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라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스라타는 리비아 북서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페니키아인, 카르타고, 로마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쳐 7세기 이슬람교도에게 정복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의 거점이었으며,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를 거쳐 1951년 리비아 독립 이후 급속도로 성장했다.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반 카다피 세력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치열한 전투 끝에 나토의 지원을 받아 도시를 사수했다. 현재는 리비아의 주요 상업 중심지이자 공업 도시로, 제철, 유제품, 섬유 산업이 발달했으며, 미스라타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항구 도시 - 트리폴리 (리비아)
트리폴리는 리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주요 항구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여 "지중해의 인어"라고도 불리며, 기원전 7세기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오에아에서 유래하여 오랜 역사 동안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1951년 리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어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2011년 리비아 내전과 이후 혼란을 겪기도 했다. - 리비아의 항구 도시 - 투브루크
리비아 북동부의 항구 도시 투브루크는 깊은 항구로 인해 전략적 요충지로서 고대에는 식민 도시, 로마 시대에는 방어 요새로 기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격전지, 리비아 내전 이후에는 정부 소재지로 기능했다. - 리비아의 도시 - 트리폴리 (리비아)
트리폴리는 리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주요 항구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여 "지중해의 인어"라고도 불리며, 기원전 7세기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오에아에서 유래하여 오랜 역사 동안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1951년 리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어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2011년 리비아 내전과 이후 혼란을 겪기도 했다. - 리비아의 도시 - 아지지야
아지지야는 리비아에 위치한 도시로, 한때 세계 최고 기온을 기록했으나 측정 오류로 판명되었으며,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열대 사막 기후를 나타낸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미스라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Misurata |
로마자 표기 | Miṣrāta |
아랍어 표기 | مصراتة |
별칭 | Ḏāt ar-Rimāl (ذات الرمال, "모래의 도시") aṣ-Ṣumūd (الصمود, "요새") Madīnat aš-Šuhadāʾ (مدينة الشهداء, "순교자의 도시") |
지리 | |
위치 | 리비아 트리폴리타니아 지역 미스라타 주 |
좌표 | 32°22′39.12″ N 15°05′31.26″ E |
해발 고도 | 10m |
행정 | |
국가 | 리비아 |
지역 | 트리폴리타니아 |
주 | 미스라타 주 |
시장 | Mahmoud Sagutry |
인구 | |
2024년 | 1,011,000명 |
인구 밀도 | (정보 없음) |
도시 인구 | (정보 없음) |
민족 구성 | (정보 없음) |
종교 | (정보 없음) |
데모님 | 미스라티 사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EET (UTC+2) |
우편 번호 | (정보 없음) |
지역 번호 | 31 |
차량 등록 번호 | 3 |
웹사이트 | 미스라타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미스라타는 기원전 1000년경 페니키아인에 의해 건설된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이다. 이후 카르타고,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7세기에는 이슬람교도에게 정복되었다. 근현대에 들어서는 1985년 고베 제강 등의 협력으로 제철소가 건설되기도 했다.[49]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에는 반체제파(리비아 국민 협의회)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근교에서 사망한 곳이기도 하다(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죽음 참조).[50] 내전 이후 2012년에는 리비아 최초의 자유 선거인 시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51]
2. 1. 고대
미스라타라는 이름은 고대와 초기 이슬람 시대에 해안 트리폴리타니아 지역에 거주했던 베르베르족 계열인 제나타 하와라 연맹 소속 미스라타 부족에서 유래했다.[5][6][7]이 도시는 기원전 10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리비아 해안 북서부에 건설한 상업 기지 중 하나로, 30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8] 당시에는 투박티스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뱃사람을 의미하는 미수라타 부족(미수라테인)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그리스의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는 이곳을 "트리론 아크로네"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미스라타가 바다로 뻗은 세 개의 곶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이곳을 "케팔라이 프로몬토리움"(Κεφαλαὶ Προμόντριουμ|케팔라이 프로몬토리움grc)이라 부르며 중요한 교차로이자 농업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페니키아 시대 이후에는 카르타고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로마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로마 시대의 도시가 고대 투박티스와 동일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고고학자 데이비드 매팅리는 그의 저서 ''Tripolitania''에서 미스라타를 고대 투박티스로 특정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라고 지적했다.[9] 그럼에도 로마 시대 도시는 현대 도시가 위치한 오아시스 내 어딘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제국 시기 미스라타는 트리폴리타니아 속주의 여섯 municipia(작은 자치 도시) 중 하나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완전한 시민권을 가진 도시인 coloniae보다는 낮은 지위였다.[9]
7세기에 이슬람 세력에게 정복되었다.
