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운송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D운송그룹은 허명회, 권영우 회장이 창립한 운송 기업으로, 시내버스, 전세버스, 고속버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1972년 대원여객을 모태로 설립되었으며, 인수 합병을 통해 성장했다. 현재 KD운송그룹은 자일대우버스를 주로 사용하며, 현대자동차 차량도 일부 보유하고 있다. 또한, KD운송그룹은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으며,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등 터미널 사업과 차량 관련 부품 생산, 직원 복지, 교육 사업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수도권 광역급행버스 노선 운영과 관련하여 특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항철공사
항철공사는 1972년 지하철 공사로 설립되어 홍콩의 도시 철도 시스템인 MTR을 운영하며, 철도 운영과 부동산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해외로도 사업을 확장하는 기업이다.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대원여객
대원여객은 1972년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회사로, 수도권 지역에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겪었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교육에 관한 -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문서는 박물관의 기원과 초기 발전, 한국 사회에서의 발전, 현황, 주요 쟁점, 영향과 전망 등을 다룬다. - 교육에 관한 -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는 1969년 울산공과대학으로 설립되어 198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사립 대학으로, 공업단지 발전을 위한 기술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현대그룹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현재 11개의 단과대학과 6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산학협력에도 힘쓰고 있다.
| KD운송그룹 | |
|---|---|
| 기본 정보 | |
| 회사명 | KD운송그룹 |
![]() | |
| 설립일 | 1930년 (경기고속 설립일) |
| 설립일 | 1954년 (대원고속 설립일) |
| 설립일 | 1972년 (의정부 설립일) |
| 창립자 | 허명회 |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
| 서비스 지역 | 대한민국 |
| 주요 인물 | 허명회, 허상준, 김승한 |
| 산업 | 대중교통 |
| 제공 서비스 | 버스 |
| 매출액 | 7,370억 대한민국 원 (2009년) |
| 종업원 수 | 9,290명 |
| 웹사이트 | 버스피아 |
| 추가 정보 | |
| 형태 | 주식회사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KD타워) (본사) |
|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광주대로 171 (송정동) |
| 창립자 | 권영우 (정치인) |
| 회장 | 허명회 |
| 사장 | 허상준 |
| 제공 서비스 | 고속버스 공항버스 농어촌버스 시내버스 시외버스 여행사 주유소 여객자동차정류장 차량 정비 연료 보급 식료품 제조 |
| 순이익 | 100억 대한민국 원 (2009년) |
| 자회사 | 아래 목록 참고 |
2. 역사
KD운송그룹은 1972년에 설립된 대원여객을 모태로 한다. 서울특별시와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속버스, 공항버스, 시내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운수업체는 총 16개 회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KD운송그룹은 소속 버스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그룹 내에 내수용 물품을 생산하는 별도 계열 업체를 두고 있다. 또한 대원교육재단을 설립하여 교육에도 투자하고 있다.[29]
2. 1. 설립 초기
KD운송그룹의 창립자는 권영우, 허명회 회장이다. 그룹 창립의 모태는 대원여객이며 창립자는 허명회 회장이다. 경영상 동반자인 故 권영우는 명지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세명대학교, 대원대학교 창립자이다. 또한, 많은 학교법인을 경영해 왔다.[3]2. 2. 인수 합병을 통한 성장
1978년과 1984년에 각각 1, 2차로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을 인수하였고, 1995년 3차로 대원교통을 인수하였다. 2006년 4차로 평안운수를, 2008년 5차로 명진여객과 진명여객을 인수하였다. 2009년 6차로 선진상운과 유성운수를, 2010년 7차로 선진여객을, 2011년 8차로 하남시내버스를 인수하였다. 현재 최대 지주인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은 인수한 회사이다.[29]모든 계열사의 창립기념일은 행사 비용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4월 1일로 통합되었다.[29]
3. 특징
KD운송그룹은 차량, 노선, 노사 관계, 컨소시엄 출자 등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차량 측면에서는 자일대우버스를 주로 도입하여 부품 공용화 및 운전 교육 통일화를 통해 유지비를 절감하고 있다.[6] 그러나 인수 합병 과정에서 현대자동차 버스도 다수 보유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기아자동차 버스도 도입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시내버스에 목 받침 좌석을 기본 적용하여 승객 편의를 높였다.[7] 2015년부터는 볼보버스의 2층 버스를 도입하여 직행좌석버스 노선에 투입하고 있으며,[10] 2020년 자일대우상용차의 생산 중단 이후에는 현대자동차 차량을 출고하고 있다.
