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 되 마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되 마고는 1812년 파리 6구에 문을 연 직물 및 노벨티 상점에서 시작하여, 1885년 카페로 전환된 유서 깊은 장소이다. 예술가와 문인들의 만남의 장소로, 초현실주의, 실존주의 철학의 산실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분야의 명사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1933년에는 문학상인 되 마고 상을 제정하여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영화, 소설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며 문화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의 커피 전문점 -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
    1919년 실비아 비치가 파리에 설립한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는 유명 작가들의 사랑방이자 문학적 교류 중심지였으며, 나치 점령으로 폐업 후 조지 휘트먼에 의해 재개장하여 저소득 작가들에게 무료 숙식을 제공하는 텀블위드 프로그램으로 유명해졌고, 현재는 딸 실비아 휘트먼이 운영하며 문학 발전과 대중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 파리의 커피 전문점 - 카페 프로코프
  • 1884년 설립 - 페이비언 협회
    페이비언 협회는 1884년 영국 런던에서 설립된 사회주의 단체로, 점진적인 사회 개혁을 추구하며 노동당 창당에 기여했고, 조지 버나드 쇼, H.G. 웰즈 등이 참여하여 사회주의 사상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 1884년 설립 - 군령부
    군령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작전 지휘 및 국방 전략을 담당한 천황 직속 기관이었으나, 군국주의적 색채를 띠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폐지되었다.
  • 파리 6구의 건축물 - 파리 데카르트 대학교
    파리 데카르트 대학교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했던 종합대학교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특히 사회 과학 분야를 지원했고,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다.
  • 파리 6구의 건축물 - 파리국립고등광업학교
    파리국립고등광업학교는 1783년 루이 16세에 의해 설립되어 광산 기술자 양성을 목표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공학 분야 전반의 고급 기술자를 양성하는 프랑스의 그랑제콜이며, 파리 과학인문학대학교의 공과대학으로서 세계적인 대학들과 경쟁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레 되 마고
기본 정보
레 되 마고 테라스
레 되 마고의 테라스
명칭레 되 마고
로마자 표기Re Doe Mago
위치프랑스, 파리 6구, 생제르맹데프레 광장 6번지
일반 정보
종류단순형 주식회사 (SAS)
국적프랑스
설립1885년
업종음식점
사업 내용카페, 레스토랑
대표자카트린 마티바 (대표 이사)
자본금85,800 €
매출액10,703,400 € (2018년)
직원 수50 - 99명
공식 웹사이트레 되 마고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마고"는 문자 그대로 "극동에서 온 땅딸막한 인형"을 의미한다.[4] 원래 직물 및 노벨티 상점이었던 이 곳은 1873년 생제르맹데프레 광장으로 이전했고, 1884년 카페 겸 ''리퀴르 판매점''으로 변경되었지만 이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14년, 오귀스트 불레는 파산 직전의 레 되 마고를 400000FRF에 매입하고 유리 벽을 추가하여 카페에 더 많은 빛을 들였다. 상점 개점 당시부터 있던 조각상은 복제품으로 교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5] 1989년 도쿄에 카페 레 되 마고가 문을 열었다.[6]

오귀스트 불레의 증손녀 카트린 마티바는 1993년 카페에서 일하기 시작, 2012년 부친 사망 후 카페를 인수했다.[5] 2017년 카페를 재설계하여 파리 고객을 다시 확보하고자 했다.[7] 2022년, 생제르맹 카페만으로 1500만유로의 매출을 올렸다.[6] 2023년에는 리야드 (사우디 아라비아)와 도쿄에, 12월에는 상파울루에 지점을 열었으며, 케이프타운, 프라하, 런던, 광저우에도 새로운 지점을 열 계획이다.

