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리즈 크리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리즈 크리올은 벨리즈에서 사용되는 영어 기반의 크리올 언어이다. 17세기 벌목 산업에서 일하던 아프리카 노예들의 공용어로 시작되었으며, 미스키토어, 스페인어, 서아프리카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다. 영어는 벨리즈의 주요 공식 언어이지만, 크리올어는 벨리즈 내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가리푸나족, 메스티소, 마야 민족 등에게 모국어로 사용된다. 벨리즈 크리올은 표준화된 정자법을 가지고 있으며, 시제, 상, 법, 통사론 등에서 영어와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리즈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벨리즈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비슬라마
비슬라마는 바누아투에서 사용되는 크리올어로, 영어 어휘와 멜라네시아어 문법이 결합되었으며 19세기 피진에서 기원하여 20세기 초 바누아투의 링구아 프랑카가 되었고, 사전 출판을 통해 표준화되어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영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피진어
피진어는 19세기 초 서태평양에서 영어 기반으로 발생하여 상인과 노동자 사이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솔로몬 제도에서 공용어 지위를 갖게 된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벨리즈 크리올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벨리즈 크리올 |
사용 국가 | 벨리즈 |
사용자 수 | 150,000명 (2013년) |
사용자 집단 | 벨리즈 크리올족 (전통적으로) |
제2언어 사용자 수 | 200,000명 이상 |
언어 계통 | 영어 기반 크리올 언어 |
하위 분류 | 대서양 크리올 |
세부 분류 | 서부 |
ISO 639-3 | bzj |
Glottolog | beli1260 (벨리즈 크리올 영어) |
Linguasphere | 52-ABB-ad |
2. 역사
벨리즈 크리올어는 벌목 산업에 강제로 동원된 사람들의 공용어에서 발전했으며, 여러 서아프리카 언어와 관련이 있다.[2] 이는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이 영국령 온두라스(1981년 9월 독립 이전 벨리즈의 옛 이름)로 이송되었기 때문이다.[3][7]
1650년대부터 유럽인들이 벨리즈 시티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1786년 이전에는 벨리즈에서 사용되던 크리올어가 현재의 벨리즈 크리올어보다 빈센트 크리올어와 더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1786년 런던 조약으로 영국은 벨리즈 정착지를 제외한 중앙 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의 벌목 작업을 중단해야 했다. 이에 미스키토 해안의 많은 정착민들이 벨리즈로 이주하여 미스키토 해안 크리올어를 가져왔고, 현지 크리올어는 미스키토 해안 크리올어와 비슷하게 변화했다.[3][8]
2. 1. 기원
벨리즈 크리올은 벌목 산업에서 강제로 일해야 했던 사람들을 위한 공용어로 발전했으며, 이 언어 자체는 많은 서아프리카의 기층 언어와 관련이 있다.[2] 이는 노예들, 좀 더 구체적으로 벨리즈 "크리올"로 확인된 이들이 아프리카와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서 끌려와 1981년 9월 독립하기 전 영국 왕령 식민지였던 벨리즈의 옛 이름인 영국령 온두라스로 이송된 사실 때문이다.[3][7]유럽의 베이멘은 1650년대에 벨리즈 시티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켄 데커[5]는 1786년 이전에 벨리즈에서 사용되던 크리올어가 오늘날의 벨리즈 크리올어보다는 빈센트 크리올어와 더 유사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1786년의 런던 조약에 따라 영국은 벨리즈 정착지를 제외하고 중앙 아메리카의 카리브해 연안에서의 모든 벌목 작업을 중단해야 했다. 미스키토 해안에서 온 많은 정착민들이 벨리즈로 이주해 그들의 미스키토 해안 크리올어를 가져왔다. 이 이민자들은 베이멘보다 5배나 많았다.[8] 현지 크리올어는 미스키토 해안 크리올어와 더 유사하게 변화했다.[3]
2. 2. 언어적 영향과 발전

벨리즈 크리올어는 주로 영어에서 파생되었지만, 노예 무역으로 인해 벨리즈에 유입된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다. 이 언어의 기층 언어는 미스키토어, 스페인어, 그리고 노예들에 의해 유입된 다양한 서아프리카 및 반투어계 언어들로, 아칸어, 에픽어, 에웨어, 풀라어, 가어, 하우사어, 이보어, 키콩고어, 월로프어가 포함된다.[9]
크리올어가 형성되는 방식에 대한 수많은 이론이 존재한다. 가장 일반적이고 언어학적으로 뒷받침되는 가설은, 크리올어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의사 소통이 필요할 때 피진어로 시작된다는 것이다. 벨리즈 크리올어의 경우, 피진어는 서아프리카인들이 노예로 잡혀 아메리카 대륙으로 끌려와 벌목 산업에서 일하게 되면서 형성되었는데, 이들은 유럽 출신의 노예 소유주들과 의사 소통을 해야 했다. 피진어를 사용하는 첫 번째 세대의 사람들에게는 피진어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고, 언어의 문법도 완전히 갖춰진 언어만큼 체계적이지 않았다.[10] 피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완전히 발달된 언어를 갖지 못한 채 성장하는 아이들을 낳게 되면, 그들은 부모가 사용하는 피진어의 부분적인 문법을 일종의 청사진으로 삼아, 그 언어에 체계적인 문법 구조를 부여하게 된다.[11] 바로 이 시점에서 언어는 완전히 갖춰진 언어가 되며, 여러 세대의 화자들에게 모국어가 되면서 크리올어가 된다. 특히 벨리즈 크리올어는 많은 서아프리카 노예들이 영어를 사용하는 소유주들의 지배를 받으면서 발전했다. 그 결과, 이들은 영어를 기층 언어로 사용하여 피진어를 만들 수밖에 없었고, 이 피진어는 그들의 자녀들에 의해 크리올어로 형성되었다.
