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 바오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그 바오메르는 "오메르 세기"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는 히브리어로, 유대교의 축제일이다. 이 날짜는 히브리 문자의 숫자 표기를 통해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발음으로 불린다. 라그 바오메르는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의 전염병이 끝난 날, 또는 시몬 바르 요차이의 사망일과 연관되어 기념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해석을 거쳐왔다. 전통적으로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은 결혼식, 파티, 이발 등의 축제를 열고, 하시딤은 세 살 된 남자아이의 첫 이발을 기념하는 관습이 있다. 또한 모닥불을 피우고 야외 활동을 즐기며,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놀이도 행해진다. 시온주의자들은 이 날을 바르 코흐바의 반란을 기념하는 날로 재해석하여, 현대 이스라엘에서 군사적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의 연중행사 - 하누카
하누카는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혁명으로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의 재봉헌을 기념하는 8일간의 유대교 축제로, 매일 밤 촛불을 켜는 의식을 행하며 '빛의 축제'라고도 불리고 억압에 대한 저항과 자유를 향한 갈망을 상징하며 기름에 튀긴 음식을 먹고 드레이들(팽이)을 돌리는 전통이 있다. - 유대교의 연중행사 - 칠칠절
칠칠절은 초실절로부터 7번의 안식일 후 50일째 되는 날을 기념하는 유대교 절기로, 본래 보리 수확 후 밀을 처음 수확한 것을 기념하는 농경 절기에서 유래했으며, 신약 시대에는 오순절, 오늘날에는 토라 수여를 기념한다. - 불과 종교 - 배화신전
배화신전은 조로아스터교에서 불을 숭배하기 위해 지어진 사당으로, 아타쉬라는 불을 모시는 장소이며 불의 등급에 따라 아타쉬 다드가, 아타쉬 아다란, 아타쉬 바흐람으로 나뉘고 사산 제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오늘날에도 조로아스터교 신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불과 종교 - 하누카 메노라
하누카 메노라는 하누카 축제에 불을 밝히는 아홉 개의 가지가 달린 촛대 또는 기름 램프로, 8개의 촛불 또는 기름 램프와 점화에 사용되는 샴마쉬로 구성되며, 공공 장소 전시나 박물관 소장 외에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영감을 받은 형태나 디지털 메노라도 있다. - 불에 관한 전통 - 호마 (의식)
호마는 3000년 이상 된 종교 의례로, 브라만교의 불을 이용한 제물 봉헌 의식에서 시작하여 불교 밀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전승되었으며, 특히 일본 밀교 종파에서 중심 수행법으로 자리 잡았고, 힌두교와 자이나교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며, 최근에는 정신 수련법으로도 활용된다. - 불에 관한 전통 - 분신자살
분신자살은 불에 타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로, 종교적, 정치적 저항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고, 극심한 고통과 화상으로 인한 사망을 초래한다.
라그 바오메르 |
---|
2. 어원
라그 바오메르는 "오메르 세기"에서 33번째 날이라는 뜻의 히브리어이다. 히브리 문자에서 ל|라메드|라메드he(L)는 숫자 30을, ג|기멜|기멜he(G)는 숫자 3을 나타낸다. (히브리 숫자 참조). 발음을 위해 일반적으로 모음이 추가된다.
어떤 유대인들은 이 휴일을 "오메르 ''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는 라그 '''라'''오메르라고 부르며, "오메르 ''안''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는 라그 '''바'''오메르와는 반대된다. 라그 '''바'''오메르는 일부 아슈케나지 유대인과 하레디 유대인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고, 라그 '''라'''오메르는 스파라드 유대인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라그 '''라'''오메르는 또한 요세프 카로가 그의 ''술한 아루흐''에서 사용하는 이름이다.[4] ("''어떤'' 오메르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는 라그 B오메르도 가끔 사용되지만,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2. 1. 명칭의 유래

라그 바오메르는 "오메르 세기"에서 33번째 날이라는 뜻의 히브리어이다. 히브리 문자에서 ל|라메드|라메드he 또는 "L"은 숫자 30을, ג|기멜|기멜he 또는 "G"는 숫자 3을 나타낸다. (히브리 숫자 참조). 발음을 위해 일반적으로 모음이 추가된다.
