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간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간다어는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반투어군의 일종이다. 원시 반투어에서 진화했으며, 외부 공동체와의 교류를 통해 아랍어, 영어 등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루간다어는 자음 중복,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 성조 언어라는 특징을 가지며, 5개의 모음과 여러 자음 체계를 갖는다. 문법적으로는 명사 중심적이며, 명사 부류에 따라 명사, 형용사, 동사 등이 일치한다. 루간다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표준화된 철자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명사, 형용사, 부사, 소유격, 동사, 수사 등 다양한 문법 범주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우간다의 언어 - 구자라트어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 주를 중심으로 약 6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로, 12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어휘를 가진, 인도 헌법 지정 언어이자 구자라트 주의 공용어이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SVO형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SVO형 언어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루간다어 | |
|---|---|
| 개요 | |
| 언어명 | 간다어 |
| 자칭 | 올ুগ한다 (Oluganda) |
| 관련 민족 | 바간다족 |
| 사용 국가 | 우간다 |
| 사용 지역 | 부간다 지역 |
| 사용자 수 (L1) | 약 561만 명 (2014년) |
| 사용자 수 (L2) | 약 539만 명 (2014년) |
| 언어학적 분류 | |
| 어족 | 니제르-콩고어족 |
| 어파 | 대서양-콩고어파 |
| 어군 | 볼타-콩고어군 |
| 하위 어군 | 베누에-콩고어군 |
| 분기군 | 반토이드어군 |
| 하위 분기군 | 남부 반토이드어군 |
| 어군 | 반투어군 |
| 하위 어군 | 북동 반투어군 |
| 분기군 | 대호수 반투어군 |
| 어군 | 서부 냔자어군 |
| 하위 어군 | 북부 냔자어군 |
| 조어 | 초기-루간다어 (early-Luganda) |
| 방언 | |
| 문자 체계 | |
| 문자 | 라틴 문자 (간다 문자) |
| 점자 | 간다 점자 |
| 언어 코드 | |
| ISO 639-1 | lg |
| ISO 639-2 | lug |
| ISO 639-3 | lug |
| Glottolog | gand1255 |
| Guthrie | JE.15 |
2. 역사
루간다어는 반투어군의 일종으로,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른 반투어와 어원을 공유한다. 루간다어의 구체적인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지만, 모든 반투어의 조상 언어인 원시 반투어에서 진화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1]
18세기에서 19세기 동안, 루간다어는 외부 공동체(아랍 상인, 선교사, 식민주의자)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유입된 사람들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가져왔다. 특히 이전에 그 땅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들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차이(shay|차ar), 디이니(종교), 쌀라(기도)와 같은 단어, 그리고 영어에서 사티(셔츠), 에모토카(자동차) 등이 있다.[1]
2. 1. 기원과 발전
루간다어는 반투어군의 일종으로,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른 반투어와 어원을 공유한다. 루간다어의 구체적인 기원은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지만, 모든 반투어의 조상 언어인 원시 반투어에서 진화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1]18세기에서 19세기 동안, 루간다어는 외부 공동체(아랍 상인, 선교사, 식민주의자)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유입된 사람들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가져왔다. 특히 이전에 그 땅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들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차이(shay|차ar), 디이니(종교), 쌀라(기도)와 같은 단어, 그리고 영어에서 사티(셔츠), 에모토카(자동차) 등이 있다.[1]
2. 2. 외부 영향
18세기에서 19세기 동안, 루간다어는 외부 공동체(아랍 상인, 선교사, 식민주의자)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유입된 사람들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가져왔다. 특히 이전에 그 땅에 존재하지 않았던 것들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차이(shay|샤이ar, 차), 디이니(종교), 쌀라(기도)와 같은 단어, 그리고 영어에서 사티(셔츠), 에모토카(자동차) 등이 있다.[49]3. 음운
루간다어의 음운은 자음 중복,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 그리고 성조를 특징으로 한다.
루간다어는 성조 언어로, 음절의 높낮이에 따라 단어의 뜻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kabaka'는 모든 음절을 같은 높이로 발음하면 '왕'을 뜻하지만, 첫 음절을 높게 발음하면 '작은 아이가 잡는다'라는 뜻이 된다.[48] 이러한 성조는 비원어민 화자가 루간다어를 배우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이다.[48]
루간다어의 음절은 모음(V), 자음+모음(CV), 이중 자음+모음(GV), 비음+자음+모음(NCV), 자음+반모음+모음(CSV), 이중 자음+반모음+모음(GSV), 비음+자음+반모음+모음(NCSV)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모음, C는 단일 자음(비음 및 반모음 포함, 쌍자음 제외), G는 쌍자음, N은 비음화 파열음, S는 반모음을 나타낸다.
몇 가지 음운 배열 규칙이 존재한다.
- 두 모음은 인접할 수 없다. 형태론적 또는 문법 규칙에 따라 두 모음이 만나는 경우, 첫 번째 모음은 탈락되거나 반모음으로 축소되고 두 번째 모음은 가능하면 장모음으로 장음화된다.
- 자음–반모음 결합([ɡːw] 제외) 뒤에 오는 모음은 항상 장모음이다. [ɡːw] 뒤에는 모음이 장모음 또는 단모음이 될 수 있다.
- 비음–파열음 결합 뒤에 오는 모음은 항상 장모음이다.
- 쌍자음 뒤에 오는 모음은 항상 단모음이다. 이 규칙은 위의 모든 규칙보다 우선한다.
- 연구개음 파열음 [k]과 [g]는 모음 [i] 또는 반모음 [j] 앞에 나타나지 않으며, 이 위치에서 각각 후치경음파찰음 [tʃ]과 [dʒ]가 된다.
- 자음 [j], [w], [l]/[r]의 이중 자음과 전비음은 없다.
- 자음은 동시에 이중 자음화 및 전비음화될 수 없다.
이러한 규칙으로 인해, 루간다어 단어는 자음군과 모음이 번갈아 나타나며, 어말은 모음으로 끝나는 패턴을 보인다.
3. 1. 특징
루간다어 음운론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자음 중복과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이다.[10]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음 중복과 모음 연장을 "이중화" 또는 "강세"라고 부르며, 이를 동일한 효과의 두 가지 표현으로 간주한다.[10]루간다어는 성조 언어이기도 하다.[10] 음절의 음높이 변화는 단어의 의미를 바꿀 수 있다.[10] 예를 들어, kabakalg는 세 음절 모두 동일한 음높이로 발음될 경우 '왕'을 의미한다.[10] 첫 번째 음절이 높으면 '작은 아이가 잡는다' (3인칭 단수 현재형 VI급 kalg- of -bakalg '잡다')로 의미가 바뀐다.[10] 이러한 특징은 루간다어를 비성조 언어 화자가 배우기 어렵게 만든다.[10] 비원어민 화자는 오랜 청취를 통해 음높이의 변화를 배워야 한다.[10]
다른 일부 반투어와 달리, 루간다어에서는 끝에서 두 번째 모음이 길어지는 경향이 없다.[11] 실제로, 캄팔라 Kámpalâlg와 같이 두 번째 모음이 루간다어에서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도시 이름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11]
루간다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위 표에서, [l]과 [r] 두 유음은 하나의 음소의 이음이지만, 화자는 정서법에 반영되는 소리의 차이를 인식한다. 또한 순치음 마찰음 /f/와 /v/는 IPA에서는 [fʷ], [vʷ]로도 표기된다. 후치경음 파찰음 /tʃ/, /dʒ/는 경구개음 파열음 ([c] 및 [ɟ]) 또는 파찰음 ([cç] 및 [ɟʝ])으로도 발음된다.
/l~r/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중자음화될 수 있다. 파찰음 /tʃ/와 /dʒ/는 중자음화되면 각각 [tːʃ], [dːʒ]가 된다. 접근음 /w/와 /j/는 중자음화되면 각각 [ɡːw], [dːʒ]가 된다.
/l~r/, /w/, /j/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비음을 앞에 붙여 전비음이 될 수 있다. 이때 자음은 조음점에 따라 [m], [n], [ɲ], [ŋ]가 되며, 바로 뒤의 자음과 같은 음절에 포함된다.
유음 /l~r/은 중자음화 및 전비음화했을 때 [d]가 된다. 자음은 중자음화와 전비음화를 동시에 겪을 수 없다.
