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때죽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때죽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이 원산지인 낙엽 활엽 교목으로, 5~6월에 흰색 꽃이 피고 9월에 열매가 열린다. 이름은 열매의 모습에서 유래되었으며, 때를 죽여 물고기를 잡거나 빨래에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 때죽나무속에 속하며, '에고노키'라는 일본 이름으로도 불린다. 10~15m까지 자라며 추위와 공해에 강하고, 잎, 꽃, 열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열매에는 에고사포닌 성분이 있어 물고기를 잡거나 세척제로 사용되었으며, 약재로도 쓰였다. 현재는 조경수, 분재, 재료, 화학 성분 등으로 활용되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때죽나무과 - 쪽동백나무
    쪽동백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아름다운 흰색 꽃과 단풍, 그리고 가구 제작 등에 사용되는 목재와 기름을 짤 수 있는 씨앗을 가진 유용한 나무이다.
  • 때죽나무과 - 나래쪽동백
    나래쪽동백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차나무과의 낙엽활엽수로, 잎과 줄기에 털이 있고 쪽동백나무와 잎이 비슷하며 날개 모양의 열매를 맺어 이름 붙여졌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목재로도 활용된다.
  • 1837년 기재된 식물 - 감귤나무
    감귤나무는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과수로, 다양한 품종의 감귤류 과일을 생산하며, 얇은 껍질과 높은 당도로 생식용으로 널리 소비되고 껍질은 향신료 등으로 활용되며 제주도가 주요 생산지이다.
  • 1837년 기재된 식물 - 부추아과
    부추아과는 다육질의 근경이나 인경을 가지는 여러해살이풀로, 파속의 양파, 마늘, 부추 등이 식량 작물로 재배되며, 과거에는 백합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아과로 분리되어 4개의 족으로 나뉜다.
  •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가 명명한 분류군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 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가 명명한 분류군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때죽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천대공원에 사는 때죽나무. 5월에 꽃이 활짝 피었다.
인천대공원에 사는 때죽나무. 5월에 꽃이 활짝 피었다.
학명Styrax japonicus
명명자Siebold & Zucc.
일본어 이름에고노키 (野茉莉)
기타 일본어 이름에고노키 (エゴノキ)
영어 이름Japanese snowbell
한국어 이름때죽나무
기타 한국어 이름로크로기, 치샤노키, 오오바에고노키, 시마에고노키, 호소바에고노키, 히메에고노키
생물 분류APG IV 분류 체계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
아강 (계급 없음)코어 진정쌍떡잎식물군
하강 (계급 없음)국화상군
군 (계급 없음)국화군
진달래목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
때죽나무
크기
높이12 미터
너비8 미터
보존 상태
IUCN관심 필요
분포
자생지중국, 한국, 일본
이명
1Styrax japonicus Siebold et Zucc. f. angustifolius (Koidz.) Sugim. (1961)
2Styrax japonicus Siebold et Zucc. var. jippei-kawamurae (Yanagita) H.Hara (1949)
3Styrax japonicus Siebold et Zucc. f. zigzag (Koidz.) Sugim. (1961)
4Styrax japonicus Siebold et Zucc. f. rubicalyx Satomi (1957)
5Styrax japonicus Siebold et Zucc. f. parviflorus Y.Kimura (1940)
6Styrax japonicus Siebold et Zucc. f. jippei-kawamurae (Yanagita) T.Yamaz. (1993)
7Styrax touchanensis H.Lév.

2. 이름

속명 ''Styrax''는 ‘안식향을 산출한다’는 뜻의 그리스어 ‘Storax’에서 유래되었는데, 실제로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자라는 때죽나무 중에는 줄기에 흠을 내어 흘러 나오는 물을 받아 안식향을 얻었던 것이 있다고 한다.[42] 때죽나무라는 이름은 가을에 땅을 향하여 매달리는 수많은 열매의 머리(종자껍질)가 약간 회색으로 반질반질해서 마치 스님이 떼로 몰려있는 것 같은 모습에서 처음에 ‘떼중나무’로 부르다가 때죽나무가 된 것이라는 설이 있다.[43]

열매


한편, 열매 찧은 물로 물고기를 ‘떼’로 ‘죽’여 잡거나 줄기에 때가 많아 검게 보이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44][45] 또, 옛날에는 열매와 과피를 물에 불린 다음 그 물로 빨래를 한 점 등으로 볼 때 때를 쭉 뺀다는 뜻에서 때쭉나무로 불리다가 때죽나무가 되었다는 추정도 있다.[45]

