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뷔르흐주 (벨기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뷔르흐주는 벨기에의 플랑드르 지방에 위치한 주로, 19세기에 명칭이 정해졌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론 백국과 관련이 있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에는 프랑스의 일부가 되었다가 빈 회의를 통해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1830년 벨기에 혁명으로 인해 1839년 런던 조약에 따라 벨기에와 네덜란드로 분할되었다. 현재 림뷔르흐주는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이며, 림뷔르흐어 방언이 사용된다. 주요 산업은 과수 재배, 석탄 채굴, 관광 등이며, 헹크, 하셀트 등의 도시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림뷔르흐주 (벨기에) - 림뷔르흐 공국 (중세)
림뷔르흐 공국은 11세기 초 랭부르 마을에서 시작하여 중세 시대에 존재했던 정치적 실체로서, 림부르크 성 건설 후 공국으로 인정받았으나 상속 전쟁, 여러 지배를 거쳐 분할되어 현재 벨기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림뷔르흐 - 림뷔르흐주 (네덜란드)
림뷔르흐주는 네덜란드 남동부에 위치하며 벨기에, 독일과 국경을 접하고, 마스트리흐트를 주도로 31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며, 마스 강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형과 화학, 자동차, 와인 생산, 관광 산업 등이 발달했고, 림뷔르흐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 신앙이 강세를 보인다. - 림뷔르흐 - 림뷔르흐어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저지 프랑코니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네덜란드에서는 지역 언어로 인정받았으며 다양한 방언과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 벨기에의 주 - 안트베르펜주
안트베르펜주는 벨기에의 주로, 스헬데 강을 따라 안트베르펜 항을 중심으로 화학, 다이아몬드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네덜란드어를 사용하고 가톨릭 신자가 다수를 차지하며, 안트베르펜 시를 포함한 역사 도시와 캄피네 지역 등의 관광 명소를 갖추고 있다. - 벨기에의 주 - 리에주주
리에주주는 벨기에 최동단에 위치하여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와 국경을 접하며, 프랑스 혁명기에 경계가 형성, 산업 혁명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왈로니아의 경제 및 문화 수도로서 대학교, 중세 유산, 철강 산업을 보유하고 4개의 행정구와 84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 리에주풍 와플 등의 식문화로 알려져 있다.
림뷔르흐주 (벨기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지리적 위치 | 벨기에 |
지역 | 플란데런 |
주도 | 하셀트 |
주지사 | 요스 란트메이터스 |
국가 | 림뷔르흐 나의 조국 |
국가 설명 | 림뷔르흐 나의 조국 |
![]() | |
지리 | |
면적 | 2,427 km²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900,098명 (2024년 1월 1일)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경제 | |
GDP (2021년) | 317억 6600만 유로 |
인간 개발 지수 (HDI) (2021년) | 0.9307th of 11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림뷔르흐주 공식 웹사이트 |
ISO 코드 | BE-VLI |
언어 | 네덜란드어 |
2. 명칭
림뷔르흐(Limburg)라는 이름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벨기에 림뷔르흐 지역에 적용되었다. 그 대신 이 지역은 중세 시대의 론 백국과 대체로 일치하는데, 론 백국은 리에주 주교령의 주요 부분 중 하나였다.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과 그에 따른 저지대 프랑스 원정 이후, 이 지역은 새롭게 창설된 하부 뫼즈 프랑스 프랑스 제1 공화국(후에 프랑스 제1 제국)의 데파르트망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는 네덜란드 림뷔르흐의 상당 부분을 포함했다.[1]
림뷔르흐라는 이름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현재 벨기에 림뷔르흐 지역에 적용되었다. 이 지역은 중세 시대 론 백국과 대체로 일치하며, 리에주 주교령의 주요 부분 중 하나였다.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과 저지대 프랑스 원정 이후, 이 지역은 하부 뫼즈 프랑스 데파르트망의 일부가 되었다.
프랑스 제국의 패배와 1815년 빈 회의 이후, 이 데파르트망은 림뷔르흐 주로 재구성되어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새로운 이름은 자체적인 중세 역사를 가지고 있었는데, 당시 멸망한 림뷔르흐 공국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림뷔르흐 공국의 수도는 현재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 리에주 주에 있는 인근 림부르-쉬르-베드르에 위치해 있었다. 네덜란드 군주국은 새로운 림뷔르흐 공국에서 명망 높은 옛 칭호를 재현하고자 이 이름을 선택했다.[1]
1830년 벨기에 혁명으로 인해, 이 림뷔르흐 주는 1839년 런던 조약에 의해 분할되었다. 서쪽 부분은 새롭게 형성된 벨기에 왕국의 주로 인정받았고, 동쪽 부분은 현대의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로 네덜란드의 일부로 남았다. 양쪽 모두 프랑스 패배 이후 네덜란드 군주국에 의해 부여된 이름을 유지했다.[1]
3. 역사
프랑스 제국 패배 후 1815년 빈 회의에서 이 데파르트망은 림뷔르흐 주로 재구성되어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새 이름은 멸망한 림뷔르흐 공국에서 유래했으며, 림뷔르흐 공국의 수도는 현재 벨기에 리에주 주에 있는 림부르-쉬르-베드르였다.
