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림뷔르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저지 프랑코니아어군에 속한다. 림뷔르흐어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를 'Plat'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독일에서는 저프랑크어 방언의 일부로,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는 서부 중앙 독일어나 고지 독일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에서는 림뷔르흐어가 일상생활과 공공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며, 1997년 네덜란드 정부는 림뷔르흐어를 지역 언어로 인정했다. 림뷔르흐어는 다양한 하위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 체계와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지 프랑코니아어 -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네덜란드, 벨기에, 수리남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고대 프랑크어에서 유래하여 발전했고 아프리칸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표준 네덜란드어는 홀란트 지방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과 음운 체계를 가진 약 2400만 명의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 저지 프랑코니아어 - 아프리칸스어
    아프리칸스어는 17세기 네덜란드 케이프 식민지에서 네덜란드어 방언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에서 사용되며 네덜란드어와 상호 이해도가 높지만 간소화된 문법과 어휘를 가진 언어이다.
  • 림뷔르흐 - 림뷔르흐주 (네덜란드)
    림뷔르흐주는 네덜란드 남동부에 위치하며 벨기에, 독일과 국경을 접하고, 마스트리흐트를 주도로 31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며, 마스 강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형과 화학, 자동차, 와인 생산, 관광 산업 등이 발달했고, 림뷔르흐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 신앙이 강세를 보인다.
  • 림뷔르흐 - 림뷔르흐 공국
    림뷔르흐 공국은 1839년 런던 조약으로 네덜란드에서 분리되어 독일 연방에 편입된 국가였으나, 1866년 독일 연방 해체 후 1867년 런던 조약을 통해 네덜란드 왕국의 필수 지역으로 재편입되었다.
  • 네덜란드의 언어 -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네덜란드, 벨기에, 수리남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고대 프랑크어에서 유래하여 발전했고 아프리칸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표준 네덜란드어는 홀란트 지방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과 음운 체계를 가진 약 2400만 명의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 네덜란드의 언어 - 고대 작센어
    고대 작센어는 5세기경 작센인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고대 영어, 고대 프리지아어와 관련이 있고, 중세 저지 독일어로 진화했으며, 굴절어이며 헬리안트 등의 문학 텍스트가 존재한다.
림뷔르흐어
언어 정보
이름림뷔르흐어
다른 이름림뷔르간어
림뷔르흐 방언
동부 저지 프랑크어
남부 저지 프랑크어
로마자 표기Limbureuheo
현지어 이름
지역림뷔르흐 주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 (벨기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사용 국가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사용자 수네덜란드 및 벨기에: 약 130만 명
독일: 미상
소멸 위기 등급취약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베저-라인 게르만어
저지 프랑크어
조상 언어프랑크어
문자라틴 문자
공용어 지정네덜란드 림뷔르흐 주 (1996년,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 비준, 1997년 발효)
언어 코드
ISO 639-1li
ISO 639-2lim
ISO 639-3lim
Glottologlimb1263
Linguasphere52-ACB-al

2. 용어

림뷔르흐어(Limburgish)라는 이름과 그 변형들은 중세 시대 림뷔르크 공국의 수도였던 림뷔르(림뷔르흐어: ''Laeboer'', IPA: /ˈlæːbuʁ/)에서 간접적으로 유래했다. 더 직접적으로는 오늘날 벨기에 림뷔르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로 나뉜 네덜란드 왕국 시절 림뷔르흐주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옛 림뷔르크 공국 주변 지역의 주요 언어는 현재 프랑스어지만, 림뷔르흐어 또는 그와 유사한 방언들이 일부 존재한다. '림뷔르흐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처음 사용된 기록이 있다.[6]

림뷔르흐 출신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저지 독일어 화자들처럼 ''plat''[7]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고지'라는 말과 반대로, 언어가 낮은 평원 국가에서 사용된다는 점을 나타낸다. 반면 고지 독일어는 더 산악 지형인 남부 지역 방언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plat'이라는 단어는 '시골'(네덜란드어: platteland)과 관련이 있으며, 때로는 비공식적이거나 지역적인 단어, 표현을 가리켜 단순히 '속어'를 의미하기도 한다.

여러 정의에 따른 림뷔르흐어 사용 지역


'림뷔르흐어'라는 용어는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넓게는 벨기에 또는 네덜란드 림뷔르흐주, 플레미시 브라반트 남동부, 리에주주 북동부, 그리고 인접한 독일 라인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든 관련 방언을 지칭할 수 있다.

