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칭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서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1959년 다칭 유전 발견을 계기로 건설되었다. 다칭 유전은 중국 최대 유전이자 세계 4위의 생산량을 자랑하며, 석유 산업은 다칭 경제의 핵심을 차지한다. 다칭은 "다칭 정신"으로 대표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석유 산업 외에도 볼보 자동차 공장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교통 시설로는 다칭 사르투 공항, 철도, 고속도로가 있으며, 5개의 시할구, 3개의 현, 1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칭시 - 다칭 유전
다칭 유전은 1959년 발견된 중화인민공화국 쑹랴오 분지에 위치한 유전으로, 한때 중국 원유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국가 수입에 기여했으나 2000년대 이후 생산량 감소에 직면하고 사회주의 시대의 이념적 상징으로 활용되었다. -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무단장시
무단장시는 중국 헤이룽장성 동남부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발해 유적과 청나라 시대 거점, 만주국 시대 일본 군사 및 산업 중심지로서의 역사를 지니며, 현재는 국경 무역과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도시이다. - 헤이룽장성의 지급시 - 치치하얼시
치치하얼시는 헤이룽장성 서북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다우르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오랜 역사를 가지며, 군사적 요충지이자 중공업 도시로서 중국 동북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중국 헤이룽장성 |
명칭 | 다칭 시 |
로마자 표기 | Daqing |
다른 표기 | Taching (과거 표기) |
한자 표기 | 大庆市 |
중국어 표기 | 大慶市 |
표준 중국어 병음 | Dàqìng |
만주어 표기 | ᡩᠠᡴᠠᠩ ᡥᠣᡨᠣᠨ (Dakang hoton) |
몽골어 표기 | ᠳᠠᠴᠢᠩ ᠬᠣᠲᠠ (dačiŋ ꭓota) |
몽골어 표기 (키릴 문자) | Дачин хот |
행정 | |
행정 구역 단위 | 지급시 |
하위 행정 구역 수 | 9개 |
시장 | 허 중화 (何忠华, Hé Zhōnghuá) |
중국 공산당 다칭 서기 | 한 리화 (韩立华, Hán Lìhuá) |
건치 | 1964년 |
개제 | 1979년 |
지리 | |
좌표 | (다칭 시 정부) |
해발 고도 | 149m |
총 면적 | 22,161km² |
도시 면적 | 5,107km²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후 | Dwa (온대 하습 기후) |
도시 지역 | 5,311km² |
인구 | |
총 인구 (2020년) | 2,781,562명 |
도시 인구 | 1,754,655명 |
도시 인구 (2021년) | 136.1만 명 |
메트로 인구 | 1,574,389명 |
총 인구 (2021년) | 274.7만 명 |
경제 | |
지급시 GDP | CN¥ 2984억 (미화 479억 달러) |
1인당 GDP | CN¥ 107,419 (미화 17,247달러) |
GDP (2021년) | 2,620억 |
상징 | |
별칭 | 유성 (油城, 기름 도시)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163000 |
지역 번호 | 0459 |
차량 번호판 | 黑E |
행정 구역 코드 | 230600 |
ISO 3166-2 | CN-HL-06 |
웹사이트 | 다칭 시 정부 웹사이트 |
2. 역사
다칭 시는 청나라 시대까지는 중요하지 않은 지역으로, 습지와 초원으로 인해 도르베트 오이라트 부족의 사냥터로만 알려져 있었다. 1898년 러시아 제국이 중국 동청 철도(KVZhD)를 건설하면서 약간 성장하기 시작했고,[4] 1959년 중국 동북 평원에서 대규모 석유 탐사 중 석유가 발견되면서 본격적인 발전이 시작되었다.[3]
다칭 유전 발견 이후, 195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을 앞두고 노동자들을 수용하고 관련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다칭(대경축)'이라는 이름의 도시가 설립되었다. 1960년 안다 시가 설립되어 유전 지역을 관할했고, 1964년 안다 특수 행정 구역으로 변경되었다.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다칭은 인민해방군의 통제를 받으며 석유 생산을 이어갔고, 마오쩌둥의 "공업에서 다칭을 배우자"라는 슬로건을 통해 산업 생산의 모범으로 강조되었다.[7][8]
1979년 안다 시는 다칭 시로 개칭되었고, 1980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이후 "몇 개의 적절한 집중을 가진 상대적 분산"이라는 개발 전략과 사얼투 구, 둥펑, 룽펑 구 중심의 석유 도시 건설 목표를 통해 성장했다.[2] 1990년 헤이룽장 성 과학 기술 상 최고 인정을 받았고, 1994년 인구 100만 명을 돌파했다.[2]
다칭은 설립 이후 중국 정부에 의해 산업 및 의료 분야의 모범 사례로 옹호되었으며, 영화 ''창업선구자''를 통해 그 역사가 문학적으로 표현되기도 했다.
