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우편번호는 1970년 처음 도입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는 2015년 8월 1일부터 시행된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1970년에는 우체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했으며, 1988년에는 6자리 우편번호 체계로 변경되어 행정구역별로 읍·면·동 단위로 구분되었다. 2000년에는 집배원 담당 구역별로 세분화되었으며, 2015년 도로명주소법 시행에 따라 현재의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2023년 11월 7일 기준으로 총 34,605개의 우편번호가 있으며, 99999는 반송 우편물 처리를 위한 가상 우편번호로 사용된다.

2. 역사

대한민국의 우편번호는 시대에 따라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변화해 왔다.

1970년 7월 1일 처음 도입된 우편번호는 우체국별로 부여되었으며, 1988년 2월 1일에는 행정 구역별로 읍면동 단위의 6자리 우편번호가 새로 부여되었다. 이는 행정구역 개편과 고속도로 개통 등 운송망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었다. 종전에 없던 400번대가 경기·인천 지역으로 할당되었고, 군사우편 전용이었던 700번대는 대구·경북 지역으로 바뀌었다.

2000년 5월 1일에는 집배원의 담당 구역별로 우편번호를 세분화하여 부여하였다. 이는 1988년에 부여한 우편번호를 기본으로 하되, 전국 우편집중국 체제 완성 및 우편물 구분 자동화기기 도입에 따른 변화였다.

2015년 8월 1일부터는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를 우편번호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2014년 1월부터 시행된 도로명주소법과 함께 도입된 국가기초구역제도에 따른 것으로, 기존 6자리 우편번호는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우체국

2. 1. 1970년 ~ 1988년

1970년 7월 1일에 대한민국 최초의 우편번호 체계가 도입되었다. 우체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였는데, 동 지역은 3자리와 2자리를 병기하여 120-01(서울 서대문구 수색동)과 같이, 구 지역은 3자리로 100(서울 중구)과 같이 부여하였다.[5][6] 행정 구역별로 부여된 현행 우편번호와는 달리, 1970년에 시행된 우편번호 체계에서는 철도 운송 선로를 고려하여 우편번호를 ‘우체국별로’ 부여하였다. 따라서 우편번호와 행정 구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큰 우체국은 세 자리 우편번호를, 작은 우체국은 다섯 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하였는데, 예를 들면 서울중앙우체국은 100, 서울수색우체국은 120-01이었다. 700번대는 군사우편, 800번대는 황해도, 900번대는 평안도, 000번대는 함경도이었다.[5][6]

2. 2. 1988년 ~ 2015년 7월

1988년 2월 1일, 행정구역별로 읍면동 단위의 6자리 우편번호 체계가 새로 도입되었다. 이는 행정구역 개편, 고속도로 개통 등 운송망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였다.[5][6] 종전에 없던 400번대가 경기·인천 지역에 할당되었고, 군사우편 전용이었던 700번대는 대구·경북 지역으로 변경되었다.

6자리 우편번호에서 앞 세 자리는 광역행정구역(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 주민생활권이나 집중국 권역, 시·군·구를 나타냈고, 뒤 세 자리는 집배원별 담당구역, 법정동, 행정동, , 건물/우편함 등을 나타냈다.

2. 3. 2015년 8월 ~ 현재

2015년 8월 1일 도로명주소법 시행과 함께 국가기초구역제도에 따라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가 도입되었다. 기존 6자리 우편번호는 폐지되고,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구역을 정하고 번호를 부여한 국가기초구역번호를 사용하게 되었다.[4]

5 Number Postal Code


앞 2자리는 국가기초구역번호

  • 2015년 8월 ~ : 예(서울 은평구 수색동주민센터 일대) '''03488'''

3. 구조

현재 대한민국의 우편번호는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로 구성되어 있다.[4] 2015년 8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구역을 정하여 번호를 부여한다.

우편번호 앞 세 자리는 '''발송용 번호'''로, 우편물의 도착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부여된다. 첫째 자리는 광역행정구역(특별시, 광역시, , 특별자치도)을, 둘째 자리는 주민생활권이나 집중국 권역을, 셋째 자리는 , , 를 나타낸다.

