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진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진그룹은 1945년 조중훈이 설립한 한진상사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이다. 트럭 운송업으로 시작하여 미군과의 계약을 통해 성장했으며, 1960년 대한항공을 설립하며 항공 사업에 진출했다. 1969년 대한항공공사를 인수하여 대한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1970년에는 컨테이너 하역 사업을 시작했다. 2000년대 초 창업주의 사망 이후, 조양호가 대한항공을, 조수호가 한진해운을 승계했다. 2010년대에는 오너 일가의 갑질 문제로 사회적 물의를 빚었으며, 한진해운은 2016년 파산했다. 현재 대한항공, 한진, 한국공항 등이 주요 계열사로 있으며, 항공, 육운, 관광, 호텔, 부동산, 정보 서비스, 비영리 법인 등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빅토리 라이너
    빅토리 라이너는 1945년 필리핀에서 설립되어 마닐라-올롱가포 노선으로 시작하여 필리핀 북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성장했으며, 다양한 서비스 확장과 전기 버스 도입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통을 지향한다.
  • 194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짐 (기업)
    1945년 설립된 이스라엘 해운 회사 짐은 유대인 이민 수송에 기여하며 컨테이너 해운사로 성장,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으나 해운 불황과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 한진그룹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는 1952년 하와이 교포 이주 50주년 기념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로, 인천광역시에 위치하며, 한진그룹 재단 참여, 타슈켄트 인하대학교 개교, QS 세계 대학 랭킹 531-540위를 기록했다.
  • 한진그룹 - KAL 리무진
    KAL 리무진은 1992년 운행을 시작한 공항 리무진 버스 운송 서비스로, 현재 인천 및 김포국제공항을 기점으로 서울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2021년 한국공항리무진으로 사업 부문이 양도되었다.
  • 대한민국의 해운회사 - HMM (기업)
    HMM은 1976년 아시아상선으로 설립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된 후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해운 회사로, 세계 3대 해운 동맹 '디 얼라이언스'의 정회원이며,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었고, 2023년 매각 시도가 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해운회사 -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고객 화물 운송, 보관, 하역을 담당하는 종합물류 회사이며, 해상, 항공,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진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회사명한진칼 주식회사
원어명한진칼
로고
설립일1945년 11월
설립자조중훈
위치서울, 대한민국
핵심 인물조원태 (회장 및 CEO)
류경표 (사장)
산업 분야대기업
소유주델타 항공 (14.90%)
호반건설 (11.50%)
한국산업은행 (10.58%)
조원태 상속 재산 (5.78%)
이명희 상속 재산 (5.73%)
기타
자회사대한항공
진에어
웹사이트hanjinkal.co.kr
그룹 정보
한국어 이름한진그룹
한자 표기韓進그룹
로마자 표기Hanjin Geurup
창립자조중훈
창립일1945년
국적대한민국
중핵 기업대한항공
주요 사업물류 등
주요 인물조양호 (2대 회장)
조원태 (3대 회장)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117 (서소문동)

2. 연혁

한진그룹은 1945년 11월 1일, 조중훈이 인천에서 설립한 한진상사에서 시작되었다.[5] 초기에는 주한 미군과의 운송 계약을 통해 성장 기반을 다졌으며,[8] 베트남 전쟁 시기 미군 물자 수송을 통해 급성장했다.[5][8]

1969년에는 경영난을 겪던 국영 대한항공공사를 인수하여 대한항공으로 민영화하며 항공 운송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고,[5] 같은 해 컨테이너 운송 사업에도 뛰어들어 1970년 부산항에 국내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를 열었다.[5] 1977년에는 한진해운을 설립하여 해운업에도 직접 진출했다.[5] 1970년대 후반부터는 중동 지역 항만 운영 사업에도 참여했다.[5]

1980년대에는 대한상선 합병, 한국조선공사 인수(한진중공업 출범) 등을 통해 해운 및 중공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5] 1990년대에는 육상 운송 및 창고업 강화, 한진택배 설립 등을 통해 종합 물류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5]

