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유럽 지역 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유럽 지역 그룹은 유엔 내 지역 그룹 중 하나로, 1964년에 창설되었다. 이 그룹은 소련 붕괴, 유고슬라비아 해체,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등 회원국의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 23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동유럽 그룹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러시아의 상임이사국 의석을 포함해 2석,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에서 6석, 유엔 인권 이사회에서 6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5년마다 유엔 총회 의장을 선출할 자격이 주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지역 그룹 -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그룹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그룹은 유엔 내에서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국가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회원국 간 협력 증진, 국제 문제 공동 입장 조율, 지역 우선순위 유엔 의제 반영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그룹이다.
  • 유엔 지역 그룹 -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서유럽 및 기타 지역 그룹은 UN 내에서 서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서아시아 일부 국가들을 포함하는 지역 그룹으로, 회원국들은 공동의 입장을 조율하고 주요 기구에서 활동하며 국제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 유엔 - 인간 개발 지수
    인간 개발 지수(HDI)는 국제 연합 개발 계획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출생 시 기대 수명, 교육 수준, 1인당 국민 총소득을 종합하여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측정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유엔 - 유엔 본부
    유엔 본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로서 뉴욕 맨해튼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국가 출신 건축가들의 협업으로 설계되어 사무국 건물, 총회 건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치외법권을 가진 국제 사회의 중심지이다.
  • 유엔 - 유엔 개발 계획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저개발국의 경제, 사회 발전을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유엔 산하의 국제 개발 기구이다.
  • 유엔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동유럽 지역 그룹
개요
유형지역 그룹
약칭EEG
상태활동 중
형성1964년
지역유럽
조직
모 조직국제 연합

2. 역사

유엔 지역 그룹이 창설된 이후, 동유럽 지역 그룹은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치며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특히 1990년대는 그룹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 시기였다. 1990년 독일 재통일로 인해 기존 회원국이었던 동독이 그룹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1991년 소련 붕괴,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이어진 유고슬라비아 해체, 그리고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등 주요 회원국들의 해체는 그룹 구성에 더욱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러 새로운 독립 국가들이 탄생하여 동유럽 그룹에 가입하면서 회원국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각 사건이 그룹 구성에 미친 구체적인 영향과 회원국 수의 변동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2. 1. 창설 배경

1964년 유엔 지역 그룹이 공식적으로 창설되기 이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는 1946년부터 1964년까지 동유럽 및 아시아 국가들을 위한 의석이 배정되어 있었다. 이 의석은 주로 동유럽 국가들이 차지하였으며, 당시에는 그리스와 터키도 포함되었다. 이들 국가 중 일부는 현재의 서유럽 및 기타 그룹이나 아시아 태평양 그룹에 속해 있다.

2. 2. 회원국 변화

동유럽 지역 그룹은 창설 이후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치며 회원국 구성에 큰 변화를 겪었다. 특히 1990년대 초반은 중요한 변화의 시기였다. 1990년 독일 재통일로 인해 기존 회원국이었던 동독이 그룹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1991년 소련 붕괴,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이어진 유고슬라비아 해체, 그리고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등 주요 회원국들의 해체는 그룹 구성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러 새로운 독립 국가들이 탄생하여 동유럽 그룹에 가입하면서 회원국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각 사건이 그룹 구성에 미친 구체적인 영향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2. 2. 1. 소련 붕괴의 영향

동유럽 그룹은 창설 이후 여러 차례 큰 변화를 겪었다. 특히 1991년 소련 붕괴는 그룹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소련이 해체되면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등 여러 독립 국가들이 새롭게 동유럽 그룹의 회원국으로 가입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그룹의 회원국 수가 크게 증가했다.

소련 붕괴 외에도 독일 재통일로 인해 기존 회원국이었던 동독이 그룹에서 제외되었고, 1991년부터 시작된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역시 회원국 구성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동유럽 그룹의 회원국 수는 아래 표와 같이 변동했다.

