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담양 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양 전씨는 고려 시대 담양에서 대대로 살아온 향리의 아들 전득시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전득시는 고려 의종 때 좌복야와 참지정사 등을 역임하고 담양군에 봉해졌으며, 후손들은 담양을 본관으로 삼았다. 담양 전씨는 야은공파, 뇌은공파, 경은공파 등으로 분파되었으며, 연안 전씨, 하음 전씨, 고양 전씨, 예산 전씨 등도 담양 전씨에서 갈라져 나왔다. 담양은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담양 전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양 전씨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담양 전씨 - 전병헌
    전병헌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및 실장을 지내고 17·18·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현재 새로운미래 당대표를 맡고 있다.
담양 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담양 전씨
한자 표기潭陽 田氏
관향전라남도 담양군
시조전득시(田得時)
집성촌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북도 군산시
전라북도 정읍시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남도 보령시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북도 울진군
평안북도 강계군
인물전균
전록생
전조생
전운상
전우
전명운
전영택
전숙희
전락원
전상범
전윤철
전용원
전용학
전수안
전병헌
숙용 전씨
년도2015
인구155,018명
비고담양 전씨 대종회

2. 역사

담양 전씨는 시조 전득시가 담양군에 봉해진 이후, 후손들이 담양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담양 전씨 후손인 전구주(田九疇)는 1516년(중종 11) 식년문과에 급제했고, 1518년(중종 13) 조광조의 건의로 설치된 현량과 시관으로도 참여했다.[1]

담양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하며, 현재 담양은 조선시대 담양도호부와 창평현을 1914년에 병합한 지역이다. 백제 추자혜군, 신라 경덕왕 때 추성군, 고려 성종 때 담주도단련사, 고려 현종 때 담양군으로 불렸고, 나주에 편입되기도 했다. 1172년(명종 2) 감무, 1391년(공양왕 3) 원율현 병합, 1395년(태조 4) 군, 1399년(정종 1) 부, 1413년(태종 13) 담양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1728년(영조 4) 현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담양군이 되어 남원부 관할, 1905년(광무 9) 담양부에서 담양군으로 변경, 1908년(순종 2) 옥과군 일부가 담양군에 편입되었다.[1]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2] 남원, 고양, 우봉, 개성, 의령, 연안, 행주, 임천, 수안, 과천 등의 본관까지 합하면 23명의 문과 급제자가 있다.

; 고려 문과


  • 전록생(田祿生)
  • 전자수(田子壽)


; 문과

성명성명성명성명
전가식(田可植)전구주(田九疇)전규풍(田圭豊)전벽(田闢)
전빈(田馪)전석원(田錫元)전속(田 香+束)전시우(田時雨)
전예(田藝)전위(田煒)전재오(田栽五)전흡(田闟)
전여림(田汝霖)전건하(田健夏)전광옥(田光玉)전대년(田大年)
전대방(田大方)전응룡(田應龍)전제광(田霽光)전제현(田齊賢)
전처경(田處坰)전현룡(田見龍)전호민(田皞民)



; 무과

성명성명성명성명
전광술(田光述)전광회(田光晦)전광훈(田光勳)전귀현(田貴玄)
전녹부(田祿富)전대수(田大穗)전덕현(田德顯)전뒤씨(田後種)
전만창(田萬昌)전문현(田文顯)전보천(田輔天)전색(田穡)
전시박(田始愽)전시성(田始盛)전시우(田時雨)전시원(田始元)
전신득(田信得)전양추(田穰秋)전우룡(田遇龍)전우성(田遇聖)
전유양(田有穰)전융석(田隆碩)전은상(田殷祥)전의남(田義男)
전인휴(田仁畦)전창제(田昌齊)전천상(田天祥)전태경(田泰慶)
전협(田浹)전확(田穫)