어떤 유대인들은 이 휴일을 "오메르 ''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는 라그 '''라'''오메르라고 부르며, "오메르 ''안''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는 라그 '''바'''오메르와는 반대된다. 라그 '''바'''오메르는 일부 아슈케나지 유대인과 하레디 유대인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고, 라그 '''라'''오메르는 스파라드 유대인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라그 '''라'''오메르는 또한 스파라드 출신인 요세프 카로가 그의 ''술한 아루흐''(''오라흐 하임'' 493:2, 그리고 모세 이세를레스가 삽입한 '''바'''오메르가 있는 489:1 참조)에서 사용하는 이름이다.[4] ("''어떤'' 오메르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는 라그 B오메르도 가끔 사용되지만, 이 상황에서는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2. 2. 다양한 발음
לhe (라메드) 또는 "L"은 히브리 숫자에서 숫자 30을, גhe (기멜) 또는 "G"는 숫자 3을 나타낸다. 발음을 위해 일반적으로 모음이 추가된다.어떤 유대인들은 이 휴일을 라그 '''라'''오메르라고 부르는데, 이는 "오메르 ''의'' 33번째 [날]"을 의미하며, 라그 '''바'''오메르, 즉 "오메르 ''안''의 33번째 [날]"과 반대된다. 라그 '''바'''오메르는 일부 아슈케나지 유대인과 하레디 유대인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고, 라그 '''라'''오메르는 스파라드 유대인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라그 '''라'''오메르는 또한 스파라드 출신인 요세프 카로가 그의 ''술한 아루흐''(''오라흐 하임'' 493:2, 그리고 모세 이세를레스가 삽입한 '''바'''오메르가 있는 489:1 참조)에서 사용하는 이름이다.[4] 라그 '''B'''오메르 ("''어떤'' 오메르의 33번째 날")도 가끔 사용되지만, 이 상황에서는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3. 기원과 역사
라그 바오메르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라그 바오메르에 대한 가장 초기의 명확한 언급은 아이작 벤 도르볼로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마흐조르 비트리'' 주석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주석은 푸림과 라그 바오메르가 항상 같은 요일에 온다고 지적하지만, 휴일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5]
아브라함 벤 나단, 지로라의 제라키아 하-레비,[6] 나르본의 데이비드 벤 레비,[7] MS ex-Montefiore 134,[8] 레비 벤 아브라함 벤 하임,[9] 조슈아 이븐 슈아입(미드라시 인용),[10] 메나헴 메이리(가오님의 전통을 인용),[11] 유다 할라와(예루살렘 탈무드 인용)[12] 등은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을 괴롭혔던 전염병이 끝난 날을 라그 바오메르로 처음 언급했으며, 이는 이전에 존재했던 라그 바오메르와 샤부옷 사이의 결혼을 허용하는 관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13]
일반적으로 라그 바오메르는 시몬 바르 요차이가 사망한 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카잘이나 리쇼님은 그의 사망 날짜를 라그 바오메르라고 언급하지 않는다.[14] 이 아이디어는 하임 벤 요셉 비탈의 구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데, 원래 שמחת רשב"י|심핫 라쉬비|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축하he로 읽혀야 할 것이 שמת רשב"י|샤마트 라쉬비|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가 사망했을 때he로 잘못 인쇄된 것이다.[14] 아이아르 달의 여러 날짜에 메론을 방문하는 카발라 전통의 실제 기원은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라그 바오메르가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시몬 바르 요차이와 처음 연결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14]
나흐만 크로찰은 랍비 아키바 제자들의 죽음이 "아키바의 군인들"이 로마인들에게 패배한 것에 대한 은폐된 언급이며, 라그 바오메르는 바르 코크바가 잠시 승리를 누린 날이라고 주장한다.[12]
전쟁 전 유럽에서 라그 바오메르는 학생들을 위한 특별한 휴일이었으며 "학자의 날"이라고 불렸다. 학생들은 야외 스포츠를 즐겼다.[37]
또 다른 설에 따르면, 라그 바오메르는 율리아누스 황제 아래서 예루살렘 성전 재건이 시작된 날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실패와 율리아누스의 죽음으로 라그 바오메르는 처음에는 금식일이 되었다가, 무슬림 정복과 이스라엘에서 기독교인의 유대인 억압이 끝나면서 애도 관습이 중단되었다. 오메르의 33번째 날에 재건을 시작하기로 한 선택은 예수가 33세에 죽었다고 전해지면서 반기독교적 논쟁이 되었을 수 있다.[15]
