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사는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의 행위 또는 그 음식을 의미하며, 아침, 점심, 저녁으로 구분된다. 아침 식사는 하루의 첫 식사로, 점심은 낮에 먹는 식사, 저녁은 하루의 주된 식사로 늦은 오후나 저녁에 먹는다. 식사는 문화와 종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유대교는 카슈루트, 이슬람교는 할랄 규정에 따라 음식 섭취를 제한한다. 기독교는 유대교의 음식 규정을 완화했으며, 라마단 기간에는 금식하며 종교적 행위를 한다. 1970년대 이후 대한민국은 경제 성장에 따라 식생활이 서구화되었으며, 소득 수준에 따라 식사 내용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사 - 식당
    식당은 음식을 먹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주방과 통합되거나 다용도로 활용되며,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식사 - 연회
    연회는 고급 음식을 제공하여 참여자 간 결속을 강화하거나 주최자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목적을 가지며, 역사적으로 사회적 유대감 형성과 지위 과시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회식 문화의 부정적인 측면과 개선 요구가 나타나고 있다.
식사
식사 관련 정보
정의특정 시간에 섭취하는 음식
관련 개념음료, 먹기, 음식, 간식
식사 종류수후르
아침
두 번째 아침
일레븐지즈
브런치
점심

메리엔다
티핀
저녁
만찬
이프타르
소예
간식
세트 메뉴
어린이 식사
식사 구성 및 코스
식사 코스정찬
테이스팅 메뉴
아뮈즈부슈
오르되브르
수프
앙트레
구이
주요리
샐러드
반찬
앙트르메
디저트
세이버리
관련 활동식사 준비

2. 식사의 종류

아침은 보통 아침에 일어나 한두 시간 안에 먹는 식사이다. 점심은 낮에 먹는 식사로, 아침보다 더 많이 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점'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47] 저녁은 늦은 오후나 저녁에 먹는 식사이며 하루 중 주된 식사이다.

점심은 일반적으로 정오에 먹는 식사이며, 문화와 지역에 따라 그 양은 다르다.[19] "Lunch"는 "luncheon"의 줄임말로, 원래는 하루 중 언제든 먹을 수 있는 작은 간식을 의미했으나, 20세기 동안 점차 정오에 먹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식사로 의미가 좁혀졌다.

영국 일부 지역에서는 마지막 식사를 저녁 식사(dinner) 또는 점심(lunch)이라고 부르지 않고, 티(tea)라고 부르기도 한다.

2. 1. 아침 식사

아침 식사는 하루의 첫 번째 식사로, 대개 아침 일찍 하루 일과를 시작하기 전에 먹는다. 일부에서는 아침 식사를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식사로 생각한다.[4] "아침 식사"라는 단어는 문자 그대로 전날 밤의 단식 기간을 깨는 것을 의미한다.[5]

아침 식사 음식은 지역마다 매우 다양하지만, 종종 탄수화물을 포함하며, 곡물이나 시리얼, 과일, 채소, 단백질 식품(예: 달걀), 고기 또는 생선, 그리고 , 커피, 우유, 또는 과일 주스와 같은 음료가 포함된다. 주스는 종종 가장 먼저 마신다. 커피, 우유, 차, 주스, 시리얼, 팬케이크, 와플, 소시지, 프렌치 토스트, 베이컨, 단 빵, 신선한 과일, 채소, 달걀, 구운 콩, 머핀, 크럼펫, 그리고 토스트버터, 마가린, 또는 마멀레이드와 함께 서양 아침 식사의 일반적인 예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조리법과 재료가 아침 식사와 관련되어 있다.[6]

풀 브렉퍼스트영어(Full Breakfast)는 보통 베이컨, 소시지, 달걀, 그리고 다양한 조리된 음식들을 포함하는 아침 식사로, 커피나 차와 같은 따뜻한 음료나 주스 또는 우유와 같은 차가운 음료와 함께 제공된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특히 인기가 많으며, 많은 카페에서 "올데이 브렉퍼스트"로 하루 중 언제든지 이 식사를 제공할 정도이다. 다른 영어권 국가에서도 인기가 있다.