''때죽나무''는 때죽나무과에 속하며, 지볼트추카리니가 명명했다. ''때죽나무속''(Styrax)은 방향성 수지를 생산하는 속이다. 라틴어 종명 ''japonicus''는 "일본에서 온"을 의미한다.[5]

일본어 일반명인 野茉莉|에고노키일본어는 열매를 입에 넣었을 때 목과 혀를 자극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えぐい|egui일본어 또는 えごい|egoi일본어는 불쾌하고 쓴 맛을 연상시키는 것을 묘사한다.[6][7] 국명 "에고노키"는 열매를 입에 넣으면 목이나 혀를 자극하여 억세다(에고이)는 데서 유래한다.[36] 별명은 '''치샤노키''', 로쿠로기,[36] 치사노키 등으로 불리며,[40] 가부키의 연극 '가라 센다이 하기'에 등장하는 치사노키(상추나무)는 이것이다.

"제둔과"가 한자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원래 올리브의 한자명이다.[37] '''로쿠로기'''라고도 불린다.[37][40] 현대 중국어에서는 "예모리"라고 부른다.[38]

3. 생태

때죽나무 꽃의 총상 꽃차례 배열


''때죽나무''의 미성숙한 열매


때죽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이 원산지이며, 10~15m쯤 자라는 갈잎 큰키나무다. 추위와 공해에 매우 강하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갈색인데 매끈하게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세로로 얕게 갈라져 있다. 어린 가지에 별 모양의 털이 촘촘히 나는데 나이가 들면 사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조금 있거나 없다. 잎의 길이는 2~8cm이며 너비는 2~4cm 정도이고, 측맥은 4~6쌍이다.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길이 1~2cm 정도의 조그만 흰색 꽃이 2~6개씩 매달려 피며, 아래를 향한다. 꽃에서는 금방이라도 코를 마취시킬 정도로 강한 향이 난다.[46]

꽃은 늘어지고 총상 화서를 이룬다. 꽃이 피면 은은한 향기를 풍긴다. 꽃잎은 일반적으로 흰색이지만, 'Pink Chime' 품종의 꽃잎은 분홍색이다.[8] 다섯 장의 꽃잎을 가진 종 모양의 꽃부리는 약 2~3cm 길이이며, 보통 늦봄에 핀다. 꽃부리는 5개의 이빨 모양의 꽃받침에 둘러싸여 있다.[9] 이들은 양성화이며, 눈에 띄는 노란색 수술을 가진 부착화피이다.

열매는 핵과인데 9월에 여물며 타원 모양이고 익으면 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회색빛을 띤 녹색 핵과 캡슐 열매는 길이가 약 2cm이며, 8월과 9월경에 나타난다.[8] 각 핵과에서 긴 자루가 뻗어 나와 별 모양의 꽃받침과 연결된다. 각 열매에는 씨앗이 하나씩 들어 있다.[10]

일반적으로 해충과 질병에 강하지만,[8] 약한 나무는 애벌레에 취약할 수 있다.[12] -15°C까지 추위에 강하며,[3] USDA 내한성 구역 분류에 따르면 재배[12] 및 원산지에 따라 5~8 구역에 해당한다.[11] 멸종 위기에 처한 식물의 IUCN 적색 목록은 ''S. japonicus''를 "관심 대상"으로 분류하며, 2019년에 마지막으로 평가되었다.[1]

3. 1. 분포 및 서식지

한국, 일본, 중국 남부 및 필리핀 북부에 분포한다.[9][11] 일본에서는 홋카이도(히다카 지청), 혼슈, 시코쿠, 큐슈, 오키나와까지 분포한다. 구릉지나 산지, 산야나 산록의 잡목림에서 많이 발견되며, 식재되기도 한다.[11] 산성 또는 중성 토양을 선호하며,[3]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부분적으로 햇볕이 드는 곳, 부분적으로 그늘진 곳에 심어야 한다.[8]

4. 특징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높이는 7m~15m 정도이다.[46] 수피는 암자갈색에서 암회갈색이며, 거의 매끄럽고 고운 결을 가지고 있다. 가지는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1년생 가지는 가늘고 털이 없거나 별 모양의 털(성상모)이 남아있다. 노목은 수피에 얕은 틈이 생긴다. 은 어긋나기하며, 양쪽 끝이 뾰족한 장타원형으로 길이가 4.5cm~8cm이다. 어린 싹이 돋아날 때는 전체적으로 갈색의 성상모로 덮여 있다.

