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흐무드 (가즈나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흐무드 (가즈나 왕조)는 971년에 태어나 1030년에 사망한 가즈나 왕조의 술탄이다. 그는 997년 아버지 사부크티긴의 사망 이후 왕조를 계승했으며, 1000년부터 1026년까지 17차례 이상 북인도를 침략하여 펀자브 지역을 병합했다. 그는 호라산과 중앙아시아 원정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며, 학문과 문화를 장려하여 가즈니를 페르시아 문학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하지만 군사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제국을 통합하고 지속적인 제도를 구축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는 소나트 사원 약탈과 파괴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파키스탄에서는 그의 이름을 딴 미사일과 군 부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71년 출생 - 요 성종
요 성종은 요나라의 제6대 황제로, 소태후의 섭정 이후 친정을 통해 중앙 집권화, 북송과의 전연의 맹, 고려 침공, 과거 제도 도입 등 내정과 외교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요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1030년 사망 - 올라프 2세 (노르웨이)
올라프 2세는 11세기 노르웨이 왕으로, 노르웨이 통일과 기독교 전파에 힘썼으며 스티클레스타드 전투에서 전사 후 성인으로 추앙받고 노르웨이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 1030년 사망 - 대연림
대연림은 발해 유민을 기반으로 흥료국을 건국하고 천흥황제를 칭했으나 요나라에 의해 멸망하고, 아들은 고려로 망명했다는 설이 있다.
마흐무드 (가즈나 왕조)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야민-ুদ-다울라 마흐무드 ﺑut-시칸 (마흐무드 우상 파괴자) |
전체 이름 | 야민 알-다울라 아민 알-밀라 아부 알-카심 마흐무드 이븐 세부크테긴 |
페르시아어 이름 | (야민 알-다울라 아민 알-밀라 아부 알-카심 마흐무드 이븐 세부크테긴) |
로마자 표기 | Abu al-Qāṣim Maḥmūd ibn Sabuktigīn |
페르시아어 | (마흐무드 가즈나비) |
아랍어 | یمین الدوله (야민 알-다울라) |
의미 | '국가의 오른팔' |
출생일 | 971년 11월 2일 |
출생지 | 가즈니, 자불리스탄, 사만 제국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
사망일 | 1030년 4월 30일 |
사망지 | 가즈니, 자불리스탄, 가즈나 제국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
매장지 | 술탄 마흐무드 가즈나비 모스크와 무덤, 가즈니 주, 아프가니스탄 |
종교 | 수니 이슬람 (샤피이 학파) |
통치 | |
작위 | 가즈나 제국의 술탄 |
통치 기간 | 998년 3월 – 1030년 4월 30일 |
이전 통치자 | 이스마일 |
다음 통치자 | 무함마드 |
가문 | |
왕조 | 가즈나 왕조 |
아버지 | 세부크티긴 |
자녀 | 잘랄 알-다울라 무함마드 시하브 알-다울라 마수드 이즈 알-다울라 압드 알-라시드 술레이만 슈자 |
군사 정보 | |
복무 기간 | 약 998년 – 1030년 |
주요 전투 | 가즈니 전투 (998년) 인도에서의 가즈나朝의 원정 로코트 공성전 (1015년) 솜나트 약탈 차치 전투 페샤와르 전투 (1001년) 카나우지에 대한 가즈나朝의 침공 |
2. 초기 생애 및 배경
마흐무드는 971년 11월 2일,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가즈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사부크티긴은 튀르크족 출신 군인으로, 977년 가즈나 왕조를 세우고 사만 왕조 아래에서 대호라산과 트란스옥시아나 지역을 다스렸다. 마흐무드의 어머니는 이란계 귀족 가문 출신이다. 마흐무드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2. 1. 가족 관계
마흐무드는 아불 하레트 아흐마드의 딸과 결혼하여 쌍둥이 아들 무함마드와 마수드를 두었다.[4] 두 아들은 차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마흐무드의 누이 시트르-에-무알라는 가즈 사이예드 살라 사후와 결혼하여 가지 사이야드 살라 마수드를 낳았다.[4] 마수드의 손자인 마우두드 가즈나비 역시 훗날 제국의 통치자가 되었다.마흐무드는 조지아 출신 노예 말리크 아야즈를 총애하였으며, 이들에 관한 시와 이야기가 전해진다.
