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안 조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안 조씨는 신라 말에 귀화한 조정(趙鼎)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개국벽상공신을 배출했고, 조선 시대에는 생육신 조려를 비롯하여 많은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조소앙, 조홍제 등이 있으며, 2015년 기준 인구는 282,890명이다. 함안 조씨는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경상남도 함안군에 가장 많은 비율의 인구가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안 조씨 - 조영래
    조영래는 한국의 인권변호사이자 민주화운동가, 문필가로서,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해 변호사 활동과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으며, 글쓰기를 통해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등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함안 조씨 - 조윤선
    조윤선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여성가족부 장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김앤장 변호사, 한나라당 대변인,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함안 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함안 조씨의 종문
함안 조씨의 종문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함안군
연결된 구성원조윤선
조수민
조윤희
매드 클라운
조권
조현오
조광래
조정래
조소앙
웹사이트함안조씨대종회
한자 표기
한글함안 조씨
한자咸安 趙氏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Haman Jo ssi
기원
시조(조정)(趙鼎)
주요 거주지
집성촌경상남도 함안군 가야면 도항리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입현리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면 화목리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기곡리
황해도 송화군
주요 인물
인물조려, 조종도, 조중회, 조소앙, 조용기, 조홍제, 조일제, 조석래, 조영래, 조진래, 조현준, 조병규, 조현룡, 조영택, 조윤제, 조병현, 조현오, 조현배, 조윤선
통계 정보
년도2015년
인구282,890명
추가 정보
비고함안조씨 대종회

2. 역사

함안 조씨 최초의 족보는 1664년(조선 현종 5년)에 간행된 《갑진보(甲辰譜)》인데, 여기에는 시조 조정(趙鼎)이 "신라원윤(新羅元尹)"으로 기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1738년(영조 14년)에 간행된 《무오보(戊午譜)》에는 "고려 대장군 원윤(元尹)"으로 수정되었다.

1979년에 간행된 《기미보(己未譜)》에 따르면, 함안 조씨의 시조 조정은 자가 우보(禹寶), 호는 모당(慕唐),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그는 중국 후당(後唐) 사람으로, 신라 말에 동생 조부(趙釜)와 조당(趙鐺)을 데리고 절강(浙江) 사람 장길(張吉)과 함께 신라에 귀화하였다. 조정은 고려 개국에 참여한 신숭겸, 배현경, 복지겸, 권행(權幸) 등과 친분이 두터웠다고 한다. 그는 왕건을 도와 합천에서 군사를 일으켰고, 931년(고려 태조 14년) 고창성(안동)에서 후백제 견훤 군을 크게 무찔러 동경주현(東京州縣)을 공략하여 장악하였으며, 고려 통일에 큰 공을 세워 개국벽상공신 대장군 원윤이 되었다.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삼고 함안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은 1926년 이장훈(李章薰)이 저술한 《조선명신록(朝鮮名臣錄)》, 1927년 이병관(李炳觀)이 저술한 《동국명현언행록(東國名賢言行錄)》에 처음 나타난 내용으로, 《갑진보》, 《무오보》, 《경자보(庚子譜)》, 《을유보(乙酉譜)》의 사대보(四大譜) 어디에도 실려있지 않으며 《고려사열전(高麗史列傳)》을 비롯한 고려 건국에 관한 역사기록 어디에도 찾을 수 없다.

《기미보》에 따르면 조정의 아들 조간(幹)은 고려에서 중랑장을 지냈으며, 증손 조시우(時雨)는 오위도령장, 조영준(英俊)은 형부상서를 지냈다. 6대손 조열(烈)은 광정대부정당문학, 7대손 조희(禧)는 밀직사삼사좌윤, 9대손 조천계(天啓)는 봉익대부판도판서, 10대손 조열(悅)은 고려 공민왕 때 공조전서, 조안경(安卿)은 호조전서, 11대손 조승숙(承肅)은 부여감무를 지내는 등 고려에서 대대로 고위 관직에 있었다고 한다.

3. 분파

함안 조씨는 여러 분파로 나뉜다.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분파
통판공파(通判公派)
충순공파(忠順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고죽재공파(孤竹齋公派)
산원공파(散員公派)
참지공파(參知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어해공파(禦海公派)
집의공파(執義公派)
판결공파(判決公派)
사과공파(司果公派)
우후공파(虞侯公派)
내헌공파(耐軒公派)
남계공파(南溪公派)
절도공파(節度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소윤공파(少尹公派)
제학공파(提學公派)
덕곡공파(德谷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함경공파(咸鏡公派)


4. 주요 인물

함안 조씨의 주요 인물로는 고려 개국벽상공신 조정, 조선시대 초대 생육신 조려가 있다. 근현대 인물로는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던 조소앙, 효성그룹 창업주 조홍제, 제2대 회장 조석래, 제3대 회장 조현준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조병규, 조영택, 조윤제, 조현오, 조병헌, 조현배, 조진래, 조윤선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있다.