비음 [m], [n], [ɲ], [ŋ]는 어두에서 음절이 될 수 있다.
음절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26]
- V (단어의 첫 음절로만 사용)
- CV
- GV
- NCV
- CSV
- GSV
- NCSV
여기서 V = 모음, C = 단일 자음 (비음 및 반모음 포함, 중복 자음 제외), G = 중복 자음, N = 비음 파열음, S = 반모음
이러한 형태는 특정 음운 제약을 받는다.[26]
- 두 개의 모음이 서로 인접하여 나타날 수 없다. 형태론적 또는 문법 규칙에 따라 두 개의 모음이 만나는 경우, 첫 번째 모음은 탈락되거나 반모음으로 축약되고, 두 번째 모음은 가능하면 장모음으로 장음화된다.
- 자음-반모음 조합 ( 제외) 다음에 오는 모음은 단어의 끝을 제외하고 항상 길게 발음된다. 뒤에서는 모음이 길거나 짧을 수 있다. 단어의 끝에서는 모든 모음이 짧게 발음된다.[26]
- 비음-파열음 조합 다음에 오는 모음은 항상 길게 발음된다.
- 중복 자음 다음에 오는 모음은 항상 짧게 발음된다. 이 규칙은 위의 모든 규칙보다 우선한다.
- 연구개음 파열음 와 는 모음 또는 반모음 앞에 나타날 수 없다. 이 위치에서 해당 자음은 각각 해당 치경후음 파찰음 와 가 된다.
- 자음 , 및 은 중복되거나 비음화 파열음이 될 수 없다.
- 자음은 중복되면서 비음화될 수 없다.
3. 2. 홀소리 (모음)
루간다어에는 5개의 모음이 있으며, 각각 장모음과 단모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모음의 음질은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루간다어의 장모음은 단모음 길이의 두 배 이상으로 매우 길다.[12] 비음화 자음 앞의 모음도 길어지지만, 장모음만큼 길지는 않다.[12] 쌍자음 앞에서는 모든 모음이 단모음이다.
3. 3. 닿소리 (자음)
/l~r/lg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도 자음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biri|/bːíri/|둘lg, ''kitto|/cítːo/|추위lg''가 있다. 접근음 /w/lg와 /j/lg는 각각 /ɡːw/lg 및 /ɟː/lg로 중복된다. 예를 들어 eggwanga|/eɡːwáːŋɡa/|국가lg, jjenje|/ɟːéːɲɟe/|크리켓lg이 있다.[13]/l~r/lg, /w/lg, /j/lg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비음화될 수 있다. 유음 /l~r/lg은 자음 중복 또는 비음화될 때 /d/lg가 된다. 예를 들어 ndaba|/n̩dába/|나는 본다lg, eddagala|/edːáɡala/|잎lg과 같다.
자음은 자음 중복과 비음화를 동시에 할 수 없다. 비음 /m/lg, /n/lg, /ɲ/lg, /ŋ/lg은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음절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kima|/ɲ̩címa/|원숭이lg, mpa|/m̩pá/|내가 준다lg, nnyinyonnyola|/ɲ̩ɲiɲóɲːola/|내가 설명한다lg 또는 nnyinyonnyola|/ɲːiɲóɲːola/|내가 설명한다lg가 있다.
3. 4. 성조
루간다어는 성조 언어로, 높은 음(á), 낮은 음(à), 하강조(â)의 세 가지 성조가 있다. 루간다어에는 상승조(àá)가 있는 음절은 없는데, 이는 자동으로 áá가 되기 때문이다.[14][15]다양한 유형의 성조가 존재한다.
- (a) 어휘 성조: 단어에 항상 존재한다. (예: ekib'''ú'''ga|에키부가lg '도시')
- (b) 구 성조: 특정 문맥에서 단어에 자동으로 추가되지만, 다른 문맥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예: ekítábó|에키타보lg 또는 ekitabo|에키타보lg '책')
- (c) 고원 성조: 두 어휘 성조 사이에서 음높이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이다. (예: k'''í'''rí mú Úg'''áń'''da|키리 무 우간다lg '그것은 우간다에 있다')
- (d) 문법 성조: 특정 시제 또는 동사의 사용과 관련이 있다.
- (e) 경계 성조: 단어나 구의 마지막 음절에 영향을 미치며, 질문과 같은 사항을 나타낼 수 있다.
성조는 모라에 의해 전달된다. 루간다어에서 단모음은 1모라, 장모음은 2모라를 가진다. 이중 자음 또는 비음화 자음은 1모라를 가진다. 자음 + 반모음(예: gw|gwlg 또는 ly|lylg)도 1모라를 가진다. 비음화 자음 다음에 오는 모음은 비음화 자음에 속하는 것을 포함하여 2모라를 가진다. ekitabo|에키타보lg '책'과 같은 단어의 초기 모음은 종종 길게 발음되지만 1모라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하강조는 장모음(okukóoká|오쿠코카lg '울다')을 가진 음절,[16] 이중 자음이 뒤따르는 단모음(okubôbbá|오쿠보빠lg '맥박이 뛰다')을 가진 음절,[16] 모음 다음에 비음화 자음이 오는 음절(Abagândá|아바간다lg '바간다족'), 자음 + 반모음 뒤에 오는 음절(okulwâlá|오쿨롸라lg '병에 걸리다')에서 들을 수 있다.[16] 또한 ensî|엔시lg '국가'와 같이 마지막 모음에서도 들을 수 있다.
루간다어의 단어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패턴 중 하나에 속한다.
- (a) 어휘 성조가 없는 경우: (예: ekitabo|에키타보lg '책')
- (b) 하나의 높은 어휘 성조가 있는 경우: (예: ekib'''ú'''ga|에키부가lg '도시')
- (c) 두 개의 높은 어휘 성조가 있는 경우: (예: K'''á'''mpal'''á'''|캄팔라lg는 HHH, 즉 또는 ). 문장의 끝에서 마지막 어휘 성조는 하강조가 되지만, 단어가 문장의 주어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다른 문맥에서는 높은 음을 유지한다. (예: Kámpálá kibúga|캄팔라 키부가lg '캄팔라는 도시이다'.)[17]
ekitabo|에키타보lg와 같은 단어는 이론적으로 무성조이지만, 일반적으로 첫 번째 모라를 제외한 모든 모라가 자동으로 높은 음을 얻는 성조 상승 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ekitabo|에키타보lg '책'은 일반적으로 로 발음되고, ssomero|쏘메로lg '학교'는 로 발음된다(여기서 장자음 는 첫 번째 모라로 계산된다).[18] 이러한 무성조 단어에 자동으로 추가되는 성조를 '구 성조'라고 한다. 성조 상승 규칙은 eddw'''â'''liro|에드롸리로lg '병원' 및 t'''ú'''genda|투겐다lg '우리는 간다'와 같은 단어의 끝에 있는 무성조 음절에도 적용되며, 어휘 성조 뒤에 적어도 하나의 낮은 음조 모라가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문장의 주어로 무성조 단어가 사용되거나 숫자 앞에 오는 경우와 같은 특정 문맥에서는 이 성조 상승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예: Masindi kib'''ú'''ga|마신디 키부가lg '마신디는 도시이다'. ebitabo kk'''ú'''mi|에키타보 쿠미lg '10권의 책'.)[19]
문장에서 어휘 성조는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일련의 단계로 점차적으로 떨어진다. (예: kye kib'''ú'''ga ekik'''ú'''lu mu Ug'''áń'''da|켸 키부가 에키쿨루 무 우간다lg '그것은 우간다의 주요 도시이다'에서 음절 bú|부lg, kú|쿠lg, gá|가lg의 어휘 높은 음조가 두드러지고 점차적으로 음높이가 내려간다.)[20] 이 현상을 '하강'이라고 한다.