2. 2. 이슬람 시대
현대 미스라타는 7세기경 이슬람 세력의 칼리파 지배가 시작되면서 건설되었다.[8] 일부에서는 이 도시가 로마 제국 시대에도 존재했으며, 당시 이름인 투박티스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가 데이비드 매팅리는 고대 투박티스와 현대 미스라타를 동일시하는 것에 대해 "쉬운 답을 찾기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9] 로마 시대의 도시는 현대 도시가 위치한 오아시스 어딘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트리폴리타니아 주의 여섯 ''municipia''(작은 자치 도시)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9]7세기 이후 미스라타는 대상 무역의 공급 중심지이자 중요한 항구로 번성했다.[8] 미스라타 상인들은 칼리파 시대(7~19세기) 동안 사하라 사막 전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도시는 전략적 위치 외에도 리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급 카펫 생산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10]
로마 시대와 초기 아랍 시대에 트리폴리타니아 해안 지역에는 베르베르인 하와라 연맹에 속한 미스라타 부족이 거주했다.[5][6]
2. 3. 오스만 제국 시대
트리폴리타니아 지역의 일부인 미스라타는 1551년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0] 19세기 초, 미스라타는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의 주요 중심지로 부상하여 금, 가죽, 노예를 실은 대상들이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곳이 되었다. 트리폴리타니아의 다른 도시에 비해 강수량이 많고 지하 샘 덕분에 물 공급이 원활하여, 주민들은 건조한 지역임에도 예외적으로 비옥한 농업 환경을 누릴 수 있었다. 도시 안에는 채소밭이 가득했고, 주변 지역에서는 밀, 보리, 대추야자, 올리브 등을 재배했다. 또한, 미스라타의 장인들은 지역적으로 유명했던 전통 카펫 산업을 더욱 발전시켰다. 잘 갖춰진 항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쪽의 벵가지가 해상 운송에 더 선호되었기 때문에 미스라타의 장거리 무역은 주로 육로를 통해 이루어졌다.[11]

그러나 노예제 폐지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유럽 식민지 세력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은 쇠퇴하였고, 미스라타의 무역 중심지로서의 역할도 자연스럽게 줄어들었다.[11] 이러한 변화는 장거리 무역과 연계된 계절 시장 대신, 매주 열리는 상설 시장의 발달을 가져왔다. 새로운 경제 환경 속에서 시골 주민들은 목축이나 외국 상인을 위한 안내 서비스보다 농업 생산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농부들은 환금 작물 재배에 힘썼고, 자급 자족이나 물물교환 대신 시장 경제를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베두인족 역시 유목 생활을 점차 포기하고 도시에 정착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주변 지역에서의 이주로 인구가 증가하자, 19세기 후반 미스라타에서는 건설 붐이 일었다. 새로운 구역과 관청 건물, 개조된 오스만 군대 병영, 부유층을 위한 터키식 주택들이 들어섰으며, 지붕 덮인 농산물 시장과 상점들이 늘어선 거리도 많이 생겨났다.[12]