개화기는 5~6월경이다.[46] 짧은 가지 끝에 송이 모양으로 흰 을 아래로 1~6개 달고, 방향이 있다. 꽃의 지름은 약 25mm이며, 꽃부리는 끝이 깊게 5갈래로 갈라지고, 크게 벌어지지 않고 약간 봉우리진 상태로 핀다. 수술은 10개이다.[46] 품종에 따라 담홍색 꽃을 피우기도 한다.

결실기는 10월이다.[46] 열매는 길이가 10~13 mm의 난구형으로 회백색을 띠고 있으며, 큰 종자를 1개 포함한다. 익으면 과피는 불규칙하게 찢어져 종자가 노출된다. 겨울에는 과피가 떨어져나가 종자만 남은 열매를 흔히 볼 수 있다. 과피에는 유독한 에고사포닌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46] 에고사포닌은 위와 목의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며, 용혈 작용도 있다.[36]

겨울눈은 어긋나며, 겉이 드러난 겨울눈(나출아)으로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곁눈이 세로로 1~2개 붙는다. 잎자국은 반원형이며, 관다발 흔이 1개 있다.

5. 품종

''Styrax japonica'' 'Pink Chimes'의 분홍색 꽃.

  • '''Pink Chimes''' ('핑크 차임'): 분홍색 꽃이 피는 품종이다.[8]
  • '''Fargesii''' ('파르게시'): 일반적인 종보다 크고 꽃과 잎이 큰 품종으로, 영국 왕립 원예 협회의 가든 메리트 상을 받았다.[16][17]
  • '''Angyo Dwarf''' ('안교 드워프')
  • '''Carillon''' ('카리용')
  • '''Crystal''' ('크리스탈')
  • '''Emerald Pagoda''' ('에메랄드 파고다')
  • '''Evening Light''' ('이브닝 라이트')
  • '''Fragrant Fountain''' ('프래그런트 파운틴')
  • '''Issai''' ('잇사이')
  • '''Snow Cone''' ('스노우 콘')

6. 이용

때죽나무는 정원수로 재배하며, 재질이 치밀하고 끈기가 있어 장기 말이나 일본 우산의 살(로쿠로)[39][40]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로쿠로기의 별명은 여기서 유래한다. 밀원 식물로도 이용된다.[41]

분홍색 꽃이 피는 '핑크 차임'이나 가지가 늘어지는 '수양 때죽나무' 등의 원예 품종이 있으며, 분재로도 가꾸며 손바닥 크기의 작은 분재도 있다.

6. 1. 전통적 이용

때죽나무 열매에는 기름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쪽동백나무 열매와 함께 동백나무가 자라지 않는 북쪽 지방에서 동백기름 대용으로 썼다. 열매나 잎에는 작은 동물을 마취시키는 에고사포닌 성분이 들어 있어 물고기를 잡는 데도 쓰였다. 열매나 잎을 찧어 물 속에 풀면 물고기가 순간적으로 기절한다.[47] 에고사포닌은 물에 풀면 기름때를 없애 주어, 세제가 없던 예전에는 때죽나무 열매를 찧어 푼 물에 빨래를 했다고 한다. 동학 혁명 때 무기가 부족하자 농민들이 총알을 직접 만들어 쓰면서 때죽나무 열매를 빻아 화약과 섞어 썼다고도 한다. 민간에서는 꽃을 인후통이나 치통에, 잎과 열매는 풍습(風濕)에 썼다.[42] 나무가 아주 크게 자라지는 않아서 목재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농기구의 자루 등을 만드는 용도로 주로 쓰는데, 제주도에서는 특별히 때죽나무 가지를 띠로 엮어 항아리에 걸쳐놓고 빗물을 고이게 해서 정수하는 데 썼다.[48]

6. 2. 약용

한방에서는 때죽나무 꽃을 매마등(買麻藤)이라 하며, 골절이나 뱀에 물렸을 때, 치통에 약으로 쓴다. 풍습(風濕, 바람과 습기를 원인으로 생긴 병증으로 뼈마디가 쑤시는 증상)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성미(性味, 성질과 맛)는 맵고(辛), 따뜻하다(溫).[49] 민간에서는 꽃을 인후통이나 치통에, 잎과 열매는 풍습에 썼다.[42]