3. 즉위 과정
997년 아버지 사부크티긴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이스마일이 가즈나 왕조의 통치자를 계승했다. 사부크티긴이 경험이 더 많고 나이가 더 많은 마흐무드 대신 이스마일을 후계자로 지명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이스마일의 어머니가 사부크티긴의 옛 스승인 알프티긴의 딸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5] 마흐무드는 이에 반란을 일으켰고, 그의 다른 형제인 부스트의 총독 아부 알-무자파르의 도움을 받아 998년 가즈니 전투에서 이스마일을 격파하고 가즈나 왕국을 장악했다.[5]
999년, 사만 왕조의 아미르 아부 알-하리트 만수르 b. 누르 2세는 호라산을 둘러싸고 마흐무드와 대립했다. 이 사이에 카라한 왕조가 북쪽에서 진격해 999년에 사만 왕조는 멸망했다. 마흐무드는 카라한 왕조의 나스르 칸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화의를 맺었다. 사만 왕조가 멸망하면서 마흐무드는 가즈나 일대 외에 호라산 지방을 지배하게 되었다. 1000년에 아바스 왕조 제25대 칼리프 알-카디르 빌라로부터 "영예의 하사 옷(힐라)"을 하사받았고, "왕조의 오른손"이라는 존칭을 받았다.
4. 군사 원정
마흐무드는 1000년부터 1026년까지 17차례 이상 북인도 지역을 침공했다.[37] 인도 연합 세력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마흐무드는 정기적으로 공격하여 펀자브 지역을 제외한 정복 지역은 힌두교 봉신들에게 맡겼다. 그는 매년 북서부 인도의 부유한 지역을 약탈하겠다고 맹세했다.
마흐무드는 나가르코트, 타네사르, 칸나우지, 괄리오르 등의 인도 왕국을 정복하고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왕들을 봉신으로 남겼다. 그는 북서부 아대륙에 영구 주둔지를 두지 않았고, 힌두교 사원과 기념물을 파괴하여 힌두교의 공격 의지를 꺾으려 했다. 캉라, 타네사르, 마투라, 칸나우지, 칼린자르, 소마나트 등이 함락되거나 약탈당했다. 마흐무드의 침략으로 200만 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16]
마흐무드의 후기 인도 침공은 힌두교 사원의 부를 약탈하고 힌두교도들의 사기를 꺾는 데 집중되었다. 그는 북인도에 머무르지 않고 침략, 약탈 후 떠났다. 1024년부터 1025년에는 소마나트의 힌두교 사원이 파괴되었다.