1830년 벨기에 혁명으로 림뷔르흐 주는 1839년 런던 조약에 의해 분할되었다. 서쪽은 벨기에 왕국의 주로 인정받았고, 동쪽은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로 네덜란드의 일부가 되었다.
16, 17, 18세기 동안 룬 백작령의 인구는 스페인령 네덜란드와 네덜란드 공화국의 대규모 국제 전쟁 (팔십 년 전쟁, 구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브라반트 혁명)의 영향을 받았다. 이 지역의 주교 정부는 법과 질서를 유지할 수 없었고, 경제는 약탈하는 군인들과 도둑 떼에 의해 나빠졌다. 인구는 보수적인 가톨릭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고, 1798년 농민 전쟁에서 프랑스 정권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벨기에와 네덜란드 주를 포함하는 현대 림뷔르흐 지역은 혁명적인 프랑스와 나폴레옹 제국 아래에서 로워 메즈(마스) 부서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다. 나폴레옹 패배 후, 네덜란드 왕국이 형성되었다. 빌렘 1세는 이름을 림뷔르흐 공작령의 이름을 따서 "림뷔르흐주"로 변경했다.
1830년 벨기에 혁명 이후 림뷔르흐주는 벨기에의 통치를 받았지만, 림뷔르흐주와 룩셈부르크의 지위는 불분명했다. 1831년 8월 2일부터 12일까지 "십일간의 작전" 기간 동안, 네덜란드군은 벨기에에 진입하여 여러 도시를 장악했다. 8월 8일 하셀트 근처의 메즈 벨기에군도 패배했다. 프랑스와 영국이 개입하여 휴전이 이루어졌다.
런던 회의 이후, 1839년 조약에서 림뷔르흐주와 룩셈부르크를 분할하기로 결정했다. 림뷔르흐주는 '네덜란드' 림뷔르흐주와 '벨기에' 림뷔르흐주로 분할되었다.
통합 림뷔르흐주(네덜란드 림뷔르흐주 포함)의 초대 주지사는 워털루 전투 이후인 1815년부터 1828년까지 샤를 드 브루케르였다. 그 뒤를 이어 1830년 벨기에 혁명이 시작되어 림뷔르흐가 분할되기 전까지 막시밀리앙 드 베크만이 통합 주를 통치했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림뷔르흐의 분할은 1839년에 완료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말에도 주지사들의 공백이 있었다.
벨기에 림뷔르흐주는 1962년 언어 지역으로 나뉘면서 공식적으로 플랑드르가 되었다. 벨기에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에 둘러싸여 있고 프랑스어 사용 인구가 많은 푀렌의 경우, 이는 논란이 없지 않았다.
1967년에 이르러서야 가톨릭 교회는 리에주 교구에서 분리된 하설트 교구를 설립했다.[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림뷔르흐주 주지사는 다음과 같다.이름 재임 기간 비고 헤르만 레이너르스 2009년 10월 5일 ~ 현재 1958년 출생 스테브 스테바르트 2005년 6월 1일 ~ 2009년 6월 15일 1954년 출생, 2015년 사망 힐데 호벤-베르트랑 1995년 ~ 2005년 1940년 출생 해리 반데르묄렌 1978년 ~ 1995년 국왕 주지사, 1928년 출생 루이 로페 1950년 ~ 1978년 국왕 주지사, 1914년 출생, 1982년 사망
3. 1. 선사 시대
중동에서 북유럽으로 농업과 도자기 기술을 가져온 첫 번째 사람들은 중앙 유럽에서 기원하여 기원전 5000년경 림뷔르흐주의 비옥한 남부 하스펭고우 지역에 지리적 한계에 도달한 LBK 문화였다. 그러나 기원전 4000년경에 멸망했다. 이 농경 문화에서 온 후기 사람들의 물결인 미헬스부르크 문화는 기원전 3500년경 중앙 유럽에서 도착했고 비슷한 운명을 공유했다. 그러나 도자기 기술은 그동안 존재했던 스위프터반트 문화의 지역 부족들이 습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기원전 1200년경 골호 문화와 함께 청동기 시대에 영구적인 농경지로 변모했고, 그 뒤를 이어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할슈타트와 라텐의 물질 문화가 이어졌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켈트족과 관련이 있다. 이 문화 하에서 이 지역의 인구가 증가했으며, 인도유럽어족 언어가 도착한 것도 이 시기로 여겨진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과 언어가 다시 독일 방향에서 도착했지만, 중동이 아닌 기원전 2000년경 우크라이나와 남부 러시아 방향에서 유럽에 도착한 사람들로부터 부분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 이주는 대륙 전체에 유사한 영향을 미쳤다.
