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히드 L-188 일렉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록히드 L-188 일렉트라는 록히드가 개발한 4발 터보프롭 여객기이다. 1950년대에 개발이 시작되어 아메리칸 항공과 이스턴 항공의 주문을 받아 생산되었으며, 1958년에 첫 비행을 하고 1959년부터 운항을 시작했다. 보잉 707의 등장으로 여객기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었지만, 저속 순항 성능과 저연비를 바탕으로 해상 초계기인 P-3 오라이온으로 개조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민간에서는 화물기 및 소방기로 사용되었으며, 아르헨티나 해군에서 군용으로 운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보잉 707
보잉 707은 보잉이 제작한 4발 제트 여객기로, 장거리 항공 여행 시대를 열며 민간 항공의 주력 기종으로 활약했으나, 후속 기종과 규제로 민간 생산은 종료되고 현재는 일부 군용기로만 운용된다. - 1957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안토노프 An-12
소련의 안토노프 설계국에서 개발한 An-12는 4발 터보프롭 군용 수송기로, An-10 여객기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C-130 수송기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며 다양한 파생 모델과 함께 900대 이상 생산되었고, 현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퇴역했지만 중국에서 면허 생산된 Y-8은 계속 운용되고 있다. - 여객기 - 보잉 767
보잉 767은 1970년대 후반 항공 시장의 운영 비용 절감 요구에 맞춰 개발된 중형 광폭 동체 여객기로, 연료 효율적인 설계, 2인승 조종석, 첨단 항공 전자 장비, 다양한 모델 및 군용 파생형을 특징으로 하며 2027년 말까지 생산될 예정이다. - 여객기 - 포커 100
포커 100은 포커 F28의 후속 기종으로 개발된 107석 규모의 지역 여객기로, 동체와 날개 연장, 롤스로이스 테이 엔진 및 자동화된 조종석을 장착하여 연료 효율성과 조종 편의성을 개선하였으나, 포커 사의 경영 악화로 생산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여러 항공사에서 운용 중이며 다양한 파생 모델이 존재한다. - 저익기 - 포커 100
포커 100은 포커 F28의 후속 기종으로 개발된 107석 규모의 지역 여객기로, 동체와 날개 연장, 롤스로이스 테이 엔진 및 자동화된 조종석을 장착하여 연료 효율성과 조종 편의성을 개선하였으나, 포커 사의 경영 악화로 생산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여러 항공사에서 운용 중이며 다양한 파생 모델이 존재한다. - 저익기 - 보잉 707
보잉 707은 보잉이 제작한 4발 제트 여객기로, 장거리 항공 여행 시대를 열며 민간 항공의 주력 기종으로 활약했으나, 후속 기종과 규제로 민간 생산은 종료되고 현재는 일부 군용기로만 운용된다.
록히드 L-188 일렉트라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터보프롭 여객기 |
제작 국가 | 미국 |
제조사 | 록히드 |
최초 비행 | 1957년 12월 6일 |
소개 | 1959년 1월 12일, 이스턴 항공 |
현황 | 운용 중 |
주요 운용사 | 에어 스프레이 |
기타 운용사 | 버팔로 항공 코네어 그룹 (퇴역) 이스턴 항공 (퇴역) 아메리칸 항공 (퇴역) 내셔널 항공 (퇴역) |
생산 기간 | 1957년–1961년 |
생산 대수 | 170대 |
파생형 | 록히드 P-3 오라이온 |
명칭 | |
영어 | Lockheed L-188 Electra |
제원 | |
생산 대수 | 167대 |
운용 | |
운용사 | 이스턴 항공 바리그 브라질 항공 아메리칸 항공 캐세이패시픽 항공 콴타스 항공 등 |
2. 개발
L-188 일렉트라는 록히드가 컨스텔레이션의 후속으로 개발한 미국 최초의 터보프롭 여객기이다. 컨스텔레이션과는 달리 중단거리용 기종으로 개발되었다. 록히드의 항공기 애칭은 전통적으로 별에서 따왔으며, "일렉트라"는 록히드의 L-10 및 L-14 계열에서 따온 것이다.
터보프롭기는 당시 제트기에 비해 운항 경비가 저렴하고, 왕복 엔진기에서 승무원 전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런치 커스터머는 이스턴 항공과 아메리칸 항공이었다. 록히드는 C-130의 성공으로 제트기보다 터보프롭을 선택했고, 처음에는 C-130과 유사한 고익식 시제기를 제조했다. 그러나 항공사들은 너무 작고 경제성이 나쁘며, 고익식은 불시착 시 안전성을 해친다는 의견을 제시하여 동체를 확대하고 저익식으로 변경했다.
