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루노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루노도는 이탈리아 베네토주 북부에 위치한 현으로, 대부분이 알프스 산맥의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로미테 산맥을 포함하며, 피아베 강과 그 지류가 흐른다. 주요 도시로는 벨루노, 펠트레, 코르티나 담페초 등이 있으며, 안경 산업과 관광이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과거에는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나 현재는 관광, 안경 제조업 등이 발달했다. 라딘어 사용 소수 집단이 존재하며,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모로코 출신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한다. 르네상스 화가 티치아노 베첼리오,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등이 이 지역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루노도 - 그라파산
그라파산은 이탈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산괴로, 아프리카 판과 유럽 판의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암석과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고, 다양한 식생과 동물들이 서식하며, 제1, 2차 세계 대전의 격전지이자 사이클링 코스로 유명하다.
벨루노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이탈리아 |
지역 | 베네토 주 |
현도 | 벨루노 |
코무네 수 | 61 |
행정 | |
수반 | 로베르토 페드린 |
통계 | |
면적 | 3610 km² |
인구 | 197767 명 (2024년 1월 1일)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ISTAT 코드 | 025 |
경제 | |
총 GDP (2021년) | 67억 2900만 유로 |
1인당 GDP (2021년) | 33780 유로 |
기타 | |
시간대 | CET (+1) |
서머타임 | CEST (+2) |
우편 번호 | 32100 |
전화 지역 번호 | 0437 |
차량 번호판 | BL |
2. 지리
알프스산맥에 위치한 벨루노도는 거의 전적으로 산악 지형이다. 토파네, 마르몰라다, 트레 치메 디 라바레도, 안텔라오를 포함한 돌로미테 산맥이 있다. 피아베 강과 그 지류인 보이테 강, 코르데볼레 강이 흐른다.[3]
벨루노도 남쪽에는 발벨루나라고 불리는 넓고 인구가 많은 계곡이 있으며, 베네치아 알프스와 접해 있다. 벨루노 돌로미테 국립공원이 이곳에 있다.[3]
2. 1. 위치 및 인접 지역
알프스산맥에 위치한 벨루노도는 거의 전적으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은 카도레, 펠트리노, 알파고, 발 디 졸도, 아고르디노, 코멜리코 그리고 암페차노의 자연적, 역사적 지역을 포함한다. 벨루노도에는 토파네, 마르몰라다, 트레 치메 디 라바레도, 안텔라오를 포함한 돌로미테 산맥이 있다. 피아베 강은 벨루노도를 관통하며, 그 지류인 보이테 강과 코르데볼레 강도 흐른다.남쪽 부분은 벨루노도에서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계곡인 발벨루나라고 불리며, 베네치아 알프스와 접해 있다. 벨루노 돌로미테 국립공원이 이 도에 위치해 있다.
베네토주 북부에 위치하며, 북동쪽으로 오스트리아와 접한다. 현청 소재지인 벨루노는 트레비소에서 북쪽으로 53km, 볼차노에서 동남쪽으로 77km, 주도인 베네치아에서 북쪽으로 79km, 트렌토에서 동쪽으로 85km에 위치한다.
인접한 지역은 다음과 같다.
방위 | 지역 |
---|---|
북동 | 티롤 주 (AUT), 케른텐 주 (AUT) |
동 | 우디네 현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주) |
동남 | 포르데노네 현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주) |
남 | 트레비소 현 |
남서 | 비첸차 현 |
서 | 트렌토 자치 현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 |
북서 | 볼차노 자치 현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 |
2. 2. 지형
알프스산맥에 위치한 벨루노도는 거의 전적으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은 카도레, 펠트리노, 알파고, 발 디 졸도, 아고르디노, 코멜리코, 암페차노의 자연적, 역사적 지역을 포함한다. 벨루노도에는 토파네, 마르몰라다, 트레 치메 디 라바레도, 안텔라오를 포함한 돌로미테 산맥이 있다. 피아베 강은 벨루노도를 관통하며, 그 지류인 보이테 강과 코르데볼레 강도 흐른다.남쪽 부분은 벨루노도에서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계곡인 발벨루나라고 불리며, 베네치아 알프스와 접해 있다. 벨루노 돌로미테 국립공원이 이 도에 위치해 있다.