미스라타의 정치, 사회, 경제는 문타시르 가문과 아드함 가문이라는 두 유력 가문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이들은 때때로 지역 부족들을 이끌고 터키 지배자들에 맞서기도 했다.[10] 아라비아 출신의 문타시르 가문과 오래전 지역에 정착한 오스만 장교의 후손인 아드함 가문은 상업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오스만 지방 당국과 협력하며 자신들의 재산을 지켰다. 두 가문은 미스라타뿐 아니라 트리폴리, 벵가지, 데르나 등 키레나이카 지역까지 영향력을 넓혔다. 아드함 가문은 이스탄불의 중앙 정부가 트리폴리타니아에 대한 직접 통치를 강화하려는 시도에 전통적으로 반대했으며, 1835년 오스만 알-아그담의 주도 하에 오스만 제국과 지역 동맹 세력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1858년 최종적으로 패배하면서 문타시르 가문보다 열세에 놓이게 되었다.[13] 그럼에도 아드함 가문은 여전히 강력한 세력으로 남아, 지역 및 지방 정부 내 지도자 자리를 두고 문타시르 가문과 끊임없이 경쟁하며 미스라타 정치를 주도했다. 도시 거주민들은 징병이나 세금 징수에 대한 부담 때문에 오스만 당국과의 접촉을 피하며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농촌 지역은 부족적 유대감을 유지한 ''펠라힌''(농민)과 정착한 베두인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들은 정치적 영향력을 얻기 위한 경쟁에 참여했다.[12]
1908년, 우마르 알-문타시르가 이끄는 문타시르 가문은 새로 개편된 트리폴리타니아 행정 체계의 상층부를 장악하고 시르테, 가르얀, 타르후나 등과 함께 미스라타의 행정 책임자로서 지역 명망가들에게 널리 인정받고 있었다. 그러나 같은 해 이스탄불에서 청년 투르크당이 집권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14] 청년 투르크당은 문타시르 가문을 축출된 술탄 압둘 하미드 2세의 충신으로 간주하고 이들의 지역 내 권력을 약화시키려 했다. 트리폴리의 청년 투르크 행정부는 문타시르 가문의 지역 의회 참여를 막았고, 우마르 알-문타시르의 아들 아흐마드 디야 알-문타시르를 타르후나 총독 자리에서 해임했다. 심지어 우마르의 다른 아들인 압드 알-카심을 암살하기 위해 지역 내 반대 세력을 동원하기도 했다.[15]
2. 4.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

1911년 10월, 이탈리아는 오스만령 트리폴리타니아에 대한 침공을 개시했으나, 1912년 6월이 되어서야 미스라타에 도달할 수 있었다.[16] 아흐마드 디야 알-문타시르는 침공 몇 달 전 로마에서 이탈리아 측과 접촉했으며, 우마르 알-문타시르는 이탈리아군이 리비아 해안에 상륙하자 군사적으로 협력했다. 이 협력의 대가로 문타시르 가문은 행정적 역할을 유지하고 이탈리아 군 당국의 고문으로 임명되었다.[14]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미스라타는 점령 중인 이탈리아군에 대항하는 리비아-오스만 저항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라마단 알-스웨일리의 지도 아래,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지원 기지로 활용되었고, 그의 미스라타 군대는 1915년 4월 시르테 근처의 카스르 아부 하디에서 이탈리아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이 전투에서 500명 이상의 이탈리아군이 사망했으며, 스웨일리의 군대는 5,000정 이상의 소총, 다양한 기관총과 포병, 그리고 수 톤의 탄약을 노획했다.[17] 이 승리의 결과로 이탈리아 군대와 그들의 문타시르 동맹군은 미스라타에서 철수했다. 1916년까지 미스라타는 반자치 도시가 되어 시르테, 페잔 지역, 그리고 트리폴리 남쪽의 와르팔라 부족 지역 등에서 세금을 징수했다.[18] 전략적인 항구 위치 때문에 오스만군과 독일군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미스라타를 주요 보급 항구 중 하나로 사용했다. 이 도시는 징병과 세금 징수를 감독하고 자체 탄약 공장을 운영하며, 자체 화폐 발행, 학교 및 병원 운영 등 광범위한 행정 체계를 갖춘 본부가 되었다. 그러나 1918년 초, 리비아 전선을 담당하던 오스만 장교 누리 베이가 이스탄불로 소환되면서 오스만의 영향력은 약화되었고, 알-스웨일리는 주요 후원자와 자금원을 잃게 되었다.[18]
