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사자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사자아과는 강치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의 아과로, 다양한 정의를 가지며, 좁게는 바다사자속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다사자아과에 속하는 종들은 굵고 짧은 털, 큰 덩치, 물개보다 큰 먹이를 가지는 특징을 보인다. 바다사자아과는 전통적으로 물개와 함께 강치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유전적 증거는 이러한 구분을 완전히 지지하지 않는다. 바다사자는 잠수 능력이 뛰어나며, 기생충과 질병, 유전자 발현, 식단, 지리적 변이 등 다양한 생리학적, 생태학적 특징을 보인다. 인간과의 관계에서 바다사자는 훈련을 통해 서커스나 해군 군사 훈련에 이용되기도 하지만, 어업과의 경쟁, 서식지 침해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위협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사자아과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캘리포니아바다사자와 유사하지만 더 작고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강치과의 동물로, 엘니뇨 현상, 포식자, 인간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지만 보호받고 있다. - 바다사자아과 - 뉴질랜드바다사자
뉴질랜드바다사자는 뉴질랜드 남극해에 서식하며 성적 이형성을 띠는 뉴질랜드 동물 중 가장 큰 종으로, 인간의 사냥으로 절멸 위기에 놓였다가 남섬 해안에서 번식을 재개했지만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서식지 파괴, 질병, 혼획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바다사자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 |
| 학명 | Otariinae |
| 학명 명명자 | Gray, 1825 |
| 속 | 에우메토피아스 네오포카 오타리아 포르칵토스 잘로푸스 |
| 화석 범위 | 후기 올리고세 - 현재 |
| 영어 이름 | Sea lion |
| 일본어 이름 | 아시카, 우미오소 |
| 한국어 이름 | 바다사자 |
| 특징 | |
| 몸무게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약 100 ~ 300kg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약 100kg (암컷), 약 300kg (수컷) 스텔라바다사자: 약 1,000kg |
| 몸길이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약 2.4m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약 1.8m (암컷), 약 2.5m (수컷) 스텔라바다사자: 약 3m |
| 속도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약 30km/h 일반 속도: 약 16 knots (약 30 km/h) 까지 가능 |
| 먹이 |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 등 |
| 생태 및 행동 | |
| 서식지 | 해안가, 바다 |
| 사회적 행동 | 무리를 지어 생활 |
| 번식 | 일부일처제가 아닌 일부다처제 캘리포니아바다사자: 5월 하순에서 6월에 번식 젖을 먹이는 기간: 6개월 이상 |
| 보존 상태 | |
| 후케르바다사자 | 멸종 위기 |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 멸종 위기 |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 멸종 위기 |
| 기타 | |
| 참고 | 물개과에 속함 |
2. 정의 및 어원
'바다사자'라는 용어는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일본바다사자만을 특정하여 가리키거나 바다사자과 전체를 포괄하는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어원은 주로 일본어 '아시카'(あしか)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며, 이는 "갈대(葦)가 있는 곳의 사슴(鹿)"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2. 1. 정의
바다사자의 정의는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며, 좁은 의미부터 넓은 의미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일본후기나 화한삼재도회와 같은 역사적인 자료에서 언급되는 바다사자(あしか, 海驢, 葦鹿)는 거의 예외 없이 일본바다사자를 가리키며, 이것이 이 단어의 원래 의미이다.
- 바다사자과 바다사자속(*Zalophus*)에 속하는 종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일본바다사자, 캘리포니아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의 3종이 여기에 속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바다사자속에 1종 또는 2종만을 인정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갈라파고스바다사자를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아종으로 보는 경우 "바다사자는 일본바다사자와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2종을 총칭한다"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결국 같은 범주의 동물을 가리킨다.
- 일본어 이름에 "~바다사자(アシカ)"가 붙는 종들을 총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바다사자속의 3종에 더하여 호주바다사자와 뉴질랜드바다사자까지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분류학적으로나 계통학적으로 의미 있는 묶음은 아니다.
- 바다사자과 바다사자아과(Otariinae)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 경우 앞서 언급된 종들 외에 강치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영어의 '시 라이언'(sea lion|시 라이언영어)은 대체로 이 의미에 가깝다. 다만, 현재 분류학에서는 바다사자아과가 단계통이 아니며, "긴 몸털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 외에는 뚜렷한 공통 형질이 부족하여 계통학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분류군이다.[47]
- 바다사자과(Otariidae)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때는 물개까지 포함하는 가장 넓은 의미가 된다.
한편, 바다코끼리나 물범은 바다사자과에 속하지 않는 별개의 과에 속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바다사자와 물범의 차이"를 이야기할 때는 보통 '바다사자'가 바다사자과 전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바다사자와 물개의 차이"를 논할 때는 '바다사자'가 바다사자아과 또는 더 좁게는 바다사자속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바다사자아과와 물개아과의 차이로 이야기되는 경우는 드물다.)
