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임은 법적, 사회적 맥락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행위로, 특히 아동, 노인, 장애인 등 취약 계층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법적으로는 영국과 일본에서 관련 법규가 존재하며, 아동의 경우 아동학대, 요보호 아동으로 분류되어 복지적 지원을 받기도 한다. 방임은 적극적, 소극적 네글렉트로 나뉘며, 개인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아동 방임은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노인 및 장애인 방임 또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예방 및 조기 발견, 개입, 사후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일본에서는 관련 사건과 사회적 문제로 인해 방임에 대한 관심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대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학대 - 가정폭력
    가정폭력은 가족 구성원이나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성적, 정신적, 경제적 폭력과 지배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가해자의 권력 및 통제 욕구, 세대 간 악순환, 사회적 불평등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보호를 위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 도덕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도덕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 인권 침해 - 차별
    차별은 특정 집단이라는 이유로 개인이나 집단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부당하게 대우하는 행위로, 인종, 성별, 종교 등 다양한 근거로 발생하며, 국제기구들은 차별 종식을 위해 노력하고 각국은 차별 금지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 인권 침해 - 양심수
    양심수는 폭력이나 선동 없이 자신의 신념, 양심, 사상, 종교, 인종,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투옥되거나 불이익을 받는 사람을 지칭하며, 국제앰네스티의 설립 배경이 되었고, 넬슨 만델라, 알렉세이 나발니 등의 사례와 한국 사회의 양심적 병역 거부, 국가보안법 관련 사건 등에서 논쟁적인 사회적 쟁점으로 다루어진다.
방임

2. 법적 정의 및 유형

영국법에서, ''방임''은 (현재는 폐지된) 표현인 ''부주의''와 동일하며, ''과실''의 개념과는 다른 전문 용어이다. 방임의 유일한 기능은 사망에 기여한 요인임을 밝혀 검시에서 내려진 평결을 수식하는 것이다.[3][4]

일본에서는 형법 제217조의 유기·제218조의 보호책임자 유기 등·제219조의 유기 등 치사상으로 다루어지며, 방치된 측이 이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 그 방치를 행한 측이 처벌 대상이 된다.

형사 사건으로 발전하기 전 단계의 아동 사례의 경우, 아동 학대 사례 또는 요보호 아동으로 아동 상담소 등에 통고됨으로써 법률에 근거한 복지적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아동의 중도 네글렉트 사례의 경우, 부모의 친권에 제한이 가해지고, 친권 대행자가 선임되는 경우도 있다.

관련 법률은 다음과 같다.


  • 아동학대 방지 등에 관한 법률
  • 아동복지법
  • 노인 학대 방지, 노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 장애인 학대 방지, 장애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 아동 권리 협약
  • 민법 (친권 상실·친권 정지)

2. 1. 관련 법률

영국법에서, ''방임''은 (현재는 폐지된) 표현인 ''부주의''와 동일하며, ''과실''의 개념과는 다른 전문 용어이다. 방임의 유일한 기능은 사망에 기여한 요인임을 밝혀 검시에서 내려진 평결을 수식하는 것이다.[3][4]

일본에서는 형법 제217조의 유기·제218조의 보호책임자 유기 등·제219조의 유기 등 치사상으로 다루어지며, 방치된 측이 이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 그 방치를 행한 측이 처벌 대상이 된다.

형사 사건으로 발전하기 전 단계의 아동 사례의 경우, 아동 학대 사례 또는 요보호 아동으로 아동 상담소 등에 통고됨으로써 법률에 근거한 복지적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아동의 중도 네글렉트 사례의 경우, 부모의 친권에 제한이 가해지고, 친권 대행자가 선임되는 경우도 있다.

관련 법률은 다음과 같다.

