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법서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법서설』은 1637년에 출판된 르네 데카르트의 철학 저서로, 데카르트의 학문적 방법론과 주요 사상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총 6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카르트는 여기서 자신의 학문적 탐구 과정을 소개하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를 통해 형이상학적 기초를 제시한다. 또한, 자연학 연구와 관련된 내용과 더불어 실생활에서 따를 잠정적인 도덕 규칙을 제시한다. 『방법서설』은 조선 시대 실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합리주의와 과학적 지식 수용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네 데카르트의 작품 - 제1철학에 관한 성찰
    르네 데카르트의 《제1철학에 관한 성찰》은 방법적 회의를 통해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도출하고 신의 존재와 외부 세계의 실재성을 증명하려는 시도를 담은 책으로, 근대 철학의 중요한 개념들을 제시하며 철학적 주장을 발전시켜 근대 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르네 데카르트의 작품 - 정념론
    《정념론》은 1649년 르네 데카르트가 저술한 책으로, 정신의 지각, 감각, 감동, 즉 정념을 신체와 정신의 상호 작용으로 설명하며, 여섯 가지 기본 정념을 제시하고, 이성을 통해 정념을 통제하는 방법을 강조한다.
  • 수학 책 - 괴델, 에셔, 바흐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책 "괴델, 에셔, 바흐"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에셔의 미술, 바흐의 음악을 통해 재귀, 자기 참조, 지능과 의식의 본질을 탐구하며,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사유를 제공하여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수학 책 - 대수학 원론
    대수학 원론은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1765년에 쓴 책으로,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부록을 더해 오일러-라그랑주 추가본으로 널리 출판되고 번역되었다.
방법서설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방법서설
방법서설 표지
원제Discours de la Méthode Pour bien conduire sa raison, et chercher la vérité dans les sciences
언어프랑스어
주제철학 및 자서전
발표 연도1637년
상세 정보
저자르네 데카르트
국가(네덜란드 공화국)
출판사Leyde (레이던)
철학적 내용
관련 개념데카르트주의
합리주의
기초주의
기계론
회의와 확실성
꿈 논증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악령
상표 논증
인과적 적절성 원리
심신 이원론
해석기하학
좌표계
데카르트의 원
잎선
부호 규칙
데카르트 잠수부
기구 이론
밀랍 논증
Res cogitans
Res extensa
관련 저서
주요 저서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
진리 탐구
세계
방법서설
기하학
제1철학에 대한 성찰
철학의 원리
정념론
관련 인물
관련 인물크리스티나 여왕
니콜라 말브랑슈
바뤼흐 스피노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프랑신 데카르트

2. 구성

『방법서설』은 데카르트 자신의 지적 여정을 담은 자서전적 성격을 띠며,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는 독립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전체적으로는 데카르트의 방법론적 철학을 유기적으로 전개하는 방식으로 짜여 있다.

이 책은 프랑스어로 쓰여진 최초의 철학 서적이며, 그런 의미에서도 기념비적인 저작이다.[4] 데카르트는 "고인(古人)의 서적만 고맙게 생각하는 사람들보다도 누구에게나 갖추어져 있는 대체로 단순한 분별만을 작용시키고 있는 사람들이 나의 의견을 바르게 판단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하며, 이 책은 기성의 권위를 따르는 사람이 아니라, 자기 머리로 생각하고 철학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쓰여졌음을 밝힌다.

책의 서두에서 데카르트는 『방법서설』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6부로 설명한다.[4]


  • 제1부 - 데카르트의 학문에 관한 여러 고찰
  • 제2부 - 데카르트가 탐구한 방법의 주요 규칙 발견
  • 제3부 - 데카르트가 이 방법에서 이끌어낸 도덕상의 규칙
  • 제4부 - '신'과 '인간의 영혼'의 존재를 증명하는 논거,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의 기초
  • 제5부 - 데카르트가 탐구한 자연학의 여러 문제의 질서, 특히 심장의 운동과 의학에 속하는 몇 가지 난제의 해결 및 '인간의 영혼'과 '동물의 영혼'의 차이
  • 제6부 - 데카르트가 자연 탐구에서 더 나아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본서 집필의 경위

2. 1. 제1부: 학문에 대한 회의와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

"...훌륭한 책을 읽는 것은 과거 세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의 대화와 같다–" (''방법서설'' 제1부, AT p. 5)


데카르트는 "양식(良識)은 이 세상에서 가장 공평하게 배분되어 있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구절로 ''방법서설''을 시작한다.[4] 여기서 양식은 이성과 동일시된다. 그는 이성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이 글을 썼다고 밝힌다.