카이사르는 기원전 55년경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현존하는 기록을 남겼고, 이 지역 사람들을 ''라인강 건너 게르만족''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그들을 벨가이와 트레베리의 동맹으로 묘사했고, 라인강 동쪽의 이웃들과 조상의 연관성이 있었다고 보고했다. 그보다 조금 앞서, 그의 저작의 현존하는 단편에서 포세이도니우스가 이미 이 ''게르만족''을 언급하며, 그들이 고기를 따로 구워 먹고, 우유와 섞지 않은 포도주를 마셨다고 말한 것을 알 수 있다.[6] 카이사르는 ''게르만족'' 집단 내에 여러 부족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부족은 지도자 암비오릭스와 카티볼쿠스 아래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항하여 싸운 에부로네스였다. ''게르만족'' 외에도, 에부로네스 서쪽 어딘가(아마도 림뷔르흐주 밖)에 아두아투치가 있었는데, 카이사르는 그들이 카이사르 시대보다 몇 세대 전에 유럽을 돌아다녔던 킴브리와 테우토네스의 후손이라고 보고했다.
3. 2. 로마 시대
기원전 5000년경, 중동에서 북유럽으로 농업과 도자기 기술을 가져온 첫 번째 사람들은 중앙 유럽에서 기원하여 림뷔르흐주의 비옥한 남부 하스펭고우 지역에 지리적 한계에 도달한 LBK 문화였다. 그러나 이 문화는 기원전 4000년경에 멸망했다. 이후 기원전 3500년경, 미헬스부르크 문화가 중앙 유럽에서 도착했으나 비슷한 운명을 맞이했다. 하지만 도자기 기술은 스위프터반트 문화의 지역 부족들이 습득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200년경 골호 문화와 함께 청동기 시대에 이 지역은 영구적인 농경지로 변모했고, 그 뒤를 이어 할슈타트와 라텐의 물질 문화가 나타났는데, 이는 켈트족과 관련이 있다. 이 문화 하에서 이 지역의 인구가 증가했으며, 인도유럽어족 언어가 도착한 것도 이 시기로 여겨진다.
카이사르는 기원전 55년경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겼고, 이 지역 사람들을 ''라인강 건너 게르만족''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그들을 벨가이와 트레베리의 동맹으로 묘사했고, 라인강 동쪽의 이웃들과 조상의 연관성이 있었다고 보고했다. 카이사르는 ''게르만족'' 집단 내에 여러 부족을 언급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부족은 암비오릭스와 카티볼쿠스 지도자 아래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항하여 싸운 에부로네스였다.[6]
로마 제국 통치하에서 림뷔르흐주 주변 지역은 퉁그리의 "도시"(''키비타스'')로 알려졌다. 타키투스는 이 퉁그리가 이전의 ''라인강 건너 게르만족''과 동일하다고 보고했으며, "게르만족"이라는 이름의 사용이 로마 시대에 라인강 동쪽의 독일의 많은 민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고 언급했다. 퉁그리는 일반적으로 게르만어군을 사용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지만, 현대 역사가들은 그들이 카이사르 이후 라인강 건너에서 온 새로운 이민자들의 후손인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7]
카이사르의 병사들이 주둔했던 요새 부지는 아두아투카라고 불렸다. 벨기에 림뷔르흐주에 세워진 로마 도시는 ''아두아투카 퉁고룸''(Aduatuca Tungrorum)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퉁그리의 아두아투카"를 의미한다. 오늘날 이것은 벨기에 림뷔르흐주 남동부에 있는 "톤게렌"이 되었으며, "''키비타스 퉁고룸''"이라는 로마 행정 구역의 수도였다. 로마 시대에 퉁그리 ''키비타스''는 처음에는 갈리아 벨기카의 일부였다. 그러나 나중에는 라인강 방향으로 군사화된 국경 지역과 분리되어 게르마니아 인페리어가 되었고, 이후 게르마니아 세쿤다로 변환되었다.[8]
3. 3. 중세 시대
중동에서 북유럽으로 농업과 도자기 기술을 가져온 첫 번째 사람들은 LBK 문화 소속으로, 중앙 유럽에서 기원하여 기원전 5000년경 림뷔르흐주의 비옥한 남부 하스펭고우 지역의 지리적 한계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 문화는 기원전 4000년경에 멸망했다.[6] 이후 미헬스부르크 문화 사람들이 기원전 3500년경 중앙 유럽에서 도착했으나 비슷한 운명을 맞이했다. 하지만 도자기 기술은 스위프터반트 문화의 지역 부족들이 습득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200년경 골호 문화와 함께 청동기 시대에 이 지역은 영구적인 농경지로 변모했다. 이후 할슈타트와 라텐의 물질 문화가 이어졌는데, 이는 켈트족과 관련이 있다. 이 시기 지역 인구가 증가했으며, 인도유럽어족 언어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기술과 언어는 독일 방향에서 왔지만, 기원전 2000년경 우크라이나와 남부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온 사람들에게서 일부 기원했을 수 있다.