영국의 여러 지역, 예를 들어 잉글랜드에서는 일반적으로 '풀 잉글리시 브렉퍼스트'(종종 '풀 잉글리시'로 줄여서 부름) 또는 '프라이 업'이라고 부른다.[7] 영국 전역의 다른 지역 변형으로는 스코틀랜드의 '풀 스코티시', 웨일스의 '풀 웰시', 북아일랜드의 '얼스터 프라이'가 있다.[8][9][10]

풀 브렉퍼스트는 뱅거스 앤 매시, 셰퍼드 파이, 피시 앤 칩스, 크리스마스 디너와 같은 주요 음식과 함께 국제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영국 요리 중 하나이다.[11] 풀 브렉퍼스트는 빅토리아 시대에 영국 제도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가정 경제학자 이사벨라 비턴의 ''가정 관리법''(1861)에 여러 추천 아침 식사 중 하나로 등장했다. 풀 브렉퍼스트는 전통적으로 차, 우유 또는 커피, 과일 주스와 빵, 크루아상, 또는 페이스트리로 구성된 더 가벼운 대안인 콘티넨탈 브렉퍼스트와 대조되곤 한다(예: 호텔 메뉴에서).

"인스턴트 아침 식사"는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로 제조된 아침 식사 식품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우유를 첨가하여 음료로 섭취한다.[12][13] 일부 인스턴트 아침 식사는 액체 형태로 생산 및 판매되며, 미리 혼합되어 있다. 인스턴트 아침 식사 제품의 주 타겟 시장은 직장인과 같이 바쁜 소비자를 포함한다.[13]

샴페인 브런치는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과 함께 제공되는 아침 식사를 말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새로운 개념이며, 일반적인 아침 식사의 역할과는 다르다.[14] 이는 특별히 호화롭거나 사치스러운 날이나 외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곁들여지는 아침 식사 또한 비슷한 수준으로 높을 때가 있으며[15], 평소 아침 식사에 먹지 않는 연어, 캐비어,[16] 초콜릿 또는 페이스트리와 같은 풍성한 음식이나 여러 코스로 구성될 수 있다.[17][18]

2. 2. 점심 식사

점심은 낮에 먹는 식사로, 보통 아침 식사보다 더 많이 먹는다. 아침을 먹지 않고 점심으로 아침까지 때울 수 있으며, '아점'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47] "Lunch"라는 단어는 "luncheon"의 줄임말로, 원래는 하루 중 언제든 먹을 수 있는 작은 간식을 의미했다. 그러나 20세기 동안 영어에서의 의미는 점차 정오에 먹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식사로 좁혀졌다. 점심은 일반적으로 아침 식사 후 하루의 두 번째 식사이다.

도시락(북미에서는 '팩 점심', '자루 점심', '가방 점심', 영국에서는 '포장 점심', 랭커셔, 머지사이드, 요크셔에서는 '배깅'이라고도 한다[20])은 집에서 준비하여 학교, 직장, 소풍 등 다른 곳에서 먹기 위해 가져가는 점심 식사이다. 음식은 보통 랩, 플라스틱 랩, 알루미늄 호일, 종이 등으로 포장되며, 도시락, 종이 봉투(봉투) 또는 비닐 봉투에 넣어 운반할 수 있다. 인도 뭄바이에서는 다바왈라가 집에서 점심을 가져와 직장으로 배달해주는 경우도 많다. 여러 국가에서는 상점에서 포장된 점심을 구입할 수도 있다. 금속, 플라스틱, 비닐 등으로 만든 도시락은 오늘날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있는데, 이는 더 튼튼한 상자나 가방에 점심을 담아 갈 수 있고, 환경 친화적이기 때문이다.

점심 식사의 또 다른 형태로는 밀 딜(meal deal)이 있다.[21] 이는 상점에서 구매하는 식사로, 샌드위치페이스트리, 칩 한 봉지, 샐러드과일, 병에 든 음료 등으로 구성된다. 밀 딜은 많은 서구의 번화가 슈퍼마켓과 편의점의 주요 상품이며,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어 바쁜 직장인들에게 매우 편리하다. 일부 상점에서는 고급 식품 및 샐러드를 밀 딜 품목에 추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밀 딜이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을 증가시키고, 사람들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음식을 구매하게 만들어 비만 위기를 심화시킨다는 비판도 있다.[22]