2. 2. 어원
일본어에서 바다사자를 뜻하는 '아시카'는 원래 홋카이도를 제외한 일본 본토 근해에 서식했으나 현재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바다사자를 가리키는 말이었다.'아시카'의 어원은 "葦鹿"(갈대 사슴)로, 이는 "갈대(아시)가 자라는 곳에 있는 사슴"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과거에는 "海鹿"(바다 사슴)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억양의 차이로 인해 현재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나라 시대에는 '미치'라고 불렸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우미오소' 또는 '우미카브로'가 있다. '우미오소'는 바다에 사는 수달을, '우미카브로'는 바다에 사는 대머리를 의미한다.
특히 사도섬에서는 '우미카브로'(海禿: 바다 대머리)라는 이름으로 요괴처럼 여겨졌는데, 료쓰항 근처 바다에 나타나 사람을 자주 속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3. 분류
물개과(Otariidae)에 속하는 아과이다. 전통적으로 물개과는 겉모습의 특징에 따라 바다사자아과(Otariinae)와 물개아과(Arctocephalinae)로 나뉘었으나, 최근의 유전적 연구 결과는 이러한 구분이 계통 발생을 정확히 반영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어 분류학적 논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계통 분류 및 분류학적 논쟁 참고)
바다사자아과로 분류되는 주요 속과 종은 다음과 같다.
| 속 | 종 | 비고 |
|---|---|---|
| 큰바다사자속 (Eumetopias) | 큰바다사자 (Eumetopias jubatus) | 스텔러바다사자라고도 불림 |
| 바다사자속 (Zalophus)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anus) | |
| 바다사자속 (Zalophus) | 바다사자 (Zalophus japonicus) | 1950년대 멸종 |
| 바다사자속 (Zalophus)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Zalophus wollebaeki) | |
| 남아메리카바다사자속 (Otaria) | 남아메리카바다사자 (Otaria flavescens) | |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속 (Neophoca)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Neophoca cinerea) | |
| 뉴질랜드바다사자속 (Phocarctos) | 뉴질랜드바다사자 (Phocarctos hookeri) | 후커바다사자라고도 불림 |
특히 바다사자속( ''Zalophus'' )에 속하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 일본바다사자는 각각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3. 1. 계통 분류
바다사자는 기각류에 속하며 바다코끼리나 물범과 가까운 관계이다. 물개와 함께 강치과(''Otariidae'')를 이루며, 겉으로 드러난 귓바퀴가 있어 '귀가 있는 물범'으로 불리기도 한다.전통적으로 강치과는 겉모습의 차이를 기준으로 바다사자아과(''Otariinae'')와 물개아과(''Arctocephalinae'')로 나뉘었다. 물개는 촘촘한 속털을 가지지만 바다사자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 주된 구분 기준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유전적 연구 결과는 이러한 전통적인 분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물개에 속하는 북방물개(''Callorhinus ursinus'')가 다른 물개 속인 남방물개속(''Arctocephalus'')보다 오히려 일부 바다사자 종들과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 이 때문에 현재 많은 분류 체계에서는 바다사자아과와 물개아과의 구분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다사자와 물개는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물개는 바다사자보다 몸집이 작고, 더 멀리 나가 더 오랫동안 사냥하며, 더 작고 많은 수의 먹이를 먹는다. 또한 성적 이형성(암수의 겉모습 차이)이 더 크게 나타난다. 반면 바다사자는 굵고 짧은 털을 가졌으며, 몸집이 더 크고 물개보다 큰 먹이를 선호한다. 따라서 실용적인 측면에서 두 그룹을 구분하는 것은 여전히 유용하다.
강치과(''Otariidae'')는 현존하는 15종의 물개와 바다사자를 포함한다. 유전적 연구에 따르면, 북방물개(''Callorhinus ursinus'')는 강치과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기초적인 그룹으로 여겨진다.[8] 화석 기록은 북방물개가 약 6백만 년 전에 나머지 강치과 동물들과 다른 계통으로 갈라졌음을 시사한다. 이후 바다사자 그룹과 주요 남방물개 그룹(''Arctocephalus'') 사이에서도 유전적 분화가 빠르게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들 그룹이 서로 분기될 무렵 급격한 방사 진화를 겪었음을 나타낸다. 현재 강치과의 분류 체계는 이러한 복잡한 계통 발생 관계와 유전적 거리의 불일치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8]
남방물개속(''Arctocephalus'')은 촘촘한 속털과 이중 뿌리 어금니 같은 조상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가장 원시적인 계통으로 간주된다. 바다사자와 북방물개는 이 기초 계통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의 화석 기록은 북방물개가 약 6백만 년 전에 분기했음을 보여주며, 캘리포니아와 일본의 화석은 바다사자가 그보다 약간 후에 분기했음을 시사한다.[8]
바다사자아과에 속하는 주요 속과 종은 다음과 같다.