연도 | 지역 | 결과 |
---|---|---|
1001년 | 간다라 | 페샤와르 전투에서 라자 자야팔라 격파, 자야팔라 자살 |
1004년 | 바티아(베라) | 연례 조공 미납으로 병합 |
1005년-1006년 | 물탄 | 이스마일리 통치자 파테 다우드 반란, 아난다팔라 도움 요청, 마흐무드는 물탄의 이스마일파 학살, 아난다팔라는 페샤와르에서 패배 |
1008년 | 차흐 | 차흐 전투에서 힌두 샤히 격파, 캉그라의 샤히 재산 탈취 |
1010년 | 고르 | 아미르 수리 격파 |
1010년 | 물탄 | 반란 진압, 아불 파타 다우드 종신형 |
1012년-1013년 | 타네사르 | 약탈 |
1013년 | 불나트 | 트리로차나팔라 격파 |
1015년 | 카슈미르 | 원정 실패 (악천후) |
1017년 | 칸나우지, 미루트, 무하분, 마투라 등 | 칸나우지, 미루트는 전투 없이 항복 |
1018년-1020년 | 마투라 | 약탈 |
1021년 | 라호르 | 말리크 아야즈를 왕으로 세움 |
1023년 | 칼린자르, 괄리오르 | 항복 및 조공 강요, 트리로차나팔라 암살, 펀자브 지역 공식 병합 |
1024년 | 아지메르, 네르왈라, 카티아와르 | 소마나트 약탈 |
1025년 | 소마나트 | 사원 약탈, 링감 파괴 |
1025년 | 주드 산맥 | 자트족 공격 |
1027년 | 인더스 강 | 자트족 함대 파괴 |
4. 1. 호라산 및 중앙아시아 원정
마흐무드는 아버지 사부크 테긴을 따라 사만 왕조의 군주 아미르 누흐 2세를 돕기 위해 호라산 원정에 참여했다. 당시 사만 왕조는 정세가 불안정했다. 이것이 마흐무드의 첫 대외 전쟁이었다. 마흐무드의 첫 원정은 북쪽에 인접한 카라한 왕조와의 싸움이었지만 패배했다.[18]998년, 가즈나 전투에서 동생 이스마일을 물리치고 즉위하자, 소그디아나 북부와 호라산을 둘러싸고 셀주크와 동맹을 맺고 북쪽 방어에 대비했다. 999년, 사만 왕조의 압드 알-말리크 2세는 호라산을 둘러싸고 마흐무드와 대립했으며, 카라한 왕조가 북쪽에서 진격해 999년에 사만 왕조는 멸망했다. 마흐무드는 카라한 왕조의 나스르 칸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화의를 요청했다.[18]
사만 왕조가 멸망하면서 마흐무드는 가즈나 일대 외에 호라산 지방을 지배하에 둘 수 있게 되었다. 1000년에 아바스 왕조 제25대 칼리프 알-카디르 빌라로부터 "영예의 하사 옷(힐라 khil`a)"과 "왕조의 오른손(Yamīn al-Dawla)"이라는 존칭을 받았다. 마흐무드의 이 힐라 착의 의식에는 지배하에 있던 호라산 지방의 아미르들과 주변 지역의 유력자들이 참석했다.[18]
마흐무드는 사망하기 전 마지막 4년 동안 중앙아시아의 오구즈 튀르크와 부와이흐 왕조와의 항쟁, 그리고 셀주크 투르크의 반란 진압에 몰두했다. 처음 셀주크는 마흐무드에게 격퇴당하여 호라즘으로 물러났지만, 1028년부터 1029년까지 메르브와 니샤푸르를 공략했다.[18]
4. 2. 인도 원정 (1000년-1026년)
마흐무드는 1000년부터 1026년까지 17차례 이상 북인도 지역을 침공했다.[37] 인도 연합 세력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마흐무드는 정기적으로 공격하여 펀자브 지역을 제외한 정복 지역은 힌두교 봉신들에게 맡겼다. 그는 매년 북서부 인도의 부유한 지역을 약탈하겠다고 맹세했다.- 1001년: 마흐무드는 간다라 지역에서 힌두 샤히 통치자 자야팔라를 페샤와르 전투에서 격파하고 포로로 잡았다가 석방했다.[37] 자야팔라는 이후 자살하고 아들 아난다팔라가 왕위를 계승했다.
- 1005년: 바티아(베라)를 침략했다.
- 1006년: 물탄을 침략했을 때 아난다팔라의 군대가 공격해 왔다.
- 1008년: 마흐무드는 차흐 전투에서 힌두 샤히를 격파하고 캉그라의 샤히 재산을 탈취했다.
- 1013년: 마흐무드의 8차 원정 중 샤히 왕국이 전복되었다.