노선 측면에서는 1993년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최초의 수도권 직행좌석버스인 광주시내버스 1005-1번을 개통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11] 1995년에는 경남여객에서 양수한 광주시내버스 65번을 운행하기 시작하여 수원시 ~ 안양시 간 대표 노선으로 성장시켰다.[12] KD운송그룹의 최초 직행좌석버스 노선은 광주시내버스 1113번이며,[15] 1972년 인수한 서울시내버스 106번은 KD운송그룹의 최초 노선이다.[16] 2010년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대원여객 버스의 CNG 연료통 폭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19] KD운송그룹은 광역급행버스 (M버스)와 경기순환버스 노선도 다수 운영하고 있다.
노사 관계 측면에서는 근무 조건 및 복지 수준이 뛰어나며, 가정 중심의 기업 문화를 가지고 있다.[20]
컨소시엄 출자 측면에서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대원교통이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하였다.
3. 1. 차량 관련

KD운송그룹은 금강산 관광 사업 문제로 대원관광 일부 차량을 제외하고 대부분 자일대우버스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여러 회사를 인수하면서 현대자동차 버스가 많아졌고, 명진여객이 있는 의정부시에서 많이 볼 수 있었다. 구리시의 경기여객을 비롯하여 선진네트웍스로부터 인수한 남양주시의 경기운수, 경기버스에서도 현대자동차 비중이 높았으나 지금은 모두 자일대우상용차로 교체되었다.
KD운송그룹의 모든 차량은 대원관광의 금강산 관광 사업 문제로 반입된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에어로 익스프레스 하이클래스[4], 2014년에 요소수 수급 문제, 2015년 자일대우버스 파업으로 인해 반입한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폴딩, 2018년 성남시~인천국제공항 간 공항버스 노선의 서비스 증진을 위한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대원운수, 경기상운, 평안운수, 경기버스의 현대 카운티[5] 차량을 제외하면 모두 자일대우버스를 도입하여 차량 부품 공용화, 운전기사 운전교육 통일화를 통해 유지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6] 그러나 타 회사나 타 회사 노선을 인수하여 넘어온 중고 현대자동차 차량도 많았고 과거엔 무조건 교체하였으나, 현재는 보조금 및 내구연한 관련 문제로 그대로 운행 중이며, 내구연한이 만료되면 자일대우버스로 교체하고 있다. 한때 요소수 수급 등에 문제가 생기면서 현대자동차 차량을 자체 구매하였으며, 최근에는 동부고속, 아성천마고속, 천일여객그룹, 코리아와이드진안, 태화상운 등에서 가져온 중고 기아자동차 버스도 들어와 운행 중이다. 과거에는 엑싱공조의 에어컨을 장착하였으나 엑싱공조 부도 이후 주로 두원공조의 에어컨을 많이 사용하며, KD운송그룹 소속이라는 표시로 미국 알코아 사의 알코아(Alcoa) 휠을 사용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만의 FCT사의 FCT휠도 사용한다.