카이사르는 기원전 55년경 이 지역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겼고, 주민들을 ''라인강 건너 게르만족''이라 칭했다. 그는 이들을 벨가이와 트레베리의 동맹으로 묘사하며, 라인강 동쪽 이웃과 조상 관계가 있다고 기록했다. 포세이도니우스는 카이사르보다 앞서 이 ''게르만족''이 고기를 따로 구워 먹고, 우유와 섞지 않은 포도주를 마셨다고 언급했다.[6] 카이사르는 ''게르만족'' 집단 내 여러 부족을 언급했는데, 암비오릭스와 카티볼쿠스가 이끈 에부로네스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항하여 싸운 가장 중요한 부족이었다. 카이사르는 에부로네스 서쪽(아마도 림뷔르흐주 밖)에 아두아투치가 있었으며, 이들이 킴브리와 테우토네스의 후손이라고 기록했다.
로마 제국 통치하에서 림뷔르흐주 주변 지역은 퉁그리의 "도시"(''키비타스'')로 알려졌다. 타키투스는 퉁그리가 이전의 ''라인강 건너 게르만족''과 동일하며, "게르만족"이라는 명칭이 로마 시대에 라인강 동쪽의 많은 민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고 언급했다. 퉁그리는 게르만어군을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들이 카이사르 이후 라인강 건너편에서 온 새로운 이민자들의 후손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퉁그리는 바타비족의 반란에서 로마 편에 섰다.[7] 로마 시대 림뷔르흐주 북부에는 텍산드리가 거주했다.
카이사르의 병사들이 주둔했던 요새는 아두아투카라고 불렸는데, 이는 요새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단어였다. 벨기에 림뷔르흐주에 세워진 로마 도시는 ''아두아투카 퉁고룸''(Aduatuca Tungrorum)으로 불렸으며, "퉁그리의 아두아투카"를 의미한다. 이곳은 현재 벨기에 림뷔르흐주 남동부의 "톤게렌"으로, "''키비타스 퉁고룸''"의 수도였다. 퉁그리 ''키비타스''는 처음에는 갈리아 벨기카의 일부였으나, 이후 라인강 방향의 군사 국경 지역과 분리되어 게르마니아 인페리어가 되었고, 나중에 게르마니아 세쿤다로 변경되었다.[8]
로마 말기와 초기 중세 시대에 벨기에 림뷔르흐주의 북부("켐펜" 지역)는 인구가 감소하고 경작되지 않았다. 텍산드리아로 알려진 이 지역에는 살리 프랑크족이 색슨족의 압박을 받으며 북쪽에서 이주해 정착했다. 벨기에 림뷔르흐주의 남부("하스펭고우" 지역)는 중요한 농업 지역으로 로마화된 상태를 유지했으며, 프랑크 제국의 핵심 영토가 되었다.
9세기 카롤링거 왕조는 서유럽 대부분을 포함하는 제국을 통치했다. 프랑크족은 원래 각 로마의 옛 시비타스("도시")를 통치하는 여러 개의 작은 왕국을 가졌으나, 메로빙거 왕조 하에서 하나의 제국으로 통합된 후 각 세대마다 분할되었다. 881년과 882년경 마스 강과 하스펭고우 지역은 바이킹에게 약탈당했으며, 이들은 마스 강에 기지를 세웠다. 초기 기독교는 톤게렌 주변 림뷔르흐의 로마화된 남부 지역에 정착했으며, 선교사들은 이곳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며 프랑크족을 개종시켰다. 교회의 수도는 톤게렌에서 마스트리흐트를 거쳐 리에주로 옮겨졌다. 이곳은 성 세르바티우스와 마스트리흐트의 람베르트가 활동한 지역이다.
