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누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누카는 ‘봉헌’을 의미하며,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혁명으로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재봉헌한 것을 기념하는 유대교 축제이다. 빛의 축제라고도 불리며, 히브리어 동사 ‘하나크’에서 유래되었다. 하누카는 안티오쿠스 4세에 대항한 마카베오 혁명을 기념하며, 8일 동안 하누키아에 불을 켜는 의례를 행한다. 이 축제는 유대교 율법에 따라 진행되며, 음식, 선물 교환, 드레이들 게임 등 다양한 의례와 관습을 포함한다. 하누카는 크리스마스와의 관계, 콴자와의 연관성, 시온주의 운동과의 관련성을 통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며 유대교의 중요한 정체성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의 연중행사 - 라그 바오메르
    라그 바오메르는 오메르 기간 중 33번째 날을 기념하는 유대교 축제일로, 랍비 아키바 제자들의 전염병 종식 또는 시몬 바르 요차이의 사망일로 기념하며, 모닥불, 활쏘기 등의 관습과 현대 이스라엘에서는 바르 코흐바 반란 기념 등 시온주의적 의미도 가진다.
  • 유대교의 연중행사 - 칠칠절
    칠칠절은 초실절로부터 7번의 안식일 후 50일째 되는 날을 기념하는 유대교 절기로, 본래 보리 수확 후 밀을 처음 수확한 것을 기념하는 농경 절기에서 유래했으며, 신약 시대에는 오순절, 오늘날에는 토라 수여를 기념한다.
  • 불 문화 - 화전농업
    화전농업은 숲을 개간하여 농사를 짓는 오래된 농업 방식으로, 열대 지방에서 식량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환경 문제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불 문화 - 횃불
    횃불은 나무 막대기에 인화성 물질을 감아 만든 도구로, 고대부터 조명, 신호, 의식, 상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자유, 계몽,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와 죽음, 애도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 불에 관한 전통 - 호마 (의식)
    호마는 3000년 이상 된 종교 의례로, 브라만교의 불을 이용한 제물 봉헌 의식에서 시작하여 불교 밀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전승되었으며, 특히 일본 밀교 종파에서 중심 수행법으로 자리 잡았고, 힌두교와 자이나교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며, 최근에는 정신 수련법으로도 활용된다.
  • 불에 관한 전통 - 분신자살
    분신자살은 불에 타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로, 종교적, 정치적 저항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고, 극심한 고통과 화상으로 인한 사망을 초래한다.
하누카
기본 정보
[[드레이델]], [[하누카 메노라]], [[수프가니요트]]
드레이델, 하누카 메노라, 수프가니요트
공식 명칭히브리어: 또는
영어 번역: '세움' 또는 '헌납' (예루살렘 성전)
기념 대상유대인
시작키슬레브 25일
종료테벳 2일 또는 3일
기념 행사매일 밤 양초 점화
마오즈 추르와 같은 특별한 노래 부르기
할렐 기도 암송
라트케와 수프가니요트와 같이 기름에 튀긴 음식과 유제품 섭취
"드레이델" 게임, 하누카 '겔트' (돈) 주기
종류유대교
중요성마카베오가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에 대항하여 성공적으로 반란을 일으킴
탈무드에 따르면, 성전이 정화되었고, 메노라의 심지가 기적적으로 8일 동안 탔다. 단 하루 동안 불을 밝힐 수 있는 신성한 기름만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부림절, 랍비가 제정한 축일로 간주됨
개요
다른 이름영어: Chanukkah, Hanukah, Hanukkah
히브리어: חנוכה
로마자 표기: Hanukka, Ḥănukkā
발음현대 히브리어:
이디시어: 또는
설명2세기 BCE에, 성지는 셀레우코스 (시리아-그리스)의 통치를 받았으며, 그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미츠바 준수와 하나님에 대한 믿음 대신 그리스 문화와 신념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려 했다. 모든 역경을 딛고, 유다 마카베오가 이끄는 작지만 충실하고 무장 상태가 좋지 않은 유대인 무리가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군대 중 하나를 물리치고, 그리스인들을 땅에서 몰아내고, 예루살렘의 성전을 되찾아 하느님을 섬기는 데 다시 헌납했다. 이러한 기적을 기념하고 알리기 위해, 현자들은 하누카 축제를 제정했다.
역사적 배경
주요 사건마카베오 가문의 반란: 기원전 167년 ~ 기원전 160년
예루살렘 성전 재봉헌: 기원전 164년
관련 인물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마타티아스
유다 마카베오
종교적 의미
주요 의례메노라 점화
특별 기도 (알 하니심)
찬송가 (마오즈 추르)
상징메노라: 빛과 희망의 상징
드레이델: 하누카 전통 놀이
하누카 겔트: 하누카에 주고받는 돈
문화적 측면
음식라트케: 감자 팬케이크
수프가니요트: 도넛
놀이드레이델 놀이
선물하누카 겔트 주고받기
현대적 의미
중요성종교적 자유의 상징
소수의 힘으로 다수를 이길 수 있다는 희망
기타
관련 기념일부림절
외부 링크하누카에 대해 알아보기
하누카 초에 불을 붙이는 미츠바

2. 유래

'봉헌'이라는 뜻을 가진 하누카(Hanukkah)는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혁명 당시,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쿠스 4세에 의해 더럽혀졌던 예루살렘 성전을 정화하고 이스라엘의 하느님에게 다시 봉헌한 사건에서 유래했다.[8][9] 이 사건은 외경인 마카베오기 상권과 하권, 그리고 신약성경의 요한복음 10장 22절에도 '수전절'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다. '하누카'라는 이름 자체가 "봉헌하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동사 חנך|하낰heb에서 파생된 것이다.[8][9]

2. 1. 어원

'하누카'(hanukkah)는 '봉헌'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로,[8][9]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혁명을 통해 시리아 셀레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4세에 의해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정화하고 이스라엘의 하느님에게 다시 봉헌한 사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 사건은 외경인 마카베오기 상권과 하권, 그리고 신약성경의 요한의 복음서 10장 22절에도 언급된다.

하누카라는 이름은 "봉헌하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동사 חנךheb (하나크)에서 파생되었다.[8][9][177][178] 마카베오 군대가 예루살렘을 되찾고 성전을 다시 봉헌한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177][178]

이 이름에 대해서는 여러 설교적 설명이 전해진다:[10]

  • 이름을 חנו כ״הheb로 나누어 해석하면 "[그들이] 25일에 휴식을 취했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유대인들이 키슬레브월 25일에 전투를 멈추고 휴식을 취했으며, 이날부터 하누카 명절이 시작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11] 다른 해석으로는 חנוheb(하누, "그들은 멈췄다")와 나머지 두 글자 카프(כ)와 헤이(ה)를 각각 숫자 20과 5로 보아 "키슬레브월 25일에 그들은 (적들과의 싸움을) 멈췄다"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게마트리아 참조)
  • חינוך|히누크heb(Chinuch)는 같은 어원에서 파생된 단어로, 윤리적 훈련과 규율을 강조하는 유대교 교육을 의미한다.
  • חנוכהheb(하누카)는 '''ח''' '''נ'''רות '''ו'''הלכה '''כ'''בית '''ה'''ללheb("여덟 개의 촛불, 그리고 할라카힐렐 학파를 따른다")의 히브리어 두문자어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는 하누카 촛불을 켜는 방식에 대한 두 랍비 학파, 즉 힐렐 학파와 샴마이 학파 사이의 견해 차이를 나타낸다. 샴마이 학파는 첫날 밤에 8개의 촛불을 모두 켜고 매일 하나씩 줄여 마지막 날 밤에 1개를 켜야 한다고 주장했다(기적이 첫날 가장 컸기 때문). 반면 힐렐 학파는 첫날 밤에 촛불 1개를 켜고 매일 하나씩 늘려 마지막 여덟 번째 밤에 8개를 켜야 한다고 주장했다(기적이 매일 커졌기 때문). 유대교 율법은 힐렐 학파의 견해를 따르고 있다.[12]
  • 시편 30편은 "집의 '봉헌'의 노래"라는 뜻의 שיר חנכת הבית|쉬르 하누카트 하바이트heb라고 불리며, 하누카 기간에 전통적으로 낭송된다. 시편 30편의 '30'이라는 숫자는 키슬레브월 25일의 '25'와 토라(모세오경)의 다섯 책을 의미하는 '5'를 더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히브리어 ''Ḥet Nun Vav Kaf Hey''의 음역으로 인한 철자 변형


히브리어로 하누카는 חֲנֻכָּה|하누카heb 또는 חֲנוּכָּה|하누카heb로 표기된다.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Hanukkah' 또는 'Chanukah'로 음역된다. 'Hanukkah' 표기는 히브리어 철자를 영어 알파벳으로 가장 가깝게 표현하려는 시도에 기반하며[13] 가장 널리 쓰이는 표기이다.[14] 메리엄-웹스터 사전,[15] 콜린스 영어 사전, 옥스포드 스타일 매뉴얼, 그리고 뉴욕 타임스가디언 같은 주요 언론사의 스타일 가이드에서도 이 표기를 선호한다.[16] 'Chanukah'의 'Ch' 발음은 영어에는 없는 소리이다.[17] 또한, 히브리어 첫 글자인 חheb(헤트, ḥeth)는 고전 히브리어에서는 무성 인두 마찰음으로 발음되었으나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발음이 변했다. 이러한 소리들을 영어 철자로 정확히 표현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원래의 인두 마찰음은 스코틀랜드어 'Ch' 발음보다는 영어의 'H' 발음에 더 가까우므로, 'Hanukkah'가 히브리어 알파벳 철자를 더 충실히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13] 또한, 히브리어 '카프'(כ)는 고전 히브리어에서 쌍자음으로 발음될 수 있었다. 고전 히브리어 발음(쌍자음 카프, 인두 마찰음 헤트)을 적용하면 'Hanukkah'에 가깝고, 현대 히브리어 발음(단자음 카프, 연구개 마찰음 헤트)을 적용하면 'Chanukah'에 가까워진다.[18][19][20]

현대 히브리어에서 하누카는 '빛의 축제'라는 의미의 חַג הַאוּרִים|하그 하우림heb(Ḥag HaUrim)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가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그때부터 오늘날까지 우리는 이 축제를 '빛'이라고 부르며 기념한다"고 기록한 데서 유래했다. 1864년에 처음 나온 《유대 고대사》의 히브리어 번역본에서는 '등불의 축제'라는 의미의 חַג הַמְּאֹרוֹת|하그 하메오로트heb(Ḥag HaMe'orot)를 사용했지만, 19세기 말부터 '빛의 축제'(חַג הַאוּרִיםheb)라는 번역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21]

2. 2. 명칭의 다양한 표현

‘봉헌’이라는 뜻의 하누카(Hanukkah)는 히브리어 동사 '하낰'(חנך, 봉헌하다)에서 유래했다.[177][178] 이는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혁명 당시 안티오쿠스 4세에 의해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정화하고 이스라엘의 하느님에게 다시 봉헌하게 된 것을 기념하는 이름이다.[8][9][177][178] 마카베오 혁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외경인 마카베오기 상권과 하권에 기록되어 있으며, 신약성경의 요한복음 10장 22절에도 '수전절'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

하누카라는 이름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설교적 해석이 덧붙여지기도 한다:[10]

  • 이름을 '하누 카프-헤'(חנו כ״ה)로 나누어, "[그들이] 25일에 쉬었다"라고 해석한다. 이는 유대인들이 키슬레브월 25일에 적과의 싸움을 멈추고 성전을 봉헌했으며, 이날부터 하누카 명절이 시작됨을 의미한다.[11] 게마트리아(수비학)를 이용한 해석도 있는데, '하누'(חנו, 그들은 쉬었다)와 나머지 두 글자 카프(כ, 숫자 20)와 헤이(ה, 숫자 5)를 합쳐 키슬레브월 25일을 나타낸다고 본다.
  • 같은 어근에서 파생된 '히누크'(חינוך, Chinuch)는 유대교의 교육을 뜻하는 말로, 윤리적 훈련과 규율을 강조하는 개념과 연결짓기도 한다.
  • '하누카'(חנוכה)를 '헤트(ח) 네롯(נ) 베할라카(ו) 케베트(כ) 힐렐(ה)' ('''ח''' '''נ'''רות '''ו'''הלכה '''כ'''בית '''ה'''לל)의 두문자어로 보아, "여덟 개의 촛불, 그리고 할라카(유대 율법)는 힐렐 학파의 해석을 따른다"는 의미로 풀이하기도 한다. 이는 하누카 촛불을 켜는 방식에 대한 두 학파, 즉 힐렐 학파와 샴마이 학파 사이의 견해 차이를 반영한다. 샴마이 학파는 첫날 촛불 8개를 모두 켜고 매일 하나씩 줄여 마지막 날 1개를 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기적이 첫날 가장 컸으므로), 힐렐 학파는 첫날 1개로 시작해 매일 하나씩 늘려 마지막 날 8개를 켜야 한다고 주장했다(날마다 기적의 의미가 커지므로). 유대교 율법은 힐렐 학파의 방식을 따른다.[12]
  • 시편 30편은 '쉬르 하누카트 하바이트'(שיר חנכת הבית), 즉 "성전 봉헌의 노래"라는 부제가 붙어 있으며, 하누카 기간에 전통적으로 낭송된다. 시편 30편의 숫자 30을 키슬레브월 25일(25)과 토라(모세오경)의 다섯 권(5)을 합한 수와 연관 짓는 해석도 있다.


