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스케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러스케이트는 바퀴가 달린 신발로, 1760년 존 조셉 멀린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쿼드 스케이트는 1863년 미국에서 출시되어 인기를 얻었고, 이후 롤러스케이팅은 스포츠로 발전했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1990년대 중반에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롤러스케이팅이 존재한다. 롤러스케이팅은 유산소 운동 효과가 뛰어나며, 미국 심장 협회에서 권장하는 운동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신발 - 암벽화
암벽화는 등반 성능을 위해 디자인된 특수 신발로, 다양한 디자인과 종류가 있으며 발 건강 문제와 화학물질 흡입 위험이 있어 적절한 선택과 사용이 중요하다. - 스포츠 신발 - 축구화
축구화는 축구 경기에서 선수들이 신는 특수한 신발로, 접지력 향상, 경량화, 터치감 개선 등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종류와 디자인으로 제작되며, 최근에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된다. - 롤러스케이팅 - 하프파이프
하프파이프는 스케이트보드, 스노보드, 스키, BMX 등 익스트림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반원통형 경사로로, 수영장 스케이트보딩에서 유래하여 디자인이 발전해왔으며, 동계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전 세계에서 활용되고 있다. - 롤러스케이팅 - 롤러스케이트장
롤러스케이트장은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장소로, 1863년 롤러스케이트 발명 후 미국에서 유행하여 댄스 플로어 등으로도 사용되었으나, 인라인 스케이트 등장 후 쇠퇴기를 겪었지만 롤러 더비 등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1970년대 유행 - 펑크 록
펑크 록은 단순한 곡 구조와 사회·정치적 메시지를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이며, 197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 시작되어 DIY 정신과 독특한 패션 스타일을 유행시켰고, 1990년대 이후 얼터너티브 록과 팝 펑크로 발전했다. - 1970년대 유행 - 사이키델릭 록
사이키델릭 록은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초까지 유행한 록 음악 장르로, 몽환적이고 초현실적인 분위기, 전자 사운드 효과, 환각적인 가사, 즉흥 연주 등의 특징을 가지며 반문화 운동과 연관되어 사회 변혁을 반영했으나 쇠퇴 후에도 후대 장르에 영향을 주었고 재해석되기도 했다.
롤러스케이트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쿼드 스케이트 |
용도 | 운동 장비 |
유형 | 운동 장비 |
사용 장소 | 실내외 |
링크 | |
관련 링크 | 인라인 스케이트 롤러 블레이드 |
2. 역사
19세기 중반 제임스 레오나드 플림턴이 발명한 쿼드 스케이트는 사용 편의성 덕분에 큰 성공을 거두며 1860년대와 1870년대에 이른바 '링크 매니아'(rinkomania) 현상을 일으켰고, 이는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3] 시간이 흐르면서 롤러스케이팅은 단순한 취미를 넘어 경쟁적인 스포츠로 발전했다. 아이스 스케이팅의 영향을 받아 스피드 스케이팅과 인라인 피겨 스케이팅 등이 등장했으며, 퍽 대신 공을 사용하는 롤러 하키는 1990년대 중반에 상당한 인기를 얻어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1999년 미국스포츠용품협회(National Sporting Goods Association) 통계에 따르면 당시 미국 내 롤러 하키 인구는 약 250만 명에 달했다. 롤러스케이팅은 2012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 후보로도 검토되었으나[4] 최종적으로 포함되지는 못했다. 이 외에도 잼 스케이팅이나 롤러 더비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롤러스케이팅 스포츠가 존재한다.
롤러스케이팅의 대중적 인기는 시대 흐름에 따라 부침을 겪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는 로큰롤 문화와 결합하여 십 대들의 댄스홀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기존의 금속 바퀴를 대체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바퀴가 개발되면서 야외에서도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해졌고, 이는 디스코 문화와 맞물려 롤러스케이팅의 폭발적인 부흥을 이끌며 당시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1990년대 초반에 들어서면서 인기가 점차 시들해졌다.