2. 3. 현대의 사용
영어는 여전히 벨리즈의 주요 공식 언어로, 사회적으로 높은 위신을 가지며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도로 표지판, 공식 문서는 모두 영어로 작성되며, 벨리즈 사람들은 교육 과정 전반에 걸쳐 영어로 교육을 받는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벨리즈 내에서는 이중 언어 및 다중 언어 사용이 흔하며, 벨리즈의 모든 민족 배경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소수 언어인 크리올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12] 크리올어는 벨리즈의 공용어이며, 일부 가리푸나족, 메스티소, 마야 민족 및 기타 민족 집단의 첫 번째 언어이다. 이 언어는 이 나라의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에게는 제2 언어이다.[3]오늘날 벨리즈 크리올어는 이 나라 주민 대다수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언어이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표준 영어를 구사하며, 급속한 탈크리올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포스트 크리올 언어 연속체가 존재하며, 화자들은 가장 바실렉트에서 아크로렉트(대서양 중부 영어) 변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메소렉트 레지스터 사이에서 코드 전환을 할 수 있다. 아크로렉트는 바실렉트와 마찬가지로 거의 들을 수 없다.[13]
1987년 ''시카고 트리뷴'' 신문의 여행 안내서에서는 벨리즈 크리올어를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의 이해를 간신히 벗어나는 언어"라고 보도했다.

벨리즈 크리올어에는 여러 지역의 방언이 존재하므로, 위치에 따라 방언이 약간 다를 수 있다.[2] 푼타 고르다와 같은 벨리즈 남부 지역은 벨리즈 시티와 같은 북부 지역보다 약간 다른 크리올 방언을 사용할 수 있으며,[2] 벨리즈 시티는 전통적인 크리올어에 더 가까운 방언을 보여주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언에서 더 멀리 벗어난 다른 방언보다 더 많은 위신을 얻었다.[2]
3. 교육 및 문학
벨리즈 학교에서 가르치는 영어는 영국 영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교사의 크리올어 사용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1999년 교육부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가정에서 크리올어가 모국어로 사용된다"고 한다.[13] 벨리즈 사람들은 영어, 크리올어를 사용하며, 종종 스페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학교에서 영어의 쓰기 및 읽기 체계를 배우는데, 이는 표준 형태와는 약간 다른 의사소통 체계이다.[13]
최근 벨리즈 교육 시스템과 정부 문서에서 크리올어를 더 많이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벨리즈 크리올 프로젝트와 벨리즈 국가 크리올 위원회는 이러한 움직임의 선두에서 언어에 더 많은 위신과 인정을 부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2]
현재 크리올어를 사용하는 문학 작품으로는 영어-크리올어 사전, 신약성경 번역본 등이 있다. 이 사전은 문법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크리올어 단어의 정의에도 주목을 받았으며, 크리올어 문법만을 기반으로 한 다른 책들의 창작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크리올어로 쓰인 시, 소설, 신문이 증가하고 있다.[12]
4. 음운론
크리올어는 카리브해 영어 크리올어 및 영어 (상위 언어)와 음운론적 유사성을 공유한다.[13] 피진어는 의사 소통을 위해 언어의 음운론을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크리올어도 예외는 아니다.
크리올어는 많은 비음 모음을 사용하고, 비순음 파열음을 구개음화하며, 유성 파열음을 비음화한다. 자음군은 단어 끝에서 축약되며, 많은 음절이 자음과 모음만으로 축약된다.
많은 크리올어 화자는 앞에 오는 연구개 자음 와 를 구개음화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 , 과 같은 치조 자음도 구개음화한다. 다른 모든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크리올어는 자음군을 축약하는 경향이 있다. 최종 자음군은 거의 항상 두 번째 자음을 삭제하여 축약된다. 초성 및 중간 발생은 덜 일관되게 축약된다.