프로토타입 모델 188A는 1957년 12월 6일에 첫 비행을 했다. 록히드는 1958년 8월 22일 연방 항공국(CAA)으로부터 형식 증명서를 받았다. 첫 인도는 1958년 10월 8일에 이스턴 항공에 이루어졌지만, 1959년 1월 12일에 운항을 시작했다.[2]
그러나 보잉의 367-80(후의 KC-135, 707)가 동시기에 초도 비행을 하면서, 터보프롭기로는 도달 불가능한 고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일렉트라의 장래에는 개발 중부터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1957년, 미국 해군은 첨단 해상 초계기에 대한 요구 사항을 발표했다. 록히드는 일렉트라를 기반으로 한 P-3 오라이온을 제안했고, 이는 50년 이상 운용될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2. 1. 개발 배경
20세기 중반까지 록히드는 피스톤 엔진을 장착한 컨스텔레이션 시리즈를 통해 상업용 항공기 생산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다. 이후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록히드 L-1249 슈퍼 컨스텔레이션을 개발하기도 했다.1951년, 록히드는 캐피탈 항공으로부터 새로운 터보프롭 여객기 개발 요청을 받았으나, 다른 항공사들의 관심 부족으로 설계가 중단되었다. 캐피탈 항공은 이후 영국산 비커스 바이카운트 60대를 주문했다. 1954년, 아메리칸 항공이 쌍발 엔진 항공기 개발에 관심을 보이면서 이 아이디어가 다시 부상했으나, 이 역시 다른 항공사들의 관심 부족으로 보류되었다.
1955년, 아메리칸 항공은 요구 사항을 4발 엔진 설계로 수정했고, 록히드는 CL-310 설계를 제안했다. 그러나 이 설계는 이스턴 항공의 요구 사항(더 긴 항속 거리, 350mph 이상의 순항 속도, 85~90명의 승객 수용)을 충족하지 못했다. 록히드는 앨리슨 501-D13 터보프롭 엔진(록히드 C-130 허큘리스 군용 수송기에 사용된 T56의 민간 버전)을 사용하고 기체를 늘린 모델 188을 출시했다. 1955년 6월 8일 아메리칸 항공이 35대를, 9월 27일 이스턴 항공이 40대를 주문했다.
2. 2. 개발 과정
1954년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1957년 12월에 첫 비행을 했고, 1959년 초에 취항을 시작했다.[2]1951년, 록히드는 캐피탈 항공으로부터 새로운 터보프롭 여객기를 개발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다른 항공사들은 관심을 보이지 않아 중단되었다. 이후 캐피탈 항공은 60대의 영국산 비커스 바이카운트를 주문했다. 1954년, 아메리칸 항공이 쌍발 엔진 항공기 개발에 관심을 보이면서 다시 개발이 진행되었으나, 이 역시 다른 항공사들의 관심 부족으로 보류되었다.
1955년, 아메리칸 항공은 약 3218.68km의 항속 거리를 가진 75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4발 엔진 설계로 요구사항을 수정했다. 록히드는 낮은 날개와 4개의 롤스로이스 다트 또는 네이피어 엘랜드를 갖춘 새로운 설계인 CL-310을 제안했다. CL-310 설계는 아메리칸 항공의 요구 사항을 충족했지만, 이스턴 항공의 요구 사항은 충족하지 못했다. 이스턴 항공은 더 긴 항속 거리, 350mph 이상의 순항 속도, 85~9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좌석을 요구했다.
록히드는 록히드 C-130 허큘리스 군용 수송기에 개발된 T56의 민간 버전인 앨리슨 501-D13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도록 CL-310을 재설계했다. 더 많은 좌석을 수용하고 성능 향상을 위해 기체를 늘렸다. 이 설계는 1955년 6월 8일 아메리칸 항공이 35대를 주문하면서 모델 188로 출시되었다. 1955년 9월 27일, 이스턴 항공이 40대를 주문했다.