림뷔르흐는 프랑크족의 중앙 오스트라시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 위치했다. 프랑크 제국 분할 후 이 중부 왕국은 로타르 2세의 이름을 따 로트링겐으로 불렸다. 10세기 동안 이 지역은 동프랑크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신성 로마 제국이 되었다. 오토 왕조 하에서 대주교들은 마스 강 삼각주까지 뻗어 있는 넓은 영토를 관할했다. 림뷔르흐 남부의 초기 성자로는 성 트루도가 있으며, 그의 이름은 생트 트뤼이덴에 남아 있다.
벨기에 림뷔르흐는 11세기 룬 백작(프랑스어 ''Looz'')의 중세 영토와 거의 일치한다. 이 백작령은 보르글론을 중심으로 했으며, 원래 룬으로 알려졌다. 초기부터 룬은 리에주 주교령에 종속되어 있었다. 1336년 룬 백작 루이 4세 이후 백작 가계가 단절되자 주교들이 직접 통치했고, 마지막 상속 দাবি자인 뤼미니의 아르놀 6세, 치니 백작은 자신의 주장을 포기했다.
3. 4. 근대
림뷔르흐라는 이름은 19세기에 들어서야 벨기에 림뷔르흐 지역에 적용되었다. 이 지역은 중세 시대 론 백국과 대체로 일치하며, 리에주 주교령의 주요 부분 중 하나였다.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과 저지대 프랑스 원정 이후, 이 지역은 하부 뫼즈 프랑스 데파르트망의 일부가 되었다.
프랑스 제국 패배 후 1815년 빈 회의에서 이 데파르트망은 림뷔르흐 주로 재구성되어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새 이름은 멸망한 림뷔르흐 공국에서 유래했으며, 림뷔르흐 공국의 수도는 현재 벨기에 리에주 주에 있는 림부르-쉬르-베드르였다.
1830년 벨기에 혁명으로 림뷔르흐 주는 1839년 런던 조약에 의해 분할되었다. 서쪽은 벨기에 왕국의 주로 인정받았고, 동쪽은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로 네덜란드의 일부가 되었다.
16, 17, 18세기 동안 룬의 인구는 스페인령 네덜란드와 네덜란드 공화국의 대규모 국제 전쟁 (팔십 년 전쟁, 구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브라반트 혁명)의 영향을 받았다. 이 지역의 주교 정부는 법과 질서를 유지할 수 없었고, 경제는 약탈하는 군인들과 도둑 떼에 의해 나빠졌다. 인구는 보수적인 가톨릭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고, 1798년 농민 전쟁에서 프랑스 정권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벨기에와 네덜란드 주를 포함하는 현대 림뷔르흐 지역은 혁명적인 프랑스와 나폴레옹 제국 아래에서 로워 메즈(마스) 부서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다. 나폴레옹 패배 후, 네덜란드 왕국이 형성되었다. 빌렘 1세는 이름을 림뷔르흐 공작령의 이름을 따서 "림뷔르흐주"로 변경했다.
1830년 벨기에 혁명 이후 림뷔르흐주는 벨기에의 통치를 받았지만, 림뷔르흐주와 룩셈부르크의 지위는 불분명했다. 1831년 8월 2일부터 12일까지 "십일간의 작전" 기간 동안, 네덜란드군은 벨기에에 진입하여 여러 도시를 장악했다. 8월 8일 하셀트 근처의 메즈 벨기에군도 패배했다. 프랑스와 영국이 개입하여 휴전이 이루어졌다.
런던 회의 이후, 1839년 조약에서 림뷔르흐주와 룩셈부르크를 분할하기로 결정했다. 림뷔르흐주는 '네덜란드' 림뷔르흐주와 '벨기에' 림뷔르흐주로 분할되었다.
통합 림뷔르흐주(네덜란드 림뷔르흐주 포함)의 초대 주지사는 워털루 전투 이후인 1815년부터 1828년까지 샤를 드 브루케르였다. 그 뒤를 이어 1830년 벨기에 혁명이 시작되어 림뷔르흐가 분할되기 전까지 막시밀리앙 드 베크만이 통합 주를 통치했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림뷔르흐의 분할은 1839년에 완료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말에도 주지사들의 공백이 있었다. 다음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림뷔르흐주 주지사 목록이다.3. 5. 20세기 ~ 현재
벨기에 림뷔르흐주는 1962년 언어 지역으로 나뉘면서 공식적으로 플랑드르가 되었다. 벨기에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에 둘러싸여 있고 프랑스어 사용 인구가 많은 푀렌의 경우, 이는 논란이 없지 않았다.