이 단어 끝에 오면 항상 삭제된다. 단어 중간에 오면 종종 삭제되어 모음 길이가 길어진다. 영어는 치 마찰음()을 사용하지만, 벨리즈 크리올어는 치조 파열음 와 를 사용한다. 그러나 탈크리올화로 인해 일부 화자는 치 마찰음을 사용하기도 한다.
강세가 없는 첫 모음은 크리올어에서 종종 삭제된다. 때로는 그 대신 성문 파열음이 발생할 수 있다.
강세는 음절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어, 크리올어의 운율이 어휘 공급원과 다르다.[14]
4. 1. 모음
크리올어는 대부분의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많은 개방형 음절 구조를 갖는 경향이 있다. 이 특징은 특히 앞의 모음에 강세가 없을 때 단어의 끝에서 자음을 삭제하는 경향에 의해 강화된다.[13] 비음화는 크리올어에서 음소적이며, 최종 비음 자음의 삭제에 의해 발생한다. 자음이 탈락했더라도 비음적 특징은 유지된다.[13]모음은 영어에서 사용되는 모음과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bwɑi|보아이영어 또는 bwoi|보오이영어 (''boy'')는 boi|보이영어가 되고, ɑnɡri|안그리영어 (''angry'')는 ænɡri|앵그리영어 등이 된다.[13]
4. 2. 자음
크리올어는 많은 카리브해 영어 크리올어와 영어, 즉 상위 언어와 음운론적 유사성을 공유한다.[13] 피진어는 성공적인 의사 소통을 위해 언어의 음운론을 단순화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는데, 많은 크리올어가 크리올화 이후에도 이러한 경향을 유지하며, 크리올어도 예외는 아니다.크리올어는 많은 비음 모음을 사용하고, 비순음 파열음을 구개음화하며, 유성 파열음을 비음화한다. 자음군은 단어의 끝에서 축약되며, 많은 음절이 단지 자음과 모음만으로 축약된다.
크리올어는 대부분의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많은 개방형 음절 구조를 갖는 경향이 있다. 이 특징은 특히 앞의 모음에 강세가 없을 때 단어의 끝에서 자음을 삭제하는 경향에 의해 강화된다. 비음화는 크리올어에서 음소적이며, 최종 비음 자음의 삭제에 의해 발생한다. 자음이 탈락했더라도 비음적 특징은 유지된다.
많은 크리올어 화자는 앞에 오는 연구개 자음 와 를 구개음화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 , 과 같은 치조 자음도 구개음화한다. 다른 모든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크리올어는 어디에서 발생하든 자음군을 축약하는 경향이 있다. 최종 자음군은 거의 항상 두 번째 자음을 삭제하여 축약된다. 초성 및 중간 발생은 훨씬 덜 일관되게 축약된다.
이 최종적으로 발생하면 항상 삭제된다. 단어의 중간에 발생하면 종종 삭제되어 잔여 모음 길이가 남는다. 상위 언어인 영어는 치 마찰음()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지만, 벨리즈 크리올어는 이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치조 파열음 와 를 사용한다. 그러나 탈크리올화의 진행으로 인해 일부 화자는 이러한 치 마찰음을 발화에 포함시킨다. 강세가 없는 초성 모음은 크리올어에서 종종 삭제된다. 때로는 그 대신 성문 파열음이 발생할 수 있다.
양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
파열음 | ||||||
마찰음 | ||||||
전동음 | ||||||
접근음 |
이러한 음성 중 일부는 음소의 이음으로만 나타난다.[16] 크리올어는 세 개의 유성 파열음 ()과 세 개의 무성 파열음 ()을 사용한다. 무성 파열음은 기식음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식음화는 항상 나타나는 특징은 아니므로, 기식음화된 형태와 기식음화되지 않은 형태는 이음 관계이다. 이 언어는 세 개의 비음 자음()을 사용한다. 무성 마찰음 ()과 유성 마찰음 () 모두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두 개의 유음, 과 은 치경구개에서 발음된다. 혀의 긴장은 미국 영어보다 덜하며, 그 위치는 영국 영어와 더 유사하다. 크리올어는 활음 , , 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성문 파열음은 드물게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
4. 3. 특징
벨리즈 크리올어는 영어에서 주로 파생되었지만, 미스키토어, 스페인어, 서아프리카 및 반투어군(아칸어, 에픽어, 에웨어, 풀라어, 가어, 하우사어, 이보어, 키콩고어, 월로프어 포함) 등 노예 무역으로 유입된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받았다.[9]
크리올어가 형성되는 방식에는 여러 이론이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가설은 피진어에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벨리즈 크리올어의 경우, 서아프리카인들이 노예로 잡혀와 벌목 산업에서 일하면서 유럽 출신 노예 소유주들과 의사 소통을 해야 했기 때문에 피진어가 형성되었다. 피진어를 사용하는 첫 세대는 문법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지만,[10] 그들의 아이들이 체계적인 문법 구조를 부여하면서 크리올어가 되었다.[11]
영어는 여전히 벨리즈의 주요 공식 언어이지만,[12] 벨리즈 내에서는 이중 언어 구사 및 다중 언어 구사가 흔하며, 크리올어는 벨리즈의 공용어이자 일부 가리푸나족, 메스티소, 마야 민족 및 기타 민족 집단의 첫 번째 언어이다.[3]
오늘날 벨리즈 크리올어는 주민 대다수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언어이다. 급속한 탈크리올화 과정으로 인해 포스트 크리올 언어 연속체가 존재하며, 화자들은 다양한 메소렉트 레지스터 사이에서 코드 전환을 할 수 있다.[13]
1987년 ''시카고 트리뷴'' 신문의 여행 안내서에서는 벨리즈 크리올어를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의 이해를 간신히 벗어나는 언어"라고 보도했다.