다칭 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 |
---|---|
1965년 12월 28일 | 쑤이화 전구 안다 시가 지급시 안다 시로 승격. 룽펑진, 사얼투진, 양후루진 설치 (3진) |
1974년 7월 2일 | 룽펑진이 구제로 시행되어 룽펑 구가 됨. 사얼투진이 구제로 시행되어 사얼투 구가 됨. 양후루진이 구제로 시행되어 랑후루 구가 됨. (3구) |
1978년 1월 27일 | 양후루 구가 사얼투 구에 편입 (2구) |
1979년 7월 16일 | 사얼투 구의 일부가 쑤이화 지구 안다 현의 일부와 합병하여 다퉁 구 발족 (3구) |
1979년 12월 14일 | 안다 시가 다칭 시로 개칭. |
1980년 3월 10일 | 사얼투 구의 일부가 분립하여 랑후루 구, 훙강 구 발족.(5개 구) |
1992년 8월 21일 | 치치하얼 시 린뎬 현, 둬얼보터 몽골족 자치현, 쑤이화 지구 자오저우 현, 자오위안 현 편입.(5개 구 3개 현 1개 자치현) |
2. 1. 도시 형성 이전
다칭 시가 위치한 지역은 청나라 시대까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곳이었다. 습지와 초원으로 인해 도르베트 오이라트 부족의 정착하지 않은 사냥터로만 알려져 있었다. 1898년 러시아 제국이 이 지역을 통과하는 중국 동청 철도(KVZhD)를 건설한 후 이 지역은 약간 성장하기 시작했다.[4] 철도는 오늘날의 사얼투 구에 있는 사르투에 역을 가지고 있었다. 1959년이 되어서야 중국 동북 평원 전역에서 시작된 대규모 석유 탐사의 일환으로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었다.[3]2. 2. 다칭 유전 발견과 도시 건설 (1959~1979)
1959년 중국 동북 평원 전역에서 시작된 대규모 석유 탐사의 일환으로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었다.[3] 다칭 유전은 1950년대 후반에 발견되었고, 1958년에 시추가 시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을 얼마 앞둔 1959년에는 유전에서 석유와 가스를 추출하는 노동자를 수용하고, 에너지와 석유화학 제품을 활용할 수 있는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다칭 시가 설립되었다.[5]다칭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대경축"을 의미한다. 1960년 5월 26일, 안다 시가 과거 안다 마을(오늘날의 안다 시는 쑤이화 지구에 위치)에 설립되어 다칭 유전 지역을 관할했다. 5개월 후, 유전의 행정 기관은 사얼투 구로 이전했다. 1964년 6월 23일, 안다 특수 행정 구역이 설립되었고, 안다 현이 주변 지역을 관할했다.
