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리크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리크샤 1세는 1072년 대셀주크 제국의 술탄이 된 인물이다. 그는 1055년에 태어나 이스파한에서 자랐으며,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의 캅카스 원정에 참여하고 카라한 왕조의 공주 테르켄 하툰과 결혼했다. 17세에 즉위한 말리크샤는 삼촌 카우르트의 반란을 진압하고 수도를 이스파한으로 정했으며, 재상 니잠 알물크의 도움을 받아 영토를 확장했다. 그의 치세는 셀주크 제국의 영토가 가장 넓었던 시기로, 과학, 예술,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니잠 알물크 암살과 함께 109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5년 출생 - 오연총
    오연총은 고려 예종 때 요나라와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진 정벌에서 윤관의 부원수로 활약했으며, 신기군 징발 조건 완화와 서경 궁궐 창건 반대 등의 정치적 행보를 보이다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문양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055년 출생 - 의천
    의천은 고려 문종의 아들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천태종을 창시하고 교관겸수를 주장하며 고려 불교 발전에 기여했고, 숙종 때 주전론을 주장하다 47세에 입적하여 대각국사로 불렸다.
  • 1092년 사망 - 금관후
    문종과 인예태후의 아들이며 순종, 선종, 숙종의 동생인 왕족 금관후는 금관후에 봉해진 후 수사도, 수태위 겸 중서령 등을 역임하다 사망했고, 적경궁주와 부여공 왕수의 근친혼에 반대했으며 사후 장헌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 1092년 사망 - 콘라트 1세 (보헤미아)
    콘라트 1세는 브르제티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브라티슬라프 2세의 동생으로, 모라비아 남부를 통치하다가 조카 브르제티슬라프 2세에게 보헤미아 공작위를 물려주었다.
  • 술탄 - 마흐무드 1세 (셀주크 제국)
    마흐무드 1세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술탄으로 즉위했으나 권력 다툼과 내전, 그리고 천연두로 인해 사망하면서 셀주크 제국의 분열을 초래했다.
  • 술탄 - 술탄 중의 술탄
말리크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말리크 샤 1세의 투자 장면, 14세기 책 '자미 알-타와리크'에서
말리크 샤 1세의 투자 장면, 14세기 책 '자미 알-타와리크'에서
칭호신자들의 지도자
출생일1055년 8월 16일
출생지이스파한, 셀주크 제국
사망일1092년 11월 19일 (37세)
사망지바그다드, 셀주크 제국
매장지이스파한
종교수니 이슬람
통치
작위셀주크 제국술탄
재위 기간1072년 12월 15일 ~ 1092년 11월 19일
선임자알프 아르슬란
후임자마흐무드 1세
가문
왕가셀주크 가문
아버지알프 아르슬란
어머니불명
배우자테르켄 하툰
주바이 다 하툰
타지 사파리야 하툰 (첩)
자녀베르크야루크
무함마드 1세 타파르
아흐마드 산자르
마흐무드 1세
아흐메드
다우드
투그릴
아미르 후마린
압둘 카심
기타 아들 2명
마흐-이 물크 하툰
시타라 하툰
테르켄 하툰
살킴 하툰
사피야 하툰
가우하르 하툰
이스마 하툰
기타 딸 3명
이름

2. 생애

말리크샤는 1055년 8월 16일에 태어나 이스파한 교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에게서 권력 행사와 전쟁 수행법을 배웠다.[26] 1064년 알프 아르슬란의 캅카스 원정에 참여했고, 같은 해 카라한 왕조의 공주 테르켄 하툰과 결혼했다.[26] 1066년 알프 아르슬란은 말리크샤를 공식 후계자로 선언하고[27] 이스파한을 이크타로 주었다.[26]

1071년 알프 아르슬란의 시리아 원정에 동참했으나, 만지케르트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고 알레포에 머물렀다. 1072년 트란스옥시아나의 카라한 왕조 원정에 참여했고, 알프 아르슬란이 부상당한 후 재상 니잠 알물크의 보호 아래 군대 지휘권을 장악했다.[26]

