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턴케이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턴케이프주는 1994년 옛 트란스케이와 시스케이의 코사족 자치 지역과 케이프주의 일부를 통합하여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주이다. 4개의 최고 법원, 콰줄루-나탈 주의 월경지 등의 특징을 가지며, 코사 왕국이 이 지역을 조공국으로 삼았다. 2010년대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지형은 서쪽의 건조한 카루 지역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습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2022년 인구는 723만 명으로 흑인 아프리카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코사어를 주로 사용한다. 경제적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난한 지역 중 하나이며, 농업과 자동차 산업이 발달했다. 교육 및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낮으며, 관광 자원으로는 다양한 풍경과 야생 동물, 역사적인 도시 등이 있다. 주요 인물로는 넬슨 만델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스턴케이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
표어 | 단결을 통한 발전 |
설립일 | 1994년 4월 27일 |
수도 | 비쇼 |
최대 도시 | 궤베르하 (포트엘리자베스) |
면적 | 168,966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2위 |
최대 고도 | 3,019 미터 |
최소 고도 | 0 미터 |
인구 (2022년) | 7,225,784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4위 |
인구 밀도 순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6위 |
HDI (2019년) | 0.671 (9/9위) |
GDP | 307억 미국 달러 |
시간대 | SAST |
UTC 오프셋 | +2 |
ISO 코드 | ZA-EC |
공식 웹사이트 | www.ecprov.gov.za |
행정 구역 | |
구 | 넬슨 만델라 베이 버펄로 시티 세라 바트만 아마트홀레 크리스 하니 조 가콰비 오알 탐보 알프레드 은조 |
정부 | |
정치 체제 | 의회 민주주의 |
집권 정당 | ANC |
주지사 | 오스카 마부야네 |
주의회 | 이스턴케이프 주의회 |
인구 통계 (2022년) | |
인종 구성 | 흑인: 85.7% 혼혈: 7.6% 백인: 5.6% 인도인 또는 아시아인: 0.5% 기타: 0.7% |
언어 | 코사어: 81.8% 아프리칸스어: 9.6% 영어: 4.8% 소토어: 2.4% |
2. 역사
이스턴케이프 주는 1994년에 설립되었으며, 이전 트란스케이와 시스케이의 옛 코사족 자치 지역과 이전 케이프주의 일부 지역을 통합했다. 이로 인해 주에는 마칸다 (그레이엄스타운), 그케베라 (포트 엘리자베스), 비쇼, 음타타에 4개의 최고 법원이 존재하는 등 여러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콰줄루-나탈주의 월경지가 이 주에 있었으나, 시 및 주 경계 변경으로 이러한 상황은 사라졌다.
이 주는 넬슨 만델라, 타보 음베키, 올리버 탐보, 월터 시술루, 스티브 비코 등 반 아파르트헤이트 저명 활동가들을 많이 배출한 지역이다. 또한 아프리카너의 영웅인 Andries Pretorius|안드리스 프레토리우스영어(대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와 Marthinus Pretorius|마르티누스 프레토리우스영어(트란스발 공화국 대통령, 안드리스 프레토리우스의 아들), 폴 크루거(트란스발 공화국 대통령) 등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주도는 버펄로 시티 (비쇼)이다.