2. 3. 저녁 식사

저녁은 늦은 오후나 저녁에 먹는 식사이며, 하루 중 주된 식사에 해당한다.[23] 보통 하루 중 중요하고 의미 있는 식사로 여겨지며,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모여 식사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코스로 구성된 '풀 코스 디너'를 즐기기도 한다. 가장 단순한 형태로는 애피타이저, 생선 요리, 전채 요리, 메인 요리, 디저트 등 3~5개의 코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전통적인 코스와 순서는 문화에 따라 다르다. 이탈리아 식사 구조에서는 전통적으로 안티파스토(애피타이저), 프리모(첫 번째 코스, 예: 파스타 요리), 세콘도(두 번째 코스, 예: 생선 또는 고기), 콘토르노(반찬), 돌체(디저트)의 4가지 정식 코스가 있다.[24]

많은 전통에서 정식 식사 후에는 커피를 마시며, 때로는 을 곁들이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온 가족이 모여 저녁 식사를 함께하며, 하루 동안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고 서로의 안부를 묻는 소통의 시간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퇴근 후 혼자 저녁 식사를 하거나, 간편하게 외식을 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가족의 가치'를 강조하며,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저녁 식사를 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3. 대한민국의 식생활 변화

1970년대 이후 대한민국은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식생활이 서구화되기 시작했다. 육류, 유제품, 가공식품 등의 소비가 늘어나고, 전통적인 식물성 식품의 소비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1]

1990년대 후반에는 식생활의 고도화 단계에 들어서면서, 기호식품이 다양해지고 외식이 증가했으며,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햄, 소시지, 베이컨, 인조버터, 통조림, 우유 등은 일상적인 음식이 되었다. 1946년에는 38M/T에 불과했던 정제당(설탕) 수입량이 1971년에는 23만 7천 M/T 생산으로 늘었고, 1994년에는 75만 9,503M/T 소비로 증가했다.[1]

구분
연도
생산내수수출
1971237000M/T233000M/T4000M/T
1976298000M/T217000M/T78000M/T
1984751000M/T499000M/T247000M/T
19901007974M/T655446M/T335110M/T
19941139764M/T759503M/T376982M/T



육류의 1인당 소비량은 1975년 6.4kg에서 1995년 27.4kg으로 증가했다. 식품 소비의 서구화로 양파, 양배추 소비는 증가했지만, 김장에 사용되는 무나 배추의 소비는 감소했다. 신종 채소 재배와 과일 생산량이 늘면서 식생활이 더욱 다양해졌다.[1]

연도공급량식물성 식품동물성 식품
rowspan="2"|곡류과실류colspan="2"|육류어패류
구성비
1962881.3g823.5g18.1g57.8g6.6%13.2g37.6g
19701002.6g914.8g27.5g87.8g8.8%22.8g40.2g
19801166g995.1g44.4g170.9g14.7%37.9g61.5g
19901338.2g1026.7g79.3g311.5g23.3%64.6g83.6g
19961496.9g1104.3g101g392.6g26.2%93.2g95.9g



이러한 식생활 변화는 영양 불균형, 비만, 만성 질환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특히, 보수 정권 시절에는 식품 안전 문제나 불량 식품 유통 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국민들의 불안감을 높였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국민 건강 증진'을 주요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설정하고,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 급식의 질을 개선하고, 친환경 농산물 사용을 확대하며,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국민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다른 나라의 식사 문화

시바타 아키오[44]의 설명에 따르면, 식사 내용(먹는 식품)은 소득 증가에 따라 지역과 민족을 불문하고 다음 4단계의 패턴을 따른다고 한다.[45]

단계내용
제1단계주식에서 잡곡, 고구마류가 줄어들고, , , 옥수수의 섭취량이 증가한다.
제2단계주식이 줄어들고, 고기, 계란, 생선, 채소와 같은 부식이 증가한다.
제3단계부식 중에서도 동물성 단백질의 비율이 더욱 증가한다. 또한, 알코올의 섭취량도 증가한다.
제4단계식사를 간단하게 해결하려 하고, 레토르트 식품이나 외식이 증가한다. 또한, 전통적인 식사를 재검토하거나 고급화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이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곡물의 소비량이 가속적으로 증가한다. 이는 육류 소비를 늘린다는 것은, 그 육류 생산을 위해 가축에게 먹이는 사료로서 곡물이 소비되기 때문이다.[46]