- 1014년: 타네사르로 원정을 이끌었다.
- 1015년: 카슈미르 공격에 실패했다. 카슈미르 통치자 상그라마라자는 힌두 샤히의 동맹이었고, 마흐무드는 이에 대한 보복을 원했다. 상그라마라자가 트리로차나팔라를 도운 것에 분노한 마흐무드는 카슈미르를 침략했으나, 로하르코트 요새에 막혀 포위 한 달 만에 퇴각했다. 1021년 다시 카슈미르 침략을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이후 카슈미르 침략을 포기했다.[8][9][10]
- 1018년: 마투라를 공격하여 통치자 연합을 격파하고 찬드라팔라를 살해했다. 마투라는 무자비하게 약탈, 파괴, 모독되었다.[11] 알 우트비는 ''타리크-이-야미니''에서 마흐무드가 마투라의 "크고 웅장한 사원"을 파괴했다고 기록했다.[12] 피리슈타에 따르면 마투라는 인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였고, 바수데바-크리슈나에게 봉헌된 곳이었다. 마흐무드의 공격으로 모든 우상이 파괴되고 금과 은이 녹여졌으며 도시는 불탔다.[13]
- 1021년: 칸나우지 왕을 지원하여 찬델라 간다를 공격했고, 같은 해 샤히 트리로차나팔라는 라히브에서 살해되고 아들 비마팔라가 계승했다. 라호르는 마흐무드에게 병합되었다.
- 1023년: 괄리오르를 포위하여 조공을 받았다.
- 1025년: 소마나트를 공격했고, 통치자 비마 1세는 도망갔다. 이듬해 소마나트를 점령하고 비마 1세에 맞서 카치로 진군했다. 같은 해 주드족을 공격하여 격파했다.
- 1026년: 자트족이 소마나트에서 물탄으로 가는 마흐무드의 군대에 큰 손실을 입혔다.[15]
- 1027년: 인더스 강에서 자트족의 함대를 공격하여 파괴했다.[15]
마흐무드는 나가르코트, 타네사르, 칸나우지, 괄리오르 등의 인도 왕국을 정복하고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왕들을 봉신으로 남겼다. 그는 북서부 아대륙에 영구 주둔지를 두지 않았고, 힌두교 사원과 기념물을 파괴하여 힌두교의 공격 의지를 꺾으려 했다. 캉라, 타네사르, 마투라, 칸나우지, 칼린자르, 소마나트 등이 함락되거나 약탈당했다. 마흐무드의 침략으로 200만 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16]
마흐무드의 후기 인도 침공은 힌두교 사원의 부를 약탈하고 힌두교도들의 사기를 꺾는 데 집중되었다. 그는 북인도에 머무르지 않고 침략, 약탈 후 떠났다. 1024년부터 1025년에는 소마나트의 힌두교 사원이 파괴되었다.
연도 | 지역 | 결과 |
---|---|---|
1001년 | 간다라 | 페샤와르 전투에서 라자 자야팔라 격파, 자야팔라 자살 |
1004년 | 바티아(베라) | 연례 조공 미납으로 병합 |
1005-6년 | 물탄 | 이스마일리 통치자 파테 다우드 반란, 아난다팔라 도움 요청, 마흐무드는 물탄의 이스마일파 학살, 아난다팔라는 페샤와르에서 패배 |
1008년 | 차흐 | 차흐 전투에서 힌두 샤히 격파, 캉그라의 샤히 재산 탈취 |
1010년 | 고르 | 아미르 수리 격파 |
1010년 | 물탄 | 반란 진압, 아불 파타 다우드 종신형 |
1012-1013년 | 타네사르 | 약탈 |
1013년 | 불나트 | 트리로차나팔라 격파 |
1015년 | 카슈미르 | 원정 실패 (악천후) |
1017년 | 칸나우지, 미루트, 무하분, 마투라 등 | 칸나우지, 미루트는 전투 없이 항복 |
1018-1020년 | 마투라 | 약탈 |
1021년 | 라호르 | 말리크 아야즈를 왕으로 세움 |
1023년 | 칼린자르, 괄리오르 | 항복 및 조공 강요, 트리로차나팔라 암살, 펀자브 지역 공식 병합 |
1024년 | 아지메르, 네르왈라, 카티아와르 | 소마나트 약탈 |
1025년 | 소마나트 | 사원 약탈, 링감 파괴 |
1025년 | 주드 산맥 | 자트족 공격 |
1027년 | 인더스 강 | 자트족 함대 파괴 |
5. 통치 및 유산
술탄 마흐무드는 스스로를 "세상에 드리운 신의 그림자"라고 칭하며[36] 절대 권력을 행사했다. 그는 행정부의 모든 부서를 직접 감독하고 장관들을 임명했으며, 제국 전역에 첩자를 파견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등 중앙 집권적인 통치를 통해 제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고자 했다.
