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리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리크 왕조는 9세기 바랑기아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에 정착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왕조이다. 류리크 왕조는 키예프 루스를 건설하고, 이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각 지역을 통치했다. 류리크 왕조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류리크의 실존 여부와 민족적 기원에 대한 논쟁이 있다. 16세기 루스 교회 지도자들은 류리크 왕조를 모스크바 대공국의 통치 가문인 다닐로비치 가문의 조상으로 연결하며 왕조의 정통성을 강화하려 했다. 류리크 왕조는 볼로디메로비치, 모노마호비치 등 여러 분파로 나뉘어 각 지역을 통치했으며, 1598년 표도르 1세의 죽음으로 멸망했다. 류리크 왕조의 유산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역사적, 민족적 정체성과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류리크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기원
전설에 따르면, 류리크 왕조의 창시자는 류리크라는 노르만인 족장이다. 862년 러시아의 부족들은 서로 다투어 질서가 없었으므로 바랴그의 루스에 사신을 보내 그들을 통치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류리크와 세 형제가 러시아에 와서 다스렸다고 한다.[14] 류리크는 슬라브인의 도시 노브고로드를 지배하고 키예프 현지의 대공 왕조를 멸망시킨 뒤, 어린 아들 이고리를 키예프의 통치자로 삼았다. 올레크 공은 류리크의 섭정으로서 키예프를 기반으로 키예프 대공국(루스)을 건국하고, 류리크 사후 이고리에게 대공 자리를 물려주었다. 이고리의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는 키예프 대공국을 더욱 확장했다.
2. 1. 계보 문제
류리크 왕조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왕조의 시조로 알려진 류리크는 바랑기아인 출신의 공작으로, 862년 바랑기아인의 소집을 통해 왕조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류리크를 전설적이거나 신화적인 인물, 심지어는 완전히 허구적인 인물로 여기기도 한다.[14]12세기 초 원초 연대기 이전의 키예프 사료에는 류리크에 대한 언급이 없다. 예를 들어, 키예프의 일라리온이 1050년대에 쓴 율법과 은총의 설교에서는 키예프의 볼로디메르 1세를 칭송하면서 그의 아버지 스뱌토슬라프 1세와 할아버지 이호르까지만 언급한다.[14]
원초 연대기와 노브고로드 최초 연대기에 언급된 류리크, 올레그, 이호르 사이의 관계는 미약하다. 다른 연대기들에서는 특정 통치자의 정통성을 이전의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키예프의 왕좌에 앉았다"는 사실에 기반하며, 류리크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14]
15세기 중반 이전에는 류리크가 왕조를 세웠다고 주장하는 역사적 출처가 없었다.[14] 16세기에 이르러서야 모스크바의 마카리우스가 저술한 왕의 위서집에서 모스크바 대공국 (모스코비)의 통치 가문인 다닐로비치 가문이 류리크의 후손이며, 심지어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의 친족인 프루스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계보가 등장한다. Ostrowski (2018)에 따르면, 루스 교회 지도자들은 "모스크바 왕조 국가를 강화"할 목적으로 류리크 왕조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14]
2. 2. 민족 문제
"루스"라는 명칭은 "노를 젓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다수설이며, 이는 스웨덴의 로슬라겐 지역과 관련이 있다.[18][19] ''원시 연대기''는 류리크와 그의 형제들이 바랑기아인, 즉 노르만족 출신이라고 기록하고 있다.[21]유전학 연구는 류리크 왕조의 일부 구성원들이 스칸디나비아 계통의 하플로그룹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23][25] 예를 들어, 드미트리 스뱌토슬라비치는 Y-DNA 하플로그룹 I2a1a2b1a1a (I-Y3120) 및 mtDNA 하플로그룹 H5a2a에 속했다.[23]
3. 역사
류리크와 그의 형제들은 이후 역사가들이 키예프 루스라고 부르는 국가를 세웠다. 12세기 중반까지 키예프 루스는 류리크 가문의 다른 분파가 통치하는 독립적인 공국으로 해체되었다. 이 왕조는 장자 상속과 이자고이 원칙을 따랐다.