  • 아동학대 방지 등에 관한 법률
  • 아동복지법
  • 노인 학대 방지, 노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 장애인 학대 방지, 장애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 아동 권리 협약
  • 민법 (친권 상실·친권 정지)

2. 2. 방임의 유형

현대 사회에서 네그렉트(育児放棄, 육아 방임)라고 불리는 현상은 '''적극적 네그렉트'''와 '''소극적 네그렉트'''의 두 가지로 나뉜다. "적극적 네그렉트"는 육아를 할 수 없는 명확한 이유가 없는데도 육아를 방임하는 것을 가리킨다. 반면에 "소극적 네그렉트"는 부모의 경제력 부족, 신체적인 질병이나 정신 질환을 앓고 있거나, 지적 장애가 있거나, 지적 장애는 없지만 무학하여 양육 지식이 없는 등, 어떤 이유로든 육아를 할 수 없는 경우를 가리킨다.

3. 방임의 원인

3. 1. 개인적 요인

3. 2. 사회적 요인

4. 방임의 영향

방임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신체적이든 정신적이든 모두 결과가 따른다.

==== 아동 방임의 영향 ====

방임은 아동의 발달과 건강에 영향을 미쳐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5][8] 방임을 경험하는 아동은 영양실조로 인해 성장 부진, 뼈와 근육 성장 불충분, 뇌 기능 및 정보 처리 능력 저하를 겪을 수 있다.[5][6] 또한, 치료받지 않은 골절, 심각한 화상, 감염 등 신체적 부상을 입을 수 있다.[8]

정신적으로는 불량한 또래 관계, 폭력적인 행동, 자존감 저하, 우울증, 절망감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자살 시도의 위험도 높아진다.[10] 부모의 무관심은 아동과의 유대감 및 애착 형성을 방해하고, 문제 해결,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관계 능력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9] 이러한 아동 발달에 대한 방임의 영향은 "박탈"이라고 불리며, 발달에 필요한 환경적 자극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11]

과거 사례에서는 충분한 식사를 제공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의복 및 주거 환경을 제공하거나, 교육적/의료적 방임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15] 보호자가 오락 등에 몰두하는 동안 아이가 열사병이나 화재로 사망하는 사건도 끊이지 않았다.[15]

일본에서는 의무 교육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령기 아동을 학교에 보내지 않고 가택 연금 형태로 방치하는 것도 육아 포기로 간주된다.[16] 2008년 후생노동성 조사에 따르면, 아동상담소가 대응한 아동 학대 건수 중 방임은 15,905건으로, 신체적 학대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17] 방임은 세대 간에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15]

4. 1. 아동 방임의 영향

방임은 아동의 발달과 건강에 영향을 미쳐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5][8] 방임을 경험하는 아동은 영양실조로 인해 성장 부진, 뼈와 근육 성장 불충분, 뇌 기능 및 정보 처리 능력 저하를 겪을 수 있다.[5][6] 또한, 치료받지 않은 골절, 심각한 화상, 감염 등 신체적 부상을 입을 수 있다.[8]

정신적으로는 불량한 또래 관계, 폭력적인 행동, 자존감 저하, 우울증, 절망감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자살 시도의 위험도 높아진다.[10] 부모의 무관심은 아동과의 유대감 및 애착 형성을 방해하고, 문제 해결,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관계 능력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9] 이러한 아동 발달에 대한 방임의 영향은 "박탈"이라고 불리며, 발달에 필요한 환경적 자극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11]

과거 사례에서는 충분한 식사를 제공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의복 및 주거 환경을 제공하거나, 교육적/의료적 방임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15] 보호자가 오락 등에 몰두하는 동안 아이가 열사병이나 화재로 사망하는 사건도 끊이지 않았다.[15]

일본에서는 의무 교육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령기 아동을 학교에 보내지 않고 가택 연금 형태로 방치하는 것도 육아 포기로 간주된다.[16] 2008년 후생노동성 조사에 따르면, 아동상담소가 대응한 아동 학대 건수 중 방임은 15,905건으로, 신체적 학대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17] 방임은 세대 간에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15]

4. 2. 노인 방임의 영향

4. 3. 장애인 방임의 영향

5. 예방 및 대응

일본에서는 형법으로 방임을 다룬다. 형법 제217조의 유기, 제218조의 보호책임자 유기 등, 제219조의 유기 등 치사상으로 다루어지며, 방치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이 발생하면 방치를 행한 측이 처벌 대상이 된다.