연도회원 수비고
1966–197310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소련;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SSR)와 벨라루스 (벨로루시 SSR)는 별도 회원국
1973–199011독일 민주 공화국 가입
199010독일 재통일로 독일 민주 공화국 제외
1991–199221소련의 해체로 인한 신규 가입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유고슬라비아의 해체로 인한 신규 가입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199322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로 인한 신규 가입 (체코, 슬로바키아)
2006–현재23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해체로 인한 신규 가입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 2. 2. 유고슬라비아 해체의 영향

동유럽 지역 그룹은 창설 이후 여러 회원국의 해산을 겪으며 크게 변화했다. 특히 1991년부터 2006년에 걸쳐 진행된 유고슬라비아 해체는 그룹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여러 독립 국가들이 새롭게 동유럽 지역 그룹에 가입했다. 1991년부터 1992년 사이에는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가 가입했다. 이후 2006년에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해체되면서 세르비아몬테네그로가 각각 독립적인 회원국으로 합류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유럽 지역 그룹의 회원국 구성은 현재와 같이 변화하였다.

2. 2. 3. 체코슬로바키아 해체의 영향

동유럽 지역 그룹은 창설 이후 여러 회원국의 해체와 통합 과정을 겪으며 변화해왔다. 그중 하나가 1993년에 일어난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이다.

이 해체 과정을 통해 기존의 단일 국가였던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공화국으로 평화롭게 분리되었다. 결과적으로 동유럽 지역 그룹은 기존 회원국인 체코슬로바키아를 잃는 대신, 체코와 슬로바키아라는 두 개의 새로운 회원국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그룹의 총 회원국 수는 1992년 21개국에서 1993년 22개국으로 하나 증가하였다.

3. 회원국

동유럽 지역 그룹의 회원국 구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초기 10개국[4]으로 시작하여, 동독의 가입과 독일 재통일, 소련의 해체, 유고슬라비아 해체,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해체 등 주요 역사적 사건을 거치면서 회원국 수가 변동되었다.

특히 1990년대 초반 소련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면서 여러 신생 독립국들이 새롭게 회원국으로 가입하여 회원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의 분리와 몬테네그로의 독립 등을 거쳐 현재는 23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5][16][17]

3. 1. 현 회원국

동유럽 그룹


다음은 동유럽 지역 그룹의 현재 회원국이다.[4][5][16][17]

3. 2. 전 회원국

괄호 안의 숫자는 유엔 회원국이자 동유럽 지역 그룹 회원국으로 활동한 기간을 나타낸다.

4. 유엔 내 대표성

동유럽 지역 그룹은 유엔의 주요 기구에서 대표성을 가지고 활동한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유엔 인권 이사회 등에서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5년 주기로 연도의 마지막 숫자가 2 또는 7로 끝나는 해에 동유럽 그룹 소속 국가 인사가 유엔 총회 의장으로 선출될 자격을 가진다.

4. 1. 안전 보장 이사회

동유럽 지역 그룹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2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석은 상임 이사국이고 1석은 비상임 이사국이다. 현재 그룹 소속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은 다음과 같다.[18][19]

국가임기
러시아상임
슬로베니아2024년 1월 1일 – 2025년 12월 31일


4. 2. 경제 사회 이사회

동유럽 지역 그룹은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에서 6석을 보유하고 있다.[8][9][20][21] 현재 동유럽 그룹 출신 경제 사회 이사회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국가임기
크로아티아2022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체코
공석[8]2023년 1월 1일 – 2025년 12월 31일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폴란드2024년 1월 1일 – 2026년 12월 31일



2022년까지 러시아가 의석을 가지고 있었으나, 2023년부터 공석이 되었다.

4. 3. 인권 이사회

동유럽 지역 그룹은 유엔 인권 이사회에서 6개의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동유럽 그룹의 인권 이사회 이사국은 다음과 같다.[22][23]

국가임기
리투아니아2022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몬테네그로
조지아2023년 1월 1일 – 2025년 12월 31일
루마니아
알바니아2024년 1월 1일 – 2026년 12월 31일
불가리아


4. 4. 유엔 총회 의장

유엔 총회 의장은 5년마다 연도가 2 또는 7로 끝나는 해에 동유럽 지역 그룹에서 선출된다.[1] 가장 최근에는 2022년 헝가리의 차바 쾨뢰시가 제77차 회기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동유럽 그룹이 공식 창설된 1963년 이후, 이 지역 출신 총회 의장은 다음과 같다.[12]