2. 1. 상점 시절 (1812년 ~ 1885년)

드 마고의 심볼인 2체의 도제 중국 인형


"마고"는 문자 그대로 "극동에서 온 땅딸막한 인형"을 의미한다.[4] 원래 뷔시 거리(Rue de Buci) 23번지에 있던 직물 및 노벨티 상점의 이름으로, 견직물을 판매했으며, 19세기 인기 연극 ''Les Deux Magots de la Chine''에서 이름을 따왔다. 상점의 두 조각상은 중국의 "만다린" 또는 "마법사"(또는 "연금술사")를 나타내며 방을 바라보고 있다.

1873년, 생제르맹데프레 광장으로 이전했다.[13] 1885년경, 생-브누아 거리(Rue Saint-Benoît (Paris))를 사이에 두고 "카페 드 플로르"가 창설되어 드 마고와 마찬가지로 문인들이 모이는 장소가 되었다.

2. 2. 카페로의 전환과 초기 문인들의 방문 (1885년 ~ 1914년)

1885년, 유행품점 '레 되 마고'는 폐업하고, 같은 '레 되 마고'라는 이름으로 주류를 판매하는 카페 바로 다시 시작했다. 이미 1860년대에 같은 6구의 몽파르나스에 있는 카페 '클로즈리 데 릴라'는 에콜 데 보자르샤를 글레르의 학생들(클로드 모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알프레드 시슬리 등)이 모이는 장소가 되었고,[19] 점차 라탱 지구에 가까운 이 근방에 예술가와 문학가가 모이게 되었다. 특히, 시인 스테판 말라르메폴 베를렌, 1871년에 '취한 배'를 들고 상경하여 베를렌의 장인, 장모 댁에 몸을 의탁한 아르튀르 랭보도 레 되 마고의 단골이었다.[13]

그러나 이 무렵, 레 되 마고는 경영난에 빠져, 1914년오베르뉴 출신의 오귀스트 부레 마티바가 레 되 마고를 인수하여 사업을 계승하게 되었다.[20]

2. 3. 전간기 초현실주의와 잃어버린 세대의 집결지 (1914년 ~ 1945년)

1914년, 오베르뉴 출신의 오귀스트 부레 마티바가 경영난에 빠진 레 되 마고를 인수하여 사업을 계승하였다.[20]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전까지의 가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전간기에 다양한 전위 예술, 문학 운동이 일어났다. 이 무렵, 거트루드 스타인이 '잃어버린 세대'라고 부른 미국 작가들이 파리를 거점으로 활동했고, 1919년에는 취리히에서 파리로 활동 장소를 옮긴 트리스탕 차라앙드레 브르통을 중심으로 기성 가치의 파괴와 부르주아적인 사회 질서의 붕괴를 목표로 하는 다다이즘 운동이 일어났다. 스타인에게 '잃어버린 세대'라고 불린 어니스트 헤밍웨이, 앙드레 지드, 장 지로두, 자크 프레베르, 기욤 아폴리네르, 후지타 쓰구하루 등의 작가와 화가가 레 되 마고의 단골이었다.[20] 이윽고 다다이즘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는 초현실주의 운동이 일어나자, 브르통을 중심으로 하는 초현실주의자들, 즉, 루이 아라공(및 여성 최초의 공쿠르상 수상 작가이자 아내인 엘자 트리오레), 폴 엘뤼아르, 뱅자맹 페레, 필리프 수포, 로베르 데스노스 등의 활동 거점이 되었다. 입체주의와 초현실주의 화가 페르낭 레제, 파블로 피카소도 참여했다. 피카소가 사진작가 도라 마르를 만난 것은 1936년 1월, 레 되 마고에서였다.[19]

2. 4. 실존주의 철학의 산실 (1945년 ~ 1960년대)

두 마고의 테라스 (1965년, Nationaal Archief)


장 폴 사르트르는 『존재와 무』(1943년 출판)의 대부분을 카페 드 플로르에서 집필했지만,[19] 레 되 마고는 사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를 중심으로 한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거점 중 하나였다. 사르트르와 보부아르는 각각 항상 정해진 테이블을 사용했다. 보부아르가 사용하던 장소에서는 현재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30분부터 재즈 콘서트가 열리고 있다.[18]

