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르센 소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르센 소수는 2p - 1 꼴의 소수이며, 여기서 p는 소수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유클리드는 메르센 소수와 완전수의 관계를 밝혔고, 오일러는 짝수 완전수가 메르센 소수로부터 생성됨을 증명했다. 1644년 마랭 메르센은 소수 지수 p에 대해 메르센 소수가 되는 경우를 제시했지만, 일부 오류가 있었다. 1876년 에두아르 뤼카는 M127이 소수임을 증명했고, 1957년 한스 리젤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메르센 소수를 탐색한 이후, 컴퓨터를 활용한 탐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현재까지 52개의 메르센 소수가 발견되었으며, 가장 큰 메르센 소수는 2024년 10월에 발견된 2136,279,841 - 1이다. 메르센 소수는 루카스-레머 소수 판정법을 통해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으며, GIMPS와 같은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탐색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전수 - 6
    6은 수학적으로 가장 작은 완전수이며, 탄소의 원자 번호이고, 곤충의 다리 개수이며, 세계의 대륙 개수와 한국의 광역시 개수이기도 하다.
  • 완전수 - 28
    28은 수학에서는 완전수, 과학에서는 니켈의 원자 번호, 교통에서는 도로 번호, 문화에서는 훈민정음 글자 수 등으로 사용되는 숫자이다.
  • 수론의 미해결 문제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gamma는 조화급수와 자연로그 함수의 차이의 극한으로 정의되는 수학 상수로, 감마 함수, 리만 제타 함수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은 미해결 문제이다.
  • 수론의 미해결 문제 - 리만 가설
    리만 가설은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영점의 실수부가 1/2이라는 추측으로, 힐베르트 문제와 클레이 수학 연구소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이며 정수론과 복소해석학을 연결하는 다양한 수학적 명제들과 동치이다.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메르센 소수
정의
형태2n − 1 형태의 소수
설명n은 소수이어야 함
역사
이름 유래마린 메르센
발견 연도현재까지 52개 발견됨 (2024년 10월 12일 기준)
가장 큰 메르센 소수2136,279,841 − 1 (2024년 10월 21일 발표)
수열
메르센 소수 수열 (Mn = 2n − 1)3, 7, 31, 127, 8191
OEISA000668
A000043
관련 수열메르센 수
공식
메르센 수Mn = 2n − 1
메르센 소수 조건Mp = 2p − 1 (p는 소수)
참고
예외211 − 1 = 2047 = 23 × 89 (소수가 아님)

2. 역사

1644년 마랭 메르센2^n - 1 형태가 소수가 되는 경우는 n \le 257 범위에서 n =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때뿐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일부 오류가 있었다. 메르센의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실제 소수인 M_{61}, M_{89}, M_{107}이 있었고, 반대로 목록에는 포함되었지만 실제로는 합성수M_{67}, M_{257}도 있었다.

이후 스웨덴의 수학자이자 리젤 수의 발견자인 한스 리젤이 1957년 컴퓨터를 이용하여 18번째 메르센 소수를 발견했다. 이를 계기로 컴퓨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메르센 소수를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 메르센 수의 속성

메르센 수는 다음의 몇 가지 속성을 지닌다.


  • M_n은 이항계수의 에서 1을 뺀 값이다.

: M_n = \sum_{i=0}^{n} {n \choose i} - 1

  • 메르센 수의 지수가 홀수 소수 p이면, 그 소인수는 2pk+1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페르마가 증명하였다 (k는 음이 아닌 정수). 이는 메르센 수가 소수, 즉 메르센 소수일 때도 성립한다.

  • 또한 n이 홀수 소수인 메르센 수들의 약수는 모두 8k\pm1 꼴이다.


메르센 수는 0, 1, 3, 7, 15, 31, 63, ... 과 같은 수열을 이룬다.

# 만약 apa^p - 1이 소수가 되는 자연수라면, a = 2 또는 p = 1이다.

#* '''증명''': a \equiv 1 \pmod{a-1}이다. 그러면 a^p \equiv 1^p \equiv 1 \pmod{a-1}이므로, a^p - 1 \equiv 0 \pmod{a-1}이다. 따라서 a-1a^p - 1의 약수이다. 그런데 a^p - 1은 소수이므로, a-1 = a^p - 1 또는 a-1 = \pm 1이다. 전자의 경우 a = a^p인데, 이는 a=0, 1 (이 경우 a^p-1은 각각 -1, 0이므로 소수가 아님) 또는 p=1일 때 성립한다. 후자의 경우 a=2 또는 a=0이다. a=0이면 0^p - 1 = -1이므로 소수가 아니다. 따라서 a=2 또는 p=1이어야 한다.

# 만약 2^p - 1이 소수이면, p는 소수이다.

#* '''증명''': p가 합성수라고 가정하면, p = ab (a, b > 1인 정수)로 쓸 수 있다. 그러면 2^p - 1 = 2^{ab} - 1 = (2^a)^b - 1 = (2^a - 1)((2^a)^{b-1} + (2^a)^{b-2} + \dots + 2^a + 1) 이다. a > 1이므로 2^a - 1 > 1이고, b > 1이므로 두 번째 인수도 1보다 크다. 따라서 2^p - 1은 합성수이다. 대우에 의해, 만약 2^p - 1이 소수이면 p는 소수이다.