| 속 | 종 | 비고 |
|---|---|---|
| 큰바다사자속 (Eumetopias) | 큰바다사자 (Eumetopias jubatus) | 스텔러바다사자라고도 불림 |
| 바다사자속 (Zalophus) | 캘리포니아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anus) | |
| 바다사자속 (Zalophus) | 바다사자 (Zalophus japonicus) | 1950년대 멸종 |
| 바다사자속 (Zalophus)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Zalophus wollebaeki) | |
| 남아메리카바다사자속 (Otaria) | 남아메리카바다사자 (Otaria flavescens) | |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속 (Neophoca) | 오스트레일리아바다사자 (Neophoca cinerea) | |
| 뉴질랜드바다사자속 (Phocarctos) | 뉴질랜드바다사자 (Phocarctos hookeri) | 후커바다사자라고도 불림 |
바다사자속(''Zalophus'')의 경우, 서식지에 따라 캘리포니아바다사자, 갈라파고스바다사자, 일본바다사자(멸종)의 세 종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이들을 모두 캘리포니아바다사자(''Zalophus californianus'')의 아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바다사자는 해양 포유류로서, 주로 바위가 많은 해안이나 모래 해변에서 번식한다. 번식기에는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을 거느리는 일부다처제 형태의 무리(하렘)를 이루며, 암컷은 한 번에 새끼 한 마리를 낳는다.[50]
3. 2. 분류학적 논쟁
바다사자는 바다코끼리와 물범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해양 포유류이다. 물개와 함께 강치과(Otariidae)를 이루며, 겉귀가 있다는 특징 때문에 '귀가 달린 기각류'로 통칭되기도 한다.전통적으로 강치과는 바다사자아과(Otariinae)와 물개아과(Arctocephalinae)의 두 아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주로 털의 특징에 근거했는데, 물개는 촘촘한 속털을 가지고 있지만 바다사자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 핵심적인 차이였다.
그러나 최근의 유전적 증거는 이러한 전통적인 분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북방물개의 속인 ''Callorhinus''는 다른 물개 속인 ''Arctocephalus''보다 오히려 일부 바다사자 종들과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 이는 바다사자아과와 물개아과가 각각 단계통군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많은 현대 분류학자들은 더 이상 이 아과 구분을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다사자와 물개는 여전히 몇 가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바다사자는 물개보다 몸집이 크고, 털이 굵고 짧으며, 더 큰 먹이를 사냥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물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더 먼 거리를 더 오랫동안 이동하며 먹이를 찾으며, 성적 이형성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실용적인 관점에서는 여전히 두 그룹을 구분하는 것이 유용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강치과 내의 계통 발생 관계를 살펴보면, 북방물개( ''Callorhinus ursinus'' )는 약 6백만 년 전에 다른 강치류 계통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여겨진다.[8] 이는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의 화석 기록과도 일치한다. 이후 바다사자 그룹과 남방물개속( ''Arctocephalus'' ) 그룹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급격한 방사 진화를 거치며 다양화된 것으로 추정된다.[8] 남방물개속은 촘촘한 속털과 같은 조상적인 특징을 일부 유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원시적인 계통으로 간주되기도 한다.[8]
한편, 바다사자속( ''Zalophus'' ) 내에서도 분류학적 논쟁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바다사자( ''Zalophus californianus'' ), 갈라파고스바다사자( ''Zalophus wollebaeki'' ), 그리고 1950년대에 멸종한 일본바다사자( ''Zalophus japonicus'' )를 각각 독립된 종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아종으로 분류할 것인지에 대한 견해가 나뉜다.
4. 생리학적 특징

바다사자의 생리적 현상은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 번식, 대사율 등 생존에 필요한 다양한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바다사자 행동의 여러 측면을 제어한다. 특히, 복잡한 생리적 조절 기작은 심박수, 가스 교환, 소화율, 혈류 등을 제어하여 깊은 바다 속으로 잠수하는 능력과 같은 독특한 생태적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9][10][11][12]
4. 1. 잠수 능력
바다사자의 생리적 현상은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 번식, 대사율 등 다양한 행동을 제어하며, 특히 심해 잠수 능력과 같은 생태적 측면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바다사자의 몸은 심박수, 가스 교환, 소화율, 혈류를 조절하여 장시간 잠수하고 깊은 수심의 높은 압력으로 인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도록 적응했다.