4. 1. 동아시아

일본은 대체로 대한민국과 비슷한 식습성을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일본 사회인들은 균형 유지를 위해 소규모 식단이나 차림 메뉴를 원칙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해양 국가인 일본은 어업 활동이 많이 발달하여 생선 위주의 식사 문화를 가지고 있다.[44]

세계 최대 요리 문화 국가로 자리매김된 중화인민공화국도 비슷한 사정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요리는 자장면, 짬뽕과 같은 면 요리나 기름진 식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재스민차와 같은 전통 다류들도 발전되는 특이 사항을 두고 있으며, 생활권이나 문화적 요인 등으로 대만이나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지정된 홍콩 또는 마카오도 열대 지방 특유의 요리를 기본 요리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몽골은 목축업의 발달에 따라 사슴, 순록, 양을 식육으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44]

4. 2. 기타 국가

각 국가 및 지역별 식사 문화는 아침 식사 및 식사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종교와 식사

종교와 식사 및 식생활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각 종교마다 종교와 식사의 관계는 다르다.


  • 유대교에서는 코셔라는 음식 규정을 두어, 먹을 수 있는 음식과 먹을 수 없는 음식을 규정한다.
  • 기독교에서는 예수가 유대교의 음식 규정 전체를 부정함에 따라, 먹어서는 안 되는 식재료는 없으며, 음주도 허용된다.
  • 이슬람교에서는 할랄이라는 음식 규정에 따라 먹을 수 있는 음식과 먹을 수 없는 음식을 규정하며, 돼지는 부정한 것으로 여겨 먹는 것을 금지한다.[1] 라마단 기간에는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는 물이나 음식을 일절 먹지 않는다.[1]
  • हिन्दू धर्मsa에서는 소를 신성하게 여겨 소를 먹는 것을 금지한다.[1]
  • 불교석가모니는 육식을 금지하지 않았다. 초기 불교에서는 삼종정육 이라 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고기를 먹는 것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대승 불교에서는 육식을 엄격하게 금지하였다.[31][32][33]

5. 1. 유대교

유대교에서는 구약성서에 먹어도 되는 것, 먹으면 안 되는 것, 함께 먹으면 안 되는 것의 조합, 동물의 도살 방법, 조리법에 관한 규정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식 규정을 "카슈루트" 또는 "코셔"라고 부른다. 다만, 유대교는 여러 종파로 나뉘어 있어, 엄격한 종파에서는 이를 엄격하게 지키는 한편, 느슨한 종파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는다. 카슈루트를 지키는 유대교인의 경우, 현재에도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없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 성경 (출애굽기 23:18, 19)에 "어린 염소의 고기를 그 어미의 젖으로 삶아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 있고, 유대교 지도자나 토라 학자 등은 이를 "어떤 동물 종의 어미와 새끼를 동시에 먹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해석(법 해석)하므로, 결과적으로 치즈버거나 닭고기덮밥도 먹을 수 없다. 새우나 게와 같은 갑각류, 조개류, 문어, 오징어도 먹을 수 없다. 레위기 11장 10절에 "바다에서도 강에서도, 물에 떼 지어 사는 모든 것, 또 물 속에 있는 생물 중에서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것은 모두, 너희에게는 혐오스러운 것이다"라고 쓰여 있기 때문이다.

5. 2. 기독교

신약성경에는 예수와 제자들이 식사하는 장면이 있다. 기독교에서의 성찬은 예수가 십자가에 매달리기 전에 제자들과 식사하며, 자신의 기념으로 이 식사를 행하라고 명했다는 내용에 근거하여 거행된다. 기독교인들은 성찬을 통해 "그곳에 그리스도가 분명히 현존한다"는 믿음을 유지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당시 유대교의 바리새파 (율법학자) 사람들이 사소한 규칙만 내세우고, 인생의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 것들을 사소하게 금지하여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을 보고, "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이 아니라, 입에서 나오는 것(=사람의 말)이 사람을 더럽게 한다" (『마태복음서』15:11)라고 말하며, 유대교의 음식 규정 전체를 정면으로 부정하고, 바리새파나 율법학자들의 물질적인 면만을 중시하는 태도와, 마음과 말을 소홀히 하는 태도, 그 종교인으로서의 모습을 근본적으로 비판했다.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말씀에 따르게 되었고, 토라 (모세오경)에 기록된 음식 규정은 모두 무효가 되었다고 간주하게 되었다. 기독교는 그 초기 단계에서 유대교의 엄격한 식사 규정을 대폭 완화했다 (사도행전 제10장). 이는 유대교의 사소한 규정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환영받았고, 지중해 세계에서 기독교가 확산되는 원인이 되었다. 기독교는 유대교와 달리 "(기독교인으로서) 먹어서는 안 되는 식재료"는 없으며,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어패류 모두 먹을 수 있고, 음주도 허용된다.