2002년 창업주 조중훈 회장 타계 후 장남 조양호대한항공을, 삼남 조수호한진해운을 승계하며 2세 경영 체제가 시작되었다.[1] 그러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한진해운은 유동성 위기를 겪기 시작했고, 결국 2016년 파산했다.[2][3] 또한 2010년대에는 총수 일가가 여러 사회적 물의(대한항공 땅콩 회항 사건, 직장 내 괴롭힘, 밀수 의혹 등)를 일으키며 그룹 전체의 신뢰도가 크게 하락하는 위기를 맞았다.[10][11][12]

2. 1. 1940년대

한진그룹의 역사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5년 11월 1일, 조중훈이 인천에서 한진상사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5] 조중훈은 일제강점기 말인 1942년 경성부에서 운영하던 트럭 수리 공장을 정리하고 받은 보상금을 바탕으로, 전쟁 후 트럭 한 대로 운송 사업을 시작했다.[8] 초기에는 트럭 운송업에 주력했으며, 1946년에는 무역 사업도 겸업하기 시작했다.

2. 2. 1950년대

1950년 한국 전쟁 발발로 한진상사는 영업을 무기한 중단해야 했다. 전쟁 중에는 보유하고 있던 트럭이 징용되고 직원들도 흩어졌다.[8]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창업주 조중훈은 인천에서 사업을 다시 시작했다.[8]

1956년 11월, 주한 미군 제8군과 7만달러 규모의 군수물자 수송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계기로 미군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8] 1958년에는 회사를 주식회사로 전환하여 상장했으며, 미군 수송업체와 국내 대리점 계약을 맺고 미군 이사화물 수송 사업을 시작했다. 같은 해 무역업 면허를 취득하여 사업 영역을 넓혔다. 1959년에는 디젤엔진센터를 건립했다.

2. 3. 1960년대

1956년 11월 주한 미군 미8군과의 군수물자 수송 계약을 시작으로 미군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성장하기 시작했다.[8] 1960년에는 미군과 220.00000000000003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맺고 500대의 트럭을 운행하는 대기업으로 성장했다.[8] 같은 해, 이승만 정권이 4.19 혁명으로 무너지고 신정권이 들어서면서 대한국민항공사(KNA)가 독점하던 국내 항공 사업에 신규 진입이 허용되자, 조중훈은 "한국항공"(Air Korea)을 설립하여 에어택시(전세 운항) 사업에 진출했다.[8] 이듬해인 1961년 봄부터 국내 정기편을 개설하여 KNA와 경쟁했으나,[9] 과당 경쟁으로 인해 두 회사 모두 어려움을 겪었고, 한국항공은 몇 달 만에 운항을 중단하고 사업을 접었다.[8] 1961년 8월에는 주한미군의 통근 버스 20대를 구입하여 서울-인천 간 한국 최초의 "좌석 버스"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는 한진고속의 시작이었다.[8]

1966년 3월, 미국 국방부와 베트남 전쟁에 참전 중인 미군의 육·해·공군 및 해병대 전체의 물자 수송을 전담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전쟁터인 베트남에서의 위험 부담이 큰 수송 업무를 통해 한진은 급격히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5][8]

1969년에는 당시 경영난을 겪던 국영 항공사인 대한항공공사박정희 정부의 제안으로 인수하여 민영화하고, 대한항공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자회사로 편입했다.[5][8] 같은 해 11월에는 미국의 해운 회사 씨랜드와 계약을 맺고 컨테이너 운송 사업에도 진출했다.[5]

2. 4. 1970년대

1970년, 회사 이름을 (주)한진으로 변경했다. 1969년 미국의 해운 회사 씨랜드와 계약을 맺고 컨테이너 운송 사업에 뛰어든 한진은, 1970년 9월 부산항에 한국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열었다.[5] 이는 한국 물류 산업의 현대화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도쿄 미나토구에 위치한 대한항공/한진 사무소