이 가문은 1054년 야로슬라프 현공의 죽음 이후 크게 분열하여 세 명의 연속적인 대공 계보에 따라 세 개의 분파로 나뉘었다. 이쟈슬라프(1024–1078), 스뱌토슬라프(1027–1076), 브세볼로트(1030–1093)가 그들이다. 폴로츠크 공작 계보는 리투아니아 공작과 동화되었다. 1097년 류베치 회의는 상속 규칙을 수정하여 루테니아를 키예프 왕위를 얻을 동등한 권리를 가진 여러 자치 공국으로 나누었다.
브세볼로트 계보는 모노마호비치로 더 잘 알려졌고 주된 계보가 되었다. 스뱌토슬라프 계보는 올레고비치로 알려졌으며 종종 체르니히우와 세베리아 영토를 주장했다. 투로프와 볼히니아를 통치했던 이쟈슬라비치는 결국 모노마호비치 분파로 대체되었다.
야로스와프 펠렌스키에 따르면, 류리크 왕조와 지배 엘리트는 그들의 다양한 정체성에 '루스카야 젬랴'('루스의 땅')와 '루스 민족'의 통일적 개념을 부과하려 했다. 그러나 키예프 루스는 실제로 통일된 정체성이 아니었다. 그것은 부족과 충성심이 주로 영토적이었던 인구 집단이 거주하는 느슨하게 묶인, 정의되지 않고 이질적인 토지와 도시의 덩어리였다.
이로 인해 류리크 가문은 10세기와 11세기에 더 작은 국가를 통치하는 여러 하위 왕조로 해체되었다. 체르니히우에서 통치한 세베리아의 올고비치, 블라디미르-수즈달을 통제한 유리예비치,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로마노비치가 그들이다.[27]
전설에 따르면, 류리크 왕조의 창시자는 류리크라는 노르만인 족장이다. 러시아 부족들이 서로 다투어 질서가 없었으므로 862년에 바랴그의 루스에 사신을 보내 통치를 요청했다. 류리크와 세 형제가 러시아에 와서 다스렸고, 슬라브인의 도시 노브고로드를 지배하고 키예프 현지 대공 왕조를 멸망시킨 뒤 어린 아들 이고리를 키예프 통치자로 삼았다. 섭정 올레크 공은 키예프를 기반으로 키예프 대공국(루스)을 건국하고 이고리에게 양도했다. 이고리의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는 키예프 대공국을 확장했다. 스뱌토슬라프 외에는 '루스 연대기'에만 등장하는 반 전설적인 인물이다. 따라서 스뱌토슬라프 1세는 '류리크 왕조'의 첫 번째 대표자일 수 있다.
스뱌토슬라프 1세의 아들 블라디미르 1세부터 류리크 왕조는 처음으로 지류로 나뉘었다. 이샤슬라프의 자손들로 이루어진 폴로츠크 대공 왕조 분파였고, 여기서 벨라루스의 여러 대공가가 탄생했다.
블라디미르 1세의 아들 야로슬라프 현공의 자손들은 류리크 왕조 분파를 넓혔다. 야로슬라프 현공의 삼남 스뱌토슬라프 2세의 자녀 및 자손들은 체르니히우 대공가, 노브고로드-시베르스크 대공가와 무롬-랴잔 대공가라는 3개의 큰 대공가로 나뉘었다.
12-13세기에 키예프 대공국 지배와 키예프 대공 칭호를 둘러싼 싸움이 벌어졌다.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과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이 루스에서 최강 가문이 되었다. 1240년 몽골 침략으로 키예프 대공국이 멸망하자 전자는 루스 왕조, 후자는 모스크바 대공국 류리크 왕조가 되었다. 1340년대 할리치-볼히니아 왕조가 단절되었고, 1598년 표도르 1세 사망으로 모스크바 류리크 왕조도 단절되어 러시아는 혼란기를 맞았다.
류리크 왕조 적통은 없지만, 남계 자손 가계는 존재한다. 블라디미르 대공 안드레이 2세 직계 자손인 슈이스키 가문의 바실리 슈이스키는 1606년 차르로 즉위했지만 단명했다.
1613년 로마노프 왕조는 류리크 왕조와 직접 혈연관계는 없지만, 이반 4세의 비 아나스타샤 로마노브나가 로마노프 가문 출신이라 미하일 로마노프가 계승했다. 미하일 로마노프의 부계 조모는 슈이스키 가문 혈통이라 여계 및 방계로 류리크 왕조 혈통을 이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류리크 왕조 트베리 대공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자손 중 하나였다.