벨리즈 크리올어에는 여러 지역의 방언이 존재한다.[2] 푼타 고르다와 같은 남부 지역은 벨리즈 시티와 같은 북부 지역과 약간 다른 크리올 방언을 사용할 수 있다.[2]
크리올어는 많은 카리브해 영어 크리올어와 음운론적 유사성을 공유한다.[13] 피진어는 성공적인 의사 소통을 위해 언어의 음운론을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크리올어도 예외는 아니다.
크리올어는 많은 비음 모음을 사용하고, 비순음 파열음을 구개음화하며, 유성 파열음을 비음화한다. 자음군은 단어의 끝에서 축약되며, 많은 음절이 자음과 모음만으로 축약된다.
크리올어는 대부분의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많은 개방형 음절 구조를 갖는 경향이 있다. 비음화는 크리올어에서 음소적이며, 최종 비음 자음의 삭제에 의해 발생한다.
많은 크리올어 화자는 앞에 오는 연구개 자음 와 를 구개음화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 , 과 같은 치조 자음도 구개음화한다.
다른 모든 크리올 언어와 마찬가지로, 크리올어는 어디에서 발생하든 자음군을 축약하는 경향이 있다. 최종 자음군은 거의 항상 두 번째 자음을 삭제하여 축약된다.
이 최종적으로 발생하면 항상 삭제된다. 단어의 중간에 발생하면 종종 삭제되어 잔여 모음 길이가 남는다.
상위 언어인 영어는 치 마찰음()을 사용하지만, 벨리즈 크리올어는 이를 사용하지 않고 와 를 사용한다. 그러나 일부 화자는 탈크리올화의 진행으로 인해 이러한 치 마찰음을 발화에 포함시킨다.
강세가 없는 초성 모음은 크리올어에서 종종 삭제된다. 때로는 그 대신 성문 파열음이 발생할 수 있다.
모음은 영어에서 사용되는 모음과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oy'')는 가 되고, (''angry'')는 등이 된다.[13]
강세는 음절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어, 크리올어의 운율이 어휘 공급원과 다르다.[14]
5. 문자 체계
대부분의 크리올과는 달리, 크리올은 표준화된 정자법을 가지고 있다.
자음: b, ch, d, f, g, h, j, k, l, m, n, p, r, s, sh, t, v, w, y, z, zh
모음 | 예시 | 정의 |
---|---|---|
/ii/ | teef|티프bzj | "도둑" |
/i/ | ɡi, ɡiv|기, 기브bzj | "주다" |
/ee/ 또는 /je/ | bayk|베이크bzj | "굽다" |
/e/ | tek|텍bzj | "가져가다" |
/aa/ | gaan|간bzj | "가버렸다" |
/a/ | bak|박bzj | "몸의 뒤쪽" |
/uu/ | shooz|슈즈bzj | "신발" |
/u/ | shub|슈브bzj | "밀치다" |
/oo/ | boan|본bzj | "뼈" |
/o/ | don|돈bzj | "끝났다" |
/ai/ | bwai|브와이bzj | "소년" |
/ou/ | bout|보우트bzj | "약" |
길어진 모음에 대한 기호 선택은 국제 음성 기호가 아닌, 영어에서 해당 모음이 철자되는 방식에서 비롯되었다.[5] 각 단어에 대한 예시 문장을 포함하여 5,000개 이상의 항목이 있는 크리올 사전이 있다.[6]
6. 형태론
크리올어에는 "be" 동사에 해당하는 네 가지 형태가 있다. ''''와 ''''는 각각 다른 용법으로 사용되며, 보어가 형용사일 때는 명시적인 표식이 사용되지 않는다. ''''는 진행형 시제에도 사용된다.