2005년부터 KD운송그룹 계열 전 시내버스에서는 부품 통일화, 그룹 이미지 상승 효과 및 승객의 사고 방지를 위해 목 받침이 기본 적용된 좌석 옵션을 기본으로 적용한다.[7] 그러나 경기고속, 대원고속 소속의 광주시내버스, 이천시내버스, 여주시내버스 등에서 운행하는 중형버스[8]와 저상버스, 대원여객, 대원교통에서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메트로버스 지분 출자시 반입된 차량[9], 자체적으로 반입한 소형버스인 자일대우 레스타와 현대 카운티 차량은 다른 시내버스들과 달리 좌석 옵션으로 반입하지 않고 있다.
2015년 11월부터 볼보버스의 B8RLE 섀시 기반의 2층 버스를 수입하여 대원운수와 경기고속 등 수많은 계열사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에 투입하고 있다.[10]
그러나 2020년, 자일대우상용차가 울산 공장을 폐쇄하고 베트남 공장으로 이전하려다가 노동조합의 반발로 인해 자일대우상용차의 차량 생산이 중단되면서 대원여객, 대원교통, 경기고속, 대원고속, 평안운수 등의 수많은 계열사에서 현대자동차 차량을 출고하고 있다.
3. 2. 노선 관련
1993년 오리역과 광화문역을 연결하면서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최초의 수도권 직행좌석버스인 광주시내버스 1005-1번이 개통되었다. 이 버스는 서울특별시 좌석버스보다 저렴하고 고급 차량을 사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KD운송그룹 사세 확장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신분당선 개통 등으로 인해 2018년 10월 28일 폐선되었다.[11]1995년에는 경남여객으로부터 양수받은 광주시내버스 65번(광교신도시~안양역)을 대원고속에서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 노선은 한때 "빗자루 배차"로 불릴 정도로 짧은 배차간격을 자랑했다.[12] 현재는 수원시 ~ 안양시 간의 대표 노선으로 자리 잡았다.
광주시내버스 1113번(광주시~강변역)은 1005-1번보다 먼저 신설된 KD운송그룹의 최초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15] 2000년대 초에 에버랜드로 연장되었다.
서울시내버스 106번은 의정부와 서울을 잇던 미군 수송 버스가 전신으로, 1972년 대원여객이 인수하면서 KD운송그룹의 최초 노선이 되었다.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 개편으로 106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고, 2024년 8월 3일 폐선되었다.[16][17]
2010년 8월에는 서울특별시 행당동에서 대원여객 241B번 버스의 CNG 연료통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9] 이 사고로 구형 차량들이 신형 CNG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현재 241B번은 24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어 대원교통에서 운행 중이다.
KD운송그룹은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M버스) 32개 노선 중 15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M5121번과 M5422번 수원시 도심 구간 노선 신설 과정에서 특혜 논란이 있었다.
또한 경기순환버스 5개 노선을 모두 운행하고 있다.
3. 3. 노사 관계
KD운송그룹은 근무 조건 및 복지 수준이 뛰어나다. 전국 시내 및 시외 등록 버스의 15% 정도가 KD운송그룹 소속일 정도로 규모가 크다.[20] 가정 중심의 기업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허명회 회장 주관으로 매달 생일 파티를 여는 등 가정 중심의 행사가 많다.[20]3. 4. 컨소시엄 출자 관련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대원교통이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직접 지분을 출자하였다. 원래는 지주회사인 경기고속이 출자할 수도 있었으나, 경기도 소속 버스 회사가 서울특별시 주간선버스 업체 컨소시엄에 참여할 수 없었기 때문에 허명회 회장의 지시를 받아 대원교통이 보유 지분을 직접 출자하였다. 하지만 두 회사가 모두 출자하였음에도 대주주가 되지는 못하였으며, 현재 최대 주주는 북부운수이다.4. 사업 부문
KD운송그룹은 운수 사업 외에도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 KD 오토리사이클링: KD운송그룹에서 내구 연한이 다 된 차량을 폐차하는 곳이다. 일부 부품은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 상태가 좋은 차량은 해외로 수출하기도 한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에 있다.[21]
- KD 에너지텍: GS칼텍스로부터 연료를 직거래로 구매하여 각 영업소에 공급하고, 자체 저유소를 운영하여 유류를 보관한다.
