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승 (139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승은 1393년 전라도 곡성에서 태어나 장흥 부원군 마천목의 아들로, 조선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의분을 품고 단종 복위 운동 실패 후 은둔 생활을 한 인물이다. 그는 1410년 관직에 나가 춘추관 편수관, 홍주목사, 경상도 처치사, 판안주목사 등을 역임하며 청렴한 자세를 보였으며, 1455년 원종공신에 녹훈되고 1457년 장흥군에 봉해졌다. 1463년 사망 후 세조는 조회를 중단하고 충간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묘소는 곡성군에 있으며, 숭절사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3년 출생 - 종의군
조선의 왕족인 종의군은 정종과 숙의 문씨 사이에서 태어나 양구 유씨, 해풍 장씨와 혼인했으나 자녀가 없어 이복 아우 진남군의 아들 금산군을 양자로 들여 대를 이었고, 중직대부 정윤과 명선대부에 봉해진 후 사후에 공안으로 추증되었다. - 1393년 출생 - 아르튀르 3세 드 브르타뉴 공작
아르튀르 3세 드 브르타뉴 공작은 몽포르 가문 출신으로 백년 전쟁 시기 프랑스 궁정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프랑스 원수로서 잔 다르크와 함께 파테이 전투에서 승리하고 아라스 조약 체결을 주선하여 프랑스와 부르고뉴의 평화를 이끌었으며, 포르미니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지휘하여 노르망디 재정복을 완수하고 후계자 없이 사망 후 조카가 뒤를 이었다. - 장흥 마씨 - 마달천
마달천은 육군 갑종사관 1기로 임관하여 육군본부 감찰관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 장흥 마씨 - 마일영
마일영은 2000년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여 2015년 한화 이글스에서 방출될 때까지 프로 선수 생활을 이어간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현대 시절 10승과 넥센 히어로즈에서 너클볼을 주무기로 11승을 거두는 활약을 보였으며 한화 이글스에서 은퇴 후 코칭 스태프로 활동했고, 2004년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 1463년 사망 - 윤사로
윤사로는 세조의 계유정난 공신으로 의정부 좌찬성 등 요직을 역임하며 세조 정권에 기여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는 등 권력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왕조실록에 영민함과 청렴함이 기록됨과 동시에 재산 축적에 대한 비판도 함께 제시된 조선 전기의 인물이다. - 1463년 사망 - 장 뷔로
15세기 프랑스의 포병 전문가이자 군사 지도자, 행정가였던 장 뷔로는 샤를 7세 휘하에서 백년전쟁의 프랑스 승리에 기여하고 여러 공성전과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행정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인물이다.
마승 (139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승 |
원어 이름 | 馬勝 |
출생일 | 1393년 3월 11일 |
출생지 | 조선 전라도 곡성군 당산촌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노환으로 병사) |
사망일 | 1463년 9월 16일 (향년 70세) |
국적 | 조선 |
본관 | 장흥(長興) |
별명 | 자 노부(魯夫), 호 지곡(智谷), 시호 충간(忠簡) |
직업 | 문관(文官) |
종교 | 유교 |
배우자 | 정경부인 덕수 이씨(德水 李氏) |
자녀 | 마중의, 마중지, 마중규 |
부모 | 부: 마천목(馬天牧), 모: 경주 이씨(慶州 李氏) |
친인척 | 외조부: 이빈(李彬) |
경력 | |
주요 직위 | 이조참판(吏曹參判) 경주 부윤(慶州府尹) 중추원사(中樞院使) |
작위 | 장흥군(長興君) |
2. 생애
마승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