표도르 1세 고모할머니 예브도키야(1492년 이전 - 1513년, 이반 4세 숙모, 바실리 3세 동복 여동생) 혈통이 남아, 후손 중 알렉산드르 2세 애인이자 부인 예카테리나 미하일로브나 돌고루코바가 있다.
3. 1. 스뱌토슬라프 2세의 후손
'''올고비치'''는 체르니히우의 올레크 1세, 즉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야로슬라프 현명공의 손자에게서 비롯되었다.[27] 이들은 14세기 초까지 통치했으나, 새로 부상한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모스크바 대공국에 의해 분열되었다.올고비치의 가계는 올레크의 아들인 키예프 대공 브세볼로트 2세, 손자인 키예프 대공 스뱌토슬라프 3세, 증손인 키예프 대공 브세볼로트 4세, 그리고 고손자인 체르니히우의 미하일을 통해 이어졌으며, 그의 아들들로부터 마살스키, 고르차코프, 바랴틴스키, 볼콘스키, 오볼렌스키, 그리고 레프닌을 포함한 올고비치의 현존하는 계보가 이어졌다.
3. 2. 브세볼로트 1세의 후손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후손들은 모노마호비치로 불린다.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유리예비치''': 유리 돌고루키가 세웠으며 북동부로 널리 퍼져나갔다. 유리의 아들 세볼로트 3세는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의 공작이었으며, 모스크바 대공국과 러시아 제국의 전신이었다. 세볼로트의 아들 로스토프의 콘스탄틴은 로스토프 공작이었고 다양한 로스토프 공작 가문의 조상이었다. 또 다른 아들 이반 세볼로디치는 스타로두프 공작이었고 가가린 가문을 포함한 다수의 현존하는 가문의 조상이었다.
- 세볼로트의 아들 야로슬라프 2세는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아버지였고, 그의 아들 다니엘 모스크바는 16세기 말까지 모스크바를 통치하는 가문을 낳았다. 모스크바의 공작들은 종종 "다닐로비치"라고 불렸다.[30]
이반 4세의 통치부터 모스크바 분파는 "전 러시아의 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러시아 차르국을 통치했다. 1598년 차르 표도르 1세의 죽음으로 루리크 왕조의 통치가 끝났다. 이 왕조는 루리크 왕조의 슈이스키 가문의 후손인 바실리 4세에 의해 잠시 부활했지만 그는 자손 없이 사망했다. 표도르의 죽음 이후 혼란의 시대라는 불안정한 시기가 이어졌고 1613년까지 지속되었다.
4. 분파
류리크 왕조는 1054년 야로슬라프 현공의 죽음 이후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야로슬라프 현공 사후 그의 세 아들 이쟈슬라프, 스뱌토슬라프, 브세볼로트의 계보에 따라 세 개의 주요 분파로 나뉘었다.
- 이쟈슬라비치: 이쟈슬라프의 후손들. 투로프와 볼히니아를 통치했으며, 결국 모노마호비치 분파로 대체되었다.
- 올레고비치: 스뱌토슬라프의 후손들. 주로 체르니히우와 세베리아 지역을 다스렸다.
- 모노마호비치: 브세볼로트의 후손들. 모노마호비치라고도 불리며, 주요 계보가 되었다.
볼로디메로비치 계열에서는 폴로츠크의 이자슬라비치, 푸탸틴, 투로프의 이자슬라비치 가문이 나왔다.
모노마호비치 계열에서는 볼히니아의 이자슬라비치, 스몰렌스크의 로스티슬라비치, 유리예비치 가문이 나왔다.
스뱌토슬라비치 계열에서는 올고비치가 나왔다.