# 만약 p가 홀수인 소수이면, 2^p - 1을 나누는 모든 소수 q1 + 2pk 형태이다 (단, k는 어떤 정수). 이것은 2^p - 1이 소수일 때도 성립한다.

#* 예를 들어, 2^5 - 1 = 31은 소수이고, 31 = 1 + 3 \times (2 \times 5)이다. 합성수의 예는 2^{11} - 1 = 2047 = 23 \times 89인데, 여기서 23 = 1 + 1 \times (2 \times 11)이고 89 = 1 + 4 \times (2 \times 11)이다.

#* '''증명''':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q2^{q-1} - 1의 약수이다. 가정에 의해 q2^p - 1의 약수이다. p는 소수이고 q2^1 - 1 = 1의 약수가 아니므로, pq2^x - 1의 약수가 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 x이다 (즉, 2의 위수 \pmod qp이다). 따라서, q2^x - 1의 약수일 필요충분조건은 px의 약수일 때이다. q2^{q-1} - 1의 약수이므로, pq-1의 약수이다. 즉, q \equiv 1 \pmod p이다. 또한, q는 홀수인 2^p - 1의 약수이므로 q 자신도 홀수이다. 따라서 q = 2k' + 1 형태이다. q \equiv 1 \pmod p이므로 q = mp + 1 형태이다. q가 홀수이므로 mp는 짝수여야 한다. p는 홀수 소수이므로 m은 짝수여야 한다. m = 2k로 놓으면, q = 2kp + 1 형태가 된다. 즉, q \equiv 1 \pmod{2p}이다.

#* 이 사실은 소수의 무한성을 증명하는 유클리드의 정리의 또 다른 증명으로 이어진다. 모든 홀수 소수 p에 대해, 2^p - 1을 나누는 모든 소수는 p보다 크다. 따라서 어떤 특정 소수보다 항상 더 큰 소수가 존재한다.

#* 이 사실로부터, 모든 소수 p > 2에 대해, 어떤 정수 k에 대해 2kp+1 형식의 소수가 존재하며, 이는 M_p의 약수가 된다.

# 만약 p가 홀수 소수이면, 2^p - 1을 나누는 모든 소수 qq \equiv \pm 1 \pmod 8을 만족한다.

#* '''증명''': 2^p \equiv 1 \pmod q이므로 2^{p+1} \equiv 2 \pmod q이다. p는 홀수이므로 p+1은 짝수이다. 2^{\frac{p+1}{2}}2 \pmod q제곱근이다. 즉, 2는 q에 대한 이차잉여이다. 이차 상호 법칙에 따르면, 2가 이차잉여가 되는 소수 qq \equiv \pm 1 \pmod 8 형태이다.

# 메르센 소수는 비퍼리히 소수가 될 수 없다.

#* '''증명''': p = 2^m - 1이 메르센 소수라고 하자. 만약 p가 비퍼리히 소수라면 2^{p-1} \equiv 1 \pmod{p^2}이 성립해야 한다.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mp-1의 약수이다. 따라서 p-1 = m\lambda로 쓸 수 있다. 만약 위 합동식이 성립한다면, p^22^{p-1} - 1 = 2^{m\lambda} - 1을 나눈다. \frac{2^{m\lambda} - 1}{2^m - 1} = 1 + 2^m + 2^{2m} + \dots + 2^{(\lambda - 1)m} 이다. 2^m \equiv 1 \pmod p 이므로, 1 + 2^m + \dots + 2^{(\lambda - 1)m} \equiv 1 + 1 + \dots + 1 = \lambda \pmod p이다. 2^{m\lambda} - 1 = (2^m - 1)(1 + 2^m + \dots + 2^{(\lambda - 1)m}) 이고, 2^m - 1 = p이다. 따라서 2^{m\lambda} - 1 = p (1 + 2^m + \dots + 2^{(\lambda - 1)m}) 이다. 가정에서 p^22^{m\lambda} - 1을 나누므로, p1 + 2^m + \dots + 2^{(\lambda - 1)m}을 나누어야 한다. 즉, \lambda \equiv 0 \pmod p이다. 그러면 p-1 = m\lambdap의 배수가 된다. 이는 p-1 \ge p를 의미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메르센 소수는 비퍼리히 소수가 될 수 없다.

# 만약 mn이 자연수라면, mn서로소일 필요충분조건은 2^m - 12^n - 1이 서로소일 때이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소수는 최대 하나의 소수 지수 메르센 수만을 나눌 수 있다.[25] 즉, 서로 다른 소수 지수를 갖는 메르센 소수들은 쌍마다 서로소이다.

# 만약 p2p + 1이 둘 다 소수(즉, p소피 제르맹 소수)이고, p \equiv 3 \pmod 4이면, 2p + 12^p - 1을 나눈다.[26]

#* '''예시''': 11과 2 \times 11 + 1 = 23은 둘 다 소수이고, 11 \equiv 3 \pmod 4이므로, 23은 2^{11} - 1 = 2047을 나눈다. 실제로 2047 = 23 \times 89이다.