히브리어에서 하누카는 '하누카'(חֲנֻכָּה 또는 חֲנוּכָּה, Ḥănukā)로 표기된다. 이를 로마자로 음역할 때 영어권에서는 주로 'Hanukkah' 또는 'Chanukah'로 표기한다. 'Hanukkah'는 히브리어 철자를 영어 알파벳으로 최대한 가깝게 옮기려는 시도에 기반하며[13] 가장 널리 쓰이는 표기이다.[14] 메리엄-웹스터,[15] 콜린스 영어 사전, 옥스포드 스타일 매뉴얼, 그리고 뉴욕 타임스가디언 같은 주요 언론사에서도 이 표기를 선호한다.[16]

표기법의 차이는 주로 히브리어 발음을 영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Chanukah'의 'Ch'는 스코틀랜드어의 'loch' 발음과 유사한 연구개 마찰음(무성 연구개 마찰음, /χ/)을 나타내는데, 이는 영어에는 없는 발음이다.[17] 또한 히브리어 첫 글자인 '헤트'(ח, ḥeth)는 고전 히브리어에서는 목구멍 깊은 곳에서 내는 소리(무성 인두 마찰음, /ħ/)였으나,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연구개 마찰음(/χ/)으로 발음이 변했다. 두 발음 모두 영어 철자로 정확히 표현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고전 히브리어의 '헤트'(/ħ/) 발음은 스코틀랜드식 'Ch'(/χ/)보다는 영어의 'H'(/h/)에 더 가깝기 때문에, 'Hanukkah' 표기가 히브리어 알파벳 철자를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13] 또한 히브리어 '카프'(kaf)는 고전 히브리어에서 쌍자음으로 발음되었다. 따라서 고전 히브리어 발음(쌍자음 카프, 인두음 헤트)을 기준으로 하면 'Hanukkah'가, 현대 히브리어 발음(홑자음 카프, 연구개음 헤트)을 기준으로 하면 'Chanukah'가 더 적합한 표기라고 할 수 있다.[18][19][20]

3. 역사적 배경

예루살렘 근처에서 발굴된 하누카 램프, 1900년경


하누카(Hanukkah)는 '봉헌'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로,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쿠스 4세에 의해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혁명을 통해 되찾아 이스라엘하느님께 다시 봉헌한 사건에서 유래했다. 이 혁명과 성전 재봉헌 이야기는 구약성경외경 또는 제2경전으로 분류되는 마카베오기 상권과 마카베오기 하권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22] 이 책들은 70인역 그리스어 구약성경에는 포함되었으나, 유대교타나크 정경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는 마카베오기를 성경 정경으로 인정한다.[22]

마카베오기 상권은 성전 재봉헌과 8일간의 축제에 대해 기록하고 있지만,[23] 하누카의 상징적인 이야기인 '기름의 기적'은 언급하지 않는다. 이 기적 이야기는 마카베오 혁명 이후 약 600년 뒤에 기록된 탈무드에 처음 등장한다.[31] 탈무드에 따르면, 성전을 탈환했을 때 메노라를 밝힐 정결한 기름이 하루치밖에 남지 않았으나, 기적적으로 8일 동안 불이 꺼지지 않았다고 한다. 이 8일은 새로운 정결한 기름을 준비하는 데 걸린 시간이었다.[32] 이 기적을 기념하기 위해 하누카를 8일 동안 지킨다고 설명한다.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도 하누카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 1세기에 기록된 메길라트 타아니트는 금식이나 애도가 금지된 축제 목록에 하누카를 명시하며 성전 재봉헌 이야기를 언급한다.[27] 2세기 후반에 편찬된 미쉬나 역시 여러 곳에서 하누카를 언급하지만,[28] 그 배경이나 율법을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유대인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유다 마카베오가 성전을 재봉헌한 후 8일간의 축제를 제정했다고 기록하며, 이 축제를 하누카 대신 '빛의 축제'라고 불렀다.[38][39] 신약성경요한복음 10장 22-23절에도 예수가 겨울에 예루살렘 성전에서 열린 '봉헌절'(하누카)에 참석했다는 기록이 나온다.[40]

하누카의 역사적 배경은 헬레니즘 시대 유대 지역의 복잡한 정치적, 종교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안티오쿠스 4세의 강압적인 헬레니즘화 정책과 유대교 탄압은[47] 유대인 내부의 헬레니즘파와 전통주의파 간의 갈등과 맞물려[52][53][54][55] 결국 마카베오 혁명으로 이어졌다. 하누카는 이러한 외세의 압제와 종교 탄압에 맞서 싸워 신앙의 자유와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낸 역사적 승리를 기념하는 축제이다.

3. 1. 마카베오 혁명 이전

예루살렘 제2성전 시대의 모형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기원전 323년에 사망한 후, 유대는 기원전 200년까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198년,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 안티오코스 3세가 파니움 전투에서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 군대를 물리치면서 유대와 사마리아를 장악했고[42],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켈레 시리아 일부가 되었다.[42] 안티오코스 3세는 유대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그들의 종교적 관습을 존중하고 예루살렘 성전에서의 종교 활동을 보장하는 정책을 폈다.[43] 셀레우코스 왕조는 이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처럼 유대에 대한 종주권을 행사하면서도 유대 문화와 제도를 보호하는 정책을 유지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안티오코스 3세의 아들인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가 기원전 175년에 왕위에 오르면서[63] 급격하게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예루살렘 성전과 대제사장직을 둘러싼 내부 분쟁, 혹은 진압되어 기록이 명확하지 않은 반란 때문으로 추정된다.[44] 기원전 175년, 안티오코스 4세는 토비아스 가문의 요청을 받아들여 유대를 침공했다.[45] 당시 예루살렘의 헬레니즘 유대교 세력을 이끌던 토비아드는 기원전 170년경, 대제사장 오니아스와 그의 친이집트 세력에게 주도권을 빼앗기고 시리아로 추방되었다. 추방된 토비아드 세력은 안티오코스 4세에게 예루살렘을 되찾아 달라고 요청했다.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당시 상황에 대해 "왕은 이미 그럴 마음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말을 따랐고, 대군을 이끌고 유대인들을 공격하여 도시를 강제로 점령하고 프톨레마이오스를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을 죽였으며, 자비 없이 병사들을 보내 그들을 약탈하게 했다. 그는 또한 성전을 약탈하고 3년 6개월 동안 매일 속죄 제물을 드리는 것을 중단시켰다."라고 기록했다. (출처: ''유대 전쟁'')[46]

기원전 168년, 안티오코스 4세의 통치 아래 제2성전은 약탈당하고 많은 유대인이 학살되었으며, 유대교 신앙 자체가 불법화되었다.[64] 기원전 167년에는 안티오코스 4세가 성전에 그리스 신 제우스를 위한 제단을 세우도록 명령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극심한 탄압과 성전 모독은 결국 마타티아스와 그의 아들들이 안티오코스 4세에 대항하여 마카베오 혁명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3. 2. 마카베오 혁명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기원전 323년에 사망한 후, 유대는 기원전 200년까지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그러나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가 파니움 전투에서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를 격파하면서 유대는 켈레 시리아의 일부로 편입되었다.[42] 안티오코스 3세는 유대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그들의 전통적인 관습과 예루살렘 성전 중심의 종교 활동을 보장했다.[43] 이러한 유화 정책은 그의 아들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대에 이르러 급변하게 된다. 이는 예루살렘 성전과 대제사장직을 둘러싼 유대인 내부의 분쟁, 혹은 진압 과정에서 상세한 내용이 유실된 반란 때문으로 추정된다.[44]

기원전 175년, 헬레니즘 유대교를 지지하는 토비아스 가문의 요청으로 안티오코스 4세는 유대를 침공했다.[45] 토비아드 가문은 기원전 170년경, 전통주의적인 대제사장 오니아스 3세와 그의 지지 세력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추방당하자 안티오코스 4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던 것이다.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왕은 이미 그럴 마음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말을 따랐고, 대군을 이끌고 유대인들을 공격하여 도시를 강제로 점령하고 프톨레마이오스를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을 죽였으며, 자비 없이 병사들을 보내 그들을 약탈하게 했다. 그는 또한 성전을 약탈하고 3년 6개월 동안 매일 속죄 제물을 드리는 것을 중단시켰다.
''유대 전쟁''[46]

예루살렘제2성전이 약탈당하고 제사가 중단되면서 유대교는 사실상 불법화되었다. 기원전 167년, 안티오코스 4세는 성전에 그리스의 주신 제우스에게 바치는 제단을 세우도록 명령했으며, 유대인의 전통인 할례(브리트 밀라)를 금지하고 성전 제단에서 돼지를 희생 제물로 바치도록 강요했다.[47]

안티오코스 4세의 이러한 강압적인 헬레니즘화 정책과 종교 탄압은 유대인들의 대규모 반란을 촉발했다. 모디인 출신의 제사장 마타티아스와 그의 다섯 아들 요하난, 시몬, 엘르아자르, 요나단, 그리고 유다가 반란의 중심에 섰다. 반란은 마타티아스가 안티오코스의 명령에 따라 이교 제단에 제물을 바치려던 한 유대인과 이를 강요하던 그리스 관리를 살해하면서 시작되었다(1 마카베오기 2:24–25[48]).

이스라엘 모디인에 위치한 마카베오 일가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


기원전 166년 마타티아스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유다가 "마카비"(망치라는 뜻)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지도자 자리를 계승했다. 유다 마카베오가 이끄는 유대인 반란군은 여러 차례의 전투에서 셀레우코스 군대를 격파했다. 기원전 164년, 마침내 예루살렘을 탈환하고 더럽혀진 성전을 정화하여 다시 하느님께 봉헌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하누카 축제의 기원이다.[49] 유다는 성전을 정화하고, 훼손된 제단을 허물고 새 제단을 쌓았으며, 새로운 성물들을 만들도록 지시했다.[119]

탈무드에는 성전 재봉헌 당시의 일화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스인들이 성소에 들어가 모든 기름을 더럽혔다. 하스몬 왕조가 그들을 이기고 승리했을 때, 그들은 기름을 찾았으나 대제사장의 봉인이 찍힌 기름 단지 하나만을 발견했다. 그 단지에는 하루 동안 성전 등불을 밝힐 만큼의 기름밖에 없었다. 그러나 기적이 일어나 그 기름으로 8일 동안 등불을 밝힐 수 있었다. 이듬해, 이날들을 할렐(찬양 시편)과 감사를 드리는 축일로 정했다.
—샤밧 21b [50]

이 '기름 단지의 기적' 이야기는 유대교 전통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12세기 유대교 학자 마이모니데스는 하누카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키슬레브월 25일에 유대인들이 적들을 물리치고 성전에 다시 들어갔을 때, 하루치 분량의 순수한 기름 단지 하나만 발견했다. 그러나 그들은 올리브를 짜서 순수한 기름을 얻을 때까지 8일 동안 성전의 등불을 밝혔다. 이 때문에 그 시대의 현자들은 키슬레브월 25일부터 시작하는 8일을 기쁨과 찬양의 날로 정하고, 매일 저녁 집 문 앞에 등불을 밝혀 기적을 기념하도록 했다. 이 날들을 하누카라고 부르며, 푸림처럼 슬퍼하거나 금식하는 것이 금지된다. 하누카 8일 동안 등불을 밝히는 것은 현자들이 정한 종교적 의무이다.
[51]

''유다 마카베오의 승리'' (루벤스, 1634–1636)


현대의 일부 학자들은 마카베오 혁명이 단순히 셀레우코스 제국의 종교 탄압에 대한 저항일 뿐만 아니라, 예루살렘 내부의 헬레니즘화된 유대인들과 전통주의 유대인들 사이의 내전 성격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52][53][54][55] 특히 대제사장직을 둘러싼 오니아스 3세와 같은 전통주의자들과 야손, 메넬라오스와 같은 헬레니즘파 사이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안티오코스 4세가 개입했다는 것이다.[56][57] 일부 학자들은 종교적, 정치적 갈등 외에 사회경제적 요인도 혁명의 원인으로 지적한다.[58]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안티오코스 4세는 유대인 내부 갈등에서 헬레니즘파의 편을 들면서 전통주의자들의 종교적 관습을 금지하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게 되었고, 이는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셀레우코스 왕조의 정책이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59][60]

