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관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관계법은 1979년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고 중화민국과 단교한 후, 대만과의 비공식적 관계 유지를 위해 제정된 미국의 국내법이다. 이 법은 미국대만협회를 통해 사실상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대만에 방어용 무기를 제공하며, 대만의 안보를 위협하는 무력 사용에 저항할 능력을 유지하도록 규정한다. 또한, 6개 보장을 통해 미국의 대중국 정책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관계법이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된다며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96대 미국 의회 - 바이-돌 법안
    바이-돌 법안은 연방 정부 지원을 받은 연구의 특허 권리를 비영리 단체에 부여하여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미국의 법으로, 발명 공개, 소유권, 정부 라이선스 범위를 규정하며 대학의 기술 이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중화민국 관계 - 대만여행법
    대만여행법은 미국과 대만 간 모든 계급의 상호 방문을 장려하고 고위급 소통을 증진하기 위해 2018년 발효된 미국의 연방법으로, 양국 공직자 간의 상호 방문 및 회담을 장려하며 중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미국 고위급 인사들의 대만 방문과 양국 간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 미국-중화민국 관계 - 대만 동맹 국제 보호 강화법
    대만 동맹 국제 보호 강화법은 대만의 국제적 고립을 막고 국제기구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의된 법안이며, 미국이 대만의 국제기구 회원 자격 및 옵저버 지위를 옹호하고 미중 양자 교류에서 이 문제를 의제로 삼도록 규정한다.
대만관계법
지도 정보
법률 정보
법률 이름타이완 관계법
전체 이름서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및 안정을 유지하고, 미국과 타이완 국민 간의 상업적, 문화적 및 기타 관계의 지속을 승인함으로써 미국의 외교 정책을 증진하기 위한 법률
약칭TRA
발효일1979년 1월 1일
수정된 제목22 U.S.C.: 외교 및 통상
생성된 조항§ 3301 et seq.
입법 역사 URLhttp://thomas.loc.gov/cgi-bin/bdquery/z?d096:HR02479:@@@S
발의 기관하원
발의 법안"미국-타이완 관계법" (H.R. 2479)
발의자클레멘트 J. 자블로키 (D–WI)
발의일1979년 2월 28일
위원회하원 외교
통과 기관 1하원
통과일 11979년 3월 13일
통과 투표 1345–55
통과 기관 2상원
통과일 21979년 3월 14일
통과 투표 290–6
회의 날짜1979년 3월 24일
통과 기관 3하원
통과일 31979년 3월 28일
통과 투표 3339–50
통과 기관 4상원
통과일 41979년 3월 29일
통과 투표 485–4
서명 대통령지미 카터
서명일1979년 4월 10일
기본 정보
공식 명칭 (영어)Taiwan Relations Act
공식 명칭 (중국어)臺灣關係法 (간체: 台湾关系法)
공식 명칭 (일본어)台湾関係法
목적
목적서태평양 지역의 평화, 안보 및 안정 유지
미국과 타이완 국민 간의 상업, 문화 및 기타 관계의 지속 승인
미국의 외교 정책 증진
관련 법률 및 문서
관련 법률타이완 관계법

2. 배경

1979년 미국중화인민공화국을 공식 승인하고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에 따라 민주당 소속 지미 카터 대통령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를 수립하고, 중화민국과의 수교는 단절하였다.[1][2] 백악관의 이러한 방침은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이간을 결정적인 것으로 만들었고, 미국 기업이 장래 중국 대륙의 거대한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중 상호방위조약의 무효화에 따른 미국 타이완 방위사령부(해체)와 주타이완미군(철수)로 인해 동아시아에서 급격한 군사력 균형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1978년 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미국, 일본, 서유럽과 함께 소련에 대항하는 “통일전선”을 구축했다고 주장하며, 1979년 미국과의 수교를 맺었다(수교 공동성명). 중국 공산당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국의 사이클론 작전을 지원했고,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의 주요 적대국이었던 베트남에 대해 중국-베트남 전쟁을 일으켰다. 이러한 중국 공산당의 행보에 대한 대가로 카터 행정부는 중화민국과 맺었던 상호방위조약(SAMDT)을 파기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미국 내 대만 로비 단체를 동원하여 미국 의회에 대만에 대한 미국의 안보 보장을 신속하게 통과시키도록 로비했다.[3][4] 대만은 반공 정서, 중화민국과 공유하는 전시 경험, 중국의 인권 침해(대만의 백색테러를 저지른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종교의 자유 억압 등 여러 측면에서 의원들에게 호소했다.