2. 1. 코사 왕국
코사 왕국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 중 하나였으며, 이스턴케이프의 모든 주를 조공국으로 삼았다. 코사 왕국을 최고 권력으로 인정하는 모든 집단, 민족 또는 부족은 코사족이 되었고, 코사 문화를 실천했으며, isiXhosa|이시코사어xh를 주요 언어로 사용했다. 코사족에 속하는 부족으로는 아마폰도족, 아바템부족, 아마폰도미세족, 아마훌루비족, 아마바카족, 아마세시베족, 아마봄바나족 등이 있다.2. 2. 유럽인 정착 (18세기 후반 ~ 19세기)
18세기 말, 네덜란드 케이프 식민지는 케이프타운 주변의 중심지에서 동쪽으로 천천히 확장되었다. 이로 인해 1786년 네덜란드 정착지인 흐라아프레이네트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케이프 식민지 총독 코르넬리스 야코프 판 데 흐라아프(재임: 1785–1791)와 그의 아내 헤스터 코르넬리아 판 데 흐라아프(결혼 전 성은 레이네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이후 나폴레옹 전쟁 (1803–1815) 동안 대영 제국은 희망봉 식민지 (1806)를 장악하고 영국 시민들이 이 지역의 영국 인구를 늘리기 위한 수단으로 이주하도록 장려했다.[1]1800년대 초부터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이 결성될 때까지 이스턴케이프 지역은 영국인 이주민들에 의해 식민화되었다.[2] 영국 정착민들은 대부분의 도시를 건설했으며, 도시의 이름을 잉글랜드의 지명이나 원래 설립자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2] 영국의 식민지화로 학교, 교회, 병원, 시내 중심가 및 정부 건물이 건설되어 개발이 가속화되었다.[2] 오래된 유럽 정착지로는 포트 보퍼트 (1814), 그레이엄스타운 (1812), 포트 엘리자베스 (1820), 세일럼 (1820), 배서스트 (1820), 이스트 런던 (1836), 패터슨 (1879), 크래독 (1814), 포트 보퍼트 (1816) 및 킹 윌리엄 타운 (1836) 등이 있다.[2]
2. 3. 남아프리카 연방 성립 (1910년)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이 성립되면서 케이프 주가 성립되었다.[39]2. 4. 아파르트헤이트와 홈랜드 (1948년 ~ 1994년)
남아프리카 정부의 반투스탄 정책에 따라 흑인 거주 지역은 홈랜드로 분리·독립되었다. 1976년 트란스케이 공화국으로 독립했고, 중부 지역은 1981년 시스케이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재정 지출의 80%를 남아프리카 정부의 보조금에 의존했으며, 국제 사회에서는 독립 국가로 인정받지 못했다.[39]2. 5. 아파르트헤이트 철폐와 이스턴케이프 주 설립 (1994년)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철폐로 트란스케이, 시스케이 양 정부는 붕괴되었고, 남아프리카에 병합되었다. 홈랜드 병합에 맞춰 주의 재편이 실시되어 케이프주는 분할되어 이스턴케이프 주가 발족했다.3. 지리
이스턴케이프 주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습해지는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서부는 건조한 카루 지역이고, 동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많아진다.
주요 도시들의 기온은 다음과 같다.
도시 | 1월 최고 기온 | 1월 최저 기온 | 7월 최고 기온 | 7월 최저 기온 |
---|---|---|---|---|
게버하 | 25°C | 18°C | 20°C | 9°C |
몰테노, 바클리 이스트 | 28°C | 11°C | 14°C | -7°C |
해안 지역은 비교적 온화하며, 치치카마에서 그레이엄스타운 지역은 강수량이 고르게 분포한다. 내륙은 겨울에 매우 추울 수 있으며, 몰테노와 로데스 사이 산악 지역에는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3. 1. 지형
서부는 대부분 건조한 카루 지대이나 동쪽으로 갈수록 기후는 습해진다. 해안은 기복이 지고 곳곳에 해변이 위치해 있다. 여러 험준한 산지가 있으며 최대 고도는 3,001m이다. 동북부에서 레소토와 접경한다.동케이프 주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습해진다. 서쪽은 대부분 반건조한 카루이며, 최남단에 있는 치치카마 지역을 제외하면 온대 우림이다. 해안선은 일반적으로 거칠고 해변이 산재해 있다. 주의 대부분은 그라프-레이넷과 로즈 사이의 구릉 지대에서 매우 산악 지형을 이루며, 스니우베르그(Snow Mountains), 스톰버그 산맥, 윈터버그, 동케이프, 드라켄즈버그(Dragon Mountains)가 포함된다. 주의 최고 지점은 해발 3001m의 벤 맥두이이다. 이스트 런던, 코마니에서 콰줄루-나탈 국경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동쪽 지역은 이전에는 트란스케이로 알려졌으며, 깊은 협곡과 간헐적인 숲으로 점점이 찍힌 구릉 지대의 푸르른 초원 지대이다.
동케이프는 남쪽으로 이어지는 동쪽에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남쪽 인도양으로 이어지는 해안을 형성한다. 북동쪽에는 레소토의 다음과 같은 구와 접한다.