깊은 곳으로 잠수할 때 마주하는 높은 압력은 질소와 같은 기체가 체내 조직에 쌓이게 만들 수 있다. 만약 이 기체가 수면으로 올라올 때 제대로 배출되지 않으면 감압병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 있다. 바다사자는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잠수 중 폐에서의 가스 교환량을 제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수압이 높아지면 폐의 작은 공기주머니인 폐포가 압력을 받아 찌그러지는데, 이때 폐포 안의 공기는 가스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연골로 덮인 기도로 밀려나게 된다.[9] 이 과정은 혈액으로 추가적인 산소가 교환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조직으로 들어가는 압축된 기체의 양을 줄여 감압병의 위험을 낮춘다.[9]
하지만 폐포가 찌그러지면 폐에 산소를 저장할 수 없게 되므로, 바다사자는 잠수 시간을 늘리기 위해 산소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심박수를 조절하는 생리적 기제를 활용한다. 잠수 시 심박수를 물 표면에 있을 때보다 훨씬 느리게 낮추는데, 이를 서맥(bradycardia)이라고 한다. 느려진 심박수는 가스 교환을 줄이고 심장 박동 자체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여 산소를 절약하게 해준다.[10] 서맥은 바다사자가 폐에 저장된 산소 대신 근육에 저장된 산소를 주로 사용하도록 전환하는 중요한 조절 메커니즘이다.[10]
또한, 바다사자는 잠수 중에 소화율을 낮추어 산소 소모를 줄인다. 소화 과정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산소가 소모되는데, 바다사자는 소화 속도를 평소보다 최소 54%까지 늦출 수 있다.[11] 소화율 감소는 위장에서의 산소 사용량을 줄여 잠수에 필요한 산소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물 표면으로 돌아오면 소화율은 다시 정상 속도로 회복된다.[11]
산소 부족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CO2) 축적 역시 해양 포유류의 잠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바다사자는 장시간 잠수 후 혈액 내 CO2를 산소 보충 속도만큼 빠르게 배출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액 내 CO2 농도가 정상보다 높아지는 것이 잠수 행동에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12] 육상 포유류와 비교했을 때 바다사자는 CO2 축적에 대한 내성이 훨씬 높다. 일반적으로 포유류는 CO2 농도가 높아지면 숨을 쉬어야 한다는 신호를 받지만, 바다사자는 이러한 반응을 어느 정도 무시할 수 있다.[12] 이는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경동맥 소체(carotid body)가 발달하여 체내 산소 잔량을 더 정확히 파악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2] 하지만 CO2 축적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어서, 여러 번 잠수를 반복한 후에는 쌓인 CO2를 충분히 배출하기 위해 수면에서 더 긴 시간을 보내야 한다.[12]
4. 2. 기생충 및 질병
갈라파고스바다사자(''Zalophus wollebaeki'')는 눈에 기생하는 흡충인 ''Philophthalmus zalophi''에 감염될 수 있다. 이 감염은 특히 어린 개체의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되며[13], 지구 온난화로 인해 상황이 악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생충의 감염 단계 수가 온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후 변화와 기생충 감염 증가는 함께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갈라파고스 제도는 해수면 온도의 계절적 변화가 뚜렷하여, 1월 초부터 5월까지 수온이 높고 나머지 기간에는 낮다. 연구 결과, 기생충은 해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에 대량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바다사자를 포획하여 성장률을 측정하고 눈꺼풀 아래에서 기생충의 존재를 확인했다. 충격적이게도, 바다사자는 생후 3주부터 4~8개월 사이에 이 기생충의 영향을 받으며[13], 눈 흡충은 눈에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 조사된 어린 바다사자 91마리 중 단 21마리만이 생존했으며, 2년 동안 총 70마리가 사망했다.[13] 이 기생충은 어린 개체를 공격하여 생식 가능 연령에 도달하기 전에 죽게 만든다. 이로 인해 어린 개체의 사망률이 출산율을 훨씬 초과하게 되어, 종의 개체 수가 위험에서 벗어날 만큼 충분히 빠르게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이 외에도 ''Anisakis''나 사상충과 같은 다른 기생충들도 바다사자를 감염시킬 수 있다.호주바다사자(''Neophoca cinerea'') 역시 기생충 감염 빈도가 증가하는 문제를 겪고 있다.[14] 갈라파고스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어린 바다사자를 조사했으며, 추가로 혈액 샘플을 채취했다. 호주의 어린 개체들은 십이지장충에 감염되었으며, 이 기생충 역시 따뜻한 온도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14] 뉴질랜드바다사자(''Phocarctos hookeri'')의 어린 개체들도 매우 어린 나이에 십이지장충(''Uncinaria'') 감염의 영향을 받는다. 다만 뉴질랜드에서는 연구자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치료를 시행했다.