; 산
- 돌로미티 산맥
; 하천・호수
- 피아베 강
- 미주리나 호수
2. 3. 기후
벨루노도의 기후는 알프스에서 가장 혹독한 기후 중 하나로, 돌로미티 산맥의 영향으로 대륙성 기후가 강하게 나타나며, 동 티롤의 기후와 매우 유사하거나 남쪽의 프리알프스 지역보다는 더 혹독하다.벨루노도 지역은 고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후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 낮은 계곡 (해발 700m 정도):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해양성 기후(Cfb)와 습윤 대륙성 기후(Dfb)의 경계에 있다. 겨울철 평균 기온은 0°C에서 -3°C 사이이며, 여름은 덥지만 포 강과 아디제 강 계곡만큼 덥지는 않다. 여름철 평균 기온은 18°C에서 21°C 사이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를 초과하며, 겨울철에는 항상 눈이 내리고 3월이나 11월에도 눈이 내릴 수 있다. 주요 도시는 벨루노, 펠트레, 세렌 델 그라파이다.
- 중간 계곡 (해발 700m~1500m): 전형적인 습윤 대륙성 기후(Dfb)를 보인다. 겨울철 평균 기온은 북부와 남서부에서 -7°C에서 -5°C 사이, 중앙 지역에서는 -5°C에서 -3°C 사이이다. 눈은 고도에 따라 10월 말에서 4월 말까지 내린다. 여름은 습하고 온화하며, 낮은 지역(약 900m)에서는 평균 기온이 약 16°C 또는 17°C, 높은 지역(약 1400m)에서는 약 14°C이다. 강수는 3월부터 11월까지 흔하다. 이 기후를 가진 도시와 마을로는 산토 스테파노 디 카도레, 코르티나 담페초, 아라바, 아우론초 디 카도레, 단타 디 카도레, 사파다가 있다.
- 높은 계곡 (해발 1500~1900m): 추운 대륙성 기후(Dfc)를 보인다. 이 지역은 벨루노도에서 가장 습한 기후를 보이며, 남부 일부 지역은 연간 2000mm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겨울은 매우 춥고 눈이 많이 내리며, 평균 기온은 -9°C에서 -5°C 사이이다. 눈은 보통 9월 말부터 5월 말까지 내리며, 여름에도 눈이 내릴 수 있다. 여름은 비가 많이 오고 안개가 끼며 서늘하다. 7월 평균 기온은 10°C에서 12°C 사이이다. 연중 맑은 날이 매우 적고, 하루 평균 일조 시간도 매우 낮다.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 중 하나는 미수리나이다.
- 고지대 (해발 1900m 이상): 산악 툰드라 기후(ET)를 보인다. 사람이 거주하는 곳은 없으며, 모든 달의 평균 기온이 10°C 미만이다. 해발 2000m 이상에서는 강수량이 줄어들고, 더 높은 지역은 건조하고 햇볕이 잘 든다. 산악 지역의 겨울 기온은 고도에 따라 다르며, 1월 평균 기온은 1500m에서 약 -3°C, 2000m에서 -6°C, 2500m에서 -8°C, 3000m에서 -10°C이다. 여름은 해발 2000m 이상에서 춥다. 7월 평균 기온은 1500m에서 약 12°C, 2000m에서 8°C, 2500m에서 6°C, 3000m에서 3°C이다. 벨루노도에서는 영구 동토 기후(EF)는 나타나지 않는다.
3. 역사
벨루노도의 역사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에는 고대 베네토족이 이 지역에 살았으며, 카도레의 칼라초의 라골레 유적에서는 건강의 신에게 바쳐진 성소가 발견되기도 했다. 멜 지역에서는 네크로폴리스 유적이 발굴되었는데, 여기서 나온 유물들은 피에베 디 카도레와 멜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벨루노 지역은 신성 로마 제국의 베로나 변경백령에 속했다. 14세기에는 카라레시 가문의 지배를 받다가, 1404년 파도바 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에 정복되어 테라페르마 도미니it의 일부가 되었다. 북쪽의 카도레도 1420년에 베네치아에 의해 테라페르마 도미니it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151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코르티나 담페초를 정복하여 티롤 백국에 편입시켰다.