그러나 '명사 + of + 명사' 또는 '동사 + 위치' 형태의 특정 구절에서는 하강이 발생하지 않고, 대신 두 개의 어휘 높은 음조 사이의 모든 음절이 '성조 고원'으로 연결되어 모든 모음이 동일한 높이의 음조를 갖는다. (예: mu mas'''é'''réngétá g'''á''' Úg'''áń'''da|무 마세렝게타 가 우간다lg '우간다 남부에서' 또는 k'''í'''rí mú Úg'''áń'''da|키리 무 우간다lg '그것은 우간다에 있다'.)[21]
고원은 어휘 성조와 그 뒤에 오는 구 성조 사이에서는 형성될 수 없다. 따라서 문장 k'''í'''ri mu Bunyóró|키리 무 부뇨로lg '그것은 부뇨로에 있다'에는 하강이 있는데, Bunyóró|부뇨로lg의 음조는 구 성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 성조는 그 뒤에 오는 어휘 성조 또는 구 성조와 고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종종 그렇게 한다. (예: abántú mú Úg'''áń'''da|아반투 무 우간다lg '우간다의 사람들'에는 abántú|아반투lg의 구 성조에서 Ug'''áń'''da|우간다lg의 어휘 성조까지 고원이 있다.)[22]
접두사는 때때로 단어의 성조를 변경한다. (예: Bag'''áń'''da|바간다lg '그들은 바간다족이다'는 LHHL을 갖지만, 초기 모음 a-|아-lg를 추가하면 Abag'''â'''ndá|아바간다lg '바간다족'이 'ga'에 하강조가 있고 마지막 음절에 구 성조가 된다.)
다른 동사 시제는 다른 성조 패턴을 갖는다. 동사의 성조는 일부 동사가 어근의 첫 번째 음절에 높은 어휘 성조를 갖고 다른 동사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과 미슨의 규칙이라고 하는 규칙에 의해 일반적으로 HH가 HL이 된다는 사실에 의해 더 복잡해진다. (예: asóma|아소마lg는 '그는 읽는다'를 의미하지만, 무성조 접두사 a-|아-lg '그/그녀'가 높은 음조 접두사 bá-|바-lg '그들'로 대체되면, básóma|바소마lg 대신 básomá|바소마lg '그들은 읽는다'가 된다.)[24]
어휘 성조, 구 성조 및 시제의 성조 패턴 외에도 루간다어에는 질문의 음조와 같은 억양 성조도 있다. (예: lúnó lúgúúdò?|루노 루구도lg '이것이 길입니까?'.)[25]
3. 5. 음소 배열
음절은 V, CV, GV, NCV, CSV, GSV, NCSV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V는 모음, C는 단일 자음(비음 및 반모음 포함, 쌍자음 제외), G는 쌍자음, N은 비음 파열음, S는 반모음을 나타낸다.이러한 형태는 특정 음운 제약에 따라 제한된다.
- 두 모음은 서로 인접하여 나타날 수 없다. 형태론적 또는 문법 규칙에 따라 두 모음이 만나는 경우, 첫 번째 모음은 탈락되거나 반모음으로 축소되고 두 번째 모음은 가능하면 장모음으로 장음화된다.
- 자음–반모음 결합()을 제외하고 뒤에 오는 모음은 단어의 끝을 제외하고 항상 장모음이다. 뒤에는 모음이 장모음 또는 단모음이 될 수 있다. 단어의 끝에서는 모든 모음이 단모음으로 발음된다.[43]
- 비음–파열음 결합 뒤에 오는 모음은 항상 장모음이다.
- 쌍자음 뒤에 오는 모음은 항상 단모음이다. 이 규칙은 위의 모든 규칙보다 우선한다.
- 연구개음 파열음 및 는 모음 또는 반모음 앞에 나타날 수 없다. 이 위치에서 해당 음은 각각 대응하는 후치조음 파찰음 및 가 된다.
- 자음 , 및 는 쌍자음화되거나 비음화 파열음될 수 없다.
- 자음은 쌍자음화와 비음화 파열음을 동시에 가질 수 없다.
이러한 제약의 결과로 모든 루간다어 단어는 자음군과 모음이 교대로 나타나는 패턴을 따르며, 항상 모음으로 끝난다.
- (V)XVXV...XV
여기서 V = 모음, X = 자음군, (V) = 선택적 모음
이는 쓰기에서 단어가 항상 모음 뒤에서 하이픈으로 구분되는 음절 분리 규칙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Emmotoka yange ezze|엠모토카 양게 에쩨lg ('내 차가 도착했다')는 E‧mmo‧to‧ka ya‧nge e‧zze|에‧ㅁ모‧토‧카 야‧응에 에‧쩨lg와 같이 음절로 나뉜다.
3. 6. 발음 변이
경구개 파열음 와 는 와 또는 후치경음 와 로 나타날 수 있다.[30] 말하기에서, 단어의 마지막 모음은 특정 환경에서 삭제될 수 있다. 비음화 자음 앞의 긴 모음은 비모음이 될 수 있으며, 비음은 종종 삭제된다. 유음 은 앞 모음에 따라 과 의 두 가지 이음을 갖는다.[30]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ekiddugavu|에키두가부lg '검은'은 또는 로 발음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waki|롸키lg '왜'는 , 또는 로 발음될 수 있다.
4. 정서법 (맞춤법)
루간다어의 맞춤법은 1947년부터 표준화되었으며,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새로운 문자 Eng (letter)|ŋlg과 단일 문자로 취급되는 이중자 ny (digraph)|nylg가 추가되었다.[44] 소리와 문자의 대응 관계가 매우 높아, 한 문자는 보통 한 소리를 나타낸다.
단일 자음과 쌍자음의 구분은 항상 명시적으로 표현된다. 단일 자음은 단일 문자로, 쌍자음은 이중 문자로 표기한다.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은 맞춤법으로 항상 명확하게 구분되지만 항상 명시적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 단모음은 항상 단일 문자로 표기하고, 장모음은 문맥에서 그 길이를 추론할 수 없는 경우에만 이중 문자로 표기한다. 강세와 성조는 맞춤법으로 표현되지 않는다.[44]
5개의 모음 모두에 장모음과 단모음이 있다. 이 구별은 음운론적으로 유의미하지만, 나타나는 위치는 제한되어 있다. 루간다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일부 고유명사는 발음되는 대로 표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Ugandalg는 Yugandalg로 표기된 것처럼 발음되고, Tesolg는 Tteesolg로 발음된다.[44]
4. 1. 알파벳
루간다어의 표준 알파벳은 24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18개의 자음: blg, plg, vlg, flg, mlg, dlg, tlg, llg, rlg, nlg, zlg, slg, jlg, clg, glg, klg, nylg, ŋlg
- 5개의 모음: alg, elg, ilg, olg, ulg
- 2개의 반모음: wlg, ylg
ŋlg은 표준 타자기나 컴퓨터 키보드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종종 nglg'(아포스트로피 포함) 조합으로 대체된다. 일부 비표준 표기법에서는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지 않아 ŋlg과 다른 nglg 문자 조합과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문자 조합 nylg는 고유한 자음으로 취급된다. 문자 nlg과 ylg가 서로 옆에 나타나면, 이 조합과 nylg를 구별하기 위해 분음 부호가 있는 nÿlg로 쓰인다.
hlg, qlg, xlg는 알파벳에 사용되지 않지만, 다른 언어에서 온 차용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차용어 대부분은 루간다어 표기법과 일치하는 표준화된 철자를 가지고 있지만, 특히 영어 단어의 경우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5. 문법
대부분의 반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루간다어의 문법은 명사 중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문장의 대부분의 단어가 명사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일치는 성과 수에 의해 이루어지며, 단어 어간의 시작 부분에 접두사를 붙여 표시한다.
다음 품사들은 종류와 수에 따라 명사와 일치한다.
형용사, 동사, 특정 부사, 소유격 및 몇 가지 특수한 형태의 접속사는 루간다어의 명사와 일치하도록 굴절된다.
5. 1. 명사 부류
반투어 연구에서 "명사 부류"라는 용어는 비교 언어학 및 특정 다른 언어 연구에서 성이라고 불리는 것을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루간다어의 명사 부류는 10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 9개는 별도의 단수 및 복수 형태를 갖는다. 이는 반투어가 아닌 언어 연구와 일치하는 방법이다.다음 표는 루간다어의 10개 전통 부류가 원시 반투어 명사 부류에 어떻게 매핑되는지 보여준다.
| 루간다어 부류 | 수 | 원시 반투어 부류 |
|---|---|---|
| I (MU-BA) | 단수 | 1, 1a |
| 복수 | 2 | |
| II (MU-MI) | 단수 | 3 |
| 복수 | 4 | |
| III (N) | 단수 | 9 |
| 복수 | 10 | |
| IV (KI-BI) | 단수 | 7 |
| 복수 | 8 | |
| V (LI-MA) | 단수 | 5 |
| 복수 | 6 | |
| VI (KA-BU) | 단수 | 12 |
| 복수 | 14 | |
| VII (LU-N) | 단수 | 11 |
| 복수 | 10 | |
| VIII (GU-GA) | 단수 | 20 |
| 복수 | 22 | |
| IX (KU-MA) | 단수 | 15 |
| 복수 | 6 | |
| X (TU) | (구분 없음) | 13 |
대부분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부류 간의 명사 분포는 본질적으로 임의적이지만, 몇 가지 패턴이 있다.