한편, 1969년 박정희 정부의 요청으로 경영난을 겪던 국영 대한항공공사를 인수하여 대한항공으로 사명을 바꾸고 항공 운송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5] 또한, 1977년에는 한진해운을 설립하여 해상 운송 사업에도 직접 진출했다.[5]

1970년대 후반에는 사업 영역을 중동 지역으로 넓혔다. 1977년 9월 쿠웨이트의 슈웨이크 항 운영 계약을 시작으로,[5] 1979년 3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담맘 항과 계약을 맺으며[5] 중동 지역 항만 운영 사업을 확장했다. 이후 1980년 5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지다 항 운영 계약을 맺었다.[5]

교육 분야에도 투자하여 1979년에는 국립 한국항공대학교를 인수했다.[5]

2. 5. 1980년대

1980년대 한진그룹은 육상, 해상 운송 사업을 확장하고 중공업 분야에도 진출하며 성장을 이어갔다.

1980년에는 동아통운을 합병하여 육로수송 역량을 강화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지다 항 운영 계약을 맺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 이어진 중동 지역 사업 확장을 지속했다.[5] 이듬해인 1981년에는 당시 중동붐을 타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화물운송사업을 시작했으며, 1982년에는 쿠웨이트에서도 화물운송사업을 개시했다. 1983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기업과 합작회사를 설립하여 중동 사업 기반을 다졌다. 같은 해, 국내 운송업계 최초로 연안해운 수송업에도 진출했다.

해운 사업 강화를 위해 1988년에는 대한민국의 플래그 캐리어였던 대한해운공사를 모체로 하는 대한상선을 한진해운에 합병시켰다.[5] 1989년에는 부산 영도구에 위치했던 국영 기업 한국조선공사(1937년 세워진 조선중공업이 전신)를 인수하여 한진중공업으로 사명을 바꾸고 조선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5] 같은 해 인천부산을 잇는 연안화물수송 노선을 개설하며 국내 물류 네트워크를 더욱 촘촘히 구축했다.

연도주요 내용
1980년동아통운 합병 (육로수송 확대)
사우디아라비아 지다 항 운영 계약 체결[5]
1981년중동붐으로 사우디아라비아 화물운송사업 개시
1982년쿠웨이트 화물운송사업 개시
1983년국내 운송업 최초 연안해운 수송업 개시
한진-사우디아라비아 합작회사 설립
1988년대한상선을 한진해운에 합병[5]
1989년한국조선공사 인수, 한진중공업 출범[5]
인천-부산 간 연안화물수송 개시


2. 6. 1990년대

한국화물운송주식회사(Korea Freight Transport Company)를 인수하여 육상 운송 및 창고 사업 확장[5]1992년한진택배 설립으로 소형 화물 배송 및 택배 서비스 시작[5]
국외 해외법인 설립
우등고속버스 운행 개시
Total Terminals International LLC.와 합작하여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워싱턴주 시애틀 항만에서 화물 하역 작업 시작[5]1993년부산 - 경기도 의왕컨테이너 철도 운송 서비스 개시[5]1994년미국 시애틀항 전용 터미널 개장1995년북한으로 곡물 수송[5]1996년해운사업부문 건설교통부 장관상 수상
미국 뉴욕,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영업소 운영1997년한진국제택배 10대도시 특급서비스 개시1998년통신판매산업 개시
서울특별시 구로종합물류센터 준공
육로수송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1999년한진택배 신정보시스템 운영
브랜드 택배부문 1위 선정



2. 7. 2000년대



2. 8. 2010년대



2010년대에 들어 한진그룹은 해외 법인 설립 등 사업 확장을 지속했지만, 동시에 여러 사회적 논란에 휩싸였다.

2014년 6월, 대한항공한진해운 지분 33.2%를 인수하며 경영에 참여했다.[1] 그러나 같은 해, 그룹 총수인 조양호 회장의 장녀 조현아 당시 대한항공 부사장이 일으킨 대한항공 땅콩 회항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10] 이는 이후 한진그룹 총수 일가가 연이어 일으킨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부당 행위, 소위 '갑질' 논란의 시작점이 되었다.