기름의 기적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전설로 간주하는 시각도 있으며, 중세 시대부터 그 진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61] 그러나 16세기 유대교 법전인 슐한 아루흐의 저자 요세프 카로는 이 기적을 역사적 사건으로 받아들였으며,[62] 이러한 믿음은 오늘날 대부분의 정통 유대교 공동체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이스라엘 크네세트 앞 크네세트 메노라에 새겨진 마카베오 형제들의 모습


마카베오 혁명은 유대인들에게 종교적 자유를 되찾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하스몬 왕조 시대로 이어지는 정치적 독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주요 연표'''

연도주요 사건
기원전 198년셀레우코스 왕 안티오코스 3세가 파니움 전투에서 승리하여 유대사마리아프톨레마이오스 왕국으로부터 빼앗음.[42]
기원전 175년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가 셀레우코스 왕위에 오름.[63]
기원전 168년안티오코스 4세의 명령으로 제2성전이 약탈당하고 유대인 학살이 벌어지며 유대교가 불법화됨.[64]
기원전 167년안티오코스 4세가 성전에 제우스 제단을 세우도록 명령. 마타티아스와 다섯 아들이 마카베오 혁명을 일으킴.
기원전 166년마타티아스가 사망하고 유다 마카베오가 지도자가 됨. 하스몬 왕조 시작.
기원전 164년유대인 반란군이 예루살렘 성전을 탈환하고 재봉헌 (하누카).
기원전 142년하스몬 왕조가 셀레우코스 왕조로부터 자치권을 인정받음.[65]
기원전 139년로마 원로원이 유대인의 자치를 인정함.[66]
기원전 134년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가 예루살렘을 포위. 요한 히르카누스 치하의 유대인들은 셀레우코스의 봉신이 되지만 종교적 자치는 유지.[67]
기원전 129년안티오코스 7세 사망. 하스몬 왕국이 시리아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이룸.[68]
기원전 96년사두개파 왕 알렉산드로스 야나이와 바리새파 간의 내전 발발.[69]
기원전 63년아리스토불루스 2세와 히르카누스 2세의 왕위 계승 분쟁에 로마 공화국의 폼페이우스가 개입하여 예루살렘을 점령. 하스몬 왕조 멸망 및 로마 지배 시작.[71]



'''마카베오-셀레우코스 주요 전투'''

전투 이름결과 및 특징
아폴로니우스와의 전투 및 세론과의 전투유다 마카베오가 소규모 셀레우코스 분견대 격파.
엠마오 전투유다 마카베오가 셀레우코스 군대의 분열을 틈타 야간 기습 공격으로 승리.
베트 추르 전투유다 마카베오가 리시아스의 군대를 격파하고 예루살렘 점령. 리시아스는 안티오코스 4세의 반유대교 정책 철회.
베트 제카리아 전투셀레우코스 군대가 마카베오 군대를 격파. 엘르아자르 아바란이 전투 코끼리 공격 중 전사.
아다사 전투유다 마카베오가 셀레우코스 장군 니카노르를 죽이고 승리.
엘라사 전투유다 마카베오가 바키데스의 군대와의 전투에서 전사. 동생 요나단 아푸스와 시몬 타시가 반란을 이어감. 셀레우코스가 일시적으로 예루살렘을 재장악했으나, 결국 마카베오 측과 협상하여 독립을 허용.



'''마카베오 혁명의 주요 인물'''

인물설명
마타티아스모디인 출신의 제사장. 다섯 아들과 함께 마카베오 혁명을 시작함.[72]
유다 마카베오마타티아스의 셋째 아들. 혁명의 가장 중요한 군사 지도자. 마카비(망치)라는 별명으로 불림.[73]
엘르아자르 마카베오마타티아스의 넷째 아들. 베트 제카리아 전투에서 전사.
시몬 마카베오마타티아스의 둘째 아들. 유다와 요나단 사후 지도자가 되어 하스몬 왕조를 실질적으로 개창.
요하난 마카베오마타티아스의 장남.
요나단 마카베오마타티아스의 막내 아들. 유다 사후 지도자가 되어 외교와 군사 활동을 이끎.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셀레우코스 제국의 왕. 유대교 탄압 정책으로 마카베오 혁명을 촉발.
유딧외경인 유딧기의 주인공. 적장 홀로페르네스를 암살한 영웅으로 여겨지며, 하누카와 연관되기도 함.[74][75]
한나와 일곱 아들마카베오기 하권 등에 등장. 안티오코스 4세의 우상 숭배 강요를 거부하고 순교한 이야기로, 신앙을 지킨 상징적 인물들.[76]



3. 3. 마카베오 혁명 이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기원전 323년부터 유대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200년,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가 파니움 전투에서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를 격파하면서 유대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켈레 시리아 지역에 속하게 되었다.[42] 안티오코스 3세는 유대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조상들의 관습에 따라 살 권리"를 보장하고 예루살렘 성전에서의 종교 활동을 허용하는 등 비교적 우호적인 정책을 펼쳤다.[43]

그러나 그의 아들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가 왕위에 오르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이는 예루살렘 성전과 대제사장직을 둘러싼 내부 분쟁, 혹은 진압 과정에서 그 성격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반란 때문으로 추정된다.[44] 기원전 175년, 안티오코스 4세는 헬레니즘 유대교 세력의 요청을 받아들여 유대를 침공했다.[45]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당시 상황에 대해 "왕은 (...) 대군을 이끌고 유대인들을 공격하여 도시를 강제로 점령하고 프톨레마이오스를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을 죽였으며, (...) 성전을 약탈하고 3년 6개월 동안 매일 속죄 제물을 드리는 것을 중단시켰다"고 기록했다.[46] 기원전 168년에는 제2성전이 약탈당하고 많은 유대인이 학살당했으며, 유대교 신앙 자체가 불법화되는 탄압이 가해졌다.[64]

기원전 167년, 안티오코스 4세가 성전에 그리스 신 제우스의 제단을 세우라고 명령하자, 제사장 마타티아스와 그의 다섯 아들(요한, 시몬, 엘르아자르, 요나단, 유다)는 이에 대항하여 마카베오 혁명을 일으켰다. 유다는 특히 용맹하여 '마카비'(מכבי, 망치)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기원전 166년 마타티아스가 사망하자 유다가 지도자 자리를 계승했으며, 이는 기원전 63년까지 지속된 하스몬 왕조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형제가 이끈 유대인 반란군은 마침내 셀레우코스 군대를 몰아내고 예루살렘 성전을 탈환했다. 그들은 이방 신상으로 더럽혀진 성전을 정화하고 다시 봉헌했는데, 이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가 바로 하누카이다.

기원전 143년경 하스몬 왕조의 영토


마카베오 혁명의 성공 이후, 기원전 142년에는 제2 유대 연방이 재건되었고, 셀레우코스 왕조는 유대인의 자치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비록 셀레우코스 왕이 형식적인 종주권을 가졌으나, 하스몬 왕조는 사실상 독립 왕국으로서 기능하며 영토 확장과 인구 증가, 종교·문화·사회적 발전을 이루었다. 이 시기에는 트란스요르단, 사마리아, 갈릴리, 이두메아(에돔)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며, 정복지의 이두메아인들을 유대교로 강제 개종시키기도 했다.[65] 기원전 139년에는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유대인의 자치를 인정받기도 했다.[66]

기원전 134년, 셀레우코스의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예루살렘을 포위하여 요한 히르카누스 치하의 유대인들이 잠시 셀레우코스의 봉신이 되기도 했으나 종교적 자치는 유지되었다.[67] 기원전 129년 안티오코스 7세가 사망하면서[68] 하스몬 왕국은 시리아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그러나 왕국 내부에서는 사두개파바리새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기원전 96년부터는 알렉산더 야나이 왕과 바리새파 사이에 8년간의 내전이 벌어지기도 했다.[69] 이러한 내부 분열은 결국 왕국의 쇠퇴를 가져왔다. 기원전 63년, 하스몬 왕조의 아리스토불루스 2세와 히르카누스 2세 형제가 왕위 계승을 놓고 다투면서 각자 로마 공화국에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로마의 장군 폼페이우스가 군대를 이끌고 개입하여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12,000명의 유대인이 학살당하고 성전이 더럽혀졌으며, 유대는 로마의 속주로 편입되어 독립을 상실하게 되었다.[71]

아래는 마카베오 혁명 전후의 주요 사건들을 요약한 표이다.

연도 (기원전)주요 사건
198셀레우코스 왕 안티오코스 3세가 유대와 사마리아에서 프톨레마이오스 5세를 몰아냄.[42]
175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가 셀레우코스 왕위에 오름.[63]
168안티오코스 4세 치하에서 제2성전 약탈, 유대인 학살, 유대교 불법화.[64]
167안티오코스가 성전에 제우스 제단을 세우도록 명령. 마타티아스와 그의 아들들이 마카베오 혁명을 일으킴.
166마타티아스 사망, 유다 마카베오가 지도자 계승. 하스몬 왕조 시작.
164유대인 반란 성공, 성전 탈환 및 재봉헌 (하누카).
142제2 유대 연방 재건, 셀레우코스 왕조의 유대 자치 인정.[65]
139로마 원로원이 유대 자치 인정.[66]
134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예루살렘 포위. 요한 히르카누스 치하 유대인, 셀레우코스 봉신이 됨 (종교 자치 유지).[67]
129안티오코스 7세 사망.[68] 하스몬 왕국 완전 독립.
96알렉산더 야나이 왕과 바리새파 간의 내전 시작.[69]
85–82요르단강 동쪽 영토 통합.[70]
63하스몬 왕조 내분으로 로마 공화국 개입.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 점령, 유대 독립 상실.[71]


4. 주요 사료

하누카(Hanukkah)는 '봉헌'이라는 뜻으로, 기원전 164년 마카베오 혁명을 통해 시리아 셀레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코스 4세에 의해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이스라엘의 하느님에게 다시 봉헌한 사건에서 유래했다.[22] 하누카의 역사적 배경과 관련된 이야기는 여러 고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요 사료로는 다음 문헌들이 있다.


  • 마카베오기: 외경에 속하는 마카베오기 상과 마카베오기 하는 성전 재봉헌과 메노라 점등 사건을 비교적 상세히 기록하고 있는 핵심 사료이다.[22] 다만, 마카베오기 상에는 8일간의 재봉헌 축제는 묘사되어 있지만 기름의 기적 이야기는 나타나지 않는다.[23]
  • 초기 랍비 문학:
  • 메길라트 타아니트 (1세기): 금식이나 애도가 금지된 축제일 목록에 하누카를 포함시키며 성전 재헌납을 언급한다.[27]
  • 미쉬나 (2세기 후반): 여러 곳에서 하누카를 언급하지만, 그 규정이나 역사적 배경을 자세히 다루지는 않는다.[28] 미쉬나가 하누카를 소홀히 다룬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29][30]
  • 탈무드 (미쉬나 이후 편찬): 하누카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인 '기름의 기적'(하루치 기름이 8일간 지속된 기적)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으며,[31][32] 하누카 램프 점등에 관한 규정들을 논의한다.[33][34]
  • 메길라트 안티오쿠스 (2세기 추정): 성전 정화와 기름의 기적 이야기를 비교적 상세히 다룬다.[35][36]
  • 알 하니심 기도: 1세기 후반에 정형화된 아미다 기도에 추가되어 하누카 기간에 낭독되며, 축제의 역사적 배경을 요약하고 신의 구원에 감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37]
  • 요세푸스: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유다 마카베오가 성전 재봉헌 후 8일간의 축제를 제정했다고 기록했다.[38] 그는 이 축제를 하누카 대신 "빛의 축제"라고 불렀다.[39]
  • 신약성경: 요한복음 10장 22-23절은 예수 시대에 예루살렘에서 '봉헌절'(τὰ ἐγκαίνιαgrc)이 지켜졌음을 언급하는데,[40] 이는 하누카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41]


이들 사료는 하누카의 역사적 기원, 종교적 의미, 관련 관습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각 사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관련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마카베오기

하누카 이야기는 마카베오기 상과 마카베오기 하에 실려 있다.[179] 이 책들은 예루살렘 성전의 재봉헌과 메노라 점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 책들은 규범적인 랍비 유대교가 사용하는 타나크 (히브리어 성경)의 마소라 본문 판본의 정경에는 속하지 않는다. 마카베오기는 기원전 3세기 중반에 처음 편찬된 히브리어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인 70인역에 추가된 외경에는 포함되었다. 로마 가톨릭과 정교회는 마카베오기를 구약성경성경 정경으로 간주한다.[22][179]