또 다른 이론은 라그 바오메르와 시몬 바르 요차이의 연결이 페사흐 셰니(아이아르 15일)에 메론 산으로의 일반적인 순례, 특히 힐렐의 동굴 때문에 발생했다는 것이다. 힐렐의 동굴에서 물이 동굴의 물통을 채우고 때로는 넘쳐났는데, 당시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던 자연 현상은 기적적인 것으로 여겨져 유대인과 무슬림 모두를 끌어들였다. 힐렐의 동굴이 메론 산과 가깝기 때문에 순례자들은 메론 산의 다른 성인들의 무덤, 그 중 시몬의 무덤에 들르는 것이 관례였다. 16세기 동안, 체파트에 아슈케나지 공동체가 오면서, 순례는 자연스럽게 이미 아슈케나지 관습에 따라 기쁜 날이었던 라그 바오메르(3일 후)로 옮겨졌고,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의 전염병이 끝난 날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후자의 저명한 제자 중 한 명으로서 시몬의 무덤은 궁극적으로 순례의 중심이 되었다.[16]
3. 1. 초기 기원
라그 바오메르가 언제부터 기념일로 여겨졌는지는 불분명하다. 라그 바오메르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아이작 벤 도르볼로의 저작으로 추정되는 ''마흐조르 비트리'' 주석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주석은 푸림과 라그 바오메르가 항상 같은 요일에 온다고만 언급할 뿐, 그 기원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아브라함 벤 나단, 지로라의 제라키아 하-레비, 나르본의 데이비드 벤 레비, MS ex-Montefiore 134, 레비 벤 아브라함 벤 하임, 조슈아 이븐 슈아입, 메나헴 메이리, 유다 할라와 등은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을 괴롭혔던 전염병이 끝난 날이 라그 바오메르라고 처음 언급했다. 이는 라그 바오메르와 샤부옷 사이에 결혼을 허용하는 이전 관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12] MS ex-Montefiore 134에 따르면, 라그 바오메르에 사혈을 하는 것이 전통이었다.[13]
일반적으로 라그 바오메르는 시몬 바르 요차이가 사망한 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카잘이나 리쇼님은 그의 사망 날짜를 라그 바오메르라고 명시하지 않았다.[14] 이 주장은 하임 벤 요셉 비탈의 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데, 원래 "שמחת רשב"י|심핫 라쉬비|랍비 시몬 벤 요차이의 축하he"라고 적혀 있었던 것이 "שמת רשב"י|샤마트 라쉬비|랍비 시몬 벤 요차이가 사망했을 때he"로 잘못 인쇄되면서 생긴 오해로 보인다.[14] 아이아르 달의 여러 날짜에 메론을 방문하는 카발라 전통은 중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라그 바오메르가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시몬 벤 요차이와 처음 연결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14]
19세기 유대 학자 나흐만 크로찰은 랍비 아키바 제자들의 죽음이 "아키바의 군인들"이 로마인들에게 패배한 것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며, 라그 바오메르는 바르 코크바가 잠시 승리한 날이라고 주장했다.[12]
또 다른 설에 따르면, 라그 바오메르는 율리아누스 황제 아래서 예루살렘 성전 재건이 시작된 날이었다. 이 계획이 실패하고 율리아누스가 사망하면서 라그 바오메르는 처음에는 금식일이 되었다. 무슬림 정복과 이스라엘에서 기독교인의 유대인 억압이 끝나면서 애도 관습은 사라졌다. 오메르의 33번째 날에 재건을 시작하기로 한 것은 예수가 33세에 죽었다는 주장과 연관되어 반기독교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을 수 있다.[15]
또 다른 이론은 라그 바오메르와 시몬 바르 요차이의 연결이 페사흐 셰니에 메론 산으로의 일반적인 순례, 특히 힐렐의 동굴로의 순례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힐렐 동굴의 물통이 넘치는 현상은 당시에는 기적으로 여겨져 유대인과 무슬림 모두를 끌어들였다. 힐렐의 동굴이 메론 산과 가깝기 때문에 순례자들은 메론 산의 다른 성인들의 무덤, 그 중 시몬의 무덤에도 들르는 것이 관례였다. 16세기 체파트에 아슈케나지 공동체가 오면서, 순례는 자연스럽게 라그 바오메르(3일 후)로 옮겨졌고, 랍비 아키바 제자들의 전염병이 끝난 날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시몬은 랍비 아키바의 제자였기에, 그의 무덤이 순례의 중심지가 되었다.[16]
3. 2. 시몬 바르 요차이와의 연관성