알프 아르슬란 사후, 그의 형 카우르드가 계승을 부정했으나, 말리크샤는 니잠 알물크의 도움으로 바그다드 칼리프의 공식 인증을 받고 카우르드의 반란을 진압, 처형했다.[27] 이후 카우르드의 아들들에게 키르만 영지를 넘겨주었다.[27]

말리크샤 치세는 셀주크 왕조에서 두 번째로 길었고, 제국 영토가 가장 넓었던 시기였다. 카라한 왕조를 아무다리야강변에서 몰아냈고, 동부 군주들에게 종주권을 인정받았다. 아랍 반도 동쪽, 캅카스, 메소포타미아 등을 정복하거나 종주권을 인정받았다.[26] 룸 술탄국은 실제로는 적대적이었다.[26] 군대의 주축은 맘루크용병이었다.[26]

제국 내정은 주로 니잠 알물크가 운영했다. 만년에 둘 사이는 벌어졌고, 니잠 알물크 암살 배후에 말리크샤가 있다는 설도 있다. 니잠 알물크 사후, 타즈 알물크를 대재상으로 임명했다.[26]

말리크샤는 원정이 없을 때는 이스파한 교외 숙영지에서 지냈다. 만년에는 겨울 숙영지를 바그다드로 옮기고 여름에만 이스파한에 있었다. 바그다드 인근에 대규모 건축을 했고, 보물과 무기는 샤데즈(현재 데즈쿠) 성채에 보관했다.[26]

만년에 칼리프 알묵타디르에게 셀주크 왕가 혈통의 왕자 자파르를 후계자로 삼을 것을 요구했다. 자파르는 말리크샤의 조카[26] 또는 외손자[28]라는 설이 있다. 1092년 11월 19일 사냥 중 열병으로 사망했는데,[28] 암살(칼리프나 니잠 알물크 추종자 배후설)로 추정된다. 시신은 테르켄 하툰에 의해 이스파한 마드라사에 안장되었다. 말리크샤 사후 내전으로 제국은 크게 약화되었다.[28]

2. 1. 즉위와 권력 투쟁

1072년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이 마와라안나흐르 원정 중에 급사함에 따라, 장남 말리크샤 1세는 17세의 나이로 셀주크 제국술탄에 즉위하였다.[26] 그러나 이는 그의 아타베그이자 재상(와지르)인 니잠 알물크의 계략이 크게 작용한 것이었고,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의 형이자 켈만 셀주크 왕조의 창시자 카부르트 베그가 술탄 자리를 탐내 반란을 일으켰다.[27]

말리크샤가 즉위하자마자 그의 삼촌인 카부르트가 왕위를 주장하며 말리크샤에게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냈다. "나는 장남이고, 당신은 어린 아들입니다. 나는 형 알프 아르슬란의 상속에 대한 더 큰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자 말리크샤는 다음과 같은 답장을 보냈다. "아들이 있는데 형제가 상속받는 법은 없습니다." 이 메시지에 격분한 카부르트는 이스파한을 점령했다. 1073년, 하마단 근처에서 3일간 전투가 벌어졌다. 카부르트는 일곱 아들과 함께 투르크멘으로 구성된 군대를 이끌었고, 말리크샤의 군대는 구람(군사 노예)과 쿠르드아랍 부대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전투 중에 말리크샤 군대의 투르크인들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그는 카부르트를 패퇴시키고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 카부르트는 자비를 구걸하며 오만으로 은퇴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니잠 알 물크는 그를 살려두는 것은 약점을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거절했다. 얼마 후 카부르트는 활시위로 교살되었고, 그의 두 아들은 눈이 멀게 되었다.[27] 이 문제를 해결한 후, 말리크샤는 쿠틀루그 테긴을 파르스 주 총독으로, 사브 테긴을 케르만 총독으로 임명했다.

