
차가운 황산(H2SO4)을 가하면 붉은색 결정의 크롬산 무수물(CrO3)이 생성된다.
: K2Cr2O7 + 2 H2SO4 → 2 CrO3 + 2 KHSO4 + H2O
농축된 황산과 함께 가열하면 산소가 발생한다.
: 2 K2Cr2O7 + 8 H2SO4 → 2 K2SO4 + 2 Cr2(SO4)3 + 8 H2O + 3 O2
과거에는 황산과 혼합한 크롬산 혼합액을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실험 기구 세척 등에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크로뮴 화합물의 독성과 환경 오염 문제, 폐액 처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현재는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기피되며 특별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17]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측정 시약으로도 사용된다.[17]
3. 이용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산업적으로 크롬산 나트륨이 더 우세하기 때문에 이용 분야가 많지는 않으며,[6][8] 주로 피혁 무두질에 사용되는 크롬 명반의 전구체로 사용된다.[29][31][6][8]
3. 1. 산업적 이용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산업적으로 크롬산 나트륨이 더 우세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분야가 많지는 않다.[6][8] 주요 용도는 피혁 무두질에 사용되는 크롬 명반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것이다.[29][31][6][8]3. 2. 세척
과거에는 다이크로뮴산 칼륨을 황산과 혼합하여 만든 크롬산 혼합액이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해 실험 기구를 세척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17] 이는 다른 크롬(VI) 화합물(삼산화 크로뮴, 다이크로뮴산 나트륨 등)과 마찬가지로, 크롬산을 제조하여 유리 기구 세척이나 재료 부식 등에 활용한 사례이다.하지만 6가 크로뮴 화합물은 심각한 독성과 환경 오염 문제, 그리고 사용 후 발생하는 폐액 처리의 어려움 등 안전성 문제가 심각하게 지적되었다.[17] 이러한 유해성 때문에 오늘날에는 이러한 용도로 다이크로뮴산 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기피되고 있으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3. 건축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시멘트의 첨가제로 사용되어 혼합물의 경화를 지연시키고 밀도와 질감을 향상시킨다.[32][9] 이러한 사용은 건설 노동자에게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32][9]3. 4. 사진술 및 인쇄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사진술과 사진 스크린 인쇄에서 산화제로 사용된다.1839년, 멍고 폰톤은 다이크로뮴산 칼륨 용액으로 처리한 종이가 햇빛에 노출되면 눈에 띄게 태닝되며, 다이크로뮴산 칼륨을 헹궈낸 후에도 변색이 유지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후 1852년, 헨리 폭스 탈보트는 다이크로뮴산 칼륨이 있는 상태에서 자외선에 노출되면 젤라틴이나 아라비아 검과 같은 유기 콜로이드가 단단해져 물에 잘 녹지 않게 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발견들은 곧 카본 프린트, 검 바이크로메이트와 같이 빛에 노출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굳기 차이를 이용하는 다양한 사진 인쇄 기법으로 이어졌다. 일반적으로 빛을 쬐어 굳지 않은 부분은 따뜻한 물로 씻어내어, 미리 포함되었거나 나중에 염료로 염색된 얇은 돋을새김(릴리프) 형태를 남겼다. 일부 기법은 단순히 굳는 성질만을 이용하거나, 굳거나 굳지 않은 영역에 특정 염료가 다르게 흡수되는 현상을 활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방식 중 일부는 카본 블랙처럼 매우 안정적인 염료나 안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오랫동안 빛에 노출되어도 색이 바래지 않는 인쇄물을 만들 수 있었다.[29][31]
다이크로뮴산염 콜로이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포토레지스트로도 활용되었는데, 특히 사진 제판 인쇄 공정에 사용되는 금속 인쇄판 제작에 중요하게 쓰였다.
''크롬 강화'' 또는 ''포토크로모스''는 흑백 사진 롤의 약하거나 얇은 네거티브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이다. 다이크로뮴산 칼륨과 농축 염산을 같은 비율로 섞어 약 10% 농도로 희석한 용액을 사용한다. 이 용액은 필름의 원래 은 입자를 염화은으로 바꾼다. 필름을 충분히 씻어내고 광선에 노출시킨 후 다시 현상하면, 더 선명하고 강한 네거티브를 얻을 수 있어 더 만족스러운 인화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황산에 녹인 다이크로뮴산 칼륨 용액은 리버설 네거티브, 즉 네거티브 필름에서 포지티브 투명 필름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흑백 필름을 현상하되 거의 끝까지 진행시킨 후, 현상을 멈추기 위해 충분히 세척하고 산성 다이크로뮴산 용액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은 금속은 빛에 반응하지 않는 황산은으로 변환된다. 다시 충분히 세척하고 빛에 노출시킨 다음, 필름을 재현상하면 이전에 노출되지 않았던 할로겐화은이 은 금속으로 환원된다. 결과는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때로는 다른 방법으로는 얻기 힘든 독특하고 훌륭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이 과정을 솔라리제이션과 결합하면 최종 결과물이 네거티브와 유사하게 되어 일반적인 방식으로 인쇄하기에 적합하게 만들 수도 있다.