#* '''증명''': q = 2p + 1이라고 하자.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2^{q-1} = 2^{2p} \equiv 1 \pmod q이다. 따라서 (2^p)^2 \equiv 1 \pmod q이므로, 2^p \equiv 1 \pmod q 또는 2^p \equiv -1 \pmod q이다. 만약 2^p \equiv -1 \pmod q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2^{p+1} = (2^{\frac{p+1}{2}})^2 \equiv -2 \pmod q이다 (p는 홀수이므로 p+1은 짝수). 즉, -2는 q에 대한 이차잉여이다. 그런데 p \equiv 3 \pmod 4이므로 q = 2p + 1 \equiv 2(3) + 1 = 7 \pmod 8이다. 이차 상호 법칙에 따르면, q \equiv \pm 1 \pmod 8일 때 2는 q에 대한 이차잉여이고, q \equiv \pm 3 \pmod 8일 때 2는 이차비잉여이다. 따라서 q \equiv 7 \pmod 8이므로 2는 q에 대한 이차잉여이다. 또한, q \equiv 3 \pmod 4일 때 -1은 q에 대한 이차비잉여이다 (q = 2p+1이고 p \equiv 3 \pmod 4이면 q \equiv 2(3)+1 = 7 \equiv 3 \pmod 4). 따라서 -2는 이차잉여(2)와 이차비잉여(-1)의 곱이므로 이차비잉여가 되어야 한다. 이는 -2가 이차잉여라는 결론과 모순이다. 따라서 가정 2^p \equiv -1 \pmod q는 틀렸고, 2^p \equiv 1 \pmod q이어야 한다. 즉, q = 2p+12^p - 1 = M_p를 나눈다.

# 소수 지수 메르센 수의 모든 합성 약수는 2를 밑으로 하는 강한 유사소수이다.

# 1을 제외하고, 메르센 수는 완전제곱수가 될 수 없다. 즉, 미하일레스쿠의 정리에 따라, 방정식 2^m - 1 = n^km > 1이고 k > 1인 정수 해를 갖지 않는다.

# 메르센 수열 M_n뤼카 수열 U_n(P, Q)에서 P=3, Q=2인 경우, 즉 U_n(3, 2)이다. 점화식은 M_n = 3M_{n-1} - 2M_{n-2}이며, 초기값은 M_0 = 0, M_1 = 1이다.

4. 메르센 소수에 관한 정리

메르센 수 M_n = 2^n - 1소수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필요조건은 지수 n이 소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n이 합성수, 즉 n=ab (단, a, b > 1인 정수)일 경우 다음 항등식에 의해 M_n 역시 합성수가 되기 때문이다.

\begin{align}

2^{ab}-1

&=(2^a-1)\cdot \left(1+2^a+2^{2a}+2^{3a}+\cdots+2^{(b-1)a}\right)\\

&=(2^b-1)\cdot \left(1+2^b+2^{2b}+2^{3b}+\cdots+2^{(a-1)b}\right).

\end{align}

따라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위해서는 지수가 소수인 경우만 고려하면 된다.

하지만 이 조건은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다. 즉, 지수 n이 소수라고 해서 M_n이 항상 소수인 것은 아니다. 가장 작은 반례는 n=11인 경우로, 11은 소수이지만 M_{11} = 2^{11} - 1 = 2047 = 23 \times 89로 합성수이다.[4] 소수 지수 p에 대해 M_p가 합성수인 경우, 그 소인수는 2pk + 1 형태를 가지며(단, k는 양의 정수), 동시에 8k \pm 1 형태를 가진다는 성질이 알려져 있다.

메르센 소수가 무한히 많이 존재하는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렌스트라-포머란스-와그스태프 추측은 메르센 소수가 무한히 많으며, 그 분포 빈도를 예측한다. 또한, 소수 지수를 가진 합성수 메르센 수가 무한히 많은지도 알려지지 않았지만, 소피 제르맹 소수와 같은 특정 소수들의 무한성에 대한 추측이 참이라면 이 역시 참일 것으로 여겨진다.

M_2 = 3을 제외한 모든 메르센 소수 M_p (p는 홀수 소수)는 M_p = 2^p - 1 \equiv (-1)^p - 1 \equiv -1 - 1 = -2 \equiv 3 \pmod 4이다. 따라서 M_2를 포함한 모든 메르센 소수는 4로 나눈 나머지가 3이다. 결과적으로 M_n(n>1)의 소인수분해에는 4로 나눈 나머지가 3인 소인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해야 한다.

연도별 가장 큰 알려진 메르센 소수의 자릿수 변화 그래프


메르센 수 M_p의 소수성을 판별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루카스-르머 소수 판별법(LLT)이 있다. 이 판별법은 수열 S_kS_0 = 4, S_{k} = S_{k-1}^2 - 2 (k \ge 1)로 정의할 때, p > 2인 소수에 대해 M_p가 소수일 필요충분조건은 S_{p-2}M_p로 나누어떨어진다는 것이다. 이 방법은 특히 이진법 기반 컴퓨터에서 효율적으로 계산될 수 있어 큰 메르센 수의 소수성 판별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 테스트 덕분에 메르센 수는 다른 종류의 수보다 소수성 판별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알려진 가장 큰 소수들은 대부분 메르센 소수이다. GIMPS(Great Internet Mersenne Prime Search)와 같은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는 이 판별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메르센 소수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있다.[13][23]

4. 1. 메르센 소수 목록

1644년 마랭 메르센2^n - 1 형태의 수가 소수가 되는 경우는 n \le 257 범위에서 n =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때뿐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일부 오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메르센이 포함하지 않은 M_{61}, M_{89}, M_{107}는 소수였고, 반대로 목록에 포함된 M_{67}M_{257}합성수였다.