[15] 치료는 효과가 있어 치료받은 어린 개체들에서는 이후 감염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전체 어린 개체 중 감염 비율은 약 75%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15] 치료를 받은 어린 개체는 그렇지 않은 개체보다 훨씬 나은 성장률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기생충과 십이지장충은 많은 수의 어린 바다사자를 죽음으로 몰아가 종을 멸종 위기에 처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기생충 문제는 전 세계의 바다사자 어린 개체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생식 성공률 감소, 생존 방식 변화, 건강 및 성장 저해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기후 변화는 해양 생태계에 또 다른 위협을 가하는데, 유독성 조류 번식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독소는 정어리와 같은 물고기에게 축적되고, 이를 먹이로 하는 바다사자는 신경 손상이나 간질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 걸릴 수 있다.[16]
4. 3. 유전자 발현 및 식단
유전자 발현은 영양 상태나 다른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감지하는 데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큰바다사자(''Eumetopias jubatus'') 4마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4마리 중 3마리가 70일간 음식 섭취 제한 없음, 급성 영양 스트레스, 만성 영양 스트레스 조건을 거치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영양 스트레스를 받은 개체는 면역 반응 및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일부 세포 과정을 하향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양 스트레스는 큰바다사자 개체 수 감소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 여겨진다.[17]뉴질랜드바다사자의 경우, 서식지의 온도 차이로 인한 남북 간 기울기가 먹이 구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8]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성체는 하루에 자신의 체중의 약 5%에서 8%에 해당하는 먹이를 섭취한다(약 약 6.80kg~약 18.14kg). 이들은 주로 연안 지역 해안가에서 먹이를 찾으며, 용승 지역에서 발견되는 멸치, 고등어, 록피시, 정어리와 같은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또한 상업적 어업 장비나 스포츠 낚시 줄, 댐이나 강의 어도 시설 등에서 물고기를 얻기도 한다.[19]
5. 지리적 변이
바다사자의 지리적 변이는 여러 물개과 종의 두개골 관찰을 통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크기의 변화는 위도와 1차 생산성의 변화와 일치한다. 서호주에 서식하는 호주바다사자의 두개골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더 작았고, 가장 큰 두개골은 서늘한 온대 지역에서 발견된다. 물개과는 종 분화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위도와 자원과 같은 지역적 요인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20] 특정 종의 개체군은 열대 지방에서는 작고, 위도가 높아질수록 크기가 커지며, 아극 지역에서 최대 크기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 서늘한 기후와 차가운 물에서는 신진대사율이 체중보다 체표면적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몸집이 커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체표면적이 줄어드는 것이 생존에 유리할 수 있다.[20]
6. 번식 및 개체수
바다사자는 기각류의 한 종류로, 번식, 새끼 양육, 휴식 등을 위해 육지나 얼음 서식지를 이용한다.[21] 이들의 번식 습성은 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일부다처제 경향을 보이며 수컷이 영역을 확보하고 여러 암컷과 짝짓기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2] 번식기는 주로 특정 계절에 집중되며, 이 시기에는 번식지에 많은 개체가 모여 새끼를 낳고 기른다.
바다사자의 개체수는 종과 지역에 따라 다르며, 과거 인간의 남획으로 인해 크게 감소했던 종들도 있다. 예를 들어 남미바다사자는 20세기 중반 개체수가 급감했으나, 이후 사냥 감소, 보호 구역 지정, 새로운 먹이 자원 확보 등의 요인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23] 바다사자의 개체수는 계절, 시간, 온도, 먹이 가용성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따라 변동하는 모습을 보인다.[21][23]
6. 1. 번식 습성

바다사자는 세 그룹의 기각류와 함께 여러 번식 방법과 습성을 가지고 있지만 비교적 보편적이다. 바다사자과는 새끼를 키우고, 짝짓기를 하며, 육지나 얼음 서식지에서 휴식을 취한다. 이들의 풍부함과 휴식 행동은 육상 번식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계절적 풍부함 추세는 남반구의 여름 번식기인 1월에서 3월 사이와 상관관계가 있다. 번식지는 갓 태어난 새끼와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남는 수컷과 암컷 바다사자로 채워진다. 번식기 말에는 수컷이 먹이와 휴식을 위해 흩어지고 암컷은 양육을 위해 남는다. 일년 중 다른 시기에는 다양한 연령과 성별이 번식지에 혼재하며, 휴식 패턴은 매달 달라진다.[21]
평균 수명이 15~20년인 스텔러바다사자는 5월 초에 성체 수컷이 번식지 주변에 영토를 구축하면서 번식기를 시작한다. 수컷 바다사자는 5~7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9~13세가 되어서야 영토성을 갖게 된다. 암컷은 5월 말에 도착하여 싸움과 경계 표시를 통해 영토 방어를 강화한다. 일주일 후 출산은 대부분 하나의 새끼로 이루어지며, 주산기(출산 전후 기간)는 3~13일이다.