이탈리아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후 리비아 대부분을 다시 장악했지만, 알-스웨일리는 미스라타의 행정관 지위를 유지했다. 1920년, 그는 미스라타에서 이탈리아 고문을 추방하고 약 10,000명의 병력으로 도시를 독립적으로 통치했다. 당시 트리폴리 기반 신문 ''알 라키브''는 알-스웨일리가 미스라타에서 시행한 질서와 보안, 그리고 주류 금지를 포함한 엄격한 이슬람 율법 적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19] 그러나 같은 해 6월, 알-스웨일리는 미스라타와 트리폴리 사이 지역에서 문타시르와 와르팔라 세력을 공격하려다 패배했고, 압드 알-카디르 알-문타시르의 군대에 의해 처형되었다. 전투 몇 주 후, 새로운 이탈리아 총독이 미스라타를 장악했다.[20]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까지 미스라타는 이탈리아 식민지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격자형 도시 계획에 따라 새로운 시가지가 조성되었고, 시청, 지역 최초의 병원, 현대식 교회(후에 모스크로 개조됨), 대형 호텔 등 여러 공공 건물이 건설되었다. 주세페 볼피는 미스라타 백작(Conte di Misratait)으로 임명되었다.[25] 1935년에는 서쪽의 주와라와 미스라타를 연결하는 도로 건설이 완료되었고,[21] 1937년에는 미스라타를 트리폴리 및 벵가지와 연결하는 주요 도로인 비아 발비아가 건설되었다. 1938년 리비아 총독 이탈로 발보는 미스라타 외곽에 '조다'(Giodait)와 '크리스피'(Crispiit)라는 새로운 정착촌을 건설했다.[22]
1939년 1월, 이탈리아 왕국은 리비아 해안의 트리폴리, 미스라타, 벵가지, 데르나 4개 주를 이탈리아 본토의 일부인 제4해안(Quarta Sponda)으로 편입했다. 이탈리아가 리비아에서 마지막으로 추진한 철도 개발 사업은 1941년에 시작된 '트리폴리-벵가지 선'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패배로 완공되지 못했다. 미스라타에 새로운 기차역이 건설되었지만, 1942년 영국군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23]
2. 5. 독립 이후
1952년 총선에서 부정 투표 의혹이 제기되자 미스라타에서는 대규모 폭동이 발생했으며, 이는 리비아 왕정이 정당 활동을 영구적으로 금지하는 계기가 되었다.[24]1969년 무아마르 카다피의 쿠데타로 이들리스 1세 국왕의 왕정이 전복된 후, 미스라타는 1970년대부터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다. 도시에 두 개의 철강 제철소가 건설되면서 인근 농촌 지역에서 미스라타로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했고, 이는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이어졌다. 항구(마리나)는 철강 공장과 다른 산업 시설에 필요한 원자재 및 상품 운송을 지원하기 위해 빠르게 개발되었다.[25] 1985년에는 고베 제강 등의 협력으로 미스라타 제철소가 추가로 건설되었다.[49]
이 시기 동안 미스라타는 동부 트리폴리타니아 지역의 주요 경제, 교육, 행정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대부분의 정부 부처는 도시에 지사를 두었으며, 여러 대학, 학교, 병원이 설립되었다. 미스라타의 상업 지역에는 수많은 상점, 식당, 카페가 들어섰다. 도시의 광범위한 개발은 많은 이민자를 유치하여 국제적인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오래된 시장 근처의 주요 광장은 모로코의 주요 도시 광장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25]
2011년 리비아 내전 발발 초기부터 미스라타는 반체제파(리비아 국민 협의회)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이 지역을 둘러싸고 카다피 측과 반체제파 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져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무아마르 카다피는 미스라타 근교에서 사망했으며(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죽음 참조), 그의 유해는 시내 시장의 냉동고에 잠시 보관 전시된 후, 위치를 알 수 없도록 사막 지대에 매장되었다.[50]
