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스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스부사는 세몰리나로 만든 달콤한 케이크로, 중동, 발칸 반도, 북아프리카, 동아프리카 등 여러 지역에서 즐겨 먹는 디저트이다. 10세기경 마무니아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6세기 오스만 제국에서 아르메니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처음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다. 바스부사는 지역에 따라 하리사, 샤말리, 레바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파스투샤, 바스부사 빌 아슈타, 바스부사 eem 타푸짐, 티쉬피쉬티 등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후식 - 바클라바
    바클라바는 얇은 페이스트리 반죽 필로에 버터와 견과류를 넣어 구운 후 시럽을 뿌려 만드는 달콤한 후식으로, 플라센타 케이크, 라우지나즈, 중앙 아시아 튀르크족의 빵 등 다양한 기원설이 있으며, 지역별로 고유한 변형이 존재하고 튀르키예의 가지안테프 바클라바는 유럽 연합의 지리적 표시 보호를 받았다.
  • 아르메니아의 후식 - 콩포트
    콩포트는 설탕 시럽에 과일을 조리한 요리이며, 중세 시대에는 건강상의 이유로 만들어졌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저녁 식사 마지막에 차갑게 제공되었으며, 동유럽에서는 말린 과일을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 북아프리카 요리 - 낙타젖
    낙타젖은 유목민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으며, 현재는 소젖보다 생산비가 높지만 독특한 영양과 맛으로 유제품으로 가공되어 소비된다.
  • 북아프리카 요리 - 코샤리
    코샤리는 쌀, 렌즈콩, 마카로니를 섞어 만든 이집트의 대표적인 국민 음식으로, 여러 기원 설이 있으며 서민 음식으로서 이집트 거리 문화와 관련 깊고, 이집트 외 지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아프리카 요리 - 땅콩 소스
    땅콩 소스는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요리에서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사용되며 딥, 소스, 드레싱 등으로 활용되는 소스이다.
  • 아프리카 요리 - 타히니
    타히니는 중동, 지중해, 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참깨 페이스트로, 훔무스, 팔라펠 등의 요리 재료나 빵에 발라 먹는 용도, 디저트 재료 등으로 활용되며 풍부한 영양을 제공한다.
바스부사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바스부사
다른 이름하리사
종류디저트
주요 재료세몰리나 또는 파리나, 시럽
기원이집트
관련 지역중동, 지중해
섭취 온도차갑거나 따뜻하게
견과류를 얹은 바스부사
견과류를 얹은 바스부사

2. 역사

옥스퍼드 음식 동반자(3판)에 따르면, 바스부사는 10세기경 만들어진 '마무니아'라는 요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마무니아는 쌀을 지방과 시럽에 넣어 요리하는 방식이었는데, 이후 세몰리나를 사용하도록 개량되었고, 반죽을 먼저 구운 뒤 시럽에 담가 적시는 방식으로 발전했다.[4]

다른 견해로는 바스부사가 16세기 오스만 제국 시기, 오늘날의 터키 지역에서 아르메니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처음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5]

3. 종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바스부사'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해당 섹션을 작성하기 위한 내용이 부족하다.

4. 바스부사

옥스퍼드 음식 동반자(The Oxford Companion to Food, 3판)에 따르면, 바스부사는 10세기경 만들어진 '마무니아(ma'mounia)'라는 요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마무니아는 쌀을 지방과 시럽에 넣어 요리한 음식이었는데, 이후 세몰리나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량되어 반죽을 먼저 구운 뒤 시럽에 담가 적시는 형태로 발전했다고 한다.[4]

다른 견해로는 바스부사가 16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에 오늘날의 튀르키예 지역에서 아르메니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처음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5]

4. 1. 바스부사의 다양한 이름

중동, 발칸 반도, 북아프리카, 동아프리카에서 아몬드로 장식된 바스부사


바스부사는 중동, 발칸 반도, 북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의 요리에서 찾아볼 수 있는 디저트로, 지역과 언어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6]

주요 명칭은 다음과 같다.