첫 번째 항공기를 완성하는 데 26개월이 걸렸고, 그 당시 록히드는 129대의 주문을 받았다. 프로토타입인 모델 188A는 예정보다 2개월 앞선 1957년 12월 6일에 처음 비행했다. 록히드는 1958년 8월 22일 연방 항공국 (CAA)으로부터 형식 증명서를 받았다. 첫 인도는 1958년 10월 8일에 이스턴 항공에 이루어졌지만, 1959년 1월 12일에 운항을 시작했다.
2. 3. 디자인
록히드 L-188 일렉트라는 날개에 4개의 앨리슨 501-D13 터보프롭 엔진이 장착된 저익 캔틸레버 단엽기이다.[37] 접이식 삼륜 착륙 장치와 일반적인 꼬리날개를 갖추고 있다. 조종실 승무원은 3명이며, 혼합 클래스 배열로 66명에서 80명, 고밀도 배치에서는 98명까지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3. 운용 역사
1954년부터 개발에 착수한 록히드 L-188 일렉트라는 1957년 12월에 첫 비행을 하였고, 1959년 초에 이스턴 항공과 아메리칸 항공을 시작으로 취항하였다. 그러나 거의 같은 시기에 보잉의 367-80 (후의 KC-135, 707)가 초도 비행을 하면서, 일렉트라의 미래는 불투명해졌다.
취항 초기, 일렉트라는 설계 결함으로 인한 연속적인 공중 분해 사고를 겪었다. 1959년 9월 28일 텍사스주 버펄로 상공에서 Braniff International Airways Flight 542|브라니프 항공 542편영어이, 1960년 3월 17일에는 Northwest Orient Airlines Flight 710|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710편영어이 인디애나주 페리군 상공에서 공중 분해되었다. 미국 항공 우주국과 록히드사의 조사 결과, 주 날개의 플러터 현상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엔진 지지 방식을 변경하고 최대 순항 속도를 제한하여 이 결함을 해결했지만, 운항 정지 처분과 악평은 판매에 큰 타격을 주었다. 중거리용 제트기뿐만 아니라 비커스 바이카운트나 Il-18과 같은 소형 터보프롭기에도 밀려, 결국 1961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콴타스 항공과 캐세이퍼시픽 항공은 해상 비행을 포함하는 중장거리 국제선에 일렉트라를 투입했지만, 곧 다른 기종으로 교체했다. 일본항공은 도입을 검토했으나 컨베어 880을 선택하여 일본 항공사에서는 도입되지 않았다. 다만, 캐세이퍼시픽 항공과 콴타스 항공이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까지 사용하여 하네다 공항이나 이타미 공항 등에 취항했다.
P-3 오라이온 대잠 초계기는 일렉트라의 설계를 활용하여 미국 해군과 해상자위대 등 여러 국가의 군대에 도입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많은 일렉트라 기체가 화물기로 개조되었다. 리브 알류샨 항공은 2000년까지 여객기로 사용했지만, 여러 사고를 겪었다. 바리그 브라질 항공은 1990년대 초반까지 셔틀편 전용기로 운용했다. 현재는 노후화로 인해 소수의 기체만이 화물기나 소방기로 운항 중이다.
3. 1. 민간 항공
아메리칸 항공이 록히드 L-188 일렉트라의 최초 고객이었으며, 이스턴 항공, 브래니프 항공, 노스웨스트 항공 등이 뒤를 이었다. 초기에는 프로펠러 공명으로 인한 소음 문제가 있었으나, 엔진 나셀을 3° 위로 기울이는 재설계를 통해 개선되었다. 이 변경 사항은 1959년 중반까지 생산 라인에 통합되거나 개조 키트로 제공되어 성능 개선 및 더 나은 비행감을 제공했다.1959년 2월부터 1960년 3월 사이에 세 건의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여, FAA는 원인이 밝혀질 때까지 일렉트라의 속도를 제한했다. 조사 결과, 엔진 마운트 문제로 인한 "와류 모드 플러터" 현상이 1959년 9월과 1960년 3월에 발생한 두 건의 추락 사고 원인으로 밝혀졌다. 록히드는 엔진 마운트와 날개 구조를 강화하고 일부 날개 외피를 교체하는 개조 프로그램(LEAP)을 실행했다. 모든 일렉트라는 록히드의 비용으로 개조되었으며, 이후 제작된 항공기에는 이러한 변경 사항이 통합되었다.
그러나 대중의 신뢰를 잃고 소형 제트기의 도입으로 인해 일렉트라는 결국 소규모 항공사로 전락했다. 1961년에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총 170대가 제작되었다. 이후 대부분 화물기로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1990년대까지 여객 서비스로 운항했다.