성함출생학력신분
조정고려시대과거 급제개국벽상공신
조려1420년과거 급제초대 생육신
조종도1537년과거 급제함양군수 (중기)
조중회1711년과거 급제대사간 (후기)
조소앙1887년메이지대학 법학 학사제5대 국회의장
조홍제1906년호세이 대학 경제학 학사초대 효성그룹 회장
조병규1923년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5대 경기도지사
조석래1935년와세다 대학교 공학 명예박사제2대 효성그룹 회장
조영택1951년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8대 국회의원
조윤제1952년스탠퍼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제25대 주미대사
조현오1955년케임브리지 대학교 법학 석사제16대 경찰청장
조병헌1955년서울대학교 법학 학사고위 관료 (중기)
조현배1960년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6대 해양경찰청장
조진래1965년연세대학교 법학 학사제18대 국회의원
조윤선1966년컬럼비아 대학교 법학 석사제6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조현준1968년게이오기주쿠 대학 정치학 석사제3대 효성그룹 회장


4. 1. 고려시대

성함출생학력신분
조정고려시대과거 급제초대 개국벽상공신


4. 2. 조선시대

성함출생학력신분
조려1420년과거 급제초대 생육신
조종도1537년과거 급제함양군수 (중기)
조중회1711년과거 급제대사간 (후기)


4. 3. 근현대

성함출생학력신분
조소앙1887년메이지대학 법학 학사제5대 국회의장
조홍제1906년호세이 대학 경제학 학사초대 효성그룹 회장
조병규1923년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5대 경기도지사
조석래1935년와세다 대학교 공학 명예박사제2대 효성그룹 회장
조영택1951년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8대 국회의원
조윤제1952년스탠퍼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제25대 주미대사
조현오1955년케임브리지 대학교 법학 석사제16대 경찰청장
조병헌1955년서울대학교 법학 학사중기 고위 관료
조현배1960년연세대학교 행정학 석사제16대 해양경찰청장
조진래1965년연세대학교 법학 학사제18대 국회의원
조윤선1966년컬럼비아 대학교 법학 석사제6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조현준1968년게이오기주쿠 대학 정치학 석사제3대 효성그룹 회장