  • 일상적 사용: 일반적으로 네덜란드와 벨기에 림뷔르흐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가리킨다. 네덜란드는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따라 림뷔르흐어를 지방 언어로 인정하여 법적으로 정의하고 있다.[8]
  • 전통적 방언학: 대략 위어딩겐 선과 벤라트 선 사이에 위치하며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정의된다.
  • 얀 호센스의 제안: 플랑드르 언어학자 얀 호센스는 위어딩겐 선과 벤라트 선 사이의 모든 저 프랑크어 방언을 포함하도록 정의를 확장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 제안은 다른 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어떤 정의를 사용하든 '림뷔르흐어'라는 용어 자체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주로 사용되며, 해당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지역적 정체성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면, 인접한 독일 지역에서 림뷔르흐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저 프랑크어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들은 자신들의 방언을 '림뷔르흐어'라고 부르지 않으며, 이러한 지역적 정체성도 뚜렷하지 않다.[9] 독일 언어학계에서도 이 용어는 흔하지 않으며, 대신 동일한 방언 그룹을 지칭하기 위해 '남부 저 프랑크어'(독일어: Südniederfränkischde)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최남단의 림뷔르흐주, 인접한 벨기에 동부의 림뷔르흐주, 그리고 독일의 젤프칸트 지방(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지역은 표준 독일어와 표준 네덜란드어/플라망어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대략 펜로, 쾰른, 아헨, 마스트리흐트, 하셀트를 잇는 원 안에서 사용된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에서 지방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 제2장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ISO 693-2 언어 코드는 "lim"이다.

림뷔르흐어는 각 언어에서 다음과 같이 불린다.

언어명칭
림뷔르흐어Plat, Limburgs, Lèmbörgs
네덜란드어Limburgs
독일어Limburgisch
영어Limburgish, Limburgian, Limburgic
프랑스어Limbourgeois



언어학적 분류에서는 관점의 차이가 존재한다. 독일에서는 일반적으로 림뷔르흐어를 저 프랑크어 방언에 속하는 림뷔르흐-베르크 방언군의 일부로 간주한다. 그러나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언어학자들은 이를 '서부 중앙 독일어' 또는 단순히 '고지 독일어'의 일부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제2차 자음 추이를 겪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언어학자들은 저지 독일어가 제2차 자음 추이를 전혀 겪지 않았다고 보기 때문에, 일부 추이의 영향을 받은 림뷔르흐어를 저지 독일어로 분류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3. 분류 및 역사

림뷔르흐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저지 프랑코니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역사 언어학의 관점에서 볼 때, 림뷔르흐어는 중세 네덜란드어의 다섯 가지 주요 방언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10][11] 하지만 이는 현대 네덜란드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을 기준으로 사후에 정의된 것으로, 중세 네덜란드어 자체가 동질적인 언어는 아니었다.[11]

림뷔르흐어의 분류는 여러 국가의 학문적 전통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독일과 프랑스의 방언학에서는 림뷔르흐어를 라인 방언군의 일부로 보며,[12] 때로는 뫼즈-라인어의 한 변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반면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언어학에서는 리푸아리아어 변종과 함께 림뷔르흐-리푸아리아어라는 더 넓은 범주 안에서 다룬다.[13] 이러한 다양한 분류는 중세 초기의 림뷔르흐어 작가인 하인리히 폰 페르데케를 네덜란드와 독일 양측에서 자국의 문학 전통에 포함시키려는 경향에서도 나타난다.[14]

역사적으로 림뷔르흐어는 고대 동부 저지 프랑코니아어에서 발전했으며, 이는 더 거슬러 올라가면 초기 베저-라인 게르만어군에서 진화한 것이다. 베저-라인 게르만어는 적어도 4세기부터 로마 제국 국경 양쪽의 저지대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중세 성기 동안, 훗날 림뷔르흐어가 되는 방언들은 쾰른 주변에서 사용되던 고지 독일어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특정 고지 독일어 자음 이동의 특징들이 흡수되었고, 이로 인해 림뷔르흐어는 때때로 동부 저지 프랑코니아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모든 림뷔르흐어 변종이 고지 독일어의 일부인 서부 중앙 독일어로 간주되기도 했다.[18][19] 이는 고지 독일어 자음 이동의 초기 세 단계 중 하나라도 겪은 변종을 고지 독일어 변종으로 정의하는 입장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현대 언어학에서는 림뷔르흐어를 저지 프랑코니아어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통적인 용어 분류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데, 고대 서부 프랑코니아어와 고대 동부 프랑코니아어의 역사적 구분(주로 특정 모음 변화와 잉그보닉 특징 유무 관련)은 현대 서부 및 동부 저지 프랑코니아어 방언의 구분(중세 네덜란드어 시대 이후 나타난 고지 독일어 특징 유무 기반)과는 다르기 때문이다.[20][21]

고지 독일어의 영향은 13세기까지 이어졌으나, 이후 브라반트 공국의 세력이 확장되면서 서부 림뷔르흐어 방언(예: 헨크까지 사용되는 방언)과 동부 변종 사이에 뚜렷한 브라반트어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2]

20세기 말부터는 림뷔르흐어를 전통적인 네덜란드-독일 이분법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언어로 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림뷔르흐어 언어학자들과 관련 기관들은 림뷔르흐어를 네덜란드어 및 독일어와 명확히 구별되는 언어로 간주하며,[15][16] 이는 네덜란드 정부가 림뷔르흐어를 네덜란드어로부터 정치적으로 분리하는 계기가 된 림뷔르흐어 협약[17]에서도 확인된다.