성전의 8일간 재봉헌은 마카베오기 상에 묘사되어 있지만,[23][180] 기름의 기적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에 나타나지 않는다. 마카베오기 하에는 이와 성격이 비슷하고 더 오래된 이야기가 나오는데,[24][181] 이에 따르면 느헤미야가 제단 불을 다시 붙인 것은 키슬레브 25일에 일어난 기적 때문이며, 이는 유다 마카베오가 같은 날짜에 제단을 재봉헌한 이유로 제시된 것으로 보인다.[119][182] 마카베오기 상과 마카베오기 하 모두 이 축제를 8일간의 초막절 (수코트)의 지연된 기념으로 묘사하며, 마찬가지로 마카베오기 하는 이 축제의 길이를 "초막절의 방식"이라고 설명한다.[26][183][184]

4. 2. 초기 랍비 문헌

메길라트 타아니트(1세기)는 금식이나 애도가 금지된 축제일 목록을 담고 있는 초기 문헌이다. 이 문헌은 "키슬레브 25일은 여덟 날의 하누카이며, 애도해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하며 성전 재헌납 이야기를 언급한다.[27]

알 하니심 기도는 1세기 후반에 정형화된 아미다 기도에 추가되어 하누카 기간 동안 낭독된다.[37] ''알 하니심''은 하누카의 역사적 배경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대제사장 마티야후 벤 요하난 시대, 사악한 그리스 왕국이 당신의 백성 이스라엘에 맞서 당신의 토라를 잊고 당신이 바라시는 길을 버리도록 강요했을 때, 당신은 당신의 큰 자비로 그들의 고난의 때에 그들을 위해 일어섰습니다. 당신은 그들의 싸움을 싸우고, 그들의 심판을 심판하고, 그들의 복수를 취했습니다. 당신은 강한 자들을 약한 자들의 손에, 많은 자들을 소수의 손에, 불결한 자들을 순수한 자들의 손에, 악한 자들을 의로운 자들의 손에, 죄인들을 당신의 토라에 종사하는 자들의 손에 넘겨주었습니다. 당신은 당신의 세상에서 위대하고 거룩한 이름을 만들었고, 당신의 백성 이스라엘을 위해 오늘과 같은 위대한 구원과 구원을 이루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당신의 아들들이 당신의 집 안쪽 방에 와서 당신의 성전을 깨끗하게 하고 당신의 성소를 정화하고 당신의 거룩한 뜰에 촛불을 켜고 당신의 거룩한 이름에 감사와 찬양을 드리는 하누카의 여덟 날을 정했습니다.

아람어 안티오쿠스 두루마리의 한 구절, 바빌론식 상선 부호와 아랍어 번역


메길라트 안티오쿠스는 아마도 2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35], 하누카 이야기를 비교적 상세히 다루고 있다. 이 문서는 성전 정화 과정과 기름의 기적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며 끝맺는다.

:...이후, 이스라엘의 아들들이 성전에 올라가서 성전 문을 재건하고 시체와 오염으로부터 성전을 정화했다. 그리고 그들은 등불을 켜기 위해 순수한 올리브 오일을 찾았지만, 사무엘 예언자 시대부터 대제사장의 도장으로 봉인된 한 그릇 외에는 아무것도 찾을 수 없었고 그것이 순수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 안에는 [등불을 켤 수 있는] [기름]이 하루 동안 충분했지만, 그곳에 이름이 머무는 하늘의 하나님은 그 안에 그의 축복을 두셨고 그들은 그것으로 여덟 날 동안 켤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하쉬모나이의 아들들은 이 언약을 맺고 그들과 이스라엘의 아들들 모두 스스로 엄숙한 맹세를 하여 이스라엘의 아들들 사이에 공표하여, [그들이] 율법[책]에 기록된 축제의 날처럼 이 기쁨과 영광의 여덟 날을 지키고, 그들 안에서 그들의 하나님이 하늘로부터 그들을 구원하셨다는 것을 그들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켜라. 그 안에서는 애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단식을 규정하지 않으며, 수행해야 할 서약이 있는 사람은 그것을 수행하게 하라.[36]

미쉬나(2세기 후반)는 여러 곳에서 하누카를 언급하지만,[28][186] 그 규정들을 자세히 설명하거나 역사적 배경을 깊이 다루지는 않는다. 미쉬나가 하누카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를 생략한 이유에 대해, 랍비 니심 가온은 당시 하누카에 대한 정보가 매우 널리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9][187] 반면, 현대 학자 레우벤 마르골리에스는 다른 해석을 제시한다. 그는 미쉬나가 바르 코흐바의 반란 이후 로마 제국의 감시 하에 편집되었기 때문에, 편집자들이 로마 당국을 자극할 것을 우려하여 외세(그리스)에 대한 또 다른 민족적 저항과 승리를 기념하는 축제에 대한 명시적인 논의를 포함하기를 꺼렸을 것이라고 주장했다.[30][188]

하누카의 가장 유명한 이야기인 기름의 기적, 즉 하루치 기름이 기적적으로 여덟 날 동안 지속되었다는 이야기는 탈무드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는 마카베오서에 기록된 실제 사건들로부터 약 600년 후에 편찬된 문헌이다.[31][189] 탈무드에 따르면, 안티오코스 4세의 군대를 성전에서 몰아낸 후, 마카베오 가문 사람들은 성전 의식에 사용할 올리브 기름 대부분이 더럽혀진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대제사장의 봉인이 온전한 기름 항아리 하나만을 찾아냈는데, 그 안에는 메노라를 하루 동안 밝힐 수 있는 양의 기름만 들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 기름을 사용했고, 새 기름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인 여덟 날 동안 기적적으로 불이 꺼지지 않고 타올랐다.[32][190]

탈무드는 하누카 램프를 켜는 방법에 대해 세 가지 선택지를 제시한다:[33][191]

# 법률에 따르면, 각 가정마다 밤마다 하나의 램프만을 요구한다.

# 더 좋은 관행은 각 가정 구성원마다 매일 밤 하나의 램프를 켜는 것이다.

# 가장 선호되는 관행은 매일 밤 램프의 수를 다르게 하는 것이다.

유대교 율법은 힐렐 학파의 견해를 따라 매일 촛불을 하나씩 늘려가는 방식을 채택했다.[12] 위험한 상황을 제외하고, 램프는 문 바깥, 메주자 맞은편 또는 거리와 가장 가까운 창문에 놓여야 했다. 라시는 ''샤바트 21b''에 대한 주석에서 그 목적은 기적을 공표하는 것이라고 말한다.[192] 하누카 램프에 대한 축복은 토라 숭례편 ''수카'' 46a쪽에서 논의된다.[34]

4. 3. 요세푸스의 기록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 XII에서, 유다 마카베오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에 의해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기원전 164년에 되찾아 다시 봉헌한 후,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8일간의 화려한 축제를 열도록 명령했다고 기록했다.[38][193] 요세푸스는 이 축제를 '하누카'라고 부르지 않고 "빛의 축제"라고 칭했는데, 현대 히브리어에서 하누카를 '빛의 축제'(חַג הַאוּרִים|학 하우림heb)라고 부르는 것은 그의 기록에 근거한다.[21]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에서 축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했다.

:이제 유다는 여덟 날 동안 성전 제물을 복원하는 축제를 지냈고, 그 어떤 종류의 즐거움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매우 풍성하고 훌륭한 제물로 그들을 연회에 초대했고, 하느님을 기리고 찬송가와 시편으로 그들을 기쁘게 했다. 아니, 그들은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관습이 부활하여, 예상치 못하게 예배의 자유를 되찾았을 때 매우 기뻐했고, 그들은 성전 예배의 복원을 기념하여 여덟 날 동안 축제를 지켜야 한다는 법을 후손들에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 때부터 지금까지 우리는 이 축제를 지키며, 그것을 빛의 축제라고 부른다. 나는 이 자유가 우리의 기대를 넘어 우리에게 나타났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이 축제에 붙여졌다고 생각한다. 유다는 또한 도시 주변의 벽을 재건하고 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높은 탑을 세우고 그 안에 경비병을 배치했다. 그는 또한 도시 벳수르를 요새화하여 적들로부터 닥칠 수 있는 모든 고난에 대비한 요새로 삼았다.[39]

5. 의례

하누카는 8일 동안 매일 수행되는 일련의 의식으로 기념되며, 일부는 가족 중심적이고 일부는 공동체적이다. 매일의 기도 의식과 식사 후 축복에 특별한 내용이 추가된다.

가장 중심적인 의례는 매일 밤 하누키아 또는 메노라라고 불리는 특별한 촛대에 불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기름의 기적을 기념하기 위해 라트케(감자 팬케이크)나 수프가니요트(잼 도넛)와 같은 기름에 튀긴 음식을 먹는 전통이 있다. 아이들은 드레이들이라는 팽이 놀이를 즐기고, 하누카 겔트(하누카 용돈)나 선물을 받기도 한다.

하누카는 안식일과 같은 완전한 휴일이 아니므로, ''술한 아루흐''에 명시된 안식일에 금지된 활동을 삼갈 의무는 없다. 사람들은 평소처럼 출근할 수 있지만, 해 질 녘 불을 켜기 위해 일찍 퇴근하는 경우도 있다. 학교를 닫아야 할 종교적 이유는 없지만, 이스라엘에서는 하누카 둘째 날부터 하누카 주간 동안 학교가 쉰다. 하누카 기간 동안에는 단식하거나 장례 때 부르는 애가를 부르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79]

5. 1. 하누키아 점등

메노라 앞에서 소년


어둠 속의 하누카 불빛


하누카 축제는 8일 동안 매일 밤 촛불이나 기름을 이용한 불을 밝히는 방식으로 기념된다. 이는 미츠바(유대교의 계명)를 아름답게 실천하는 행위([https://bethelbalto.shulcloud.com/blog/hiddur-mitzvah-torah-breastplate-choshen#:~:text=Hiddur%20Mitzvah%20is%20the%20Jewish,textures%2C%20colors%2C%20and%20artistry. 미츠바 히두르])로 여겨지며, 매일 밤 켜는 불의 개수를 하나씩 늘려나간다.[83] 이때 '샤마쉬'(שמש)라고 불리는 여분의 불을 함께 켜는데, 이는 '시종' 또는 '성직자'를 의미한다.[84] 샤마쉬는 보통 다른 불꽃들보다 높거나 낮은 위치, 혹은 옆에 따로 두어 구별한다.[79]

아슈케나짐(독일 및 동유럽 유대인) 공동체에서는 집안의 모든 남성 구성원(많은 가정에서는 여성 포함)이 각자 완전한 세트의 불을 매일 밤 켜는 경향이 있다.[85][86] 반면, 세파르딤(스페인 및 포르투갈계 유대인) 공동체에서는 온 가족이 하나의 불 세트만을 켜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다.[87]

샤마쉬를 두는 이유는 탈무드의 규정을 따르기 위함인데, 하누카 불빛은 하누카의 기적을 알리고 묵상하는 목적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이다.[88] 이는 조명이나 점화 등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안식일 촛불과는 다르다. 따라서 하누카 기간 동안 추가적인 조명이 필요할 경우, 금지된 하누카 불빛 대신 샤마쉬 촛불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아슈케나짐은 샤마쉬 촛불을 먼저 켠 뒤, 이 불을 이용해 나머지 하누카 불빛들을 점화한다.[89] 이런 방식으로 하누카 기간 동안 켜지는 불의 총 개수는 44개(샤마쉬 제외 시 36개)가 된다. 첫날에는 샤마쉬를 포함해 두 개의 불을 켜고, 둘째 날에는 세 개, 마지막 날에는 아홉 개의 불을 모두 켠다. 세파르딤의 관습은 샤마쉬를 먼저 켜서 다른 불을 붙이지 않고, 다른 촛불이나 성냥으로 모든 촛불을 켠 뒤 샤마쉬를 마지막으로 켠다. 일부 하시디즘 유대인들도 이러한 세파르딤의 관습을 따른다.[90]

하누카 불빛은 촛불이나 기름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89] 기름 램프의 경우 전통적으로 올리브 오일을 사용한다. 전기 조명은 화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병실이나 노약자를 위해 허용되기도 하지만, 축복 기도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백열등(예: 백열 손전등)에만 허용되며, 플러그인 방식의 메노라나 램프에는 축복을 외울 수 없다는 견해가 있다. 대부분의 유대인 가정에는 '하누카 메노라'(전통적 명칭, 히브리어로 '램프'를 의미) 또는 '하누키아'(현대 이스라엘 용어)라고 불리는 특별한 촛대가 있다. 기름 램프 형태의 메노라 역시 8개의 심지에 불을 붙이고 추가로 샤마쉬 불을 켠다.[91]

미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하바드 루바비치 운동의 지도자였던 랍비 메나헴 멘델 슈네르손이 하누카의 공공 인식과 준수를 장려하고 공공 메노라 점등을 추진하면서 하누카가 공공 영역에서 더욱 주목받는 축제가 되었다.[92][93][94][95]