이 외에도, 야로스와프 펠렌스키에 따르면, 류리크 가문은 10세기와 11세기에 여러 하위 왕조로 나뉘었다. 이들은 체르니히우의 ''올고비치'',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유리에비치'',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로마노비치'' 등이었다.[27]
5. 유산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 역사가들은 류리크 왕조의 유산에 대해 수년 동안 논쟁을 벌여왔다. 러시아는 모스크바 대공국을 키예프 루스 문명의 유일한 상속자로 간주하는 반면, 우크라이나는 키예프 루스, 루테니아 왕국, 리투아니아-루테니아, 코사크 헤트만국과의 연속성을 강조한다.[34]
우크라이나의 관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 키예프 루스 통치자들이 쇠퇴한 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통치자들은 키예프 연대기와 갈리치아-볼히니아 연대기에 기록된 것처럼 이전 루스 영토 전체의 통치자라는 유일한 계승과 칭호를 주장했다.[34]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몰락 이후 리투아니아-루테니아 대공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군주들도 유일한 계승을 주장했으며, 이는 당시 루테니아 인구와 역사가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특히 페레야슬라프 조약 이후와 1674년 키예프 개요 출판 이후 이러한 관점은 변화했는데,[35] 대 러시아, 소 러시아, 백 러시아 사람들을 차르의 지도 아래 단일한 전 러시아 민족으로 간주했다. 비록 이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지만, 결국 18세기와 19세기 초 루테니아 역사가 쓰여질 때까지 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1840년대부터 1930년대 말까지 민족 역사가들이 발전시킨 일선적이고 배타적인 우크라이나 민족 이론과 함께 별도의 우크라이나 역사 기술의 기초를 이루었다. 미하일로 흐루셰프스키는 자신의 우크라이나-루스 역사에서 이를 가장 명확하게 요약했으며, 현재의 유일한 계승 관점의 기초를 놓았다.
소련 시대 동안 1930년대까지 이전의 전 러시아 민족 이데올로기는 "키예프의 유산을 세 슬라브 민족, 즉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로루시인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것으로 수정되었지만, 이후 러시아 민족을 다른 민족에게 "혁명 투쟁과 사회주의 건설에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는 맏형으로 격상시켰다.[36]
6. 각 공국별 통치자
류리크 가문은 12세기 중반까지 키예프 루스를 통치했으며, 이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각 공국을 다스렸다. 이들은 장자 상속과 ''이자고이'' 원칙을 따랐으나, 1054년 야로슬라프 현공의 죽음 이후 분열되어 여러 자치 공국으로 나뉘었다. 주요 분파로는 모노마호비치, 올레고비치, 이자슬라비치 등이 있었다.
각 공국별 주요 통치자는 다음과 같다.
- '''노브고로드 공작''': 류리크 (860년-879년)
- '''키예프 공작 및 대공''': 올레크 베시, 이고리 류리코비치, 키예프의 올가, 스뱌토슬라프 1세, 블라디미르 1세, 야로슬라프 1세 외
- '''트베리 대공''':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외
- '''갈리치아-볼히니아 왕''': 로만 2세 므스티슬라비치, 다닐로 로마노비치 외
- '''블라디미르 대공''': 안드레이 돌고루키, 프세볼로트 3세, 알렉산드르 넵스키 외
- '''모스크바 공작 및 대공''':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이반 1세, 드미트리 돈스코이, 이반 3세 외
- '''러시아 차르''': 이반 4세, 표도르 1세 외
1598년 표도르 1세의 죽음으로 모스크바의 류리크 왕조는 단절되었으나, 방계 혈통은 이어졌다.
6. 1. 노브고로드 공작
류리크는 860년부터 879년까지 노브고로드의 공작이었다.6. 2. 키예프 공작 및 대공
재위 기간 | 이름 |
---|---|
879년–912년 | 올레크 베시 |
912년–945년 | 이고리 류리코비치 |
945년–962년 | 키예프의 올가 |
962년–972년 | 스뱌토슬라프 1세 |
972년–980년 | 야로폴크 1세 |
980년–1015년 | 블라디미르 1세 |
1015년–1019년 | 스뱌토폴크 1세 |
1019년–1054년 | 야로슬라프 1세 |
1054년–1073년, 1076년–1078년 | 이자슬라프 1세 |
1073년–1076년 | 스뱌토슬라프 2세 |
1078년–1093년 | 프세볼로트 1세 |
1093년–1113년 | 스뱌토폴크 2세 |