"to go" 동사는 크리올어에서 불규칙 동사이며, 특히 미래 진행형에서 '''' 형태소로 대체된다. 과거 시제는 '''' 대신 ''''을 사용한다.
'''' 동사는 격식을 차리지 않은 요청, 위협, 의도적 진술, 그리고 "to make"와 같은 의미로 다양하게 사용된다.[13]
크리올어의 명사 복수형은 일반적으로 'de|데영어'를 붙여 만든다. 'den|덴영어', 'dem|뎀영어'과 같은 변형도 있으며, 영어 복수 어미 '-s|-스영어'가 붙는 경우도 있다.
스페인어, 마야어, 가리푸나어에서 유래된 차용어가 많으며, 주로 농산물이나 음식 품목을 지칭한다.[13]
다음은 차용어의 예시이다.
단어 |
---|
파나데스 |
가르나체스 |
살부테스 |
타말레스 |
후두트 |
왕글라 |
고마 |
레이에노 |
분디가 |
코마드레 |
콤파드레 |
6. 1. 시제
크리올어에서는 현재 시제 동사가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수나 인칭을 나타내지도 않는다. 표시되지 않은 동사로서, 현재와 완료 시제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동사 끝에 영어 과거 시제 표지|d영어는 고지어 화법을 나타낸다. 그러나 동사 앞에 시제 표지|mi영어를 붙여 과거를 표시할 가능성이 있다. 명시적인 표시는 드물지만, 문장에 "yestudeh"(어제) 또는 "laas season"(지난 시즌)과 같은 의미론적 시간 표지가 포함된 경우에는 예외이다.[13]미래 시제는 동사 앞에 표지|wa영어 또는 |a영어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과거 시제 표시와 달리, 이 표시는 선택 사항이 아니다.[13]
6. 2. 상
전치 동사 표지 di|디영어는 과거와 현재 시제 모두에서 진행 양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과거가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으면 (어휘적으로 또는 mi|미영어를 사용하여) 문맥에서만 명확한 이해가 가능하다. di|디영어는 항상 필수적이다. 과거 진행형에서는 mi|미영어 + di|디영어 + 동사를 결합하여 명확한 의미를 얻을 수 있다.[13]미래의 진행형 동작은 bi|비영어를 wɑ|와영어와 함께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올바른 조합은 wɑ|와영어 + bi|비영어 + 동사이다.[13]
크리올어는 그 자체로 습관상(habitual aspect)을 나타내지 않는다. 다른 크리올어들은 습관상을 완료상, 진행상 또는 미래상과 융합하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크리올어는 습관상을 어떤 것과 명확하게 융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습관상이 형태론적 표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문맥에 의해 표현된다고 추정할 수밖에 없다.[13]
완료 양상은 표시 없이, 즉 문맥만으로 표현되거나, don|돈영어 또는 finiʂ|피니시영어와 같은 완료 동사 앞의 표지를 사용하여 표현된다.[13]
6. 3. 법과 태
조건법은 조건 동사 ''wuda영어'', ''mi-wa영어'', ''mia영어''를 통해 표현된다. 짧은 형태인 ''da영어''는 현재 시제에만 사용되며, 과거 시제에는 더 긴 형태가 필요하다.크리올어에는 능동태와 수동태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어휘 표지가 없다.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것은 문맥과 함께 문장의 강조뿐이다. 강조는 강조 표지를 추가하거나, 반복 및 중복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6. 4. 명사
크리올어에서 복수형은 일반적으로 필수적인 후치사 'de|데영어'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이 표지의 변형은 'den|덴영어'과 'dem|뎀영어'이다. 탈크리올화가 진행됨에 따라 표준 영어 복수 어미 '-s|-스영어'가 훨씬 더 자주 나타난다. 때로는 이 형태에 'de|데영어'가 추가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shoes de"는 신발을 의미한다.적절한 복수 표지가 없는 경우는 드물다.
6. 5. 차용어
벨리즈 크리올에는 스페인어, 마야어, 가리푸나어에서 유래된 많은 단어들이 있으며, 주로 농산물이나 음식 품목을 지칭한다.[13]단어 |
---|
파나데스 |
가르나체스 |
살부테스 |
타말레스 |
후두트 |
왕글라 |
고마 |
레이에노 |
분디가 |
코마드레 |
콤파드레 |
7. 통사론
벨리즈 크리올의 문장 구조는 영어와 비슷하게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따른다. 평서문과 대부분의 의문문이 이 어순을 따르며, 의문문에서는 강조점에 변화가 있다.[4] 구(phrase) 구성도 여러 면에서 표준 영어와 유사하다.