1967년에 이르러서야 가톨릭 교회는 리에주 교구에서 분리된 하설트 교구를 설립했다.[18]
통합 림뷔르흐주(네덜란드 림뷔르흐주 포함)의 초대 주지사는 워털루 전투 이후인 1815년부터 1828년까지 샤를 드 브루케르였다. 그 뒤를 이어 1830년 벨기에 혁명이 시작되어 림뷔르흐가 분할되기 전까지 막시밀리앙 드 베크만이 통합 주를 통치했으며, 먼저 마스트리흐트가 분리되었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림뷔르흐의 분할은 1839년에 완료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말에도 주지사들의 공백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림뷔르흐주 주지사는 다음과 같다.[18]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헤르만 레이너르스 | 2009년 10월 5일 ~ 현재 | 1958년 출생 |
스테브 스테바르트 | 2005년 6월 1일 ~ 2009년 6월 15일 | 1954년 출생, 2015년 사망 |
힐데 호벤-베르트랑 | 1995년 ~ 2005년 | 1940년 출생 |
해리 반데르묄렌 | 1978년 ~ 1995년 | 국왕 주지사, 1928년 출생 |
루이 로페 | 1950년 ~ 1978년 | 국왕 주지사, 1914년 출생, 1982년 사망 |
4. 지리
벨기에 림뷔르흐주의 중앙부는 동서 방향으로 데머강과 알베르트 운하가 지나가는데, 두 물줄기는 비슷한 경로를 따른다. 데머강의 유역은 주의 중앙부와 남부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통게렌을 지나 마스트리흐트에서 마스강으로 흘러드는 예케르강은 남동쪽 모퉁이를 제외한다.[1]
주의 동쪽 경계는 프랑스에서 발원하는 마스강의 서쪽 강둑과 일치한다. 마스강 유역은 예케르강뿐만 아니라 벨기에 림뷔르흐주의 북부 대부분을 포함한다.[1]
주의 남쪽은 에스베이 지역(네덜란드어: ''하스펭고우'')의 북부로, 비옥한 토양, 농업, 과수 재배가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인구 밀도가 더 높았다. 림뷔르흐주의 분리된 지역인 부렌을 포함하여 남동쪽으로 갈수록 언덕이 많아진다.[1]
데머강과 알베르트 운하 북쪽은 캄핀 지역(네덜란드어: ''(더) 켐펜'')의 일부로, 모래 토양, 황무지, 숲이 있다. 이 지역은 19세기에 석탄 채굴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인구가 비교적 적었으며, 지중해 국가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 이주민을 끌어들였다.[1]
5. 언어
모든 플람스 지방과 마찬가지로, 공식 언어는 네덜란드어이지만, 헤르스타페와 푸렌 두 지방 자치체는 어느 정도까지는 프랑스어를 사용하여 시민과 소통할 수 있다. 이들은 벨기에의 언어 편의 시설이 있는 지방 자치체 중 두 곳이다.[1]
독일어와 네덜란드어 모두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는 다양한 방언 집단인 다양한 변형된 림뷔르흐어 또한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1] ''림뷔르흐 뮌 파더란트''는 벨기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의 공식 국가이며, 서쪽의 표준 네덜란드어에 가까운 억양에서부터 매스강 근처의 더 독특한 방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림뷔르흐어 방언으로 번역된다.[1] 두 림뷔르흐 외부에서는 인접한 독일 루르 계곡 지역으로 뻗어 있는 관련 방언 또는 언어를 찾을 수 있다.[1] 또한 독일 아헨과 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리에주 주의 극동 북부에서도 관련 방언이 발견된다.[1]
나머지 플란데런과 마찬가지로, 인구에서 높은 수준의 다중 언어 구사 능력이 발견된다.[1]
림뷔르흐는 독일과 왈로니아와 가깝고, 자연스러운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연계로 인해 프랑스어와 독일어는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중요한 제2 언어였다.[1]
영어 또한 현재 비즈니스 및 문화 활동에서 널리 이해되고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프랑스어를 대체하고 있다.[1]
헨드릭 판 벨데케 가문의 중세 재산인 벨데케는 쿠링겐 서쪽 데메르강을 따라 하셀트 근처에 있었다.[1]
6. 경제
2018년 림뷔르흐주의 국내총생산(GDP)은 287억유로였다. 구매력 평가지수를 조정한 1인당 GDP는 29000EUR로, 같은 해 EU27 평균의 96% 수준이었다.[9]
경제 분야에서 관광은 "자전거 천국"(Fietsparadijs)임을 내세우는 림뷔르흐의 명소를 홍보하며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호흐 케펜 국립공원"과 같은 자연 보호 구역에서 산책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10][11]
남부의 하스펭고우(에스베)는 림뷔르흐에 주로 위치해 있으며, 현재 벨기에의 주요 과일 수확 지역이다. 림뷔르흐에서는 벨기에 과일 생산량의 50% 이상이 생산된다.