형사 사건 이전 단계의 아동 사례는 아동 학대 사례 또는 요보호 아동으로 아동 상담소 등에 통고되어 법률에 근거한 복지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아동의 중도 네글렉트 사례는 부모의 친권이 제한되고, 친권 대행자가 선임되기도 한다.

관련 법률로는 아동학대 방지 등에 관한 법률, 아동복지법, 노인 학대 방지, 노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 학대 방지, 장애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아동 권리 협약, 민법 (친권 상실·친권 정지)이 있다.

5. 1. 예방

5. 2. 조기 발견 및 개입

일본에서는 형법 제217조의 유기, 제218조의 보호책임자 유기 등, 제219조의 유기 등 치사상으로 다루어지며, 방치된 측이 이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 그 방치를 행한 측이 처벌 대상이 된다.

형사 사건으로 발전하기 전 단계의 아동 사례의 경우, 아동 학대 사례 또는 요보호 아동으로 아동 상담소 등에 통고됨으로써 법률에 근거한 복지적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아동의 중도 네글렉트 사례의 경우, 부모의 친권에 제한이 가해지고, 친권 대행자가 선임되는 경우도 있다.

관련 법률로는 아동학대 방지 등에 관한 법률, 아동복지법, 노인 학대 방지, 노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 학대 방지, 장애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아동 권리 협약, 민법 (친권 상실·친권 정지) 등이 있다.

5. 3. 사후 관리

일본에서는 형법 제217조의 유기, 제218조의 보호책임자 유기 등, 제219조의 유기 등 치사상으로 다루어지며, 방치된 측이 이로 인해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 그 방치를 행한 측이 처벌 대상이 된다.

형사 사건으로 발전하기 전 단계의 아동 사례의 경우, 아동 학대 사례 또는 요보호 아동으로 아동 상담소 등에 통고됨으로써 법률에 근거한 복지적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아동의 중도 네글렉트 사례의 경우, 부모의 친권에 제한이 가해지고, 친권 대행자가 선임되는 경우도 있다.

  • 아동학대 방지 등에 관한 법률
  • 아동복지법
  • 노인 학대 방지, 노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 장애인 학대 방지, 장애인 보호자에 대한 지원 등에 관한 법률
  • 아동 권리 협약
  • 민법 (친권 상실·친권 정지)

6. 대한민국 사회와 방임

서구 및 개발도상국에서는 유괴 등의 범죄가 일어나기 쉬운 사정이 있어, 어린이를 늦게까지 밖에서 놀게 하거나 아이를 차에 남겨둔 채 편의점 등에서 쇼핑을 하는 것도 문제시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경찰관에게 체포되거나 주의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일정 연령(주법으로 정해진 연령) 이하의 어린이"를 보호자의 감독 없이(혼자 남겨두기나 일본의 "열쇠 아이" 상태) 두는 것 자체가 위법으로 간주되어, 이웃의 신고 등으로 경찰관이 출동하여 귀가한 부모가 아동 학대로 체포되는 사례도 많다[18].

예를 들어 2014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9세 아이를 혼자 공원에서 놀게 했다는 이유로, 플로리다주에서는 7세 아이를 혼자 공원에 보냈다는 이유로, 각각 육아 방임 혐의로 보호자가 경찰에 체포되었다[19] 이 외에도 아이만 혼자 집에 있게 하거나 주차장에 세워둔 차에 아이를 남겨두고 쇼핑을 하던 부모가 체포되거나 벌금형을 받는 경우가 각 주에서 일상적으로 보도되고 있다. 친구와 노는 것과 달리, 공원, 집 앞에서 혼자 노는 것은 방치된 아이로 보이기 쉽다.

과거 일본에서는 치안이 잘 유지되고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이전에는 어린이가 혼자 공원 등에서 놀고 있어도 별로 문제시되지 않았지만, 1980년대 후반(쇼와 말기)부터 현재에 이르러서는 어린이를 노리는 변태나 소아성애자가 일으키는 사건의 존재가 대중 매체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보호자가 아이를 늦게까지 밖에서 놀게 하고 돌보지 않는 행위를 문제시하는 풍조도 있다.