- 모할레스 후크 구 - 쿠팅 서쪽
- 쿠팅 구 - 모할레와 카차스 네크 사이
- 카차스 네크 구 - 쿠팅 동쪽
국내적으로는 다음의 주와 접한다.
- 웨스턴케이프 주 - 서쪽
- 노던케이프 주 - 북서쪽
- 자유주 - 북쪽
- 콰줄루-나탈 주 - 북동쪽
3. 2. 기후
기후는 매우 다양하다. 서부는 겨울이나 여름에 강수량이 적고 건조하며,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덥다. 치치카마에서 그레이엄스타운 지역은 강수량이 더 많고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며 기온은 온화하다. 동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더 풍부해지고 습도가 높아져 해안을 따라 여름 강수량을 보이는 아열대 기후가 된다. 내륙 지역은 겨울에 매우 추워질 수 있으며, 몰테노와 로데스 사이의 산악 지역에는 가끔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도시 | 1월 최고 기온 | 1월 최저 기온 | 7월 최고 기온 | 7월 최저 기온 |
---|---|---|---|---|
게버하 | 25°C | 18°C | 20°C | 9°C |
몰테노 & 바클리 이스트 | 28°C | 11°C | 14°C | -7°C |
3. 3. 접경 지역
국외 접경 지역 | |
---|---|
모할레스 후크 구 | 쿠팅 서쪽 |
쿠팅 구 | 모할레와 카차스 네크 사이 |
카차스 네크 구 | 쿠팅 동쪽 |
국내 접경 지역 | |
---|---|
웨스턴케이프 주 | 서쪽 |
노던케이프 주 | 북서쪽 |
자유주 | 북쪽 |
콰줄루나탈 주 | 북동쪽 |
4. 행정 구역
Eastern Cape영어 주는 2개의 광역 자치체와 6개의 구역 자치 단체로 나뉘며, 이들은 다시 37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된다.
주요 도시와 마을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개명된 장소의 새 이름):
- 이스트런던(Gompo)
- 포트엘리자베스(Gqeberha)
- 움타타 (Mthatha)
- 퀸스타운(Komani)
- 그레이엄스타운(Makhanda)
- 제프리스 베이
- 앨리스(Dikeni)
- 스테르크스프루이트
- 그래프레이네트
- 서머셋 이스트(KwaNojoli)
- 마운트 플레처(Tlokoeng)
- 버터워스(Gcuwa)
- 마운트 프레어(KwaBhaca)
- 만단사네
- 크래독
- 마타티엘레
- 킹 윌리엄스 타운(Qonce)
- 알리왈 노스(Maletswai)
- 위텐헤이(Kariega)
- 이두티와(Dutywa)
- 잉코보(Ngcobo)
- 매클리어(Nqanqarhu)
- 알렉산드리아(Mnyameni)
- 포트 앨프레드(Cawa)
- 포트 보퍼트(KwaMaqoma, Bofolo로도 알려짐)
- 페디(Ngqushwa)
- 윌로우베일(Gatyana)
- 엘리엇데일(Xhorha)
- 켄테인(Centane)
- 초모
- 촐로
- 코핌바바
- 응카마퀘
- 비쇼(Bhisho)
4. 1. 광역 자치체
이스턴케이프 주에는 2개의 광역 자치체가 있다.- 넬슨 만델라 베이 광역 자치체
- 버팔로 시티 광역 자치체
4. 2. 행정구
이스턴케이프 주는 2개의 광역 자치 단체와 6개의 구역 자치 단체로 나뉜다. 구역 자치 단체는 다시 37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뉜다.[1]행정 구역 | 구성 |
---|---|
넬슨 만델라 베이 광역 자치체 | |
버팔로 시티 광역 자치체 | |
알프레드 은조 행정구(Alfred Nzo District) | |
아마톨레 행정구(Amathole District) | |
카카두 행정구(Cacadu District) | |
크리스 하니 행정구(Chris Hani District) | |
OR 탐보 행정구(OR Tambo District) | |
조 가비 행정구(Joe Gqabi District Municipality) |
5. 인구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스턴케이프주의 인구는 7,230,204명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9개 주 중 4번째로 인구가 많다. 2011년 인구 조사 대비 10.2% 증가했으며, 중앙값 연령은 27세이다.