이후 베네치아의 통치는 1797년 프랑스 혁명 전쟁의 이탈리아 전역 동안 프랑스 제1 공화국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캄포 포르미오 조약에 따라 가르다 호수 동쪽의 베네치아 영토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에 양도되어 베네치아 주가 되었으나,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으로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에 다시 양도되었다. 이탈리아 왕국 내에서 벨루노는 대략 피아베 도it에 해당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5년 빈 회의에서 옛 베네치아 주는 오스트리아로 반환되어 롬바르디아-베네토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서 벨루노 주는 현대의 주와 대체로 일치하는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오스트리아는 롬바르디아-베네토 왕국을 이탈리아 왕국에 상실했다. 1859년에는 롬바르디아를, 1866년에는 베네토, 만토바와 함께 벨루노를 잃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1919년 생제르맹 조약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로부터 티롤 백국의 남부 지역인 트렌티노와 남티롤을 획득했다. 1923년, 코르티나 담페초, 콜레 산타 루치아, 리비날론고 델 콜 디 라나가 이 지역에서 분리되어 벨루노에 편입되었다.
1943년, 이탈리아 정부가 연합군과의 휴전에 서명하자 벨루노도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 이후 트렌티노-쥐트티롤 지역과 함께 알파인 산록 작전 구역으로 재편성되어 가울라이터 프란츠 호퍼의 행정 하에 놓였다. 이 지역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실상 독일 제국에 병합되었다가, 1945년 나치 정권이 몰락하면서 이탈리아 통치가 회복되었다.
3. 1. 고대 ~ 중세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고고학적 발견은 카도레에 위치한 칼라초의 라골레 유적으로, 고대 베네토족의 건강 신에게 바쳐진 성소이다. 멜 지역에서는 더 큰 유적인 네크로폴리스가 발굴되었다. 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현재 피에베 디 카도레와 멜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 벨루노가 위치한 지역은 신성 로마 제국의 변경백령인 베로나 변경백령에 속했다. 14세기 동안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은 파도바의 영주들인 카라레시 가문의 통치를 받았다. 1404년 펠트레와 벨루노를 포함한 카라레시의 영토는 파도바 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에 정복되어 베네치아의 territori di terraferma|테라페르마 도미니it 일부가 되었다. 북부의 카도레 또한 1420년 프리울리를 정복한 베네치아에 의해 territori di terraferma|테라페르마 도미니it 일부가 되었다. 151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는 코르티나 담페초를 정복하여 카도레에서 분리하고 티롤 백국에 편입시켰다.[1]
3. 2.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
1404년 카라레시 가문의 영토였던 펠트레와 벨루노는 파도바 전쟁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에 정복되어 베네치아의 테라페르마 도미니|terraferma dominiit의 일부가 되었다. 북부의 카도레 또한 1420년 프리울리를 정복한 베네치아에 의해 테라페르마 도미니|terraferma dominiit의 일부가 되었다.[1] 151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는 코르티나 담페초를 정복하여 카도레에서 분리하고 티롤 백국에 편입시켰다.[1]베네치아의 통치는 1797년 베네치아가 프랑스 혁명 전쟁의 이탈리아 전역 동안 프랑스 제1 공화국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지속되었다.[1]
3. 3. 근대
1797년 베네치아가 프랑스 혁명 전쟁의 이탈리아 전역 동안 프랑스 제1 공화국에 의해 정복될 때까지 베네치아의 통치가 계속되었다. 프랑스 또는 그 위성국에 병합되는 대신, 가르다 호수 동쪽의 베네치아 영토(벨루노 포함)는 캄포 포르미오 조약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오스트리아)에 양도되어 베네치아 주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1805년까지 지속되었는데, 오스트리아(1804년부터 오스트리아 제국)가 프레스부르크 조약에서 베네치아 주를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에 양도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왕국 내에서 현대 벨루노는 대략 피아베 도it 도에 해당했다.[4]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옛 베네치아 주는 1815년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로 반환되어 새롭게 형성된 롬바르디아-베네토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서 롬바르디아-베네토는 나폴레옹의 도와 대략 일치하는 주로 조직되었는데, 피아베 도는 현대 주와 대체로 일치하는 벨루노 주로 대체되었다.[4]