- I 부류는 주로 사람을 포함하지만, 일부 무생물 명사도 이 부류에 속한다: musajja|무사자lg '남자', kaawa|카와lg '커피'
- II 부류는 모든 종류의 명사를 포함하지만, II 부류의 구체 명사 대부분은 길거나 원통형이다. 대부분의 나무가 이 부류에 속한다: muti|무티lg '나무'
- III 부류도 다양한 유형의 개념을 포함하지만, 대부분의 동물이 이 부류에 속한다: embwa|음브와lg '개'
- IV 부류는 무생물 물체를 포함하며, 인칭 대명사 '그것'에 사용되는 부류이다: ekitabo|에키타보lg '책'
- V 부류는 주로 큰 것과 액체를 포함하며, 확대형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ebbeere|에베레lg '유방', lintu|린투lg '거인' (muntu|문투lg '사람'에서)
- VI 부류는 주로 작은 것을 포함하며, 축소형, 형용사 추상 명사 및 (복수형으로) 부정 동사 명사 및 국가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kabwa|카브와lg '강아지' (embwa|음브와lg '개'에서), bukan আনুগত্য|부카나푸lg '게으름' (munafu|무나푸lg '게으른'에서), bukola|부콜라lg '불활동, 하지 않음' (kukola|쿠콜라lg '하다, 행동하다'에서), Bungereza|붕게레자lg '영국, 잉글랜드' (Mungereza|뭉게레자lg '영국인, 영국 사람'에서)
- VII 부류는 대부분의 언어 이름을 포함하여 다양한 것을 포함한다: Oluganda|올루간다lg '간다어', Oluzungu|올루중구lg '영어' (muzungu|무중구lg '유럽인, 백인'에서)
- VIII 부류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경멸적 형태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gubwa|구브와lg '쓰레기' (embwa|음브와lg '개'에서)
- IX 부류는 주로 부정사 또는 긍정 동사 명사에 사용된다: kukola|쿠콜라lg '행동, 하다' (동사 kola|콜라lg '하다, 행동하다'에서)
- X 부류는 단수-복수 구분이 없으며, 질량 명사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한 방울' 또는 '매우 적은 양'의 의미를 갖는다: tuzzi|투지lg '물 한 방울' (mazzi|마지lg '물'에서), tubaka|투바카lg '수면'
명사가 속한 부류는 일반적으로 접두사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 I 부류: 단수 (o)mu-|오무-lg, 복수 (a)ba-|아바-lg
- II 부류: 단수 (o)mu-|오무-lg, 복수 (e)mi-|에미-lg
- III 부류: 단수 (e)n-|엔-lg, 복수 (e)n-|엔-lg
- IV 부류: 단수 (e)ki-|에키-lg, 복수 (e)bi-|에비-lg
- V 부류: 단수 li-|리-lg, eri-|에리-lg, 복수 (a)ma-|아마-lg
- VI 부류: 단수 (a)ka-|아카-lg, 복수 (o)bu-|오부-lg
- VII 부류: 단수 (o)lu-|올루-lg, 복수 (e)n-|엔-lg
- VIII 부류: 단수 (o)gu-|오구-lg, 복수 (a)ga-|아가-lg
- IX 부류: 단수 (o)ku-|오쿠-lg, 복수 (a)ma-|아마-lg
- X 부류: (o)tu-|오투-lg
접두사가 겹치는 경우가 몇 가지 있다. 그러나 진정한 모호성은 드문데, 명사 접두사가 동일하더라도 다른 접두사가 종종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문장에서 omuntu|오문투lg (I 부류) '사람'과 omuntu|오문투lg (II 부류) '자리' 사이에는 혼동이 있을 수 없다. Omuntu ali wano|오문투 알리 와노lg '그 사람이 여기 있다'와 Omuntu guli wano|오문투 굴리 와노lg '그 자리가 여기 있다'는 동사 접두사 a-|아-lg (I 부류)와 gu-|구-lg (II 부류)가 다르기 때문이다.
V 부류는 다른 부류와 약간 다른 방식으로 명사 접두사를 사용한다. 단수 명사 접두사 eri-|에리-lg는 종종 e-|에-lg로 줄어들고, 줄기 시작 자음이 두 배가 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eggi|에기lg '달걀', 복수 amagi|아마기lg
- eggwanga|에괭가lg '국가', 복수 amawanga|아마왕가lg
- ejjinja|에진자lg '크리켓', 복수 amayinja|아마인자lg
다른 줄기는 전체 접두사를 사용한다.
- erinnya|에린냐lg '이름', 복수 amannya|아만냐lg
- eriiso|에리소스lg '눈', 복수 amaaso|아마소lg
- eryanda|에랸다lg '배터리', 복수 amanda|아만다lg
또한 접두사가 없는 명사도 있다.
- I 부류: ssebo|세보lg '신사, 님', nnyabo|냐보lg '부인', Katonda|카톤다lg '신', kabaka|카바카lg '왕', kyayi|차이lg (또는 caayi|차이lg) '차', kaawa|카와lg '커피'
- III 부류: kkapa|카파lg '고양이', gomesi|고메시lg '고메시 (전통적인 동아프리카 여성의 정장)'
5. 2. 명사
반투어 연구에서 "명사 부류"라는 용어는 비교 언어학 및 특정 다른 언어 연구에서 성이라고 불리는 것을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루간다어의 명사 부류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단수와 복수 형태를 두 개의 별도 명사 부류로 간주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단수-복수 쌍을 성으로 취급한다. 전자의 방법에 따르면 17개의 부류가 있으며, 후자의 방법에 따르면 동일한 복수를 가진 부류가 두 쌍, 단수-복수 구분이 없는 부류가 하나 있으므로 10개의 부류가 있다. 후자의 방법은 반투어가 아닌 언어 연구와 일치한다. 루간다어에 해당 방법을 적용하면 10개의 명사 부류가 있으며, 이 중 9개는 별도의 단수 및 복수 형태를 갖는다.
다음 표는 루간다어의 10개 전통 부류가 원시 반투어 명사 부류에 어떻게 대응되는지 보여준다.
| 루간다어 부류 | 수 | 원시 반투어 부류 |
|---|---|---|
| I (MU-BA) | 단수 | 1, 1a |
| 복수 | 2 | |
| II (MU-MI) | 단수 | 3 |
| 복수 | 4 | |
| III (N) | 단수 | 9 |
| 복수 | 10 | |
| IV (KI-BI) | 단수 | 7 |
| 복수 | 8 | |
| V (LI-MA) | 단수 | 5 |
| 복수 | 6 | |
| VI (KA-BU) | 단수 | 12 |
| 복수 | 14 | |
| VII (LU-N) | 단수 | 11 |
| 복수 | 10 | |
| VIII (GU-GA) | 단수 | 20 |
| 복수 | 22 | |
| IX (KU-MA) | 단수 | 15 |
| 복수 | 6 | |
| X (TU) | (구분 없음) | 13 |
대부분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부류 간의 명사 분포는 본질적으로 임의적이지만, 몇 가지 패턴이 있다.