마흐무드는 가즈니를 학문과 예술의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페르도우시를 비롯한 당대 최고의 학자들을 후원하여 페르시아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알-비루니는 마흐무드의 인도 원정에 동행하여 인도의 문화와 종교를 연구하고 ''타리크 알힌드''를 저술했다.
마흐무드는 가즈나 왕조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그의 군대는 인도 아대륙 전역을 공격했지만, 현대 파키스탄의 펀자브와 신드 일부만이 그의 반영구적인 지배하에 있었다. 카슈미르, 두아브, 라자스탄, 구자라트는 지역 힌두 왕조의 통제를 받았다.[34][35]
그는 가즈니를 페르시아 문학의 중심지이자 중앙아시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탈바꿈시켰다. 학자들을 후원하고, 대학을 설립했으며, 정원, 모스크, 궁전, 대상 숙소를 건설했다. 레이와 이스파한에서 전체 도서관을 가즈니로 가져왔으며, 호라즘샤 궁정에 학자들을 가즈니로 보낼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마흐무드는 뛰어난 시인 페르도우시를 후원했지만, 샤나메에 대한 보상 문제로 페르도우시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군사 지휘관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지만, 제국의 정복을 공고히 하는 데는 미흡했고, 국가에 장기적인 제도를 건설하지 못했다.[34][35]
가즈나 왕조는 마흐무드의 사후 157년 동안 후계자들이 통치했지만, 1040년 단다나칸 전투에서 셀주크 제국에 패배하면서 서쪽 영토 대부분을 잃었다. 팽창하는 셀주크 제국은 가즈나 왕조 서부의 대부분을 흡수했고, 고르 왕조는 1150년에 가즈니를 점령했으며, 무이즈 앗딘은 1187년 라호르에서 마지막 가즈나 왕조의 요새를 점령했다.
파키스탄 군은 마흐무드 가즈니를 기리기 위해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가즈나비 미사일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파키스탄 육군 사관학교는 12개 중대 중 하나인 가즈나비 중대에 그의 이름을 붙여 경의를 표하고 있다.