5. 1. 인종 구성 (2022년)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스턴케이프주의 인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5]- 흑인 아프리카인: 85.7%
- 유색인: 7.6%
- 백인: 5.6%
- 인도/아시아인: 0.5%
이 주의 흑인 아프리카인 대다수는 코사족이다.
인구 집단 | 1996 | 2001 | 2011 | 2022 |
---|---|---|---|---|
흑인 아프리카인 | 86.6% | 87.2% | 86.3% | 85.7% |
유색인 | 7.7% | 7.7% | 8.3% | 7.6% |
백인 | 5.4% | 4.9% | 4.7% | 5.6% |
인도/아시아인 | 0.3% | 0.3% | 0.4% | 0.5% |
기타 | n/a | n/a | 0.3% | 0.7% |
5. 2. 언어 (2022년)
2022년 인구 조사에서 이스턴케이프주 인구의 81.8%가 모국어를 코사어로, 9.6%가 아프리칸스어로, 4.8%가 남아프리카 영어로, 2.4%가 소토어로 보고했다.[5] 이스턴케이프 주는 코사어 사용자가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유일한 주이다.[5]5. 3. 종교 (2022년)
6. 경제
이스턴케이프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가난한 주 중 하나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실업률을 기록하고 있다.[6][7][8] 과거 자치구에서는 생계형 농업이 주를 이루어 빈곤을 초래하고 있다. 코이가에 수십억 랜드 규모의 산업 개발 구역과 심해 항구를 개발하는 등 수출 지향 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9]
이 주는 인구의 13.5%를 차지하지만, 국가 GDP의 8%만을 기여한다. 2017년 기준 이스턴케이프의 실질 GDP는 약 2303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로 추산되며, 림포포주와 음푸말랑가주를 앞서 남아공에서 네 번째로 큰 지역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다.[10]
6. 1. 농업
이스턴케이프주에는 비옥한 토지가 많아 농업이 발달했다. 남서부의 비옥한 랑클루프 계곡에는 대규모의 낙엽수 과수원이 있다. 카루 지역에서는 광범위한 양 사육이 이루어진다.알렉산드리아-마칸다 지역에서는 파인애플, 치커리, 유제품을 생산하며, 마과에서는 커피와 차를 재배한다. 옛 트란스케이 지역의 사람들은 소, 옥수수, 수수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포트헤어 대학교와 협력하여 올리브 묘목장이 개발되어 이스턴케이프주 올리브 생산의 중심지가 되었다.[6][7][8][9][10]
6. 2. 산업
이스턴케이프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가난한 주 중 하나로, 높은 실업률과 빈곤 문제를 겪고 있다.[6][7][8]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 정부는 수출 지향 산업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코이가에 응쿠라 항구를 포함한 대규모 산업 개발 구역을 조성하고 있다.[9]이스턴케이프주의 주요 산업은 자동차 산업이다. 포트 엘리자베스에는 제너럴 모터스와 폭스바겐의 주요 조립 라인이 있으며, 이스트 런던에는 다임러 크라이슬러의 대규모 공장(현재 메르세데스-벤츠 남아프리카)이 있다.
주요 산업 중심지 외에도, 환경 친화적인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피시 강 공간 개발 이니셔티브, 와일드 코스트 SDI, 그리고 이스트 런던 산업 개발 구역과 포트 엘리자베스 근처의 코에가 IDZ가 대표적이다. 특히 코에가 IDZ는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로, 응쿠라 항구 건설이 완료되어 2009년 10월 첫 상업 선박이 정박했다.
