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치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치록은 1800년에 태어나 1858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그는 여흥 민씨 가문 출신으로, 인현왕후의 증손자이며 고종의 장인이다. 장릉 참봉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덕천군수, 영주 군수 등을 역임했다. 그의 딸 민자영이 고종의 왕비인 명성황후가 되면서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증직되고 효정공의 시호를 받았다. 1874년 그의 아내와 양아들 민승호가 암살당했으며, 명성황후는 1895년에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사망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58년 사망 - 로버트 오언
    로버트 오언은 공장 경영, 사회 개혁, 교육, 협동조합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인간의 성격이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는 신념으로 사회 개혁을 주장했고, 뉴 라나크 제분소에서 노동자들의 생활 개선과 아동 교육에 힘썼으며, 뉴하모니 공동체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노동조합 운동과 협동조합 운동을 지원하다가 1858년 사망했다.
  • 1799년 출생 -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조지 제프리 스미스스탠리는 영국의 정치가, 귀족, 지주로서 보수당 당수와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에서 시작하여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빅토리아 시대 주요 정치인으로서 선거법 개정에 기여했다.
  • 1799년 출생 - 오노레 드 발자크
    오노레 드 발자크는 1799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인간희극》을 통해 19세기 사회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찰스 디킨스 등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준 프랑스 소설가이다.
  • 조선의 부원군 - 황희
    황희는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활동한 재상으로, 세종 시대에 영의정을 지내며 태평성대를 이끌었으나, 친인척 비리 옹호 논란도 있는 인물이다.
  • 조선의 부원군 - 윤번
    조선 세조의 장인인 윤번은 파평 윤씨 가문 출신으로, 그의 딸 정희왕후는 덕종과 예종을 낳아 조선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었으며, 그의 가족은 조선 왕조의 권력 구조와 정치적 상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민치록
기본 정보
한글 이름민치록
한자 이름閔致祿
작위여성부원군
한자 작위驪城府院君
추증 시호효정공 (孝貞公), 순간공 (純簡公)
가족 관계
배우자이름 정보 없음
자녀명성황후

2. 생애

여흥 민씨 가문의 민치록은 1800년 1월 17일(음력 1799년 12월 23일) 이조판서 민기현과 그의 세 번째 부인 연일 정씨 사이의 외아들로 태어났다.[1] 그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5대손이자 인현왕후의 맏오빠인 민진후의 증손자이며, 원경왕후의 종조부였던 민유(閔愉)의 16대손이기도 하다.[1][2]

어린 시절에는 학자 오희상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이후 오희상의 딸인 해주 오씨와 혼인하였다.[1][2] 그러나 첫 부인 오씨는 자녀를 남기지 못하고 1833년 3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2] 오씨 부인의 3년상을 마친 뒤, 1836년경 좌찬성 이규년의 딸인 한산 이씨와 재혼하였다.[1][2] 재혼한 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 1명과 딸 2명을 두었으나 모두 일찍 세상을 떠났고, 1851년 11월 17일 셋째 딸인 민자영을 낳았다. 이 딸이 훗날 고종의 왕비인 명성황후이다.[2]

민치록은 민유중의 5대 종손으로서 조상의 묘소를 관리하는 여양부원군 사손(祀孫) 역할을 하다가, 1826년 음서 제도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 장릉 참봉이 되었다.[1]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는데, 중앙 관직으로는 제용감 주부, 의금부 도사, 사복시 주부, 충훈부 도사 등을 지냈고, 지방 수령으로는 과천현감과 임피현령을 역임했다.[1] 다시 중앙으로 돌아와 조지서 별감, 사옹원 주부 등을 지내다가 외직인 덕천 군수로 나갔으며, 이후 장악원 첨정이 되었다.[1] 1855년에는 선혜청 낭청, 1857년에는 영주 군수를 지냈다.[1] 그 뒤 사도시 첨정으로 재직하던 중 1858년 지병으로 사망하였다.[1][2]

3. 사후

미리 후사를 정하지 못한 탓에 그의 사후 딸 민자영이 어머니 한산 이씨와 함께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1861년 (철종 12년), 민치록의 11촌 조카인 민승호가 양자로 입적되어 가문을 이었다. 1863년, 양자 민승호의 친조카인 고종이 철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면서 민승호는 정3품 당상으로 승진했다.