Cr(VI) 화합물은 강한 빛에 노출될 때 동물성 단백질을 태닝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 성질은 사진 스크린 인쇄에 활용된다.
스크린 인쇄에서는 가는 실크나 유사한 재질의 스크린을 틀에 팽팽하게 당겨 고정한다. 마치 그림을 그리기 전에 캔버스를 준비하는 것과 비슷하다. 다이크로뮴산염으로 감광 처리된 콜로이드를 이 스크린에 고르게 바른다. 혼합물이 마르면, 만들고자 하는 이미지의 실물 크기 사진 양화(포지티브 필름)를 스크린 표면에 단단히 붙이고 전체를 강한 빛(밝은 햇빛 아래에서는 3분에서 30분 정도)에 노출시킨다. 빛을 받은 콜로이드는 단단하게 굳는다. 양화를 제거한 후, 스크린에서 빛을 받지 않아 굳지 않은 혼합물을 따뜻한 물로 씻어내면, 굳은 혼합물만 남아 원하는 패턴의 정확한 마스크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할 수 있다.
3. 5. 분석용 시약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흡습성이 없는 성질 덕분에 분석화학에서 고전적인 습식 분석(wet test)을 위한 표준 시약으로 흔히 사용된다.유기 화학에서는 산화제로 사용되는데, 이때 나타나는 특징적인 색상 변화를 이용해 물질을 구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알데하이드는 다이크로뮴산 포타슘 용액과 반응하여 주황색의 6가 크로뮴(Cr6+) 이온을 녹색의 3가 크로뮴(Cr3+) 이온으로 환원시키지만, 케톤은 이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러한 색 변화 원리는 특정 화합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거나 구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3. 5. 1. 에탄올 검출

시료에 포함된 에탄올의 농도는 산성화된 다이크로뮴산 칼륨을 이용한 역적정 방법으로 알아낼 수 있다. 시료를 충분한 양(과량)의 다이크로뮴산 칼륨과 반응시키면, 시료 안의 모든 에탄올은 아세트산으로 산화된다.
: CH3CH2OH + 2[O] → CH3COOH + H2O
에탄올이 아세트산으로 변환되는 전체 반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
: 3C2H5OH + 2K2Cr2O7 + 8H2SO4 → 3CH3COOH + 2Cr2(SO4)3 + 2K2SO4 + 11H2O
반응 후 남은 과량의 다이크로뮴산염의 양은 티오황산나트륨을 이용한 적정을 통해 알아낸다. 처음 투입한 다이크로뮴산염의 양에서 반응 후 남은 양을 빼면, 반응에 참여한 다이크로뮴산염의 양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시료에 존재했던 에탄올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이크로뮴산 용액을 블랭크(blank, 바탕 시료)에 대해 보정하면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화학 반응 원리는 과거 경찰의 음주단속기(호흡 측정기)에 주로 응용되었다. 운전자의 호흡 속에 포함된 알코올 증기가 주황색 다이크로뮴산으로 코팅된 결정과 접촉하면, 다이크로뮴산 이온(Cr2O72-) 속의 크로뮴(산화수 +6)이 환원되어 녹색의 크로뮴 이온(Cr3+, 산화수 +3)으로 변하면서 색상이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바뀐다. 이 색상 변화의 정도는 운전자 호흡 속 알코올 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음주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었다.