석탄 채굴은 20세기에 중요한 산업이었지만,[12] 현재는 이 주에서 종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더 복잡한 현대 경제와 공동체의 기반을 마련했다. 20세기에 림뷔르흐는 2차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2014년 12월에 문을 닫은 헹크에 주요 생산 센터를 가지고 있던 포드 자동차 회사(Ford Motor Company)와 키위트에 주요 사업장을 가지고 있던 전자 회사 필립스를 유치했다.
헹크와 같은 많은 지역은 여전히 많은 중공업 및 화학 산업을 가지고 있지만, 혁신을 장려하는 쪽으로 강조점이 옮겨졌다. 구 필립스 공장은 현재 연구 캠퍼스 부지이며,[13] 디펜베크의 하셀트 대학교는 부속 과학 공원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헹크의 석탄 광산 부지는 현재 KU 루벤, VITO, imec, UHasselt의 연구 허브인 에너지빌이 있는 토르 파크이다.
이 지역은 오늘날 산업화된 유럽의 중심지에서 무역 중심지임을 홍보하고 있다. 이곳은 이 주와 독일, 네덜란드, 왈로니아의 인접 주 사이의 파트너십을 나타내는 뫼즈-라인 유로지역의 일부이다.
7. 문화
림뷔르흐주 문화의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음악''': 많은 지역에 자체 브라스 밴드가 있다. 1965년부터 1981년까지 매년 국제적으로 유명한 재즈 및 록 페스티벌이 빌젠에서 열렸고, 이후 림뷔르흐 외부의 베르흐터로 옮겨져 현재 "록 베르흐터"로 개최되고 있다. 또 다른 유명한 연례 음악 축제는 하셀트에서 열리는 푸켈팝이다.
- '''종교''': 주로 로마 가톨릭이다.[14]
- '''민속''': 여러 지역에는 여전히 민속적인 "시민 군대"가 있다.
- '''카니발'''
- '''스포츠''': 특히 사이클 경주[15]와 축구가 가장 인기 있다. 3개 최고 전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프로 축구 클럽은 다음과 같다.
- K.R.C. 헹크와 K. 신트 트라위덴세 V.V. (1부 리그)
- 로멜 유나이티드 (2부 리그)
- K. 파트로 아이스덴 마스메헬렌과 KSK 하셀트 (3부 리그)
- K.R.C. 헹크는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했다.
- 모토크로스도 인기가 있으며, 벨기에 림뷔르흐 출신의 이 스포츠 전 세계 챔피언 4명이 있으며, 이들은 총 20번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 '''야외 레크리에이션''': 현지 자연 지역을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것이다.[16]

다른 벨기에 지역과 마찬가지로, 축구와 사이클, 특히 사이클로크로스가 주도적인 스포츠이며, 테니스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림뷔르흐는 또한 벨기에 최고의 프로 농구팀 중 하나인 림뷔르흐 유나이티드의 연고지이다. 이 팀은 ''Sporthal Alverberg''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8. 행정 구역
8. 1. 행정구
주는 3개의 행정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초 지방 자치체의 총 수는 44개이다.- 하셀트 행정구
- 마세이크 행정구
- 통에런 행정구
8. 2. 주요 도시
림뷔르흐 주는 3개의 행정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초 지방 자치체의 총 수는 44개이다.
9. 저명한 림뷔르흐 출신 인물
- 암비오릭스 (기원전 1세기) - 골족 에부로네스 부족의 지도자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항했다.