라그 바오메르가 작은 축제일로 시작된 기원은 불분명하다. 라그 바오메르 관찰에 대한 가장 초기의 명확한 언급은 마흐조르 비트리에 대한 주석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주석은 푸림과 라그 바오메르가 항상 같은 요일에 온다고 지적하지만, 휴일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5] 아브라함 벤 나단, 지로라의 제라키아 하-레비,[6] 나르본의 데이비드 벤 레비,[7] MS ex-Montefiore 134,[8] 레비 벤 아브라함 벤 하임,[9] 조슈아 이븐 슈아입(미드라시 인용),[10] 메나헴 메이리(가오님의 전통을 인용),[11] 그리고 유다 할라와(예루살렘 탈무드 인용)[12]는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을 괴롭힌 전염병이 끝난 날을 라그 바오메르로 처음 언급했으며, 이는 이전에 존재했던 라그 바오메르와 샤부옷 사이의 결혼을 허용하는 관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13]
라그 바오메르는 일반적으로 시몬 바르 요차이가 사망한 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카잘이나 리쇼님은 그의 사망 날짜가 라그 바오메르라고 언급하지 않는다.[14] 이와 관련한 내용은 하임 벤 요셉 비탈의 구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데, 원래 שמחת רשב"יhe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축하")로 읽혔어야 할 것이 שמת רשב"יhe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가 사망했을 때")로 잘못 인쇄되었다고 한다. (단 한 글자 차이)[14] 아이아르 달의 여러 날짜에 메론을 방문하는 카발라 전통의 실제 기원은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라그 바오메르가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시몬 바르 요차이와 처음 연결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16]
나흐만 크로찰은 랍비 아키바 제자들의 죽음이 "아키바의 군인들"이 로마인들에게 패배한 것에 대한 은폐된 언급이며, 라그 바오메르는 바르 코크바가 잠시 승리를 누린 날이라고 주장한다.[15]
또 다른 이론에 따르면, 라그 바오메르와 시몬 바르 요차이의 연결은 페사흐 셰니(아이아르 15일)에 메론 산으로의 일반적인 순례, 특히 힐렐의 동굴로 인해 발생했다. 힐렐의 동굴이 메론 산과 가깝기 때문에 순례자들은 메론 산의 다른 성인들의 무덤, 그 중 시몬의 무덤에 들르는 것이 관례였다. 16세기 동안, 체파트에 아슈케나지 공동체가 오면서, 순례는 자연스럽게 이미 아슈케나지 관습에 따라 기쁜 날이었던 라그 바오메르(3일 후)로 옮겨졌고,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의 전염병이 끝난 날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후자의 저명한 제자 중 한 명으로서 시몬의 무덤은 궁극적으로 순례의 중심이 되었다.[37]
3. 3. 역사적 해석
라그 바오메르가 작은 축제일로 시작된 기원은 불분명하다. 라그 바오메르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마흐조르 비트리(Mahzor Vitry)에 대한 주석에서 찾을 수 있는데, 아이작 벤 도르볼로가 작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주석은 푸림과 라그 바오메르가 항상 같은 요일에 온다고 언급하지만, 축제의 기원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5] 아브라함 벤 나단,[6] 나르본의 데이비드 벤 레비,[7] MS ex-Montefiore 134,[8] 레비 벤 아브라함 벤 하임,[9] 조슈아 이븐 슈아입,[10] 메나헴 메이리,[11] 유다 할라와[12] 등은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을 괴롭혔던 전염병이 끝난 날을 라그 바오메르로 처음 언급했으며, 이는 이전에 라그 바오메르와 샤부옷 사이에 결혼을 허용하는 관습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13]일반적으로 라그 바오메르는 시몬 바르 요차이가 사망한 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카잘이나 리쇼님은 그의 사망 날짜가 라그 바오메르라고 언급하지 않는다.[14] 이 아이디어는 하임 벤 요셉 비탈의 구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데, 원래 שמחת רשב"יhe ("랍비 시몬 벤 요차이의 축하")로 읽혀야 할 것이 שמת רשב"יhe ("랍비 시몬 벤 요차이가 사망했을 때")로 잘못 인쇄되었다고 한다.[14] 아이아르 달의 여러 날짜에 메론을 방문하는 카발라 전통의 실제 기원은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라그 바오메르가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시몬 벤 요차이와 처음 연결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14]
나흐만 크로찰은 랍비 아키바 제자들의 죽음이 "아키바의 군인들"이 로마인들에게 패배한 것에 대한 은폐된 언급이며, 라그 바오메르는 바르 코크바가 잠시 승리를 누린 날이라고 주장했다.[12]
전쟁 전 유럽에서 라그 바오메르는 학생들을 위한 특별한 휴일이었으며 "학자의 날"이라고 불렸다. 학생들은 야외 스포츠를 즐겼다.[37]
또 다른 설에 따르면, 라그 바오메르는 율리아누스 황제 아래서 예루살렘 성전 재건이 시작된 날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실패와 율리아누스의 죽음으로 라그 바오메르는 처음에는 금식일이 되었다가, 무슬림 정복과 이스라엘에서 기독교인의 유대인 억압이 끝나면서 애도 관습이 중단되었다고 한다. 오메르의 33번째 날에 재건을 시작하기로 한 선택은 예수가 33세에 죽었다고 전해지면서 반기독교적 논쟁이 되었을 수 있다.[15]