KLM은 1959년 9월부터 1969년 1월까지 12대의 일렉트라를 유럽과 사이공, 쿠알라룸푸르 노선에 투입한 유일한 유럽 항공사였다. 남태평양에서는 태즈먼 제국 항공 유한회사(TEAL)와 에어 뉴질랜드가 태즈먼 해 횡단 노선에 일렉트라를 운항했다. 트랜스 오스트레일리아 항공(TAA)과 안셋은 1959년부터 1971년까지 호주 본토 주요 노선과 포트모르즈비 노선에 각각 3대의 일렉트라를 운용했다. 안셋은 1970-71년에 3대의 일렉트라를 화물기로 개조하여 1984년까지 운항했다. 콴타스는 홍콩, 일본, 뉴칼레도니아, 뉴기니 노선과 인도양 횡단 남아프리카 노선, 태즈먼 해 횡단 노선에 4대의 일렉트라를 운항했다.

로이드 아에레오 볼리비아노와 리네아스 아에레아스 파라과야스 등 남미 항공사들도 일렉트라를 성공적으로 운용했다.[3] 특히 바리그는 리우데자네이루-상파울루 셔틀 서비스에 14대의 일렉트라를 30년간 운항했으며, 1992년 보잉 737-300 및 포커 100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50만 회 이상의 비행을 완료했다.[4]
1970년대 중반, 여러 중고 일렉트라가 여행 클럽에 판매되거나 항공 화물로 사용되었다. 에어 캘리포니아와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PSA)은 1970년대 후반에도 일렉트라를 사용하여 레이크 타호 공항으로 정기 여객 서비스를 운항했다.
3. 2. 군용
1973년, 아르헨티나 해군은 화물 도어가 장착된 일렉트라 3대를 구매했다. 이들은 죽음의 비행에서 정치범들을 라플라타 강에 투하하는 데 사용되어 악명이 높았다. 또한 일렉트라는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아르헨티나 공군의 수송 임무에도 사용되었다.1983년, 아르헨티나 해군은 마지막 SP-2H 넵튠을 퇴역시킨 후 민간용 일렉트라 기체를 추가로 구매하여 여러 대를 해상 초계용으로 개조했다. 이 기체들은 1994년 P-3 기종으로 대체될 때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바히아 블랑카에 있는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 박물관(''Museo de la Aviación Naval'')에는 아르헨티나 해군의 일렉트라 중 하나인 L-188E ''Electron''이 보존되어 있다.[21]
4. 사고 및 사건
금속피로로 인한 날개 절단 및 공중분해 사고가 잦았다.[1] 이를 방지하고자 새로운 설계를 하였으나 신뢰도는 하락하였다. 주요 사고는 다음과 같다.
- 브래니프 항공 542편
- 노스웨스트 항공 710편
1959년 9월 28일 텍사스주 버펄로 상공에서 Braniff International Airways Flight 542|브래니프 항공 542편영어가 공중 분해되어 승무원 6명과 승객 28명이 전원 사망했다. 1960년 3월 17일에는 인디애나주 페리군 상공에서 Northwest Orient Airlines Flight 710|노스웨스트 오리엔트 항공 710편영어가 공중 분해되어 승무원 6명과 승객 57명이 전원 사망했다.
미국 항공 우주국과 록히드사(Lockheed Corporation)는 원인 규명 결과, 주익의 플러터 현상이 원인임을 밝혀냈다. 대형 프로펠러의 후류가 이상 진동을 초래하여 공진으로 주익의 피로 파괴에 이르렀지만, 개발 경쟁 속에서 충분한 시험을 하지 않고 성급하게 발표하고 취항한 것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5. 파생형
L-188 일렉트라의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 L-188A: 초기 생산 버전이다.
- L-188AF: L-188A를 화물기로 개조한 비공식 명칭이다.
- L-188PF: L-188A를 여객-화물기로 개조한 비공식 명칭이다.
- L-188C: 연료 용량을 늘리고 최대 이륙 중량을 증가시킨 버전이다.
- L-188CF: L-188C를 화물기로 개조한 비공식 명칭이다.
- YP-3A 오라이온: 1대의 오라이온 공기역학 시험기로, 동체가 단축되었다.