최근 들어 롤러스케이팅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속에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야외 활동으로 각광받으며 관련 용품 판매가 급증했다.[5] 또한 2010년대 후반부터 2020년대 초반까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TikTok) 등에서 롤러스케이팅 관련 영상이 큰 호응을 얻고, 영화나 TV 드라마를 통해 1970년대와 1980년대 문화에 대한 향수가 확산된 것도 인기 부활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유명 브랜드의 롤러스케이트는 품귀 현상을 빚기도 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격리 기간 동안 새로운 취미로 롤러스케이팅을 선택했다.[6]
2. 1. 초기 롤러스케이트

롤러스케이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18세기 초 네덜란드에서 여름에도 탈 수 있는 스케이트로 고안되었다는 설[9]과, 1743년 런던의 한 연극 무대에서 처음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다.[10] 이는 바퀴 달린 스케이트가 사용된 첫 번째 보고로 알려져 있다.[1]
기록상 최초의 특허 받은 롤러스케이트는 1760년 벨기에 출신 발명가 존 조셉 멀린(John Joseph Merlin)이 선보였다.[1] 그는 영국에 거주하며 활동했다.[11] 멀린의 스케이트는 바퀴가 일렬로 달린 형태였으나, 방향 전환이 어렵고 멈추기 위한 제동 장치가 없어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1][12] 멀린은 벨기에 위(Huy)에서 열린 파티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직접 스케이트를 타는 시연을 하기도 했다.
롤러스케이트가 대중에게 알려지는 계기는 1840년대에 공연된 마이어베어의 오페라 ''예언자(Le prophète)''였다. 이 오페라에는 배우들이 무대 위 얼어붙은 호수를 표현하기 위해 롤러스케이트를 신고 아이스 스케이팅을 흉내 내는 장면이 포함되었다. 이를 본 관객들의 영향으로 유럽 대륙에서 롤러스케이팅이 새로운 활동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당시 아이스 스케이터들이 피겨 스케이팅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롤러스케이터들 사이에서도 스케이트를 타고 섬세하게 회전하고 싶다는 요구가 생겨났다.[2]
1863년 미국 매사추세츠 출신의 제임스 레오나드 플림턴(James Leonard Plimpton)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rocking skateeng"을 발명했다.[3] 이 스케이트는 앞뒤 두 개씩, 총 네 개의 바퀴를 달아 안정성을 높였고(쿼드 스케이트), 스케이터가 몸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차축 구조를 적용했다. 플림턴의 스케이트는 멀린의 디자인보다 훨씬 조종하기 쉬웠고, 이는 1860년대와 1870년대에 걸쳐 "rinkomaniaeng"라 불릴 정도의 폭발적인 롤러스케이팅 붐을 일으켰다.[3] 이 시기 뉴욕이나 로드아일랜드 뉴포트 등지에 롤러스케이트 전용 링크가 개설되기도 했다. 플림턴 스케이트의 인기는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고, 그 기본 구조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2. 2. 한국 롤러스케이트 역사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한국 롤러스케이트 역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2. 3. 인라인 스케이트의 등장

1979년 미국에서 롤러블레이드사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출시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롤러스케이트가 등장했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아이스 스케이트의 블레이드(날)처럼 바퀴를 세로로 배열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한쪽에 4개의 바퀴가 달려 있지만, 용도에 따라 2개, 3개, 5개의 바퀴를 가진 것도 있다.
흔히 '롤러블레이드'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처음 만든 롤러블레이드사의 상표 이름이다.[22]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롤러블레이드사에서 만든 인라인 스케이트만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바퀴가 세로로 배열되어 있어 앞부분에도 바퀴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는 주로 뒷부분에 부착된다(보통 한쪽에만). 이는 앞부분에 토 스톱(고무 브레이크)이 있는 쿼드 스케이트와의 차이점이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인라인 스케이트는 약간 튀어나온 노면에도 비교적 덜 걸려 넘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직접 바퀴를 수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스키처럼 발목을 벨트로 단단히 고정하는 형태의 부츠가 많다.
쿼드 스케이트보다 직진성이 뛰어나고 속도를 내기 쉬워, 인라인 스케이트의 등장은 로드 레이스나 마라톤과 같은 스포츠 경기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 외에도 스키 선수들의 지상 훈련이나 경찰관의 순찰 및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23]
3. 종류
롤러스케이트는 바퀴 배열 방식에 따라 크게 쿼드 스케이트와 인라인 스케이트로 나눌 수 있다.