바스부사(Basbousa)는 중동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이름이지만, 레반트 지역에서는 종종 하리사(Harisa)라고 불린다. 다만, 북아프리카에서 하리사는 매운 붉은 소스를 의미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지중해 동부 국가들에서는 같은 요리가 다른 이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집트 요리에서는 마무니아(Ma'mounia)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스에서는 남부에서 라바니(Ravani), 북부에서 레바니(Revani)라고 부른다. 마그레브, 알렉산드리아, 요르단에서는 하리사(Hareesa)라는 이름이 자주 쓰인다.

비건 바스부사 (계란 대신 사과 소스)


바스부사는 중동의 많은 과자점에서 인기 있는 디저트이며, 특히 이슬람교라마단 기간에 즐겨 먹는다. 또한 콥트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는 대재나 성탄절의 재와 같은 단식 기간 동안 먹는 채식주의 디저트로도 인기가 있다.

4. 2. 바스부사의 변형


  • 파스투샤: 2010년대 쿠웨이트에서 유래한 바스부사의 변형이다.[7] 바스부사와 마찬가지로 달콤한 시럽에 적신 세몰리나로 만들고, 잘게 간 피스타치오와 오렌지 꽃물을 첨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 바스부사 빌 아슈타: 중간에 아슈타 크림을 채운 레반트 지역의 바스부사 변형이다.
  • 비건 바스부사: 유제품과 계란 대신 사과 소스를 사용하여 재료를 뭉치게 만든 비건 형태의 바스부사이다.
  • 바스부사 eem 타푸짐: 이스라엘 해안 지역의 변형으로 오렌지 주스로 맛을 낸다.
  • 바스부사 빌 타므: 리비아 바스부사의 변형으로, 바스부사 두 층 사이에 대추 스프레드를 넣는다.
  • 티쉬피쉬티 또는 티치피치틸: 세파르딕 유대인의 변형이다.[8][9] 이름은 "빨리 요리됨"을 의미하는 터키어 구절 "Tez Pişti"에서 유래했다.[10]
  • 키즈하: 니겔라 씨앗 페이스트인 키즈하를 사용한 팔레스타인 바스부사의 변형이다.
  • 힐베: 호로파 씨앗으로 맛을 낸 팔레스타인 바스부사의 변형이다.
  • 아플라툰: 남아시아의 변형으로, 세몰리나, 계란, 건과일, 분유, 설탕 시럽으로 만든다.


참조

[1] 간행물 The search for the perfect, aunthenic Egyptian-style basbousa https://cleobuttera.[...] 2018-05-21
[2] 웹사이트 Basbousa (Egyptian Semolina Cake) https://isacpittsbur[...] 2020-07-20
[3] 웹사이트 Arabic Dessert http://www.nestle-fa[...] 2015-01-14
[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5] 웹사이트 If You Haven't Tried this Egyptian Sweet, You're Missing Out - Basbousa Recipe https://www.arabamer[...] 2022-06-22
[6] 웹사이트 Syria: Basbousa https://www.196flavo[...] 2019-09-25
[7] 웹사이트 Aunt Zaneb's Semolina Cake Recipe https://www.recipego[...] Easy Recipes 2021-10-09
[8] 뉴스 Tishpishti (Citrus Semolina Cake) https://www.washingt[...] 2024-03-21
[9] 문서 רשליקה - Rashelika - ניחוח המטבח הירושלמי ספרדי המסורתי 1999
[10] 웹사이트 Tishpishti - Recipe https://www.foodish.[...] 2024-08-31
[11] 서적 The Recipes of Africa https://books.google[...] null
[12] 웹사이트 Taste of Beirut: Citrus muffins (Nammoura) http://www.tasteofbe[...]
[13] 웹사이트 Nishanyan - Turkish etymological dictionary: Revani http://www.nisany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