하누카 불빛을 켜는 주된 이유는 "집 안을 밝히기 위함"이 아니라 "집 밖을 밝히기 위함"이다. 즉, 지나가는 사람들이 불빛을 보고 하누카의 기적(하루치 기름이 8일 동안 탔다는 기적)을 떠올리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하누카 램프는 눈에 잘 띄는 창문이나 거리를 향한 문 근처에 설치한다. 아슈케나지 유대인 중 일부는 각 가족 구성원마다 별도의 메노라를 두는 관습이 있지만(관습은 다양함), 대부분의 세파르디 유대인은 온 가족을 위해 하나의 메노라만 켠다. 과거 반유대주의의 위협이 있을 때에는 램프를 공공의 시야에서 숨겨야 했는데, 조로아스터교가 지배하던 이란[119]이나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유럽 일부 지역이 그러한 경우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시디즘 그룹은 램프를 반드시 공공에 노출시키지 않고 집 안쪽 문 근처에 두는데, 이는 메주자의 반대편에 램프를 놓아 문을 통과하는 사람이 미츠보트(계명)의 신성함에 둘러싸이도록 하기 위함이다.[96]

일반적으로 유대 율법에서 여성은 시간에 구애받는 긍정적인 계명(time-bound positive commandments)에서 면제되지만, 탈무드는 여성이 "그들도 기적에 관여했기 때문에" 하누카 촛불을 켜는 미츠바에 참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97][98]

북미와 이스라엘의 일부 유대인들은 하누카의 "기름의 기적"과 관련하여 환경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에너지 절약과 북미 에너지 독립에 대한 성찰을 강조하기도 한다. 환경과 유대교 생활 연합(Coalition on the Environment and Jewish Life)의 재생 에너지 캠페인이 이러한 노력의 한 예이다.[99][100][101]

크라쿠프의 카지미에시 가의 하누키야

5. 2. 촛불 점등 시간과 축복

하누카 등불은 보통 어두워진 후 최소 30분 동안 타야 한다.[102] 많은 이들이 해 질 녘에 불을 켜며, 이때는 어둠이 내린 후 30분까지 탈 수 있도록 충분한 기름이나 왁스를 준비해야 한다. 대부분의 하시디즘 유대교도를 포함한 많은 공동체는 해가 진 직후에 불을 켠다.[103] 많은 하시디즘 랍비들은 기적을 공표하는 의무를 다하기 위해 훨씬 늦게 불을 켜기도 한다.[104]

시중에서 판매되는 저렴한 작은 하누카용 양초는 약 30분 동안 타므로, 해가 진 후에 켜야 한다.[102] 하지만 금요일 밤에는 안식일이 시작되기 전에 불을 켜야 하므로[102], 평소보다 더 큰 양초를 사용하여 안식일 촛불을 켤 때까지 불이 유지되도록 한다.[102] 하누카 메노라를 먼저 켠 후 안식일 촛불을 켠다. 안식일이 끝난 후에는 하브달라 의식 전이나 후에 하누카 등불을 켠다.[105]

만약 해 질 녘이나 해가 진 후에 불을 켜지 못했다면, 거리에 사람들이 있는 동안에는 나중에라도 불을 켤 수 있다.[102] 그 이후 시간에 켜야 한다면, 집 안에 깨어 있는 다른 사람이 있을 경우 축복문을 외우고 불을 켠다.[106]

일반적으로 8일간의 축제 기간 동안 촛불을 켤 때 두 가지 축복문(히브리어: בְּרָכוֹת, 브라코트; 단수: בְּרָכָה, 브라하)을 외운다. 첫날 밤에는 셰헤헤야누 축복을 추가하여 총 세 가지 축복을 외운다.[107]

첫 번째 축복은 촛불을 켜기 전에 외우며, 대부분 두 번째 축복도 미리 외우지만, 일부는 촛불을 켠 후에 외우는 관습이 있다.[108]

'''첫 번째 축복'''

  • בָּרוּךְ אַתָּה ה', אֱ-לֹהֵינוּ מֶלֶךְ הָעוֹלָם, אֲשֶׁר קִדְּשָׁנוּ בְּמִצְוֹתָיו, וְצִוָּנוּ לְהַדְלִיק נֵר חֲנֻכָּה.heb [109]
  • 음역:
  • 번역: "주 우리 하느님, 세상의 왕이시여, 당신을 찬양하나이다. 당신은 계명으로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고, 하누카 등불을 켜도록 명령하셨나이다."


'''두 번째 축복'''

  • בָּרוּךְ אַתָּה ה' אֱ-לֹהֵינוּ מֶלֶךְ הָעוֹלָם, שֶׁעָשָׂה נִסִּים לַאֲבוֹתֵֽינוּ בַּיָּמִים הָהֵם בַּזְּמַן הַזֶּה.heb [109]
  • 음역:
  • 번역: "주 우리 하느님, 세상의 왕이시여, 당신을 찬양하나이다. 당신은 그 시대, 이 때에 우리 조상들에게 기적을 행하셨나이다."


불을 켠 후에는 ''하네롯 할랄루''(히브리어: הַנֵּרוֹת הַלָּלוּ) 찬송가를 낭송한다.[110]

탈무드에 따르면 여성도 "그들도 기적에 관여했기 때문에" 하누카 촛불을 켜는 미츠바에 참여해야 한다.[97][98]

5. 3. 기타 의례

1931년 12월 독일 킬에서 나치 건물 맞은편의 하누카 메노라


2019년 12월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문에서 열린 하누카 축제


2020년 유럽 위원회 본부인 베를레몽 빌딩 옆, 브뤼셀에서 열린 공공 하누키아 점등 행사


바르샤바 세임에서 기념하는 하누카


하누카는 8일 동안 매일 다양한 의식을 통해 기념하며, 이 의식들은 가족 중심적이거나 공동체적인 성격을 띤다. 매일의 기도 의식에는 특별한 내용이 추가되고, 식사 후 축복에도 내용이 더해진다.

하누카는 안식일과 같은 완전한 휴일이 아니므로, ''술한 아루흐''에 명시된 안식일에 금지된 활동을 삼갈 의무는 없다. 따라서 사람들은 평소처럼 출근할 수 있지만, 해 질 녘에 메노라 불을 켜기 위해 일찍 퇴근하기도 한다. 종교적인 이유로 학교를 닫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스라엘에서는 하누카 둘째 날부터 하누카 주간 내내 학교가 쉰다. 많은 가족이 책이나 게임 같은 선물을 매일 밤 교환하며, 아이들에게는 "하누카 겔트"(하누카 돈)를 주는 경우가 많다.

=== 음식 ===

뜨거운 올리브 오일에 튀겨지는 감자 라트케.


수프가니요트/도넛 딸기 잼으로 채워짐


기름의 기적, 즉 성전 정화 의식에 사용된 메노라를 밝힐 기름이 하루치밖에 없었으나 8일 동안 타올랐다는 기적을 기념하기 위해 기름에 튀기거나 구운 음식을 먹는 것이 전통이다. 이스라엘에서는 하누카가 올리브 수확 시기와 맞물려 신선한 올리브 오일을 풍부하게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이러한 음식 전통과 관련이 있다.

대표적인 하누카 음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라트케 (Latke): 특히 아슈케나지 유대인 가정에서 즐겨 먹는 감자 팬케이크이다. 이디시어 이름이다.
  • 수프가니요트 (Sufganiyot): 잼이나 크림을 채운 도넛으로, 스페인계 유대인, 폴란드 유대인, 이스라엘 유대인 가정에서 주로 먹는다. 이스라엘에서는 라트케보다 인기가 더 많으며, 전통적인 딸기 잼 외에도 초콜릿, 바닐라 크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칼로리를 줄인 작은 크기의 "미니" 수프가니요트도 등장했다. (이디시어로는 פּאָנטשקעס, ''폰츠케스''라고도 한다.)
  • 비무엘로스 (Bimuelos): 세파르딤 유대인들이 먹는 프리터(fritter) 형태의 튀김 과자이다.
  • 치즈 및 유제품: 랍비 문헌에는 치즈나 유제품을 먹는 전통도 기록되어 있다. 이는 유딧이 아시리아 장군 홀로페르네스에게 치즈를 먹여 갈증을 느끼게 한 뒤 포도주를 마시게 하여 취하게 만들고 그의 목을 벤 영웅적인 행위를 기념하는 것이다. 이 관습은 하누카 사건에서 여성의 중요한 역할을 상기시킨다. 외경인 유딧기는 타나크(히브리 성경)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유딧의 홀로페르네스 참수는 역사적으로 예술 작품의 인기 있는 주제였다. 이탈리아 유대인과 헝가리 유대인은 전통적으로 "카솔라" 또는 "치즈 라트케"로 알려진 치즈 팬케이크를 먹는다.[133]
  • 기타 지역별 음식:
  • 로스트 거위: 과거 동유럽과 미국 유대인 사이의 전통 음식이었으나 현재는 줄어들었다.
  • 굴랍 자문: 인도 유대인이 먹는, 달콤한 시럽에 적신 튀긴 반죽 공.
  • 튀긴 닭고기, 카솔라, 프리텔레 데 리소 파르 하누카(튀긴 달콤한 쌀 팬케이크): 이탈리아 유대인의 음식.
  • 파스타 라트케: 루마니아 유대인의 음식.
  • 키베트 야티킨(호박과 불거 밀 요리), 케프테스 데 프라사(부추 미트볼): 시리아 유대인의 음식.


=== 노래와 음악 ===

라돔스크 하시딕 마오즈 추르.


아슈케나지 전통에서는 촛불을 켠 후 매일 밤 마오즈 츠루(Ma'oz Tzur, "반석의 시대" 또는 "요새의 바위여") 찬송가를 부른다. 13세기에 모르데차이라는 시인이 작곡한 이 노래는 6개의 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성한 구원, 유대교 역사 속 박해 사건들(이집트 탈출, 바빌론 유수, 푸림의 기적, 하스몬 왕조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것에 대한 감사, 그리고 로마에 대한 최종 승리를 갈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11] 익숙한 곡조는 독일 개신교 찬송가나 민요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12]

마오즈 츠루 외에도 다른 하누카 노래를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 하레디 및 스페라드 유대인들은 시편 30편, 67편, 91편 등을 낭송한다. 하누카 노래 목록에는 다음이 포함된다(별도 언급 없는 한 히브리어):

  • ''마오즈 츠루''(Ma'oz Tzur)
  • ''라트케레 라트케레''(Latke'le Latke'le, 이디시어: "작은 라트케, 작은 라트케")
  • ''하누키아 리 예쉬''(Hanukkiah Li Yesh, "나는 하누카 메노라를 가지고 있어요")
  • ''오초 칸델리카스''(Ocho Kandelikas, 유대 스페인어: "여덟 개의 작은 촛불")
  • ''카드 카탄''(Kad Katan, "작은 단지")
  • ''스비본 소브 소브 소브''(S'vivon Sov Sov Sov, "드레이델, 돌고 돌고")
  • ''하네이로트 할롤루''(Haneirot Halolu, "우리가 밝히는 이 촛불들")
  • ''미 이마렐''(Mi Yimalel, "누가 말할 수 있을까")
  • ''네르 리, 네르 리''(Ner Li, Ner Li, "나는 촛불을 가지고 있어요")


영어권 국가에서는 "드레이델, 드레이델, 드레이델"[126]과 "오 찬누카"(Oh Chanukah)[127]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팝 음악에서는 아담 샌들러가 작곡한 코믹 송인 "더 하누카 송"도 유명하다.[194]

나드보르나 하시디즘 왕조에서는 메노라에 불을 붙인 후 랍비들이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관습이 있다.[128]

페니나 모이세가 1842년에 출판한 "히브리 회중을 위한 찬송가"에 수록된 하누카 찬송가는 하누카의 미국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29][130][131]

=== 기도 및 전례 ===

아미다(하루 세 번 드리는 기도)의 "''호다아''"(감사) 축복문에는 "알 하니심"("기적에 대하여")이라는 구절이 추가된다.[116] 이 내용은 하스몬 가문의 마타티아스와 그의 아들들이 시리아인들에게 거둔 승리를 기리는 내용이다.[117][118][119] 해당 기도문의 일부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옛날 이 시절에 우리 조상들을 위해 행하신 기적과 구원, 강력한 행위와 전쟁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하스몬 가문의 마타티아스와 그의 아들들의 시대에, 불경스러운 그리스-시리아 왕국이 당신의 백성 이스라엘을 억압하려 했을 때, 당신은 풍성한 자비로 일어나 그들의 편에 서서 강자를 약자의 손에, 다수를 소수의 손에 넘기셨습니다. 당신은 세상에 위대하고 거룩한 이름을 세우셨고, 당신의 백성에게 위대한 구원을 이루셨습니다. 이에 당신의 자녀들이 당신의 성소에 들어가 성전을 정결케 하고 등불을 켜며, 이 하누카의 여덟 날을 정하여 당신의 거룩한 이름에 감사와 찬양을 드리게 되었습니다."[115]

같은 기도문은 식사 후 축복 기도에도 추가된다. 매일 아침 예배 때는 ''할렐''(찬양) 시편[120]을 낭송하고, ''타차눈'' 참회 기도는 생략한다.[117][121]

토라는 회당의 샤하리트(아침 예배) 때 매일 낭독된다. 첫날은 민수기 6장 22절(어떤 관습에 따르면 민수기 7장 1절)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날 민수기 8장 4절로 끝난다. 하누카는 8일 동안 지속되므로 최소 한 번, 때로는 두 번의 안식일(토요일)을 포함한다. 첫 번째 안식일의 주간 토라 부분은 거의 항상 미케츠이며, 요셉의 꿈과 이집트에서의 노예 생활에 대해 이야기한다. 첫 번째 안식일 하누카의 ''하프타라'' 낭독은 스가랴 2장 14절 – 스가랴 4장 7절이다. 하누카에 두 번째 안식일이 있는 경우, ''하프타라'' 낭독은 열왕기상 7장 40–50절에서 가져온다.