데카르트는 자신이 받은 교육에 대한 실망감을 나타낸다. "학업 과정을 모두 마쳤을 때, 너무나 많은 의심과 오류에 빠져, 더 이상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는 것을 확신했다. 매 순간 자신의 무지를 발견하는 것 외에는." 그는 수학에 대한 특별한 즐거움을 언급하며, 수학의 강력한 토대를 "고대 도덕론자들의 탐구는 모래와 진흙보다 더 나은 기초가 없는 웅장하고 훌륭한 궁전"과 대조한다.

학교의 모든 과정을 수료하고 "기묘한 학문"까지 섭렵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의혹에 사로잡힌 데카르트는 언어학, 역사, 웅변, 시가, 수학, 신학, 스콜라 철학, 법학, 의학은 유익한 학문이지만, 어느 것도 불확실하고 견고한 기반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어 문자 학문을 완전히 포기하기로 했다.

이러한 깊은 회의주의는 현대 철학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3][14] 데카르트는 모든 것을 의심함으로써 선입견에서 벗어나 신선한 관점에서 세상을 평가하고자 했다. 이는 "내가 진실이라고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은 결코 진실로 받아들이지 말라"는 격언으로 요약된다.

2. 2. 제2부: 방법의 네 가지 규칙

30년 전쟁에 종군하여 독일에 있을 때, 데카르트는 유명한 "난로"에 하루 종일 틀어박혀 있으면서 다음과 같은 생각을 했다. 한 사람이 완성한 일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친 일보다 완전하며, 한 사람의 상식 있는 인간이 자신의 눈앞의 사안에 단순하게 내리는 추론은 많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형성된 학문보다 우월하다. 찬성자가 많다는 것은, 발견하기 어려운 진리에 대해서는 아무런 가치도 없는 증명이다.[8] 따라서 데카르트는 그 때까지 신뢰하고 받아들여온 의견에서 벗어나기를 원했다.

그 과정에서 데카르트는 정신을 이끄는 4가지 준칙을 정했다.

# 내가 명증하게 진리라고 인정하는 것이 아니면, 어떤 사안이라도 이것을 진리라고 인정하지 않는다.

# 검토하려는 난제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다수의 소부분으로 분할한다.

# 가장 단순한 것에서 가장 복잡한 것의 인식으로 나아가, 선후가 없는 사물들 사이에 질서를 가정한다.

# 마지막으로 완전한 열거와 광범위한 재검토를 한다.

이를 통해 데카르트는 대수학이나 다른 여러 과학을 검토하여 이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느꼈지만, 그러한 여러 과학의 기본이 되어야 할 철학의 원리를 찾지 못했다. 이 때 그는 23세였지만, 더 많은 경험을 쌓아 원숙한 나이가 될 때까지, 나쁜 견해나 오류를 자신으로부터 근절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쓰기로 결심한다.[8]

2. 3. 제3부: 잠정적 도덕 규칙

데카르트는 자신의 방법론을 정립하는 동안 실생활에서 따를 잠정적인 도덕 규칙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는 급진적인 회의론적 방법과 현실 세계에서의 조화로운 삶 사이의 균형을 찾기 위한 실천적 지혜였다. 데카르트는 자신의 집을 재건하는 동안 임시 거처가 필요하다는 비유를 통해, 새로운 철학 체계를 구축하는 동안에는 잠정적인 도덕률을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데카르트는 다음 세 가지 도덕률을 제시한다.[13][14]

  • 자신의 나라 법률과 관습을 따르고, 어릴 때부터 받아들여 온 종교를 굳게 지키며, 가장 온건하고 현명한 사람들의 의견을 따를 것.
  • 한번 결심한 일은 굳건하고 의연하게 행동할 것.
  • 운명보다는 자신을 이기고, 세상의 질서보다는 자신의 욕망을 바꾸도록 노력하며, 자신의 생각 외에는 완전히 지배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을 받아들일 것.


데카르트는 이러한 도덕률을 따르면서 이성을 계발하고, 자신이 정한 방법에 따라 진리를 탐구하는 것을 최선의 직업으로 삼았다. 그는 9년 동안 세상을 관찰하며 의심스러운 것과 오류를 반성하고, 1628년에는 네덜란드로 은둔하여 철학의 기초를 정립하는 데 몰두했다.