1092년의 셀주크 제국 강역도


1074년에는 이란 동부 호라산 지방의 수도 니샤푸르를 지배하고 있던 그의 동생 테키슈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초기 치세는 친족 간의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수도(다르 알-멀크)를 이스파한으로 정하였다. 이 위치는 동남부의 강력한 카부르트 가문과 서남부의 압바스 왕조를 견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지만, 북부의 레이, 마잔다란 등 카스피해 남안 지역, 동부의 호라산, 마와라안나흐르, 서부의 , 시리아 방면과의 연결에도 편리했기에, 치세 중에 진행된 영토 확장에도 크게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2. 2. 이스파한 천도와 중앙집권

1072년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이 마와라안나흐르 원정 중에 급사하자, 장남 말리크 샤 1세는 17세의 나이로 대셀주크 제국의 술탄에 즉위하였다. 그러나 이는 그의 아타베그이자 명재상(와지르)이었던 니잠 알물크의 계략이 크게 작용한 것이었고,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의 형이자 켈만 셀주크 왕조의 창시자 카부르트 베그가 술탄 자리를 탐내 반란을 일으켰다. 1073년 카부르트는 체포되어 처형되었지만, 그의 아들들은 여전히 켈만에서 강력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토벌은 어려웠고, 말리크 샤 1세는 술탄의 칭호 대신 아미르의 지위를 받았으며, 카부르트 가문의 켈만 지배를 사실상 묵인하였다. 1074년에는 이란 동부 호라산 지방의 수도 니샤푸르를 지배하고 있던 그의 동생 테키슈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초기 치세는 친족 간의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수도(다르 알-멀크, دارالملكar)를 이스파한으로 정하였다.[1] 이 위치는 동남부의 강력한 카부르트 가문과 서남부의 압바스 왕조를 견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지만, 북부의 레이, 마잔다란 등 카스피해 남안 지역, 동부의 호라산, 마와라안나흐르, 서부의 , 시리아 방면과의 연결에도 편리했기에, 치세 중에 진행된 영토 확장에도 크게 유리하게 작용하였다.[1]

2. 3. 영토 확장

말리크샤의 치세는 셀주크 제국 군주들의 치세 가운데 2번째로 길었으며, 이 시기는 셀주크 제국의 영토가 가장 컸던 시기로 알려져 있다. 그는 카라한 왕조를 아무다리야강변에서 몰아냈고, 동부의 군주들에게서 종주권을 인정받았다. 또한 말리크샤는 아랍 반도 동쪽과 캅카스, 메소포타미아 등지를 정복하거나 그 군주들에게서 종주권을 인정받았다.[26]

1072년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이 마와라안나흐르 원정 중에 급사함에 따라, 장남 말리크 샤 1세는 17세의 나이로 셀주크 제국술탄에 즉위하였다. 1073년 카부르트는 체포되어 처형되었지만, 그의 아들들은 여전히 켈만에서 강력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토벌은 어려웠고, 말리크 샤 1세는 술탄의 칭호 대신 아미르의 지위를 받았으며, 카부르트 가문의 켈만 지배를 사실상 묵인하였다. 1074년에는 이란 동부 호라산 지방의 수도 니샤푸르를 지배하고 있던 그의 동생 테키슈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초기 치세는 친족 간의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6]

말리크샤 1세는 카라하니드족에게 주의를 돌렸다. 알프 아르슬란 사후 카라하니드족은 말리크샤의 형제 아야즈가 통치하던 투하리스탄을 침략했고, 아야즈는 카라하니드족을 격퇴하지 못하고 그들에게 살해당했다. 말리크샤는 결국 카라하니드족을 격퇴하고 테르미즈를 함락시켜, 사브 테긴에게 도시의 열쇠를 주었다. 그 후 말리크샤는 다른 형제인 시합 알딘 테키시를 투하리스탄과 발흐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같은 시기에 가즈나 왕조의 통치자 이브라힘은 호라산 북부의 셀주크 영토를 장악하려 했으나 말리크샤에게 패배했고, 말리크샤는 이브라힘과 화해하여 자신의 딸 가우하르 카툰을 이브라힘의 아들 마수드 3세와 결혼시켰다.