- I 부류는 주로 사람을 포함하지만, 일부 무생물 명사도 이 부류에 속한다. musajja|무사자lg '남자', kaawa|카와lg '커피'
- II 부류는 모든 종류의 명사를 포함하지만 II 부류의 구체 명사 대부분은 길거나 원통형이다. 대부분의 나무가 이 부류에 속한다. muti|무티lg '나무'
- III 부류도 다양한 유형의 개념을 포함하지만 대부분의 동물이 이 부류에 속한다. embwa|음브와lg '개'
- IV 부류는 무생물 물체를 포함하며 인칭 대명사 '그것'에 사용되는 부류이다. ekitabo|에키타보lg '책'
- V 부류는 주로 큰 것과 액체를 포함하며, 확대형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ebbeere|에베레lg '유방', lintu|린투lg '거인' (muntu|문투lg '사람'에서 유래)
- VI 부류는 주로 작은 것을 포함하며 축소형, 형용사 추상 명사 및 (복수형으로) 부정 동사 명사 및 국가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kabwa|카브와lg '강아지' (embwa|음브와lg '개'에서 유래), mkanafu|음카나푸lg '게으름' (munafu|무나푸lg '게으른'에서 유래), bukola|부콜라lg '불활동, 하지 않음' (kukola|쿠콜라lg '하다, 행동하다'에서 유래), Bungereza|분게레자lg '영국, 잉글랜드' (Mungereza|뭉게레자lg '영국인, 영국 사람'에서 유래)
- VII 부류는 대부분의 언어 이름을 포함하여 다양한 것을 포함한다. Oluganda|올루간다lg '간다어', Oluzungu|올루중구lg '영어' (muzungu|무중구lg '유럽인, 백인'에서 유래)
- VIII 부류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경멸적 형태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gubwa|구브와lg '쓰레기' (embwa|음브와lg '개'에서 유래)
- IX 부류는 주로 부정사 또는 긍정 동사 명사에 사용된다. kukola|쿠콜라lg '행동, 하다' (동사 kola|콜라lg '하다, 행동하다'에서 유래)
- X 부류는 단수-복수 구분이 없으며, 질량 명사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한 방울' 또는 '매우 적은 양'의 의미를 갖는다. tuzzi|투지lg '물 한 방울' (mazzi|마지lg '물'에서 유래), tubaka|투바카lg '수면'
명사가 속한 부류는 일반적으로 접두사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 I 부류: 단수 (o)mu-|오무-lg, 복수 (a)ba-|아바-lg
- II 부류: 단수 (o)mu-|오무-lg, 복수 (e)mi-|에미-lg
- III 부류: 단수 (e)n-|엔-lg, 복수 (e)n-|엔-lg
- IV 부류: 단수 (e)ki-|에키-lg, 복수 (e)bi-|에비-lg
- V 부류: 단수 li-|리-lg, eri-|에리-lg, 복수 (a)ma-|아마-lg
- VI 부류: 단수 (a)ka-|아카-lg, 복수 (o)bu-|오부-lg
- VII 부류: 단수 (o)lu-|올루-lg, 복수 (e)n-|엔-lg
- VIII 부류: 단수 (o)gu-|오구-lg, 복수 (a)ga-|아가-lg
- IX 부류: 단수 (o)ku-|오쿠-lg, 복수 (a)ma-|아마-lg
- X 부류: (o)tu-|오투-lg
몇몇 부류는 접두사가 겹친다. I 및 II 부류의 단수 (둘 다 mu-|무-lg로 시작), III 부류의 단수와 III 및 VII 부류의 복수 (모두 n-|ㄴ-lg으로 시작), V 및 IX 부류의 복수 (둘 다 ma-|마-lg로 시작)가 그렇다. 그러나 명사 접두사가 동일하더라도 다른 접두사가 종종 다르기 때문에 혼동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어, 문장에서 omuntu|오문투lg (I 부류) '사람'과 omuntu|오문투lg (II 부류) '자리' 사이에는 혼동이 있을 수 없다. Omuntu ali wano|오문투 알리 와노lg '그 사람이 여기 있다'와 Omuntu guli wano|오문투 굴리 와노lg '그 자리가 여기 있다'는 동사 접두사 a-|아-lg (I 부류)와 gu-|구-lg (II 부류)가 다르기 때문이다. III 부류의 단수와 복수도 마찬가지이다. Embwa erya|음브와 에랴lg '개는 먹고 있다'와 Embwa zirya|음브와 지랴lg '개들이 먹고 있다'는 동사 접두사가 다르다.
III 및 VII 부류의 복수와 V 및 IX 부류의 복수는 모든 접두사 (명사, 동사, 형용사 등)에서 동일하다.
V 부류는 다른 부류와 약간 다르게 명사 접두사를 사용한다. 단수 명사 접두사 eri-|에리-lg는 종종 e-|에-lg로 줄어들고, 줄기 시작 자음이 두 배가 된다. 이것은 줄기가 단일 파열음 또는 단일 비음 다음에 장모음, 비음이 오고 그다음에 파열음이 오는 경우 발생한다.
- eggi|에기lg '달걀', 복수 amagi|아마기lg (줄기 gi|기lg에서 유래)
- eggwanga|에괭가lg '국가', 복수 amawanga|아마왕가lg (비음화된 줄기 wanga|왕가lg에서 유래—w|우lg는 두 배가 되면 ggw|궹lg가 됨)
- ejjinja|에진자lg '크리켓', 복수 amayinja|아마인자lg (비음화된 줄기 yinja|인자lg에서 유래—y|이lg는 두 배가 되면 jj|ㅉlg가 됨)
다른 줄기는 전체 접두사를 사용한다.
- erinnya|에린냐lg '이름', 복수 amannya|아만냐lg (줄기 nnya|은냐lg에서 유래)
- eriiso|에리소lg '눈', 복수 amaaso|아마소lg (줄기 yiso|이소lg에서 유래)
- eryanda|에랸다lg '배터리', 복수 amanda|아만다lg (줄기 anda|안다lg에서 유래)
또한 접두사가 없는 명사도 있다.
- I 부류: ssebo|세보lg '신사, 님', nnyabo|냐보lg '부인', Katonda|카톤다lg '신', kabaka|카바카lg '왕', kyayi|차이lg (또는 caayi|차이lg) '차', kaawa|카와lg '커피'
- III 부류: kkapa|카파lg '고양이', gomesi|고메시lg '고메시 (전통적인 동아프리카 여성의 정장)'
형용사, 동사, 특정 부사, 소유격 및 몇 가지 특수한 형태의 접속사는 루간다어의 명사와 일치하도록 굴절된다.
5. 3. 대명사
루간다어는 폐쇄적인 대명사 집합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 인칭 대명사와 동사 어간에 접두사로 붙는 대명사가 있다.동사의 주어는 지시하는 명사의 인칭과 수에 일치하는 접두사에 의해 표시된다. 3인칭에서는 접두사가 지시하는 명사의 반투어군 명사분류에도 일치한다. 인칭 대명사의 주어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n- | tu- |
| 2인칭 | o- | mu- |
| 3인칭 | a- | ba- |
동사가 취하는 목적어는 동사에 붙는 접요사에 의해 표시되며, 이는 지시 대상의 명사에 인칭과 수가 일치한다. 주어의 접두사와 마찬가지로, 3인칭의 접요사도 지시 대상의 명사분류에 일치한다. 목적어 인칭 접요사는 다음과 같다.
| 인칭 | 단수 | 복수 | 설명 |
|---|---|---|---|
| 1인칭 | -n- | -tu- | "나를", "우리를" |
| 2인칭 | -ku- | -ba- | "너를", "너희들을" |
| 3인칭 | -mu- | -ba- | "그/그녀를", "그들을" (제I류) |
직접 목적어의 접요사는 일반적으로 주어 접두사의 바로 뒤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nkiridde"는 "나는 그것을 먹었다"라는 뜻으로, "n-"(나, 주어) + "-ki-"(그것, 목적어) + "-ridde"(먹었다, 동사)로 구성된다. 간접 목적어의 접요사는 직접 목적어 뒤에 온다. 예를 들어 "nkimuwadde"는 "나는 그에게 그것을 주었다"라는 뜻으로, "n-"(나, 주어) + "-ki-"(그것, 목적어) + "-mu-"(그에게, 목적어) + "-wadde"(주었다, 동사)로 구성된다.
5. 4. 형용사
다른 니제르콩고어족 언어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 및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처럼,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와 성과 수에 따라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omuwala omulungilg '아름다운 소녀' (제1 부류, 단수)
- abawala abalungilg '아름다운 소녀들' (제1 부류, 복수)
- omuti omulungilg '아름다운 나무' (제2 부류, 단수)
- emiti emirungilg '아름다운 나무들' (제2 부류, 복수)
- emmotoka ennungilg '아름다운/좋은 차' (제5 부류, 단수/복수)
이 예에서 형용사 -lungilg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제1 또는 제2 부류)과 수(단수 또는 복수)에 따라 접두사를 변경한다. 경우에 따라 접두사로 인해 어간의 초기 llg이 nlg 또는 rlg로 변경된다.