5. 1. 통치 스타일
술탄 마흐무드는 스스로를 "세상에 드리운 신의 그림자"라고 칭하며[36] 절대 권력을 행사했다. 그는 행정부(디반|divanfa)의 모든 부서를 직접 감독하고, 장관들을 직접 임명했다. 그는 와지르(수석 고문)를 포함한 장관들을 의심했으며, "와지르는 왕의 적이다..."라는 말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흐무드는 제국 전역에 첩자()를 파견하여 정보를 수집했고, 이들은 그의 디반 내 특별 부서의 감독을 받았다. 이러한 중앙 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통해 마흐무드는 제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고자 했다.5. 2. 문화적 후원
마흐무드는 가즈니를 학문과 예술의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페르도우시를 비롯한 당대 최고의 학자들을 후원하여 페르시아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알-비루니는 마흐무드의 인도 원정에 동행하여 인도의 문화와 종교를 연구하고 ''타리크 알힌드''를 저술했다.5. 3. 유산 및 평가
마흐무드는 가즈나 왕조의 영토를 서쪽으로는 레이에서 북동쪽으로는 사마르칸트까지, 카스피해에서 야무나강까지 확장했다. 그의 군대는 인도 아대륙 전역을 공격했지만, 현대 파키스탄의 펀자브와 신드 일부만이 그의 반영구적인 지배하에 있었다. 카슈미르, 두아브, 라자스탄, 구자라트는 지역 힌두 왕조의 통제를 받았다.[34][35]마흐무드는 가즈니를 페르시아 문학의 중심지로 만들었으며,[33] 중앙아시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탈바꿈시켰다. 그는 학자들을 후원하고, 대학을 설립했으며, 정원, 모스크, 궁전, 대상 숙소를 건설했다. 레이와 이스파한에서 전체 도서관을 가즈니로 가져왔으며, 호라즘샤 궁정에 학자들을 가즈니로 보낼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알비루니는 마흐무드의 1017년 갠지스 평원 원정에서 영감을 받아 인도인과 그들의 믿음을 이해하기 위해 ''타리크 알힌드''를 저술했다. 마흐무드의 통치 기간 동안 수학, 종교, 인문학, 의학 등 다양한 과목을 연구하기 위한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마흐무드는 뛰어난 시인 페르도우시를 후원했다. 페르도우시는 27년 동안 노력한 끝에 가즈니로 가서 마흐무드에게 샤나메를 바쳤다. 그러나 마흐무드는 처음에 페르도우시에게 샤나메의 각 구절에 대해 디나르를 약속했지만, 나중에 약속을 철회하고 디르함을 제시하여 페르도우시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마흐무드는 군사 지휘관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지만, 제국의 정복을 공고히 하는 데는 미흡했다. 또한 행정 능력이 부족하여 국가에 장기적인 제도를 건설하지 못했다.[34][35]
가즈나 왕조는 마흐무드의 사후 157년 동안 후계자들이 통치했다. 그러나 1040년 단다나칸 전투에서 셀주크 제국에 패배하면서 가즈나 왕조는 서쪽 영토 대부분을 잃었다. 1037년에는 마흐무드의 아들 마수드 1세가 셀주크의 공격을 받아 가즈니까지 후퇴해야 했다. 팽창하는 셀주크 제국은 가즈나 왕조 서부의 대부분을 흡수했다. 고르 왕조는 1150년에 가즈니를 점령했고, 무이즈 앗딘은 1187년 라호르에서 마지막 가즈나 왕조의 요새를 점령했다.
파키스탄 군은 마흐무드 가즈니를 기리기 위해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가즈나비 미사일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파키스탄 육군 사관학교는 12개 중대 중 하나인 가즈나비 중대에 그의 이름을 붙여 경의를 표하고 있다.
6. 소마트 사원 파괴 논란
1025년, 마흐무드는 구자라트를 침략하여 소나트 사원을 약탈하고 그곳의 ''조티르링가''를 파괴했으며, 의 전리품을 획득했다.[17] 마흐무드의 침략에 관한 강력하고 복잡한 전설은 투르크-페르시아 문학에서 발전했다.[18]
타파르, 이튼, A. K. 마줌다르를 포함한 역사가들은 소나트 사원 파괴에 대한 역사 서술에 의문을 제기했다. 타파르는 힌두교 자료에는 술탄 마흐무드의 습격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마줌다르(1956)의 말을 인용했다.[19] 또한 타파르는 투르크-페르시아 서술이 역사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며, 내부의 모순조차 주목받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마흐무드의 후기 인도 침공은 힌두 사원의 부를 약탈하고 힌두교도들의 전의를 상실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1024년부터 1025년에는 소나트 사원이 파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aḥmūd {{!}} king of Ghazna
https://www.archnet.[...]