이탈리아 통일 동안 오스트리아는 롬바르디아-베네토를 이탈리아 왕국으로 잃었고, 1859년에는 서부(즉, 롬바르디아)를, 1866년에는 동부(즉, 베네토와 만토바)를 포함하여 벨루노를 잃었다.[4]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로부터 티롤 백국의 남부 부분인 트렌티노와 남티롤을 획득했다. 1923년 코르티나 담페초, 콜레 산타 루치아 및 리비날론고 델 콜 디 라나가 이 영토에서 분리되어 벨루노에 추가되었다.[4]
1943년, 이탈리아 정부가 연합군과의 휴전에 서명했을 때, 이 주는 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고, (트렌티노-쥐트티롤 지역과 함께) 알파인 산록 작전 구역으로 재편성되어 가울라이터 프란츠 호퍼의 행정 하에 놓였다. 이 지역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실상 독일 제국에 병합되었다. 이러한 상태는 나치 정권과 함께 종료되었고, 1945년 이탈리아 통치가 회복되었다.[4]
3. 4. 이탈리아 통일 이후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오스트리아는 롬바르디아-베네토 왕국을 이탈리아 왕국에 상실했다. 1859년에는 롬바르디아를, 1866년에는 베네토, 만토바와 함께 벨루노를 잃었다.[4]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1919년 생제르맹 조약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로부터 티롤 백국의 남부 지역인 트렌티노와 남티롤을 획득했다.[5] 1923년, 코르티나 담페초, 콜레 산타 루치아, 리비날론고 델 콜 디 라나가 이 지역에서 분리되어 벨루노에 편입되었다.[5]
1943년, 이탈리아 정부가 연합군과의 휴전에 서명하자 벨루노도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6] 이후 트렌티노-쥐트티롤 지역과 함께 알파인 산록 작전 구역으로 재편성되어 가울라이터 프란츠 호퍼의 행정 하에 놓였다.[6] 이 지역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실상 독일 제국에 병합되었다가, 1945년 나치 정권이 몰락하면서 이탈리아 통치가 회복되었다.[6]
4. 행정 구역
벨루노도에는 60개의 코무네(comuneit)가 있다.[4] 2022년 1월 1일 기준, 인구 5,000명 이상인 코무네는 다음과 같다.[4]
코드 | 자치체명 | 인구 |
---|---|---|
025006 | 벨루노 | 35,436 |
025021 | 펠트레 | 20,321 |
025074 | 보르고 발벨루나 | 13,441 |
025053 | 세디코 | 10,155 |
025040 | 폰테 넬레 알피 | 7,903 |
025048 | 산타 주스티나 | 6,632 |
025072 | 알파고 | 6,594 |
025016 | 코르티나 담페초 | 5,682 |
025029 | 리마나 | 5,340 |
025071 | 론가로네 | 5,104 |
오른쪽 지도에서 굵은 숫자는 ISTAT 코드의 하위 3자리를 나타내며, 표에 열거된 주요 코무네 중 지도에 명칭이 없는 곳이다.
4. 1. 주요 도시
2018년 12월 31일 기준 벨루노도의 주요 코무네(지방 자치체)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4]코무네 | 인구 |
---|---|
벨루노 | 35,833 |
펠트레 | 20,560 |
보르고 발벨루나 | 13,699 |
세디코 | 10,198 |
폰테 넬레 알피 | 8,232 |
알파고 | 6,852 |
산타 지우스티나 | 6,786 |
코르티나 담페초 | 5,820 |
리마나 | 5,308 |
론가로네 | 5,201 |
페다베나 | 4,396 |
아고르도 | 4,117 |
체시오마조레 | 3,958 |
피에베 디 카도레 | 3,753 |
아우론초 디 카도레 | 3,279 |
4. 2. 코무네 통폐합
2013년에는 쿠에로와 바스가 합병하여 쿠에로 바스가 발족되었다.[4] 2014년에는 카스텔라바초가 론가로네에 편입되었다.[4]2016년에는 파라 달파고, 피에베 달파고, 푸오스 달파고가 합병하여 알파고가, 포르노 디 조르도와 조르도 알토가 합병하여 발 디 조르도가 발족되었다.[4]
2019년에는 렌티아이, 멜, 트리키아나가 합병하여 보르고 발벨루나가 발족되었다.[4]
5. 경제
오늘날 벨루노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부문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안경 생산이 대표적이다. 룩소티카는 원래 아고르도에 본사를 두었다. 또한 가전제품(예: 자누시) 및 욕실 설비(예: 세라미카 돌로미테, 이상 스탠다드) 제조 부문도 중요하다.
5. 1. 농업
과거 벨루노도의 경제는 산악 지형의 빈약한 농업에 기반을 두었으나, 현재는 그 중요성이 감소했다. 다만, 라몬 고원에서의 콩 재배와 돌로미티 계곡에서의 피아베 치즈 생산은 예외이다.5. 2. 산업
과거 벨루노도의 경제는 산악 지형으로 인해 농업이 빈약했으나, 현재는 그 중요성이 감소했다. 다만, 라몬 고원에서의 콩 재배와 돌로미티 계곡에서의 피아베 치즈 생산은 예외이다. 오늘날 벨루노는 북부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부문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안경 생산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룩소티카는 원래 아고르도에 본사를 두었다. 또한 가전제품(예: 자누시 등) 및 욕실 설비(예: 세라미카 돌로미테, 이상 스탠다드) 제조 부문도 중요하다.벨루노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관광이다. 코르티나 담페초, 알레게, 아라바, 사파다 및 기타 지역은 이탈리아와 해외에서 명성이 높다.