위치 표현크리올어에서는 위치 표현이 더 자주 사용되며, 표준 영어보다 훨씬 생산적이다. 일반적인 위치 표현은 ''da|다영어''("~에", "to")로 나타낸다. 강조하거나 탈크리올화를 표현할 때는 ''to|토영어'' 또는 ''pɑn|판영어'' ("~위에")을 사용할 수 있다. ''dɑ|다영어''보다 더 구체적인 ''inɑ|이나영어'' ("~안으로")는 ''dɑ|다영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하지만 "보다" 동사와 함께 ''dɑ|다영어''는 사용하지 않으며, "luk da"는 틀린 표현이다. "to look at"은 "luk pan"으로 표현해야 한다.[13]
명사 + 대명사 강조 구문벨리즈 크리올은 명사구에서 강조를 위해 명사와 대명사를 모두 사용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어순은 '명사 + 대명사 + 동사' 순이다. 예를 들어 "mista filip hi noa di ansa"는 "필립 씨는 답을 압니다"라는 뜻이다.[4]
형용사형용사는 서술적 및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형용사는 후치 부사 수식어 ''bad|배드영어'', 반복 또는 부사 수식어 ''onli|온리영어''를 사용하여 강조할 수 있는데, 반복이 일반적인 방식이다.[1] 비교급과 최상급은 형태 통사 규칙에 따라 구성된다.[1] 비교급은 어간에 ''-a|-아영어''를 추가하여 만든다("taal" – "taala" – tall).[1] ''den|덴영어''은 비교 구문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1] 예를 들어, "hî tɑlɑ dan shee"는 "그는 그녀보다 키가 크다"이다.[1] 최상급은 어간에 ''-es|-에스영어''를 추가하여 생성된다.[1] 모든 경우에 정관사 ''di|디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최상급이 서술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연결 동사가 존재한다.[1] 예시는 "She dah di taales" – "그녀가 가장 키가 크다"이다.[1]
부사벨리즈 크리올에서 부사는 표준 영어와 거의 동일하게 사용된다. 거의 모든 경우에 부사는 형태가 아니라 기능 면에서 형용사와 다르다. 하지만 "properli"(properli|제대로영어), "errli"(errli|일찍영어) 또는 "po:li"(po:li|불쌍하게영어)와 같은 몇 가지 예외가 있다. 부사는 중복을 통해 강조될 수 있다.
접속사대부분의 크리올 접속사는 영어와 매우 유사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주요 차이점은 크리올이 이중 부정을 허용하여 일부 접속사가 다르게 사용된다는 것이다. 크리올 접속사의 몇 가지 예로는 "an" (그리고), "but" (하지만), "if" (만약), "o:" (또는) 등이 있다.
의문문질문은 일반적으로 크리올에서 표준 영어와 동일한 형식을 취한다. 즉, '의문사 + 주어 + 동사' 순서이다. "do-support"는 나타나지 않는다. 문장 끝의 상승조는 의문사가 사용되지 않을 때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평서문은 적절한 억양으로 의문문이 될 수 있다. "Which"는 크리올에서 다양하게 번역된다. 화자가 "which"를 의미하는 경우 ''witʂ|위츠영어''를 사용하지만, "which one"의 경우 ''witʂ wan|위츠 완영어''을 사용할 수도 있다.[13]
크리올어에서 사용되는 의문사는 다음과 같다.[13]
의문사 | 뜻 |
---|---|
Waat?; Wah?영어 | 무엇? |
Wai?영어 | 왜? |
Weh?; Wehpaat?영어 | 어디? (어느 부분?) |
Huu?영어 | 누구? |
Fihuu?영어 | 누구의? (누구를 위해?) |
Weh영어 | 보조어 That |
7. 1. 어순
벨리즈 크리올 문장의 구성은 영어의 문장 구성과 매우 유사하다.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사용한다. 모든 평서문과 대부분의 의문문이 이 어순을 따르며, 의문문의 경우 강조점에 변화가 있다. 구(phrase)의 구성은 여러 면에서 표준 영어와 유사하다.7. 2. 위치 표현
위치 표현은 크리올어에서 더 자주 사용되며 표준 영어보다 훨씬 생산적이다. 일반적인 위치 표현은 형태소 ''da|다영어''("~에", "to")로 표현된다. 대신 ''to|토영어'' 또는 ''pɑn|판영어'' ("~위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강조 또는 탈크리올화의 표시다. ''dɑ|다영어''보다 더 구체적인 또 다른 형태소는 ''inɑ|이나영어'' ("~안으로")이다. 이는 ''dɑ|다영어''로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된다.그러나 "보다" 동사와 함께 ''dɑ|다영어''는 사용되지 않으며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 "to look at"을 표현하기 위해 "luk da"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되었다. 올바른 표현은 "luk pan"이다.[13]
7. 3. 명사 + 대명사 강조 구문