스텔러바다사자는 번식 성공을 위한 여러 가지 경쟁 전략을 보여왔다. 바다사자의 짝짓기는 흔히 일부일처가 아닌 일부다처제로 이루어진다. 수컷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번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암컷과 짝짓기를 하며, 일부 수컷은 아예 짝을 찾지 못하기도 한다. 일부다처제에서 수컷은 새끼에게 부모의 보살핌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암컷을 독점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는 자원 방어 일부다처제로, 이는 암컷에게 중요한 자원을 점유하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암컷이 성적으로 수용 가능한 기간 동안 매력적인 자원(예: 출산 서식지, 물 접근성)이 있는 영토를 점유하고 방어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수컷이 암컷에게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도 주요 전략이다.[22]
6. 2. 개체수 현황
남미바다사자(Otaria flavescenslat)는 칠레 해안을 따라 서식하며, 개체수는 약 165,000마리로 추정된다. 20세기 중반 대규모 해양 포유류 포획으로 인해 심각하게 감소했던 남미바다사자 개체군은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회복의 배경에는 사냥 감소, 바다사자과(otariids)의 빠른 개체수 증가 능력, 자연 보호 구역 관련 법규 제정, 그리고 새로운 먹이 자원 확보 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바다사자의 정박 패턴은 하루 중 시간, 월, 계절에 따라 개체수 변동을 일으킨다. 이동 패턴은 온도, 일사량, 먹이 및 수자원과 관련이 있다. 남미바다사자 및 다른 바다사자과 동물들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육지에서의 최대 개체수는 주로 이른 오후 시간에 나타나는데, 이는 높은 기온 동안 휴식을 취하려는 행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성체 및 준성체 수컷은 뚜렷한 연간 패턴을 보이지 않지만, 개체수가 가장 많은 시기는 10월에서 1월 사이다. 반면, 암컷과 새끼는 주로 남반구의 겨울인 6월부터 9월 사이에 육지에 머무르는 경향을 보인다.[23]
7. 인간과의 관계
바다사자는 인간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 일부 바다사자는 훈련을 받아 동물원, 수족관, 서커스 등에서 공연을 펼치거나 미 해군의 프로그램처럼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53]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과거 수렵 채집인들의 사냥 대상이 되었고,[24] 현대에도 어업 활동과의 먹이 경쟁,[25] 인간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교란[26] 등으로 인해 생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뉴질랜드 바다사자와 같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은 인간과의 공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27][34][35] 드물지만 바다사자가 인간을 공격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26][36][39][41][42]
반대로 바다사자가 인간을 돕는 사례도 기록되어 있다. 케빈 하인스가 골든 게이트 브리지에서 투신했을 때, 바다사자가 그를 물 위에 떠 있도록 도와 해안 경비대에 의해 구조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45]
또한 바다사자는 호주와 뉴질랜드 등지에서 중요한 관광 자원이기도 하다.[26] 호주 서부 퍼스 근처의 카르낙 섬 자연 보호 구역은 많은 관광객이 바다사자를 관찰하기 위해 찾는 유명 장소이다.[26] 갈라파고스 제도에서는 바다사자가 "비공식 환영 위원회"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46]
7. 1. 긍정적 상호작용


바다사자는 훈련을 통해 동물원이나 수족관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경우가 많다. 서커스에서 지느러미나 코로 공을 다루는 묘기를 부리는 동물은 실제로는 바다사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미 해군은 '미 해군 해양 포유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바다사자를 기뢰 탐지 목적으로 훈련시키기도 했다.[53]
특히 캘리포니아 바다사자는 수족관이나 동물원에서 '바다사자 쇼'를 통해 다양한 재주를 선보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물개나 오타리아 역시 쇼를 연출하기도 하지만, 이들의 쇼도 종종 '바다사자 쇼'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7. 2. 부정적 상호작용
남아메리카 바다사자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았다. 후기 홀로세 시대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비글 해협과 북부 파타고니아의 수렵 채집인들은 바다사자를 사냥하고 서식 환경을 착취하여 개체수를 크게 감소시켰다.[24] 물개 사냥이 중단된 이후에도, 우루과이와 같은 여러 국가에서는 인간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바다사자 개체수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24] 이러한 영향으로 남아메리카 바다사자는 과거보다 더 높은 열대 위도에서 먹이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24] 또한, 어업 활동은 바다사자의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 바다사자는 폴락과 같은 어류를 주식으로 삼는데, 이는 어부들의 어획 대상과 겹쳐 경쟁 관계에 놓이게 된다.[25] 어부들의 성공적인 조업은 바다사자의 먹이를 크게 줄여 종의 생존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는다.[25]
인간의 존재 자체나 레크리에이션 활동 역시 바다사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간이 바다사자에게 15m 이내로 접근하면, 인간의 방해로 인해 바다사자의 경계심이 높아진다.[26] 이러한 방해는 바다사자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결국 서식지를 포기하거나 물 밖에서 휴식하는 시간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26]