5. 1. P-3 오라이온
P-3 오라이온은 록히드 L-188 일렉트라를 기반으로 개발된 대잠 초계기이다. L-188 일렉트라는 여객기로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낮은 속도에서도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고 연료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장시간 해상에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초계기에 적합했다.이에 따라 L-188을 기반으로 대잠 초계기로 개량된 P-3 오라이온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P-3는 여객기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승무원들이 편안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했고, 다양한 전자 장비를 탑재할 수 있었다. 또한, 짧은 활주로에서도 이착륙이 가능하고, 장시간 체공 능력이 뛰어나며, 제트 연료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항공기들과의 자재 공통화도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었다.
P-3는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미국 해군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채택되어 500대 이상 생산되었다. 특히 한국의 해군과 일본의 해상자위대에도 100대 이상 도입되어 운용되고 있다.
6. 운용 국가
L-188 일렉트라는 여러 국가에서 민간 및 군용으로 운용되었다.
버팔로 항공에서 2대의 L-188 일렉트라를 화물 수송용으로 운용 중이며, 에어 스프레이와 버팔로 항공에서 13대를 에어 탱커로 운용하고 있다.[33][34]
과거 민간 운용사로는 아메리칸 항공, 이스턴 항공, 내셔널 항공 (미국), 캘리포니아 항공,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 리브 알류샨 항공, 바리그 브라질 항공, LAB 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KLM, 콴타스 항공, 안셋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트랜스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에어 뉴질랜드 등이 있다.
군용으로는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대[1], 볼리비아 공군[2], TAME[3], 온두라스 공군[4], 멕시코 공군[5], 파나마 공군[6] 등에서 운용되었다.
6. 1. 현재 운용 국가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두 대의 록히드 L-188 일렉트라가 화물 수송을 위해 버팔로 항공에서 운용 중이다. 다른 13대는 에어 탱커로 운용되고 있으며, 에어 스프레이와 버팔로 항공에서 운용 중이다.[33][34]6. 2. 과거 민간 운용 국가 (일부)
- 아메리칸 항공
- 이스턴 항공
이스턴 항공의 일렉트라 - 내셔널 항공
- 캘리포니아 항공
-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
- 리브 알류샨 항공
- 바리그 브라질 항공
- LAB 항공
- 캐세이퍼시픽 항공
- KLM
- 콴타스 항공
- 안셋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 트랜스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 에어 뉴질랜드
6. 3. 군용 운용 국가
아르헨티나es: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대[1]볼리비아bo: 볼리비아 공군[2]
에콰도르es: TAME[3]
온두라스es: 온두라스 공군[4]
멕시코es: 멕시코 공군[5]
파나마es: 파나마 공군[6]
7. 제원 (Model 188A)
항목 | 내용 |
---|---|
승무원 | 5명 (조종사 3명)[37] |
승객 | 최대 98명[37] |
전장 | 31.85m[37] |
전폭 | 30.18m[37] |
전고 | 10m[37] |
엔진 | 앨리슨 501-D13 터보프롭 엔진 4기 (각 3750 eshp)[37] |
최대 속도 | 721km/h (390 knots) |
순항 속도 | 600km/h (324 knots)[37] |
항속 거리 | 3540km (최대 탑재량 기준)[37] |
실용 상승 한도 | 8665m[37] |
8. 전시
- 기체 일련 번호 1003 (전 NASA N428NA): 최초의 P-3 오라이온 시제기이다. 기존 L-188 일렉트라 기체를 YP3V-1/YP-3A 오라이온으로 개조한 것이다. 이후 미국 해군 연구소에 의해 NP-3A로 개조되었으며, NASA에서 지구 자원 관측 프로그램에 사용되었다.[17] 국립 해군 항공 박물관 (포레스트 셔먼 비행장, 플로리다주 펜서콜라)에 보존되어 있다.
- 기체 일련 번호 1025 (전 바리그 PP-VJM):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항공우주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18]
- 기체 일련 번호 1125 (TAM69): TAM – 군 수송 항공 도색으로 볼리비아 항공 박물관 (엘 알토, 라 파스)에 전시되어 있다.[19][20]
- 전 아르헨티나 해군 6-P-104 (L-188EW WAVE로 개조, 1996년 퇴역): 아르헨티나 바히아 블랑카의 해군 항공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1]
- 전 아르헨티나 해군 6-P-106 (L-188E Electron으로 개조, 1996년 퇴역): 바히아 블랑카 코만단테 에스포라 해군 항공 기지의 해군 항공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1]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airspray[...]