; 생원시

성명성명성명성명
전광훈(田光勳)전구주(田九疇)전기문(田起門)전기연(田耆然)
전담(田𩡝)전동락(田東洛)전만성(田晩成)전빈(田馪)
전빈(田霦)전상원(田相元)전선명(田善鳴)전속(田 香+束)
전여림(田汝霖)전용관(田用灌)전유룡(田有龍)전유직(田有稷)
전응열(田應說)전응정(田應井)전응주(田應周)전이로(田以魯)
전재풍(田載豊)전정추(田正秋)전제광(田霽光)전처경(田處坰)
전집(田)전필(田馝)전현룡(田見龍)전흡(田洽)
전흡(田闟)



; 진사시

성명성명성명성명
전계대(田啓大)전구원(田九畹)전규추(田圭秋)전대년(田大年)[3][4]
전대방(田大方)전문우(田文禹)전승개(田承漑)전승우(田承雨)
전여림(田汝霖)전용하(田龍夏)전익규(田益奎)전위(田煒)
전의현(田義顯)전일량(田一良)전현룡(田見龍)전호우(田好雨)


2. 1. 시조 및 기원

담양 전씨(潭陽 田氏)의 시조 '''전득시'''(田得時)는 고려 전라도 담양 출신으로, 향리의 아들이다. 그는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고,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한 뒤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은 담양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1]

2. 2. 분파

전득시의 6세손 전희경(田希慶)의 아들 '''전록생'''(田祿生, 전녹생)은 야은공파(野隱公派), '''전귀생'''(田貴生)은 뇌은공파(牢隱公派), '''전조생'''(田祖生)은 경은공파(耕隱公派)로 계파가 나뉘었다.

전득시의 8세손인 전가식(田可植)을 시조로 하는 연안 전씨, 전조생의 7세손인 전균(田畇)을 시조로 하는 하음 전씨, 고양 전씨[1], 전실(田實)을 시조로 하는 예산 전씨 등 남원, 우봉, 개성 등은 담양 전씨에서 분파되었다. 담양 전씨 대동보에는 함께 등재하고 있다.

3. 본관

담양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현재 담양은 조선시대의 담양도호부(潭陽都護府)와 창평현(昌平縣)을 1914년에 병합한 지역이다. 봉산면·무정면 이북지역은 대체로 옛 담양도호부 영역이고, 창평면·고서면·대덕면·남면·수북면 등 남부는 옛 창평현 지역에 해당한다. 백제의 추자혜군(秋子兮郡)이었던 것을 신라 경덕왕이 추성군(秋成郡)으로 고쳤고,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담주도단련사(潭州都團練使)를 두었다가, 1018년(현종 9) 도단련사를 폐지하였고, 담양군으로 개편하여 나주에 편입시켰다.

1172년(명종 2)에는 감무(監務)를 두었고, 1391년(공양왕 3)에는 원율현(原栗縣 : 담양군 금성면 원율리 일대)을 병합하였다. 1395년(태조 4) 군으로 승격하였고, 1399년(정종 1)에 부(府)로 다시 승격하였으며, 1413년(태종 13)에 담주에서 담양으로 개칭되어 도호부(都護府)가 되었으나, 1728년(영조 4)에 현(縣)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역지방제도 개정으로 담양군이 되어 남원부(南原府)의 관할하에 있었으며, 1905년(광무 9)에 담양부를 담양군으로 고쳤고, 1908년(순종 2)에 폐지된 옥과군 일부가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4. 인물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2] 고려 시대에는 전득시의 6세손인 전록생(전녹생)과 전자수가 문과에 급제했다.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
이름
전록생
전자수



조선 연산군의 후궁인 숙용 전씨와 성종의 계비인 정현왕후의 어머니이자 중종의 외할머니인 연안부부인 전씨가 있다.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2] 최근 담양 전씨 대동보에 합본된 남원, 고양, 우봉, 개성, 의령, 연안, 행주, 임천, 수안, 과천 등의 본관까지 합하면 23명의 문과 급제자가 있다.