2012년 2월 20일, 리비아 최초의 자유 선거인 시의회 선거가 미스라타에서 실시되었다.[51]
2. 6. 2011년 리비아 내전
2011년 2월 20일부터 미스라타에서는 벵가지의 반정부 시위대에 연대하는 소규모 시위가 열렸다. 리비아 경찰은 즉시 미스라타 시위대를 체포했고, 이는 더 큰 시위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카다피 정부군은 실탄을 사용하여 시위를 진압하려 했으며, 이 과정에서 며칠 만에 70명의 시위대가 사망하여 도시 주민들의 분노를 샀다.[26] 2월 24일, 반 가다피 세력은 도시의 통제권을 확보하려 했으나, 카다피 정권군의 반격으로 격퇴되었다.[29] 이는 2011년 리비아 내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 중 하나였다.3월 20일, 친 카다피 군대는 탱크와 포병대를 동원하여 미스라타를 포위하고 공격을 재개했다. 목격자들은 친 카다피 군인들이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을 향해 총격을 가했다고 증언했다.[30] 도시는 40일 이상 포병, 탱크, 저격수의 공격을 받았으며, 카다피 군대는 도시의 물 공급까지 차단했다.[31] 4월 말까지 도시에서 1,0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약 3,000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6]
3월 19일부터 반 가다피 세력 편에 참전한 NATO의 공중 지원과 인접국 몰타로부터의 해상 보급[32] 덕분에, 반 가다피 세력은 4월 21일 카다피 충성파 군대를 퇴각시키기 시작했고 5월 중순까지 도시 대부분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33]
이후 미스라타는 리비아 국민 협의회의 주요 거점 중 하나가 되었으며, 미스라타 출신 병력은 트리폴리 전투 (2011년), 시르테 전투 (2011년), 바니 왈리드 전투 등 내전의 다른 주요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무아마르 카다피는 미스라타 근교에서 사망했으며(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죽음), 그의 유해는 미스라타 시내 시장의 냉동실에서 잠시 전시된 후 사막 지대로 옮겨져 매장되었다.[50]
2. 7. 내전 이후
무아마르 알 카다피는 미스라타 근교에서 사망했으며(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죽음 참조), 그의 유해는 시내 시장의 냉동실에서 전시된 후, 사막 지대로 옮겨져 행방을 알 수 없도록 매장되었다.[50] 2012년 2월 20일, 리비아 최초의 자유 선거인 시의회 선거가 미스라타에서 실시되었다.[51]3. 지리
미스라타는 역사적인 구시가지와 현대적인 신시가지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구시가지는 작은 돌집과 좁고 아치형인 거리들이 특징인 반면, 20세기에 개발되기 시작한 신시가지는 현대식 건물, 주택, 공장 및 산업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34] 도시는 포장도로, 전기, 통신 등 현대적인 기반 시설을 잘 갖추고 있으며, 리비아 내 다른 도시들과 상품 및 자재를 교환하는 중심지 역할을 한다.
2012년 기준으로 인구는 약 5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는 트리폴리와 벵가지에 이어 리비아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 미스라타의 주요 산업은 공업으로, 섬유나 유제품 생산과 같은 경공업뿐만 아니라 제철을 포함한 중공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시내에는 15개의 학부를 갖춘 미스라타 대학교가 자리 잡고 있다.