현재 림뷔르흐어는 본질적으로 저지 프랑코니아어군 변종이지만, 음운론, 형태론, 어휘 면에서 표준 네덜란드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주로 플람스 방언 및 브라반트어와 같은 서부 저지 프랑코니아어 방언에서 발전한 표준 네덜란드어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 변종의 표준 언어(다흐슈프라헤) 역할을 한다. 반면 독일의 림뷔르흐어 또는 남부 저지 프랑코니아어 방언 사용자는 표준 독일어를 다흐슈프라헤로 사용한다.

림뷔르흐 출신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저지 독일어 사용자들이 그러하듯 ''plat''[7]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높은(high)' 지역과 대조적으로 낮은 평야 지대에서 사용된다는 의미이며, '고지 독일어'가 더 산악 지형인 남부 지역 방언에서 유래한 것과 대비된다. 따라서 'plat'은 평평한 땅(네덜란드어: platteland, 시골)과 관련 있으며, 때로는 비공식적이거나 지역적인 특색이 강한 표현을 가리켜 '속어'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림뷔르흐어라는 이름 자체는 중세 시대 림뷔르크 공국의 수도였던 림뷔르 (Laeboer|라부르lim)에서 간접적으로 유래했다. 더 직접적으로는 오늘날 벨기에 림뷔르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로 나뉜 네덜란드 왕국의 옛 림뷔르흐 주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림뷔르흐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처음 문증된다.[6]

4. 지리적 분포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최남단의 림뷔르흐주, 인접한 벨기에 동부의 림뷔르흐주, 그리고 독일의 젤프칸트 지방(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 지역은 표준 독일어와 표준 네덜란드어/플라망어의 경계 주변에 위치하며, 대체로 펜로, 쾰른, 아헨, 마스트리흐트, 하셀트를 잇는 원 안에서 사용된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벨기에에서 약 160만 명이 사용하며, 독일에서는 정의에 따라 수십만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독일 내 분포 지역의 일부 도시에서는 주민의 50%에서 90%가 림뷔르흐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벨기에(플랑드르어 지역)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나 독일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보다 프랑스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특징이 있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에서 지방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의 제2장에 따라 적절한 보호를 받고 있다. ISO 693-2 언어 코드는 "lim"이다.

5. 하위 방언

림뷔르흐어는 여러 하위 방언으로 나뉘며, 사용 지역과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북부 저린부르흐어: 'ik-린부르흐어'라고도 불리며, 주로 네덜란드 펜로 주변에서 사용된다. 독일에서는 크레펠트 방언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 서부 저린부르흐어: 벨기에하셀트와 벨데케 주변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 변종이다. 독일에서는 이 지역 외에도 네덜란드 림부르흐와 네덜란드 브라반트 지역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동부 림뷔르흐어와의 경계는 벨기에 보렌 (Voeren) 자치체에 속한 's-Gravenvoeren 마을과 Sint-Martens-Voeren 마을 사이 약간 남쪽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본다.
  • 중부 저린부르흐어: 마스트리흐트를 중심으로 한 지역과 그 북쪽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가리키는 독일의 개념이다. 독일에서는 벨기에 헹크 주변 및 헹크와 하셀트 사이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 변종 역시 중부 저린부르흐어로 분류한다.
  • 동부 저린부르흐어: 벨기에의 보렌 (Voeren), 네덜란드의 시타르트 남쪽에서부터 독일의 뒬켄과 크레펠트 중부까지 이어지는 지역의 방언을 지칭하는 독일의 개념이다.
  • 동린부르흐-리푸아리어 전이 지역: 벨기에의 웰켄라에트, 론첸, 모레네, 오이펜 주변 지역, 네덜란드의 우바흐와 브룸섬 사이 지역, 그리고 묀헨글라트바흐를 포함하는 독일의 넓은 지역에 걸쳐 사용되는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는 독일의 개념이다. 이 지역은 동부 림뷔르흐어와 리푸아리어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는 과도기적 성격을 띤다.