꽃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진통 효과가 발견되었으며, 활성 진통 성분으로 켐페롤-3-O-루티노사이드가 제시되었다.[18]

줄기 껍질에서 추출한 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와 스테롤을 포함하여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며,[19] 에고놀, 마스케사이드 I, 스트락소사이드 A 및 스트락소사이드 B와 같은 면역 조절제 역할을 하는 성분도 포함되어 있다.[20]

때죽나무는 항균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죽나무 잎의 수성 추출물은 대장균, 폐렴구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단, 칸디다 알비칸스 제외)에 대한 성장을 억제했다.[21] 잎의 증기 증류 및 용매 추출은 세레우스균과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에 항균 효과를 보였다.[22]

중국 전통 의학에서 때죽나무(''S.japonicus'')는 약리학적 증거를 가지고 있으며, 치통과 인후통 치료에 사용되는 진통 효과[24]와 기침 치료를 위한 진해 효과가 있다.[21]

6. 3. 현대적 이용

때죽나무는 꽃이 많이 피고 잎이 화려하며, 줄무늬가 있는 나무껍질 덕분에 동아시아에서 서양 정원으로 널리 퍼져나가 인기를 얻게 되었다.[11] 조경수로 공원, 정원 등에 심거나, 분재 등으로 만들어 관상용으로 활용한다.

단단한 나무는 일본 전통 우산의 살(로쿠로[39][40])이나 쇼기(일본 장기)의 말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25] 장기 말의 재료나 일본 우산의 로쿠로[39][40]의 재료로 사용되어, 로쿠로기의 별명이 여기에서 유래한다.

열매에는 사포닌 성분이 있어 세척 비누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26][27] 에고사포닌이라는 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전통 어업에서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5] 옛날에는 어린 열매를 비누와 같이 세척제로 빨래 등에 사용했다. 또한 사포닌에는 어독성이 있어, 지방에 따라서는 물고기 포획에 사용했다고 한다.

밀원 식물로도 이용된다.[41] 분홍색 꽃이 피는 '핑크 차임'이나 가지가 늘어지는 '수양 때죽나무'와 같은 원예 품종도 있다.

7. 문화

때죽나무는 문화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 오규원의 시 '고요'에는 "때죽나무 밑에는 개미들이 줄을 지어 때죽나무의 고요를 밟으며 가고 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1]
  • 가부키 연극 '가라 센다이 하기'에 등장하는 치사노키(상추나무)는 때죽나무를 지칭한다.[36]

7. 1. 문학

오규원의 시 '고요'에는 "때죽나무 밑에는 개미들이 줄을 지어 때죽나무의 고요를 밟으며 가고 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1]

7. 2. 기타

가부키 연극 '가라 센다이 하기'에 등장하는 치사노키(상추나무)는 때죽나무를 지칭한다.[36]

8. 동물과의 관계

바구미과 딱정벌레의 일종인 에고히게나가조움시(우시즈라하늘소)는 때죽나무 열매에 구멍을 뚫고 알을 낳으며, 애벌레는 씨앗 내부를 먹고 자란다.[1] 떨어진 열매 속에서 휴면 중인 애벌레는 "치샤노 무시"라고 불리며, 1935년경부터 잉어, 피라미 등 강낚시의 낚시 미끼로 유통된다.[1] 에고히게나가조움시가 발생하는 곳은 드물지만, 발생지의 종자 기생률은 70%에 달한다.[1]

때죽나무 새 가지에서는 국화 모양의 벌레혹(에고노네코아시)이 관찰되기도 한다.[1] 이는 벼과 식물인 애기수영을 1차 숙주로 하고, 때죽나무와 번갈아 가며 사는 진딧물의 일종인 에고노네코아시진딧물이 봄에 때죽나무로 이동하여 새싹을 변형시켜 만든 것이다.[1]

요약에 언급된 쇠박새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으므로, 해당 정보는 본문에 포함되지 않았다.