3. 1. 위치
미스라타는 리비아의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다. 수도 트리폴리에서는 동쪽으로 187km 떨어져 있으며, 벵가지에서는 서쪽으로 825km 거리에 위치한다. 시드라만의 입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카스르아마드 항이라는 큰 항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트리폴리와 벵가지를 잇는 주요 도로 상에 위치한다. 이 도시는 북쪽과 동쪽으로는 바다에 접하고, 남쪽으로는 야자수와 올리브 나무가 드문드문 자라는 황금빛 모래 지대로 둘러싸여 있어 바다와 사막의 풍경이 공존하는 독특한 지리적 특징을 보인다. 행정적으로는 미스라타 주의 주도이다.3. 2. 기후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미스라타의 기후는 열대 사막 기후(BSh)로 분류된다.[54] 지중해에 면해 있어 기후는 온화하며, 해안의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겨울에 비가 많이 오고 여름은 건조하고 더워진다.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남풍이 불면 기온이 급상승하여 이상 고온이 되기도 한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C) | 30°C | 36.1°C | 40°C | 45°C | 45.1°C | 51.1°C | 47.5°C | 48.9°C | 47.8°C | 46.1°C | 36.7°C | 32.4°C | 51.1°C |
평균 최고 기온(°C) | 18°C | 18.7°C | 21.1°C | 23.8°C | 27.1°C | 30°C | 31.7°C | 32.5°C | 31.6°C | 29°C | 24°C | 19.5°C | 25.6°C |
일평균 기온(°C) | 13.9°C | 14.3°C | 16.5°C | 19.1°C | 22.2°C | 25.2°C | 27.3°C | 28.2°C | 27.3°C | 24.5°C | 19.5°C | 15.4°C | 21.1°C |
평균 최저 기온(°C) | 9.8°C | 9.9°C | 11.8°C | 14.3°C | 17.3°C | 20.4°C | 23°C | 23.9°C | 23°C | 19.9°C | 15°C | 11.2°C | 16.6°C |
역대 최저 기온(°C) | -1°C | -1°C | 0.1°C | 0.1°C | 6.3°C | 10.1°C | 13.9°C | 16°C | 12°C | 6.9°C | 3°C | -0.7°C | -1°C |
평균 강수량(mm) | 51.6 | 31.1 | 22.5 | 9.5 | 3.4 | 1.7 | 0.0 | 1.6 | 11.8 | 28.7 | 39.4 | 53.3 | 254.6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6.6 | 5.5 | 3.2 | 1.6 | 0.6 | 0.4 | 0.0 | 0.3 | 1.4 | 3.3 | 4.6 | 7.2 | 34.7 |
평균 상대 습도(%) | 68.7 | 68.6 | 68.6 | 67.1 | 68.2 | 69.3 | 71.1 | 71.1 | 69.4 | 68.2 | 67.1 | 67.7 | 68.8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82.9 | 217.5 | 238.7 | 255.0 | 316.2 | 303.0 | 378.2 | 353.4 | 273.0 | 238.7 | 213.0 | 179.8 | 3,149.4 |
일평균 일조시간 | 5.9 | 7.7 | 7.7 | 8.5 | 10.2 | 10.1 | 12.2 | 11.4 | 9.1 | 7.7 | 7.1 | 5.8 | 8.6 |
출처 1: NOAA[35] | |||||||||||||
출처 2: 독일 기상청 (1925년~1989년 극값),[36] 아랍 기상 도서 (일조량만 해당)[37] |
4. 인구
2012년 기준으로 인구는 약 50만 명으로 추산되며, 트리폴리와 벵가지 다음으로 리비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이 도시는 리비아 튀르크계 공동체의 주요 중심지로 여겨진다.[38] 2019년 추산에 따르면, 전체 인구 약 40만 명 중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27만 명이 튀르크계 주민으로 추정된다.[39][40]
5. 경제
미스라타는 리비아의 주요 상업 중심지 중 하나로, 깨끗하고 건설이 잘 정돈된 도시로 알려져 있다. 미스라타 시민들은 다른 리비아인들에게 사업 지향적인 성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도시 경제의 중요한 축은 정부 소유의 리비아 철강 회사(Libyan Iron and Steel Company)가 주도하는 제철 산업이다. 이는 도시의 주요 소득원이자 고용 창출원 역할을 한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산업 플랜트에 원자재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인근 카스르 아흐마드 마을의 해양 항구를 개조하면서 철강 산업이 확장되었고, 철강 공장 당국은 도시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25] 또한, 리비아에서 가장 큰 사기업 중 하나인 알-나심 유제품(Al-Naseem Dairy) 본사가 미스라타에 위치하며 약 75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41]
역사적으로 섬유 산업 또한 발달했다. 도시 중앙 광장 근처에는 ''수크(souk)''라고 불리는 야외 시장이 일주일에 세 번 정도 열리는데, 이곳에서는 고급 카펫, 가구 천, 그리고 남성들이 축하 행사 때 입는 전통 망토인 아바야(abaya) 등을 판매한다.[42] 전반적으로 미스라타는 섬유나 유제품 같은 경공업과 제철 같은 중공업이 모두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산업 도시이다.