한편, 네덜란드의 케르크라데, 파알스 주변, 독일의 아헨 주변, 벨기에의 Raeren, Eynatten 주변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리푸아리 방언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성조(tone)의 유무를 기준으로 이 방언들을 정의한다면, 그 범위는 독일 방향으로 수십 킬로미터 더 확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지역의 언어는 고지 독일어 변종에 속하는 계층으로 분류된다.

6. 음운

림뷔르흐어는 다른 서게르만어에 비해 자음과 모음이 풍부한 편이며,[40][41] 특히 고저 악센트를 가진 언어라는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이 있다. 이 악센트는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42] 엄밀히 말하면 다르지만 중국어와 같은 완전한 성조 언어처럼 "성조"라고 불리기도 한다.

벤엘룩스, 프랑스, 독일에서 역사적으로 음조 강세가 사용된 지역의 범위(주황색)


끌어올리는 음조(Sleeptoon)의 음조 윤곽


미는 음조(Stoottoon)의 음조 윤곽


강세를 받는 음절에는 두 가지 다른 종류의 고저 악센트가 사용된다. 이 두 악센트는 전통적으로 '미는 음조'(Stoottoon|스토트톤nl)와 '끌어올리는 음조'(Sleeptoon|슬레이프톤nl)로 불린다. 두 악센트 모두 높게 시작하여 아래로 떨어지지만, 미는 음조는 내려간 채로 끝나는 반면 끌어올리는 음조는 다시 소리가 올라간다.

이 악센트의 차이는 단일 어휘소의 다양한 문법적 형태나 서로 다른 최소 대립쌍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42] 예를 들어, 끌어올리는 음조를 가진 ''daãg''는 "날(day)"을 의미하는 반면, 많은 방언에서 미는 음조를 가진 ''daàg''는 복수형인 "날들(days)"을 의미한다. 음조에 의해서만 어휘적 의미가 달라지는 예시로는 미는 음조로 발음되는 ''biè''("벌")와 끌어올리는 음조로 발음되는 ''biẽ''("~에")가 있다. 이러한 대조적인 고저 악센트는 림뷔르흐어 남동쪽에서 사용되는 중앙 프랑코니아어 방언에서도 나타난다.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 중에서도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표준 슬로베니아어 (일부 화자), 세르보크로아트어 등에서 단어 의미 구별을 위해 음조 윤곽을 사용하는 고저 악센트가 발견된다. 하지만 중국어나 아프리카, 중앙 아메리카의 여러 언어와 같은 전형적인 성조 언어들에 비하면 림뷔르흐어는 음조 구분을 훨씬 적게 사용한다.[43]

역사적으로 림뷔르흐어와 중앙 프랑코니아어의 고저 악센트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강세 체계와는 별개로 발달했다. 대조적인 강세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재구성되지만, 게르만조어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44] 림뷔르흐어(및 중앙 프랑코니아어)에서 고저 악센트가 다시 나타난 것은 1100년 이후 짧은 모음의 개음절 장음화, 마지막 음절에서의 슈와 소실, 어말 자음의 무성음화, 그리고 이전에 구별되던 모음들의 음운 병합과 같은 음운 변화 과정에서 음소화된 결과로 여겨진다.[45]

6. 1. 자음

파찰음무성음pt̪ / tt͡ʃckʔ유성음bd̪ / dd͡ʒɟɡ마찰음무성음fs̪ / sʃxh유성음vz̪ / zʒɣʁ접근음중설음wj설측음



전반적으로, 림뷔르흐어 방언은 네덜란드어보다 더 많은 자음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더 많은 모음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피터 레이데포지드(Peter Ladefoged)에 따르면, 베르트(Weert) 방언의 모음 체계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것 중 하나일 수 있다. 12개의 장모음(그 중 3개는 중설 이중모음으로 나타남), 10개의 단모음, 6개의 이중모음을 포함하여 총 28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40][41]

판닝언(Panningen)의 남동쪽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림뷔르흐어 방언(예: 루르몬트(Roermond), 시타르트(Sittard), 헤를렌(Heerlen) 방언)에서는 단어 시작 부분의 자음군 ''sp'', ''st'', ''sl'', ''sm'', ''sn'' 및 ''zw''에서 /ʃ/ 소리가 난다. 같은 소리는 다른 지역에서는 /s/로 발음된다(예: ''sjtraot''/''straot'', "거리"). 그러나 이는 예를 들어 벤로(Venlo), 베르트, 마스트리흐트(Maastricht), 에흐트(Echt), 몽포르트 및 포스터홀트(Posterholt) 방언에서는 그렇지 않다.