스웨덴의 수학자 한스 리젤이 1957년 컴퓨터를 이용하여 18번째 메르센 소수를 발견한 이후, 컴퓨터는 새로운 메르센 소수를 찾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메르센 소수가 무한히 많은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수학의 미해결 문제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메르센 소수는 다음과 같다.

#nM_nM_n의 자리수발견일발견자
1231기원전 430년 경고대 그리스 수학자
2371기원전 430년 경고대 그리스 수학자
35312기원전 300년 경고대 그리스 수학자
471273기원전 300년 경고대 그리스 수학자
513819141456년익명
61713107161588년피에트로 카탈디
71952428761588년피에트로 카탈디
8312147483647101772년레온하르트 오일러
9612305843009213693951191883년이반 미흐비치 페르부쉰
1089618970019642690137449562111271911년R. E. Powers
11107162259276829213363391578010288127331914년R. E. Powers
12127170141183460469231731687303715884105727391876년에두아르 뤼카
1352168647976601306097149819007990813932172694353001433054093944634591855431833976560521225596406614545549772963113914808580371219879997166438125740282911150571511571952년 1월 30일라파헬 로빈슨
14607531137992…0317281271831952년 1월 30일라파헬 로빈슨
151,279104079321…1687290873861952년 6월 25일라파헬 로빈슨
162,203147597991…6977710076641952년 10월 7일라파헬 로빈슨
172,281446087557…1328363516871952년 10월 9일라파헬 로빈슨
183,217259117086…9093150719691957년 9월 8일한스 리젤
194,253190797007…3504849911,2811961년 11월 3일알렉산더 허비츠
204,423285542542…6085806071,3321961년 11월 3일알렉산더 허비츠
219,689478220278…2257541112,9171963년 5월 11일도널드 길리스
229,941346088282…7894635512,9931963년 5월 16일도널드 길리스
2311,213281411201…6963921913,3761963년 6월 2일도널드 길리스
2419,937431542479…9680414716,0021971년 3월 4일브리언트 터커맨
2521,701448679166…5118827516,5331978년 10월 30일랜돈 커트 놀과 로라 니켈
2623,209402874115…7792645116,9871979년 2월 9일랜돈 커트 놀
2744,497854509824…01122867113,3951979년 4월 8일해리 넬슨과 데이빗 슬로빈스키
2886,243536927995…43343820725,9621982년 9월 25일데이빗 슬로빈스키
29110,503521928313…46551500733,2651988년 1월 28일월크 콜킷과 루크 웰시
30132,049512740276…73006131139,7511983년 9월 19일[48]데이빗 슬로빈스키
31216,091746093103…81552844765,0501985년 9월 1일[48]데이빗 슬로빈스키
32756,839174135906…544677887227,8321992년 2월 19일데이빗 슬로빈스키와 폴 게이지
33859,433129498125…500142591258,7161994년 1월 4일데이빗 슬로빈스키와 폴 게이지
341,257,787412245773…089366527378,6321996년 9월 3일데이빗 슬로빈스키와 폴 게이지 링크
351,398,269814717564…451315711420,9211996년 11월 13일GIMPS / 조엘 아르멩고 링크
362,976,221623340076…729201151895,9321997년 8월 24일GIMPS / 고든 스펜스 링크
373,021,377127411683…024694271909,5261998년 1월 27일GIMPS / 롤랜드 클락슨 링크
386,972,593437075744…9241937912,098,9601999년 6월 11일GIMPS / 난야 하이라트왈라 링크
3913,466,917924947738…2562590714,053,9462001년 11월 14일GIMPS / 마이클 카메론 링크
4020,996,011125976895…8556820476,320,4302003년 11월 17일GIMPS / 마이클 셰이퍼 링크
4124,036,583299410429…7339694077,235,7332004년 5월 15일GIMPS / 조지 핀들리 링크
4225,964,951122164630…5770772477,816,2302005년 2월 18일GIMPS / 마르틴 노바크 링크
4330,402,457315416475…6529438719,152,0522005년 9월 15일GIMPS / 커티스 쿠퍼와 스티븐 분 링크
4432,582,657124575026…0539678719,808,3582006년 9월 4일GIMPS / 커티스 쿠퍼와 스티븐 분 링크
4537,156,667202254406…30822092711,185,2722008년 9월 6일GIMPS / Hans-Michael Elvenich 링크
4642,643,801169873516…56231475112,837,0642009년 4월 12일GIMPS / Odd Magnar Strindmo
4743,112,609316470269…69715251112,978,1892008년 8월 23일GIMPS / Edson Smith 링크
4857,885,161581887266…72428595117,425,1702013년 1월 25일GIMPS / Curtis Cooper 링크
49*74,207,281300376418…08643635122,338,6182015년 9월 17일*GIMPS / Curtis Cooper 링크
50*77,232,917467333183…76217907123,249,4252017년 12월 26일GIMPS / Jon Pace
51*82,589,933110847779…21790259124,862,0482018년 12월 7일GIMPS / Patrick Laroche
52*136,279,841881694327…48687155141,024,3202024년 10월 12일GIMPS / Luke Durant