대부분의 주요 사업체, 상점, 사회 센터는 도시의 주요 간선 도로인 트리폴리 거리(Tripoli Street)를 따라 위치해 있다. 하지만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미스라타 포위전 기간 동안 이 거리의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다. 이후 여러 소규모 사업체들이 재건을 시작했지만, 리비아 중앙 은행의 자산 동결 여파로 시중 은행들이 시민들에게 제한된 금액의 자금 인출 또는 대출만 허용하면서 지폐 부족 현상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경제 회복은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향후 국제적으로 동결되었던 자산 대부분이 회수되면 이러한 제한은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41]
미스라타는 많은 국내 이주민을 유치하고 있으며, 도시 주변에 개발 가능한 평지가 넓게 펼쳐져 있어 성장 잠재력이 크다. 리비아에서 가장 큰 공항 중 하나인 미스라타 공항이 있으며, 리비아 항만 회사(Libyan Ports Company), 리비아 철강 회사, 리비아 출판, 배포 및 광고 회사 등 여러 국영 기업의 본사가 자리 잡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공공 및 민간 부문 은행의 지점과 현지에서 사적으로 소유한 은행 한 곳이 운영되고 있다.
6. 교육
미스라타 대학교는 15개의 단과대학을 갖추고 미스라타시에 위치해 있다. 미스라타에는 이 외에도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여기에는 리비아의 다른 도시(예: 시르테의 알타하디 대학교, 트리폴리의 트리폴리 대학교)에 있는 대학교와 행정적으로 연결된 단과대학들도 포함된다.
미스라타 대학교는 1983년에 설립된 현대적인 대학교로, 교육받은 공동체를 만들고 사회의 문맹 퇴치와 수치 무능력을 종식시키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 대학교는 고등 교육 연구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데 탁월함을 보여주었으며, 교육, 연구 및 훈련으로 명성이 높다. 리비아 대학교 순위에서 꾸준히 1위를 차지했으며, 2013년 Webometrics Rankings에 따르면 리비아 1위, 아프리카 55위를 기록했다.
7. 교통
수도 트리폴리와 벵가지를 잇는 주요 도로인 리비아 해안 고속도로가 도시를 통과한다. 2008년에 철도 노선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2016년 기준으로 실제 건설은 이루어지지 않았다.[47]
미스라타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으며, 2019년 9월에는 이 공항과 트리폴리를 연결하는 급행 버스 노선이 개통되었다.[48]
8. 스포츠
미스라타에는 여러 스포츠 클럽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클럽과 창단 연도는 다음과 같다.
클럽 이름 | 창단 연도 |
---|---|
아스웨일리 스포츠 클럽 (Asswehly S.C.) | 1944년 |
알이티하드 미수라타 스포츠 클럽 (Alittihad Misurata SC) | 1965년 |
알아흘리 미수라타 스포츠 클럽 (Alahly Misurata Sports Club) | 1974년 |
아사바 스포츠 클럽 (Assabah Sports Club) | 1976년 |
앗타하디 미수라타 스포츠 클럽 (Attahaddy Misurata Sports Club) | 1979년 |
안나젬 아레피 스포츠 클럽 (Annajem Arrefi Sports Club) | 1979년 |
아슈무에 스포츠 클럽 (Aschumooe Sports Club) | 1982년 |
앗타사디 미수라타 스포츠 클럽 (Attasaddy Misurata Sports Club) | 1983년 |
알지하드 스포츠 클럽 (Aljihad Sports Club) | 1984년 |
아사크라 스포츠 클럽 (Assakhra Sports Club) | 1984년 |
9. 저명한 출신 인물
- 알리 엘무스라티 (축구 선수)
- 아흐마드 자루크 (종교 지도자)
- 라마단 아스웨일리 (독립 운동가)
참조
[1]
웹사이트
Field Listing :: Major urban areas - population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eb.archive.[...]
2020-10-04
[2]
웹사이트
Wolfram Alpha
http://www.wolframal[...]
2011-10-11
[3]
웹사이트
مصراتة: Libya
http://www.geographi[...]