- KD 실크인쇄반: 경기상운 산하 회사로, 차량 광고물, 노선도, 행선판 등을 제작한다. 시내버스 행선판은 서울특별시, 경기도의 디자인을 받아 인쇄하고, 시외버스, 고속버스 등은 자체 디자인한 행선판을 사용한다.
이 외에도 직원 복지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 KD 어패럴: 직원 근무복을 제작하며, 앙드레 김이 디자인한 근무복으로 알려져 있다.[1]
- 경기운수 KD 청정피아: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마스크를 생산하여 전 계열사에 보급한다.
| 사업 부문 | 계열사 및 설명 |
|---|---|
| 식료품 사업부 | KD 김치공장 (경기고속 이천 대월면 영업소 부근, 김치 제조, 푸드피아 예하, 푸드피아스토리 홈페이지 통해 판매) KD 푸드피아 (음식업 담당, 푸드피아스토리를 통해 일부 식품 외부 판매) |
| 의류 사업부 | KD 어패럴 (경기고속 대성리 영업소 부근, 직원 근무복 제작) |
| 마스크 사업부 | 경기운수 KD청정피아 마스크 팩토리 (자체 마스크 생산, 전 계열사에 보급) |
4. 1. 운수 사업
KD운송그룹은 16개 운수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스 운영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별도 계열 업체를 두고 있다. 대원교육재단을 설립하여 교육에도 투자하고 있다.[29]1978년과 1984년에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을 각각 인수했으며, 이후 여러 회사를 추가로 인수했다. 현재 최대 주주인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은 인수된 회사이다. 모든 계열사 창립기념일은 4월 1일로 통합되었다.
; 경기도 시내버스 사업부
; 전세버스 사업부
; 고속버스 사업부
| 회사명 | 주요 노선 | 설립 연도 | 인수 연도 | 비고 |
|---|---|---|---|---|
| 경기고속 | 경기도 광주시 시내버스, 고속버스·마을버스·시외버스·광역버스·공항버스·전세버스·관광버스 | 1930년 | 1978년 | |
| 대원고속 | 경기도 광주시 시내버스, 고속버스·마을버스·시외버스·광역버스·공항버스·전세버스·관광버스 | 1954년 | 1984년 | |
| 삼흥고속 | 충청남도 공주시 고속버스·시외버스·공항버스 | 1966년 | 2018년 |
; 컨소시엄 출자 참여
; 차량 운영 사업부
- KD 실크인쇄반 - KD운송그룹 소속 인쇄 전문업체.[30]
- KD 오토텍 - KD운송그룹 소속 대우버스 직영 버스/그룹 내 차량 정비공장.[31]
- KD 에너지텍 - KD운송그룹 소속 연료 (유류, CNG 천연가스) 보급 담당 업체.[32]
- KD 오토리사이클링 - KD운송그룹 소속 폐차장.[33]
KD운송그룹은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수도권 광역급행버스(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15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수원시 도심 구간 노선 신설 과정에서 입찰 과정 없이 인허가되어, 용남고속 등 일부 운송 업체는 국토교통부가 KD운송그룹에 특혜를 주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경기순환버스 5개 노선을 모두 운행하고 있다.