베리 골드워터 상원의원을 비롯한 미국 의회 의원들은 지미 카터 대통령이 1954년 12월 체결되어 1955년 2월 미국 상원에서 비준된 중화민국과의 상호방위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할 권리가 있는지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골드워터와 그의 공동 제소인들은 미국 헌법 제2조 제2항에 따라 대통령이 이러한 조약 파기 행위를 하려면 상원의 승인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카터 대통령이 권한을 넘어선 행동을 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미국 연방 대법원에 골드워터 대 카터 소송을 제기했다. 이 사건은 최종적으로 재판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기각되었고, 대통령의 일방적인 조약 파기 권한에 대한 헌법적 질문은 여전히 남게 되었다.[5]

미국과 중화민국의 관계 단절 후, 1979년 의회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카터 대통령이 서명했다. 의회는 미 국무부의 제안을 거부하고 1979년부터 시행된 조항으로 대체했다. 대만관계법(TRA)은 비영리법인인 미국재대만협회(AIT)를 통해 비공식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상업, 문화 및 기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공식적인 정부 대표 또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 없이 워싱턴 D.C. 법률에 따라 설립된 것이다.[6] 이 법은 1979년 1월 1일부터 소급 적용되었다.

3. 주요 내용

대만관계법은 1979년 1월 1일 이후 중화민국을 인정하지 않고 '대만의 통치 당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대만 섬과 펑후 열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7] 금문, 마쭈 열도 등은 제외된다.[7]

미국1979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중화민국(中華民國중국어)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지만, 대만관계법을 통해 미국대만협회(AIT)를 통해 사실상의 대사관 수준의 비공식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6] 이 법은 대만을 "외국, 국가, 주, 정부 또는 유사한 실체"와 동일하게 취급한다.[8]

대만관계법은 미국이 대만에 방어적 성격의 무장을 제공하고, 대만인의 안보를 위협하는 무력 사용에 저항할 능력을 유지하도록 규정한다.[9] 미국은 대만에 대한 군사적 개입 여부는 '전략적 모호성' 정책을 따르며, 3개의 공동 코뮤니케와 하나의 중국 정책 준수를 요구하는 중국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대만에 무기를 판매해왔다.[16][15]

1982년 레이건 행정부는 '6개 보장'을 발표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8]

#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수출 기한을 정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수출에 있어 중국과 사전 협상을 진행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 해협 양안 간의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관계법을 수정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의 주권에 대한 입장을 변경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이 중국과 협상하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8·17 공보에서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를 줄이기로 합의했지만, 6개 보장을 통해 대만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3. 1. 대만의 정의

본 법률은 1979년 1월 1일 이후 "중화민국"이라는 용어를 인정하지 않고, "대만의 통치 당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955년 이전의 미중 상호방위조약의 유사한 내용을 따르면, 본 법률은 문맥에 따라 "대만"이라는 용어에 대만 섬과 펑후 열도를 포함하도록 정의한다. 그 외 중화민국이 통제하는 다른 섬이나 군도 중 금문(金門), 마쭈 열도(馬祖) 등은 대만의 정의에서 제외된다.[7]

3. 2. 외교 관계

미국1979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중화민국(中華民國중국어)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그러나, 대만관계법을 제정하여 미국대만협회(AIT)를 통해 사실상의 대사관 수준의 비공식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6] 이 법은 1979년 1월 1일부터 소급 적용되었다.