- 프리다 브레포엘스 (1955년 출생) - 정치인
- 로버트 카일리아우 (1947년 출생) - 팀 버너스리와 함께 월드 와이드 웹을 공동 발명
- 윌리 클라스 (1938년 출생) - 정치인, 전 나토 사무총장
- 잉그리드 도베시 (1954년 출생) - 물리학자이자 수학자
- 닐 도프 (1858–1942) - 작가
- 얀 반 에이크 (약 1390–1441) - 플랑드르 화가
- 아드리엔 드 제를라슈 (1866–1934) - 전 남극 탐험가
- 마스트리흐트의 람베르투스 - 초기 기독교 성인
- 성 세르바티우스 - 초기 기독교 성인
- 바르텔레미 드 튁스 드 메이란트 (1794–1874) - 정치인, 전 총리
- 헨드릭 반 벨데케 (c. 1140-c. 1190) - 이름이 알려진 최초의 저지대 국가 출신 작가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
- 잉그리드 베르그만스 (1961년 출생) - 전 유도 세계 챔피언
- 킴 클레이스터르스 (1983년 출생) - 테니스 선수
- Miel Cools|미엘 쿨스nl (1935년 출생) - 가수
- 요스 다르던 (1954년 출생) - 전 축구 선수 및 코치
- 리사 델 보 (1961년 출생) - 가수
- 니코 데왈케 (1945년 출생) - 전 축구 선수
- 해리 에버츠 (1952년 출생) - 전 (4회) 모토크로스 세계 챔피언
- 스테판 에버츠 (1972년 출생) - 전 (10회) 모토크로스 세계 챔피언
- 에릭 게보어스 (1962년 출생) - 전 (5회) 모토크로스 세계 챔피언
- 에릭 게레츠 (1954년 출생) - 전 축구 선수
- 카렐 리스몬트 (1949년 출생) - 전 육상 선수
- 재키 마르텐스 (1963년 출생) - 전 (1회) 모토크로스 세계 챔피언
- 윌프리드 넬리센 (1970년 출생) - 전 도로 사이클 선수
- 뤽 닐리스 (1967년 출생) - 전 축구 선수
- 가이 뉄런스 (1957년 출생) - 전 사이클 선수
- 오딜롱 폴레니스 (1943년 출생) - 전 축구 선수
- 악셀 레드 (본명 파비엔느 데말 (Fabienne Demal), 1968년 출생) - 싱어송라이터
- 케이트 라이언 (본명 카트리엔 베르베크 (Katrien Verbeeck), 1980년 출생) - 가수
- 레옹 셈멜링 (1940년 출생) - 전 축구 선수
- 스티븐 반 브로에크호벤 (1985년 출생) - 프로 프리스타일 윈드서퍼
- 잉그리드 반데보쉬 (1970년 출생) - 모델이자 배우, NASCAR 드라이버 제프 고든과 결혼
- 에릭 반데라르던 (1962년 출생) - 전 사이클 선수
- 막스 페르스타펜 (1997년 출생) - 레이싱 드라이버
- 요제프 플리에르스 (1932–1994) - 축구 선수 및 코치
- 다나 위너 (본명 샹탈 반리 (Chantal Vanlee), 1965년 출생) - 가수
- 옐레 포센 (1989년 출생) - 축구 선수
- 티보 쿠르투아 (1992년 출생) - 축구 선수
- 시몽 미뇰레 (1988년 출생) -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Be.STAT
https://bestat.statb[...]
[2]
웹사이트
Structuur van de bevolking | Statbel
https://statbel.fgov[...]
[3]
웹사이트
EU regions by GDP, Eurostat
https://ec.europa.eu[...]
2023-09-18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5]
웹사이트
Structuur van de bevolking | Statbel
https://statbel.fgov[...]
[6]
서적
Deipnosophists
https://penelope.uch[...]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Regional GDP per capita ranged from 30% to 263% of the EU average in 2018
https://ec.europa.eu[...]
[10]
웹사이트
Tourism Limburg website
http://www.toerismel[...]
[11]
웹사이트
National Park "Hoge Kempen" website
http://www.nationaal[...]
[12]
문서
[13]
웹사이트
www.cordacampus.com
http://www.cordacamp[...]
[14]
간행물
PDF on official site Province saying on page 3 that Catholicism is the biggest relion in limburg
http://www.limburg.b[...]
[15]
웹사이트
Site showing list of typical so called "fair couses" held 2015 in Limburg Belgium
http://www.wiellimb.[...]
[16]
웹사이트
Page on official site Province about this kind of subjects
http://www.limburg.b[...]
[17]
위키백과
"List of castles in Limburg" on NlWp
https://nl.wikipedia[...]
[18]
웹사이트
Gouverneurs van 1815 tot nu
http://www.limburg.b[...]
[19]
웹사이트
Be.STAT
https://bestat.statb[...]
[20]
웹사이트
Structuur van de bevolking | Statbel
https://statbel.fgov[...]
[21]
웹사이트
EU regions by GDP, Eurostat
https://ec.europa.eu[...]
2023-09-18
[2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