4. 2. 터미널 사업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 안동버스터미널, 부천터미널 소풍을 운영하고 있다.4. 3. 차량 운영 사업
- '''KD 오토리사이클링'''
KD 오토리사이클링은 KD운송그룹에서 내구연한이 다 된 차량을 폐차할 때 이용하는 곳이다. 일부 차량 부품(시트, 창문, 손잡이, 봉, 하차벨, 안전벨트 등)은 재활용되며, 다른 자재는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 상태가 좋은 차들은 폐차하지 않고 해외로 수출하기도 한다. 충북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에 있다.[21]
- '''KD 오토텍'''
KD운송그룹은 경기도 광주시 광주차고지 내에 자체 정비공장인 KD오토텍을 보유하고 있다. 각 회사별 정비소와는 별개로 운영된다. KD에서 대부분 대우버스만 반입해 대우버스를 전문적으로 다루기 때문에 대우버스 직영 정비공장으로 등록되어 있다. 보유하고 있는 모든 차량을 이곳에서 정비한다. 포천시 내촌면에 차고지를 하나 더 마련하면서 제2 정비공장도 마련했다.
- '''KD 에너지텍'''
KD운송그룹은 천연가스와 유류 등의 연료를 GS칼텍스로부터 직거래로 구매하여 각 영업소로 보내 자체적으로 소비한다. 또한 어느 회사에서도 갖추지 못한 저유소를 운영하여 자체적으로 유류를 보관한다.
- '''KD 실크인쇄반'''
KD 실크인쇄반은 경기상운 산하로 차량에 부착되는 광고물, 노선도, 행선판 등을 제작하는 회사이다. 시내버스 행선판은 서울특별시, 경기도에서 디자인을 납품받아서 인쇄하며, 시외버스, 고속버스 및 대원교통, 대원여객의 내부 노선도 일부는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행선판을 인쇄한다.
- 이 회사의 고속버스, 공항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는 모두 보라색 그라데이션 도색을 하고 있다.
- 이 회사의 차량 대부분은 대우버스이다.
- KD오토텍(KD Autotech) - 자동차 정비업
- KD에너지텍(KD Energy Tech) - 연료 공급 담당
- KD오토리사이클링(KD Auto Recycling) - 폐차장
4. 4. 직원 복지 및 내부 거래
KD운송그룹은 그룹 운영에 필요한 물품을 자체적으로 조달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KD 어패럴'''
KD 어패럴은 KD운송그룹 직원들의 근무복을 제작하는 곳이다. 앙드레 김이 디자인한 근무복으로 유명하며, 허명회 회장의 명품 서비스 철학에 따라 5년간의 설득 끝에 13억 원을 들여 디자인하였다.[1]
- '''KD 푸드피아'''
KD 푸드피아는 KD운송그룹의 음식 관련 사업을 담당하며, 전국 53개의 직영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직원들이 먹는 음식과 식재료를 생산하며, KD 김치공장, KD 빵, 두부, 콩나물 공장 등을 운영한다. 일부 식품은 푸드피아스토리를 통해 외부에 판매되지만, 일반적인 유통 경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 '''KD 김치공장'''
KD 김치공장은 경기고속 이천대월영업소 부근에 위치하며, KD 푸드피아의 계열 공장이다. 허상준 사장이 부지를 구입하여 설립하였고, 개업식에는 허명회 회장, 허상준 사장, 이천영업소 직원, 이천시장 등이 참석했다. 공장 내에는 빵, 두부, 콩나물 공장도 있으며, 여기서 생산되는 김치는 매년 직원들에게 15kg씩 제공되고, 53개 직영 식당으로 공급된다. 푸드피아스토리를 통해서만 외부 판매되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HACCP 인증을 받은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은 김치를 생산한다.[2]
- '''경기운수 KD 청정피아'''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경기운수 산하에 설립된 마스크 생산 공장이다.
| 사업 부문 | 계열사 및 설명 |
|---|---|
| 식료품 사업부 | KD 김치공장 (경기고속 이천 대월면 영업소 부근, 김치 제조, 푸드피아 예하, 푸드피아스토리 홈페이지 통해 판매) KD 푸드피아 (음식업 담당, 푸드피아스토리를 통해 일부 식품 외부 판매) |
| 의류 사업부 | KD 어패럴 (경기고속 대성리 영업소 부근, 직원 근무복 제작) |
| 마스크 사업부 | 경기운수 KD청정피아 마스크 팩토리 (자체 마스크 생산, 전 계열사에 보급) |
직원들의 운전화는 금강제화에서 제작한다.