벨리즈 크리올은 명사구에서 강조를 위해 명사와 대명사를 모두 사용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어순은 '명사 + 대명사 + 동사' 순이다. 예를 들어 "mista filip hi noa di ansa"는 "필립 씨는 답을 압니다"라는 뜻이다.[4]7. 4. 형용사
형용사는 서술적 및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형용사는 후치 부사 수식어 ''bad|배드영어'', 반복 또는 부사 수식어 ''onli|온리영어''를 사용하여 강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 반복이 일반적인 방식이다.[1] 비교급과 최상급은 형태 통사 규칙에 따라 구성된다.[1] 비교급은 어간에 ''-a|-아영어''를 추가하여 만든다("taal" – "taala" – tall).[1] 형태소 ''den|덴영어''은 비교 구문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1] 예를 들어, "hî tɑlɑ dan shee"는 "그는 그녀보다 키가 크다"이다.[1] 최상급은 어간에 ''-es|-에스영어''를 추가하여 생성된다.[1] 모든 경우에 정관사 ''di|디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 최상급이 서술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연결 동사가 존재한다.[1] 예시는 "She dah di taales" – "그녀가 가장 키가 크다"이다.[1]7. 5. 부사
벨리즈 크리올에서 부사는 표준 영어와 거의 동일하게 사용된다. 거의 모든 경우에 부사는 형태가 아니라 기능 면에서 형용사와 다르다. 하지만 "properli"(properli|제대로영어), "errli"(errli|일찍영어) 또는 "po:li"(po:li|불쌍하게영어)와 같은 몇 가지 예외가 있다. 부사는 중복을 통해 강조될 수 있다.7. 6. 접속사
대부분의 크리올 접속사는 영어와 매우 유사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주요 차이점은 크리올이 이중 부정을 허용하여 일부 접속사가 다르게 사용된다는 것이다. 크리올 접속사의 몇 가지 예로는 "an" (그리고), "but" (하지만), "if" (만약), "o:" (또는) 등이 있다.질문은 일반적으로 크리올에서 표준 영어와 동일한 형식을 취한다. : 의문사 + 주어 + 동사. "do-support"는 여기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문장 끝의 상승조는 의문사가 사용되지 않으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평서문은 적절한 억양으로 의문문이 될 수 있다. "Which"는 크리올에서 다양한 번역을 가지고 있다. 화자가 "which"를 의미하는 경우, witʂ|위츠영어를 사용하지만, "which one"의 경우 witʂ wan|위츠 완영어을 사용할 수도 있다.[13]
7. 7. 의문문
질문은 일반적으로 크리올에서 표준 영어와 동일한 형식을 취한다. 즉, '의문사 + 주어 + 동사' 순서이다. "do-support"는 나타나지 않는다. 문장 끝의 상승조는 의문사가 사용되지 않을 때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평서문은 적절한 억양으로 의문문이 될 수 있다. "Which"는 크리올에서 다양하게 번역된다. 화자가 "which"를 의미하는 경우 ''witʂ영어''를 사용하지만, "which one"의 경우 ''witʂ wan영어''을 사용할 수도 있다.[13]크리올어에서 사용되는 의문사는 다음과 같다.[13]
- 무엇? = Waat?; Wah?영어
- 왜? = Wai?영어
- 어디? = Weh?; Wehpaat?영어 (어느 부분?)
- 누구? = Huu?영어
- 누구의? = Fihuu?영어 (누구를 위해?)
- 보조어 ''That'' = Weh영어
8. 문법
벨리즈 크리올의 시제와 상 체계는 영어와 많이 다르다. 영어의 '-ed', '-t'처럼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형태는 없다. 대신, 과거를 나타내는 "mi"와 "did", 상(相)을 나타내는 "di", 미래를 나타내는 "(w)a(n)", "gwein", "gouɲ"와 같은 불변 입자를 사용한다. 이 입자들은 영어의 "to be"와 달리 단독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그 기능도 영어와는 차이가 있다.[13]
진행형은 로, 과거 습관은 또는 로 나타낸다. 현재 습관상은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always", "usually"와 같은 부사를 사용한다.[5] Mufwene (1984)와 Gibson 및 Levy (1984)는 로 표시되는 과거만의 습관 범주를 제안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예전에 살았던 곳은 여기만큼 춥지 않다")와 같이 사용된다.[17]
현재 시제에서는 굴절되지 않은 동사가 반복 부사와 결합하여 습관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톰은 케이티가 그에 대해 말할 때/말했는지 항상 안다")와 같다.[18]
다음은 벨리즈 크리올의 시제/상 표현 예시이다.
- 나는 (습관적으로) 달린다; 나는 달렸다.
- 나는 달리고 있다.
- 나는 달리고 있었다.
- 또는
- 나는 달렸다; 나는 달렸었다.
- , 또는
- 나는 달리려고 한다; 나는 달릴 것이다.
