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뷔르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저지 프랑코니아어군에 속한다. 림뷔르흐어 사용자는 자신의 언어를 'Plat'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독일에서는 저프랑크어 방언의 일부로,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는 서부 중앙 독일어나 고지 독일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에서는 림뷔르흐어가 일상생활과 공공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며, 1997년 네덜란드 정부는 림뷔르흐어를 지역 언어로 인정했다. 림뷔르흐어는 다양한 하위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 체계와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지 프랑코니아어 -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네덜란드, 벨기에, 수리남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고대 프랑크어에서 유래하여 발전했고 아프리칸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표준 네덜란드어는 홀란트 지방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과 음운 체계를 가진 약 2400만 명의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 저지 프랑코니아어 - 아프리칸스어
아프리칸스어는 17세기 네덜란드 케이프 식민지에서 네덜란드어 방언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에서 사용되며 네덜란드어와 상호 이해도가 높지만 간소화된 문법과 어휘를 가진 언어이다. - 림뷔르흐 - 림뷔르흐주 (네덜란드)
림뷔르흐주는 네덜란드 남동부에 위치하며 벨기에, 독일과 국경을 접하고, 마스트리흐트를 주도로 31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며, 마스 강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형과 화학, 자동차, 와인 생산, 관광 산업 등이 발달했고, 림뷔르흐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 신앙이 강세를 보인다. - 림뷔르흐 - 림뷔르흐 공국
림뷔르흐 공국은 1839년 런던 조약으로 네덜란드에서 분리되어 독일 연방에 편입된 국가였으나, 1866년 독일 연방 해체 후 1867년 런던 조약을 통해 네덜란드 왕국의 필수 지역으로 재편입되었다. - 네덜란드의 언어 -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네덜란드, 벨기에, 수리남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고대 프랑크어에서 유래하여 발전했고 아프리칸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표준 네덜란드어는 홀란트 지방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과 음운 체계를 가진 약 2400만 명의 모어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이다. - 네덜란드의 언어 - 고대 작센어
고대 작센어는 5세기경 작센인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고대 영어, 고대 프리지아어와 관련이 있고, 중세 저지 독일어로 진화했으며, 굴절어이며 헬리안트 등의 문학 텍스트가 존재한다.
림뷔르흐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림뷔르흐어 |
다른 이름 | 림뷔르간어 림뷔르흐 방언 동부 저지 프랑크어 남부 저지 프랑크어 |
로마자 표기 | Limbureuheo |
현지어 이름 | |
지역 | 림뷔르흐 주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 (벨기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
사용 국가 |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
사용자 수 | 네덜란드 및 벨기에: 약 130만 명 독일: 미상 |
소멸 위기 등급 | 취약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베저-라인 게르만어 저지 프랑크어 |
조상 언어 | 프랑크어 |
문자 | 라틴 문자 |
공용어 지정 |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 (1996년,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 비준, 1997년 발효) |
언어 코드 | |
ISO 639-1 | li |
ISO 639-2 | lim |
ISO 639-3 | lim |
Glottolog | limb1263 |
Linguasphere | 52-ACB-al |
2. 용어
림뷔르흐어(Limburgish)라는 이름과 그 변형들은 중세 시대 림뷔르크 공국의 수도였던 림뷔르(림뷔르흐어: ''Laeboer'', IPA: /ˈlæːbuʁ/)에서 간접적으로 유래했다. 더 직접적으로는 오늘날 벨기에 림뷔르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로 나뉜 네덜란드 왕국 시절 림뷔르흐주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옛 림뷔르크 공국 주변 지역의 주요 언어는 현재 프랑스어지만, 림뷔르흐어 또는 그와 유사한 방언들이 일부 존재한다. '림뷔르흐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처음 사용된 기록이 있다.[6]
림뷔르흐 출신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저지 독일어 화자들처럼 ''plat''[7]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고지'라는 말과 반대로, 언어가 낮은 평원 국가에서 사용된다는 점을 나타낸다. 반면 고지 독일어는 더 산악 지형인 남부 지역 방언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plat'이라는 단어는 '시골'(네덜란드어: platteland)과 관련이 있으며, 때로는 비공식적이거나 지역적인 단어, 표현을 가리켜 단순히 '속어'를 의미하기도 한다.