다만,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데도 불구하고 보육원이나 탁아소 부족, 해당 자치단체의 재정적 문제로 인한 초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 시설 부족 등 여러 이유로 소위 "대기 아동"이 늦은 시간까지 혼자 지낼 수밖에 없는 현실, 그리고 그것을 문제시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의식에 대해서는 지역 격차 및 빈부 격차가 있다. 보육원에 비해 방과 후 학교의 종료 시간이 빠른 "초1의 벽", 방과 후 학교도 초등학교 3학년에 퇴소하는 경우가 많은 "초4의 벽"이라는 문제가 있다. 특히 커리어우먼인 어머니는 일본의 노동 관행상 야근을 당연시하는 상황에 고통받는다.

6. 1. 관련 사건


  • 나가야마 노리오는 연쇄 살인 사건의 범인으로, 어린 시절 방임 피해자였다. 사건 당시 글을 읽고 쓸 수 없었으나, 독학으로 학문을 익혀 작가가 되어 신일본 문학상을 수상했고, 이후 사형되었다.
  • 다쿠마 마모루는 연쇄 살인 사건의 범인으로 2004년에 사형되었다.
  • 기타칸토 여자 어린이 연쇄 유괴 살인 사건은 1979년에 발각되었으며, 일부 사건에 방임이 관여하고 있다.
  • 스가모 아이 방치 사건은 1988년에 발각된 보호 책임자 유기 사건으로, 영화 아무도 모른다의 모티브가 되었다.
  • 니시요도가와구 여아 학대 사망 사건은 2009년에 발각된 사건이다.
  • 오사카 2자녀 굶어 죽음 사건은 2010년에 발각된 육아 방치에 의한 영아 유기 사망 사건이다. 육아 방치를 한 어머니 또한 방임 피해자이다.
  • 가마타 여아 방치 사망 사건은 2020년에 발각된 육아 방치에 의한 여아 방치 사망 사건이다. 오사카 2자녀 굶어 죽음 사건과 마찬가지로 육아 방치를 한 어머니 또한 영아 학대를 받았다.

6. 2. 한국 사회의 특수성

과거 일본에서는 치안이 잘 유지되고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어린이가 혼자 공원 등에서 놀고 있어도 별로 문제시되지 않았다.[18] 그러나 1980년대 후반(쇼와 말기)부터 현재에 이르러서는 어린이를 노리는 변태나 소아성애자가 일으키는 사건의 존재가 대중 매체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보호자가 아이를 늦게까지 밖에서 놀게 하고 돌보지 않는 행위를 문제시하는 풍조도 있다.[18]

다만,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데도 불구하고 보육원이나 탁아소 부족, 해당 자치단체의 재정적 문제로 인한 초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 시설 부족 등 여러 이유로 소위 "대기 아동"이 늦은 시간까지 혼자 지낼 수밖에 없는 현실, 그리고 그것을 문제시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의식에 대해서는 지역 격차 및 빈부 격차가 있다.[18] 보육원에 비해 방과 후 학교의 종료 시간이 빠른 "초1의 벽", 방과 후 학교도 초등학교 3학년에 퇴소하는 경우가 많은 "초4의 벽"이라는 문제가 있다.[18] 특히 커리어우먼인 어머니는 일본의 노동 관행상 야근을 당연시하는 상황에 고통받는다.[18]

6. 3. 정치/사회적 관점

서구 및 개발도상국에서는 유괴 등의 범죄가 일어나기 쉬운 사정이 있어, 어린이를 늦게까지 밖에서 놀게 하거나 아이를 차에 남겨둔 채 편의점 등에서 쇼핑을 하는 것도 문제시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경찰관에게 체포되거나 주의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일정 연령(주법으로 정해진 연령) 이하의 어린이"를 보호자의 감독 없이( 혼자 남겨두기나 일본의 "열쇠 아이" 상태) 두는 것 자체가 위법으로 간주되어, 이웃의 신고 등으로 경찰관이 출동하여 귀가한 부모가 아동 학대로 체포되는 사례도 많다[18]. 2014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9세 아이를 혼자 공원에서 놀게 했다는 이유로, 플로리다주에서는 7세 아이를 혼자 공원에 보냈다는 이유로, 각각 육아 방임 혐의로 보호자가 경찰에 체포되었다.[19] 이 외에도 아이만 혼자 집에 있게 하거나 주차장에 세워둔 차에 아이를 남겨두고 쇼핑을 하던 부모가 체포되거나 벌금형을 받는 경우가 각 주에서 일상적으로 보도되고 있다. 친구와 노는 것과 달리, 공원, 집 앞에서 혼자 노는 것은 방치된 아이로 보이기 쉽다.