뉴질랜드 바다사자 또한 과거 사냥과 물개 사냥으로 인해 뉴질랜드 본토에서 150년 이상 지역 멸종 상태였으며, 개체수는 남극 아대 지역으로 제한되었다.[27] 1993년 본토에서 암컷이 새끼를 낳은 이후 서서히 재정착하고 있지만[27], 내륙으로 최대 2km까지 이동하는 습성 때문에[28][29][30] 도로에서 차에 치이거나, 고의로 살해당하거나, 개에게 공격받는 등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31] 특히 암컷은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내륙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도로, 울타리, 주거 지역 등이 번식 성공에 장애가 될 수 있다.[32] 이들은 상업용 소나무 숲이나[32] 주택가 뒷마당, 골프장 등 인간의 생활 공간에 적응하여 출산하거나 새끼를 돌보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33] 세계적으로 희귀한 멸종 위기종인 뉴질랜드 바다사자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34][35]
바다사자가 인간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인간이 약 2.5m 이내로 접근하면 매우 위험할 수 있다.[26]
- 2007년 호주 서부에서는 바다사자가 물 밖으로 뛰어올라 스피드보트 뒤에서 서핑하던 13세 소녀를 심하게 무는 이례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바다사자는 소녀를 "헝겊 인형 장난감"처럼 여겼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36][37][38]
- 샌프란시스코에서는 피어 39 등 부두에 캘리포니아 바다사자가 몰려들면서, 대형 수컷이 사람의 다리를 무는 사고가 보고되기도 했는데, 이는 영역 행동으로 추정된다.[39][40]
- 2015년 4월에는 샌디에이고에서 보트를 타던 62세 남성이 바다사자에게 공격당해 뼈가 관통되는 부상을 입었다.[41]
- 2017년 5월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 관광객들이 불법적으로 먹이를 주던 바다사자가 부두에 앉아 있던 소녀의 옷을 물고 물 속으로 끌어당기는 사고가 발생했다. 소녀는 구조되었으나, 물개 손가락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치료를 받았다.[42][43][44]
7. 3. 문화적 활용
바다사자 중에는 훈련을 받아 동물원이나 수족관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경우가 있다. 서커스에서 지느러미나 코로 공을 잡거나 받는 등의 묘기를 부리는 동물은 흔히 물개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바다사자인 경우가 많다.
수족관이나 동물원에서 열리는 '바다사자 쇼'에는 주로 캘리포니아 바다사자가 활용된다. 그 외에 물개나 오타리아도 비슷한 쇼를 연출하지만, 이 경우에도 '바다사자 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바다사자는 미 해군의 '미 해군 해양 포유류 프로그램'에서 기뢰를 탐지하는 군사적 목적으로 훈련되기도 하였다.[53]
참조
[1]
웹사이트
California Sea Lion – SeaWorld Info Book
http://seaworld.org/[...]
SeaWorld
2013-12-26
[2]
웹사이트
California sea lion
https://nationalzoo.[...]
2016-04-25
[3]
서적
The Pinnipeds: Seals, Sea lions, and Walrus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12-13
[4]
논문
Phocarctos hooker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5]
논문
Arctocephalus galapagoens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6]
논문
Neophoca cinere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7]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eared seals (Otari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biogeography of the family
2001
[8]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Eared Seals (Otari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Biogeography of the Family
2001-11-01
[9]
논문
Pulmonary Shunts in Harbor Seals and Sea Lions during Simulated Dives to Depth
1982-01-01
[10]
논문
Deep-diving sea lions exhibit extreme bradycardia in long-duration dives
http://journals.biol[...]
2014
[11]
논문
Evidence of partial deferment of digestion during diving in Steller sea lions (''Eumetopias jubatus'')
2015-08-01
[12]
논문
Sensitivity to hypercapnia and elimination of CO2 following diving in Steller sea lions (''Eumetopias jubatus'')
2014-03-07
[13]
논문
Behavioural an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ilophthalmus zalophi'' infections and their impact on survival in juvenile Galapagos sea lions
2015-10
[14]
논문
Health assessment of free-ranging endangered Australian sea lion (''Neophoca cinerea'') pups: Effect of haematophagous parasites on haematological parameters
2015
[15]
논문
Effects of hookworms (''Uncinaria'' sp.) on the early growth and survival of New Zealand sea lion (''Phocarctos hookeri'') pups
2009-02
[16]
뉴스
Brain Surgery for a 'Sweet Boy': Saving Cronutt the Sea Lion
https://www.nytimes.[...]
2020-10-08
[17]
논문
A nutrigenomic approach to detect nutritional stress from gene expression in blood samples drawn from Steller sea lions
2015-09
[18]
논문
Diet of New Zealand sea lions (''Phocarctos hookeri'') at their southern breeding limits
2015-06
[19]
웹사이트
California Sea Lion
https://www.fisherie[...]