1442년 2월 30일 세종은 홍주목사(洪州牧使)로 부임하는 마승에게 충청도의 흉년으로 고통받는 백성을 구휼하고, 창고를 열어 곡식을 낼 때 시기를 잘 맞추라고 당부하였다.[1]
1446년 6월 6일 경상도 처치사(處置使)에 제수되었고,[2] 1449년 7월 13일 판안주목사(判安州牧事)로 임명되었다.[3] 10월 16일에는 우의정 남지(南智) 등과 함께 진하사(進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4]
1450년 (문종 즉위년) 4월 6일 판강계도호부사(判江界都護府事)에 제수되어 청렴하고 부지런하다는 칭송을 받았다.[5] 같은 해 7월 16일 평안도 우도 도절제사(平安道右道都節制使)로 임명되었고,[6] 7월 27일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에 제수되었다.[7] 12월 13일에는 강원도 도순무사(江原道都巡撫使)가 되었다.[8]
1451년 1월 5일 마승은 변방의 사변에 대처하기 위해 강원도 영서 군사는 극성(棘城) 등지에, 경기 군사는 개성부(開城府)에, 충청도 군사는 경성(京城) 이남에 징발하여 모으자고 건의하였다. 문종은 이를 받아들여 군사를 나누어 주둔시키고, 적의 동태에 따라 이동하도록 명하였다.[9] 이날 마승은 충청도 조전 절제사(忠淸道助戰節制使)로 임명되었고,[10] 1월 8일 임금에게 사조(辭朝)하고 궁시(弓矢)와 이엄(耳掩)을 하사받았다.[11]
1451년 6월 20일 전라도 처치사(全羅道處置使)가 되었다.[12] 6월 26일 임금에게 사조(辭朝)할 때, 마승은 부산포 처치사(富山浦處置使) 시절 군사(軍士)를 어루만지고 길들이는 데 힘썼으며, 공정한 처신으로 칭송받았다고 언급되었다.[13]
1452년 개성유후사 유수(開城留後司 留守)를 지내고, 1453년 (단종 1년)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제수되었다.[14] 1454년 가정대부(嘉政大夫) 이조 참판(吏曹參判)이 되었고, 5월 21일 세조가 마승 등 4공신(功臣) 등을 거느리고 경회루(慶會樓) 아래에서 풍정(豊呈)을 올렸다.[15]
1455년 (세조 1년) 자헌대부(資憲大夫) 경주 부윤(慶州府尹)이 되었고,[16][17][18] 12월 27일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19] 1456년 중추원사(中樞院使)로 임명되었다.[20][21]
1457년 종1품(從一品)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장흥군(長興君)에 봉해졌으며, 청백리(靑白吏)로 칭송받았다. 같은 해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의분을 품고 단종 복위 운동이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장릉사(莊陵事)[22]의 사변을 듣고 북쪽을 향해 통곡하며 절개를 지켰다.
1463년 9월 16일 사망하자 세조는 조회를 중지하고 시호(諡號)를 충간(忠簡)이라 하였다.[23]
2. 1. 초기 생애
마승은 1393년 3월 11일 전라도 곡성군 당산촌(堂山村)에서 장흥부원군(長興 府院君) 마천목(馬天牧)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흥 마씨 12세손이다. 풍모가 단아하고 기량이 크고 재주가 뛰어났으며, 경서(經書)와 사기(史記)에 밝고 재예(才藝)도 뛰어났다.[1]1410년 처음 관직에 나가 시위(侍衛)를 지냈고, 1413년 병조좌랑(兵曹佐郞)을 거쳐, 1415년 조봉대부(朝奉大夫) 춘추관 편수관(春秋館 編修官)을 역임하였다.[1]
1417년 개국공신·정사공신·좌명공신의 적장자(嫡長子) 회맹(會盟)에 참여하였으며, 1420년 봉정대부(奉正大夫) 호군(護軍), 1423년 중훈대부(中訓大夫) 대호군(大護軍)을 거쳐, 1426년 통훈대부(通訓大夫) 상호군(上護軍)에 올랐다. 1434년 통정대부(通政大夫) 행상호군(行上護軍)을 역임하였다.[1]
2. 2. 관직 생활
1410년 처음 관직에 나가 시위(侍衛)를 지냈다. 1413년 병조좌랑(兵曹佐郞)을 거쳐, 1415년 조봉대부(朝奉大夫) 춘추관 편수관(春秋館 編修官)을 역임하였다.1417년 개국공신·정사공신·좌명공신의 적장자(嫡長子) 회맹(會盟)에 참여하였다. 1420년 봉정대부(奉正大夫) 호군(護軍), 1423년 중훈대부(中訓大夫) 대호군(大護軍)을 거쳐, 1426년 통훈대부(通訓大夫) 상호군(上護軍)에 올랐다. 1434년 통정대부(通政大夫) 행상호군(行上護軍)을 역임하였다.