'림뷔르흐어'라는 용어는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넓게는 벨기에 또는 네덜란드 림뷔르흐주, 플레미시 브라반트 남동부, 리에주주 북동부, 그리고 인접한 독일 라인란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모든 관련 방언을 지칭할 수 있다.
- 일상적 사용: 일반적으로 네덜란드와 벨기에 림뷔르흐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가리킨다. 네덜란드는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에 따라 림뷔르흐어를 지방 언어로 인정하여 법적으로 정의하고 있다.[8]
- 전통적 방언학: 대략 위어딩겐 선과 벤라트 선 사이에 위치하며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정의된다.
- 얀 호센스의 제안: 플랑드르 언어학자 얀 호센스는 위어딩겐 선과 벤라트 선 사이의 모든 저 프랑크어 방언을 포함하도록 정의를 확장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 제안은 다른 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어떤 정의를 사용하든 '림뷔르흐어'라는 용어 자체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주로 사용되며, 해당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지역적 정체성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면, 인접한 독일 지역에서 림뷔르흐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저 프랑크어 방언을 사용하는 화자들은 자신들의 방언을 '림뷔르흐어'라고 부르지 않으며, 이러한 지역적 정체성도 뚜렷하지 않다.[9] 독일 언어학계에서도 이 용어는 흔하지 않으며, 대신 동일한 방언 그룹을 지칭하기 위해 '남부 저 프랑크어'(독일어: Südniederfränkischde)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최남단의 림뷔르흐주, 인접한 벨기에 동부의 림뷔르흐주, 그리고 독일의 젤프칸트 지방(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지역은 표준 독일어와 표준 네덜란드어/플라망어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대략 펜로, 쾰른, 아헨, 마스트리흐트, 하셀트를 잇는 원 안에서 사용된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에서 지방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 제2장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ISO 693-2 언어 코드는 "lim"이다.
림뷔르흐어는 각 언어에서 다음과 같이 불린다.
언어 | 명칭 |
---|---|
림뷔르흐어 | Plat, Limburgs, Lèmbörgs |
네덜란드어 | Limburgs |
독일어 | Limburgisch |
영어 | Limburgish, Limburgian, Limburgic |
프랑스어 | Limbourgeois |
림뷔르흐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저지 프랑코니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역사 언어학의 관점에서 볼 때, 림뷔르흐어는 중세 네덜란드어의 다섯 가지 주요 방언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10][11] 하지만 이는 현대 네덜란드어가 공식 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을 기준으로 사후에 정의된 것으로, 중세 네덜란드어 자체가 동질적인 언어는 아니었다.[11]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최남단의 림뷔르흐주, 인접한 벨기에 동부의 림뷔르흐주, 그리고 독일의 젤프칸트 지방(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 지역은 표준 독일어와 표준 네덜란드어/플라망어의 경계 주변에 위치하며, 대체로 펜로, 쾰른, 아헨, 마스트리흐트, 하셀트를 잇는 원 안에서 사용된다.