3. 1. 인라인 스케이트
아이스 스케이트의 블레이드(날)처럼 얇은 바퀴를 세로로 배열한 롤러스케이트이다. 일반적으로는 한쪽에 4개의 바퀴가 있지만, 용도에 따라 2개, 3개 또는 5개의 바퀴가 달린 것도 있다. 흔히 '''롤러블레이드'''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롤러블레이드"(Rollerbladeeng)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처음 만든 롤러블레이드사의 상표 이름이며[22], 원래는 이 회사에서 만든 인라인 스케이트만을 가리키는 말이다.
쿼드 스케이트는 스케이트 앞부분에 토 스톱(고무 브레이크)이 있는 반면, 인라인 스케이트는 앞부분에도 바퀴가 있어 브레이크를 달 경우 보통 한쪽 스케이트의 뒷부분에만 부착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약간 튀어나온 노면에도 비교적 덜 걸려 넘어지게 되었다. 스케이터 스스로 바퀴를 수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스키처럼 발목을 벨트로 단단히 고정하는 부츠 형태가 많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쿼드 스케이트보다 직진성이 뛰어나 속도를 내기 쉽다. 이 때문에 인라인 스케이트가 등장하면서 로드 레이스나 마라톤 경기가 활발해졌다. 그 외에도 스키 선수들의 지상 훈련이나 경찰관의 교통 정리[23]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뉜다.
- 피트니스: 가볍게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한 모델로, 보통 뒤쪽에 브레이크가 달려 있다.
- 어그레시브: 점프나 기술을 구사하기 위해 튼튼하게 만들어졌으며, 그만큼 무게가 있다.
- 프리스타일: 주로 슬라럼(콘 사이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기술)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 하키: 인라인 하키 경기에 사용되는 스케이트이다.
- 아티스틱: 얼음 위 피겨 스케이팅처럼 토 스톱(앞 브레이크)이 달려 있어 점프나 스핀 기술을 구사할 수 있다.
- 스피드: 인라인 스피드 스케이팅용으로, 발목이 낮은 로우 컷 형태의 가벼운 부츠를 사용한다. 빠른 속도를 위해 5개의 바퀴를 가진 모델도 있다.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유스 올림픽의 정식 종목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트에 사용된다.
- 알파인: 포장된 내리막길을 스키처럼 활강하는 데 사용된다.
4. 롤러스케이트의 구성 요소
롤러스케이트는 크게 발을 감싸는 부츠, 바퀴를 고정하는 프레임, 지면에 닿아 구르는 바퀴, 그리고 바퀴의 회전을 돕는 베어링 등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 요소는 롤러스케이트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만들어진다.
4. 1. 바퀴 (휠)
롤러스케이트의 바퀴는 주로 휠(wheel)이라고 불린다. 폴리우레탄으로 성형되며, 큰 것에는 나일론 허브가 장착되어 있다. 용도에 따라 직경과 모양이 다르며, 노면에 따라 적절한 경도가 다르다. 휠의 경도는 일반적으로 미국 재료 시험 협회 규정의 단위 '''A'''로 표시되며, 어그레시브 롤러 스케이트의 경우 57mm·90A 정도, 레이스용 롤러 스케이트의 경우 100mm·85A 정도, 피트니스용 롤러 스케이트의 경우 80mm·80A 정도의 휠이 사용된다.베어링에는 608번 미니어처 볼 베어링이 휠당 두 개씩 사용된다. 외경이 작은 688번도 "마이크로 베어링"이라는 통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4. 2. 베어링
롤러스케이트 바퀴의 회전을 돕는 베어링에는 주로 608번 미니어처 볼 베어링이 휠 하나당 두 개씩 사용된다. 외경이 더 작은 688번 베어링도 "마이크로 베어링"이라는 통칭으로 사용되고 있다.5. 롤러스케이팅의 다양한 형태
롤러스케이팅은 단순히 바퀴 달린 신발을 신고 이동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기술과 속도를 겨루는 스포츠 종목부터 예술적인 표현을 추구하는 활동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대표적인 예로 어그레시브 인라인 스케이트는 하프 파이프나 스케이트 파크 등에서 점프나 미끄러지는 기술을 구사하는 익스트림 스포츠의 한 분야이다. 또한, 트릭 슬라럼은 일렬로 놓인 장애물(파이론) 사이를 통과하며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종목으로, 기술의 정확성과 창의성이 중요하다. 이 외에도 스피드 스케이팅, 인라인 하키 등 다양한 롤러스포츠 경기가 국제 롤러스포츠 연맹과 같은 기구를 통해 조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5. 1. 어그레시브 인라인 스케이트

쿼드 스케이트에서 행해지던 스턴트 기술을 인라인 스케이트에 적용한 것이다. 주로 하프 파이프나 스케이트 파크와 같은 시설에서 "에어"(공중 점프 기술)나 "그라인드"(레일이나 모서리를 미끄러지는 기술) 등의 기술을 구사하는 익스트림 스포츠의 한 종류이다.