44번째 알려진 메르센 소수를 시각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서는 1페이지 당, 10진수 75개 자리수의 숫자를 50줄씩 쓴 2,616페이지가 필요하다.*표의 48번째 수인 M_{57,885,161}과 49번째 수인 M_{74,207,281} 사이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다른 메르센 소수가 있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번호들은 바뀔 수도 있다. 소수가 작은 소수부터 순차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9번째 메르센 소수는 30번째와 31번째 소수의 발견 '''이후'''에 발견되었다.**M_{42,643,801}는 2009년 4월 12일 컴퓨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그러나 6월 4일까지 이 사실을 인지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래서, 발견일을 4월 12일 또는 6월 4일로 간주한다. 발견자 스트린드모(Strindmo)는 alias Stig M. Valstad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M_{74,207,281}는 2015년 9월 17일 컴퓨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그러나 2016년 1월 7일까지 이 사실을 인지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래서, 발견일을 2015년 9월 17일 또는 2016년 1월 7일로 간주한다.

5. 완전수와의 관계

메르센 소수는 완전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기원전 4세기에 유클리드는 2p − 1이 소수 (즉, 메르센 소수 Mp)이면, 2p − 1(2p − 1)은 짝수 완전수임을 증명했다. 이 식은 Mp(Mp + 1) / 2 와 같다.

18세기오일러는 그 역으로, 모든 짝수 완전수는 반드시 2p − 1(2p − 1)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증명했다.[5] 이 두 명제를 합쳐 유클리드-오일러 정리라고 부른다.

홀수 완전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6. 일반화

가장 간단한 일반화된 메르센 소수는 f(2n) 형태의 소수로, 여기서 f(x)는 작은 정수 계수를 가진 낮은 차수의 다항식이다.[37] 예시로 264 - 232 + 1이 있는데, 이 경우 n = 32이고 f(x) = x2 - x + 1이다. 또 다른 예시는 2192 - 264 - 1인데, 이 경우 n = 64이고 f(x) = x3 - x - 1이다.

bn - 1 형태의 소수(b ≠ 2이고 n > 1일 때)로 2n - 1 형태의 소수를 일반화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하지만 bn - 1는 항상 b - 1로 나누어지므로, 후자가 단위가 아닌 한 전자는 소수가 아니다. 이는 ''b''가 정수 대신 대수적 정수가 되도록 허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정수 환 (실수에 대해)에서 b - 1이 단원이면 ''b''는 2 또는 0이다. 그러나 2n - 1은 일반적인 메르센 소수이며, 0n - 1 공식은 (n > 0에 대해 항상 −1이기 때문에) 흥미로운 결과를 내지 않는다. 따라서 가우스 정수아이젠슈타인 정수와 같이 복소수에 대한 "정수"의 환을 실수 대신 고려할 수 있다.

가우스 정수 환을 고려하면 b = 1 + i와 b = 1 - i의 경우가 발생하며, (1 + i)n - 1이 어떤 ''n''에 대해 가우스 소수가 되는지 질문할 수 있는데, 이를 '''가우스 메르센 소수'''라고 부른다.[38]

(1 + i)n - 1은 다음 ''n''에 대해 가우스 소수이다:

:2, 3, 5, 7, 11, 19, 29, 47, 73, 79, 113, 151, 157, 163, 167, 239, 241, 283, 353, 367, 379, 457, 997, 1367, 3041, 10141, 14699, 27529, 49207, 77291, 85237, 106693, 160423, 203789, 364289, 991961, 1203793, 1667321, 3704053, 4792057, ... (OEIS의 수열 A057429)

일반적인 메르센 소수의 지수열과 마찬가지로 이 수열은 (유리수) 소수만 포함한다. 모든 가우스 소수와 마찬가지로, 이 숫자들의 노름 (즉, 절댓값의 제곱)은 유리수 소수이다:

:5, 13, 41, 113, 2113, 525313, 536903681, 140737471578113, ... (OEIS의 수열 A182300)

아이젠슈타인 정수 환 Z[ω]를 고려하면 (\omega는 1의 원시 세제곱근), b = 1 + ω와 b = 1 - ω의 경우가 있다. (1 + ω)n - 1이 어떤 ''n''에 대해 아이젠슈타인 소수가 되는지 질문할 수 있으며, 이를 '''아이젠슈타인 메르센 소수'''라고 부른다.

(1 + ω)n - 1은 다음의 ''n''에 대해 아이젠슈타인 소수이다:

:2, 5, 7, 11, 17, 19, 79, 163, 193, 239, 317, 353, 659, 709, 1049, 1103, 1759, 2029, 5153, 7541, 9049, 10453, 23743, 255361, 534827, 2237561, ... (OEIS의 수열 A066408)

이 아이젠슈타인 소수들의 노름(즉, 절댓값의 제곱)은 유리 소수이다:

:7, 271, 2269, 176419, 129159847, 1162320517, ... (OEIS의 수열 A066413)

bn - 1이 항상 b - 1로 나누어진다는 사실을 다루는 다른 방법은 이 인수를 단순히 제거하고 어떤 ''n'' 값이 (bn - 1) / (b - 1) 소수가 되는지 묻는 것이다. (정수 ''b''는 양수 또는 음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 = 10을 취하면 다음 ''n'' 값을 얻는다:

:2, 19, 23, 317, 1031, 49081, 86453, 109297, 270343, ... (OEIS의 수열 A004023),

소수 11, 1111111111111111111, 11111111111111111111111, ... (OEIS의 수열 A004022)에 해당한다.