또 다른 이론은 라그 바오메르와 시몬 바르 요차이의 연결이 페사흐 셰니(아이아르 15일)에 메론 산으로의 일반적인 순례, 특히 힐렐의 동굴로 인해 발생했다는 것이다. 힐렐의 동굴에서 물이 동굴의 물통을 채우고 때로는 넘쳐났는데, 당시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던 자연 현상은 기적적인 것으로 여겨져 유대인과 무슬림 모두를 끌어들였다. 힐렐의 동굴이 메론 산과 가깝기 때문에 순례자들은 메론 산의 다른 성인들의 무덤, 그 중 시몬의 무덤에 들르는 것이 관례였다. 16세기 동안, 체파트에 아슈케나지 공동체가 오면서, 순례는 자연스럽게 이미 아슈케나지 관습에 따라 기쁜 날이었던 라그 바오메르(3일 후)로 옮겨졌고,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의 전염병이 끝난 날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후자의 저명한 제자 중 한 명으로서 시몬의 무덤은 궁극적으로 순례의 중심이 되었다.[16]
3. 4. 카발라적 의미
라그 바오메르는 카발라 관습에 따라 오메르 계산의 각 날짜와 주에 세피라를 할당하는 것과 관련하여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첫째 주는 '헤세드', 둘째 주는 '게부라' 등에 해당하며, 마찬가지로 각 주의 첫째 날은 '헤세드', 둘째 날은 '게부라' 등에 해당한다. 따라서 33일째 날은 다섯 번째 주의 다섯 번째 날로, '호드 셰-베-호드'(영광 안의 [영광의] 주)에 해당한다. 이처럼 라그 바오메르는 49일째 날('말쿠트 셰-베-말쿠트', 왕국 안의 [왕국의] 주)의 보다 물리적인 발현에 선행하는 영적 발현 또는 호드의 수준을 나타내며, 49일째 날은 샤부옷 축제 직전에 해당한다.4. 관습과 의례
오메르를 세는 기간은 보통 슬픔을 나타내는 기간이지만, 라그 바오메르에는 축제가 열린다. 아슈케나짐 유대인들은 이날 모든 애도의 제한을 풀고, 스파라드 유대인들은 그 다음 날 애도를 멈춘다.[17][18] 이에 따라 결혼식, 파티, 음악 감상, 이발 등이 이날 행해진다.[19] 세 살 된 남자아이의 첫 번째 이발(웁셰린)을 하는 관습도 있다.[20]
가족들은 소풍을 가고, 아이들은 활과 화살을 가지고 놀기도 한다. 이날은 특별한 신의 자비를 구하는 기도인 을 드리지 않는 축제일로 여겨진다.[21]
4. 1. 애도 중단과 축제
오메르를 세는 기간은 반애도 기간이지만, 오메르의 33일째 되는 날, 아슈케나짐에게는 모든 애도의 제한이 풀린다. 스파라드 관습은 그 다음 날 애도를 멈추는 것으로, 라그 바오메르(ל״ד בעומר|라드 바오메르he)에는 축하 행사가 허용된다.[17][18] 그 결과, 아슈케나짐 사이에서는 결혼식, 파티, 음악 감상, 이발 등이 라그 바오메르에 맞춰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파라드 유대인들은 다음 날 결혼식을 올린다.[19] 주로 하시딤 사이에서는 세 살 된 남자아이들에게 첫 번째 이발(웁셰린)('''')을 해주는 것이 관례이다. 이발은 어디서든 할 수 있지만, 가능하다면 전통적으로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메론에 있는 무덤이나, 메론으로 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시몬 하차디크의 예루살렘 묘소에서 열린다.[20]가족들은 소풍과 야외 활동을 간다. 아이들은 활과 고무 팁이 달린 화살을 가지고 선생님과 함께 들판으로 나간다. 특별한 신의 자비를 구하는 기도인 Tachanun(타하눈)()은 라그 바오메르를 포함한 축제 성격의 날에는 드리지 않는다.[21] 하나님께서 특별히 명절에 그러시는 것처럼, 사람에게 "미소를 짓는 얼굴"을 보여주실 때는 특별한 자비를 구할 필요가 없다.
4. 2. 첫 이발 (업셔린)
하시딤에서는 주로 세 살이 된 남자아이에게 첫 번째 이발(''upsherin|업셔린yi'')을 해주는 관습이 있다.[20] 이발은 어디에서나 할 수 있지만, 가능하다면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무덤이 있는 메론이나, 메론에 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시몬 하차디크의 예루살렘 묘소에서 하는 것이 전통이다.[20]4. 3. 소풍과 야외 활동
가족들은 소풍과 야외 활동을 간다. 아이들은 활과 고무 팁이 달린 화살을 가지고 선생님과 함께 들판으로 나간다. 특별한 신의 자비를 구하는 기도인 은 라그 바오메르를 포함한 축제 성격의 날에는 드리지 않는다.[21] 하나님께서 특별히 명절에 그러시는 것처럼, 사람에게 "미소를 짓는 얼굴"을 보여주실 때는 특별한 자비를 구할 필요가 없다.4. 4. 모닥불

의 가장 잘 알려진 관습은 모닥불을 피우는 것이다. 전 세계의 축하객들은 라그 바오메르 밤과 낮에 모여 불을 지핀다.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묘와 그의 아들 랍비 엘르아자르가 있는 메론에서는 수십만 명이 모닥불, 횃불, 노래, 춤, 잔치를 벌이는 대규모 축제가 열린다. 1983년, 보스턴의 랍비 레비 이츠하크 호로비츠는 하시딤 사이에서 수 세기 동안 지속된 전통을 부활시켜 밤에 랍비 아키바의 티베리아스 무덤에 모닥불을 피웠다. 이 전통은 참가자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중단되었었다. 모닥불 이후 랍비는 를 전달하고, 축복을 내리고, 을 배포했다. 같은 날 밤 늦게, 랍비는 세 살짜리 소년들의 머리카락을 잘라 업셔린을 치렀다.[23]