5. 2. 트릭 슬라럼

트릭 슬라롬은 일직선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파이론(콘) 사이를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슬라롬 방식으로 통과하는 종목이다.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 즉 "트릭"을 섞어서 보여주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파이론은 직선상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며, 세계적인 프리스타일 슬라롬(FSS) 표준 간격은 120cm, 80cm, 50cm이다. 일본에서는 150cm 간격으로 배치하기도 한다. 파이론 개수는 규정이 다양하지만, 보통 간격에 맞춰 12개에서 20개 정도를 사용한다.
트릭 슬라롬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본적인 트릭이 있으며, 이들을 조합한 콤비네이션 트릭으로 연기(루틴)를 구성한다.
- 크로스: 발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파이론을 넘는다.
- 스네이크: 발을 앞뒤로 벌려, 뱀이 움직이는 것처럼 S자로 통과한다.
- 원풋: 한 발만으로 파이론을 통과한다.
- 오픈: 발가락을 바깥 방향으로 연 채로 활주한다.
- 클로즈: 발가락을 안쪽 방향으로 닫은 채로 활주한다.
- B 스핀: 파이론 사이에서 1회전 스핀을 한다.
- O 스핀: 파이론을 넘은 상태에서 1회전 스핀을 한다.
기본 트릭은 진행 방향에 따라 앞을 뜻하는 「포워드(Forward, F)」, 뒤를 뜻하는 「백(Back, B)」의 접두사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예: F크로스, B스네이크 등)
콤비네이션 트릭은 이러한 기본 트릭들을 조합한 "루틴"이며, "비연(飛燕)", "부지화(不知火)", "대사(大蛇)", "용선(龍旋)" 같은 일본식 이름 외에, "볼테(Volte)", "크레이지(Crazy)" 등의 서양식 이름이 붙은 콤비네이션도 있다.
어그레시브 인라인과 같은 전용 스케이트는 없으며, 어떤 유형의 스케이트로도 가능하다. 다만 트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빠른 하중 이동에 잘 견딜 수 있는, 즉 강성이 높은 스케이트가 조작성과 안정성 면에서 뛰어나 선호된다. 또한,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휠의 직경은 80mm 전후를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4개의 휠 중 가장 앞과 뒤의 두 휠을 약간 작은 것으로 교체하는 방식(로커링)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5. 3. 롤러 스포츠 경기

국제 롤러스포츠 연맹 (World Skate)은 롤러스포츠를 총괄하는 국제 기구이다. 일본의 국내 경기 연맹은 월드 스케이트 재팬 (World Skate Japan)이다.
'''국제 인라인 스케이트 기후 나가라가와 대회'''
통칭 "기후 나가라가와 컵"으로 불리며, 1995년부터 매년 11월 상순 기후시의 나가라가와 공원에서 열리는 일본 최대 규모의 대회이다. 1,500명 이상이 참가한다.
; 개최 종목
- 인라인 크로스
- 인라인 하키
- 로드 레이스
'''JASPA (Japan Aggressive Skating Public Association)'''
어그레시브 인라인 스케이트의 전일본 선수권 대회이다. 프로 스케이터 야스토코 형제가 소속된 (주)굿 스케이트가 주최하며, 매년 여름 고베시의 "g" 스케이트 파크에서 열린다. 상위 입상한 아마추어 선수에게는 미국에서 개최되는 아마추어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권이 주어진다.