자동차 산업 외에도 금융, 부동산, 비즈니스 서비스, 도매 및 소매 무역, 생태 관광, 호텔 및 레스토랑 부문도 이스턴케이프주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6. 3. 기타
금융, 부동산, 비즈니스 서비스, 도매 및 소매 무역, 생태 관광(자연 보호 구역 및 사파리 농장), 호텔 및 레스토랑이 이스턴케이프 주의 주요 산업 부문이다.[10]7. 교육
이스턴케이프주 교육부는 기능 부전, 사적 이익, SADTU과의 문제로 인해 초등 및 중등 교육[13][14][15][17]이 부실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학교 및 교사 부족으로 인한 과밀화, 교과서 부족, 기본적인 시설(화장실, 전기, 물) 부족, 열악한 교통 인프라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결석과 위험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옛 트란스케이 지역에서 심각하다.[16]
2011년에는 기초 교육 악화로 기초 교육부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 제100조(1)(b)항에 따라 주 교육 행정을 통제하게 되었다.[17] 이후 이스턴케이프주는 졸업 시험에서 가장 낮은 성적을 기록했다.[16] 졸업생 성적은 2009년 51%,[18] 2011년 58.3%,[19] 2013년 64.9%,[20] 2014년 65.4%, 2015년 56.8%였다.[21][22]
2015/2016 회계 연도에는 교육 예산 15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중 5.3억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가 미사용되었으며, 이 금액의 대부분은 인프라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었다.[23][24] Equal Education의 2017년 보고서 "실패를 위한 계획"은 이스턴케이프주 교육 시스템의 체계적인 실패를 지적했다.[25]
7. 1. 대학교
8. 보건
이스턴케이프 주는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낮고 의료 인력이 부족하며, 특히 농촌 지역의 의료 시설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겪고 있다. 세실리아 마키와네 병원과 프레르 병원과 같은 대형 의료 센터가 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열악한 건강 결과와 서비스 지표를 보인다.
농촌 주민들은 의료 자원 및 접근 수단 부족, 높은 실업률과 빈곤, 문맹 등으로 인해 더 열악한 건강 상태를 보인다.[27] HIV/AIDS와 결핵은 이 지역의 지속적인 문제이며, 비전염성 질환(NCD) 수준도 증가하고 있다.[28][29][30][31]
코사족의 전통 성인식인 울왈루코에는 할례가 포함되는데, 이는 여러 합병증과 사망을 유발하기도 한다.[32][33] 남아프리카 공화국 신문에는 입문 의식 중 젊은 남성과 소년들의 죽음을 초래하는 열악한 관행을 조사하는 보고서가 많이 게재되었다.[34][35][36]
8. 1. 주요 의료 시설
이스트런던시 근처에는 주 정부 지원을 받는 대형 병원인 세실리아 마키와네 병원이 있으며, 3차 진료 교육 병원의 역할도 한다. 이스트런던 근처의 또 다른 대규모 지방 정부 지원 병원인 프레르 병원 역시 3차 진료 교육 병원 역할을 수행한다. 이 병원들은 성인과 어린이를 위한 HIV/AIDS 치료 클리닉 등 다양한 전문 부서를 제공하며, 릴리타 간호 대학 및 월터 시술루 대학교와 연계되어 있다.[26]8. 2. 건강 문제
세실리아 마키와네 병원과 프레르 병원 등 대형 의료 센터들이 있지만, 이스턴케이프 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열악한 건강 결과와 서비스 지표를 보인다.[26] 이는 인력 부족과 의료 자원 접근성 부족, 높은 실업률, 빈곤, 문맹 등의 문제 때문이다.[26][27]HIV/AIDS와 결핵 또한 이 지역의 심각한 문제이다. 2017년 이스턴케이프 주의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839명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28] 같은 해 HIV 유병률도 25.2%로 높은 편이었다.[29] 2018년 HIV/AIDS는 이스턴케이프 주에서 두 번째로 주요한 자연 사망 원인이었으며, 유병률은 5.9%였다.[30] 2017년 이후, 빈곤층을 중심으로 비만, 고혈압 등 비전염성 질환(NCD) 발생이 증가하여 농촌 지역의 주요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31]
이스턴케이프 주는 울왈루코라는 코사족 전통 성인식으로도 유명한데, 여기에는 할례가 포함된다. 하지만 이러한 의식은 여러 합병증과 사망을 유발하기도 한다.[32][33]
9. 관광
이 지역의 풍경은 매우 다양하다. 서부 내륙은 대부분 건조한 카루이며, 동부는 물이 풍부하고 푸르다. 이스턴케이프주는 800km의 손길이 닿지 않은 깨끗한 해안선과 말라리아가 없는 환경에서 빅 파이브 (사자, 표범, 코끼리, 코뿔소, 아프리카물소)를 볼 수 있는 광범위한 매력을 제공한다.
아마톨라 산맥에 위치한 휘틀시, 이스턴케이프는 이 주에서 최초의 와이너리로 알려져 있다.