; 문과

전가식(田可植) 전구주(田九疇) 전규풍(田圭豊) 전벽(田闢) 전빈(田馪) 전석원(田錫元) 전속(田 香+束) 전시우(田時雨) 전예(田藝) 전위(田煒) 전재오(田栽五) 전흡(田闟) 전여림(田汝霖) 전건하(田健夏) 전광옥(田光玉) 전대년(田大年) 전대방(田大方) 전응룡(田應龍) 전제광(田霽光) 전제현(田齊賢) 전처경(田處坰) 전현룡(田見龍) 전호민(田皞民)

; 무과

전광술(田光述) 전광회(田光晦) 전광훈(田光勳) 전귀현(田貴玄) 전녹부(田祿富) 전대수(田大穗) 전덕현(田德顯) 전뒤씨(田後種) 전만창(田萬昌) 전문현(田文顯) 전보천(田輔天) 전색(田穡) 전시박(田始愽) 전시성(田始盛) 전시우(田時雨) 전시원(田始元) 전신득(田信得) 전양추(田穰秋) 전우룡(田遇龍) 전우성(田遇聖) 전유양(田有穰) 전융석(田隆碩) 전은상(田殷祥) 전의남(田義男) 전인휴(田仁畦) 전창제(田昌齊) 전천상(田天祥) 전태경(田泰慶) 전협(田浹) 전확(田穫)

; 생원시

전광훈(田光勳) 전구주(田九疇) 전기문(田起門) 전기연(田耆然) 전담(田𩡝) 전동락(田東洛) 전만성(田晩成) 전빈(田馪) 전빈(田霦) 전상원(田相元) 전선명(田善鳴) 전속(田 香+束) 전여림(田汝霖) 전용관(田用灌) 전유룡(田有龍) 전유직(田有稷) 전응열(田應說) 전응정(田應井) 전응주(田應周) 전이로(田以魯) 전재풍(田載豊) 전정추(田正秋) 전제광(田霽光) 전처경(田處坰) 전집(田) 전필(田馝) 전현룡(田見龍) 전흡(田洽) 전흡(田闟)

; 진사시

전계대(田啓大) 전구원(田九畹) 전규추(田圭秋) 전대년(田大年)[3] 전대방(田大方) 전문우(田文禹) 전승개(田承漑) 전승우(田承雨) 전여림(田汝霖) 전용하(田龍夏) 전익규(田益奎) 전위(田煒) 전의현(田義顯) 전일량(田一良) 전현룡(田見龍) 전호우(田好雨)

4. 1. 고려

'''전득시'''(田得時)는 고려 전라도 담양에서 대대로 오랫동안 살아온 향리의 아들이다. 고려 의종 때 좌복야(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고 '''담양군'''(潭陽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담양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1]

전득시의 6세손 전희경(田希慶)의 아들 '''전록생'''(田祿生, 전녹생)은 야은공파(野隱公派)로,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였다. 같은 6세손인 '''전자수'''(田子壽)도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였다.[2]

4. 2. 조선


  • 숙용 전씨: 연산군의 후궁이다.[2]
  • 연안부부인 전씨: 성암 전좌명(田佐命)의 딸이며 영원부원군(鈴原府院君) 윤호(尹壕)의 아내로서 성종의 계비인 정현왕후의 어머니이고 중종의 외할머니이다. 딸인 정현왕후는 숙의 윤씨로 있다가 성종의 비가 되었고 뒤에 중종으로 즉위한 진성대군을 낳았다. 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전씨(田氏)는 외명부 정1품의 위계인 부부인의 작위를 받았다.


담양 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2] 최근 담양 전씨 대동보에 합본된 남원, 고양, 우봉, 개성, 의령, 연안, 행주, 임천, 수안, 과천 등의 본관까지 합하면 23명의 문과 급제자가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이름
전가식(田可植)
전구주(田九疇)
전규풍(田圭豊)
전벽(田闢)
전빈(田馪)
전석원(田錫元)
전속(田 香+束)
전시우(田時雨)
전예(田藝)
전위(田煒)
전재오(田栽五)
전흡(田闟)
전여림(田汝霖)
전건하(田健夏)
전광옥(田光玉)
전대년(田大年)
전대방(田大方)
전응룡(田應龍)
전제광(田霽光)
전제현(田齊賢)
전처경(田處坰)
전현룡(田見龍)
전호민(田皞民)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이름
전광술(田光述)
전광회(田光晦)
전광훈(田光勳)
전귀현(田貴玄)
전녹부(田祿富)
전대수(田大穗)
전덕현(田德顯)
전뒤씨(田後種)
전만창(田萬昌)
전문현(田文顯)
전보천(田輔天)
전색(田穡)
전시박(田始愽)
전시성(田始盛)
전시우(田時雨)
전시원(田始元)
전신득(田信得)
전양추(田穰秋)
전우룡(田遇龍)
전우성(田遇聖)
전유양(田有穰)
전융석(田隆碩)
전은상(田殷祥)
전의남(田義男)
전인휴(田仁畦)
전창제(田昌齊)
전천상(田天祥)
전태경(田泰慶)
전협(田浹)
전확(田穫)