1074년, 말리크샤 1세는 투르크족의 군벌 아르가르에게 명하여 그가 쉬르반샤 파리부르즈 1세의 영토를 침략하는 동안 파괴했던 것을 복구하도록 명령했다. 같은 해, 그는 카우르트의 아들 루크누 알다울라 술탄샤를 케르만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1년 후, 말리크샤는 사브테긴이 이끄는 군대를 아란으로 보냈는데, 이곳은 샤다드 왕조 통치자 파들룬 3세가 다스리고 있었다. 사브테긴은 쉽게 그 지역을 정복하여 샤다드 왕조의 통치를 종식시켰다. 그 후 말리크샤는 파들룬 3세에게 고르간을 봉토로 주었다. 1086년~1087년, 그는 에데사, 만비지, 알레포, 안티오크 및 라타키아를 정복하기 위한 원정을 이끌었다. 이 원정 중에 그는 아크 순쿠르를 알레포의 총독으로 임명했고, 샤이자르의 아랍 에미르 나시르 이븐 알리 이븐 문키드의 충성을 받았다. 1089년, 말리크샤는 현지 성직자들의 지원을 받아 사마르칸트를 점령하고, 테르켄 카툰의 조카인 카라카니드 통치자 아흐마드 칸 이븐 히즈르를 투옥했다. 그 후 그는 세미레치예로 진군하여 카라카니드 하룬 칸 이븐 술라이만을 카슈가르와 호탄의 통치자로 삼고 그를 자신의 종주권자로 인정하게 했다.

1070년대 중반,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의 말라즈기르트 전투 이후 소아시아에 정착한 다니슈만드 등 여러 셀주크계 아미르들이 영토 분쟁을 시작하자 우려하여, 투그릴 베크 등의 숙부 알프 아르슬란 이슬라일의 가계에 속하는 쿠탈미슈의 장남 술레이만을 소아시아에 파견하여 조정에 나서게 했다. 이것이 후일 룸 셀주크 왕조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시리아 지역에는 셀주크 왕조의 시조이자 그의 동생인 투투시를, 호라산 지역에는 그의 아들 중 한 명인 아흐마드 산자르에게 각각 영토를 할당하였다.

2. 4. 내정과 문화

1055년 8월 16일에 태어난 말리크샤 1세는 이스파한 교외에서 자랐으며,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에게서 권력 행사와 전쟁 수행법을 배웠다. 1064년 캅카스 원정에 참여했고, 카라한 왕조의 공주 테르켄 하툰과 결혼했다.[26] 1066년 후계자로 공식 선언되었고,[27] 이스파한을 이크타로 받았다.[26]

말리크샤의 치세는 셀주크 왕조 군주들 중 2번째로 길었으며, 이 시기 셀주크 제국은 최대 영토를 보유했다. 아무다리야강변에서 카라한 왕조를 몰아냈고, 동부 군주들과 아랍 반도 동쪽, 카프카스, 메소포타미아 군주들에게 종주권을 인정받았다.[26]

말리크샤 시대 제국 내정은 주로 대재상 니잠 알물크가 운영했다. 일부 사료는 니잠 알물크가 말리크샤의 아타베그였다고 주장한다. 만년에 둘 사이는 벌어졌고, 니잠 알물크 암살 배후에 말리크샤가 있다는 설도 있다. 니잠 알물크 사후, 말리크샤는 그의 정적이자 테르켄 하툰의 재상이었던 타즈 알물크를 대재상으로 임명했다.[26]

말리크샤는 원정에 종군하지 않을 때는 주로 이스파한 교외 숙영지에서 지냈다. 만년에는 겨울 숙영지를 바그다드로 옮기고 이스파한에서는 여름에만 있었다. 바그다드 인근에 대규모 건축 공사를 시행했고, 보물과 무기는 샤데즈(현재 데즈쿠) 성채에 보관했다.[26]

말리크샤 1세는 과학, 예술,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21] 그의 치세 동안 이스파한 천문대가 건설되었고, 잘랄리력이 채택되었다.[23] 이스파한에 화려한 모스크를 짓는 등 건축 예술을 높이 평가했다. 종교적으로 관용적이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백성들은 내부 평화와 종교적 관용을 누렸다. 오마르 카얌의 시에도 관대했다.[21]

말리크샤는 소박하고 겸손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전설에 따르면, 셀주크 왕조의 성공에 압도된 말리크샤는 언덕에 올라 "전능하신 하나님, 기근 문제에는 대처하겠지만 풍요의 위협으로부터 저를 구원해 주십시오."라고 말했다고 한다.[24]