벨루노현 북동부(롱가로네에서 코메리코 수페리오레에 이르는 Cadore영어 지방 일대)는 이탈리아의 안경 산업 집적지이다.[6][7] 이탈리아 내에서 벨루노현의 안경 생산 집중도는 75%에 달한다.[6]
1878년 안젤로 프레스쿠라(Angelo Frescura) 등이 카랄초 디 카도레에 안경 공장을 건설한 것이 벨루노현 안경 산업의 시작이며, 당시 산업이 빈약했던 이 지역에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7] 1998년에는 대기업에서 영세 공방까지 총 930개의 안경 생산 기업이 있었다.[7]
2000년대 이탈리아 4대 안경 메이커인 룩소티카(창업지는 아골도, 현재 본사는 밀라노), Safilo영어(창업지는 피에베 디 카도레, 현재 본사는 파도바), De Rigoit(창업지는 피에베 디 카도레, 현재 본사는 롱가로네), Marcolinit(창업지는 도메제 디 카도레, 현재 본사는 롱가로네)는 모두 벨루노현에서 창업했으며, 현 내에 생산 거점을 가지고 있다.[7] 4대 메이커는 자사 브랜드 생산 외에 고급 브랜드 안경의 독점적인 라이선스 생산을 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룩소티카는 샤넬이나 프라다 등, 사필로는 디올, 아르마니, 구찌 등의 브랜드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인수를 통해 유명 브랜드를 산하에 두고 있다 (룩소티카가 인수한 레이밴 등).[6][7]
1990년대 말 이후 국제 경쟁이 격화되면서 대형 메이커는 수출·판매를 확대하는 한편, 중소기업·영세 공방은 도태되어 기업 수는 감소하고 있다.[6][7]
5. 3. 관광
벨루노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관광이다. 코르티나 담페초, 알레게, 아라바, 사파다 등은 이탈리아와 해외에서 명성이 높은 관광지이다.[1]6. 언어
벨루노도에는 법적으로 인정된 언어 소수 집단이 존재한다.
- 42개 지자체에서 인정되는 라딘어 소수 집단이 콜레 산타 루치아, 리비날롱고 델 콜 디 라나, 코르티나 담페초, 카도레, 아고르디노, 졸도에 존재한다.
- 과거 파라 달파고와 탐브레 지자체에는 독일어 사용 소수 집단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7. 주민
201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벨루노도에는 여러 국적의 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그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국가는 루마니아이며, 우크라이나, 모로코, 알바니아, 중국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2]
7. 1. 외국 국적 주민
2018년 12월 31일 기준 벨루노도에 거주하는 외국 국적자 중 상위 10개국은 다음과 같다.[2]
8. 인물
- 티치아노 베첼리오 -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다. 피에베 디 카도레에서 태어났다.
-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 19세기 전반의 로마 교황이다. 벨루노에서 태어났다.
-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 20세기의 로마 교황이다. 카날레 다고르도에서 태어났다.
참조
[1]
웹사이트
'Regions and Cities > Regional Statistics > Regional Economy >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Small regions TL3)'
http://stats.oecd.or[...]
OECD.Stats
2018-11-16
[2]
웹사이트
Belluno
http://www.demo.ista[...]
ISTAT
2012-06-06
[3]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Belluno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国立統計研究所 (イタリア)
2014-02-06
[4]
웹사이트
Popolazione residente al 1° Gennaio 2022
https://demo.istat.i[...]
国立統計研究所(ISTAT)
2022-09-12
[5]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Belluno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国立統計研究所 (イタリア)
2012-07-06
[6]
간행물
'イタリアものづくりの都市を訪ねて 第8回 眼鏡枠のまち ベッルーノ(Belluno、ヴェネト州)'
http://homepage2.nif[...]
2014-01-12
[7]
서적
'眼鏡産地の盛衰 -福井県・鯖江市とイタリア・ベッルーノ産地比較のケース-'
https://hdl.handle.n[...]
JAIST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