6. 2. 모음

단모음 (마스트리흐트 방언)


이중 모음 (마스트리흐트 방언)


다음은 몽포르트에서 사용되는 서부 림뷔르흐어의 음운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

{|

|

단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평순 모음원순 모음
고모음iyu
중고모음ɪʏəʊ
중저모음ɛ̝ ɛœɔ
개모음æɑ



|

장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평순 모음원순 모음
고모음
중고모음øː
중저모음ɛːœː œ̃ːɔː ɔ̃ː
개모음æː æ̃ːɑː ɑ̃ː



|}



이중모음 /iə ø eɪ æɪ uɪ ɔɪ aɪ ou/가 존재하며, /uː ɔː ɑː/ + /j/의 조합도 존재한다. /aɪ/는 프랑스어 차용어와 감탄사에서만 나타난다.

/ou/는 치조 자음 앞에서 [oə]로 실현된다. /eɪ/는 [eə] 또는 [ejə]로 실현될 수 있다. 헬레인 방언에서는 /eː/가 [iɛ]로, /oː/가 [ɔː]로 실현된다. 마스트리흐트시타르트와 같은 많은 방언에서 네덜란드어 동족어의 장모음 /aː/는 대부분 ''나오''("후에", " ~에, ~으로")에서처럼 [ɒː]로 실현된다. 표준 네덜란드어에 해당하는 단어는 ''나'' [naː]와 ''나르'' [naːr]이다.

약 50개의 벨기에 림뷔르흐어 방언에서는 둥근 전설 모음 /y, yː, ø, øː, œ, œː, œy/가 대부분 고유어에서 /i, iː, ɪ, eː, ɛ ~ æ, ɛː, ɛi/로 평순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음은 ''dzjuus'' /dʒys/와 같은 프랑스어 차용어에는 유지된다.

7. 문법

림뷔르흐어는 대륙 서게르만어 방언 연속체에 속하는 언어이다. 방언 연속체 내에서는 흔히 그렇듯이, 서로 가까운 지역의 방언일수록 유사성이 높다. 하지만 거리가 멀어질수록 이해하기 어려워지며, 네덜란드어-독일어 연속체에서는 결국 서로 이해할 수 없는 방언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동소선이 이 지역에 매우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어, 거의 모든 마을이나 도시마다 고유한 림뷔르흐어 방언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묀헨글라트바흐, 크레펠트, 뒤셀도르프와 같은 대도시 안에도 여러 지역 방언이 있다. 이들 도시는 방언 집단의 경계를 넘어설 정도로 커서, 클레버란디시나 리푸아리아어와 같은 인접 그룹에 속하는 토착 방언을 가진 구역도 포함한다.

몇 가지 방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림뷔르흐어는 저지 프랑크어의 특징과 리푸아리아어의 특징(예: 성조 억양)을 함께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1인칭 대명사 '나(I)'는 리푸아리아어처럼 ech|에흐lim 또는 iech|이흐lim로, '그러나(but)'는 주로 awwer|아버lim로 표현된다. 반면, '시간(time)'은 tied|티트lim, '가지다(to have)'는 대부분 hebbe|헤버lim, '오늘(today)'은 vandag|판다흐lim로 표현되는데, 이는 저지 프랑크어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림뷔르흐어 방언은 크게 몇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7. 1. 명사

림뷔르흐어는 세 개의 문법적 성(남성, 여성, 중성)을 가지고 있다. 일부 림뷔르흐어 방언에서는 남성 명사가 ''b'', ''d'', ''h'', ''t''로 시작하거나 모음으로 시작할 때 정관사로 denli이 사용되며, 다른 많은 방언에서는 모든 남성 명사 앞에 derli이 사용된다. 대부분의 방언에서 부정 관사는 남성 명사에 eine(n)li, 여성 명사에 einli, 중성 명사에 eili 또는 'nli이다. 강세가 없는 경우, 이러한 형태는 대부분 ne(n)li, nli, eli로 실현된다.

일부 명사의 경우 림뷔르흐어는 복수를 형성하기 위해 모음 변이(모음변이)를 사용한다.

일부 명사의 경우 별도의 활용이 존재한다.

모음 변이를 기반으로 한 복수와 지소사독일 방향으로 동쪽으로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서쪽으로 갈수록 끌어당기는 톤과 밀어내는 톤 사이의 음소적 구분은 리엠스트 바로 앞에서 멈춘다.

지소사는 브라반트어처럼 '-ke'가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치경 자음 뒤에는 '-je' 또는 '-sje'가 사용된다. 일부 명사에는 모음 변이(움라우트)도 사용되며, 'breurke'는 '작은 형제', 'sjeunke'는 '작은 신발'을 의미한다.