문화 대혁명의 처음 2년 동안 중국의 석유 산업은 큰 혼란을 겪었고, 1967년까지 석유 부족이 발생했다.[2] 그 해 3월, 인민해방군이 석유 생산을 진행하기 위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다칭에 소집되었다.[2] 이로 인해 다칭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군사 통제를 받게 된 최초의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2] 1968년 5월, 다칭 혁명 위원회가 설립되었다.[2] 쇠돌이 왕진시가 부국장이 되었다.[2] 유전은 혼란스러운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에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었다.[2]
혹독한 기상 조건과 공급 제한에도 불구하고 다칭 유전의 성공적인 건설은 이후 산업화 운동에서 당이 모범으로 내세운 모델이 되었다.[5] 또한 이 프로젝트는 중대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했는데, 다칭 유전의 생산이 없었다면 중소 분쟁으로 인해 소련이 공급을 중단한 후 원유 공급이 심각하게 제한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5]
마오쩌둥이 1960년대에 그의 최고 지침인 "공업에서 다칭을 배우자"를 반포했다는 사실은 다칭이 중국 산업에서 역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지를 보여준다.[7] "공업에서 다칭을 배우자"는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이 도시를 산업 생산의 모범으로 삼으라고 국민들에게 알리는 슬로건이었다.[7][8]
2. 3. 문화 대혁명 시기 (1966~1976)
문화 대혁명 초기 2년 동안 중국의 석유 산업은 큰 혼란을 겪었고, 1967년까지 석유 부족이 발생했다.[2] 그 해 3월, 인민해방군이 석유 생산을 진행하기 위해 질서를 유지하고자 다칭에 소집되었다.[2] 이로 인해 다칭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군사 통제를 받게 된 최초의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2] 1968년 5월, 다칭 혁명 위원회가 설립되었고,[2] 쇠돌이 왕진시가 부국장이 되었다.[2] 유전은 혼란스러운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에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었다.[2]마오쩌둥이 1960년대에 "공업에서 다칭을 배우자"라는 최고 지침을 반포한 것은 다칭이 중국 산업에서 역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지를 보여준다.[7] "공업에서 다칭을 배우자"(工业学大庆|gōngyè xué dàqìng중국어)는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이 도시를 산업 생산의 모범으로 삼으라고 국민들에게 알리는 슬로건이었다.[7][8]
1970년대 초에 제작된 영화 ''창업선구자'' ()는 다칭의 역사를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마오 시대에 다칭의 농업 분야의 대응물은 산시성 시양현의 구릉지대에 위치한 마을인 다자이였으며, 마오 주석은 1960년대에도 "농업에서는 다자이를 배우자"라는 지침을 발표했다.[9]
2. 4. 다칭 시 승격과 발전 (1979~현재)
1959년 중국 동북 평원에서 대규모 석유 탐사를 하던 중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었다.[3] 다칭 유전은 1950년대 후반에 발견되었고, 1958년에 시추가 시작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주년을 앞둔 1959년에 유전에서 석유와 가스를 추출하는 노동자를 수용하고, 에너지와 석유화학 제품을 활용할 수 있는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다칭이라는 이름의 도시가 설립되었다. 다칭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대경축"을 의미한다.[4]혹독한 기상 조건과 공급 제한에도 불구하고 다칭 유전의 성공적인 건설은 이후 산업화 운동에서 당이 모범으로 내세운 모델이 되었다.[5] 또한 이 프로젝트는 중대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했는데, 다칭 유전의 생산이 없었다면 중소 분열로 인해 소련이 공급을 중단한 후 원유 공급이 심각하게 제한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5]
마오쩌둥이 1960년대에 그의 최고 지침인 "공업에서 다칭을 배우자"를 반포했다는 사실은 다칭이 중국 산업에서 역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지를 보여준다.[7] "공업에서 다칭을 배우자"는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이 도시를 산업 생산의 모범으로 삼으라고 국민들에게 알리는 슬로건이었다.[7][8]
1960년 5월 26일, 안다 시가 과거 안다 마을(오늘날의 안다 시는 쑤이화 지구에 위치)에 설립되어 다칭 유전 지역을 관할했다. 5개월 후, 유전의 행정 기관은 사얼투 구로 이전했다. 1964년 6월 23일, 안다 특수 행정 구역이 설립되었고, 안다 현이 주변 지역을 관할했다.