[20]
논문
Geographic variation in skull characters of fur seals and sea lions (family Otariidae)
https://www.research[...]
[21]
논문
Annual, seasonal and daily variation in the abundance of the South American sea lion ''Otaria flavescens'' in two breeding colonies in northern Chile
https://dialnet.unir[...]
2015-08
[22]
논문
A long-term study reveals multiple reproductive behavior strategies among territorial adult male Steller sea lions (''Eumetopias jubatus'')
2014-03-20
[23]
논문
Annual, seasonal and daily variation in the abundance of the South American sea lion ''Otaria flavescens'' in two breeding colonies in northern Chile
https://dialnet.unir[...]
2015-08
[24]
논문
Shifting niches of marine predators due to human exploitation: the diet of the South American sea lion (''Otaria flavescens'') since the late Holocene as a case study
2015-06-01
[25]
논문
Why do People Care about Sea Lions? A Fishing Game to Study the Value of Endangered Species
2013-12-12
[26]
웹사이트
Human impacts on Australian sea lions, Neophoca cinerea, hauled out on Carnac Island (Perth, Western Australia): implications for wildlife and tourism management
http://researchrepos[...]
2004-01-01
[27]
논문
Historical and modern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the New Zealand sea lion Phocarctos hookeri
https://doi.org/10.1[...]
1998-01-01
[28]
논문
Aggregation and dispersion of female New Zealand sea lions at the Sandy Bay breeding colony, Auckland Islands: How unusual is their spatial behaviour?
https://brill.com/vi[...]
2009-01-01
[29]
논문
On-land habitat preferences of female New Zealand sea lions at Sandy Bay, Auckland Islands
https://onlinelibrar[...]
2012
[30]
논문
Quantifying apart what belongs together: A multi-state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framework for species using distinct habitats
2018
[31]
서적
Review of threats to the recovery of NZ sea lions and other otariid species
https://www.doc.govt[...]
National Institute of Water & Atmospheric Research Ltd
[32]
논문
Integrated SDM database: Enhancing the relevance and utilit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in conservation management
https://publications[...]
[33]
뉴스
New Zealand city closes busy road for weeks to protect sea lion mother and pup
http://www.theguardi[...]
2021-01-14
[34]
뉴스
New Zealand's Sea Lions Are Back, and Crashing Golf Courses and Soccer Matches
https://www.nytimes.[...]
2021-11-09
[35]
뉴스
'Cheeky' sea lions are returning to New Zealand's shores — and locals are learning to share the coast
https://www.washingt[...]
[36]
뉴스
Sea lion attacks Australian girl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4-15
[37]
웹사이트
Monster sea lion likely to be 'playing' with teen
https://web.archive.[...]
2007-04-15
[38]
뉴스
Sea lion mauls girl
https://web.archive.[...]
News.com.au
2007-04-15
[39]
뉴스
Rogue sea lion in S.F. menaces swimmers / Marauding mammal bites at least 14, chases 10 from Aquatic Park Lagoon
http://www.sfgate.co[...]
The San Francisco Chronicle
2011-06-24
[40]
뉴스
Too Cute to Shoot?
http://www.sfweekly.[...]
SF Weekly
2012-06-28
[41]
웹사이트
Sea lion attacks San Diego man posing for photo, yanks him overboard
http://www.cbsnews.c[...]
2015-04-30
[42]
뉴스
Video shows the terrifying moment a sea lion yanks a girl into the water
https://www.washingt[...]
2017-05-22
[43]
뉴스
Steveston Sea Lion Video: Girl Grabbed By Animal Treated For Superficial Wound
http://www.huffingto[...]
HuffPost Canada
2018-09-20
[44]
뉴스
Sea lion attack: Girl treated over 'seal finger' risk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5-26
[45]
뉴스
He jumped off the Golden Gate Bridge and survived. Now, he's seeing his wish for a safety net come true
https://www.cnn.com/[...]
CNN
2019-08-12
[46]
문서
In the Galapagos Islands they’re so ubiquitous that they run the risk of being taken for granted. Here, you can find this unofficial welcoming committee almost everywhere
[47]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eared seals (Otari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the historical biogeography of the family.
https://doi.org/10.1[...]
2001
[48]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1955
[49]
웹사이트
カワウソ
http://page.freett.c[...]
妖怪愛好会隠れ里 (村上健司主催)
2013-07-30
[50]
웹사이트
アシカとは
https://kotobank.jp/[...]
2019-05-09
[51]
뉴스
鳥インフルでアシカ各地で死ぬ アルゼンチン
https://www.afpbb.co[...]
AFP
2023-08-30
[52]
웹인용
ANIMAL BYTES - Sea Lions & Fur Seals
http://www.seaworld.[...]
2007-07-21
[53]
웹인용
Navy may deploy anti-terrorism dolphins
http://www.nbc11.com[...]
Associated Press
2007-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