관형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와 상태가 일치하지만, 서술 형용사는 절대 초기 모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주어 관계절은 동사에 초기 모음을 추가하여 형성된다 (주 동사는 서술어이기 때문).
5. 5. 부사
루간다어에서 진정한 의미의 부사는 영어보다 훨씬 드물며, 주로 형용사 또는 문법적 입자와 같은 다른 품사로 번역된다.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보통 형용사로 번역되며, 이 형용사는 동사의 주어와 일치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nkonjera bubi|앙콘제라 부비lg '그녀는 나를 심하게 비방한다'
- Bankonjera bubi|반콘제라 부비lg '그들은 나를 심하게 비방한다'
여기서 '심하게'는 형용사 -bi|-비lg '나쁜, 추한'으로 번역되었으며, 이는 주어와 일치하도록 굴절된다.[1]
다른 개념은 불변 문법적 입자로 번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조 문법적 입자 nnyo|뇨lg는 '매우', '많이'를 의미하기 위해 형용사 또는 동사에 붙는다. 예를 들어 Lukwago anywa nnyo|루콰고 안와 뇨lg '루콰고는 술을 많이 마신다'와 같다.[1]
루간다어에는 두 그룹의 진정한 부사가 있으며, 둘 다 동사 주어 또는 수식 명사 (단지 문법적 성과 문법적 수뿐만 아니라 문법적 인칭)와 일치하지만, 다르게 굴절된다. 첫 번째 그룹은 동사와 같은 방식으로 문법적 활용되며, tya|탸lg '어떻게', ti|티lg '이처럼', tyo|툐lg '저렇게'와 같은 몇 개의 단어만 포함한다.[1]
- Njogera bwe nti|뇨게라 붸 은티lg '나는 이처럼 말한다'
- Abasiraamu basaba bwebati|아바시라무 바사바 붸바티lg '무슬림은 이처럼 기도한다'
- Enkima erya bweti|은키마 에랴 붸티lg '원숭이는 이처럼 먹는다'
- Enkima zirya bweziti|은키마 지랴 붸지티lg '원숭이들은 이처럼 먹는다'
부사 ti|티lg '이처럼' (위 문장의 각 문장의 마지막 단어)는 성, 수 및 인칭에서 문장의 주어와 일치하도록 동사로 활용된다.[1]
두 번째 그룹은 대명사를 기반으로 한 다른 접두사를 사용한다. 이 그룹의 부사에는 -nna|-나lg '모든'(또는 단수로, '어떤'), -kka|-카lg '단지', -mbi|-음비lg, -mbiriri|-음비리리lg '둘 다' 및 -nsatule|-은사툴레lg '셋 모두'가 포함된다.[1]
- Nkola nzekka|은콜라 은제카lg '나는 혼자 일한다'
- Nzekka nze nkola|은제카 은제 은콜라lg '나만 일한다'
- Ggwe wekka ggwe okola|궤 웨카 궤 오콜라lg '너만 일한다'
- Nze nzekka nze ndigula emmotoka|은제 은제카 은제 은디굴라 에모토카lg '나만 차를 살 것이다'
- Ndigula mmotoka yokka|은디굴라 모토카 요카lg '나는 차만 살 것이다'
마지막 두 예에서 부사 -kka|-카lg가 수식하는 선행사—암시적인 nze|은제lg '나' 또는 명시적인 emmotoka|에모토카lg '차'—와 일치하는 방식에 주목해야 한다.[1]
또한 처음 두 예에서 nzekka|은제카lg의 위치가 동사 앞이나 뒤에 오는지에 따라 '단지'(부사가 주어—암시적인 nze|은제lg '나'—를 수식하고 일치하는 경우)와 '혼자'(동사 nkola|은콜라lg '나는 일한다'를 수식하지만 주어와 일치하는 경우)의 차이를 주목해야 한다.[1]
5. 6. 소유격
루간다어에서 소유는 소유되는 명사에 따라 각 단수와 복수의 문법적 성에 대해 다른 입자로 표시된다. 첫 번째 자음군이 소유된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변경되는 단일 단어로 볼 수도 있다.소유격은 소유되는 명사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 성 | 단수 | 복수 |
|---|---|---|
| 제1성 | walg | balg |
| 제2성 | gwalg | gyalg |
| 제3성 | yalg | zalg |
| 제4성 | kyalg | byalg |
| 제5성 | lyalg | galg |
| 제6성 | kalg | bwalg |
| 제7성 | lwalg | zalg |
| 제8성 | gwalg | galg |
| 제9성 | kwalg | galg |
| 제10성 | Twalg |
소유자가 인칭 대명사인 경우에는 별도의 소유격 형태가 사용되지 않고, 인칭 소유격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성 단수 소유 명사의 경우, '나의'는 Wangelg, '너의(단수)'는 wolg, '그의/그녀의'는 welg, '우리의'는 waffelg, '너희의(복수)'는 wammwelg, '그들의'는 waabwelg이다. 다른 성과 수에 대해서도 유사한 형태가 존재한다.
또한, 소유격과 함께 사용될 때 특별한 형태를 취하는 명사들이 있다. 예를 들어 '나의 아버지'는 Kitangelg, '너의 아버지'는 kitaawolg, '그의/그녀의 아버지'는 kitaawelg이다.
5. 7. 동사
다른 반투어와 마찬가지로, 모든 동사는 성과 수에서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omusajja anywalg '남자가 마신다' (제1등급, 단수)
- abasajja banywalg '남자들은 마신다' (제1등급, 복수)
- embuzi enywalg '염소가 마신다' (제3등급, 단수)
- embuzi zinywalg '염소들은 마신다' (제3등급, 복수)
- akaana kanywalg '아기가 마신다' (제6등급, 단수)
- obwana bunywalg '아기들은 마신다' (제6등급, 복수)
여기서 동사 nywalg는 주어의 성과 수에 따라 접두사가 바뀐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예에서 명사가 명시적으로 수 구분을 반영하지 않더라도 동사가 명사의 수에 어떻게 일치하는지 보여준다.
인칭 대명사에 대한 주어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n-lg '나' | tu-lg '우리' |
| 2인칭 | o-lg '너(단수)' | mu-lg '너희(복수)' |
| 3인칭 | a-lg '그, 그녀' | ba-lg '그들(제1등급)' |
비인칭 대명사에 대한 주어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등급 | 단수 | 복수 |
|---|---|---|
| 제1등급 | a-lg | ba-lg (3인칭 접두사와 동일) |
| 제2등급 | gu-lg | gi-lg |
| 제3등급 | e-lg | zi-lg |
| 제4등급 | ki-lg | bi-lg |
| 제5등급 | li-lg | ga-lg |
| 제6등급 | ka-lg | bu-lg |
| 제7등급 | lu-lg | zi-lg |
| 제8등급 | gu-lg | ga-lg |
| 제9등급 | ku-lg | ga-lg |
| 제10등급 | tu-lg |
동사가 하나 이상의 목적어를 지배할 때, 목적어 접두사와 해당 선행사의 성과 수 사이에도 일치 관계가 있다.
- m'''mu'''nywalg '나는 그것을 마신다 (예: 커피)' (kaawalg '커피', 1류 단수)
- n'''ga'''nywalg '나는 그것을 마신다 (예: 물)' (amazzilg '물', 9류 복수)
주어 접두어와 마찬가지로, 3인칭 접두사도 인칭에서 선행사와 일치한다. 인칭 목적어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n-lg '나' | tu-lg '우리' |
| 2인칭 | ku-lg '너 (단수)' | ba-lg '너희 (복수)' |
| 3인칭 | mu-lg '그, 그녀' | ba-lg '그들 (1류)' |
비인칭 3인칭의 경우, 목적어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등급 | 단수 | 복수 |
|---|---|---|
| 1류 | mu-lg | ba-lg (3인칭 접두사와 동일) |
| 2류 | gu-lg | gi-lg |
| 3류 | ta-lg | zi-lg |
| 4류 | ki-lg | bi-lg |
| 5류 | li-lg | ga-lg |
| 6류 | ka-lg | bu-lg |
| 7류 | lu-lg | zi-lg |
| 8류 | gu-lg | ga-lg |
| 9류 | ku-lg | ga-lg |
| 10류 | tu-lg |
각 주어 접두어와 해당 목적어 접두어 사이의 유사성을 주목하면, 1류와 3류 단수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동일하다. 또한 목적어 접두어와 명사 접두어 간의 일치 관계를 주목할때, 명사 접두어의 모든 m-lg이 목적어 접두어의 g-lg로 대체될 때, 차이점은 1류와 3류에만 있다.