말리크샤는 전임자 투그릴이나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처럼 원정에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 이스파한은 그의 주요 거주 도시였고, 통치 기간 절반 이상을 그곳에서 보냈다. 이스파한은 말리크샤, 후손들, 니잠 알물크 등의 매장지이기도 했다. 수도를 메르브, 레이, 하마단, 아제르바이잔 주변 투르크멘 정착지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두기로 한 결정은 그와 유목민 신민들 사이 거리가 멀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25]

니잠 울 멀크의 보좌를 받아 중앙 집권화에 따른 관료 제도를 확립하였고, 대외적으로는 동쪽 아프가니스탄에서 서쪽 동로마 제국에 이르는 거대한 지배 영역을 구축하였다. 1074년 바그다드에 천문대를 건설하고, 우마르 하이얌에게 새로운 역법을 편찬하게 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뛰어났다. 종교 정책에서는 수니파를 중용하여 이스마일파를 탄압하였으나 실패하였다.

2. 5. 종교 정책

말리크 샤 1세는 시아파의 일파인 이스마일파의 하산 이븐 사바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아파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사바의 추종자들은 알라무트 요새를 점령했고, 말리크 샤 1세가 보낸 군대는 이를 탈환하지 못했다. 길만인 키질 사루그를 보내 쿠히스탄의 다루 요새를 포위했지만, 1092년 11월 19일 말리크 샤 1세가 사망하면서 중단되었다.

말리크 샤 1세는 수니파를 중용하고 이스마일파를 탄압했으나 실패했다. 그의 시대에 왕조는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이 종교 정책의 실패는 왕조 쇠퇴의 한 원인이 되었다.

2. 6. 니잠 알물크 암살과 죽음

1092년, 니잠 알물크바그다드로 가는 길 시흐나 근처에서 수피로 변장한 자에게 암살당했다.[6] 암살자는 니잠의 경호원에 의해 즉시 제거되었기 때문에 누가 그를 보냈는지 확실히 알 수 없게 되었다. 한 가지 설은 그가 암살단이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11세기 동안 셀주크 관리들과 통치자들의 생명을 끊임없이 노렸다. 또 다른 설은 이 공격이 그의 권력이 너무 커진 것에 싫증을 느낀 말리크샤 1세가 사주했다는 것이다.[7] 니잠 알물크 사망 후, 말리크 샤흐는 타지 알물크 아부 알 가나임이라는 페르시아인을 베지르로 임명했다.

1092년 11월 19일, 말리크샤 1세는 사냥을 떠나간 사이에 열병으로 죽었다.[28] 이는 암살로 추정되는데, 그 배후로는 칼리프나 니잠 알물크의 추종자들이 지목되고 있다. 이후 말리크샤의 시신은 테르켄 하툰에 의해 이스파한으로 옮겨져 그곳의 마드라사에 안장되었다. 말리크샤 사후 내전으로 셀주크 제국은 크게 약화되었다.[28] 그의 죽음과 함께 셀주크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경쟁하는 후계자들과 지역 총독들이 제국을 분할하고 서로 전쟁을 벌였기 때문이다.

3. 사후

말리크샤 1세는 1092년 11월 19일 사냥을 나갔다가 열병으로 사망했다.[28] 이는 암살로 추정되는데, 칼리프나 니잠 알물크의 추종자들이 암살 배후로 지목되고 있다.[28] 말리크샤의 시신은 테르켄 하툰에 의해 이스파한으로 옮겨져 그곳의 마드라사에 안장되었다.[28]