2. 5. 현대: 다양한 분야의 명사들이 찾는 명소 (1960년대 ~ 현재)

1960년대 이후, 카페 드 플로르와 마찬가지로 음악계, 영화계, 패션계의 유명 인사들이 레 되 마고를 드나들게 되었다.[26] 1997년에는 클로드 드뷔시의 서정극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에서 이름을 따온 음악 관련 저서에 수여되는 Prix Pelléas|펠레아스상프랑스어을 창설했다. 제1회 수상자는 재즈 피아니스트이기도 한 작가 Laurent de Wilde|로랑 드 빌드프랑스어의 『몽크』(델로니어스 몽크)였다.[26]

1941년에 창설된 Prix Guillaume-Apollinaire|기욤 아폴리네르 상프랑스어은 2016년부터 레 되 마고가 주최하게 되었고, 2011년에 베르나르-앙리 레비에 의해 창설된 Prix Saint-Germain|생 제르맹 상프랑스어은 레 되 마고, 립, 카페 드 플로르, 소니아 리키엘(2008년에 생 제르맹 대로에 부티크를 오픈)의 협찬으로 진행되고 있다.[27][28][29][30]

현재 경영자인 카트린 마티바는 4대째이다. ISG 고등경영학교를 졸업한 그녀는 레 되 마고 외에 숙박 시설 경영 등에도 관여하고 있다.[31]

2013년, 산드린 드 수자 코스가 레 되 마고 최초의 여성 웨이터로 채용되었다.[32]

현재는 관광객이 방문객의 약 70%를 차지한다.[17]

3. 되 마고 상

레몽 크노의 친구 13명이 모여 1933년에 제정한 문학상이다. 권위적인 공쿠르 상에 대항하여,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21] 심사위원에는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제명된 로베르 데스노스, 미셸 레리스 등이 참여했다. 레몽 크노의 Le Chiendent프랑스어가 첫 수상작으로 선정되었고, 상금은 심사위원들이 100프랑씩 모아 1300FRF를 전달했다.[22][23][24][25] 이후 폴린 레아주의 『O 양 이야기』 등 독창적인 작품들이 선정되었다.

두 마고 상 심사위원들은 카페 드 플로르에도 자주 출입했다. 장 폴 사르트르는 『존재와 무』를 카페 드 플로르에서 집필했지만,[19] 보부아르를 중심으로 한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거점 중 하나는 두 마고였다.

4. 문화적 영향

1960년대 이후, 카페 드 플로르와 마찬가지로 음악, 영화, 패션계의 유명 인사들이 레 되 마고를 찾았다.[26] 1997년에는 클로드 드뷔시의 서정극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에서 이름을 따온 Prix Pelléas|펠레아스상프랑스어을 창설하여 음악 관련 저서에 수여했다. 첫 수상자는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작가인 로랑 드 빌드Laurent de Wilde프랑스어의 『몽크』(델로니어스 몽크)였다.[26]

1941년에 창설된 기욤 아폴리네르 상Prix Guillaume-Apollinaire프랑스어은 2016년부터 레 되 마고가 주최하고 있다.[27] 2011년 베르나르-앙리 레비가 창설한 생 제르맹 상Prix Saint-Germain프랑스어은 레 되 마고, 립, 카페 드 플로르, 소니아 리키엘의 협찬으로 진행된다.[27][28][29][30]

현재 경영자인 카트린 마티바는 4대째로, ISG 고등경영학교를 졸업하고 레 되 마고 외에 숙박 시설 경영에도 참여하고 있다.[31] 2013년에는 산드린 드 수자 코스가 레 되 마고 최초의 여성 웨이터로 채용되었다.[32] 현재 방문객의 약 70%는 관광객이다.[17]

1989년 시부야의 분카무라에 "레 되 마고"가 문을 열었다. 루브르 박물관 인테리어를 담당했던 프랑스 건축가 장-미셸 빌모트Jean-Michel Wilmotte프랑스어가 건축 디자인을 맡았다.[33] 이듬해인 1990년에는 "분카무라 레 되 마고 문학상"이 창설되었다.[34]