뉴욕에 거주하는 사트마르의 랍비 아론 테이텔바움은 이스라엘 밖에서는 모닥불을 피우는 것이 관습이 아니라고 말하며 모닥불을 자제시켰다.[24] 그러나 그의 아버지 랍비 모세 테이텔바움이 그에게 키랴스 조엘의 사트마르 앙클레이브에서 대규모 모닥불을 조직하라고 지시했을 때 수만 명이 나타났다.[25]
4. 4. 1. 종교적 의미
의 가장 잘 알려진 관습은 모닥불을 피우는 것이다. 이 관습은 시메온 벤 요차이가 세상에 가져온 "영적 빛"을 상징하는 데서 유래했을 수 있다.[28] 일부에서는 라그 바오메르의 모닥불과 5월 1일에 봄 분점과 하지 사이 중간 지점에서 일부 유럽 문화권에서 축하하는 메이데이 및 벨테인 축제 간의 연관성을 추측하기도 하며, 이 축제 역시 큰 모닥불을 통해 기념된다. 독일에서는 시골 남자들이 5월 1일에 숲으로 나가 악마를 향해 화살을 쏘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라그 바오메르에서 활과 화살을 사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22]전 세계에서 축하객들은 라그 바오메르 밤과 낮에 모여 불을 지핀다. 수십만 명이 모닥불, 횃불, 노래, 춤, 잔치를 벌이는 대규모 축제가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묘와 그의 아들 랍비 엘르아자르가 있는 메론에서 열린다. 1983년, 보스턴의 랍비 레비 이츠하크 호로비츠는 하시딤 사이에서 수 세기 동안 지속된 전통을 부활시켜 밤에 랍비 아키바의 티베리아스 무덤에 모닥불을 피웠다. 이 전통은 참가자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중단되었었다. 모닥불 이후 랍비는 를 전달하고, 축복을 내리고, 를 배포했다. 같은 날 밤 늦게, 랍비는 세 살짜리 소년들의 머리카락을 잘라 업셔린을 치렀다.[23]
수년 동안, 뉴욕에 거주하는 사트마르의 랍비 아론 테이텔바움은 이스라엘 밖에서는 모닥불을 피우는 것이 관습이 아니라고 말하며 모닥불을 자제시켰다.[24] 그러나 그의 아버지 랍비 모세 테이텔바움이 그에게 키랴스 조엘의 사트마르 앙클레이브에서 대규모 모닥불을 조직하라고 지시했을 때 수만 명이 나타났다.[25]
4. 4. 2. 시온주의적 의미
시온주의자들은 모닥불이 바르 코흐바 반란군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산꼭대기에 피웠던 신호 화재를 상징한다고 보았으며,[26] 로마인들이 유대교 휴일 시작을 알리는 불을 피우는 것을 금지한 것에 대항한 바르 코흐바 반란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한다.[27]
현대 이스라엘에서 초기 시오니스트들은 라그 바오메르를 랍비 중심의 축제에서 로마 제국에 대항한 바르 코흐바의 반란 (132–136)을 기념하는 날로 재정의했다. 럿거스 대학교의 야엘 제루바벨이 출판한 연구에 따르면, 많은 라그 바오메르 전통이 시오니스트 이데올로기에 의해 재해석되어 3년 후 베타르에서 최종 패배하기보다는 바르 코흐바 반란군의 승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랍비 아키바의 제자 24,000명을 휩쓴 역병은 반란에 대한 은유로 설명되었고, 역병이 끝난 33번째 날은 바르 코흐바의 승리의 날로 설명되었다. 1940년대 후반까지 이스라엘 학동용 교과서는 바르 코흐바를 영웅으로 묘사했고,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와 랍비 아키바는 그를 응원하며 옆에 서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바르 코흐바의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밤에 불을 피우고 노래하고 춤을 추며, 낮에는 바르 코흐바 반란군의 행동을 기억하기 위해 활과 화살로 놀이하는 데 기여했다.[37]
이러한 휴일 해석은 유대 역사의 시오니스트적 해석을 강화하고 독립적인 유대 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을 강조했다. 벤자민 라우는 ''하레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라그 바오메르는 시오니즘과 이스라엘 초창기 동안 이스라엘-시오니스트 심리 상태의 일부가 되었다. 이 날을 기념하는 방식에서 유대인과 이스라엘인 사이의 명확한 구별이 나타났다. 종교 유대인들은 라시비[시몬 바르 요차이]를 기리기 위해 횃불을 켜고 그에 대한 노래를 불렀지만, 젊은 이스라엘인들은 대체 불 옆에 앉아 "온 국민이 사랑하는" 영웅에 대해 노래하고 로마에 맞서 돌진하는 사자를 탄 강력한 영웅의 이미지에 집중했다.[38]
현대 이스라엘에서 라그 바오메르는 "싸우는 유대 정신의 상징"이다. 하가나의 팔마흐 부대는 1941년 라그 바오메르에 창설되었고, 이스라엘 국방군을 창설하는 정부 명령은 1948년 라그 바오메르에 내려졌다.[39] 2004년부터 이스라엘 정부는 라그 바오메르를 IDF 예비군에게 경례하는 날로 지정했다.[40]
4. 5. 활과 화살
는 이스라엘 방위군에서 1941년 에 설립되었으며 활과 화살 문장을 사용하는 (청소년 여단) 프로그램의 한 주간으로 기념된다.4. 5. 1. 종교적 의미
과거 이스라엘 전역의 어린이들은 라그 바오메르에 활과 화살을 가지고 밖으로 나가 놀곤 했다. 이는 미드라시에 따르면 무지개(홍수는 다시는 물로 세상을 멸망시키지 않겠다는 신의 약속의 징표; 창세기 9:11–13)는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생애 동안에는 보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그의 공덕이 세상을 보호했기 때문이었다는 진술을 반영하는 것이었다.[12]4. 5. 2. 이스라엘에서의 의미