1113년–1125년 |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
1125년–1132년 | 므스티슬라프 1세 |
1132년-1138년 | 야로폴크 2세 |
1139년-1146년 | 프세볼로트 2세 |
1146년 | 이고리 2세 |
1146년-1149년, 1151년-1154년 | 이자슬라프 2세 |
1149년-1151년, 1155년-1157년 | 유리 돌고루키 |
1151년-1154년 | 뱌체슬라프 1세 |
1154년, 1158년-1167년 | 로스티슬라프 1세 |
1154년-1155년, 1157년-1158년 | 이자슬라프 3세 |
1167년-1169년, 1170년 | 므스티슬라프 2세 |
1169년, 1170년-1171년 | 글레프 |
1171년 | 블라디미르 3세 |
1171년 | 미할코 유리예비치 |
1171년-1173년, 1175년-1177년 | 로만 로스티슬라비치 |
1173년 | 프세볼로트 3세 |
1173년, 1180년-1182년, 1194년-1202년, 1203년-1206년, 1207년-1210년 | 류리크 2세 |
1174년, 1177년-1180년, 1182년-1194년 | 스뱌토슬라프 3세 |
1174년-1175년, 1180년 | 야로슬라프 2세 이자슬라비치 |
1202년, 1212년-1214년 | 인그바리 |
1203년-1205년 |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
1205년-1206년 | 로스티슬라프 2세 |
1206년-1207년, 1210년-1212년 | 프세볼로트 4세 |
1214년-1223년 | 므스티슬라프 3세 |
1223년-1235년 | 블라디미르 4세 |
1235년-1236년 | 이자슬라프 4세 |
1236년-1238년 | 야로슬라프 2세 프세볼로도비치 |
1238년-1239년 | 미하일 프세볼로도비치 |
1239년 | 로스티슬라프 므스티슬라비치 |
6. 3. 트베리 대공
예카테리나 2세는 류리크 왕조의 트베리 대공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의 자손 중 한 명이었다.6. 4. 갈리치아-볼히니아 왕
갈리치아-볼히니아 지역을 통치한 류리크 가문의 분파는 ''로마노비치''였다.[27]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로만 2세 므스티슬라비치 (1199년-1205년)
- 다닐로 로마노비치 (1211년-1264년)
6. 5. 블라디미르 대공
블라디미르 대공 |
---|
안드레이 돌고루키 (1157년-1174년) |
미할코 유리예비치 (1175년-1176년) |
프세볼로트 3세 (1176년-1212년) |
유리 2세 (1212년-1216년, 1218년-1238년) |
콘스탄틴 프세볼로도비치 (1216년-1218년) |
야로슬라프 2세 프세볼로도비치 (1238년-1246년) |
스뱌토슬라프 3세 (1246년 ~ 1248년) |
미하일 호로브리트 (1248년) |
안드레이 2세 (1249년-1252년) |
알렉산드르 넵스키 (1252년-1263년) |
야로슬라프 3세 (1263년-1271년) |
바실리 야로슬라비치 (1272년-1276년) |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1276년-1281년, 1283년-1294년) |
안드레이 3세 (1293년-1304년) |
미하일 야로슬라비치 (1304년-1318년) |
유리 3세 (1318년-1322년) |
드미트리 미하일로비치 (1322년-1326년) |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1326년-1327년) |
알렉산드르 3세 바실레예비치 (1327년-1328년) |
이반 1세 (1328년–1340년) |
6. 6. 모스크바 공작 및 대공
-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1283년–1303년)
- 유리 3세 (1303년–1325년)
- 이반 1세 (1325년–1340년)
- 시메온 이바노비치 (1340년–1353년)
- 이반 2세 (1353년–1359년)
- 드미트리 돈스코이 (1359년–1389년)
- 바실리 1세 (1389년–1425년)
- 바실리 2세 (1425년–1462년)
- 이반 3세 (1462년–1505년)
- 바실리 3세 (1505년–1533년)
6. 7. 러시아 차르
1598년 표도르 1세의 죽음으로 모스크바의 류리크 왕조는 단절되었고, 러시아는 혼란기를 맞이하게 된다. 류리크 왕조의 적통은 단절되었지만, 남계 자손 가계는 존재한다. 그 중 하나는 블라디미르 대공 안드레이 2세의 직계 자손인 대귀족 슈이스키 가문으로, 당주 바실리 슈이스키(바실리 4세)는 혼란기 중인 1606년에 차르로 즉위했으나 국내 지지를 얻지 못하고 단명한 정권으로 끝났다.
1613년 혼란기 말기에 성립된 로마노프 왕조는 류리크 왕조와 직접적인 혈연관계는 없었지만, 이반 4세의 비 아나스타샤 로마노브나가 로마노프 가문 출신이었기에 미하일 로마노프가 제위를 계승했다. 미하일 로마노프의 부계 조모인 바르바라 이바노브나 호브리나는 슈이스키 가문 혈통으로, 여계 및 방계이지만 미하일 자신도 류리크 왕조 혈통을 계승하고 있다. 예카테리나 2세는 류리크 왕조의 트베리 대공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의 자손 중 한 명이었다.