4. 1. 문학

레 되 마고는 '''문학 카페'''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1933년, 레 되 마고의 단골들은 공쿠르 상의 권위에 대항하여, 더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을 평가하기 위해 레 되 마고 상을 창설했다.[22][23][24][25] 심사위원으로는 로제 비트락Roger Vitrac|프랑스어을 비롯하여 로베르 데스노스, 미셸 레리스, Jacques Baron|자크 바론프랑스어, Georges Ribemont-Dessaignes|조르주 리브몽데센프랑스어 등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제명된 작가들이 참여했다. 또한 앙리 필리퐁[21], 이삭 크륌베르 (Isaac Grünbert), Armand Megglé|아르망 메글레프랑스어, André de Richaud|앙드레 드 리쇼프랑스어화가 Gaston-Louis Roux|가스통루이 루프랑스어, 앙드레 드랭, Alfred Janniot|알프레드 자니오프랑스어도 심사위원으로 합류했다. 13명의 심사위원은 레몽 크노의 소설 'Le Chiendent|하마무기프랑스어'를 첫 수상작으로 선정하고, 각각 100FRF씩 모아 총 1300FRF의 상금을 전달했다.[22][23][24][25] 이후에도 폴린 레아주의 『O 양 이야기』 등 문학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는 독창적인 작품들이 선정되었다.

레 되 마고는 여러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스티브 매쳇의 소설 《전차 제작자》에서는 "그 분기에 아침 햇살이 가장 먼저 닿는 카페"로 묘사된다.
  • 아바 다우서의 소설 《파리의 그 여름》(2006)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캐서린 네빌의 소설 《마법의 원》(1998)의 핵심 장면 배경이다.
  • 레오나르도 파두라의 소설 《개를 사랑한 남자》(《개를 사랑한 남자》)에서 라몬 메르카데르가 시간을 보내는 장소 중 하나이다.
  • 마르코 미시롤리의 《사적인 장소에서의 외설 행위》에서 "리베로 마르셀"의 아버지이자 알베르 카뮈의 친구가 카페 단골로 등장한다.
  • 차이나 미에빌의 소설 《뉴 파리의 마지막 날들》(2016)에서 중요한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 《롤리타》, 5장, 1부.
  •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파리는 날마다 축제》, 8장.
  • 로르나 구디슨의 《레 되 마고에서의 점심》.[8]
  • 제임스 조이스의 《피네건의 경야》 562페이지에 언급된다.


장 폴 사르트르는 『존재와 무』(1943년 출판)의 대부분을 카페 드 플로르에서 집필했지만[19], 레 되 마고는 보부아르를 중심으로 한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거점 중 하나였다. 사르트르와 보부아르는 각각 항상 정해진 테이블을 사용했으며, 보부아르가 사용하던 장소에서는 현재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30분부터 재즈 콘서트가 열린다.[18]

또한,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에 등장하는 일본 가상의 도시 모리오에는 비슷한 이름의 카페(카페 두 마고)가 등장한다.