; 개최 종목
- VERT (하프 파이프)
- PARK (스트리트)
'''ASPO 어린이날 이벤트 (ASPO Spring festival)'''
오카야마시의 액션 스포츠 파크 오카야마 (2011년 폐쇄)에서 매년 5월에 열렸던 이벤트이다. 이 행사에서는 World Slalom Skater Association 공인 슬라롬 콘테스트가 2010년까지 개최되었다. [https://www.wssaskating.com/Result.aspx?cid=26]
6. 롤러스케이팅과 건강
7. 롤러스케이팅 관련 단체
롤러스케이트 링크 운영자 협회는 1937년 미국에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롤러스케이트 협회(Roller Skating Associationeng)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협회는 롤러스케이트를 장려하고 대중을 위한 강습을 제공하며, 롤러스케이트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회장은 바비 펜더이며, 협회 본부는 인디애나폴리스에 위치해 있다.
8. 롤러스케이팅과 법규 (일본)
일본에서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교통이 빈번한 도로"에서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13] '빈번함'의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보행자나 차량 등과의 교통 위험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교통량이 있는 장소로 해석된다. 일반적인 공원에서도 시설이 손상되거나 주변에 위험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금지되는 경우가 있으나, 롤러스케이트 링크나 스케이트 파크[14]와 같은 시설에서는 이용이 가능하다.
참조
[1]
서적
Foot and ankle sports orthopaedics
Springer
2017-02-21
[2]
서적
Bicycling Science
"{{GBurl|id=0JJo6DlF[...]
MIT Press
[3]
뉴스
The Victorian craze that sparked a mini-sexual revolution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4-06
[4]
웹사이트
Article: Roller Skating Being Considered for Olympics @ SkateMall.com
http://www.skatemall[...]
[5]
웹사이트
There's a Worldwide Shortage of Roller Skates
https://www.vogue.co[...]
2020-07-02
[6]
간행물
Roller skating is having a revival, but whatever you do don't call it a trend
https://www.harpersb[...]
2021-03-30
[7]
웹사이트
All About Roller Skatin
http://www.rollerska[...]
2018-01-26
[8]
문서
'例: *[http://www.rollernews.com/police-nationale-french-skating-police_2386.html Police Nationale : French Skating Police] パリ警察 *[http://goretro.blogspot.jp/2010/05/at-carhop.html Go Retro!: At the Carhop] アメリカのレストラン *[http://www.tcmit.org/mailmagazine/2010/02/-vol14.html 産業技術記念館メールマガジン「赤レンガ通信」Vol.14] インドネシアの紡績工場'
[9]
웹사이트
The Wild Evolution of the Roller Skate
https://www.thoughtc[...]
2023-10-28
[10]
웹사이트
http://funindiazone.[...]
[11]
웹사이트
http://www.rollerska[...]
[12]
문서
"[[아스팔트]]포장은[[19세기]]가 되고 나서 퍼졌다고 되므로 ([[:en:Asphalt]])、사용할 수 있는 장소도 한정되어 있던 모양"
[13]
웹사이트
道路交通法(昭和三十五年法律第百五号)第七十六条の4の三:禁止行為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6-14
[14]
문서
시설에 따라서는[[스케이트보드]]전용인 경우도 있으므로 요확인
[15]
문서
明治世相編年辞典 朝倉治彦・稲村徹元
[16]
뉴스
日本ニュース 戦後編 第138号|日本ニュース|NHK 戦争証言アーカイブス
https://www2.nhk.or.[...]
[17]
뉴스
パリと岡山の共通点はローラースケート?(Excite Bit コネタ) - エキサイトニュース
https://www.excite.c[...]
[18]
웹사이트
日本ローラースポーツ連盟年表
http://www.jrsf.com/[...]
[19]
뉴스
青鉛筆『朝日新聞』1978年(昭和53年)8月15日朝刊、13版、19面
[20]
간행물
SPACE OF FOLK&ROCK 『NEW YORK 堀川まゆみ』
"[[집영사]]"
[21]
웹사이트
昭和に流行した「ローラースケート」のお話。あのアイドル登場で空前の大ブームへ│懐かしのスポーツ回顧録 {{!}} 趣味×スポーツ『MELOS』
https://melos.media/[...]
2020-05-18
[22]
문서
登録第1326171号(米国)、登録第4157947号(日本)。親会社のノルディカ名義で登録
[23]
웹사이트
Police on Skates Around the World
http://www.skatel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