이스라엘에서 는 어린이와 다양한 청소년 운동을 위한 휴일이다. 또한 이스라엘 방위군에서도 1941년 에 설립되었으며 활과 화살 문장을 사용하는 (청소년 여단) 프로그램의 한 주간으로 기념된다.[1]4. 6. 퍼레이드
랍비 메나헴 멘델 슈네에르손은 전 세계 유대인 공동체에서 유대인의 단결과 자긍심을 보여주기 위해 퍼레이드를 개최하도록 권장했다.[30] 하바드는 매년 전 세계 수천 명의 참가자를 위해 퍼레이드뿐만 아니라 집회, 모닥불, 바비큐 등을 후원한다.[31]
4. 7. 티쉬 (Tish)
라그 바오메르에는 모닥불 주변, 결혼식, 그리고 하레디 랍비들이 라그 바오메르에 여는 ''''에서 불려지는 몇몇 전통적인 노래들이 있다.[32][33] 인기 있는 노래 "''''"는 리비아 트리폴리의 16세기 카발리스트인 랍비 시몬 라비가 시몬 바르 요차이를 기리기 위해 작곡했다.[33] 다른 노래로는 알파벳 두운으로 배열된 시인 "''''"와 "''''"가 있다.[34]라그 바오메르에는 대부분의 하레디 랍비들이 불을 피우는 것 외에도 또는 불을 피우는 대신 ''티쉬''(티쉬)를 진행한다. 정찬이 차려지고 촛불이 켜진다. "''바르 요차이''(Bar Yochai)", "''''", "''''"를 부르는 것이 전통이다. 사트마르 하시디즘에서는 다른 노래 외에도 "''''"가 ''티쉬''(tish)에서 불린다.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가르침은 탈무드와 조하르 모두에서 랍비들이 ''티쉬''에서 일반적으로 설명한다. 일부 하시디 법정에서는 랍비가 ''티쉬'' 중에 장난감 활과 화살을 쏠 수 있으며, 3세 남자 아이들은 첫 번째 머리 자르기의 일환으로 랍비가 머리카락을 잘라주도록 데려올 수 있다.
5. 논란
일부 랍비, 즉 모세 소퍼[35]와 요세프 사울 나탄손[36]은 라그 바오메르 기념 및 관습에 반대했다. 이 할라흐 학자들은 라그 바오메르가 기념되는 방식이 사망 기념일이 지켜지는 전통적인 방식과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라그 바오메르는 축제 방식으로 기념되는 반면, 일반적으로 야르차이트는 "그 날의 엄숙하고 진지한 본성을 드러내는" 관습으로 표시되기 때문이다. 다른 문제로는 옷을 모닥불에 던지는 행위(이는 낭비로 인식됨), 초기 현자들이 이 휴일을 기념하지 않았다는 사실, 그리고 휴일 제정 금지 등이 제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권위자들은 이 휴일을 금지하지 않았다.
다른 랍비들은 많은 위대한 랍비들이 이를 기념해 왔으며, 값비싼 옷은 절대 태우지 않는다고 설명하며 앞서 언급된 반대에 대응했다. 그들은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의 죽음의 날에 일어난 일을 이 날이 매우 신성하며 기념해야 한다는 증거로 제시했다. 이는 대부분의 현대 랍비와 최근 랍비들의 의견으로 남아 있다.
6. 시온주의와 현대 이스라엘
현대 이스라엘에서 초기 시온주의자들은 라그 바오메르를 랍비 중심의 축제에서 로마 제국에 대항한 바르 코흐바의 반란(132-136년)을 기념하는 날로 재정의했다. 럿거스 대학교의 야엘 제루바벨이 출판한 연구에 따르면, 많은 라그 바오메르 전통이 시온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재해석되어 3년 후 베타르에서 최종 패배하기보다는 바르 코흐바 반란군의 승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랍비 아키바의 제자 24,000명을 휩쓴 역병은 반란에 대한 은유로 설명되었고, 역병이 끝난 33번째 날은 바르 코흐바의 승리의 날로 설명되었다.[37] 1940년대 후반까지 이스라엘 학동용 교과서는 바르 코흐바를 영웅으로 묘사했고, 랍비 시몬 바르 요차이와 랍비 아키바는 그를 응원하며 옆에 서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바르 코흐바의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밤에 불을 피우고 노래하고 춤을 추며, 낮에는 바르 코흐바 반란군의 행동을 기억하기 위해 활과 화살로 놀이하는 데 기여했다.[37]
이러한 휴일 해석은 유대 역사의 시온주의적 해석을 강화하고 독립적인 유대 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을 강조했다. 벤자민 라우는 ''하레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라그 바오메르는 시오니즘과 이스라엘 초창기 동안 이스라엘-시오니스트 심리 상태의 일부가 되었다. 이 날을 기념하는 방식에서 유대인과 이스라엘인 사이의 명확한 구별이 나타났다. 종교 유대인들은 라시비[시몬 바르 요차이]를 기리기 위해 횃불을 켜고 그에 대한 노래를 불렀지만, 젊은 이스라엘인들은 대체 불 옆에 앉아 "온 국민이 사랑하는" 영웅에 대해 노래하고 로마에 맞서 돌진하는 사자를 탄 강력한 영웅의 이미지에 집중했다.[38]
현대 이스라엘에서 라그 바오메르는 "싸우는 유대 정신의 상징"이다. 하가나의 팔마흐 부대는 1941년 라그 바오메르에 창설되었고, 이스라엘 국방군을 창설하는 정부 명령은 1948년 라그 바오메르에 내려졌다.[39] 2004년부터 이스라엘 정부는 라그 바오메르를 IDF 예비군에게 경례하는 날로 지정했다.[40]
참조
[1]
웹사이트
Lag Ba-omer - Jewish Tradition
https://yahadut.org/[...]