2016년 8월 31일, 그룹의 핵심 계열사이자 세계적인 해운 기업이었던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지속된 해운업 불황과 높은 용선료 부담, 유동성 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채권단은 모기업인 한진그룹의 자금 지원 계획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하여 지원을 철회했고,[2][3] 한진해운은 끝내 파산하여 청산 절차를 밟았다.

밴쿠버 국제공항에 착륙하는 대한항공의 보잉 777 기종


2018년에는 조양호 회장의 차녀 조현민 당시 대한항공 전무가 회의 중 물을 뿌리는 등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을 일으켰고,[11] 조 회장의 부인인 이명희 전 일우재단 이사장 역시 공사 현장 작업원에 대한 폭행 등 갑질 문제로 비판을 받았다.[12] 또한 총수 일가의 관세 포탈을 위한 밀수 의혹까지 제기되면서[12] 한진그룹에 대한 사회적 신뢰는 크게 하락했다.[10][11][12]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한진은 2017년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3. 계열사

한진그룹은 2013년 8월 설립된 지주회사인 한진칼을 기반으로 운영된다.[4] 현재 한진그룹은 크게 항공 부문, 해운 부문, 육운 부문, 관광·호텔·부동산 부문, IT·정보 부문, 비영리 부문의 6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3] 이 중 아래 기업들은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되어 있으며, 그룹의 중핵 기업이다.



과거에는 한진해운이 해운 부문의 중핵 기업이었다.

3. 1. 항공 부문

3. 2. 육운 부문

3. 3. 관광/호텔/부동산 부문

3. 4. 정보 서비스 부문

3. 5. 비영리 법인 부문

4. 과거 계열사



한진 창업주 조중훈 회장이 2002년 타계한 후, 삼남 조수호 회장이 한진해운을 승계했다.[1] 조수호 회장은 2006년 폐암으로 사망했고, 그의 부인 최은영 회장이 이듬해 한진해운 회장이 되었다.[1] 대한항공은 2014년 6월 한진해운 지분 33.2%를 인수했다.[1]

한때 세계 7위의 컨테이너 운송 및 해운 회사였던 한진해운은 2016년 8월 31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한진해운 채권단은 모회사 한진의 자금 조달 계획을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지원을 철회했다.[2][3]

참조

[1] 뉴스 Korean Air Lines faces turbulence from its founding family https://www.ft.com/c[...] 2017-02-27
[2] 뉴스 Move by South Korea's Hanjin Shipping Roils Global Trade https://www.wsj.com/[...]
[3] 뉴스 https://www.nytimes.[...]
[4] 웹사이트 Our companies https://www.hanjinka[...]
[5] 웹사이트 財閥 その9 韓進グループ http://world.kbs.co.[...]
[6] 뉴스 「ナッツ姫」父が急逝 大韓航空を傘下におく韓進G会長 https://www.asahi.co[...] 2019-04-08
[7] 뉴스 趙顕娥氏、弟の趙源泰会長に宣戦布告…韓進一家に「姉弟の乱」 http://www.chosunonl[...] 2019-12-23
[8] 신문기사 한진 조중훈 창업회장의 起業家정신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9] 논문 韓国民間航空黎明期の問題に関する研究-大韓国民航空社(KNA)の成立から経営破綻まで- http://www.jafit.jp/[...]
[10] 웹사이트 韓進グループのチョ・ヤンホ会長、娘の「水かけパワハラ」にひたすら沈黙 http://japan.hani.co[...]
[11] 웹사이트 韓国で後を絶たないパワハラ事件 SNSでさらに表面化 https://www.newsweek[...]
[12] 웹사이트 韓国警察、韓進会長夫人の逮捕状要請 暴行など7件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12-07
[13] 웹사이트 About Hanjin - Our Companies http://www.hanjin.ne[...]
[14] 뉴스 済州KALホテルが4月末で営業終了 48年の歴史に幕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2-02-13
[15] 뉴스인용 韓進(한진)서引受說(인수설) 浦鐵(포철) 프로蹴球(축구)운영 포기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22-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