[2]
웹사이트
Issue 21 – Lockheed Martin: Airliner to submarine hunter – Aviation Classics Magazine
http://www.aviationc[...]
2016-03-17
[3]
웹사이트
LAP – Líneas Aéreas Paraguayas
http://www.flogao.co[...]
2014-12-22
[4]
웹사이트
As aventuras com o Electra na África – "Causos" Parte 2
http://www.avioesemu[...]
2014-12-22
[5]
웹사이트
Electra II
http://www.aviacaoco[...]
2014-12-22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cityofsl[...]
2021-08-10
[7]
웹사이트
World Airline Census 2018
https://www.flightgl[...]
2018-08-26
[8]
웹사이트
Two air tankers recently certified
http://fireaviation.[...]
2016-08-24
[9]
웹사이트
The Last Mission | AerialFire Magazine
https://aerialfirema[...]
2023-01-03
[10]
문서
CF-NAY and C-http://www.airliners.net/search?airline=21089&display=detail
[11]
웹사이트
http://www.timetable[...]
2017-09-12
[12]
서적
Hagby 1998, p. 55.
[13]
웹사이트
NCAR Electra specs
https://archive.toda[...]
2012-10-20
[14]
웹사이트
Renown Aviation
https://asn.flightsa[...]
2019-05-06
[15]
보고서
Regulation of Rates and Practices of Air Carriers and Foreign Air Carriers. Hearings Before the Subcommittee on Aviation of the Committee on Commerce, United States Senate, Ninety-Second Congress, First Session, on S. 2423
https://hdl.handle.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6]
서적
Siegrist 1987, pp. 174–175.
[17]
웹사이트
Apollo Lunar Surface Journal
https://www.hq.nasa.[...]
2016-02-24
[18]
웹사이트
LOCKHEED L188A - Electra II
http://www2.fab.mil.[...]
Brazilian Air Force
2016-07-13
[19]
웹사이트
Historia del Museo Aeroespacial de la Fuerza Aérea Boliviana – AviaciónBoliviana.Net
http://aviacionboliv[...]
2016-11-15
[20]
뉴스
Photo: TAM-69 (CN: 1125) TAM - Transporte Aéreo Militar Lockheed L-188A Electra by Zenon Sanchez Z.
http://www.jetphotos[...]
2016-11-15
[21]
웹사이트
Museo de la Aviación Naval
http://www.ara.mil.a[...]
Estado Mayor General de la Armada
2016-07-13
[22]
뉴스
Electra Airliner Flips at LaGuardia, Burns; 76 Aboard Walk Out
https://news.google.[...]
2014-10-09
[23]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Lockheed L-188 Electra N6127A New York-LaGuardia Airport, NY (LGA)
https://asn.flightsa[...]
Aviation Safety Network / Flight Safety Foundation
2014-10-09
[24]
웹사이트
"Lockheed Electra L-188 crash."
http://www.teal.co.n[...]
2013-08-13
[25]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Lockheed L-188A Electra HK-777 Bogotá-Eldorado Airport (BOG)
https://asn.flightsa[...]
2017-05-22
[26]
사고
Panarctic Oils Flight 416
[27]
웹사이트
Inquiry Into the Matter of a Crash of a Panarctic Electra Aircraft at Rea Point, Northwest Territories, October 30, 1974, before His Honour Judge W.A. Stevenson : report.
http://publications.[...]
2019-08-16
[28]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Lockheed L-188A Electra HR-SAW Guatemala City-La Aurora Airport (GUA)
https://asn.flightsa[...]
[29]
보고서
Aircraft Accident Report, Zantop International Airlines, Inc., Lockheed L-188A Electra, Chalkhill, Pennsylvania, May 31, 1984
https://libraryonlin[...]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1985-03-19
[30]
사고
ICAO Adrep Summary (#26)
[31]
사고
ICAO Adrep Summary 5/89 (#41)
[32]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Lockheed L-188A Electra 9Q-CDI Kinshasa
https://asn.flightsa[...]
2023-09-18
[33]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Lockheed L-188 Electra C-FQYB Tanker 88
https://asn.flightsa[...]
[34]
사고
Air Spray (Tanker #86 C-GFQA)
[35]
서적
Francillon 1982, pp. 398, 403.
[36]
서적
Taylor 1961, p. 276
[37]
서적
Francillon 1982, p. 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