직접 목적어 접두사는 일반적으로 주어 접두어 바로 뒤에 삽입된다.
- nkiriddelg '나는 그것을 먹었다' (n-lg 주어 '나' + ki-lg 목적어 '그것' + -riddelg 동사 '먹었다')
간접 목적어 접두사는 직접 목적어 뒤에 온다.
- nkimuwaddelg '나는 그것을 그에게 주었다' (n-lg 주어 '나' + ki-lg 목적어 '그것' + mu-lg 목적어 '(그)에게' + -waddelg 동사 '주었다')
부정은 일반적으로 주어 접두사에 te-lg 또는 t-lg를 접두사로 붙여 형성되며, 1인칭 단수에서는 접두사를 si-lg로 대체한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개인 주어 접두사가 생성된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si-lg '나' | tetu-lg '우리' |
| 2인칭 | to-lg '너 (단수)' | temu-lg '너희 (복수)' |
| 3인칭 | ta-lg '그, 그녀' | teba-lg '그들 (클래스 I)' |
부정 비인칭 주어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 클래스 | 단수 | 복수 |
|---|---|---|
| 클래스 I | ta-lg | teba-lg (3인칭 접두사와 동일) |
| 클래스 II | tegu-lg | tegi-lg |
| 클래스 III | te-lg | tezi-lg |
| 클래스 IV | teki-lg | tebi-lg |
| 클래스 V | teri-lg | tega-lg |
| 클래스 VI | teka-lg | tebu-lg |
| 클래스 VII | telu-lg | tezi-lg |
| 클래스 VIII | tegu-lg | tega-lg |
| 클래스 IX | teku-lg | tega-lg |
| 클래스 X | tetu-lg |
객체 관계절 또는 서술 시제와 함께 사용될 때, 부정은 ta-lg 접두사로 형성되며, 이 접두사는 주어 및 객체 접두사 뒤에 삽입된다.
- Omuntu gwe nnalabyelg '내가 본 사람'
- Omuntu gwe ssalabyelg '내가 보지 못한 사람'
일부 시제를 형성하기 위해 '수정 형태'라고 하는 동사 어간의 특별한 형태가 사용된다. 이것은 어간의 마지막 음절을 다음과 같은 접미사 중 하나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여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형성된다.
- -selg
- -sselg
- -zelg
- -zzelg
- -izzelg
- -ezzelg
- -nyelg
- -nyilg
- -yelg
- -delg
- -ddelg
동사 어간의 수정 형태는 루간다어의 동사 체계에서 유일한 진정한 불규칙성의 근원이다. 특히 단음절 동사는 예측할 수 없는 수정 형태를 갖는다.
| 부정사 | 수정형 |
|---|---|
| okubalg '있다' | -baddelg |
| okufalg '죽다' | -fuddelg |
| okugaanalg '부인하다, 금지하다' | -gaanyilg |
| okuggwalg 끝나다 (자동사) | -weddelg |
| okuggyalg '제거하다' | -ggyelg 또는 -ggyiddelg |
| okuggyalg 요리하다 (자동사) | -yiddelg |
| okugwalg '떨어지다' | -guddelg |
| okujjalg '오다' | -zzelg |
| okukkalg '내려가다, 내려오다' | -sselg |
| okukwatalg '잡다' | -kuttelg |
| okulwalg '지연하다' | -luddelg |
| okulyalg '먹다' | -liddelg |
| okumanyilg '알아내다, 깨닫다' | -manyilg |
| okunywalg '마시다' | -nyweddelg |
| okutalg '해방하다' | -taddelg |
| okuteekalg '두다' | -taddelg |
| okuttalg '죽이다' | -sselg |
| okutwakalg '가져가다' | -tuttelg |
| okutyalg '두려워하다' | -tiddelg |
| okuvalg '에서 오다' | -vuddelg |
| okuwalg '주다' | -waddelg |
| okuyitalg '부르다' | -yiselg |
| okuyitalg '지나가다' | -yiselg |
루간다어의 시제-상-법은 다른 대부분의 반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동사에 명시적으로 표시된다.
다른 시제는 주변구적 방식으로 조동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루간다어의 일부 조동사는 주요 동사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는 항상 조동사로만 사용된다.
| 조동사 | 의미 | 설명 |
|---|---|---|
| okubalg | '있다' | 선택적으로 ngalg와 다른 유한 동사와 함께 사용하여 복합 시제를 형성한다. |
| okujjalg | '오다' | 주요 동사의 부정사와 함께 사용되어 미래 시제를 형성한다. |
| okulyokalg 또는 okulyokkalg | 조동사로만 사용되며, 다른 유한 동사와 함께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그리고 나서 또는 (가정법에서) 그래서로 번역된다. | |
| okumalalg | '마치다' | 완료된 동작을 나타내기 위해 부정사와 함께 사용되거나, 주요 동사의 어간에 ga-lg를 접두사로 붙여 원하든 원하지 않든의 의미를 나타낸다. |
| okuteralg | 조동사로만 사용되며, 주요 동사의 부정사와 함께 사용되어 (현재 시제에서) 하는 경향이 있다 또는 (가까운 미래에서) 하려고 한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okuvalg | '에서 오다' | 주요 동사가 부정사 형태로 이어져 방금 ~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
| okulemalg | '실패하다' | 부정사와 함께 사용하여 부정을 형성한다. |
동사의 의미는 동사 어간의 변형을 통해 거의 무한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핵심 파생 변형은 몇 개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변형은 거의 모든 조합으로 동사 어간에 추가될 수 있으며, 수백 가지 가능한 복합 변형이 발생한다.
수동태는 최종 -alg를 -walg 또는 -ibwalg/-ebwalg로 대체하여 생성된다.
- okulabalg '보다' → okulabwalg '보여지다'
재귀형은 접두사 e-lg를 동사 어간에 추가하여 생성된다(부정사의 oku-lg 접두사를 okwe-lg로 바꾸는 것과 동일).
- okuttalg '죽이다' → okwettalg '자살하다'
많은 동사가 재귀형으로만 사용된다.
- okwebakalg '자다'(단순형 *okubakalg는 사용되지 않음)
- okwetagalg '필요하다'(단순형 *okutagalg는 사용되지 않음)
중복은 어간을 두 배로 늘려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반복 또는 강렬함을 더한다.
- okukubalg '치다' → okukubaakubalg '두드리다'
목적격 또는 전치사적 변형은 동사가 추가적인 목적어를 취하도록 하고 '~을 위해 또는 ~와 함께 하다(누군가 또는 무언가)'라는 의미를 부여한다. 동사의 최종 -alg 앞에 삽입된 접미사 ir-lg로 형성된다.
- okukolalg '일하다' → okukoleralg '~(고용주)를 위해 일하다'
- okwebakalg '자다' → okwebakiralg '~(예: 가구)에서 자다'
목적격 접미사를 두 번 추가하면 '증대 목적격' 변형이 생성되며, 이는 대체 목적격 의미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단순 목적격 변형보다 원래 의미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 okukolalg '일하다' → okukozesalg '이용하다, 고용하다'
사역형은 동사 끝에 적용되는 다양한 변경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최종 -alg가 -yalg, -salg 또는 -zalg로 변경되는 것을 포함한다. 동사에 '~하게 하다'라는 의미를 부여하며, 자동사를 타동사로 만들 수도 있다.
- okulabalg '보다' → okulabyalg '보여주다'(더 일반적으로 다른 동사인 okulagalg가 사용된다).
- okufuukalg '되다' → okufuusalg '~(무언가 또는 누군가를) ~로 바꾸다'
두 개의 사역형 변형을 적용하면 '두 번째 사역형'이 된다.