대만관계법은 AIT에 특별한 권한을 부여하여 사실상 대사관(de facto embassy) 수준으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통치 당국과의 사실상 외교 관계(de facto diplomatic relations)를 승인한다. 또한 1979년 이전에 중화민국과 미국 사이에 체결된 모든 국제 협정은 별도로 종료되지 않는 한 여전히 유효하다고 명시한다.[6]

대만관계법(TRA)은 미국 법률에 따라 대만을 "외국, 국가, 주, 정부 또는 유사한 실체"와 동일하게 취급하도록 규정하여 대만을 준주권적인 외국과 동등한 수준으로 취급한다.[8]

3. 3. 군사 관계

대만관계법은 미국이 대만에 방어적인 성격의 무장을 제공하고, 대만 인민의 안보 또는 사회·경제 체제를 위태롭게 할 수 있는 무력 사용이나 기타 형태의 강압에 저항할 능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정책을 명시하고 있다.[9]

미국의 대만에 대한 군사적 개입 여부는 '전략적 모호성' 정책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대만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과 중국의 일방적인 대만 통일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은 3개의 공동 코뮤니케와 하나의 중국 정책을 준수해야 한다는 중국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역대 행정부에서 대만에 무기를 판매해 왔으며,[16] 이는 중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15]

3. 4. 6개 보장

1982년, 레이건 행정부는 중국과의 8·17 공보 발표 직전에 '6개 보장'을 발표했다. 6개 보장은 대만관계법과 함께 미국의 대중국 정책의 기준이 되고 있다.[28] 6개 보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수출 기한을 정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수출에 있어 중국과 사전 협상을 진행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 해협 양안 간의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관계법을 수정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의 주권에 대한 입장을 변경하지 않는다.

# 미국은 대만이 중국과 협상하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8·17 공보에서 미국은 대만에 대한 무기 판매를 줄이기로 합의했지만, 6개 보장을 통해 대만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4. 논란

중화인민공화국은 미국에게 대만관계법 폐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대외적으로 하나의 중국 정책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법안은 미국 정부가 '두 개의 중국'을 사실상 시인하며 자국을 기만한 조치라고 주장한다.[29] 미국 내부에서도 최근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다.

TRA 통과는 중국 지도자 덩샤오핑이 미국을, 이전의 중국에 대한 약속을 저버릴 의향이 있는 불성실한 파트너로 보기 시작하게 만들었다.[10]

2007년 7월, 미 의회조사처 보고서는 미국의 정책이 대만에 대한 중국(PRC)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14] 중국은 대만관계법(TRA)을 "미국의 중국 내정 간섭"으로 계속 간주하고 있다.[15] 미국은 대만에 계속 무기를 공급해왔고, 중국은 이에 대해 계속 항의해왔다.[16]

이는 1990년대 후반 냉전 이후 국력이 약화된 러시아와 달리, 급속한 경제 발전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킨 중화인민공화국이 미국에 이어 군사 강국으로 부상하면서, 양국 간 충돌은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는 뉘앙스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대중 관계를 중시하는 마잉주 총통 정권 하에서 중국과 대만의 관계가 개선된 이후, 연구자와 학자들 사이에서는 대만에 대한 무기 공여를 자제하거나, 더 나아가 대만에서 손을 떼는 소위 “대만 포기론”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대응으로는, 지정학적인 제1열도선에 포함되는 대만 섬을 포기할 경우 중국이 서태평양을 지배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유사시 미군의 대응은 타이완 해협 위기에 준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점을 베이징 정부도 묵시적으로 인식하고 있다.[26]

5. 각국의 반응

각국은 이 법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 '''미국:''' 1990년대 후반, 미국 의회는 대만관계법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비구속적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016년에는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과 밥 메넨데스 상원의원이 대만관계법과 6개 보장을 미국-대만 관계의 초석으로 재확인하는 결의안을 발의했다.[11][12][13][17][18][19]
  • '''일본:''' 자유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일본판 대만관계법' 제정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있다.[27]

5. 1. 미국

1990년대 후반, 미국 의회는 대만관계법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비구속적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대만과 미국의 관계가 대만관계법을 통해 존중될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빌 클린턴 대통령이 서명했다.[11][12] 의회 양원은 대만관계법의 중요성을 반복적으로 재확인했다.[13]