1866년 (고종 3년), 딸 민자영이 왕비로 책봉되자 민치록은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으로 추봉되었다. 처음에는 효정(孝貞)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나 후에 순간(純簡)으로 바뀌었다. 그의 비석은 김병학이 글을 짓고 민영목이 글씨를 썼다.

민치록 사후 그의 아내 한산 이씨와 딸 민자영은 1687년 숙종이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에게 하사한 집인 감고당에서 친척들과 함께 살았다. 딸이 왕비가 되면서 민치록의 부인들 또한 추존되었다. 두 번째 부인 한산 이씨는 한창부부인으로 추존되었고[3][4], 첫 번째 부인 오씨 역시 "해령부부인"으로 추존되었다.

1874년 11월 30일, 양아들 민승호와 민치록의 부인인 한창부부인 이씨가 자택에서 폭탄 테러로 인해 사망하였다.[5][6][7]

한편, 딸 명성황후는 점차 정치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이는 여흥 민씨 가문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동시에 시아버지인 흥선대원군과의 갈등을 심화시켜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했다. 1895년 10월 8일, 명성황후는 경복궁 건청궁에서 일본 자객들에 의해 을미사변으로 암살당했다. 명성황후가 서구 열강과의 관계를 통해 조선의 자주성을 지키려 했기에, 그녀의 죽음은 이들 국가의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4. 가족 관계


  • 고조부: 민진후(閔鎭厚) - 인현왕후의 맏오빠
  • 증조부: 민익수(閔翼洙)
  • 할아버지: 민백분(閔百奮)
  • 아버지: 민기현(閔耆顯, 1751년 ~ 1811년)
  • 어머니:
  • '''친모''': 연일 정씨(延日 鄭氏, 1773년 ~ 1838년) - 민기현의 세 번째 부인
  • 계모: 함안 조씨(咸安 趙氏, 1748년 ~ 1774년) - 민기현의 첫 번째 부인
  • 계모: 성주 이씨(星州 李氏, 1763년 ~ 1792년) - 민기현의 두 번째 부인
  • 부인 및 자녀:
  • '''첫째 부인''': 해주 오씨(海州 吳氏) 해령부부인(海寧府夫人, 1798년 ~ 1833년) - 오희상(吳熙常)의 딸. 자녀 없이 사망했으며, 사후 명성황후의 어머니로 간주되어 '해령부부인'으로 추증되었다.[4]
  • '''둘째 부인''': 한산 이씨(韓山 李氏) 한창부부인(韓昌府夫人, 1818년 ~ 1874년) - 이규년(李奎年)의 딸. 사후 '한창부부인'으로 추증되었다.[3][4]
  • 장남: 이름 미상 (1840년 ~ 1847년) - 요절
  • 장녀: 이름 미상 (1843년 ~ 1849년) - 요절
  • 차녀: 이름 미상 (1847년 ~ 1852년) - 요절
  • 삼녀: 민자영(閔玆暎, 1851년 11월 17일 ~ 1895년 10월 8일) - 훗날 명성황후(明成皇后)
  • 사위: 고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 - 조선 제26대 왕, 대한제국 초대 황제
  • 외손자: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 ~ 1926년 4월 25일) - 대한제국 제2대 황제
  • '''양자''':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11월 30일) - 민치구(閔致久)의 친아들. 민치록 사후 가계를 잇기 위해 1861년 입양되었다.
  • 양손자: 민영익(閔泳翊, 1860년 ~ 1914년) - 민태호(閔台鎬)의 친아들. 민승호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5. 대중 매체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열성황후왕비세보(列聖皇后王妃世譜) http://jsg.aks.ac.kr[...] 2021-01-28
[3] 서적 한영우
[4] 서적 지두환
[5] 서적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
[6] 문서
[7] 서적 Korea and Her Neighbours Reve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