말리크샤 1세가 사망한 후, 셀주크 제국은 내전으로 크게 약화되었다.[28] 경쟁하는 후계자들과 지역 총독들이 제국을 분할하고 서로 전쟁을 벌였다. 1098년1099년에는 제1차 십자군 전쟁이 발발하여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의 상당 부분이 무슬림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제1차 십자군 전쟁의 성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말리크샤 1세의 죽음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 때문이었다.[10]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알프 아르슬란
남동생아야즈말리크샤가 후계자로 공인될 때 아무강 상류 지역을 이크타로 분봉받았다. 1074년 사망.
남동생테키쉬아야즈 사후 그의 이크타를 물려받았다. 1080년경과 1084년경 두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한 뒤 장님이 되고 투옥되었다.
아내테르켄 하툰카라한 왕조의 공주, 탐가치 칸 이브라힘의 딸. 1053년 출생, 1065년 결혼, 1094년 사망.[11]
아내주바이다 하툰 빈트 야쿠티 이븐 차그리말리크샤의 사촌이자 아내, 차그리 베그의 아들 야쿠티의 딸. 1056년 출생, 1099년 사망.[15]
자녀다우드1082년 사망
자녀아흐메드1077–1088
자녀마흐무드
자녀아부 엘 카심유년기 사망
자녀아들 (이름 불명)유년기 사망, 레이에 매장[12]
자녀마히 뮬크 하툰1082년 알-무크타디와 결혼[14]
자녀바르키야룩
자녀가우하르 하툰가즈니의 마수드 3세와 결혼[16][17][18]
타즈 알-딘 하툰 사파리야[12] 1121년 사망, 메르브
자녀무함마드 타파르
자녀아흐마드 산자르
자녀아들 (이름 불명)유년기 사망, 레이에 매장[12]
자녀이스마 하툰1109년 알-무스타지르와 결혼[16]
자녀투그릴어머니 불명
자녀아미르 쿠마린알비노[12], 어머니 불명
자녀시타라 하툰알리 이븐 파람루즈의 아들 가르샤프 2세와 결혼, 어머니 불명
자녀살킴 하툰샤리아르 4세의 아들 카린 3세와 결혼, 알리 1세와 결혼[16], 어머니 불명
자녀사피야 하툰시스탄의 통치자 타즈 알-딘 아부 엘 파즐 나스르 빈 할레프와 결혼[16], 어머니 불명
자녀딸 (이름 불명)카부르트의 아들 술탄 샤와 결혼[16], 어머니 불명
자녀딸 (이름 불명)
자녀테르켄 하툰카라-카니드 무함마드 아르슬란 칸 (재위 1102 – 1129)과 결혼, 어머니 불명
자녀룩 알-딘 마흐무드 칸
자녀딸 (이름 불명)1101–02년 부하라 총독 아브둘라지즈 빈 오마르 빈 마자와 결혼[16], 어머니 불명


5. 평가

18세기 영국의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은 말리크 샤 1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 Malek Shah영어의 아버지가 죽자 삼촌, 사촌, 형제가 상속을 두고 다투었고, 그 결과 말리크 샤 1세가 세 번의 승리로 명성과 장자 상속권을 확립했다는 것이다. 기번은 특히 아시아에서는 권력에 대한 갈증이 항상 혼란을 야기했지만, 터키 왕자의 말에서 이보다 더 순수하고 고결한 감정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말리크 샤 1세는 전투 전날 투스(Thous)에서 이맘 리자의 무덤 앞에서 기도를 올렸는데, 옆에 있던 니잠에게 자신의 비밀 기도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 묻자, 니잠은 "당신의 무기가 승리로 장식되기를"이라고 대답했다. 이에 말리크 샤 1세는 "나는 만군의 주께 내 형제가 나보다 더 무슬림을 다스릴 자격이 있다면 나의 생명과 왕관을 거두어 가시라고 간청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이러한 하늘의 호의적인 판단은 알무크타디에 의해 확인되었고, 처음으로 신앙의 지도자(Commander of the Faithful)라는 성스러운 칭호가 야만인에게 주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기번은 이 야만인은 자신의 능력과 그의 제국의 광대함으로 당대 최고의 군주였다고 평가했다.[20]

말리크 샤는 니잠 알물크의 보좌를 받아 통치하였다. 니잠의 보좌 아래 중앙 집권화에 따른 관료 제도를 확립하였고, 대외적으로는 세력 확장에 힘써 동쪽 아프가니스탄에서 서쪽 동로마 제국에 이르는 거대한 지배 영역을 구축하였다. 또한, 1074년 바그다드에 천문대를 건설하고, 우마르 하이얌에게 새로운 역법을 편찬하게 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뛰어났다. 종교 정책에서는 수니파를 중용하여 이스마일파를 탄압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의 시대에 왕조는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이 종교 정책의 실패가 왕조 쇠퇴의 한 원인이 되었다.