참조

[1] 간행물 "''Styrax japonicus''" 2023-08-02
[2] 웹사이트 Styrax japonicus http://www.efloras.o[...] Flora of China 2018-11-30
[3]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Styrax japonicus''" https://www.rhs.org.[...] 2018-11-28
[4] 웹사이트 "''Styrax japonicus''" http://www.missourib[...] Missouri Botanical Garden 2018-11-30
[5] 학술지 The Snowbells of Korea http://arnoldia.arbo[...] 1992
[6] 서적 Yagai dokuhon : higai jitsurei kara shiru nihon no kiken seibutsu https://www.worldcat[...] Yamatokeikokusha 2014
[7] 웹사이트 "エゴノキの花言葉(誕生花、英語、季節) {{!}} 花言葉-由来" https://hananokotoba[...] 2022-11-30
[8] 웹사이트 Plant Database https://plantdatabas[...] 2022-11-28
[9] 웹사이트 Styrax japonicus - Trees and Shrubs Online https://treesandshru[...] 2022-11-28
[10] 웹사이트 "Styrax japonicus (Japanese Snowbell, Japanese Styrax, Silver Bells) {{!}} North Carolina Extension Gardener Plant Toolbox" https://plants.ces.n[...] 2022-11-30
[11] 서적 Styrax in cultivation : evaluation of an underrepresented ornamental genus http://worldcat.org/[...] 2013
[12] 웹사이트 "ENH-763/ST605: Styrax japonicus: Japanese Snowbell" https://edis.ifas.uf[...] 2022-11-30
[13] 서적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British Isles Vol. 1 John Murray ltd
[14] 웹사이트 "Styrax japonicus (Benibana Group) 'Pink Chimes' - Plant Finder" https://www.missouri[...] 2022-12-01
[15] 웹사이트 エゴノキの園芸品種①:ベニバナエゴノキ(ピンクチャイムス) http://yazawa-nurser[...] 2022-12-01
[16]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Styrax japonicus'' 'Fargesii'" https://www.rhs.org.[...] 2018-11-30
[17]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11-30
[18] 학술지 Antinociceptive effects of flower extracts and the active fraction from ''Styrax japonicus'' https://www.scienced[...] 2022-02-10
[19] 학술지 Triterpenoids and a sterol from the stem-bark of ''Styrax japonica'' and their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inhibitory activities http://dx.doi.org/10[...] 2022-12-03
[20] 학술지 Anti-Complement Activity of Norlignans and Terpenes from the Stem Bark of ''Styrax japonica'' http://www.thieme-co[...] 2022-12-03
[21] 학술지 野茉莉叶水提物抑菌、抗炎及止咳作用的实验研究 http://www.wst.ac.cn[...] 2022-12-03
[22] 학술지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 and Z.) extracts http://dx.doi.org/10[...] 2022-12-03
[23] 학술지 A Study on Petal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yrax japonicus'' during the Flowering Period 2021-07-28
[24] 서적 National compil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5] 웹사이트 "用途の広いエゴの実 {{!}} 京都民報Web" https://www.kyoto-mi[...] 2022-11-30
[26] 웹사이트 Styrax: Japan's Lovely Snowbell Trees https://www.seattlej[...] 2016-05-11
[2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rees Hokuryūkan
[28] YList 2022-12-25
[29] YList 2022-12-25
[30] YList 2022-12-25
[31] YList 2022-12-25
[32] YList 2022-12-25
[33] YList 2022-12-25
[34] YList 2022-12-25
[35] 문서 Plants of the World Online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
[36] 서적 新装版・野外毒本:被害実例から知る日本の危険生物 山と渓谷社 2014
[37] 서적 牧野日本植物圖鑑 http://www.hokuryuka[...] 北隆館
[38] 서적 木の写真図鑑 完璧版 https://books.google[...] 日本ヴォーグ社
[39] 웹사이트 みのひだ写真館:和傘の未来支えたい ロクロ職人に32歳が弟子入り /岐阜 https://mainichi.jp/[...] 2020-05-08
[40] 웹사이트 用途の広いエゴの実 https://www.kyoto-mi[...] 京都民報Web 2013-07-29
[41] 웹사이트 <食卓ものがたり>蜂蜜(東京都あきる野市) 魅惑の甘み自然と共に https://web.archive.[...] 2020-05-08
[42] 서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 가지 현암사 1995-02-28
[43] 서적 궁궐의 우리 나무 눌와 2001-09-20
[44] 서적 서울나무도감 풀꽃나무 2008-06-25
[45] 서적 궁금할 때 바로 찾는 우리 나무 도감 중앙생활사 2008-05-07
[46] 뉴스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주걱댕강나무의 유일한 자생지, 경남 양산시 천성산" http://biz.chosun.co[...] 조선비즈 2017-05-06
[47] 서적 궁궐의 우리 나무 눌와 2001-09-20
[48] 서적 궁궐의 우리 나무 눌와 2001-09-20
[49] 웹인용 매마등(買麻藤) http://www.koreantk.[...] 특허청 2007-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