1442년 2월 30일 홍주목사(洪州牧使)로 부임하면서 세종에게 하직 인사를 올렸다. 세종은 충청도의 흉년으로 고통받는 백성을 구휼하는 데 힘쓰고, 창고를 열어 곡식을 낼 때 시기를 잘 맞추어 후환이 없도록 하라고 당부하였다.[1]
1446년 6월 6일 경상도 처치사(處置使)에 제수되었고,[2] 1449년 7월 13일 판안주목사(判安州牧事)로 임명되었다.[3]
1449년 10월 16일 우의정 남지(南智) 등과 함께 진하사(進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때 세종은 마승을 북경에 보내 정조(正朝)를 하례하고 황태자 책봉을 축하하게 하였으며, 경창부윤(慶昌府尹)의 차함(借銜)을 주어 보냈다.[4]
1450년 (문종 즉위년) 4월 6일 판강계도호부사(判江界都護府事)에 제수되었다. 마승은 청렴하고 부지런하며 근신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다.[5] 같은 해 7월 16일 평안도 우도 도절제사(平安道右道都節制使)로 임명되었고,[6] 7월 27일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에 제수되었다.[7] 12월 13일에는 강원도 도순무사(江原道都巡撫使)가 되었다.[8]
1451년 1월 5일 변방의 사변에 대처할 방책을 논의할 때, 마승은 강원도 영서 군사는 극성(棘城) 등지에, 경기 군사는 개성부(開城府)에, 충청도 군사는 경성(京城) 이남에 징발하여 모으자고 건의하였다. 이에 문종은 강원도 영서 군사는 철원(鐵原)·김화(金化) 등지에, 경기 군사는 개성 등지에, 충청도 군사는 세 곳에 나누어 주둔시키고, 적의 성식이 급하면 수안(遂安)·극성(棘城) 등지에 나아가 주둔하도록 명하였다.[9] 이날 마승은 충청도 조전 절제사(忠淸道助戰節制使)로 임명되었고,[10] 1월 8일 임금에게 사조(辭朝)하고 궁시(弓矢)와 이엄(耳掩)을 하사받았다.[11]
1451년 6월 20일 전라도 처치사(全羅道處置使)가 되었다.[12] 6월 26일 임금에게 사조(辭朝)하였다. 마승은 이전에 부산포 처치사(富山浦處置使)로 있을 때 군사(軍士)를 어루만지고 길들이는 데 힘썼으며, 수령(守令)이 제공하는 음식을 군사들과 함께 나누어 먹고, 증물(贈物)을 받으면 군장(軍裝)에 보태었기 때문에, 임기를 마치고 돌아올 때는 옷과 이부자리 두 상자뿐이었다.[13]
1452년 개성유후사 유수(開城留後司 留守)를 지내고, 1453년 (단종 1년)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제수되었다.[14]
1454년 가정대부(嘉政大夫) 이조 참판(吏曹參判)이 되었다. 같은 해 5월 21일 세조가 마승 등 4공신(功臣) 등을 거느리고 경회루(慶會樓) 아래에서 풍정(豊呈)을 올렸다.[15]
1455년 (세조 1년) 자헌대부(資憲大夫) 경주 부윤(慶州府尹)이 되었고,[16][17][18] 12월 27일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19]
1456년 중추원사(中樞院使)로 임명되었다.[20][21] 1457년 종1품(從一品)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장흥군(長興君)에 봉해졌다. 마승은 관직에 있을 때 청백리(靑白吏)로 칭송받았다.
1457년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의분을 품고 있다가 단종 복위 운동이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같은 해 10월에 장릉사(莊陵事)[22]의 사변을 듣고 북쪽을 향해 통곡하며 문을 닫고 의(義)를 지켰다.
2. 3. 단종 복위 운동과 낙향
1456년 사육신 등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처형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마승은 이에 분개하여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22] 1457년 10월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로 유배된 후 죽임을 당하자, 마승은 북쪽을 향해 통곡하며 문을 걸어 잠그고 절개를 지켰다. 이러한 마승의 충절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저항과 단종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을 보여주는 것으로, 당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더욱 의미가 깊다.2. 4. 사망
1463년 9월 16일 장흥군(長興君) 마승(馬勝)이 세상을 떠났다. 세조는 다음날 서산(西山)에 행차하여 친히 대열(大閱)하려다 부음(訃音)을 듣고 곧 중지하고 2일 동안 조회를 열지 않았다. 시호(諡號)는 충간(忠簡)이라 하였으니, 청렴(淸廉)하고 방정(方正)하며 공정(公正)한 것을 충(忠)이라 하고, 경건하고 관대하게 행동하는 것을 간(簡)이라고 한다.[23]3. 묘소
묘는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방송리 통명산 기슭 방주골에 있으며, 마천목의 묘소에서 계좌(癸坐) 정향(丁向)에 있다.