3. 5. 2. 은 검출
약 35% 질산 수용액에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을 용해시킨 용액을 Schwerter's solution이라고 부른다. 이 용액은 다양한 금속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은의 순도를 검사하는 데 유용하다. 용액과 반응 시 나타나는 색 변화는 다음과 같다.금속 (순도) | 용액 색 변화 |
---|---|
순수한 은 | 밝은 빨간색 |
스털링 실버 | 짙은 붉은색 |
0.800 fine 은화 | 갈색 (구리 영향) |
0.500 silver 은화 | 녹색 |
황동 | 암갈색 |
구리 | 갈색 |
납, 주석 | 노란색 |
금, 팔라듐 | 변화 없음 |
3. 5. 3. 이산화 황 검출
다이크로뮴산 칼륨 종이는 이산화 황(SO2)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 황과 반응하면 종이의 색깔이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뚜렷하게 변한다. 이러한 색 변화는 다이크로뮴산 칼륨에 포함된 크로뮴(Cr)의 산화수가 +6에서 +3으로 감소하는 산화 환원 반응 때문이다.하지만 이 방법은 이산화 황만을 특정하는 결정적인 검사법은 아니다. 왜냐하면 다이크로뮴산 칼륨을 환원시켜 색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다른 물질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6가 크로뮴을 3가 크로뮴으로 환원시키는 모든 산화 환원 반응에서 유사한 색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물질 중 하나는 황산 크롬(III)(Cr2(SO4)3)이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SO2 + K2Cr2O7 + 3H2SO4 → K2SO4 + Cr2(SO4)3 + 3H2O
3. 6. 목재 마감제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목재에 포함된 탄닌 성분을 어둡게 만드는 성질이 있어 목재 염색에 사용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일반적인 염색 방식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깊고 풍부한 갈색을 표현할 수 있다. 특히 마호가니와 같은 특정 종류의 나무에 얼룩을 내는 데 효과적이다.[33][10]4. 채굴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자연에서 로페즈광(Lópezite)이라는 희귀한 광물 형태로 발견된다. 이 광물은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질산염 퇴적층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부시벨트 화성암 복합체 내 맥암 충전재에서만 발견된 것으로 보고되었다.[34][11]
5. 규제 및 유해성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6가 크롬 화합물이다. 강력한 산화제이자 발암 물질로 분류되며,[15] 부식성이 강해 신체 접촉 시 위험하다.[16][38] 또한, 알레르기 반응 및 피부염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13][35][36]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관련 법규에 의해 엄격히 규제되며, 특히 수생 환경에 대한 독성이 높아[14] 취급 및 폐기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5. 1. 법규제 (대한민국)
- 독물 및 극물 단속법에 의해 극물로 지정.
- 소방법에 의해 제1류 위험물(산화성 고체)로 지정.
-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특정 화학 물질로 지정.
- 토양 오염 대책법에서 특정 오염 물질로 지정.
5. 2. 유해성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다른 Cr(VI)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한 발암 물질이다.[15] 취급 시에는 반드시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이 화합물은 부식성이 강하여 노출될 경우 심각한 눈 손상이나 실명을 유발할 수 있다.[16][38] 또한, 인체에 노출되면 유전자 손상이나 생식 능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15]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주요 알레르기 유발 항원 중 하나이며,[35] 크로뮴으로 인한 피부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꼽힌다.[13][36] 크로뮴은 민감성을 유발하여 특히 손과 팔뚝에 만성적이고 치료가 어려운 피부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13]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진행된 첩포 검사 결과,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11번째로 흔한 알레르겐(4.8%)으로 확인되었다.[12]
독성학 연구 결과, 다이크로뮴산 칼륨은 매우 독성이 강한 물질로 밝혀졌다. 토끼와 설치류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는 14mg/kg의 낮은 농도에서도 실험 대상의 50%가 사망하는 치사율을 보였다.[14][37]
신체 부위별 영향
- 흡입: 부유하는 미세 입자나 분진을 흡입하면 피부나 점막에 심한 통증과 염증을 유발한다. 염증이 지속될 경우, 콧구멍 사이의 벽에 구멍이 생기는 비중격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18]
- 경구 섭취: 섭취 시 식도나 위 등 소화 기관을 부식시키며 체내에 쉽게 흡수된다. 이는 세포 독성을 일으켜 간이나 신장에 심각한 손상을 주며, 심할 경우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19]
- 피부 접촉: 피부에 닿으면 염증이나 미란(피부 짓무름)을 일으킨다.[20]
- 눈 접촉: 분진이나 미세 입자가 눈에 들어가면 심한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며, 심각한 손상이나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16][20]
환경 유해성다이크로뮴산 칼륨은 수생 생물에게 특히 치명적이므로, 폐기 시에는 반드시 지역 환경 규정을 준수하여 적절하게 처리해야 한다.[14]
5. 3. 환경 오염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은 크롬의 산화수가 +6인 6가 크롬 화합물의 하나로, 자연 환경에 큰 부담을 주는 유해 물질이다.[21]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다이크로뮴산 포타슘을 포함한 6가 크롬 함유 배수나 폐액을 적절한 처리 과정 없이 하수도나 하천 등 환경으로 방출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수질오염 방지법[21] 위반에 해당하며, 만약 상수원 보호구역 등 수원지를 오염시켰을 경우에는 형법 제143조 수도 오염죄[22]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는 범죄 행위이다. 더불어,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해 발생 시 손해 배상 청구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5. 4. 폐액 처리
폐액 처리는 주로 황산철(II) 또는 아황산수소나트륨 같은 환원제를 사용하여 한다. 이들 환원제와 충분히 반응시켜 유해한 6가 크롬(산화수 +6)을 상대적으로 덜 유해한 3가 크롬(산화수 +3)으로 환원시킨다. 이렇게 환원된 크롬은 물에 녹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불용화) 무해화한 뒤, 침전시켜 분리한다. 분리된 침전물은 정제 과정을 거쳐 재활용하거나, 시멘트와 섞어 굳히는 고화·봉입 처리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한다.[23] [24]참조
[1]
웹사이트
POTASSIUM DICHROMATE LISTING
http://www.epa.gov/o[...]