하누카 메노라는 회당에서도 매일 밤 축복과 함께 켜지며, 아침에는 축복 없이 켜진다.[122] 메노라는 안식일에는 켜지 않으며, 안식일 시작 전에 켜고 낮에는 전혀 켜지 않는다.

중세 시대 동안 "메길라트 안티오쿠스"는 푸림에 에스더기를 읽는 것처럼 하누카에 이탈리아 회당에서 읽혔다. 이는 여전히 예멘 유대인의 전례 일부를 구성한다.[123]

하누카의 마지막 날은 ''조트 하누카''(Zot Hanukkah) 또는 ''하누카트 하미즈베흐''(Chanukat HaMizbeach)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날 회당에서 읽는 토라 구절인 민수기 7장 84절("이것이 제단의 봉헌이었다")에서 유래했다. 카발라와 하시디 유대교 가르침에 따르면, 이날은 욤 키푸르로 시작된 속죄의 절기가 최종적으로 "봉인"되는 날로 여겨지며,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서 우러나온 회개의 시간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많은 하시디 유대인들은 서로에게 ''그마르 하티마 토바''(Gmar chatimah tovah, "좋은 일로 완전히 봉인되기를")라고 인사하는데, 이는 욤 키푸르 시즌의 전통적인 인사말이다. 하시디 및 카발라 문헌에서는 이날이 기도가 응답받기 특히 좋은 날이라고 가르친다.[124] 일부 하시디즘 학자들은 하누카가 로쉬 하샤나(신년)와 욤 키푸르(속죄일)에 이루어지는 하느님의 심판이 최종적으로 마무리되는 날이라고 가르치기도 한다. 하시디즘 지도자들은 카발라 자료를 인용하여, 하누카 마지막 날("조트 하누카")까지 하느님의 자비가 확장되어 회개하고 유리한 심판을 받을 기회가 주어진다고 설명한다. 이는 이사야 27장 9절 "이것(zot)을 통해 야곱의 죄가 용서받을 것이다"와 같은 구절에서 암시된다고 본다.[125]

여성들은 촛불이 켜진 후 최소 30분 동안(어떤 이들은 촛불이 타는 내내) 일을 하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또한 하누카 기간 동안 단식하거나 장례 때 부르는 애가를 부르는 것은 금지된다.[79]

=== 드레이들 ===

예루살렘 시장의 드레이들


드레이들


촛불을 켠 후에는 드레이들을 가지고 노는 것이 관습이다. 드레이들(히브리어: סְבִיבוֹן, ''세비본'')은 아이들이 하누카 기간 동안 가지고 노는 네 면의 팽이이다. 각 면에는 히브리어 문자가 하나씩 새겨져 있다: נ (눈, Nun), ג (기멜, Gimel), ה (헤, Hei), ש (신, Shin).

이 문자들은 전통적으로 "נס גדול היה שם" (''Nes Gadol Haya Sham'', "거기서 큰 기적이 일어났다")라는 문장의 머리글자로 해석되며, 성전에서 일어난 기름의 기적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문자들은 원래 이디시어 게임 용어의 머리글자라는 설도 있다:

  • נ (눈): נישט (nisht, 독일어: nichts - 아무것도 아님) –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 ג (기멜): גאַנץ (gants, 독일어: ganz - 전부) – 팟의 모든 칩을 가져간다.
  • ה (헤): האַלב (halb, 독일어: halb - 절반) – 팟의 절반을 가져간다.
  • ש (신): שטעלן (shtel, 독일어: einstellen - 놓다/넣다) – 자신의 칩 하나를 팟에 넣는다.


게임은 참가자들이 칩(동전 모양 초콜릿, 사탕, 견과류 등)을 나누어 갖고 일부를 중앙 '팟'에 놓은 뒤, 돌아가며 드레이들을 돌려 나온 문자에 따라 칩을 가져가거나 넣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스라엘에서 판매되는 일부 드레이들에는 ש (신) 대신 פ (페, Peh)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נס גדול היה פה" (''Nes Gadol Haya Po'', "여기서 큰 기적이 일어났다")를 의미하며, 기적이 이스라엘 땅에서 일어났음을 강조한다. 하지만 이는 비교적 최근의 변화이며, 하레디 공동체 등에서는 전통적인 ש (신) 드레이들을 선호하는데, 이는 "거기"(שם, 솀)가 성전을 의미한다고 보기 때문이다.[142][143]

=== 하누카 겔트 ===

초콜릿 겔트


하누카 겔트(이디시어로 "하누카 돈")는 하누카 기간 동안 아이들에게 주는 용돈이나 작은 선물을 의미한다. 이스라엘에서는 히브리어 번역인 דְּמֵי חֲנֻכָּה (''dmei Hanukkah'')로 알려져 있다. 보통 작은 동전이나 초콜릿 동전 형태로 주지만, 조부모나 친척이 더 큰 금액을 주기도 한다. 하누카 겔트를 주는 전통은 동유럽에서 아이들이 선생님에게 감사의 표시로 작은 돈을 전달하던 관습에서 유래했다. 어떤 관습(민하그)에서는 하누카의 다섯 번째 밤에 겔트를 주는 것을 선호하는데,[144] 이는 다섯 번째 밤은 절대로 안식일과 겹치지 않아, 안식일에 돈을 다루는 것을 금지하는 할라카(유대 율법)와 충돌하지 않기 때문이다.[145]

=== 기타 ===

예루살렘 서쪽 벽에서 열린 하누카 둘째 날


주요 유대교 명절(성경에 명시된 명절)과 달리, 하누카는 타나크(히브리 성경) 완성 약 2세기 후에 제정된 랍비 제정 명절이다. 따라서 모든 형태의 노동이 금지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누카는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며 매우 공개적으로 기념된다. 메노라 또는 하누키아를 문이나 창가에 두는 관습은 하누카의 기적을 널리 알리려는 열망을 상징한다.[155]

일부 유대교 역사가들은 랍비들이 하누카 이야기에서 군국주의적 승리보다 기름의 기적을 더 강조한 이유에 대해 다른 해석을 제시한다. 첫째, 랍비들은 하스몬 왕조가 결국 유대 땅을 로마의 지배하에 놓이게 했기 때문에 그 왕조를 과도하게 칭찬하고 싶지 않았을 수 있다. 둘째, 랍비들은 유대인들이 스스로의 힘보다는 신에게 의지하도록 가르치려 했을 수 있다. 이는 바르 코크바 반란과 같이 비극으로 끝날 수 있는 또 다른 무력 반란을 막기 위한 의도였을 수 있다.[156]

하누카는 엄밀히 종교적으로는 비교적 작은 휴일이지만, 크리스마스 시즌과 시기적으로 겹치기 때문에 북미 및 기타 지역, 특히 세속적인 유대인들 사이에서 문화적으로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1970년대 이후, 세계적인 하바드 하시디즘 운동은 많은 국가의 공공장소에서 공공 메노라 점등 행사를 열고 있다.

6. 하누카와 다른 축제와의 관계

벤구리온 이스라엘 총리(가운데)가 트루먼 대통령(왼쪽)에게 하누카 메노라를 전달하고 아바 에반 대사가 대통령 집무실에서 지켜보고 있다. 1951년.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가 1979년 워싱턴 D.C., 라파예트 공원에서 메노라 점등식에 참석


하누카는 다른 문화권의 축제와 연관되거나 비교되기도 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과 날짜가 겹치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한다. 2013년 11월 28일이 바로 그런 경우였는데, 이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추수감사절을 국경일로 선포한 이후 세 번째로 하누카와 날짜가 겹친 사례였다. 마지막으로 두 축제가 겹쳤던 해는 1899년이었다. 그레고리력히브리력의 주기 차이 때문에 이러한 중복은 가까운 미래에는 다시 일어나기 어렵다.[151] 이처럼 하누카와 추수감사절이 겹치는 드문 현상을 기념하기 위해 'Thanksgivukkah'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152][153][154]

또한, 북미 지역에서는 크리스마스 시즌과 겹치는 시기 때문에 하누카가 문화적으로 더 부각되는 경향이 있으며, 콴자와 같은 다른 소수 문화권의 겨울 축제와 함께 언급되기도 한다.

6. 1. 크리스마스와의 관계

하누카는 촛불을 켠 후 몇 분을 제외하고는 일에 대한 종교적 제한이 거의 없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유대교 명절이지만, 북미에서는 21세기 들어 과월절과 동등한 유대인 정체성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하누카의 이스라엘 및 북미 버전 모두 저항을 강조하며, 민족 해방과 종교의 자유의 결합을 이 명절의 핵심 의미로 삼고 있다.[159][7]

북미에서 하누카는 20세기 후반에 많은 유대교 개인과 가족, 특히 하누카와 겹치는 크리스마스 축제에 대한 유대교 대안을 기념하고 싶어하는 많은 수의 세속 유대인에게 점점 더 중요해졌다.[160][161] 역사학자 다이앤 애쉬턴(Diane Ashton)은 1800년대 초부터 미국으로 이민 온 유대인들이 크리스마스 대신 어린이 중심의 하누카의 위상을 높였다고 주장한다.[162] 이는 하누카와 마찬가지로 1800년대에 중요성이 커진 크리스마스의 부상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163] 이 기간 동안 막스 릴리엔탈과 아이작 마이어 와이즈와 같은 유대교 지도자(특히 개혁 유대교)는 하누카의 브랜드를 변경하려는 노력을 기울였고, 사탕과 노래를 포함하는 아이들을 위한 하누카 축제를 회당에서 만들기 시작했다.[162][164]

1900년대에 이르러서는 크리스마스와 같이 상업적인 휴일이 되기 시작하여, 하누카 선물과 장식이 상점에 나타나고, 유대 여성 잡지에는 휴일 장식, 어린이 축하 행사 및 선물 증정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162] 애쉬턴은 유대인 가족들이 주류 기독교 문화와 구별되는 유대교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렇게 했다고 말하는 반면, 하누카와 크리스마스의 유사성은 유대인 가족과 아이들이 자신을 미국인이라고 느끼게 했다.[162] 아슈케나즈 유대인들이 하누카 기간 동안 아이들에게 gelt|젤트yi 또는 돈을 주는 것이 전통이었지만, 많은 가족에서 이 전통은 유대인 아이들이 크리스마스를 기념하는 또래들처럼 선물을 받는 것을 즐길 수 있도록 다른 선물을 주는 것으로 보충되었다.[165] 아이들은 하누카에서 큰 역할을 하며, 자녀가 있는 유대인 가족이 자녀가 없는 유대인 가족보다 하누카를 기념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사회학자들은 이것이 유대인 부모가 크리스마스를 기념하는 비유대인 또래로부터 아이들이 소외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160]

최근 축하 행사에서는 크리스마스 트리에 대한 유대교 대응으로 여겨지는 하누카 부시도 등장했다. 오늘날, 하누카 부시의 존재는 대부분의 랍비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지만,[166] 일부 개혁, 재건 유대교 및 더 진보적인 보수 유대교 랍비들은 반대하지 않으며, 크리스마스 트리의 존재에도 반대하지 않는다.

가톨릭 교회에서 크리스마스 팔일 축제는 12월 25일부터 1월 1일까지 크리스마스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지정된 8일이다. 이는 하누카가 8일 동안 지속되어야 한다는 원래 텍스트의 요구에 대한 기독교적 성취로 여겨진다. "그들은 초막절의 축제에서와 같이 기쁨으로 8일을 지켰고, 얼마 전에 초막절의 축제를 지냈음을 기억했다"(2 마카베오 10:6). 대림절은 빛의 계절인 크리스마스에 앞서 어둠의 계절로 여겨지므로, 이러한 이유로 크리스마스는 "새로운 하누카" 또는 그리스도의 탄생을 통한 하누카의 성취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부활절 팔일 축제가 출애굽기의 유월절을 기념하는 엄숙한 8일인 것과 유사하다.