2. 4. 제4부: 형이상학적 기초: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와 신의 존재 증명

르네 데카르트는 모든 것을 의심하는 극단적인 회의주의적 방법론을 통해, 의심하는 주체로서의 '나'의 존재는 의심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것이 바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Je pense, donc je suis)"[13][14]라는 유명한 명제이다. 데카르트는 프랑스어로 쓰인 『방법서설』에서 "Je pense, donc je suis(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있다)"라고 썼으며, 메르센이 라틴어로 번역하여 "Cogito ergo sum(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하였다.

데카르트는 이 명제를 토대로, 명료하고 판연하게 이해하는 것은 모두 진실이라는 일반 규칙으로 이끌었다. 그 규칙으로부터 의 존재와 본성, 영혼에 대해 연역하고 있다. 이러한 형이상학적 논의는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했던 데카르트의 철학적 입장을 반영한다. 데카르트는 신의 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을 포함하여 신의 존재에 대한 세 가지 다른 증명을 제시한다.[11][12]

2. 5. 제5부: 자연학 연구와 인간, 동물의 영혼

데카르트는 윌리엄 하비의 저서 ''De motu cordis''를 언급하며 혈액 순환에 대한 그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9] 그러나 데카르트는 심장의 기능을 펌프로 보는 것에 반대하며, 혈액 순환의 동력이 근육 수축이 아닌 열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9] 그는 이러한 심장 운동이 우리의 생각과 완전히 독립적인 것처럼 보이며, 이는 우리의 몸과 영혼이 분리되어 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데카르트는 마음, 정신, 영혼을 구분하지 않고, 이 모두를 합리적 사고 능력과 동일시한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의 ''나는 생각한다''에서 "마음", "영혼"은 프랑스어 단어 ''âm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데카르트는 공표를 보류했던 논문 『세계론』(『우주론』)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제시한다.

2. 6. 제6부: 연구의 진전과 저술의 이유

갈릴레오의 심문과 지동설 부인 사건은 데카르트가 자신의 물리학적 견해를 발표하는 것을 망설이게 했다.[10] 데카르트는 인간을 자연의 주인으로 만들기 위한, 생활에 유용한 지식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숨기는 것은 큰 죄라고 생각했다. 그는 실험과 관찰이 중요하며, 사람들이 그로부터 얻는 이익을 서로 공개하는 것이 앞으로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갈릴레오 사건에서 교훈을 얻은 데카르트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약간의 진리를 탐구할 시간을 잃지 않기 위해, 반박이나 논쟁을 불러일으킬 만한 자신의 저서를 생전에 출판하지 않기로 결심했다. 다만, 자신이 저작을 준비하고 있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에게 의도를 오해받지 않도록, 1634년에 쓰여진 논고에서 신중하게 선택된 『굴절광학』, 『Les Météores (Descartes)|레 메테오르프랑스어』, 『기하학』에 『방법서설』을 덧붙여 공표하는 데에는 동의했다.

3.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은 17세기 조선에 서학(西學)의 일부로 소개된 이후, 정약용을 비롯한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데카르트의 합리주의적 방법론과 과학적 지식은 성리학 중심의 조선 사회에 새로운 학문적 기풍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적 논변은 전통적인 유교 사상과 충돌하여 조선 후기 사상계의 논쟁을 촉발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은 데카르트의 합리주의와 주체적 사유를 강조하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옹호하는 근거로 삼기도 한다. 반면,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에서는 데카르트의 개인주의적 경향이 전통적 가치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The Cogito Argument | Descartes, René" http://rep.tandf.tes[...]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3
[2] 서적 Descartes' Dream: The World According to Mathematics Harcourt Brace Jovanovich 1986
[3]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an encyclopedia ABC-CLIO 2001
[4] 웹사이트 Oregon State University http://oregonstate.e[...]
[5] 웹사이트 Essays of Montaigne, vol. 6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oll.libertyfu[...]
[6] 웹사이트 Essays of Montaigne, vol. 6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oll.libertyfu[...]
[7] 서적 Discourse on Method and Meditations https://archive.org/[...] The Liberal Arts Press
[8] 서적 A Discourse on Method: Meditations and Principles Orion Publishing Group 2004
[9] 논문 Profiles in Cardiology – René Descartes http://onlinelibrary[...] 2003
[10] 문서
[11] 학술 논문 Al-Kindi, A Precursor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http://www.ishim.net[...] 2002
[12] 학술 논문 The Place and Function of Doubt in the Philosophies of Descartes and Al-Ghazali 1966-07
[13] 웹사이트 Descartes' Life and Works https://plato.stanfo[...] 2017-11-20
[14] 웹사이트 Descartes, Rene http://www.iep.utm.e[...] 2017-11-20
[15] 문서 岩波 p.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