5. 교육 사업
KD운송그룹의 경영상 동반자인 권영우는 명지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세명대학교, 대원대학교를 설립하였다. 또한, 여러 학교법인을 경영해 왔다.[3]
5. 1. 대원교육재단
경영상 동반자인 故 권영우는 명지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세명대학교, 대원대학교 창립자이다. 또한, 많은 학교법인을 경영해 왔다.[3]; 대원교육재단[34]
; 민송학원
5. 2. 민송학원
경영 동반자인 故 권영우는 명지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세명대학교, 대원대학교를 설립하였다. 또한, 많은 학교법인[3]을 경영해 왔다.| 재단명 | 학교 |
|---|---|
| 대원교육재단[34] | |
| 민송학원 |
6. 편의 시설
KD운송그룹 소속의 모든 광역급행버스(MBUS), 경기순환버스, 직행좌석버스, 공항버스(수도권 출발)에는 T wifi zone이 설치되어 있으며, 일부 노선과 일부 차량에 한해 Olleh Wi-Fi zone이 설치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배터리 문제로 설치하지 않는다. 다만 광역급행버스(MBUS)와 경기순환버스의 경우 공기청정기와 휴대폰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bus.or.kr[...]
Korean Bus Transportation Industry Association
2014-01-07
[2]
웹인용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자료실 - 통계현황에서 볼 수 있다
http://www.bus.or.kr[...]
2014-01-07
[3]
문서
세명고등학교 (충북),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성희여자고등학교 등
[4]
문서
대원관광은 현대아산을 중심으로 하는 북한 진입 업체이기 때문에 현대자동차 버스가 아니면 북한에는 절대로 들어올 수가 없는 것 때문에 현대자동차 버스를 반입했다.
[5]
문서
자일대우버스에서는 소형버스가 출시되지 않은 관계로 어쩔수 없이 현대자동차의 카운티 차량을 반입한다. 이는 KD운송그룹 사상 대원관광을 포함한 자체 반입한 현대자동차 버스에 해당된다. 그러나 2012년 현재 자일대우버스에서 레스타가 나오고 있다. KD운송그룹의 고집대로라면, 레스타를 반입하게 될 가능성이 크며 2016년 진명여객 19번선에 레스타 차량을 반입하였다.
[6]
문서
경기고속 시외사업부 출범 당시 타 회사에서 중고로 반입한 동아자동차 고속버스가 운행중이었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까지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자일대우버스의 버스를 일정하게 보유하고 있었다.
[7]
문서
서울특별시 소속인 대원여객, 대원교통은 서울특별시와 협의를 거쳐 적용중인데 이는 서울특별시 규정상 지선버스 / 간선버스에는 광역버스에서 형간 전환 된 경우 광역버스에서 차량을 감차하여 타 노선에 증차하는 경우가 아닌 한 좌석형 차량의 투입이 금지되어 있으나 KD운송그룹 같은 경우는 대원여객, 대원교통에서 좌석형 차량을 투입하기 위해 타 업체보다 세금을 더 내는 형식으로 서울특별시와 협정을 맺어 2+1 배열의 좌석형 차량을 투입할 수 있도록 승인받았다. 그러나 2019년부터는 서울특별시에서 저상버스 투입 가능 노선에는 저상버스를 투입해야 한다는 규정이 신설되면서 저상버스를 투입하고 있다.
[8]
문서
자일대우 BH090 로얄 스타 차량은 제외한다.
[9]
문서
서울특별시 규정에 의하면 주간선버스 업체의 차량은 입석형 차량이 의무적으로 투입되도록 하고있다.