선출 연도회기의장 이름국가비고
196722차코르넬리우 매네스쿠루마니아
197227차스타니스와프 트레프친스키폴란드
197732차라자르 모이소프유고슬라비아또한 총회 제8, 9, 10차 특별 회기 의장
198237차임레 홀라이헝가리
198742차페터 플로린독일 민주 공화국또한 총회 제15차 특별 회기 의장
199247차스토얀 가네프불가리아
199752차헨나디 우도벤코우크라이나또한 제10차 긴급 특별 회기 및 총회 제20차 특별 회기 의장
200257차얀 카반체코또한 총회 제10차 긴급 특별 회기 의장
200762차스르잔 케림북마케도니아
201267차부크 예레미치세르비아
201772차미로슬라프 라이차크슬로바키아또한 총회 제10차 긴급 특별 회기 의장
202277차차바 쾨뢰시헝가리
향후
202782차미정미정
203287차미정미정


5.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 동유럽 지역 그룹 회원국들은 냉전 종식 이후 외교 관계를 본격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1989년 헝가리와의 수교를 시작으로 대부분의 동유럽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며, 이후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교류와 협력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정치적으로 한국과 동유럽 국가들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공통의 가치를 바탕으로 유엔(UN) 등 국제 무대에서 유사한 입장을 취하며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로 구성된 비셰그라드 그룹(V4)과는 정기적인 협의 채널을 운영하며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 관계는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에 대한 동유럽 국가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국제 사회에서의 공조를 강화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경제 분야에서의 협력은 더욱 활발하다. 동유럽 국가들은 유럽 연합(EU) 회원국으로서 안정적인 투자 환경과 성장 가능성을 갖추고 있어 한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SK이노베이션 등 여러 한국 기업들이 동유럽 지역에 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 배터리 산업 분야에서의 진출이 두드러진다. 이는 양측 간 교역량을 늘릴 뿐만 아니라 현지 고용 창출과 기술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상호 이익이 되는 경제 구조를 기반으로 한 협력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문화 교류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류의 영향으로 케이팝, 한국 영화, 한식 등에 대한 동유럽 젊은 세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양 지역 시민들 간의 상호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대학 간 학생 교류나 다양한 문화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인적 교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과 동유럽 지역 그룹 국가들은 과거 권위주의 체제를 극복하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발전시킨 경험을 공유하며,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미래를 위한 협력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지속적인 소통과 교류 확대는 양측의 공동 번영뿐 아니라 국제 사회의 평화와 안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Are The Five Regional Groups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worldatl[...] Worldatlas 2017-11-27
[2] 웹사이트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Group (GRULAC) https://www.cancill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Colombia n.d.
[3] 간행물 What is Equitable Geographic Represent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archive.unu.e[...] United Nations University 1999-03-26
[4] 웹사이트 Regional groups of Member State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5] 학술지 United Nations Handbook 2018–19 https://www.mfat.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New Zealand 2018
[6] 웹사이트 Current Members https://www.un.org/s[...] United Nations n.d.
[7]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Estonia, Niger, Saint Vincent and Grenadines, Tunisia, Viet Nam as Non-Permanent Members of Security Council for 2020-2021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9-06-07
[8] 웹사이트 Member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n.d.
[9]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19 Economic and Social Council Members to Terms Beginning 1 January 2020, Adopts Resolution Commemorating Signing of United Nations Charter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9-06-14
[10] 웹사이트 Current Membership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 January - 31 December 2019 by regional groups https://www.ohchr.or[...] United Nations n.d.
[11]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14 Member States to Human Rights Council, Appoints New Under-Secretary-General for Internal Oversight Services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9-10-17
[12] 웹사이트 Past Presidents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13] 웹사이트 What Are The Five Regional Groups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worldatl[...] Worldatlas 2017-11-27
[14] 웹사이트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Group (GRULAC) https://www.cancill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Colombia n.d.
[15] 간행물 What is Equitable Geographic Represent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archive.unu.[...] United Nations University 1999-03-26
[1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Regional Groups of Member States http://www.un.org/de[...] United Nations n.d.
[17] 서적 United Nations Handbook 2018–19 https://www.mfat.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New Zealand 2018
[18] 웹사이트 Current Members https://www.un.org/s[...] United Nations n.d.
[19]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Estonia, Niger, Saint Vincent and Grenadines, Tunisia, Viet Nam as Non-Permanent Members of Security Council for 2020-2021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9-06-07
[20] 웹사이트 Members https://ecosoc.un.or[...] 国際連合経済社会理事会 2024-02-15
[21]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Elects 19 Economic and Social Council Members to Terms Beginning 2020年1月1日, Adopts Resolution Commemorating Signing of United Nations Charter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9-06-14
[22] 웹사이트 List of current member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2-10-11
[23] 웹사이트 Elect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0 October 2023)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3-10-10
[24] 웹사이트 Past Presidents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