5. 3. 이슬람교

이슬람교에서는 할랄이라는 음식 규정에 따라 먹을 수 있는 음식과 먹을 수 없는 음식을 규정하며, 돼지는 부정한 것으로 여겨 먹는 것을 금지한다.[1]

라마단 기간에는 해가 뜨고 지는 동안 물이나 음식을 일절 먹지 않는다. 이를 통해 가난해서 먹을 것이 없어 고생하는 사람들의 상황을 체험하고, 그들의 마음과 고통을 모두가 의식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또한 라마단 기간에는 불우한 사람들에게 기부도 행해진다.[1] 해가 진 후에는 가족, 친족이 많이 모여 즐겁게 함께 식사를 한다.[1] 무슬림에게 라마단은 "먹을 수 있는 큰 기쁨"이나 "가족, 친족, 공동체와의 일체감"을 공유하는 시기이기도 하다.[1] 또한, 라마단은 전 세계의 무슬림들이 동시에 하는 것이며, 국경을 넘어 전 세계 이슬람과의 연대감을 공유하는 기간이기도 하다.[1]

5. 4. 힌두교

हिन्दू धर्मsa에서는 소를 신성하게 여겨 소를 먹는 것을 금지한다.[1]

5. 5. 불교

석가모니는 육식을 금지하지 않았다. 초기 불교에서는 "동물이 죽는 것을 보지 않았다", "자신에게 공양하기 위해 동물을 죽였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 "자신에게 공양하기 위해 동물을 죽였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동물의 고기라도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삼종정육) 그러나 석가모니 사후 약 500년이 지나 생겨난 대승 불교에서는 육식을 엄격하게 금지하였다.[31][32][33]

덴무 천황675년에 육식 금지 칙령을 내려 일본인은 오랫동안 대부분의 동물성 식품을 공공연하게 먹을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수행의 일환인 탁발(수행의 일환으로 하는 걸식)에서는, 다른 사람이 먹고 남은 음식을 구걸하여 받은 것을 먹는다. 어디까지나 남은 음식을 먹는 것이며, 그것이 고기라고 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타인에게 구걸하는 이상, 좋고 싫음을 나타내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이다. 상대방으로부터 시주받은 것은 고기든 생선이든 가리지 않고 먹는 것이 원칙이며, 발우에 담긴 것을 일용할 양식으로 삼았고, 승려의 육식은 금지되지 않았다.[29]

일본의 불교 승려는 이른 아침 걸식행을 거쳐 오전 중에만 식사하며, 오후에는 고형물을 일절 먹지 않는다.[34]

6. 식사 횟수

서양에서는 1800년경까지 하루 두 끼를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35] 그러나 산업화 이후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하게 되면서, 점심은 가볍게 먹고 저녁을 주식으로 하는 하루 세 끼 식사가 보편화되었다.[25]

일본에서는 프란치스코 하비에르1549년경 보고서에 따르면, 이미 16세기에도 하루 세 끼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37] 전국 시대에는 전쟁터에서 하루 세 끼를 지급했다.[38] 에도 시대에는 겐로쿠 연간(17세기 말)부터 서민들이 하루 세 끼를 먹게 되었는데,[39] 메이레키 대화재(17세기 중반) 이후 복구 공사에 동원된 직인들에게 점심을 제공한 것이 널리 퍼진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43]