림뷔르흐어는 여러 하위 방언으로 나뉘며, 사용 지역과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언어학적 분류에서는 관점의 차이가 존재한다. 독일에서는 일반적으로 림뷔르흐어를 저 프랑크어 방언에 속하는 림뷔르흐-베르크 방언군의 일부로 간주한다. 그러나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언어학자들은 이를 '서부 중앙 독일어' 또는 단순히 '고지 독일어'의 일부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제2차 자음 추이를 겪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네덜란드와 벨기에 언어학자들은 저지 독일어가 제2차 자음 추이를 전혀 겪지 않았다고 보기 때문에, 일부 추이의 영향을 받은 림뷔르흐어를 저지 독일어로 분류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3. 분류 및 역사
림뷔르흐어의 분류는 여러 국가의 학문적 전통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독일과 프랑스의 방언학에서는 림뷔르흐어를 라인 방언군의 일부로 보며,[12] 때로는 뫼즈-라인어의 한 변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반면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언어학에서는 리푸아리아어 변종과 함께 림뷔르흐-리푸아리아어라는 더 넓은 범주 안에서 다룬다.[13] 이러한 다양한 분류는 중세 초기의 림뷔르흐어 작가인 하인리히 폰 페르데케를 네덜란드와 독일 양측에서 자국의 문학 전통에 포함시키려는 경향에서도 나타난다.[14]
역사적으로 림뷔르흐어는 고대 동부 저지 프랑코니아어에서 발전했으며, 이는 더 거슬러 올라가면 초기 베저-라인 게르만어군에서 진화한 것이다. 베저-라인 게르만어는 적어도 4세기부터 로마 제국 국경 양쪽의 저지대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중세 성기 동안, 훗날 림뷔르흐어가 되는 방언들은 쾰른 주변에서 사용되던 고지 독일어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특정 고지 독일어 자음 이동의 특징들이 흡수되었고, 이로 인해 림뷔르흐어는 때때로 동부 저지 프랑코니아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모든 림뷔르흐어 변종이 고지 독일어의 일부인 서부 중앙 독일어로 간주되기도 했다.[18][19] 이는 고지 독일어 자음 이동의 초기 세 단계 중 하나라도 겪은 변종을 고지 독일어 변종으로 정의하는 입장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현대 언어학에서는 림뷔르흐어를 저지 프랑코니아어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통적인 용어 분류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데, 고대 서부 프랑코니아어와 고대 동부 프랑코니아어의 역사적 구분(주로 특정 모음 변화와 잉그보닉 특징 유무 관련)은 현대 서부 및 동부 저지 프랑코니아어 방언의 구분(중세 네덜란드어 시대 이후 나타난 고지 독일어 특징 유무 기반)과는 다르기 때문이다.[20][21]
고지 독일어의 영향은 13세기까지 이어졌으나, 이후 브라반트 공국의 세력이 확장되면서 서부 림뷔르흐어 방언(예: 헨크까지 사용되는 방언)과 동부 변종 사이에 뚜렷한 브라반트어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2]
20세기 말부터는 림뷔르흐어를 전통적인 네덜란드-독일 이분법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언어로 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림뷔르흐어 언어학자들과 관련 기관들은 림뷔르흐어를 네덜란드어 및 독일어와 명확히 구별되는 언어로 간주하며,[15][16] 이는 네덜란드 정부가 림뷔르흐어를 네덜란드어로부터 정치적으로 분리하는 계기가 된 림뷔르흐어 협약[17]에서도 확인된다.
현재 림뷔르흐어는 본질적으로 저지 프랑코니아어군 변종이지만, 음운론, 형태론, 어휘 면에서 표준 네덜란드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주로 플람스 방언 및 브라반트어와 같은 서부 저지 프랑코니아어 방언에서 발전한 표준 네덜란드어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 변종의 표준 언어(다흐슈프라헤) 역할을 한다. 반면 독일의 림뷔르흐어 또는 남부 저지 프랑코니아어 방언 사용자는 표준 독일어를 다흐슈프라헤로 사용한다.