2011-02-26
[4]
웹사이트
Mişrātah: Libya
http://www.geographi[...]
2011-02-26
[5]
서적
مصراتة: Libya
https://books.google[...]
Global Vision Publishing House
[6]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Global Vision
[7]
뉴스
Deadly fighting rages in Libya's Bani Walid
http://www.aljazeera[...]
Al Jazeera English
2012-10-23
[8]
웹사이트
Misratah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6-12-07
[9]
문서
Mattingly
[10]
문서
Ham
[11]
문서
Burke
[12]
문서
Burke
[13]
문서
Ben-Ghiat Fuller
[14]
문서
Ben-Ghiat Fuller
[15]
문서
Burke
[16]
문서
Burke
[17]
문서
Burke
[18]
문서
Burke
[19]
문서
Burke
[20]
문서
Burke
[21]
문서
Ben-Ghiat Fuller
[22]
웹사이트
Italian colonization of Misurata, by governor Italo Balbo: p. 288
http://epa.oszk.hu/0[...]
2016-09-04
[23]
웹사이트
Italian railways in colonial Libya (in italian)
http://www.gips.unis[...]
[24]
문서
Burke
[25]
문서
Azema
[26]
뉴스
Libyan rebels pay a heavy price for resisting Gaddafi in Misrat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4-21
[27]
뉴스
Gaddafi defiant as state teeters
http://english.aljaz[...]
2011-02-23
[28]
뉴스
Libyan crackdown 'escalates' – UN
https://www.bbc.co.u[...]
2018-06-20
[29]
문서
Filiu
[30]
뉴스
Gaddafi forces fire on crowd in Misrata – resident
https://web.archive.[...]
2011-03-21
[31]
뉴스
Misrata: no food, no water, just snipers
http://www.euronews.[...]
2011-04-05
[32]
웹사이트
Aid from Malta reaches Libya's besieged Misurata
http://www.timesofma[...]
timesofmalta.com
2011-04-22
[33]
문서
Filiu
[34]
문서
Hubbard
[35]
웹사이트
Misurata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12
[36]
웹사이트
Klimatafel von Misurata (Misratah) / Libye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3-28
[37]
웹사이트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03-28
[38]
웹사이트
Al-Sarraj vola a Milano per incontrare Salvini, l'uomo forte d'Italia
https://www.huffingt[...]
2019-09-26
[39]
웹사이트
PERCHÉ NESSUNO PARLA DELLA LIBIA?
http://www.difesaonl[...]
Difesa Online
2019-09-26
[40]
웹사이트
Kuloğlu'nun ahvâlini sorana..
http://www.yenisafak[...]
Yeni Şafak
2016-05-15
[41]
뉴스
Libya's commercial hub recovers slowly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1-03
[42]
간행물
Azema
2000
[43]
뉴스
Misrata votes for brighter Libyan future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2-20
[44]
뉴스
Misrata stages first Libyan election in decades
http://www.abc.net.a[...]
ABC News
2012-02-21
[45]
뉴스
Misurata mayor thanks Malta
http://www.timesofma[...]
Times of Malta
2011-10-06
[46]
뉴스
Misrata mayor elected
http://www.libyahera[...]
Libya Herald
2012-02-26
[47]
웹사이트
Libya's train project remains off the rails | DW | 20.10.2016
https://www.dw.com/e[...]
[48]
웹사이트
Tripoli-Misrata airport express shuttle bus service launched
https://www.libyaher[...]
2019-09-25
[49]
웹사이트
http://www.ocdi.or.j[...]
[50]
웹사이트
カダフィ大佐の遺体を25日埋葬へ、砂漠で極秘に葬儀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1-10-25
[51]
뉴스
リビアのミスラタで市議会選、政権崩壊後初の自由選挙
https://jp.reuters.c[...]
2012-02-21
[52]
웹사이트
Klimatafel von Misurata (Misratah) / Libye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3-28
[53]
웹사이트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03-28
[54]
웹인용
Klimatafel von Misurata (Misratah) / Libye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3-28
[55]
웹인용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