표도르 1세의 고모할머니인 예브도키야(1492년 이전 - 1513년, 이반 4세의 부계 숙모, 바실리 3세의 동복 여동생)의 혈통이 남아, 후손 중에는 로마노프 왕조 제12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2세의 애인이자, 후에 두 번째 부인이 되어 2남 2녀를 낳은 예카테리나 미하일로브나 돌고루코바 (몰락 귀족이었던 돌고루코프 가문 출신)가 있다. (예카테리나의 증조부 알렉산드르(1717년 - 1782년)의 조부 그리고리(1656년 - 1723년)가 예브도키야의 자손 마리야 이바노브나 고리치나와 결혼했고, 아들 중 한 명 알렉세이(1734년 사망)가 알렉산드르의 부친). 마리야의 혈통이 들어간 고리친 가문은 로마노프 왕조 지배하에서 정치가 및 군인을 배출했고, 예카테리나의 친가 돌고루코프 가문도 마찬가지이며, 그 혈통은 예카테리나의 자손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urik Dynasty (medieval Russian rulers)
http://www.britannic[...]
2015-03-27
[2]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Russia. Volume 1. From Early Rus' to 16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
논문
The Imperial Purple of the Galician-Volynian Princes
http://journals.tsu.[...]
2022-05-23
[5]
서적
Ivan III and the Unification of Russia
English Universities Press
1972
[6]
웹사이트
Khanate of the Golden Horde
http://www.accd.edu/[...]
2007-12-27
[7]
서적
Russian Identities: A Historical Surve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9-29
[8]
서적
A Brief Hi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23-10-05
[9]
서적
Ivan the Terrible
Cooper Square Press
2002
[10]
논문
Ivan Iv as Autocrat (Samoderzhets)
https://www.jstor.or[...]
2023-10-05
[11]
웹사이트
Rurik Dynasty Lays Claim to Kremlin
https://www.themosco[...]
2022-10-24
[12]
논문
Rurik and the First Rurikids
2007
[13]
서적
Russia Engages the World, 1453-1825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 T
2023-10-30
[14]
웹사이트
The Vikings at home
https://www.historye[...]
2020-05-24
[15]
웹사이트
Kievan Rus
https://www.worldhis[...]
2020-05-24
[16]
웹사이트
The Vikings (780–1100)
https://www.metmuseu[...]
2020-05-24
[17]
웹사이트
Viking Tours Stockholm, 20 Historical Cultural Transported Tours
https://www.swedenhi[...]
2020-05-24
[18]
서적
The Varangians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3-28
[19]
서적
Who were the Vikings?
Routledge
2008
[20]
웹사이트
Russ, adj. and n.
www.oed.com/view/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6
[21]
문서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https://archive.org/[...]
[22]
서적
The Emergence of Rus 750–1200
Longman Group, Ltd.
1996
[23]
논문
Population genomics of the Viking world
2019-07-17
[24]
웹사이트
I-Y3120 YTree
https://www.yfull.co[...]
2020-11-17
[25]
논문
The Rurikids: The First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the Genetic Portrait of the Ruling Family of Medieval Rus' Based on Paleogenomic Data
2023
[26]
논문
Encyclopedia of Ukraine
2009-12-01
[27]
논문
Rurik and the First Rurikids
2007
[28]
문서
Principality of Moscow under Ivan Kalita (Accession of Koloman. Acquisition of Mozhaisk)
1994
[29]
서적
Monasteries of the Moscow Kremlin
Saint Tikhon's Orthodox University for the Humanities
[30]
서적
Empires in World History: Power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10-30
[31]
웹사이트
Скаржинські
http://resource.hist[...]
2023-08-06
[32]
웹사이트
FamilyTreeDNA - Russian Nobility DNA Project
https://www.familytr[...]
2023-08-06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oland, 966–1945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2020-11-12
[34]
문서
Меч Романа Галицкого. Князь Роман мстиславич в истории, эпосе и легендах
«Дмитрий Буланин»
2011
[35]
문서
Этнонациональные отношения русских и украинцев в свете новейш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2002
[36]
Q
Q106457257
[37]
웹사이트
Who founded Russia and ruled it before the Romanovs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the Headlines
2020-01-29
[38]
문서
en:Talk:Rurik_dynasty#Catherine_the_Great_descent_from_Ruri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