말리크 샤는 니잠을 중용하여 셀주크 제국의 전성기를 구축한 명군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6. 기타

말리크샤 1세는 과학, 예술, 문학에 큰 관심을 보였다.[21]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스파한 천문대(말리크샤 천문대)가 건설되었으나, 1092년 그의 사망 직후 폐쇄되었다.[22] 이 천문대에서의 연구를 통해 잘랄리력이 채택되었다.[23] 그는 건축 예술 또한 높이 평가하여 수도 이스파한에 새롭고 화려한 모스크를 짓는 것을 즐겼다. 그는 종교적으로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셀주크 제국의 백성들은 내부 평화와 종교적 관용을 누렸다. 말리크샤는 시에도 관심을 가져, 그의 통치는 오마르 카얌의 시로도 기억된다.[21]

당대 가장 강력한 군주였음에도 불구하고, 말리크샤는 소박하고 겸손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셀주크 왕조가 크게 성공을 거둔 해에, 말리크샤는 왕조의 막강한 힘에 압도되어 언덕 꼭대기에 올라가 "전능하신 하나님, 저는 어떻게든 기근 문제에 대처할 것입니다. 풍요의 위협으로부터 저를 구원해 주십시오."라고 말했다고 한다.[24]

말리크샤는 그의 유명한 전임자 투그릴이나 그의 아버지 알프 아르슬란처럼 많은 시간을 원정에 보내지는 않았다. 이스파한은 그의 주요 거주 도시였지만, 통치 후반기에는 바그다드에서 겨울을 보내는 것을 선호했다. 알프 아르슬란이 10년간의 통치 중 이스파한에서 1년 조금 넘게 보낸 반면, 말리크샤는 통치 기간의 절반 이상을 그곳에서 거주했다. 이스파한은 또한 말리크샤, 그의 후손들, 그리고 니잠 알물크와 같은 술탄국의 유명한 관료들이 묻힌 곳이기도 하다. 메르브, 레이, 하마단, 아제르바이잔 주변 투르크멘 정착지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수도에 거주하기로 한 말리크샤의 결정은 그와 그의 유목민 신민들 사이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25]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The Eastern Roman empire (717-1453)
[2] 서적 Middle East Conflicts from Ancient Egypt to the 21st Century: An Encyclopedia and Document Collection. Volume 1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9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 8 Brill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 8 Brill
[5]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E. J. Brill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 8 Brill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 8 Brill
[8] 서적 "The State of the Ismailis in Iran in the XI–XIII centuries" "Science"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Islam, vol. 7 Brill
[10]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rusades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History of the Seljuq Turks: The Saljuq-nama of Zahir al-Din Nishpuri Taylor & Francis
[13] 서적 The Abbasid Caliphate: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كتاب جهات الأئمة الخلفاء من الحرائر والإماء المسمى نساء الخلفاء: Women and the Court of Baghdad NYU Press
[15]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Persia: 4 Volume Set Taylor & Francis
[16] 학술지 Câriye Kökenli Bir Selçuklu Hâtunu: Sultan Melikşah'ın Eşlerinden Tâceddîn Seferiyye Hâtun https://dergipark.or[...] Hale ŞIVGIN 2024-01-08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Chronicle of Ibn al-Athir for the Crusading Period from al-Kamil fi'l-Ta'rikh. Part 3 Ashgate
[19] 서적 The Great Seljuqs: A History Taylor & Francis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The Modern Library
[21] 웹사이트 Malik-Shāh https://www.britanni[...] 2024-06-00
[22] 서적 The Observatory in Islam and Its Place in the General History of the Observatory Türk Tarih Kurumu Basimevi
[2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cience, and Technology in Islam
[24] 웹사이트 in Russian http://supol.narod.r[...]
[25] 서적 The Great Seljuk Empire Edinburgh University Press Ltd 2015
[26] 웹사이트 MALEKŠĀH http://www.iranicaon[...] 2012
[27] 서적 Malik-Shāh E.J. Brill
[28] 서적 Malik-Shāh E.J.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