[10]
웹인용
남양주 2층버스 운행 개시… 진접~잠실 8012번·화도~잠실 8002번 우선 투입
http://www.kyeongin.[...]
2015-11-30
[11]
웹인용
분당과 함께 큰 1005-1, 23년만에 퇴장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4-11-23
[12]
문서
현재는 50대가 운행중이다.
[13]
문서
나중에 동탄신도시로 연장되었다가 2020년 4월 28일부로 폐선되었다.
[14]
문서
해당 지역은 2019년 9월 23일 노선이 변경될 때까지 수원여객 64번이 대체운행하였다.
[15]
문서
개설시기는 1990년대 초로 추정된다.
[16]
웹인용
"서울 106번 버스 폐지, 의정부시민 삶의 질 저하"…철회 촉구
https://www.newsis.c[...]
뉴시스
2024-11-23
[17]
웹인용
도봉구의회, 106번 버스 폐선 철회 촉구 결의안
https://www.sijung.c[...]
신일영
2024-11-23
[18]
웹인용
의정부시, '내년 106번 신설'...대체버스 106-1번 긴급 운행
https://www.kyeonggi[...]
경기일보(Kyeonggi Daily
2024-11-23
[19]
뉴스
초기에 발목이 절단된 것으로 보도되었으나, 이후 절단이 아닌 개방성 골절을 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https://news.naver.c[...]
[20]
문서
순이익의 상당수 금액이 포상금 등 직원들의 각종 보너스로 사용되고 있다.
[21]
문서
舊.대원휴게소 부지이며, 충주와의 경계지역에 있다.
[22]
문서
경기순환버스 8106번, 8906번만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시흥 요금소 환승정류장을 경유하는 형태로 다닌다.
[23]
문서
광주시의 시내버스가 양평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나 진출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24]
문서
1-4번, 30번, 93번, 8001번, 8002번이 대성리역까지 운행하나 진출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25]
문서
2010년 1월 18일 부로 9000번 (또는 9000-1번) 송도국제도시 - 강남역 구간을 4대로 인강여객으로부터 노선을 양수받아서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다 추후 3시간 간격으로 1대로 감차하여 배차하다 2011년 3월 2일 부로 최종적으로 폐선되었다.
[26]
문서
경기순환버스 8906번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김포 요금소에 정차를 하고 강화군 착발 시외버스의 중간 정차 개념으로 운행하고 있으나 진출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27]
문서
해당 운행노선은 서류상으로는 잠실 - 성남 - 진천으로 되어 있으나 성남 - 잠실 구간의 영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진천군에서도 잠실방면 탑승 및 발권이 불가능하다.
[28]
문서
1일 1왕복으로 운행하며, 중간에 공주 ↔ 동서울 (세종시 경유) 코스를 운행한다.
[29]
문서
식료품 제조 및 근무복 제조, 간식거리인 빵, 김치, 콩나물 등도 자체 생산하며, 내구연한이 된 차량의 폐차도 직접 실시한다.
[30]
문서
노선도, 행선판 등의 인쇄 전문으로 인쇄하는 것만으로도 별도 사업부를 차리느냐 할 수 있지만, KD운송그룹이 운영하는 차량만 5~6000대 가량으로, 좌우 광고만 해도 12000장, 행선판만 해도 24000장을 인쇄해야만 한다.
[31]
문서
중정비공장은 광주차고지 내에 있었으나 포천시 내촌면에 제 2정비공장을 마련.
[32]
문서
주유소 영업도 하고 있다.
[33]
문서
차량 상태에 따라서 폐차나 동남아 등지 해외로 수출하기도 한다. 커튼, 시트, 손잡이, 일부 행선판, 콜부저, 봉, 슬라이딩 도어 등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은 전부 보관하여 KD 오토텍으로 보내지기도 한다.
[34]
문서
허명회 회장과 공동으로 사업하는 권씨 일가에서 담당하며 허명회 회장이 세명대학교에 직접 강의를 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