7. 2. 형용사

림뷔르흐어 형용사는 굴절 방식에 따라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의 형용사는 남성 및 여성 단수 형태와 모든 복수 형태에서 어미 ''-e''를 가진다. 반면, 중성 단수 형태에서는 별도의 어미가 붙지 않는다. 다만, 남성 단수 명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특정 음운론적 조건 하에서 형용사 어미가 ''-en''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유형에는 주로 어미가 ''-ch[t]'', ''-d'', ''-k'', ''-p'', ''-t'' 또는 다른 자음 뒤에 오는 ''-s''로 끝나거나, ''-eg'', ''-ig'', ''-isch''와 같은 접미사를 가지는 형용사들이 속한다.

두 번째 굴절 유형은 어미가 ''-f'', ''-g'', ''-j'', ''-l'', ''-m'', ''-n'', ''-ng'', ''-r'', ''-w'' 또는 모음 뒤에 오는 ''-s''로 끝나는 대부분의 형용사를 포함한다. 이 형용사들은 오직 남성 단수 형태에서만 어미 ''-e(n)''를 취한다.

형용사가 술어로 사용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어미를 붙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Dee mins is gek''는 마스트리흐트 방언으로 "그 남자는 미쳤다"라는 의미이다. 예외적으로 중성 형용사가 술어로 쓰일 때 ''-t'' 어미를 갖는 경우('''t Eint of 't angert'' 등)도 있었으나, 이러한 용법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다.

7. 3. 대명사

림뷔르흐어의 대명사는 방언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주요 대명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인칭 대명사'''

다음 표는 웬로(Venlo), 로어몬트(Roermond), 베르트(Weert), 마스트리흐트(Maastricht) 방언의 인칭 대명사 주격과 목적격 형태를 비교한 것이다.

rowspan=2|주어목적어
웬로로어몬트베르트마스트리흐트웬로로어몬트베르트마스트리흐트
1인칭 단수ikichiechmichmiech
2인칭 단수doedichdiechdichdiech
3인칭 단수 남성haeheerhäöm (로어몬트 방언에서는 dem도 사용)
3인칭 단수 여성zie, hetzeujzie, zijhäör, häömheurhäör
3인칭 단수 중성hethet
1인칭 복수weejveervaeveerósus
2인칭 복수geejgeergaegeeróchuchuuch
3인칭 복수ziezeujdiehäörhun



'''소유 대명사'''

소유 대명사는 성과 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남성 단수여성 단수중성 단수복수
1인칭 단수miene(n)mienmiemien
2인칭 단수diene(n)diendiedien
3인칭 단수 남성ziene(n)zienziezien
3인칭 단수 중성ziene(n)zienziezien
3인칭 단수 여성häöre(n)häörhäörhäör
1인칭 복수ooze(n)oos (마스트리흐트 방언: eus)ós (마스트리흐트 방언: us)oos (마스트리흐트 방언: eus)
2인칭 복수eure(n)eureureur
3인칭 복수häöre(n) (동부) / hunne(n) (서부)häör (동부) / hun (서부)häör (동부) / hun (서부)häör (동부) / hun (서부)



''mien'', ''dien'', ''zien'' 및 ''oos''의 남성 단수 형태에서는 관사 및 형용사에 적용되는 동일한 음운론적 조건 하에 어미 '-n'이 추가된다. ''mien'', ''dien'', ''zien''의 중성 형태에서 어미 '-n'이 탈락하는 현상은 펜로 방언에서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으며, 로에르몬트 방언에서도 사라지는 추세이다.

'''지시 대명사'''

림뷔르흐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지시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단수 남성단수 여성단수 중성복수번역
deze(n)/dizze(n)dees/disditdees이것/이것들
dae(n) (마스트리흐트 방언: dee)diedet (펜로, 뢰르몬트, 베르트), dat (마스트리흐트)die저것/저것들


8. 어휘

현대 림뷔르흐어 어휘의 대부분은 표준 네덜란드어 또는 표준 독일어와 매우 유사하며, 이는 두 언어의 강력한 영향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기본 어휘는 인접한 중앙 독일어 방언에서 유래되었다.

역사적으로, 현재 벨기에 영토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의 어휘는 네덜란드독일 영토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 방언보다 프랑스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이는 briquetfra(라이터), camionfra(트럭) 및 crevettefra(새우)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난다.