과거 일본에서는 치안이 잘 유지되고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이전에는 어린이가 혼자 공원 등에서 놀고 있어도 별로 문제시되지 않았지만, 1980년대 후반(쇼와 말기)부터 현재에 이르러서는 어린이를 노리는 변태나 소아성애자가 일으키는 사건의 존재가 대중 매체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보호자가 아이를 늦게까지 밖에서 놀게 하고 돌보지 않는 행위를 문제시하는 풍조도 있다.

다만,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데도 불구하고 보육원이나 탁아소 부족, 해당 자치단체의 재정적 문제로 인한 초등학교의 방과 후 학교 시설 부족 등 여러 이유로 소위 "대기 아동"이 늦은 시간까지 혼자 지낼 수밖에 없는 현실, 그리고 그것을 문제시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의식에 대해서는 지역 격차 및 빈부 격차가 있다. 보육원에 비해 방과 후 학교의 종료 시간이 빠른 "초1의 벽", 방과 후 학교도 초등학교 3학년에 퇴소하는 경우가 많은 "초4의 벽"이라는 문제가 있다. 특히 커리어우먼인 어머니는 일본의 노동 관행상 야근을 당연시하는 상황에 고통받는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Analysis of Elder Abuse and Neglect Definitions Under State Law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5-12-29
[2] 웹사이트 Child Abuse & Neglect - Child Welfare Information Gateway https://www.childwel[...] 2023-05-19
[3] 서적 Halsbury's Laws of England Lord Mackay of Clashfern (ed.) 2006
[4] 논문 Child deaths attributed to abuse and neglect: An empirical study 1983
[5] 논문 Neglected Babies: A Study of 289 Babies Admitted Consecutively to a Reception Centre 1966
[6] 논문 Antecedents of child neglect in the first two years of life* 1992
[7] 웹사이트 Neglect http://www.minddisor[...]
[8] 웹사이트 Child Neglect: A Guide for Preven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http://www.childwelf[...]
[9] 논문 The Effects of Early Prevention Programs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t Risk for Physical Child Abuse and Neglect: A Meta-Analysis. 2004
[10] 서적 Understanding child abuse and neglect National Academy Press
[11] 논문 Dimensions of deprivation and threat, psychopathology, and potential mediators: A multi-year longitudinal analysis
[12] 웹사이트 動物の遺棄・虐待は犯罪です: 堺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sak[...]
[13] 웹사이트 医療ネグレクトとは https://kotobank.jp/[...] 2022-03-24
[14] 서적 現代英和辞典 研究社 1983
[15] 서적 子ども虐待対応の手引き(令和6年4月 改正版) https://www.cfa.go.j[...] こども家庭庁支援局虐待防止対策課 2024-04-22
[16] 문서
[17] 간행물 平成20年度社会福祉行政業務報告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8] 웹사이트 外務省海外安全ホームページ 安全対策基礎データ アメリカ合衆国 http://www2.anzen.mo[...]
[19] 뉴스 7歳児を一人で公園に行かせた米女性逮捕、「過度な制限」と批判も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社 2014-08-01
[20] 서적 緘黙の少女―親権代行者の記録 雅粒双書 2002
[21] 논문 児童相談所が対応する虐待問題を持つ家族の特徴に関する研究 ―2003年・2008年の子ども虐待実態調査の2次分析を通して― 日本子ども家庭福祉学会 2016
[22] 서적 潜在化していた性的虐待の把握及び実態に関する調査 https://staff.aist.g[...]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20
[23] 논문 児童虐待リスクとしての母子家庭 ─社会的排除とジェンダーの視点から─ 日本地域学会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