림뷔르흐 출신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저지 독일어 사용자들이 그러하듯 ''plat''[7]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높은(high)' 지역과 대조적으로 낮은 평야 지대에서 사용된다는 의미이며, '고지 독일어'가 더 산악 지형인 남부 지역 방언에서 유래한 것과 대비된다. 따라서 'plat'은 평평한 땅(네덜란드어: platteland, 시골)과 관련 있으며, 때로는 비공식적이거나 지역적인 특색이 강한 표현을 가리켜 '속어'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림뷔르흐어라는 이름 자체는 중세 시대 림뷔르크 공국의 수도였던 림뷔르 (Laeboer|라부르lim)에서 간접적으로 유래했다. 더 직접적으로는 오늘날 벨기에 림뷔르흐와 네덜란드 림뷔르흐로 나뉜 네덜란드 왕국의 옛 림뷔르흐 주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림뷔르흐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처음 문증된다.[6]
4. 지리적 분포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약 160만 명이 사용하며, 독일에서는 정의에 따라 수십만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독일 내 분포 지역의 일부 도시에서는 주민의 50%에서 90%가 림뷔르흐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 벨기에(플랑드르어 지역)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나 독일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보다 프랑스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특징이 있다.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에서 지방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유럽 지역 언어 또는 소수 언어 헌장의 제2장에 따라 적절한 보호를 받고 있다. ISO 693-2 언어 코드는 "lim"이다.
5. 하위 방언
한편, 네덜란드의 케르크라데, 파알스 주변, 독일의 아헨 주변, 벨기에의 Raeren, Eynatten 주변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리푸아리 방언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성조(tone)의 유무를 기준으로 이 방언들을 정의한다면, 그 범위는 독일 방향으로 수십 킬로미터 더 확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지역의 언어는 고지 독일어 변종에 속하는 계층으로 분류된다.
6. 음운
림뷔르흐어는 다른 서게르만어에 비해 자음과 모음이 풍부한 편이며,[40][41] 특히 고저 악센트를 가진 언어라는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이 있다. 이 악센트는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42] 엄밀히 말하면 다르지만 중국어와 같은 완전한 성조 언어처럼 "성조"라고 불리기도 한다.
강세를 받는 음절에는 두 가지 다른 종류의 고저 악센트가 사용된다. 이 두 악센트는 전통적으로 '미는 음조'(Stoottoon|스토트톤nl)와 '끌어올리는 음조'(Sleeptoon|슬레이프톤nl)로 불린다. 두 악센트 모두 높게 시작하여 아래로 떨어지지만, 미는 음조는 내려간 채로 끝나는 반면 끌어올리는 음조는 다시 소리가 올라간다.
이 악센트의 차이는 단일 어휘소의 다양한 문법적 형태나 서로 다른 최소 대립쌍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42] 예를 들어, 끌어올리는 음조를 가진 ''daãg''는 "날(day)"을 의미하는 반면, 많은 방언에서 미는 음조를 가진 ''daàg''는 복수형인 "날들(days)"을 의미한다. 음조에 의해서만 어휘적 의미가 달라지는 예시로는 미는 음조로 발음되는 ''biè''("벌")와 끌어올리는 음조로 발음되는 ''biẽ''("~에")가 있다. 이러한 대조적인 고저 악센트는 림뷔르흐어 남동쪽에서 사용되는 중앙 프랑코니아어 방언에서도 나타난다.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 중에서도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표준 슬로베니아어 (일부 화자), 세르보크로아트어 등에서 단어 의미 구별을 위해 음조 윤곽을 사용하는 고저 악센트가 발견된다. 하지만 중국어나 아프리카, 중앙 아메리카의 여러 언어와 같은 전형적인 성조 언어들에 비하면 림뷔르흐어는 음조 구분을 훨씬 적게 사용한다.[43]
역사적으로 림뷔르흐어와 중앙 프랑코니아어의 고저 악센트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강세 체계와는 별개로 발달했다. 대조적인 강세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재구성되지만, 게르만조어에서는 완전히 사라졌다.[44] 림뷔르흐어(및 중앙 프랑코니아어)에서 고저 악센트가 다시 나타난 것은 1100년 이후 짧은 모음의 개음절 장음화, 마지막 음절에서의 슈와 소실, 어말 자음의 무성음화, 그리고 이전에 구별되던 모음들의 음운 병합과 같은 음운 변화 과정에서 음소화된 결과로 여겨진다.[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