6. 2. 콴자와의 관계

1940년경 어린이들이 하누카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줄을 당기고 있다


2022년 12월, 에릭 애덤스 뉴욕 시장, 알 샤프턴 목사, 콘래드 틸라드 목사, 사업가 로버트 F. 스미스, 슈무레이 보테아크 랍비, 그리고 엘리샤 비젤은 카네기 홀에서 하누카와 콴자를 함께 기념하는 행사를 열었다. 이 행사는 인종차별과 반유대주의에 맞서 연대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167][168][169][170]

7. 현대적 의의

1938년 요세프 클라우즈너는 하임 하라리의 저서 ''세페르 하누카''에서 하누카의 변화된 의미를 다음과 같이 술회했다.



"하누카는 고대의 명절이지만 검소한 명절입니다. 하스몬 왕가의 명절은 새로운 명절이지만 영적인 고양과 민족적 기쁨으로 가득합니다. 40년 전의 하누카는 무엇이었을까요? '알 하니심'과 할렐; 회당에서의 짧은 낭독; 작고 가느다란 왁스 양초나 기름 램프 켜기; 집에서는 레비봇[라트케-감자 팬케이크], 나이든 아이들을 위한 카드, 그리고 세비보님[드레이델-팽이]을 어린 아이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하누카는 무엇일까요? 하스몬 왕가의 명절. 구원의 명절. 디아스포라의 모든 나라에서 춤과 연설, 멜로디와 노래, 소풍과 퍼레이드로 기념되는 위대한 민족 명절로, 마치 고대 명절에 새로운 영혼이 불어넣어지고, 또 다른 정신이 그 안에서 새로워진 듯합니다.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 그 작고 검소한 양초가 디아스포라 시대에 꺼졌더라면, 우리 조부모가 회당과 집에서 하누카의 전통을 지키지 않았더라면... 하스몬 왕가의 명절은 결코 만들어질 수 없었을 것입니다. 바꿀 것도, 새롭게 할 것도 없었을 것입니다. 우리 시대의 새로운 영혼은 스스로를 감쌀 몸을 찾지 못했을 것입니다."



19세기 말 시온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전통적으로 소박했던 하누카는 유대인의 민족적 투쟁과 국가 재건의 열망을 상징하는 명절로 새롭게 부각되었다. 이는 종교적 의미를 넘어 민족주의적 성격을 강조하며, 다양한 유대인 집단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했고, 퍼레이드와 같은 대중적인 기념 방식의 확산을 가져왔다. 현대 이스라엘에서도 하누카는 민족적, 군사적 측면이 강조되는 중요한 명절로 기념되고 있다.[157][158]

7. 1. 시온주의와의 관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대인 민족주의와 시온주의 운동의 등장은 유대교 명절을 기념하고 해석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 하누카와 투 비쉬밧 같은 명절들이 이전보다 더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시온주의는 성서 시대와 제2성전 시대의 유대교 기억과 상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하누카는 이러한 변화의 대표적인 예가 되었다. 역사적으로 비교적 작은 명절이었던 하누카는 1880년대 시온주의 운동의 부상과 함께 중심적인 의미를 띠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디아스포라에서 하누카는 주로 신의 능력과 유대교 원리를 기리는 소박한 행사였으나, 시온주의의 영향 아래 외세의 압제에 맞선 유대 민족의 투쟁과 힘, 그리고 국가 재건의 열망을 상징하는 국경일로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세속 시온주의자들은 하누카 이야기에서 종교적 기적보다는 하스몬 왕가의 영웅적 투쟁을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의 영웅적인 시대로 돌아가고자 하는 시온주의의 열망과, 디아스포라 유대인과 대비되는 '새로운 유대인'을 만들고자 하는 열망을 반영했다. 교육자 요세프 클라우즈너는 1938년 글에서 과거의 소박했던 하누카와 당시 민족적 자긍심과 기쁨으로 가득 찬 하누카 축제를 비교하며, "그 작고 검소한 양초가 디아스포라 시대에 꺼졌더라면... 하스몬 왕가의 명절은 결코 만들어질 수 없었을 것"이라며 전통의 계승이 새로운 의미 부여의 바탕이 되었음을 강조했다.

하누카는 종교적 시온주의자와 세속적 시온주의자 모두가 민족주의적 목표 아래 하나가 될 수 있는 공통 기반을 제공했다. 초기 종교 시온주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랍비 사무엘 모힐레버는 1881년, 러시아의 초기 시온주의 조직인 호베베이 시온의 공식 명절로 하누카를 지정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누카를 대중적으로 기념하는 문화는 20세기 초에 더욱 확산되어 퍼레이드와 공개 행사가 일반화되었다. 특히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이슈브)의 학교들은 마카베오 영웅들의 무덤을 방문하는 전통을 만들고 횃불 행진과 같은 행사를 조직하며 이러한 변화를 이끌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텔아비브와 같은 도시에서 대규모 하누카 행사가 열렸으며, 이는 유대 민족주의 서사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시온주의 운동과 이후 이스라엘 국가의 건립 과정을 거치면서 하누카의 군사적이고 민족적인 측면은 더욱 강조되었다.[157][158]