'''배달용 번호'''는 우편물을 수신자에게 전달할 때 사용되며, 집배원별 담당구역과 일치하도록 세분화하여 부여한다. 법정동을 기준으로 하며, 법정동 내에 여러 행정동이 존재할 때에는 법정동과 행정동 모두 각각 우편번호를 부여한다. 공동주택의 경우 1일 500통, 빌딩이나 기관 등의 경우는 1일 300통 이상의 우편 배달 물량이 있을 때 개별 우편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3. 1. 국가기초구역번호

현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구역을 정하여 번호를 부여한 국가기초구역번호를 사용하고 있다.[7][8] 국가기초구역번호는 5자리로 구성되며, 앞의 세 자리는 특별시·광역시·도와 시·군·구를, 뒤의 두 자리는 해당 시·군·구 내에서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부여된다.[4]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일대(삼양로177길~삼양로181길 등)에는 가장 빠른 번호인 01000번이 부여되어 있다.

국가기초구역번호는 통계, 소방, 우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도로명주소법 제19조 제3항"에 따라 통계 구역, 우편 구역의 기본 단위로 사용된다.

전국 기본 구역은 도로, 하천, 철도 등 지형지물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2023년 11월 7일 기준으로 총 34,605개의 기본 구역이 존재한다. 국가기초구역번호는 서울(01XXX)부터 제주(63XXX)까지 할당되어 있으며, 통일과 도시 개발을 위한 예비 번호는 제외된다.

광역시도별 국가기초구역번호 앞 세 자리 부여 현황은 다음과 같다.

번호지역
01-09서울
10-20경기
21-23인천
24-26강원
27-29충북
30세종
31-33충남
34-35대전
36-40경북
41-43대구
44-45울산
46-49부산
50-53경남
54-56전북
57-60전남
61-62광주
63제주



2023년 11월 7일 고시 제2023-50호(도로명 주소 연계 우편번호 조정 고시) 기준으로, 총 우편번호 개수는 34,605개이며, 우편번호가 부여된 도로명주소는 총 6,406,401건이다. 국가기초구역번호의 부여·변경·폐지에 따라 우편번호는 조정된다. (관련 법령: 도로명주소법 제7조 6항 및 제8조 5항)[10][11][12][13]

2026년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으로 중구, 동구제물포구, 영종구로 개편, 서구서구검단구로 분할이 예정되어 우편번호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2. 광역시도별 국가기초구역번호

번호지역
01-09서울
10-20경기도
21-23인천
24-26강원
27-29충북
30세종
31-33충남
34-35대전
36-40경북
41-43대구
44-45울산
46-49부산
50-53경남
54-56전북
57-60전남
61-62광주
63제주


3. 3. 6자리 우편번호 (1988~2015)

1988년 2월 1일 행정구역 개편과 고속도로 개통 등 운송망의 변화를 반영하여 읍면동 단위의 6자리 우편번호를 새로 부여하였다.[5][6] 이전에는 없던 400번대가 경기.인천 지역에 할당되었고, 군사우편 전용이던 700번대는 대구 경북지역으로 바뀌었다.

6자리 우편번호는 nnn-nnn 형식을 사용했다. 처음 세 자리는 광역 행정 구역(대도시, 수도권, 도, 특별 자치도 등), 거주자의 또는 , 특정 시, 군 또는 구를 나타냈다. 마지막 세 자리는 수신인에게 해당 코드를 연결했는데, 우편 배달원의 배달 경로에 따라 법정동행정동, , 건물 및/또는 우편함으로 나뉘었다.

4. 최근 변경 사항 및 예정 사항

2015년 8월 1일 5자리 국가 기초 구역 번호 시스템을 도입하여 우편번호를 사용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the Postal Codes http://www.koreapost[...] Korea Post
[2] 웹사이트 http://www.koreapost[...]
[3] 웹사이트 우편번호란? http://www.epost.go.[...]
[4] 웹사이트 Postal Code Reform into the State Basic District System https://www.koreapos[...] 2015-03-18
[5] 서적 우편번호부 1970-05-20
[6] 문서
[7] 웹인용 우편번호 개요 http://www.koreapost[...] 2022-01-01
[8] 웹사이트 우편번호란? http://www.epost.go.[...]
[9] 웹인용 인쇄 기재사항 규격 https://eposting.kr/[...]
[10] 뉴스 체신부 고시 제1994-81호 우편번호 일부변경 http://theme.archive[...] 1994-10-26
[11] 뉴스 정보통신부 고시 제1995-34호 우편번호 일부 변경 http://theme.archive[...] 1995-03-22
[12] 뉴스 정보통신부 고시 제1995-91호 우편번호 일부 변경 http://theme.archive[...] 1995-07-01
[13] 뉴스 정보통신부 고시 제1998-65호 우편번호 일부 변경 http://theme.archive[...] 1998-03-23
[14] 간행물 행정구역총람 http://academic.nave[...] 한국행정구역총람편찬회 1986
[15] 뉴스 관보 제 5583호 https://theme.archiv[...] 대한민국정부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