2024-05-15
[2]
웹사이트
A Printing Mistake and the Mysterious Origins of Rashbi's Yahrzeit
https://seforimblog.[...]
2011-05-19
[3]
간행물
About Israel: Holidays and Observances: Lag BaOmer,
https://embassies.go[...]
Embassy of Israel to the United States
2022-05-06
[4]
웹사이트
Count D'Omer
http://ohr.edu/ask_d[...]
Ohr Somayach International
2013-04-28
[5]
문서
Sefer HaManhig
https://hebrewbooks.[...]
[6]
문서
Sefer Yuhasin
[7]
문서
f. 66v
[8]
문서
Liveyat Chen
[9]
문서
Drashot al haTorah l'RY ibn Shuaib
[10]
문서
Beit haBechirah
[11]
문서
Imrei Shafer
[12]
웹사이트
Omer
http://www.jewishvir[...]
2013-04-28
[13]
논문
The Mysterious Origin of Lag Ba-Omer
hakirah.org
[14]
웹사이트
A Printing Mistake and the Mysterious Origins of Rashbi's Yahrzeit
https://seforimblog.[...]
2011-05-19
[15]
웹사이트
The Byzantine Prehistory of Lag ba-Omer
https://traditiononl[...]
[16]
웹사이트
"Lag Baomer in Meron: an Historical Overview"
https://forum.otzar.[...]
Bnei Brak
[17]
문서
Orach Chayim
[18]
웹사이트
Mourning's End – Understanding Sefira and Lag B'Omer
http://www.beyondbt.[...]
Beyond BT
2010-05-02
[19]
웹사이트
Lag B'Omer: A day for weddings
http://www.jewishwed[...]
Jewish Wedding Network
2005-12-05
[20]
웹사이트
Meron on Lag B'Omer
http://www.jewishmag[...]
The Jewish Magazine
2010-04-28
[21]
웹사이트
Jewish Prayers: Tahanun
https://www.jewishvi[...]
2019-04-11
[22]
웹사이트
Lag ba-Omer
https://encyclopedia[...]
[23]
간행물
Seasons: The Bostoner Rebbetzin remembers and reflects on the occasion of the first yahrtzeit of Grand Rabbi Levi Yitzchak HaLevi Horowitz, ztz"l, 18 Kislev 5771
2010-11-24
[24]
Youtube
Satmar Kiryas Joel Rabbi Aaron Teitelbaum Speech Against Lag BaOmer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5-15
[25]
웹사이트
50,000 Expected at Lag Ba'omer Celebration Tonight in Kiryas Yoel
http://matzav.com/50[...]
matzav.com
2014-05-15
[26]
웹사이트
Lag BaOmer
https://www.knesset.[...]
The Knesset
2014-04-03
[27]
웹사이트
Lag Ba'Omer
http://www.jerusalem[...]
Jerusalem Municipality
2011-12-05
[28]
웹사이트
6 Lag BaOmer Customs and Traditions You Should Know
https://www.chabad.o[...]
chabad.org
2011-12-05
[29]
웹사이트
Lag B'Omer
https://torah.org/le[...]
torah.org
2013-04-28
[30]
웹사이트
Parades in Central Israel Draw 1,000 Children
https://www.chabad.o[...]
chabad.org
2010-04-28
[31]
웹사이트
From South Africa to Finland, Excitement Builds for Unity Parades
https://www.chabad.o[...]
chabad.org
2010-04-28
[32]
서적
The early acharonim: biographical sketches of the prominent early rabbinic sages and leaders from the fifteenth-seven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Mesorah Publications, Ltd.
[33]
서적
Galatians and First-Century Ethical Theory
https://books.google[...]
[34]
서적
Chassidic ecstasy in music
https://books.google[...]
Peter Lang
[35]
문서
Responsa Chasam Sofer
https://www.sefaria.[...]
[36]
서적
Shoel Umeishiv
https://hebrewbooks.[...]
2018
[37]
서적
Bar Kokhba's Image in Modern Israeli Culture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03
[38]
웹사이트
Portion of the Week / The fires of Lag Ba'omer
https://www.haaretz.[...]
2007-05-03
[39]
뉴스
Lag B'Omer
https://www.ynetnews[...]
2008-05-13
[40]
웹사이트
Cabinet Communique
https://mfa.gov.il/m[...]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7-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