2022-02-01
[2]
서적
The Splendour of Mathurā Art and Museum
https://books.google[...]
D.K. Printworld
1994
[3]
웹사이트
Maḥmūd {{!}} king of Ghazni
https://www.britanni[...]
2020-05-17
[4]
서적
The Garden of India Or Chapters on Oudh History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5]
웹사이트
Medieval Catapult Illustrated in the Jami' al-Tawarikh
https://reach.ieee.o[...]
2021-12-22
[6]
웹사이트
An Indian Embassy before Sultan Mahmud of Ghanzna, from the "Majmal al-Tawarikh" of Hafiz-e Abru
https://worcester.em[...]
2022-05-20
[7]
서적
Objects of Translation: Material Culture and Medieval "Hindu-Muslim" Encoun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03-20
[8]
서적
Kashmīr Under the Sultāns pp31
https://books.google[...]
Aakar Books
[9]
서적
Hindu Kashmīr pp74
https://archive.org/[...]
Light & Life Publishers
[10]
학위논문
Sufism in Kashmir from the Fourte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1-08-05
[11]
서적
The March of In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Ranjit Printers & Publishers
1951
[12]
서적
The Splendour of Mathurā Art and Museum
https://books.google[...]
D.K. Printworld
1994
[13]
서적
The history of Hindustan. Vol.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2003
[14]
서적
The Jain Stupa And Other Antiquities of Mathura
https://archive.org/[...]
1901
[15]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Islam and the Mongol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20-06-26
[16]
서적
Growth of Muslim Population in Medieval India: A. D. 1000 - 1800
https://books.google[...]
Research
2023-12-02
[17]
간행물
A Short History of Pakistan
University of Karachi
[18]
뉴스
Review of Romila Thapar's "Somanatha, The Many Voices of a History"
https://web.archive.[...]
2014-12-15
[19]
문서
Chalukyas of Gujarat
Bombay
[20]
서적
Lost Enlightenment: Central Asia's Golden Age from the Arab Conquest to Tamerlan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6-02
[21]
서적
Medieval India: From Sultanat to the Mughals-Delhi Sultanat (1206-1526) - Part One
https://books.google[...]
Har-Anand Publications
2022-03-09
[22]
서적
Objects of Translation: Material Culture and Medieval "Hindu-Muslim" Encoun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12-15
[23]
논문
Ramayana and Political Imagination in India
https://www.jstor.or[...]
2021-12-15
[24]
웹사이트
"The bilingual coins of Maḥmūd of Ghazna (r. 998-1030) Translating the medieval Indo-Islamic world between Arabic and Sanskrit" (Poster presented at the Workshop "Les Ghaznavides et leurs voisins: nouvelles recherches sur le monde iranien oriental" at CNRS, Ivry sur Seine, February 26th, 2016)
https://www.academia[...]
CNRS
2021-12-15
[25]
서적
Somanatha: The Many Voices of a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021-12-15
[26]
서적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1979
[27]
서적
Somanatha: The Many Voices of a History
https://books.google[...]
Verso
2018-04-27
[28]
웹사이트
Chapter 2 – The Idol-Breaker – Mahmud of Ghazni – 997–1030 A.D.
https://www.ibiblio.[...]
2020-07-13
[29]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The Slave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 11Th-13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2022-09-30
[30]
서적
Islam and Asia: A Histor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31]
논문
The Lost Splendour of Ghazni
https://euppublishin[...]
2022-09-19
[32]
문서
Agra Fort Museum notice
[33]
간행물
Arts, Islamic
2006-10-20
[34]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Twelf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22-05-03
[35]
서적
Medieval India: From Sultanat to the Mughals (1206–1526)
https://books.google[...]
Har-Anand Publications
2022-03-09
[36]
서적
Uyunu'l-Akhbar
[37]
서적
世界戦争事典 改訂第2版
河出書房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