5. 과거 급제자

함안 조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34명을 배출하였다. 다음은 과거 급제자 목록이다.[1]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종류인물
문과조강(趙講), 조경관(趙景觀), 조구식(趙龜植), 조권(趙權), 조근(趙根), 조녕(趙寧), 조림(趙琳), 조민식(趙民植), 조보인(趙寶仁), 조삼(趙參), 조성덕(趙性德), 조성익(趙性翼), 조성학(趙性鶴), 조순(趙舜), 조시원(趙時瑗), 조영규(趙瑩奎), 조영복(趙榮福), 조영세(趙榮世), 조완식(趙完植), 조욱(趙昱), 조유직(趙惟直), 조적(趙績), 조종례(趙從禮), 조준효(趙準孝), 조중명(趙重明), 조중직(趙重稷), 조중회(趙重晦), 조충식(趙忠植), 조형(趙珩), 조효동(趙孝仝), 조희룡(趙熙龍), 조희문(趙希文), 조희중(趙熙重), 조희하(趙希嘏)
무과조개동(趙介同), 조경식(趙庚植), 조경행(趙景行), 조경화(趙景和), 조광찬(趙光鑽), 조기흥(趙起興), 조단(趙檀), 조덕일(趙德一), 조득립(趙得立), 조명득(趙明得), 조무남(趙武男), 조방식(趙邦植), 조백(趙), 조봉식(趙鳳植), 조사립(趙士立), 조서(趙溆), 조숙(趙鷫), 조숭(趙崇), 조시언(趙時彦), 조신도(趙信道), 조양(趙攘), 조영의(趙榮儀), 조예(趙藝), 조용식(趙龍植), 조위(趙𤦛), 조위(趙瑋), 조윤복(趙潤福), 조응도(趙凝道), 조의식(趙宜植), 조인경(趙仁慶), 조잠(趙潜), 조적(趙籍), 조정기(趙廷基), 조종도(趙宗道), 조종신(趙宗信), 조중립(趙仲立), 조중지(趙重池), 조즙(趙濈), 조풍식(趙豊植), 조학중(趙學中), 조현(趙玹), 조후창(趙後昌)
생원시조건(趙湕), 조광심(趙光心), 조기영(趙基永), 조림(趙琳), 조물(趙勿), 조병규(趙昺奎), 조복대(趙復大), 조봉규(趙鳳奎), 조상변(趙相抃), 조상언(趙相彦), 조상적(趙相迪), 조선(趙渲), 조성규(趙星奎), 조성로(趙性魯), 조성민(趙性敏), 조성진(趙星鎭), 조성협(趙性恊), 조순(趙舜), 조승섭(趙昇燮), 조시섭(趙始燮), 조영록(趙榮祿), 조영복(趙榮福), 조영세(趙榮世), 조용우(趙鏞禹), 조운(趙澐), 조원갑(趙源甲), 조은식(趙恩植), 조응정(趙應玎), 조종도(趙宗道), 조종식(趙鍾植), 조중태(趙重台), 조지린(趙之藺), 조천규(趙天奎), 조철규(趙喆奎), 조충식(趙忠植), 조표(趙滮), 조함세(趙咸世), 조함장(趙咸章), 조항겸(趙恒謙), 조현규(趙顯珪), 조형(趙珩), 조횡(趙澋)
진사시조감(趙堪), 조경진(趙景鎭), 조관국(趙觀國), 조구식(趙龜植), 조권(趙權), 조기억(趙基億), 조기용(趙基鏞), 조단(趙端), 조동호(趙銅虎), 조련(趙漣), 조면규(趙冕奎), 조명규(趙明奎), 조민식(趙敏植), 조상진(趙相震), 조석규(趙奭奎), 조선(趙𤂿), 조성설(趙性卨), 조성순(趙性純), 조성익(趙性益), 조세근(趙世瑾), 조순(趙舜), 조숭(趙崇), 조시원(趙時瑗), 조시침(趙時琛), 조연(趙淵), 조영(趙泳), 조영보(趙榮保), 조영석(趙榮祏), 조영제(趙榮禔), 조영휴(趙榮休), 조용팔(趙鏞八), 조용호(趙鏞昊), 조우식(趙瑀植), 조원규(趙元奎), 조원규(趙元奎), 조원식(趙元植), 조유관(趙惟寬), 조윤(趙倫), 조윤묵(趙潤默), 조익(趙釴), 조일(趙鎰), 조중직(趙重稷), 조중철(趙重喆), 조진원(趙進源), 조춘경(趙春慶), 조택(趙澤), 조평(趙平), 조학식(趙鶴植), 조함영(趙咸英), 조형(趙珩), 조홍진(趙弘鎭), 조후룡(趙後龍), 조후진(趙厚鎭), 조흥규(趙興奎), 조희안(趙希顔)



고려 문과 급제자는 조승숙(趙承肅)이다.[1]

6. 집성촌

지역비고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원북리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면 도항리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운곡리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개암리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입현리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안곡리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용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동일면 봉영리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석곡리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봉정리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화목리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태평리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구룡리[5]
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나호리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지보리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실업리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창양리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인지리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안산리
황해도 송화군 율리면



2015년 통계에 따르면, 경상북도 청송군(841명, 총 인구의 3.61%), 청도군(535명, 총 인구의 1.43%), 경상남도 함안군(3,556명, 총 인구의 5.84%), 남해군(844명, 총 인구의 2.05%), 전라남도 완도군(418명, 총 인구의 0.93%), 전라북도 임실군(113명, 총 인구의 0.47%), 충청남도 보령시(366명, 총 인구의 0.39%) 등에도 집성촌이 있다.[4] 특히 함안군은 전국에서 함안 조씨가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7. 항렬자

세손(세)2526272829303132333435363738
항렬자[3]식(植)성(性)규(奎)용(鏞)제(濟)
하(河)
래(來)
상(相)
현(顯)
묵(默)
재(在)
주(周)
흠(欽)
호(鎬)
수(洙)동(東)환(煥)배(培)종(鍾)
세손(세)3940414243444546474849505152
항렬자[3]한(漢)근(根)형(炯)균(均)호(鎬)순(洵)병(秉)현(炫)기(基)석(錫)영(泳)수(秀)병(炳)곤(坤)


8. 인구

함안 조씨(趙|조중국어)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82,890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24위이다.[4]

함안 조씨 집성촌
지역세부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현동면 창양리, 현동면 인지리, 안덕면 명당리
경상북도 청도군풍각면 안산리
경상남도 함안군가야읍 도항리, 군북면 하림리
경상남도 남해군남해읍 립현리
전라남도 완도군금일읍 화목리
전라북도 임실군덕치면 회문리
충청남도 보령시웅천면 구룡리[5]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함안조씨 咸安趙氏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6
[3] 웹사이트 함안조씨 대종회 http://www.hamanjo.c[...] 2023-12-17
[4]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5] 웹사이트 조씨(趙氏) 본관(本貫) 함안(咸安)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