킹 윌리엄 타운, 앨리스, 퀸스타운, 그레이엄스타운, 크래독, 포트 보퍼트는 이 주에서 19세기의 훌륭한 식민지 건축물을 제공한다. 해안을 따라 위치한 두 개의 주요 도시는 이스트 런던과 포트 엘리자베스이다.
9. 1. 주요 관광지
아도 코끼리 국립공원은 포트엘리자베스에서 73km 떨어진 곳에 1931년에 선포되었다. 743km2 크기의 이 공원은 170마리의 코끼리, 400마리의 케이프 버팔로, 그리고 매우 희귀한 케냐 아종에 속하는 21마리의 검은 코뿔소에게 안식처를 제공한다.
티핀델은 남아프리카 유일의 스키 리조트로, 남부 드라켄즈버그의 로데스 마을 근처에 있다. 이 리조트는 이스턴케이프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인 3001m의 벤 맥더이 경사면에 있다.[1]
매년 그레이엄스타운에서 열리는 국립 예술 축제는 아프리카 최대의 문화 행사로, 토착 인재와 해외 인재 모두를 선보인다. 매년 11일 동안 5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예술, 공예, 음악, 엔터테인먼트 축제를 즐기기 위해 이 지역으로 몰려든다.[2]
제프리스 베이는 아열대 우림을 배경으로 한 거친 해안선을 가진 지역으로, 서핑에 좋은 파도로 유명하다.[3]
오렌지강 남쪽 기슭의 농업 고원에 위치한 앨리월 노스는 온천으로 유명한 내륙 휴양지이다.[4]
울퉁불퉁하고 훼손되지 않은 와일드 코스트는 장관을 이루는 풍경을 자랑하는 곳으로, 해안 지역은 많은 선박의 무덤이 되어 왔다.[5]
10. 스포츠
그케베라를 연고로 하는 축구팀 치파 유나이티드 F.C.가 있다.
그케베라를 연고로 하는 크리켓팀으로는 선라이저스 이스턴케이프와 쉐보레 워리어스가 있다.
그케베라를 연고로 하는 럭비팀 이스턴 프로빈스 엘리펀츠와 이스트 런던을 연고로 하는 보더 불독스가 있다.
11. 주요 인물
이스턴케이프 주는 로버트 소부쿠웨, 넬슨 만델라, 올리버 탐보 등 저명한 반(反) 아파르트헤이트 운동 지도자, 정치인, 미리암 마케바와 같은 예술가들을 많이 배출했다.[1] 알프레드 주마, 세실리아 마키와네, 노니 자바부와 같은 인물들도 이 지역 출신이다.
11. 1. 정치/운동 지도자
로버트 소부쿠웨, 올리버 탐보, 넬슨 만델라, 월터 시술루, 위니 만델라, 고반 음베키, 타보 음베키, 크리스 하니, 반투 홀로미사, 스티브 비코 등 주요 반(反) 아파르트헤이트 운동 지도자들의 고향이다.11. 2. 기타
이스턴케이프주는 티요 소가 목사, 사무엘 음카이, 에녹 손통가와 같은 역사적인 인물들의 고향이다.[1]- 티요 소가: 최초의 흑인 안수 목사이자 작가, 번역가였다.[1]
- 사무엘 음카이: 언론인이자 정치 활동가였다.[1]
- 미리암 마케바: '마마 아프리카'로 불린 가수였다.[1]
- 에녹 손통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가인 'Nkosi Sikelel' iAfrika'를 작곡한 작곡가였다.[1]
참조
[1]
서적
Census 2011: Census in brief
http://www.statssa.g[...]
Statistics South Africa
[2]
웹사이트
Statistical Release - Census 2022
https://census.stats[...]
2024-08-22
[3]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4]
간행물
Provincial gross domestic product:experimental estimates, 2013–2022
https://www.statssa.[...]
[5]
웹사이트
Statistical Release - Census 2022
https://census.stats[...]
2024-08-22
[6]
웹사이트
Does SA have highest unemployment rate in the world?
https://www.thesouth[...]