이 소수들을 단위 반복 소수(Repunit)라고 한다. 또 다른 예는 b = -12를 취할 때 다음 ''n'' 값을 얻는 경우이다:

:2, 5, 11, 109, 193, 1483, 11353, 21419, 21911, 24071, 106859, 139739, ... (OEIS의 수열 A057178),

소수 −11, 19141, 57154490053, ....에 해당한다.

완전 거듭제곱이 아닌 모든 정수 ''b''에 대해 (bn - 1) / (b - 1)가 소수가 되는 ''n'' 값이 무한히 많다는 추측이 있다. (''b''가 완전 거듭제곱인 경우, (bn - 1) / (b - 1)가 소수인 ''n'' 값이 최대 하나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bn - 1) / (b - 1)이 소수인 최소 ''n'' 값은 (''b'' = 2부터 시작, 그러한 ''n''이 없으면 0):

:2, 3, 2, 3, 2, 5, 3, 0, 2, 17, 2, 5, 3, 3, 2, 3, 2, 19, 3, 3, 2, 5, 3, 0, 7, 3, 2, 5, 2, 7, 0, 3, 13, 313, 2, 13, 3, 349, 2, 3, 2, 5, 5, 19, 2, 127, 19, 0, 3, 4229, 2, 11, 3, 17, 7, 3, 2, 3, 2, 7, 3, 5, 0, 19, 2, 19, 5, 3, 2, 3, 2, ... (OEIS의 수열 A084740)

음수 기저 ''b''의 경우 (''b'' = −2부터 시작, 그러한 ''n''이 없으면 0):

:3, 2, 2, 5, 2, 3, 2, 3, 5, 5, 2, 3, 2, 3, 3, 7, 2, 17, 2, 3, 3, 11, 2, 3, 11, 0, 3, 7, 2, 109, 2, 5, 3, 11, 31, 5, 2, 3, 53, 17, 2, 5, 2, 103, 7, 5, 2, 7, 1153, 3, 7, 21943, 2, 3, 37, 53, 3, 17, 2, 7, 2, 3, 0, 19, 7, 3, 2, 11, 3, 5, 2, ... (OEIS의 수열 A084742)

(bprime(n) - 1) / (b - 1)이 소수인 최소 기저 ''b'' 값은 (''n''=1부터 시작):

:2, 2, 2, 2, 5, 2, 2, 2, 10, 6, 2, 61, 14, 15, 5, 24, 19, 2, 46, 3, 11, 22, 41, 2, 12, 22, 3, 2, 12, 86, 2, 7, 13, 11, 5, 29, 56, 30, 44, 60, 304, 5, 74, 118, 33, 156, 46, 183, 72, 606, 602, 223, 115, 37, 52, 104, 41, 6, 338, 217, ... (OEIS의 수열 A066180)

음수 기저 ''b''의 경우:

:3, 2, 2, 2, 2, 2, 2, 2, 2, 7, 2, 16, 61, 2, 6, 10, 6, 2, 5, 46, 18, 2, 49, 16, 70, 2, 5, 6, 12, 92, 2, 48, 89, 30, 16, 147, 19, 19, 2, 16, 11, 289, 2, 12, 52, 2, 66, 9, 22, 5, 489, 69, 137, 16, 36, 96, 76, 117, 26, 3, ... (OEIS의 수열 A103795)

또 다른 일반화된 메르센 수는 다음과 같다:

:(an - bn) / (a - b)

여기서 ''a'', ''b''는 임의의 상대 소수 정수이고, a > 1 및 -a < b < a이다. (an - bn은 항상 a - b로 나누어지므로, 소수를 찾을 가능성이 있으려면 나눗셈이 필요하다.) 이 숫자가 소수가 되는 ''n''을 질문할 수 있다. 이러한 ''n''은 소수이거나 4와 같아야 함을 알 수 있으며, ''n''은 a + b = 1이고 a2 + b2가 소수일 경우에만 4가 될 수 있다. ''a''와 ''b''가 어떤 ''r'' > 1에 대해서도 완전 ''r''제곱이 아니고 -4ab가 완전한 네제곱이 아닌 모든 쌍 (a, b)에 대해 (an - bn) / (a - b)가 소수인 ''n''의 값이 무한히 많다는 추측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일 (a, b) 값에 대해서는 증명되지 않았다.

7. 메르센 소수 찾기

메르센 수 M_n = 2^n - 1소수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필요조건은 지수 n이 소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만약 n이 합성수(n=ab, a, b > 1)라면 M_n도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되기 때문이다.

:2^{ab} - 1 = (2^a - 1) (1 + 2^a + 2^{2a} + \cdots + 2^{(b-1)a}) = (2^b - 1) (1 + 2^b + 2^{2b} + \cdots + 2^{(a-1)b})

예를 들어, M_4 = 2^4 - 1 = 15 = 3 \times 5 = (2^2 - 1)(1 + 2^2)이다. 따라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위해서는 지수가 소수인 경우만 조사하면 된다.