4. 2. 영화


  • 1949년 영화 ''에펠탑의 사나이''의 몇몇 장면이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 장 외스타슈의 1973년 영화 ''엄마와 창녀''에 등장한다.[10]
  • 2011년 영화 ''언터처블: 1%의 우정''에서 필립 (프랑수아 클루제)과 드리스 (오마르 시)가 한밤중에 센 강을 따라 산책한 후, 필립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이곳에 들르는 장면이 나온다.
  • 제라르 우리 감독의 1973년 영화 《래비 야콥의 모험》(한국 제목: 뉴욕-파리 대탈출)에서는 혁명가 슐리만느가 "레 되 마고" 뒷골목에서 비밀 경찰에 연행된다.
  • 같은 해 장 외스타슈 감독의 영화 《La Maman et la Putain|엄마와 창녀프랑스어》에서는 장 피에르 레오가 연기한 알렉상드르가 "레 되 마고"의 단골손님으로 등장한다.
  • Éric Toledano|에릭 토레다노프랑스어 감독과 Olivier Nakache|올리비에 나카슈프랑스어 감독이 공동 제작한 《언터처블: 1%의 우정》(2011년)에서는 드리스 역의 오마 사이와 필립 역의 프랑수아 클루제가 "레 되 마고"에서 식사하는 장면이 있다.[35]
  • 미국의 영화감독 J. J. 에이브럼스는 2014년 《베니티 페어》 잡지에서,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의 각본을 쓰기 위해 "레 되 마고"에서 영감을 얻고 싶어 로렌스 캐스단과 함께 이곳에서 8시간 동안 집필했다고 말했다.[36]

4. 3. 기타


  • 1959년 솔 레이터의 컬러 사진이 있다.
  • 1967년 장 프랑수아 드보르의 구상 회화에 등장한다.[9]
  • NBC 시트콤 ''굿 플레이스''의 마지막 에피소드 한 장면에 이 카페가 나온다.
  • 2011년 6월, ''크레이그 퍼거슨의 레이트 레이트 쇼''의 파리 1주일 투어 동안 촬영된 모습으로 이 카페가 방영되었다.
  • 가수 포(Poe)의 노래 "A Rose Is A Rose"에서 이야기의 주요 배경으로 등장하며, 가사에는 이 카페의 유명한 고객들이 언급되는데, 이들은 모두 수수께끼의 여성 제저벨에게 매료되어 있다.
  • ''아멜리아 프로젝트''(The Amelia Project)에 레 되 마고의 코코아가 자주 등장한다.
  • 1960년대 이후, 카페 드 플로르와 마찬가지로 음악계, 영화계, 패션계의 유명 인사들이 드나들게 되었다.
  • 1997년 클로드 드뷔시의 서정극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에서 이름을 따온 Prix Pelléas|펠레아스상프랑스어을 창설했다. 제1회 수상자는 재즈 피아니스트이기도 한 작가 Laurent de Wilde|로랑 드 빌드프랑스어의 『몽크』(델로니어스 몽크)였다.[26]
  • 1941년에 창설된 Prix Guillaume-Apollinaire|기욤 아폴리네르 상프랑스어은 2016년부터 레 되 마고가 주최하게 되었다.
  • 2011년 베르나르-앙리 레비에 의해 창설된 Prix Saint-Germain|생 제르맹 상프랑스어은 레 되 마고, 립, 카페 드 플로르, 소니아 리키엘(2008년에 생 제르맹 대로에 부티크를 오픈)의 협찬으로 진행되고 있다.[27][28][29][30]
  • 현재 경영자인 카트린 마티바는 4대째이다. ISG 고등경영학교를 졸업한 그녀는 레 되 마고 외에 숙박 시설 경영 등에도 관여하고 있다.[31]
  • 2013년, 산드린 드 수자 코스가 레 되 마고 최초의 여성 웨이터로 채용되었다.[32]
  • 현재는 관광객이 방문객의 약 70%를 차지한다.[17]
  • 1989년 시부야의 분카무라에 "레 되 마고"가 오픈했다. 건축 디자인은 루브르 박물관의 인테리어도 담당했던 프랑스인 건축가 Jean-Michel Wilmotte|장-미셸 빌모트프랑스어가 맡았다.[33]
  • 1990년에는 "분카무라 레 되 마고 문학상"이 창설되었다.[34]