2021-08-24
[7]
웹사이트
Mapping poverty in South Africa
https://southafrica-[...]
southafrica-info.com
2020-03-31
[8]
웹사이트
Eastern Cape remains SAs poorest province
https://www.dispatch[...]
dispatchlive.co.za
2017-08-23
[9]
웹사이트
Billion investments coega special economic zone
https://www.biznews.[...]
biznews.com
2020-03-31
[10]
웹사이트
Eastern Cape Economy
http://www.ecdc.co.z[...]
ecdc.co.za
2020-03-31
[11]
웹사이트
VWSA steps up production as export demand grows
https://www.iol.co.z[...]
iol.co.za
2014-02-20
[12]
웹사이트
New liquid bulk tank farm at port of ngqura a step closer – Transnet
https://www.rnews.co[...]
rnews.co.za
2020-05-18
[13]
웹사이트
As Zuma woos support, Eastern Cape suffers
http://www.timeslive[...]
2017-05-02
[14]
뉴스
Premier's bold plans to deal with the education crisis in Eastern Cape
http://city-press.ne[...]
2017-05-02
[15]
뉴스
Eastern Cape is a 'failed state' – education expert
http://www.news24.co[...]
2017-05-02
[16]
웹사이트
Motshekga has to account for her role in the education crisis – especially in the Eastern Cape
https://www.dailymav[...]
2017-05-02
[17]
뉴스
Special Investigating Unit to probe Eastern Cape education
https://mg.co.za/art[...]
2017-05-02
[18]
뉴스
Matric results a wake-up call for SA
https://mg.co.za/art[...]
2017-05-02
[19]
뉴스
Matric pass rate 'a significant achievement'
https://mg.co.za/art[...]
2017-05-02
[20]
뉴스
Matric: Eastern Cape remains worst province
http://www.news24.co[...]
2017-05-02
[21]
뉴스
Tripartite alliance to address E Cape education crisis
http://www.sabc.co.z[...]
2016-03-13
[22]
뉴스
Matric results 2015: Pass rate drops to 70.7%
http://mg.co.za/arti[...]
2017-05-02
[23]
뉴스
R530-million of unspent EC budget meant for poor schools given to other provinces.
http://www.dispatchl[...]
2017-05-02
[24]
뉴스
EC to return unspent R1bn: challenge is 'incapacity to utilise funds'
http://www.dispatchl[...]
2017-05-02
[25]
뉴스
Systemic "failure in Eastern Cape education"
http://www.groundup.[...]
2017-04-28
[26]
웹사이트
State of Provincial Healthcare System Spotlight on Eastern Cape
https://www.tac.org.[...]
2018-05
[27]
웹사이트
Access to public health services in South Africa's rural Eastern Cape Province
https://www.research[...]
2023-03
[28]
간행물
Association of HIV infection and antiretroviral therapy with the occurrence of an unfavorable TB treatment outcome in a rural district hospital in Eastern Cape, South Afric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22-04-05
[29]
간행물
Association of HIV infection and antiretroviral therapy with the occurrence of an unfavorable TB treatment outcome in a rural district hospital in Eastern Cape, South Afric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2022-04-05
[30]
웹사이트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in South Africa: Findings from death notification
https://www.statssa.[...]
2018
[31]
간행물
The noncommunicable disease outcomes of primary healthcare screening in two rural subdistricts of the East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2017
[32]
뉴스
South Africa initiation schools suspended after circumcision deaths
https://www.bbc.com/[...]
2019-12-20
[33]
웹사이트
Botched Circumcisions Kill 30 South African Boys
https://www.voanews.[...]
2013-07-08
[34]
웹사이트
Nine boys in hospital after botched circumcisions
http://ewn.co.za/201[...]
2017-05-02
[35]
웹사이트
Five Eastern Cape initiates have died since November's start of summer initiation season
https://www.news24.c[...]
2024-01-20
[36]
웹사이트
Initiate dies after assault at illegal circumcision school
https://www.timesliv[...]
2024-01-20
[37]
뉴스
Eastern Cape initiation claims another victim
https://mg.co.za/art[...]
2017-05-02
[38]
웹사이트
P03014_Census_2022_Statistical_Release.pdf
https://census.stats[...]
2024-05-27
[39]
서적
最後の雨は5年前? 長期の干ばつと闘う南ア・東ケープ州
https://www.afpbb.co[...]
AFP
2020-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