그러나 이 조건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n이 소수라고 해서 M_n이 항상 소수인 것은 아니다. 가장 작은 반례는 M_{11} = 2^{11} - 1 = 2047 = 23 \times 89이다. 소수 지수를 가지면서 합성수인 메르센 수가 무한히 많은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3과 합동소피 제르맹 소수의 무한성과 같은 널리 받아들여지는 추측들이 참이라면 그렇다고 여겨진다.

메르센 소수가 무한히 많은지 아닌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렌스트라-포머란스-와그스태프 추측은 메르센 소수가 무한히 많으며, 그 빈도와 성장 순서를 예측한다.

메르센 수는 매우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특정 M_p가 소수인지 판별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루카스-레머 소수 판별법(LLT)이라는 효율적인 소수성 판별법이 존재한다. 이 방법은 같은 크기의 다른 수들의 소수성 판별보다 훨씬 빠르다. 구체적으로, 소수 p > 2에 대해, 수열 S_kS_0 = 4, S_k = S_{k-1}^2 - 2 (단, k > 0)로 정의할 때, M_p가 소수일 필요충분조건은 M_pS_{p-2}를 나누는 것이다.

이러한 효율적인 판별법 덕분에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큰 소수 기록은 대부분 메르센 소수가 차지하고 있다. 2024년 10월 기준으로 알려진 가장 큰 소수 7개는 모두 메르센 소수이다. 가장 큰 소수를 찾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으며, 새로운 메르센 소수를 찾기 위해 막대한 컴퓨터 연산 능력이 투입되고 있다. 특히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인 GIMPS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 역사적 발견 ===

초기 메르센 소수 몇 개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 M_2 = 3, M_3 = 7, M_5 = 31, M_7 = 127은 고대 수학자들에게 알려져 있었다.
  • M_{13} = 8191은 1461년 이전에 익명으로 발견되었다.
  • M_{17}M_{19}는 1588년 피에트로 카탈디가 발견했다.
  • M_{31}은 1772년 레온하르트 오일러에 의해 소수임이 확인되었다.
  • M_{127}은 1876년 에두아르 루카스가 발견했다.
  • M_{61}은 1883년 이반 미헤예비치 페르부신이 발견했다.
  • M_{89}M_{107}은 각각 1911년과 1914년에 R. E. 파워스가 발견했다.


수동 계산 시대에는 루카스-레머 판별법을 이용한 검증이 이루어졌지만, M_{127} 이후 다음 메르센 소수인 M_{521}까지의 간격이 매우 컸다.

=== 컴퓨터 시대의 탐색 ===

전자 컴퓨터의 등장은 메르센 소수 탐색에 혁명을 가져왔다.

  • 1952년 1월 30일, 미국 국립 표준국의 SWAC 컴퓨터를 사용하여 D. H. 레머의 지휘 아래 라파엘 M. 로빈슨이 작성한 프로그램으로 M_{521}이 발견되었다. 이는 38년 만에 발견된 새로운 메르센 소수였다.[12]
  • 같은 해, SWAC은 M_{607}, M_{1279}, M_{2203}, M_{2281}을 연달아 발견했다.
  • 이후 컴퓨터 성능의 발달과 함께 더 큰 메르센 소수들이 발견되었다. M_{4,423}은 1,000자리가 넘는 최초의 소수, M_{44,497}은 10,000자리가 넘는 최초의 소수, M_{6,972,593}은 백만 자리가 넘는 최초의 소수였다.


=== GIMPS 프로젝트 ===

GIMPS는 인터넷에 연결된 수많은 개인용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하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로, 1996년부터 메르센 소수 탐색을 주도하고 있다. GIMPS를 통해 발견된 주요 메르센 소수는 다음과 같다.

  • 2008년 8월, UCLA 팀이 GIMPS를 통해 45번째 메르센 소수 2^{43,112,609} - 1(약 1300만 자리)를 발견하여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으로부터 10만달러의 상금 일부를 받았다. 이는 1,000만 자리 이상의 첫 소수 발견이었다.[13]
  • 2009년 4월, 47번째 메르센 소수 2^{42,643,801} - 1이 발견되었다. (발견 순서로는 47번째지만, 크기로는 45번째보다 작다.)
  • 2013년 1월, 커티스 쿠퍼가 48번째 메르센 소수 2^{57,885,161} - 1(약 1742만 자리)를 발견했다.[14]
  • 2016년 1월, 커티스 쿠퍼가 49번째 메르센 소수 2^{74,207,281} - 1(약 2233만 자리)를 발견했다.[15][16][17]
  • 2018년 1월, 조나단 페이스가 50번째 메르센 소수 2^{77,232,917} - 1(약 2324만 자리)를 발견했다.[19][20][21]
  • 2018년 12월, 패트릭 라로슈가 51번째 메르센 소수 2^{82,589,933} - 1(약 2486만 자리)를 발견했다.[22] 이는 2024년 10월 이전까지 알려진 가장 큰 소수였다.
  • 2024년 10월, 루크 듀란트가 52번째 메르센 소수 2^{136,279,841} - 1(약 4102만 자리)를 발견했다. 이는 지수가 8자리를 넘는 최초의 메르센 소수이다.[24]


GIMPS는 개연 소수(PRP) 테스트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탐색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PRP 테스트는 루카스-레머 테스트보다 빠르게 후보를 걸러낼 수 있지만, 최종적인 소수성 확인에는 여전히 루카스-레머 테스트가 필요하다.[23]