4. 상훈과 추모
세조가 부음을 듣고 시호를 충간(忠簡)이라 하고, 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 겸 경연자로 추증하였다.[1] 1976년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에 유림들이 공의로 마승을 숭절사에 배향하면서, 화산서원으로 개칭하였다.[1] 매년 음력 3월 초정일에 아버지 마천목과 같이 유림에서 봉사하고 시제는 매년 음력 10월 9일 전라남도 곡성군에서 봉행하고 있다.[1]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증조부 | 마치원(馬致遠) |
조부 | 마영(馬榮) |
아버지 | 마천목(馬天牧) |
외조부 | 이빈(李彬) |
어머니 | 경주 이씨(慶州 李氏) |
동생 | 마전(馬腆) |
동생 | 마반(馬胖) |
동생 | 마춘(馬椿) |
부인 | 정경부인(貞敬夫人) 덕수 이씨(德水 李氏) |
아들 | 마중의(馬仲義) |
아들 | 마중지(馬仲智) |
아들 | 마중규(馬仲規) |
참조
[1]
실록
《세종실록》 95권, 24년(1442 임술 / 명 정통(正統) 7년) 2월 30일(신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42-02-30
[2]
실록
《세종실록》 112권, 28년(1446 병인 / 명 정통(正統) 11년) 6월 6일(임인)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46-06-06
[3]
실록
《세종실록》 125권, 31년(1449 기사 / 명 정통(正統) 14년) 7월 13일(신묘)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49-07-13
[4]
실록
《세종실록》 126권, 31년(1449 기사 / 명 정통(正統) 14년) 10월 16일(계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49-10-16
[5]
실록
《문종실록》 1권, 즉위년(1450 경오 / 명 경태(景泰) 1년) 4월 6일(기묘)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0-04-06
[6]
실록
《문종실록》 2권, 즉위년(1450 경오 / 명 경태(景泰) 1년) 7월 16일(무오)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0-07-16
[7]
실록
《문종실록》 2권, 즉위년(1450 경오 / 명 경태(景泰) 1년) 7월 27일(기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0-07-27
[8]
실록
《문종실록》 5권, 즉위년(1450 경오 / 명 경태(景泰) 1년) 12월 13일(계미)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0-12-13
[9]
실록
《문종실록》 5권, 1년(1451 신미 / 명 경태(景泰) 2년) 1월 5일(을사)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1-01-05
[10]
실록
《문종실록》 5권, 1년(1451 신미 / 명 경태(景泰) 2년) 1월 5일(을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1-01-05
[11]
실록
《문종실록》 5권, 1년(1451 신미 / 명 경태(景泰) 2년) 1월 8일(무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1-01-08
[12]
실록
《문종실록》 8권, 1년(1451 신미 / 명 경태(景泰) 2년) 6월 20일(정해)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1-06-20
[13]
실록
《문종실록》 8권, 1년(1451 신미 / 명 경태(景泰) 2년) 6월 26일(계사) 1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1-06-26
[14]
실록
《단종실록》 7권, 1년(1453 계유 / 명 경태(景泰) 4년) 7월 1일(병진)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3-07-01
[15]
실록
《단종실록》 11권, 2년(1454 갑술 / 명 경태(景泰) 5년) 5월 21일(신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4-05-21
[16]
실록
《단종실록》 12권, 2년(1454 갑술 / 명 경태(景泰) 5년) 8월 5일(갑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4-08-05
[17]
실록
《단종실록》 12권, 2년(1454 갑술 / 명 경태(景泰) 5년) 8월 26일(을사)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4-08-26
[18]
실록
《세조실록》 1권, 1년(1455 을해 / 명 경태(景泰) 6년) 윤6월 16일(경신)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5-06-16
[19]
실록
《세조실록》 2권, 1년(1455 을해 / 명 경태(景泰) 6년) 12월 27일(무진)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5-12-27
[20]
실록
《세조실록》 5권, 2년(1456 병자 / 명 경태(景泰) 7년) 12월 3일(무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6-12-03
[21]
실록
《세조실록》 6권, 3년(1457 정축 / 명 천순(天順) 1년) 2월 20일(갑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57-02-20
[22]
문서
단종 장인 송현수, 금성 대군 사사(賜死), 노산군 결사(結死)
[23]
실록
《세조실록》 31권, 9년(1463 계미 / 명 천순(天順) 7년) 9월 16일(임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63-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