문화 대혁명의 처음 2년 동안 중국의 석유 산업은 큰 혼란을 겪었고, 1967년까지 석유 부족이 발생했다.[2] 그 해 3월, 인민해방군이 석유 생산을 진행하기 위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다칭에 소집되었다.[2] 이로 인해 다칭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군사 통제를 받게 된 최초의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2] 1968년 5월, 다칭 혁명 위원회가 설립되었다.[2] 쇠돌이 왕진시가 부국장이 되었다.[2] 유전은 혼란스러운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에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었다.[2]
1979년 12월 14일 안다시는 '''다칭 시'''로 개칭되었다. 1980년에 다칭 유전 지구는 도시가 되었다.[2] 첫 번째 마스터 플랜은 "몇 개의 적절한 집중을 가진 상대적 분산"이라는 개발 전략을 통해 다칭을 "새로운 산업 도시"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2]
1989년에 도시는 마스터 플랜을 개정하여 사얼투 구, 둥펑, 룽펑 구을 중심으로 석유 도시를 건설하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다.[2] 이 계획은 다칭의 도시 계획 초점을 분산화에서 집중화로 전환했다.[2]
1990년, 시는 헤이룽장 성 과학 기술 상에서 최고 인정을 받았다.[2] 1994년에는 인구가 100만 명에 달했다.[2] 1990년대 중반 이후, 석유 생산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얼투의 도시 확장이 중단되었다.[2] 대신 도시 건설은 동부 타운과 서부 타운 지역으로 이전되었다.[2]
다칭은 설립 이후 중국 정부에 의해 산업 및 의료 분야의 모범 사례로 옹호되어 왔다.
1970년대 초에 제작된 영화 ''창업선구자''는 다칭의 역사를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마오 시대에 다칭의 농업 분야의 대응물은 산시성 시양현의 구릉지대에 위치한 마을인 다자이였으며, 마오 주석은 1960년대에도 "농업에서는 다자이를 배우자"라는 지침을 발표했다.[9]
다칭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 |
---|---|
1965년 12월 28일 | 쑤이화 전구 안다시가 지급시의 안다시로 승격. 룽펑진, 사얼투진, 양후루진 설치 (3진) |
1974년 7월 2일 | 룽펑진이 구제로 시행되어 룽펑구가 됨. 사얼투진이 구제로 시행되어 사얼투구가 됨. 양후루진이 구제로 시행되어 양후루구가 됨. (3구) |
1978년 1월 27일 | 양후루구가 사얼투 구에 편입 (2구) |
1979년 7월 16일 | 사얼투 구의 일부가 쑤이화 지구 안다현의 일부와 합병하여 다퉁구 발족 (3구) |
1979년 12월 14일 | 안다시가 다칭 시로 개칭. |
1980년 3월 10일 | 사얼투 구의 일부가 분립하여 랑후루 구, 훙강 구 발족.(5개 구) |
1992년 8월 21일 | 치치하얼 시 린뎬 현, 둬얼보터 몽골족 자치현, 쑤이화 지구 자오저우 현, 자오위안 현 편입.(5개 구 3개 현 1개 자치현) |
(2010년 인구 조사)
3. 지리
4. 행정 구역
면적
(km2)인구 밀도
(/km2)사얼투 구 328,808 549km2 599 룽펑 구 352,404 510km2 691 랑후루 구 564,534 1394km2 405 다퉁 구 234,557 2235km2 105 훙강 구 169,522 812km2 209 자오저우 현 387,463 2445km2 158 자오위안 현 388,828 4198km2 93 린뎬 현 244,578 3591km2 68 두얼보터 몽골족 자치현 233,838 6427km2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