쇼와 시대 사이타마현지치부 지방에서는 농번기에 하루 4~5회 식사를 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의 세 끼 식사가 일반적이다. 야식이나 간식을 먹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eal noun (FOOD) - definition in the British English Dictionary & Thesaurus - Cambridge Dictionaries Online http://dictionary.ca[...] 2016-08-07
[2] 웹사이트 meal - Definition from Longman English Dictionary Online http://www.ldoceonli[...] 2016-08-07
[3] 간행물 "Is this a meal or snack?" Situational cues that drive perceptions
[4] 웹사이트 breakfast – definition of breakfast by the Free Online Dictionary, Thesaurus and Encyclopedia http://www.thefreedi[...] Thefreedictionary.com 2012-03-28
[5] 서적 "Breakfast: A History" https://books.google[...] AltaMira Press
[6] 웹사이트 History of breakfast https://web.archive.[...] 2011-04-21
[7] 웹사이트 The full English http://www.jamieoliv[...] Jamieoliver.com 2014-02-26
[8] 웹사이트 Traditional Scottish Food http://www.visitscot[...] Visit Scotland 2014-02-26
[9] 뉴스 So what is a 'full Welsh breakfast'? https://web.archive.[...] 2014-02-26
[10] 뉴스 How to... Cook the perfect Ulster Fry http://www.belfastte[...] 2014-02-26
[11] 서적 British Food: An Extraordinary Thousand Years of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2] 서적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for Competitive Advantage https://books.google[...]
[13] 서적 Consumer Behavior in Action: Real-Life Applications for Marketing Managers https://books.google[...] 2023-08-15
[14] 뉴스 The Telegraph - Calcutta : Metro https://archive.toda[...] Telegraphindia.com 2011-03-04
[15] 웹사이트 icseftonandwestlancs - Grand National thrills for Crosby couple http://icseftonandwe[...] Icseftonandwestlancs.icnetwork.co.uk 2011-03-04
[16] 뉴스 Concorde makes final landing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11-03-04
[17] 웹사이트 Moscow News - Travel - Swissц╢tel Krasnye Holmy http://mnweekly.ru/t[...] 2008-04-20
[18] 뉴스 Magazine / Travel : Weekend getaway https://web.archive.[...] 2011-03-04
[1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08-21
[20] 웹사이트 BBC: Lancashire > Voices > Wordly Wise? http://www.bbc.co.uk[...] BBC 2014-04-01
[21] 웹사이트 What your meal deal lunch choice says about you https://www.joe.co.u[...] 2020-06-12
[22] 웹사이트 Obesity and overweight https://www.who.int/[...] 2020-06-12
[23] 웹사이트 Meal times http://www.foodtimel[...] 2014-04-02
[24] 서적 Fodor's Italy 2013 https://books.google[...] Fodor's Travel Publications 2019-05-06
[25] 웹사이트 What Time is Dinner? http://www.history-m[...] History Magazine 2017-12-31
[26] 뉴스 Table for one: how eating alone is radically changing our diets https://www.theguard[...] 2019-05-06
[27] 간행물 A table for one: the pain and pleasure of eating alone http://dx.doi.org/10[...] Elsevier 2021-10-18
[28] 문서 大辞林
[29] 문서 視床下部にある。
[30] 서적 専門医がやさしく教える自律神経失調症 PHP研究所
[31] 간행물 親鸞における肉食の意味 https://doi.org/10.4[...] 日本印度学仏教学会 2021-04-01
[32] 간행물 入楞伽経における肉食の禁止--はしがき・梵文「食肉品」和訳・梵文訂正 http://id.nii.ac.jp/[...] 大谷学会
[33] 간행물 仏教における「消費」 : 「食」の観点から https://hdl.handle.n[...] お茶の水女子大学比較日本学教育研究センター 2021-04-01
[34] 서적 仏教早わかり事典 日本文芸社
[35] 서적 健康栄養学 共立出版
[36] 서적 栄養学者佐伯炬伝 玄同社 1986
[37] 웹사이트 The life and letters of St. Francis Xavier (1872) vol.2 https://archive.org/[...]
[38] 서적 日本人の給与明細 古典で読み解く物価事情 角川ソフィア文庫 2015
[39] 서적 図解! 江戸時代 三笠書房 2015
[40] 서적 図解! 江戸時代 三笠書房 2015
[41] 서적 江戸時代 岩波ジュニア新書 2001
[42] 서적 江戸時代 岩波ジュニア新書 2001
[43] 서적 教科書には載っていない 江戸の大誤解 彩図社 2016
[44] 웹사이트 柴田明夫 経歴など https://www.kouenira[...]
[45] 서적 食料争奪 2007-07
[46] 서적 食料争奪 日本経済新聞社 2007-07
[47] 뉴스 오늘 아점 말고 브런치 먹을래요?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