참조

[1] 웹사이트 How Do You Spell Hanukkah? https://jewishweek.t[...] 2011-12-21
[2] 웹사이트 What Is Hanukkah? https://www.chabad.o[...] Chabad-Lubavitch Media Center
[3] wikisource Bible_(King_James)/2_Maccabees#Chapter_10
[4] 웹사이트 01. The Mitzva to Light Ĥanuka Candles – Peninei Halakha https://ph.yhb.org.i[...] 2023-12-06
[5] 웹사이트 How to Light the Menorah https://www.chabad.o[...] 2018-10-06
[6] 웹사이트 JTA NEWS http://joi.org/blogl[...]
[7] 뉴스 The Christmas effect: How Hanukkah became a big holiday https://www.washingt[...] 2011-12-22
[8] 웹사이트 Hanukkah http://www.bbc.co.uk[...] 2014-12-17
[9] 서적 Being Jewish: The Spiritual and Cultural Practice of Judaism Today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10] 웹사이트 Origin of the Name Chanukah https://torah.org/in[...] Torah.org 2018-10-06
[11] 웹사이트 Hebrew text http://hebrewbooks.o[...] 2018-10-06
[12] 웹사이트 The Lights of Chanukah: Laws and Customs http://www.ou.org/ho[...] Orthodox Union 2018-10-06
[13] 웹사이트 Yes, Virginia, Hanukkah Has a Correct Spelling https://forward.com/[...] 2011-12-30
[14] 간행물 Is There a Right Way to Spell Hanukkah? Chanukah? Hannukah? https://time.com/363[...]
[15]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NUKKAH https://www.merriam-[...] 2023-12-05
[16] 뉴스 Hanukah or Chanukah? Have the chutzpah to embrace Yiddish https://www.theguard[...] 2012-12-07
[17] 문서
[18] 웹사이트 Hebrew Alphabet https://hebrewsyntax[...] 2023-11-25
[19] 웹사이트 Which Is Correct: Hanukkah or Chanukah?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25
[20] 웹사이트 How Do You Spell Hanukkah? https://www.myjewish[...] 2023-11-25
[21] 웹사이트 https://hebrew-acade[...] 2022-11-24
[22] 웹사이트 The Old Testament in the Orthodox Church http://www.orthodoxc[...] 2018-10-06
[23] bibleverse
[24] bibleverse
[25] bibleverse
[26] bibleverse
[27] 웹사이트 Megillat Taanit, Kislev 7 https://www.sefaria.[...]
[28] 문서
[29] 문서
[30] 웹사이트 Hebrew text https://www.hebrewbo[...] 2018-10-06
[31] 뉴스 The Truth(s) About Hanukkah http://www.huffingto[...] 2018-10-06
[32] 웹사이트 Shabbat 21b https://www.sefaria.[...]
[33] 웹사이트 Babylonian Talmud: Shabbath 21b https://www.sefaria.[...] Sefaria 2019-05-05
[34] 웹사이트 Sukkah 46a:8 https://www.sefaria.[...] 2018-10-06
[35] 웹사이트 The Scroll of Antiochus http://www.biu.ac.il[...] 2018-10-06
[36] 서적 Sefer Ha-Tiklāl (Tiklāl Qadmonim) Yosef Ḥubara
[37] 문서 Babylonian Talmud, Berachot 28a
[38] 서적 Jewish Antiquities https://www.loebclas[...] 2018-10-06
[39] 웹사이트 Jewish Antiquities https://www.perseus.[...]
[40] 문서 This is the first reference to the Feast of Dedication by this name (ta egkainia, ta enkainia [a typical "festive plural"]) in Jewish literature (Hengel 1999: 317).
[41] 서적 Aramaic English New Testament, 3rd Ed. Netzari Press LLV
[42] 서적 The History of the Second Temple Period Bloomsbury Publishing
[43] 웹사이트 T. Livivs https://www.thelatin[...] 2018-10-06
[44] 서적 Judaism and Hellenism. 1 SCM Press 1974
[45] 웹사이트 'The Wars of the Jews'' i. 31' https://www.perseus.[...] 2018-10-06
[46] 웹사이트 The Works of Flavius Josephus https://books.google[...] 1825
[47] 웹사이트 'The Wars of the Jews'' i. 34' https://www.perseus.[...] 2018-10-06
[48] 웹사이트 1 Maccabees http://www.earlyjewi[...] 2018-10-06
[49] 웹사이트 1 Macc. iv. 59 http://www.hope.edu/[...]
[50] 웹사이트 All's Well – When it Ends https://www.chabad.o[...] 2018-10-06
[51] 웹사이트 Hilchot Megilot v Hanukkah 3:2–3 https://www.sefaria.[...]
[52] 서적 Jewish Literacy: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Know about the Jewish Religion, Its People, and Its History https://archive.org/[...] W. Morrow
[53] 서적 Religions of the Ancient World: A Guide Harva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The Jewish Way: Living the Holidays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55] 서적 Judaism and the Gentile Faiths: Comparative Studies in Religion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56] 서적 A Survey of the New Testament Zondervan
[57] 서적 Judaic Religion in the Second Temple Period: Belief and Practice from the Exile to Yavneh https://archive.org/[...] Routledge
[58]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archive.org/[...] Wm.B. Eerdmans Publishing
[59] 서적 A Survey of Israel's History Zondervan
[60] 서적 Hellenistic Civilization and the Jews Baker Academic
[61]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Volume 8 Granite Hill Publishers
[62] 웹사이트 Why Eight Days? https://chicagotorah[...] 2018-10-06
[63] 간행물 "L'ascesa al trono di Antioco IV Epifane di Siria"
[64] 서적 Daniel: A Commentary Presbyterian Publish Corp.
[65] 웹사이트 Josephus, ''Ant.'' xiii, 9:1. http://www.ccel.org/[...]
[66] 문서 "{{Bibleverse|1|Maccabees|8:17–20|NRSV}}"
[67] 웹사이트 Antiochus VII Sidetes http://virtualreligi[...] 2018-10-06
[68] 웹사이트 Antiochus VII., Sidetes http://www.jewishenc[...] 2018-10-06
[69] 웹사이트 Alexander Jannæus (Jonathan) http://www.jewishenc[...] 2018-10-06
[70] 웹사이트 Alexander Jannæus (Jonathan) http://www.jewishenc[...] 2018-10-06
[71] 문서 Antiquities of the Jews https://www.perseus.[...]
[72] 웹사이트 Happy Hanukkah https://www.khouse.o[...] 2018-10-06
[73] 서적 God's Intertestamental Silence: Then Came Jesus Christ https://books.google[...] Saundra L Washington
[74] 웹사이트 On Hanukkah, Women As Role Models https://www.myjewish[...] 2018-10-06
[75] 웹사이트 December: Judith and the Hanukkah Story https://jwa.org/disc[...] 2018-10-06
[76] 서적 Christmas and Hanukkah Infobase Publishing
[77] 웹사이트 Chanukah with Torah Tidbits https://www.ou.org/h[...] 2018-10-06
[78] 문서 Shulkhan Arukh Orach Chayim
[79] 웹사이트 The Laws of Chanukah https://ohr.edu/1304 2018-10-06
[80] 뉴스 Education Ministry Changes Start of School Year – Again https://www.haaretz.[...] 2018-10-06
[81] 웹사이트 לוח החופשות והימים המיוחדים לשנת תשע"ח https://web.archive.[...] 2018-10-06
[82] 웹사이트 Chanukah: Performances and Customs https://www.kashrut.[...] 2018-10-06
[83] 문서 Shulkhan Arukh Orach Chayim
[84] 웹사이트 How to Light the Menorah – Light Up Your Environment! https://www.chabad.o[...] 2018-10-06
[85] 웹사이트 Halacha L'Maaseh on Chanuka https://www.ou.org/h[...] Orthodox Union 2018-10-06
[86] 웹사이트 Why Don't Women Work While the Chanukah Candles Are Burning? https://www.chabad.o[...] Chabad-Lubavitch Media Center 2018-10-06
[87] 웹사이트 Hakirah Volume 25, Fall 2018 https://web.archive.[...] 2018-10-06
[88] 문서 Tractate Shabbat
[89] 문서 Shulkhan Arukh Orach Chayim
[90] 웹사이트 The following is a response from Hakham Ya'aqob Menashe https://www.midrash.[...] 2018-10-06
[91] 웹사이트 OU's Chanukah Guide https://ouservices.o[...] Orthodox Union 2018-10-06
[92] 서적 A Kosher Christmas: 'Tis the Season to be Jewish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93] 웹사이트 How Hanukkah Came to the White House https://forward.com/[...] Forward 2018-10-06
[94] 서적 Rebbe: The Life and Teachings of Menachem M. Schneerson, the Most Influential Rabbi in Modern History HarperCollins
[95] 뉴스 40 Years Later: How the Chanukah Menorah Made Its Way to the Public Sphere https://www.chabad.o[...] 2018-10-06
[96] 웹사이트 Shabbat 22a https://www.sefaria.[...]
[97] 문서 Babylonian Talmud: Shabbat
[98] 웹사이트 The Obligation of Women Regarding Chanukah Candles http://halachayomit.[...] 2018-10-06
[99] 웹사이트 The Eight Days of Hanukkah: Eight Actions to Heal the Earth through the Green Menorah Covenant https://web.archive.[...] The Shalom Center 2018-10-06
[100] 뉴스 'Green Hanukkia' Campaign Sparks Ire https://www.jpost.co[...] 2018-10-06
[101] 웹사이트 CFL Hannukah Installation Ceremony https://archive.toda[...] Coalition on Environment and Jewish Life (COEJL) 2018-10-06
[102] 웹사이트 How to Celebrate Chanukah https://www.chabad.o[...] 2018-10-06
[103] 문서 Shulchan Aruch OC
[104] 웹사이트 Some Light Chanukah Questions http://rabbikaganoff[...] 2018-10-06
[105] 웹사이트 CTI Laws and Customs of Chanukah https://web.archive.[...] 2015-11-05
[106] 웹사이트 What to do on Chanukah https://njop.org/res[...] 2018-10-06
[107] 문서 "[[Shulkhan Arukh]] [[Orach Chayim]] 676:1–2"
[108] 웹사이트 The Lights of Chanukah: Laws and Customs https://www.ou.org/h[...] Orthodox Union 2018-10-06
[109] 서적 Celebrate!: The Complete Jewish Holidays Handbook https://books.google[...] Jason Aronson, Incorporated 2018-10-06
[110] 문서 "[[Shulkhan Arukh]] [[Orach Chayim]] 676:4"
[111] 웹사이트 Maoz Tzur: Translation & Explanation – Jewish Holidays https://www.ou.org/h[...] Orthodox Union 2018-10-06
[112] 웹사이트 Maoz Tzur: Rock of Ages https://www.myjewish[...] 2018-10-06
[113] 뉴스 Hanukkah ushers in 'tzedakah,' a religious obligation to do what is right and just https://www.mercuryn[...] 2018-10-06
[114] 웹사이트 The Fifth Night Project: Teaching Giving During Hanukkah https://www.kveller.[...] 2018-10-06
[115] 간행물 Chanukkah, or the Feast of Dedication https://books.google[...]
[116] 문서 "[[Shulkhan Arukh]] [[Orach Chayim]] 682:1"
[117] 웹사이트 Chanukah with Torah Tidbits https://www.ou.org/h[...] Orthodox Union 2018-10-06
[118] 웹사이트 Al Hanisim: Concerning the Miracles https://www.myjewish[...] 2018-10-06
[119] 문서 Ḥanukkah http://www.jewishenc[...]
[120] 문서 "[[Psalm|113–118|HE]]"
[121] 웹사이트 133. Days on Which Tachanun is Omitted https://www.ou.org/t[...] Orthodox Union 2018-10-06
[122] 웹사이트 Chanuka – Lighting in Shul https://www.torahmus[...] 2018-10-06
[123] 웹사이트 The Scroll Of The Hasmoneans http://customerserva[...]
[124] 웹사이트 Hanukkah's Last Light http://www.aish.com/[...] 2018-10-06
[125] 웹사이트 Final Judgment on Chanukah https://www.aish.com[...] Aish HaTorah 2021-12-01
[126] 웹사이트 Chanukah – Dreidel, Dreidel, Dreidel https://bussongs.com[...] 2018-10-06
[127] 웹사이트 Oh Chanukah (Jewish Traditional) sheet music for Trombone https://www.8notes.c[...] 2018-10-06
[128] 웹사이트 Belz resumed practice of playing violin at candle lighting http://www.bhol.co.i[...] 2018-10-06
[129] 서적 Hanukkah in America: A History https://books.google[...] NYU Press
[130] 뉴스 Celebrating Hanukkah http://www.postandco[...] 2018-10-06
[131] 간행물 Quick to the Party: The Americanization of Hanukkah and Southern Jewry
[132] 웹사이트 Chanukah is upon us http://www.pjvoice.c[...] The Philadelphia Jewish Voice 2018-10-06
[133] 뉴스 Hanukkah Q&A https://www.nytimes.[...] 2018-10-06
[134] 웹사이트 Why Israel is a latke-free zone https://www.thejc.co[...] 2009-12-17
[135] 서적 The Book of New Israeli Food: A Culinary Journey Schocken
[136] 뉴스 Love Me Dough https://www.jpost.co[...] 2018-10-06
[137] 웹사이트 Why All the Oil and Cheese (and Potatoes)? https://www.chabad.o[...] 2018-10-06
[138] 웹사이트 The Story of Yehudit: The Woman Who Saved the Day https://www.chabad.o[...] 2018-10-06
[139] 문서 Mishna Berurah 670:2:10
[140] 기타 Goose: A Hanukkah Tradition https://www.nytimes.[...] "[[Jason Aronson]]" 2018-10-06
[141] 웹사이트 8 Foods You Didn't Know Jews Eat During Hanukkah https://forward.com/[...] 2016-12-08
[142] 웹사이트 The Surprising Origin of the Dreidel https://www.myjewish[...] 2018-10-06
[143] 뉴스 Gyration Nation: The Weird Ancient History of the Dreidel https://www.haaretz.[...] 2014-12-14
[144] 웹사이트 Why Do We Give Hanukkah Gelt and Hanukkah Presents? http://www.schechter[...] The Schecter Institutes 2014-12-19
[145] PDF Chanukah Gelt and Gifts http://download.yuto[...] 2005-12-11
[146] 웹사이트 Israeli-American Hanukkah Stamp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996-10-22
[147] 웹사이트 Stamp Announcement 09-47: Hanukkah https://about.usps.c[...] 2018-10-06
[148] 웹사이트 From the Archives: Hanukkah at the White House https://obamawhiteho[...] 2013-12-05
[149] 웹사이트 Arab–Jewish school's menorah lights up White House Hanukkah party https://www.timesofi[...] 2014-12-18
[150] 웹사이트 A Most Inspiring Hanukkah at the White House https://forward.com/[...] 2014-12-18
[151] 뉴스 Why Hanukkah and Thanksgiving Will Never Again Coincide https://www.huffingt[...] 2013-11-24
[152] 웹사이트 Thanksgivukka: Please pass the turkey-stuffed doughnuts https://www.jpost.co[...] 2013-11-17
[153] 웹사이트 How To Celebrate Thanksgivukkah, The Best Holiday Of All Time https://www.buzzfeed[...] Buzzfeed 2013-10-02
[154] 뉴스 Thanks for Thanukkah! https://www.philly.c[...] The Inquirer 2013-10-11
[155] 웹사이트 Chanukah FAQs https://www.chabad.o[...] 2018-10-06
[156] 서적 Hanukkah in America: A History https://nyupress.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157] 서적 Rereading Israel: The Spirit of the Matter https://books.google[...] Urim Publications 2014-10-01
[158] 서적 Nationalism, Zionism and Ethnic Mobilization of the Jews in 1900 and Beyond https://books.google[...] BRILL
[159] 웹사이트 Reinventing Hanukkah: The Israeli Politics of the Maccabean Holiday https://hartman.org.[...] Shalom Hartman Institute 2012-12-04
[160] 논문 Is Hanukkah Responsive to Christmas? https://web.stanford[...] 2010-06-01
[161] 웹사이트 How Christmas Transformed Hanukkah in America https://www.myjewish[...] 2020-12-10
[162] 서적 Hanukkah in America : a history http://archive.org/d[...] New York :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3
[163] 웹사이트 Federal Holidays: Evolution and Current Practice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2-11-16
[164] 웹사이트 Since the 1800s, Hanukkah in the US is a response to Xmas http://www.timesofis[...] 2020-12-10
[165] 웹사이트 Hanukkah Gifts https://www.myjewish[...] My Jewish Learning 2016-10-01
[166] 서적 Choosing a Jewish Life: A Handbook for People Converting to Judaism and for Their Family and Friends Schocken Books
[167] 웹사이트 Mayor Eric Adams, Rev. Al Sharpton, others gather for joint Kwanzaa, Hanukkah celebration http://amsterdamnews[...] 2022-12-21
[168] 웹사이트 Kwanzakkah: A way to celebrate dual heritage, and combat hate https://forward.com/[...] 2022-12-23
[169] 웹사이트 Mayor Eric Adams, Rev. Al Sharpton, Robert F. Smith, Robert F. Smith, Rev. Conrad Tillard, Rabbi Shmuley Boteach and Elisha Wiesel join together to host '15 Days of Light,' celebrating Hanukkah and Kwanzaa https://www.jns.org/[...]
[170] 웹사이트 Black and Jewish Leaders Gather at Carnegie Hall to Take a Stand Against Antisemitism and Racism https://www.yahoo.co[...] 2022-12-20
[171] 웹사이트 What Is Hanukkah? https://www.chabad.o[...] 2021-11-29
[172] 서적 The King James Bible https://en.wikisourc[...]
[173] 뉴스 トランプ氏、ユダヤ教の式典で決定アピール https://news.ntv.co.[...]
[174] 웹사이트 How to Light the Menorah https://www.chabad.o[...] 2021-11-29
[175] 웹사이트 JTA NEWS https://web.archive.[...] 2021-11-29
[176] 웹사이트 The Christmas effect: How Hanukkah became a big holiday https://www.washingt[...] 2021-11-29
[177] 웹사이트 BBC - Schools - Religion - Judaism https://web.archive.[...] 2018-12-26
[178] 서적 Being Jewish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00
[179] 웹사이트 The Old Testament in the Orthodox Church http://www.orthodoxc[...] 2021-11-29
[180]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1 Maccabees 4:36-59 -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Catholic Edition https://www.biblegat[...] 2021-11-29
[181]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2 Maccabees 1:18-36 -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Catholic Edition https://www.biblegat[...] 2021-11-29
[182] 웹사이트 ḤANUKKAH - JewishEncyclopedia.com https://www.jewishen[...] 2021-11-29
[183]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2 Maccabees 1:9 -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Catholic Edition https://www.biblegat[...] 2021-11-29
[184]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2 Maccabees 10:6 -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Catholic Edition https://www.biblegat[...] 2021-11-29
[185] 웹사이트 Megillat Taanit, Kislev 7 https://www.sefaria.[...] 2021-11-29
[186] 문서 Bikkurim 1:6 https://www.sefaria.[...]
[187] 문서 彼の Hakdamah Le'mafteach Hatalmudで
[188] 웹사이트 יסוד המשנה ועריכתה - מרגליות, ראובן, 1889-1971 (page 24 of 39) https://www.hebrewbo[...] 2021-11-29
[189] 웹사이트 The Truth(s) About Hanukkah https://www.huffpost[...] 2021-11-29
[190] 웹사이트 Shabbat 21b:10 https://www.sefaria.[...] 2021-11-29
[191] 웹사이트 Shabbat 21b https://www.sefaria.[...] 2021-11-29
[192] 웹사이트 Sukkah 46a:8 https://www.sefaria.[...] 2021-11-29
[193] 웹사이트 Jewish Antiquities: Book I: Poem 1 https://www.loebclas[...] 2021-11-29
[194] 웹사이트 What do you say on Hanukkah? Prayers, songs and quotes for Festival of Lights https://www.newsweek[...] 2020-12-12
[195] 웹사이트 Why Do We Give Hanukkah Gelt and Hanukkah Presents? Responsa in a Moment: Volume 9, Issue No. 2, December 2014 https://schechter.ed[...] 2021-11-29
[196] 웹사이트 Chanukah Gelt and Gifts http://download.yuto[...] 2021-11-29
[197] 웹사이트 Chanukah - Hanukkah, the Jewish festival of rededication - חנוכה {{!}} Hebcal Jewish Calendar https://www.hebcal.c[...] 2021-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