- okulabalg '보다' → okulabyalg '보여주다' → okulabisalg '보여주게 하다'
중성 변형은 상태 동사라고도 하며, 영어의 '-able' 접미사와 유사하지만, 결과는 형용사 의미의 ''x''-able'이 아닌 'x-할 수 있다'를 의미하는 동사이다. 동사의 최종 -alg 앞에 접미사 -iklg/-eklg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 okukolalg '하다' → okukolekalg '가능하다'
- okulyalg '먹다' → okuliikalg '먹을 수 있다'
자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키고 자동사로 남겨두거나, 타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키고 자동사로 만드는 자동사 변환형 변형은 영어의 'un-' 접두사와 유사하다. 동사의 최종 -alg 앞에 접두사 uk-lg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 okukyalalg '방문하다' → okukyalukalg '방문을 마치다, 떠나다'
타동사 변환형은 자동사 변환형과 유사하지만 타동사로 이어진다. 즉, 자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키고 타동사로 만들거나, 타동사의 의미를 반전시키고 타동사로 남겨둔다. 접미사 ul-lg로 형성된다.
- okukolalg '하다' → okukolulalg '취소하다'
- okusimbalg '심다' → okusimbulalg '뿌리 뽑다'
- okukyalalg '방문하다' → okukyalulalg '보내다'
두 개의 변환형 접미사가 증대 변환형 변형을 만든다.
- okulimbalg '속이다' → okulimbululalg '진실을 깨닫게 하다, 바로잡다'
상호형 변형은 접미사 -nalg 또는 -ganalg (또는 덜 일반적으로 -ŋŋalg)로 형성된다.
- okulabalg '보다' → okulabaganalg '서로 보다'
- okuttalg '죽이다' → okuttaŋŋanalg '서로 죽이다'
진행형은 접미사 -ngalg로 형성된다. 유한 동사와 함께 사용하여 지속성을 부여한다.
- ndimukuumalg '내가 그를 돌볼 것이다' → ndimukuumangalg '나는 항상 그를 돌볼 것이다'
- tosindalg '투덜거리지 마라' → tosindangalg '절대 투덜거리지 마라'
- tobbalg '훔치지 마라' → tobbangalg '도둑질하지 말라'
이것은 실제로 변형이 아니라 분리형 어미이므로 모든 문법적 굴절 '후'에 항상 적용된다.
하나의 어간에 여러 개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 okukolulikalg '되돌릴 수 있다 (즉, 역전 가능)' — 전환 중성: kolalg → kolulalg → kolulikalg
- okusimbulizalg '이식하다' — 전환 적용 사역: simbalg → simbulalg → simbuliralg → simbulizalg
- okulabaalabanalg '주위를 둘러보다, 주의가 산만해지다' — 반복 상호: labalg → labaalabalg → labaalabanalg
- okulabaalabanyalg '주의를 산만하게 하다' — 반복 상호 사역: labalg → labaalabalg → labaalabanalg → labaalabanyalg
- okwebakirizalg '자는 척하다' — 재귀 확대 적용 사역 bakalg → ebakalg → ebakiralg (적용) → ebakiriralg (확대 적용) → ebakirizalg
이러한 변형이 적용될 수 있는 조합에는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다. 예를 들어, '적용' 변형은 사역 어간에는 적용될 수 없다. 사역 변형은 먼저 제거하고, 적용 변형을 적용한 다음 사역 변형을 다시 적용해야 한다. 그리고 재귀는 접미사가 아닌 접두사로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재귀 사역과 사역 재귀를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5. 8. 수사
루간다어의 기수 체계는 매우 복잡하다. '1'에서 '5'까지의 숫자는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하는 수적인 형용사이다. '6'에서 '10'까지의 단어는 수식하는 명사와 일치하지 않는 수적인 명사이다.'20'에서 '50'까지는 '2'에서 '5'까지의 기수에 '10'의 복수(amakumi|아마쿠미lg)를 사용하여 10의 배수로 표현한다. '60'에서 '100'까지는 자체적으로 수적인 명사이며, '6'에서 '10'까지의 명사와 동일한 어근에서 파생되었지만 다른 클래스 접두사를 갖는다.
유사한 패턴으로, '200'에서 '500'까지는 기수에 '백'의 복수(bikumi|비쿠미lg)를 사용하여 백의 배수로 표현된다. '600'에서 '1,000'까지는 명사로, '6'에서 '10'까지와 동일한 어근에서 파생된다. 이 패턴은 '10,000'까지 반복되며, 그 다음 '10,000'(omutwalo|오무트왈로lg), '100,000'(akasiriivu|아카시리부lg) 및 '100만'(akakadde|아카카드데lg)에는 표준 명사가 사용된다.
| 범위 | 종류 | 단어 (단수 / 복수) | 예시 |
|---|---|---|---|
| 1-5 | 수적 형용사 (명사와 일치) | ||
| 6-10 | 수적 명사 (클래스 II 및 V) | ||
| 60-100 | 수적 명사 (클래스 III 및 IV) | ||
| 600-1,000 | 수적 명사 (클래스 VII) | ||
| 6,000-10,000 | 수적 명사 (클래스 VI) | ||
| 10,000 이상 | 표준 명사 |
자릿수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지정되며, kkumi|쿠미lg 뒤에는 na|나lg를, 다른 단어 뒤에는 mu|무lg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예를 들어, 12는 kkumi na bbiri|쿠미 나 삐리lg(10 + 2), 22는 amakumi abiri mu bbiri|아마쿠미 아비리 무 삐리lg(10 × 2 + 2), 122는 kikumi mu amakumi abiri mu bbiri|키쿠미 무 아마쿠미 아비리 무 삐리lg(100 + 10 × 2 + 2)와 같이 표현한다.
10의 거듭제곱의 복수형(amakumi|아마쿠미lg '십', bikumi|비쿠미lg '백', bukumi|부쿠미lg '만')은 모호함이 발생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예를 들어 40은 amakumi ana|아마쿠미 아나lg 대신 ana|아나lg로 줄여 쓸 수 있다. 다만, nkumi|은쿠미lg '천'은 수식하는 형용사의 형태와 수를 셀 때의 형태가 같기 때문에 생략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frican Motherhood: The Case of Uganda, 700-19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9-02
[2]
OED
Ganda
[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4]
문서
Luganda Basic Course
[5]
웹사이트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4 - Main Report
https://www.ubos.org[...]
[6]
웹사이트
20 million people can speak Luganda - linguists
https://www.newvisio[...]
[7]
뉴스
Rwanda: Country's Unofficial Second Language - Luganda
https://allafrica.co[...]
2022-08-25
[8]
서적
Syntactic architecture and its consequences I: Syntax inside the grammar
https://zenodo.org/r[...]
Language Science Press
2020-09-15
[9]
간행물
Lusoga (Lutenga)
https://www.cambridg[...]
2016-08
[10]
기타
1970
[11]
문서
Luganda Basic Course
[12]
기타
1995
[13]
기타
2008
[14]
문서
Luganda Basic Course
[15]
기타
1993
[16]
기타
2008
[17]
문서
Luganda Basic Course
[18]
문서
Luganda Pretraining Program
[19]
문서
Luganda Basic Course
[20]
문서
Luganda Basic Course
[21]
문서
Luganda Basic Course
[22]
문서
Luganda Basic Course
[23]
문서
Luganda Basic Course
[24]
문서
Luganda Pretraining Program
[25]
문서
Luganda Pretraining Program
[26]
문서
Luganda Basic Course
[27]
기타
1970
[28]
문서
Luganda Basic Course
[29]
기타
1995
[30]
기타
2008
[31]
문서
Luganda Basic Course
[32]
기타
1993
[33]
기타
2008
[34]
문서
Luganda Basic Course
[35]
문서
Luganda Pretraining Program
[36]
서적
Luganda Basic Course
[37]
서적
Luganda Basic Course
[38]
서적
Luganda Basic Course
[39]
서적
Luganda Basic Course
[40]
서적
Luganda Basic Course
[41]
서적
Luganda Pretraining Program
[42]
서적
Luganda Pretraining Program
[43]
서적
Luganda Basic Course
[44]
서적
Luganda Basic Course
[45]
서적
Elements of Luganda Grammar
1902
[46]
문서
[47]
문서
[48]
서적
Luganda Pretraining Program
Foreign Service Institute
1970
[49]
논문
Contour Tone Distribution in Luganda
http://www.lingref.c[...]
Cascadilla Proceedings Project
2008
[50]
사전
Ganda
O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