조선시대 생원시 급제자
이름
전광훈(田光勳)
전구주(田九疇)
전기문(田起門)
전기연(田耆然)
전담(田𩡝)
전동락(田東洛)
전만성(田晩成)
전빈(田馪)
전빈(田霦)
전상원(田相元)
전선명(田善鳴)
전속(田 香+束)
전여림(田汝霖)
전용관(田用灌)
전유룡(田有龍)
전유직(田有稷)
전응열(田應說)
전응정(田應井)
전응주(田應周)
전이로(田以魯)
전재풍(田載豊)
전정추(田正秋)
전제광(田霽光)
전처경(田處坰)
전집(田)
전필(田馝)
전현룡(田見龍)
전흡(田洽)
전흡(田闟)



조선시대 진사시 급제자
이름
전계대(田啓大)
전구원(田九畹)
전규추(田圭秋)
전대년(田大年)[3]
전대방(田大方)
전문우(田文禹)
전승개(田承漑)
전승우(田承雨)
전여림(田汝霖)
전용하(田龍夏)
전익규(田益奎)
전위(田煒)
전의현(田義顯)
전일량(田一良)
전현룡(田見龍)
전호우(田好雨)


4. 3. 항렬표


  • 야은파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
일(鎰)口기(淇)계(桂)口희(熙)준(埈)口수(銖)호(浩)口식(植)병(炳)口곤(坤)호(鎬)口구(求)상(相)口열(烈)기(基)口종(鍾)근(根)口형(炯)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口진(鎭)영(泳)口근(根)병(炳)口균(均)종(鍾)口태(泰)계(桂)口환(煥)재(在)口석(錫)홍(洪)口식(植)희(熙)口기(基)호(鎬)口경(炅)배(培)口종(鍾)


  • 경은파

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
용(溶)口수(秀)병(炳)口배(培)종(鍾)口호(浩)정(楨)口덕(悳)치(致)口회(會)락(洛)口빈(彬)노(魯)口재(在)탁(鐸)口제(濟)계(桂)口휴(烋)기(紀)口달(達)수(洙)口업(業)


5. 왕실과의 인척 관계

6. 과거 급제자

고려 문과 급제자
성명비고
전록생
전자수



조선 문과 급제자
성명비고
전가식
전구주
전규풍
전벽
전빈
전석원
전속
전시우
전예
전위
전재오
전흡
전여림
전건하
전광옥
전대년
전대방
전응룡
전제광
전제현
전처경
전현룡
전호민



조선 무과 급제자
성명비고
전광술
전광회
전광훈
전귀현
전녹부
전대수
전덕현
전뒤씨
전만창
전문현
전보천
전색
전시박
전시성
전시우
전시원
전신득
전양추
전우룡
전우성
전유양
전융석
전은상
전의남
전인휴
전창제
전천상
전태경
전협
전확



조선 생원시 급제자
성명비고
전광훈
전구주
전기문
전기연
전담
전동락
전만성
전빈
전빈
전상원
전선명
전속
전여림
전용관
전유룡
전유직
전응열
전응정
전응주
전이로
전재풍
전정추
전제광
전처경
전집
전필
전현룡
전흡
전흡



조선 진사시 급제자
성명비고
전계대
전구원
전규추
전대년[3]
전대방
전문우
전승개
전승우
전여림
전용하
전익규
전위
전의현
전일량
전현룡
전호우


7. 집성촌


참조

[1] 기타
[2] 인물
[3] 기타
[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