메르센 소수는 이진수 체계에서 연산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파크-밀러 난수 생성기와 같은 의사 난수 생성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메르센 소수를 이용하면 매우 높은 차수의 기약 다항식, 특히 기약 삼항식을 찾을 수 있어 메르센 트위스터와 같은 고성능 난수 생성기 설계에 활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GIMPS Discovers Largest Known Prime Number: 2136,279,841 − 1 https://www.mersenne[...] 2024-10-21
[2] 웹사이트 GIMPS Project Discovers Largest Known Prime Number: 282,589,933-1 https://www.mersenne[...] 2018-12-21
[3] 웹사이트 GIMPS Milestones Report http://www.mersenne.[...] Mersenne Research, Inc. 2020-12-05
[4] 웹사이트 Heuristics: Deriving the Wagstaff Mersenne Conjecture http://primes.utm.ed[...]
[5] 웹사이트 Mersenne Primes: History, Theorems and Lists http://primes.utm.ed[...]
[6] 웹사이트 Mersenne's conjecture http://primes.utm.ed[...]
[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Oxford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On the factoring of large numbers 1903-12-01
[9] 서적 Mathematics, queen and servant of science https://archive.org/[...] McGraw-Hill New York
[10] 뉴스 h2g2: Mersenne Numbers http://news.bbc.co.u[...]
[11]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the Investigations on Mersenne Numbers and the Latest Immense Primes https://primes.utm.e[...]
[12] 웹사이트 The Mathematics Department and the Mark 1 http://www.computer5[...]
[13] 뉴스 UCLA mathematicians discover a 13-million-digit prime number http://www.latimes.c[...] 2011-05-21
[14] 간행물 Largest Prime Number Discovered http://www.scientifi[...] 2013-02-07
[15] 웹사이트 Mersenne Prime Number discovery – 274207281 − 1 is Prime! http://www.mersenne.[...] 2016-01-22
[16] 뉴스 Prime number with 22 million digits is the biggest ever found https://www.newscien[...] 2016-01-19
[17] 뉴스 New Biggest Prime Number = 2 to the 74 Mil ... Uh, It's Big https://www.nytimes.[...] 2016-01-22
[18] 웹사이트 Milestones http://www.mersenne.[...]
[19] 웹사이트 Mersenne Prime Discovery - 2^77232917-1 is Prime! https://www.mersenne[...] 2018-01-03
[20] 웹사이트 Largest-known prime number found on church computer https://christianchr[...] 2018-01-12
[21] 웹사이트 Found: A Special, Mind-Bogglingly Large Prime Number https://www.atlasobs[...] 2018-01-05
[22] 웹사이트 GIMPS Discovers Largest Known Prime Number: 2^82,589,933-1 https://www.mersenne[...] 2019-01-01
[23] 웹사이트 GIMPS - The Math - PrimeNet https://www.mersenne[...] 2021-06-29
[24] 웹사이트 Mersenne Prime Number discovery - 2136279841-1 is Prime! https://www.mersenne[...] 2024-10-21
[25] 웹사이트 Will Edgington's Mersenne Page http://www.garlic.co[...]
[26] 웹사이트 Proof of a result of Euler and Lagrange on Mersenne Divisors http://primes.utm.ed[...]
[27] 서적 Advances in Cryptology – ASIACRYPT 2014
[28] 웹사이트 PRP Top Records http://www.primenumb[...] 2022-09-05
[29] 웹사이트 M12720787 Mersenne number exponent details https://www.mersenne[...] 2022-09-05
[30] 웹사이트 Exponent Status for M1277 https://www.mersenne[...] 2021-07-21
[31] 웹사이트 M1277 Mersenne number exponent details https://www.mersenne[...] 2022-06-24
[32] 서적 Famous Puzzles of Great Mathematicians AMS Bookstore
[33] 웹사이트 Wheat and Chessboard Problem https://mathworld.wo[...] 2023-02-11
[34]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d.jpl.nasa.[...] Ssd.jpl.nasa.gov 2011-05-21
[35] 웹사이트 OEIS A016131 http://oeis.org/A016[...] The On-Line Encyclopedia of Integer Sequences
[36] 웹사이트 A research of Mersenne and Fermat primes http://staff.spd.dcu[...]
[37] 서적 Encyclopedia of Cryptography and Security Springer US 2011-01-01
[38] 웹사이트 The Prime Glossary: Gaussian Mersenne http://primes.utm.ed[...]
[39] 문서 (x, 1) and (x, −1) for x = 2 to 50 http://www.primenumb[...]
[40] 문서 (x, 1) for x = 2 to 160 http://www.fermatquo[...]
[41] 문서 (x, −1) for x = 2 to 160 http://www.fermatquo[...]
[42] 문서 (x + 1, x) for x = 1 to 160 http://www.fermatquo[...]
[43] 문서 (x + 1, −x) for x = 1 to 40 http://www.fermatquo[...]
[44] 문서 (x + 2, x) for odd x = 1 to 107 http://www.fermatquo[...]
[45] 문서 (x, −1) for x = 2 to 200 https://cs.uwaterloo[...]
[46] 문서 search for (a^n-b^n)/c, that is, (a, b) http://www.primenumb[...]
[47] 문서 search for (a^n+b^n)/c, that is, (a, −b) http://www.primenumb[...]
[48] 웹사이트 Mersenne Prime Digits and Names http://www.isth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