다른 카리브 크리올어와 마찬가지로, 와 는 여러 기능을 가진다.[19]
- 방향, 여격 또는 수혜 전치사: ("그들은 우리를 위해 싸우고 있다")[20]
- 소유격 전치사: 또는 /Dat da mi buk/ ("그것은 내 책이다")
- 의무 또는 미래를 나타내는 법 조동사: ("그는 여기 와야 한다")
- 사전 부정사 보어: ("너희(복수)는 그들의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가리푸나족에게 무언가를 기여해야 한다")[21]
8. 1. 대명사 체계
표준 영어의 대명사 체계는 인칭, 수, 성, 격을 구분할 수 있다. 일부 크리올 방언은 성이나 격 구분을 하지 않지만 대부분은 구분한다. 그러나 크리올은 2인칭 단수와 복수(you)를 구분한다.[13]대명사 | 발음 | 비고 |
---|---|---|
I | 부정문에서는 가끔 mii | |
me | 예외는 "Mek ai tel yu"와 같은 Ai | |
my, my, mine (소유격) | ||
you, you | ||
your, yours | ||
he, him | 바실렉트 방언에서는 로 발음 | |
she, her | 로 발음; 바실렉트 방언에서는 성 구분이 없음 | |
him, her | 바실렉트 방언에서는 성 구분이 없음 | |
him | ||
her | ||
we, us | ||
us (3명 이상) | ||
our, ours | ||
you (복수) | ||
they, them | ||
those |
8. 2. 등식 동사 및 위치 동사
벨리즈 크리올에서 등식을 나타내는 동사는 "da"이다.[1]:Ai da di tiicha|아이 다 디 티차영어 ("나는 교사이다")
크리올에는 장소를 나타내는 별도의 동사 "deh"가 있다.[1]
:Wi de da london|위 데 다 런던영어 또는 Wi de iina london|위 데 이나 런던영어 ("우리는 런던에 있다")
크리올 형용사에는 보조 동사가 필요하지 않다.[1]
보조 동사 형태는 다음과 같이 영어와 대조된다.[1]
크리올 | 영어 | 한국어 |
---|---|---|
Ai da di teecha | I am the teacher. | 나는 교사이다. |
Yu da di teecha. | You are the teacher. | 너는 교사이다. |
Ih da di teecha. | He/She is the teacher. | 그/그녀는 교사이다. |
Ah da-mi di teecha | I was the teacher. | 나는 교사였다. |
Yu da-mi di teecha | You were the teacher. | 너는 교사였다. |
She/Ih da-mi di teecha. | She/He was the teacher. | 그녀/그는 교사였다. |
Da huu dat? | who is that? | 그는 누구인가? |
8. 3. 부정
참조
[1]
서적
The Survey of Pidgin and Creole Languages,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
논문
Language Ideology, Gender, and Varieties of Belizean Kriol
https://www.jstor.or[...]
2015
[3]
논문
The Making of Race and Place in Nineteenth-Century British Honduras
https://www.proquest[...]
2022-02-18
[4]
웹사이트
Beliz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0: Country Report
http://www.sib.org.b[...]
Statistical Institute of Belize
2014-12-11
[5]
서적
The Song of Kriol: A Grammar of the Kriol Language of Belize
Belize Kriol Project
2005
[6]
서적
Kriol-Inglish Dikshineri: English-Kriol Dictionary
Belize Kriol Project
2007
[7]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 Federal Research Division / Country Studies / Area Handbook Series / Belize
http://lcweb2.loc.go[...]
1999-01-17
[8]
서적
The Anglo-Spanish Struggle for Mosquitia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67
[9]
웹사이트
Kriol - Complete Web Solutions Provider
http://www.kriol.org[...]
2008-10-05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Pidgins and Creol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1]
서적
An Introduction to Pidgins and Creol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2]
논문
Setting and Language Attitudes in a Creole Context
https://doi.org/10.1[...]
2017-08-01
[13]
논문
The pragmaticization of past in creoles
[14]
서적
Pidgins, Creoles and Mixed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5]
웹사이트
The Song of Kriol: A Grammar of the Kriol Language of Belize
https://www.sil.org/[...]
2019-07-17
[16]
논문
Belizean Creole
https://apics-online[...]
2013
[17]
논문
The Habitual Category in Guyanese and Jamaican Creoles
1988
[18]
간행물
Mufwene (1983, p.218) cited in Gibson (1988, p.200)
[19]
논문
The Syntax of Fi Complements in Caribbean English Creole
https://www.jstor.or[...]
1985
[20]
서적
Jamaican Creole Syntax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6
[21]
논문
Recent Jamaican Words in Sociolinguistic Context
https://www.jstor.or[...]
1995
[22]
논문
Grammar of the English-Based Jamaican Proverb
1984
[23]
논문
A good command of the English language: Phonological variation in the Jamaican acrolect
https://www.jbe-plat[...]
200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