2016년 5월 19일, 차이잉원 중화민국 총통 취임 하루 전,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공화당-플로리다주)과 밥 메넨데스 상원의원(민주당-뉴저지주)은 대만관계법과 6개 보장을 미국-대만 관계의 초석으로 재확인하는 동시 결의안을 발의했다.[17][18][19]

5. 2. 일본

일본에서는 자유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일본판 대만관계법' 제정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있다.[27]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Asia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Routledge 2015-03-17
[2] 서적 The Public Dimension of Foreign Polic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6-01-01
[3] 서적 Remaking the Chinese State: Strategies, Society, and Security Routledge
[4] 뉴스 Mixed Signals http://www.taiwantod[...] 2009-07-01
[5] 웹사이트 China Mutual Defense (1954) https://www.ait.org.[...]
[6] 웹사이트 April 10, 1979: Taiwan Relations Act Statement on Signing H.R. 2479 Into Law http://www.presidenc[...] 1979-04-10
[7] 보고서 台灣法律地位之演變(1973-2005) http://tkuir.lib.tku[...] 淡江大學東南亞研究所 2008-07-20
[8] 웹사이트 Taiwan Relations Act: Public Law 96-8 96th Congress http://usinfo.state.[...] 2008-05-18
[9] 웹사이트 Public Law 96-8 https://www.congress[...] United State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79-04-10
[10]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1-01
[11] 웹사이트 H.Con.Res.56 -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Taiwan Relations Act. https://www.congress[...] 1999-03-17
[12] 웹사이트 H.Con.Res.53 - Concerning the Taiwan Relations Act. https://www.congress[...] 1999-03-11
[13] 웹사이트 H.Con.Res.117 - Expressing the sense of Congress that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should reaffirm its unwavering commitment to the Taiwan Relations Act as the cornerstone of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Taiwan,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congress[...] 2003-03-25
[14] 웹사이트 CRS Report to Congress http://www.taiwanbas[...]
[15] 웹사이트 China opposes US congress' resolution on Taiwan http://www.china-emb[...] 2004-07-19
[16] 뉴스 China's Tantrum on Taiwan Arms Deal https://www.nytimes.[...] 2015-12-24
[17] 웹사이트 Menendez, Rubio: "Six Assurances" Continued Foundation of U.S.-Taiwan Relations https://www.menendez[...] 2016-05-19
[18] 웹사이트 Rubio, Menendez: ‘Six Assurances’ Continued Foundation Of U.S.-Taiwan Relations http://www.rubio.sen[...] 2016-05-19
[19] 웹사이트 S.Con.Res.38 - A concurrent resolution reaffirming the Taiwan Relations Act and the Six Assurances as cornerstones of United States-Taiwan relations. https://www.congress[...] 2016-05-19
[20] 웹사이트 The 2016 Republican Party Platform https://www.gop.com/[...] 2016-07-18
[21] 웹사이트 Biden, Taiwan, and Strategic Ambiguity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1-10-25
[22] 보고서 台灣法律地位之演變(1973-2005) http://tkuir.lib.tku[...] 淡江大學東南亞研究所 2008-07-20
[23] 웹사이트 Taiwan Relations Act - Sec. 3301. Congressional findings and declaration of policy. (b) Policy. (3) http://www.taiwandoc[...]
[24] 웹사이트 Taiwan Relations Act - Sec. 3303. Application to Taiwan of law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b)
[25] 웹사이트 Taiwan Relations Act - Sec. 3303. Application to Taiwan of law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c)
[26] 뉴스 アメリカで叫ばれ始めた「台湾放棄論」 中国に統一されるのは避けられない流れ? http://jbpress.ismed[...] 2014-03-27
[27] 뉴스 自民有志、台湾関係法策定で関係強化 https://web.archive.[...] 2014-02-17
[28] 서적 대만, 어디에 있는가 채륜 2011-01-01
[29] 웹사이트 http://www.china-em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