9. 표기법

림뷔르흐어는 하나의 통일된 표준어가 없고 수많은 변이가 존재하는 언어이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일반적으로 쓰이는 림뷔르흐어"라는 의미의 AGL(''Algemein Gesjreve Limburgs'')이라는 통일된 표준 형태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실패했다.[23] 오늘날 특정 림뷔르흐 방언을 표기할 때는 1940년대에 처음 적용된 이른바 "벨데케 철자법"이 주로 사용된다.[24]

표준화된 형태나 공식적인 표준 철자법은 없다. 그러나 2000년 네덜란드 림뷔르흐주 의회는 림뷔르흐어 관련 자문을 위한 '림뷔르흐어 언어 위원회'(''Raod veur 't Limburgs'')를 설립했다. 이후 2003년, 방언 협회인 'Veldeke Limburg'는 림뷔르흐어 언어 위원회의 지지를 받아 권고 철자법을 개발했다. 이 철자법은 림뷔르흐 방언에서 나타나는 모든 소리를 일관되게 문자로 표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표준 철자법을 바탕으로 '림뷔르흐어 아카데미 재단'(''Stiechting Limbörgse Academie'')은 림뷔르흐어-네덜란드어, 림뷔르흐어-영어 등 다양한 사전을 제작하고 있다.[25]

하지만 이 2003년 권고 철자법 역시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현재는 해당 방언 협회 내부에서 사용되거나 이중 언어 지명 표지판 등에 쓰이고 있다.[38][39]

10. 사용 현황

마스트리흐트의 이중 언어 표지판


림뷔르흐어는 저지대 국가에서 약 160만 명이 사용하며, 독일에서도 수십만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네덜란드 림뷔르흐주에서는 림뷔르흐어가 일상 대화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자리와 지역 라디오 방송에서도 자주 사용된다.[26] 2011년 헤이르트 드리선(Geert Driessen)의 연구에 따르면, 림뷔르흐주 성인의 54%, 어린이의 31%가 림뷔르흐어를 사용했다.[27] 초기 시대를 제외하면 림뷔르흐어는 실제적인 문어 전통이 없지만, 헨드릭 판 펠데케는 중세 림뷔르흐어 방언으로 글을 썼다.[28] 네덜란드에서는 이 언어의 문화적 의미도 중요하다. 많은 노래 가사가 림뷔르흐 방언으로 쓰이며, 예를 들어 카니발 기간 동안에도 사용된다. 잭 풀스(Jack Poels)는 밴드 로우언 헤이저(Rowwen Hèze)를 위해 자신의 대부분의 가사를 지역 방언인 세베넘스어로 쓴다.

벨기에 하셀트의 이중 언어 표지판


벨기에에서는 림뷔르흐 방언이 일반적으로 네덜란드보다 더 위협받는 것으로 간주된다.[29] 벨기에 림뷔르흐 지역의 도시별 사용률에 대해서는 50%에서 90%에 달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과대평가로 여겨지기도 한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표준 네덜란드어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독일에서는 림뷔르흐어가 실제로 어느 정도 사용되는지에 대해 논쟁이 있으며, 독일 내 해당 지역 도시들에서는 인구의 50% 미만이 림뷔르흐어의 지역 또는 지방 형태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와 벨기에 림뷔르흐의 많은 주민들에게 여전히 모국어이기 때문에, 림뷔르흐어의 문법, 어휘, 발음은 지역 주민들이 공적인 자리에서 네덜란드어를 사용하는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30] 이 지역에서는 표준 네덜란드어와 림뷔르흐어에서 파생된 억양 및 일부 문법적, 발음적 특징을 결합한 중간 형태의 개인 언어도 흔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언어 형태는 때때로 "림뷔르흐 네덜란드어" 또는 단순히 "림뷔르흐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벨기에에서는 이를 tussentaal|튀센탈nld("중간 언어")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31]

11. 언어적 지위



일상적인 언어 사용에서 "림뷔르흐어"는 보통 네덜란드벨기에의 림뷔르흐주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가리킨다. 네덜란드는 1997년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따라 림뷔르흐어를 공식적인 지역 언어로 인정하였다.[8] 이는 헌장 제2장에 의거하여 보호받는 지위를 의미한다.