5. 한국과의 관계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출력도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뉴스 Bidding goodbye to the Gauloises http://news.bbc.co.u[...] 2007-02-01
[2] 웹사이트 Hemingway in Paris https://adequatica.m[...]
[3] 웹사이트 Historical cafes in Paris: Les Deux Magots http://www.paris-bis[...]
[4] 간행물 Journal Notre 6ème n°237, November 2010, page 10
[5] 웹사이트 À frente do café parisiense Les Deux Magots, Catherine Methivat planeja abrir novas filiais, inclusive na América Latina https://oglobo.globo[...] 2023-09-26
[6]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le mythique café parisien qui veut conquérir le monde https://business.les[...] 2023-09-26
[7]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 comment l'affaire familiale centenaire se réinvente https://business.les[...] 2023-09-26
[8] 뉴스 Poem of the week: At Lunch in Les Deux Magots by Lorna Goodison https://www.theguard[...] 2023-09-26
[9] 문서 fr:Jean-François Debord
[10] 웹사이트 The Way We Are (The Mother and the Whore) https://jonathanrose[...] 2023-03-25
[11]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 Mentions légales http://www.lesdeuxma[...] 2020-01-14
[12] 웹사이트 DEUX MAGOTS - Société : 334365947 https://www.societe.[...] 2020-01-14
[13]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http://www.lesdeuxma[...] Les Deux Magots 2020-01-14
[14] 웹사이트 magot https://www.larousse[...] Éditions Larousse - Dictionnaire de français Larousse 2020-01-14
[15] 웹사이트 MAGOT https://www.cnrtl.fr[...]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2020-01-14
[16]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de la Chine - Spectacle - 1813 https://data.bnf.fr/[...]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2020-01-14
[17]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se réinventent ! http://www.onirik.ne[...] Onirik 2020-01-14
[18] 웹사이트 Le café-littéraire Les Deux Magots propose une soirée jazz tous les jeudis http://www.monsieurv[...] 2020-01-14
[19] 뉴스 Paris : Les Deux Magots https://www.lemonde.[...] 2020-01-14
[20] 웹사이트 Les 5 cafés littéraires historiques à Paris https://www.lefigaro[...] 2020-01-14
[21] 웹사이트 Henri Philippon. A propos de quelques rêves célèbres. Extrait de « Visages du Monde – Le Rêve dans l‘Art et la Littérature », (Paris), n°63, 1939, pp. 68-69. http://www.histoired[...] Histoire de la Folie 2020-01-14
[22] 웹사이트 Le Prix des Deux Magots https://www.paris-bi[...] 2020-01-14
[23] 서적 Saint-Germain-des-Prés Éditions de la Table Ronde 2017-05-04
[24] 웹사이트 Le Prix des Deux Magots https://www.paris-bi[...] 2020-01-14
[25] 서적 はまむぎ 白水社 1976
[26] 서적 セロニアス・モンク ― 沈黙のピアニズム 音楽之友社 1997
[27]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 Prix Littéraire http://www.lesdeuxma[...] Les Deux Magots 2020-01-14
[28]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ont fait peau neuve https://www.laquotid[...] Cebier Group inc. 2020-01-14
[29] 웹사이트 Inédit : deux lauréats pour le Prix Pelléas - Radio Classique 2019 https://www.actualit[...] ActuaLitté 2020-01-14
[30] 웹사이트 Bernard-Henri Levy crée le prix Saint-Germain-des-Prés, pour le cinéma https://www.lexpress[...] 2020-01-14
[31] 웹사이트 Catherine MATHIVAT - Dirigeant de la société Deux Magots - BFMBusiness.com https://dirigeants.b[...] BFM TV 2020-01-14
[32] 웹사이트 Sandrine, garçon de café aux Deux Magots http://www.leparisie[...] Le Parisien 2020-01-14
[33]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 International http://www.lesdeuxma[...] Les Deux Magots 2020-01-15
[34] 웹사이트 Bunkamuraドゥマゴ文学賞 https://www.bunkamur[...] Bunkamura 2019-03-21
[35] 웹사이트 Les Deux Magots - Cinéma http://www.lesdeuxma[...] Les Deux Magots 2020-01-14
[36] 웹사이트 J.J. Abrams a travaillé le scénario de "Star Wars 7" aux Deux Magots, à Paris https://www.rtl.fr/c[...] 2020-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