US EPA
2015-07-23
[2]
서적
Thermochemical Data of Elements and Compounds
Wiley-VCH
2002
[3]
문서
Like all compounds of hexavalent chromium, potassium dichromate is carcinogenic
[4]
Sigma-Aldrich
2014-06-15
[5]
웹사이트
ChemIDplus - 7778-50-9 - KMUONIBRACKNSN-UHFFFAOYSA-N - Potassium dichromate - Similar structures search, synonyms, formulas, resource links, and other chemical information
https://chem.nlm.nih[...]
[6]
간행물
"Chromium Compound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2005
[7]
OrgSynth
"''l''-Menthone"
[8]
저널
Footwear dermatitis
1993-05
[9]
저널
Addition of ferrous sulfate to cement and risk of chromium dermatitis among construction workers
1996-01
[10]
서적
Hand-Applied Finishes
https://archive.org/[...]
Taunton Press
[11]
웹사이트
Lópezite: Lópezite mineral information and data.
http://www.mindat.or[...]
[12]
문서
Patch-test results of the North American Contact Dermatitis Group 2005–2006
2009 May–Jun
[13]
서적
Diseases of Skin
https://books.google[...]
B Jain Pub Pvt Ltd
[14]
웹사이트
Potassium dichromate MSDS
http://www.sigmaaldr[...]
Sigma-Aldrich
2011-07-20
[15]
서적
Volume 100C: Arsenic, Metals, Fibres, and Dusts
https://publications[...]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20-01-05
[16]
웹사이트
Potassium dichromate MSDS
http://hazard.com/ms[...]
JT Baker
[17]
웹사이트
「重クロム酸カリウム」 産業用製品メーカー比較 Metoree
https://metoree.com/[...]
[18]
웹사이트
「法律・表示等の知識を学ぶ 六価クロム」 一般財団法人 ボーケン品質評価機構
https://www.boken.or[...]
[19]
웹사이트
J-stage「多臓器不全を合併し死亡した 急性六価クロム中毒の一例」
https://www.jstage.j[...]
[20]
웹사이트
「六価クロム化合物について」渋川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shi[...]
[21]
웹사이트
e-Gov 法令検索 「水質汚濁防止法」
https://laws.e-gov.g[...]
[22]
웹사이트
e-Gov 法令検索 「刑法 第百四十三条」
https://laws.e-gov.g[...]
[23]
웹사이트
「危険な重金属6価クロムの処理方法」栗田工業株式会社 KCR센터
https://kcr.kurita.c[...]
[24]
웹사이트
「六価クロムの無害化処理」 MISUMI 技術情報
https://jp.misumi-ec[...]
[25]
웹인용
POTASSIUM DICHROMATE LISTING
http://www.epa.gov/o[...]
US EPA
2015-07-23
[26]
서적
Thermochemical Data of Elements and Compounds
Wiley-VCH
2002
[27]
Sigma-Aldrich
2014-06-15
[28]
웹인용
ChemIDplus - 7778-50-9 - KMUONIBRACKNSN-UHFFFAOYSA-N - Potassium dichromate - Similar structures search, synonyms, formulas, resource links, and other chemical information
http://chem.sis.nlm.[...]
[29]
간행물
"Chromium Compound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2005
[30]
OrgSynth
"''l''-Menthone"
[31]
저널
Footwear dermatitis
http://www.blackwell[...]
2017-01-24
[32]
저널
Addition of ferrous sulfate to cement and risk of chromium dermatitis among construction workers
http://www.blackwell[...]
1996-01
[33]
서적
Hand-Applied Finishes
https://archive.org/[...]
The Taunton Press, Inc
[34]
웹사이트
Mindat
http://www.mindat.or[...]
[35]
문서
Patch-test results of the North American Contact Dermatitis Group 2005–2006
2009 May–Jun
[36]
서적
Diseases of Skin
https://books.google[...]
B Jain Pub Pvt Ltd
[37]
웹인용
Potassium dichromate MSDS
http://www.sigmaaldr[...]
Sigma-Aldrich
2011-07-20
[38]
웹인용
Potassium dichromate MSDS
http://hazard.com/ms[...]
JT Baker
2017-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