하지만 '림뷔르흐어'라는 용어 자체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 특유하며, 이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지역적 정체성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면, 인접한 독일 지역에서는 림뷔르흐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저 프랑크어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림뷔르흐어'라고 부르지 않는다.[9] 독일 언어학계에서도 이 용어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동일한 방언 그룹을 지칭할 때 '남부 저 프랑크어'(Südniederfränkisch|쥐트니더프렝키슈deu)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독일 내에서 림뷔르흐어가 네덜란드와 같은 공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Limburgish http://www.ethnologu[...] 2017-08-23
[2] 웹사이트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2022-07-11
[3] 웹사이트 Limburgan https://glottolog.or[...]
[4] 문서
[5] 웹사이트 A bitonal lexical pitch accent in the Limburgian dialect of Borgloon https://www.research[...] 2007
[6] 서적 Limburgs etymologisch woordenboek: de herkomst van woorden uit beide Limburgen Davidsfonds 2011
[7] 서적 Handbook of Literacy in Diglossia and in Dialectal Contexts: Psycholinguistic, Neurolinguistic,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Springer Nature
[8] 웹사이트 Erkende talen in Nederland - Erkende talen - Rijksoverheid.nl https://www.rijksove[...] 2023-06-11
[9] 간행물 Historisches Westdeutsch/Rheinisch (Moselfränkisch, Ripuarisch, Südniederfränkisch) Sprache und Raum: Ein internationales Handbuch der Sprachvariation. Band 4: Deutsch, Berlin
[10] 서적 Geschiedenis van het Nederlands Houten
[11] 웹사이트 Structuur en geschiedenis van het Nederlands :: Niederländische Philologie FU Berlin https://neon.niederl[...] 2023-06-11
[12] 웹사이트 Littérature en langues régionales https://objectifplum[...] 2023-06-11
[13] 웹사이트 talig-erfgoedbeleid {{!}} Rob Belemans Van Hilepani tot Hasselt → Charters, conventies, taalpolitiek en immaterieel erfgoed, Faro. Tijdschrift over Cultureel Erfgoed. Jaargang 2 https://www.dbnl.org[...] 2023-06-11
[14] 웹사이트 In de schaduw van de keizer: Hendrik van Veldeke en zijn tijd (1130-1230) / https://lib.ugent.be[...] 2023-06-11
[15] 웹사이트 Wij spreken Limburgs maar de Taalunie wil dat niet weten https://www.maastric[...] 2023-06-11
[16] 웹사이트 Wij spreken Limburgs - Petitie24.nl https://www.petitie2[...] 2023-06-11
[17] 웹사이트 Convenant inzake de Nederlandse erkenning van de Limburgse taal https://zoek.officie[...] 2023-06-11
[18] 서적 Een eeuw Limburgse dialectologie https://books.google[...] Vereniging voor Limburgse Dialect- en Naamkunde 1996
[19] 서적 De Taalpolitiek van koning Willem i in de Zuidelijke Nederlanden, 1814-1830, de genesis der taalbesluiten en hun toepassing, door A. de Jonghe ... https://books.google[...] Steenlandt 1943
[20] 간행물
[21] 웹사이트 Structuur en geschiedenis van het Nederlands https://neon.niederl[...] Niederländische Philologie FU Berlin
[22] 웹사이트 De regenboogkleuren van Limburgs taal http://www.veldeke.b[...]
[23] 웹사이트 Streektaal http://www.d66limbur[...]
[24] 웹사이트 Limburgse taal http://www.opgenort.[...] 2012-06-25
[25] 웹사이트 Limbörgse Academie http://www.limburgs.[...] 2013-08-26
[26] 웹사이트 MAATSCHAPPELIJKE PRESENTIE EN STATUS VAN HET LIMBURGS http://cf.hum.uva.nl[...]
[27] 웹사이트 Ontwikkelingen in het gebruik van Fries, streektalen en dialecten in de periode 1995-2011 http://www.its-nijme[...] 2013-08-26
[28] 웹사이트 Lowlands-L Anniversary Celebration http://www.lowlands-[...] Lowlands-l.net 2012-06-25
[29] 웹사이트 Editie 9 - Stad en land > Taal in stad en land https://intermagazin[...] 2006-07-14
[30] 논문 Limburgismen in het handschrift-Borgloon https://hdl.handle.n[...]
[31] 문서
[32] 서적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Basis of Ethnolinguistics Springer
[33] 웹사이트 Erkenning van het Limburgs http://taalunieversu[...] taalunieversum.org
[34] 서적 Taal in stad en land: Belgisch-Limburgs
[35] 웹사이트 Gebiedsindeling van de zuidelijk-Nederlandse dialecten https://www.dbnl.org[...]
[36] 웹사이트 Map https://arielis.com/[...] 2017-08-23
[37] 간행물 Die Gliederung des Südniederfränkischen Ludwig Röhrscheid Verlag
[38] 문서 Lies van Limburgse Plaats- en Gemeintenamen in 't Limburgs https://egelzerplat.[...] Veldeke Limburg 2002
[39] 서적 Spelling 2003 voor de Limburgse dialecten Spelling 2003 voor de Limburgse dialecten
[40] 서적 Vowels and Consonants Wiley-Blackwell
[41] 간행물 The Dutch dialect of Weert http://gep.ruhosting[...]
[42] 서적 Book Reviews: Prosody: Theory and Experiment. Studies presented to Gosta Bruce http://acl.ldc.upenn[...]
[43] 웹사이트 Taalvariatie in Nederland: Limburgse tonen http://www.vanoosten[...] 2017-08-23
[44] 서적 The German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Segmental Structure and Tone https://pure.uva.nl/[...] De Gruyter
[46] 서적 Tones and Tunes: Typological studies in word and sentence prosod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2-06-25
[47] 웹사이트 Synchrone beperkingen op de Sittardse diftongering http://www.vanoosten[...] 2017-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